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3670B1 - 백셀프 패널 내장형 경광등 조립체 - Google Patents

백셀프 패널 내장형 경광등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3670B1
KR0173670B1 KR1019960054730A KR19960054730A KR0173670B1 KR 0173670 B1 KR0173670 B1 KR 0173670B1 KR 1019960054730 A KR1019960054730 A KR 1019960054730A KR 19960054730 A KR19960054730 A KR 19960054730A KR 0173670 B1 KR0173670 B1 KR 0173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housing
groove
opening
bea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4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6210A (ko
Inventor
정창석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54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3670B1/ko
Publication of KR19980036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6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3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36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retractable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셀프 패널 내장형 경광등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백셀프후방패널(1')의 하부면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면에 형성된 개구부(O)와 연통하는 개구부(11)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노출홈(13)이 타측에는 상기 노출홈(13)에 대향하는 가이드홈(14)이 형성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 내에 왕복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상기 하우징(10)의 노출홈(13)에 노출되는 나선부(23) 타측에는 상기 가이드홈(14)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24)가 형성된 본체(21), 및 전구(26)를 포함하며 백셀프후방패널의 개구부(O)를 통해 돌출 가능한 발광부(22)가 형성된 경광등(20); 조작스위치(35)에 의해 작동되며 고정브래킷(34)에 의해 백셀프 트림패널의 하부에 고정되는 본체(31), 상기 본체(31)에 대해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로드(32), 및 상기 회전로드(32)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의 노출홈(13)을 통해 상기 경광등(20)의 나선부(23)와 치차 결합되는 피니언(33)으로 형성된 액튜에이터(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별도의 경광등을 휴대할 필요가 없으며, 상황에 따라 각각 다른 경광등을 자동으로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백셀프 패널 내장형 경광등 조립체.
본 발명은 백셀프 패널(backself panel)내장형 경광등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후방유리 하부변에 형성된 백셀프 트림패널에 경광등을 자동 돌출 및 작동방식으로 내장하여 비상시 또는 사고시 주변 자동차에 정확한 정보를 알려주기 위한 백셀프 패널 내장형 경광등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후방 유리면의 하부의 실내 내측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셀프 패널(1)이 제공되어 있으며, 장착구멍(2)이 형성되어 있어 스피커 또는 스피커 그릴이 설치된다, 물론 상기 백셀프 패널상에는 트림패널이 덮여져 화장지와 같은 간단한 잡화를 보관할 수도 있다.
또한 자동차의 후방부에는 방향지시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같은 방향지시등은 또한 양측이 동시에 점멸되도록 작동시킨 경우 비상등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같은 비상등은 비상시 또는 사고시 구분없이 동시에 동일 간격으로 점멸되므로써 주변차량이 정확히 해당 차량의 상태를 인식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따라, 경찰차, 기자차량 또는 국가에 허가된 공무수행차량 자동차의 경우에는 별도의 경광등을 설치하거나 휴대하여 주변차량에 해당 자동차의 임무 및 상태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같은 휴대용 경광등은 휴대 및 보관이 어려울 뿐 아니라, 비상시 또는 구난시와 같이 상황에 따라 각각 구분하여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백셀프 패널의 여유부분에 자동 돌출 및 작동되도록 설치되는 백셀프 패널 내장형 경광등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예컨대 구난시 또는 비상시와 같이 다양한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백셀프 패널 내장형 경광등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일반적인 백셀프 패널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백셀프 패널 내장형 경광등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3a는 본 발명에 따른 경광등 조립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횡단면도.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경광등 조립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후방 백셀프패널 10 : 하우징
11 : 개구부 13 : 노출홈
20 : 경광등 21 : 본체
22 : 발광부 24 : 가이드
30 : 액튜에이터 32: 회전로드
33 : 피니언
이같은 목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달성되는 바,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백셀프 후방패널의 하부면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면에 형성된 개구부와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노출홈이 타측에는 상기 노출홈에 대향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왕복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상기 하우징의 노출홈에 노출되는 나선부 타측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가 형성된 본체, 및 전구를 포함하며 백셀프 후방패널의 개구부를 통해 돌출 가능한 발광부가 형성된 경광등; 조작스위치에 의해 작동되며 고정브래킷에 의해 백셀프 패널의 하부에 고정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대해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로드, 및 상기 회전로드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노출홈을 통해 상기 경광등의 나선부와 치차 결합되는 피니언으로 형성된 액튜에이터;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셀프 패널 내장형 경광등 조립체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중 도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백셀프 패널 내장형 경광등 조립체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A에는 도 2에 도시된 백셀프 패널에 내장되는 경광등 조립체의 확대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B에는 도 2에 도시된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2 및 도3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경광등 조립체가 내장되는 백셀프 패널(1')애는 전술된 바와 같이 그 양측에서 예컨대 2개의 스피커그릴 장착구멍(2)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백셀프 패널(1')에는 2개의 개구부(0)가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O)에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가 설치되는바, 상기 경광등 조립체는 백셀프 패널의 제 위치에 천공된 2개의 개구부(O) 하부에 설치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내에 왕복동 가능하게 내장되는 경광등(20) 및 상기 경광등을 상·하로 왕복동 시키기위한 액튜에이터(actuator)(30)를 포함한다.
