KR0119179Y1 - 자동차용 실내등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실내등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9179Y1
KR0119179Y1 KR2019950047103U KR19950047103U KR0119179Y1 KR 0119179 Y1 KR0119179 Y1 KR 0119179Y1 KR 2019950047103 U KR2019950047103 U KR 2019950047103U KR 19950047103 U KR19950047103 U KR 19950047103U KR 0119179 Y1 KR0119179 Y1 KR 01191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body
light bulb
vehicle
slider
lo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71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3027U (ko
Inventor
구형찬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471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9179Y1/ko
Publication of KR9700330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30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91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91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2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 lighting, e.g. switching by tilting the l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자동차의 루프의 설치되어 차실을 조명하는데 사용하는 자동차용 실내등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원터치식으로 작동에 의하여 램프본체가 외부로 탄발됨과 동시에 점등이 되는 자동차용 실내등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는 차실을 조명하기 위한 전구(110)을 갖는 램프 본체(100)와, 램프 본체(100)가 원터치식으로 입출되게 내장되어 자동차의 루프(1)에 매입되게 설치되는 원터치수단(200)로 구성하여, 램프 본체(100)가 루프(1) 안쪽에 있을 때에는 전구(110)가 소등되고, 램프 본체(100)가 루프(1) 외부로 현출되었을 때에는 전구(110)가 점등되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실내등
제1도는 종래의 자동차용 실내등 설치상태 일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설치 및 작동상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루프100:램프 본체
110:전구200:원터치 수단
210:케이스220:슬라이더
230:로우터240:제1스프링
250:제2스프링
본 고안은 주로 자동차의 루프에 설치되어 차실을 조명하는데 사용하는 자동차용 실내등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원터치식으로 작동에 의하여 램프본체가 외부로 탄발됨과 동시에 점등이 되는 자동차용 실내등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실내등은 주로 루프의 앞쪽과 중앙에 설치되어 앞좌석 또는 뒷좌석을 조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실내등(A)은 점,소등을 하기 위한 스위치(A1)가 일체로 마련되며, 루프(1)에 돌출되게 설치된다.
그리하여 차실을 조명하고자 할 때에는 실내등(A)의 소정부위에 마련된 스위치(A1)를 조작하여 점등하였다.
이와같이 종래의 실내등은 루프(1)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특히 외관을 중시하는 고급 승용차의 경우 단조로운 멋을 살리는데 지장을 주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용 실내등을 루프 내부에 매입되게 설치하여 루프의 실내측 외관을 보호하고, 사용시에만 점등과 동시에 외부로 현출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설치 및 작동상태 단면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고안은 차실을 조명하기 위한 전구(110)을 갖는 램프 본체(100)와, 램프 본체(100)가 원터치식으로 입출되게 내장되어 자동차의 루프(1)에 매입되게 설치되는 원터치수단 (200)로 구성하여, 상기 램프 본체(100)가 루프(1) 안쪽에 있을 때에는 상기 전구(110)가 소등되고, 상기 램프 본체(100)가 루프(1) 외부로 현출되었을 때 상기 전구(110)가 점등되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램프 본체(100)는 전구(110)의 음극 및 양극 단자(a)를 마련하며, 원터치수단(200)은 내경 일부 구간에 수개의 돌출면(211)을 사이에 두고 얕은 홈(212)과 깊은 홈(213)이 연이어 형성되고, 하단이 램프 본체(100)가 입출가능하게 개구되고, 하단부에 자동차용 배터리전원에 연결되는 음극 및 양극 단자(b)가 일체로 마련된 원통형의 하우징(210)과, 상기 램프 본체(100)의 상측에 위치되며, 하단둘레에 톱니(221)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210)의 얕은 홈(212)과 깊은 홈(213)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외경에 복수개의 돌기(222)가 형성된 원통형의 슬라이더(220)와, 상기 슬라이더(220)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슬라이더(220)의 톱니(221)와 맞물릴 수 있도록 하단 둘레에 톱니(231)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210)의 깊은 홈(212)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외경에 복수개의 돌기(232)가 형성되어 일정각도씩 회전운동을 하는 원통형의 로우터(230)와, 상기 로우터(230)를 하향으로 탄지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 상측에 개재시킨 제1스프링(240)과, 상기 램프 본체(100)을 상향으로 탄지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 하측에 개재시킨 제2스프링(250)으로 구성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루프(1)의 전방 또는 중앙부에 매입되게 설치함으로써 자동차의 탑승자가 필요에 따라 원터치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사용시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케이스(210) 내에 보유된 램프 본체(100)를 상향으로 1회 누르면; 누르는 힘에 의하여 제1스프링(240) 및 제2스프링(250)이 압축되면서 슬라이더(220)가 로우터(230)를 밀어올림에 따라 얕은 홈(212)에 걸려 있던 로우터(230)의 돌기(232)가 상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로우터(230)가 회전하고, 누르는 힘이 제거됨과 동시에 제1스프링(240)과 제2스프링(250)의 탄성력에 의하여 로우터(230)의 돌기(232)가 깊은 홈(213)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로우터(230)가 슬라이더(220)를 보다 낮은 위치로 밀어 주게 된다.