보다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하우징(10)은 원통형으로서 상부에는 개구부(11)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상세히 후술되는 경광 등의 전원공급성이 관통하는 관통구(15)가 천공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11)의 양측에는 상호대칭되는 고정부(12a,12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고정부(12a,12b)에는 또한 볼트 고정구멍이 천공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양측에는 상호 대향하는 2개의 홈, 즉, 노출홈(13) 및 가이드홈(14)이 각각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광등(20)은 상기 하우징(10)내에서 왕복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상기 경광등(20)은 본체(21) 및 발광부(22)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본체(21)의 일측에는 래크형 나선부(23)가 형성되며, 상기 나선부(23)에 대향하는 타측에는 가이드(24)가 형성된다. 상기 나선부(23)는 상기 하우징(10)의 노출홈(13)을 통해 노출되며, 상기 가이드(24)는 가이드홈(14)에 삽입되어 이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2개의 경고등(20)의 각각의 발광부(21)는 그 표시기능에 따라 다른 색을 지닐 수 있는 바, 예컨대 비상시에는 붉은색을 지닌 것으로 또한 구난 및 구급시에는 녹색을 발광하도록 각각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고등(20)에는 각각 전원공급 와이어(25)에 연결된 전구(26)가 내장되어 있는 바, 상기 와이어(25)는 상세히 후술되는 액튜에이터의 조작스위치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한다.
또한 상기 액튜에이터(30)는 본체(31), 상기 본체(31)에 대해 양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구동로드(32), 및 상기 구동로드(32)의 단부에 형성된 피니언(33)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31)는 일반적인 양방향 구동 모터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피니언(33)은, 상기 하우징(10)의 노출홈(13)을 통해 노출되는 래크형 나선부(23)에 치차 결합되고 구동로드(32)의 회전에 따라 양방향으로 회전되어 경광등(20)을 상·하로 왕복동 시킨다.
또한 상기 액튜에이터(30)의 본체(31)에는 고정브래킷(34)이 형성되어 있어 백셀프 패널(1)의 하부면에 예컨대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물론 이같은 고정시에는 상기 경광등(20)의 최대 행정을 고려하여 적정위치에 설치해야 한다.
물론 상기 액튜에이터(30)의 본체(31)에는 와이어에 의해 조작스위치(35)가 연결되어 있는바, 상기 조작스위치(35)는 정(+)방향 버튼(35a) 및 부(-)방향 버튼(35b)를 구비한다. 이에따라 정방향 버튼(35a)를 누르면 전구(26)에 전원이 공급되어 점등됨과 동시에 경광등(20)이 백셀프 패널상으로 돌출되며, 부(-)방향 버튼(35b)를 누르면 전원이 차단됨과 동시에 경광등(20)이 하우징(10)내로 복귀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도면에는 단지 하나의 경광등 조립체에 대해서만 설명되고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적색 및 녹색 경광 등을 포함하는 2개의 경광등 조립체가 백셀프 패널(1')의 각각의 개구부(0)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백셀프 트림패널의 경광등 조립체의 작동에 의하면, 먼저 운전자 또는 업무수행자가 비상 사태 또는 구난 및 구급 상태를 당한 경우 또는 공무수행과 같이 특수 업무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 운전자가 액튜에이터(30)에 연결된 조작스위치(35)의 정(+)방향 버튼(35a)을 누르면 회전로드(32)가 회전됨에 따라 피니언(33)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경광등(20)의 본체(21)에 형성된 나선부(23)에 의해 경광등(20)의 발광부(22)가 백셀프 패널(1')의 표면상으로 돌출된다.