그리하여 램프 본체(100)가 루프(1) 외부로 현출됨과 동시에 램프 본체(100)에 있는 단자(a)와 케이스(210)에 있는 단자(b)가 접속되어 전구(110)가 점등된다.
그리고 다시 한번 램프 본체(100)를 상향으로 누르면; 외력에 의하여 제1스프링(240) 및 제2스프링(250)이 압축되면서 슬라이더(220)가 로우터(230)를 밀어올림에 따라 로우터(230)의 돌기(232)가 깊은 홈(213)을 따라 상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로우터(230)가 회전하고, 외력이 제거됨에 따라 제1스프링(240)이 압축된 상태로 로우터(230)의 돌기(232)가 얕은 홈(212)에 걸려 있게 되어 슬라이더(220)와 램프 본체(100)에 제2스프링(250)의 탄성력이 작용하게 된다. 그리하여 램프 본체(100)가 루프(1) 내부로 들어가게 됨과 동시에 램프 본체(100)에 있는 단자(a)와 케이스(210)에 있는 단자(b)가 단락되어 전구(110)가 소등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실내등을 루프(1) 내부에 매입되게 설치하여 루프(1)의 실내측 외관을 보호할 수 있으므로 고급승용차에 유용한 효과가 있으며, 원터치식으로 작동하여 점,소등을 함과 동시에 외부로 램프 본체(100)가 현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하고 넓은 공간을 조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차실을 조명하기 위한 전구(110)을 갖는 램프 본체(100)와, 상기 램프 본체(100)가 원터치식으로 입출되게 내장되어 자동차의 루프(1)에 매입되게 설치되는 원터치수단(200)로 구성하여, 상기 램프 본체(100)가 루프(1) 안쪽에 있을 때에는 상기 전구(110)가 소등되고, 상기 램프 본체(100)가 루프(1) 외부로 현출되었을 때 상기 전구(110)가 점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실내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본체(100)는 전구(110)의 음극 및 양극 단자(a)를 마련하며, 상기 원터치수단(200)은 내경 일부 구간에 수개의 돌출면(211)을 사이에 두고 얕은 홈(212)과 깊은 홈(213)이 연이어 형성되고, 하단이 램프 본체(100)가 입출가능하게 개구되고, 하단부에 자동차용 배터리전원에 연결되는 음극 및 양극 단자(b)가 일체로 마련된 원통형의 하우징(210)과, 상기 램프 본체(100)의 상측에 위치되며, 하단 둘레에 톱니(221)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210)의 얕은 홈(212)과 깊은 홈(213)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외경에 복수개의 돌기(222)가 형성된 원통형의 슬라이더(220)와, 상기 슬라이더(220)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슬라이더(220)의 톱니(221)와 맞물릴 수 있도록 하단 둘레에 톱니(231)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210)의 깊은 홈(212)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외경에 복수개의 돌기(232)가 형성되어 일정각도씩 회전운동을 하는 원통형의 로우터(230)와, 상기 로우터(230)를 하향으로 탄지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 상측에 개재시킨 제1스프링(240)과, 상기 램프 본체(100)를 상향으로 탄지할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 하측에 개재시킨 제2스프링(25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실내등
KR2019950047103U 1995-12-26 1995-12-26 자동차용 실내등 KR01191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7103U KR0119179Y1 (ko) 1995-12-26 1995-12-26 자동차용 실내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7103U KR0119179Y1 (ko) 1995-12-26 1995-12-26 자동차용 실내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3027U KR970033027U (ko) 1997-07-26
KR0119179Y1 true KR0119179Y1 (ko) 1998-06-15

Family

ID=19438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7103U KR0119179Y1 (ko) 1995-12-26 1995-12-26 자동차용 실내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917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3027U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2131A (en) Room lighting unit for vehicles
US20040109324A1 (en) Assist handle with integrated light unit
US6264352B1 (en) Sun visor and vanity mirror assembly for motor vehicles
KR0119179Y1 (ko) 자동차용 실내등
WO2003101779A2 (en) Vehicle auxiliary light
AU7042991A (en) Removable mirror device mounted inside motor vehicles
JP2003127768A (ja) 車両用ルームランプ
KR200154237Y1 (ko) 자동차용실내등구조
KR970002501Y1 (ko) 자동차 실내등
KR0181240B1 (ko) 백 미러 일체식 실내등
KR200141091Y1 (ko) 자동차용 실내등
KR970005215Y1 (ko) 차량용 이동식 실내등
KR0135546Y1 (ko) 자동차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JPH0129145Y2 (ko)
KR970003621Y1 (ko) 트렁크룸의 이동용 램프
KR19980066919U (ko) 자동차용 트렁크룸 램프
KR970003617Y1 (ko) 자동차용 독서등
KR970005211Y1 (ko) 자동차용 룸램프
KR19990031926U (ko) 자동차용 실내 조명 장치
KR0173670B1 (ko) 백셀프 패널 내장형 경광등 조립체
KR920007206Y1 (ko) 자동차용 실내등
KR970037804A (ko) 자동차용 실내등구조
KR20010098189A (ko) 다중 색상을 가지는 자동차용 실내등
KR19980039571U (ko) 승용차의 회전식 독서등
KR19980039370U (ko) 자동차의 착탈형 실내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