물론 이때는 와이어(25)에 의해 전구(26)에 전원이 공급되어 전구(26)가 점등되어있는 상태이다. 이후, 발광부(22)가 완전히 노출되면 액튜에이터(30)가 자동으로 정지되어 경광등이 연속적으로 경광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경광 등을 원 위치로 복귀시키려면, 조작스위치(35)의 부(-)방향 버튼(35b)을 누르면 전구(26)에 전원이 차단되어 소등됨과 동시에 액튜에이터(30)의 회전로드(32)가 역회전되어 피니언(33)이 역회전되며 이에따라 나선부(23)에 의해 경광등(20)이 하우징(10)내로 복귀되어, 원 위치로 완전히 복귀되면 액튜에이터(30)가 자동으로 정지된다.
이같은 경광등(20)의 왕복동 작용은, 본체(21)에 형성된 가이드(24)가 하우징(10)의 가이드홈(14)을 따라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부드럽고 유연하게 행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자동차의 백셀프 패널에 본 발명에 따른 경광등 조립체를 설치하면, 경광등을 별도로 휴대하지 않고도 필요시 경과등을 자동으로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비상시 또는 구난시와 같이 다양한 상황에 따라 별도의 경광등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1)

  1. 백셀프 후방패널(1')의 하부면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면에 형성된 개구부(O)와 연통하는 개구부(11)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노출홈(13)이 타측에는 상기 노출홈(13)에 대향하는 가이드홈(14)이 형성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 내에 왕복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상기 하우징(10)의 노출홈(13)에 노출되는 나선부(23) 타측에는 상기 가이드홈(14)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24)가 형성된 본체(21), 및 전구(26)를 포함하며 백셀프 후방패널의 개구부(O)를 통해 돌출 가능한 발광부(22)가 형성된 경광등(20); 조작스위치(35)에 의해 작동되며 고정브래킷(34)에 의해 백셀프 패널의 하부에 고정되는 본체(31), 상기 본체(31)에 대해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로드(32), 및 상기 회전로드(32)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의 노출홈(13)을 통해 상기 경광등(20)의 나선부(23)와 치차 결합되는 피니언(33)으로 형성된 액튜에이터(3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셀프 패널 내장형 경광등 조립체.
KR1019960054730A 1996-11-16 1996-11-16 백셀프 패널 내장형 경광등 조립체 KR0173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4730A KR0173670B1 (ko) 1996-11-16 1996-11-16 백셀프 패널 내장형 경광등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4730A KR0173670B1 (ko) 1996-11-16 1996-11-16 백셀프 패널 내장형 경광등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210A KR19980036210A (ko) 1998-08-05
KR0173670B1 true KR0173670B1 (ko) 1999-02-18

Family

ID=19482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4730A KR0173670B1 (ko) 1996-11-16 1996-11-16 백셀프 패널 내장형 경광등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367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210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9214A (en) Vehicle directional signal switch with lane changing position interconnecting to flashing lamps on left and right side rear view mirrors and flashing brake lamps in reverse
US20050168347A1 (en) U-turn indicator
US2675545A (en) Flashing safety lamp
KR0173670B1 (ko) 백셀프 패널 내장형 경광등 조립체
US3430229A (en) Unitary signal device having front and side signal areas
KR200337164Y1 (ko) 신호 장치
US2780802A (en) Portable self contained signal and warning light
JPH0513643Y2 (ko)
JP2001171428A (ja) 車両用照明装置
CN213146418U (zh) 一种柱头灯
KR200191649Y1 (ko) 긴급 구조차량의 2중색 경광등
KR200151996Y1 (ko) 자동차용 룸램프일체형 실내후사경구조
JP3132599U (ja) 自動車のドアノブに設ける発光装置
KR200168343Y1 (ko) 차량의 유턴 표시장치
KR0135546Y1 (ko) 자동차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KR200254273Y1 (ko) 택시의 운행상태 알림등
KR19990034879A (ko) 차량 문 열림 경고 장치
KR200216006Y1 (ko) 비상신호 알림 및 후방시야 확보용 램프
CN112537372A (zh) 汽车发光警示提醒a柱
KR0127501Y1 (ko) 자동차 도어 후방 경고등
KR200170798Y1 (ko) 브레이크 등을 겸한 차폭등
KR19990019625U (ko) 자동차용 비상 삼각대
KR19980031314U (ko) 자동차의 실내 도어손잡이 발광 장치
KR19990029247U (ko) 자동차의 룸램프
KR19990027127U (ko) 자동차의 실내조명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