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1996Y1 - 자동차용 룸램프일체형 실내후사경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룸램프일체형 실내후사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1996Y1
KR200151996Y1 KR2019970011773U KR19970011773U KR200151996Y1 KR 200151996 Y1 KR200151996 Y1 KR 200151996Y1 KR 2019970011773 U KR2019970011773 U KR 2019970011773U KR 19970011773 U KR19970011773 U KR 19970011773U KR 200151996 Y1 KR200151996 Y1 KR 2001519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view mirror
integrated
room lamp
roof panel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17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7233U (ko
Inventor
김두생
Original Assignee
이관기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기,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관기
Priority to KR20199700117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1996Y1/ko
Publication of KR199800672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2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19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19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자동차용 룸램프일체형 실내후사경구조에 관한 것이다.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실내후사경의 베이스에 룸램프어셈블리를 장착하여 공간활용도를 증대한다.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자동차의 운행시 후방의 시야를 확보하기위해서 루프패널의 전방에 설치되는 실내후사경과 야간 운행시 자동차실내에 필요한 조명을 공급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룸램프를 구성함에 있어서 : 상기 실내후사경(10)과 룸램프(20)의 루프패널(1)로의 고정장착용 베이스(11)를 일체화하고, 상기 일체화된 베이스(11) 상에 실내후사경스테이(13), 룸램프(20)의 벌브(22)와 벌브고정용브라켓(23)을 구비하고, 그 끝단에는 개략형상의 단턱(25)을 형성함으로서 실내후사경(10)이 루프패널(1)로부터 쉽게 이탈할 수 있도록 상호 요철부(26, 27)에 의해서 억지끼움된 2중 구조로 결합한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인 자동차용 룸램프일체형 실내후사경구조는 좁은 조립공간의 공간 활용을 증대시킴은 물론, 장착베이스의 일체화에 다른 부품수의 절감으로 작업공정수와 부품원가의 절감을 초래하여 생산성향상에 기여하는 효과를 지닌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룸램프일체형 실내후사경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용 룸램프일체형 실내후사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후사경이 고정되는 부위인 베이스에 룸램프를 함께 가지도록 구성하여 작업성의 증대와 원가절감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자동차의 주행시 후방과 측방이 시야를 확보하기위해서 여러 가지의 보조장치들이 사용되어진다.
그중, 자동차의 측방과 후방의 시야를 동시에 확보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 사이드미러이고 자동차의 정후방의 시야를 확보하는 것이 실내후사경이다.
상기 실내후사경은 제1도에서와 같이, 자동차의 루프패널(1) 상에 실내후사경(10)베이스(11)가 볼트(12)에 의해서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11)의 중앙부위에 구비된 스테이(13)에 의해서 운전자의 시야가 위치한 곳까지 연결고정되며 운전자의 체형에 마제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내후사경(10)을 통하여 운전자는 자신의 자동차주위와 주행시 도로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의 상황들을 인지하게된다.
상기와 같이 주행중 운전자에게 주행정보를 제공하는 보조장치중 또하나는 야간주행시 자동차의 실내에 필요한 조명을 공급하는 룸램프이다.
상기 룸램프(20)는 실내후사경(10)이 위치하는 상방의 루프패널(1)상에 고정 되어있다.
상기와 같이 좁은 폭의 루프패널(1)에 실내후사경(10)과 룸램프(20)를 동시에 고정을 하도록 구성됨으로서 작업시 조립이 난이하고, 운전자가 룸램프(20)를 작동시 실내후사경(10)의 스테이(13)에 간섭을 받거나 실내후사경(10)본체를 건드리게되어 후방시야를 흐리는 불편함이 상존하고 또한, 상기 실내후사경(10)과 룸램프(20)를 루프패널(1)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착베이스(11, 21)가 필요로 하여 자재의 낭비를 초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여러 가지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실내후사경의 베이스의 룸램프어셈블리를 장착하여 공간활용도와 작업성을 증대하고 자재의 낭비를 막기위함이다.
제1도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실내후사경과 룸램프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룸램프일체형 실내후사경의 일부파절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A-A 선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B-B 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루프패널 2 : 룸램프일체형 실내후사경
11 : 베이스 22 : 벌브
23 : 벌브고정용브라켓 25 : 단턱
26, 27 : 요철부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룸램프일체형 실내후사경의 일부파절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B-B선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을 한다.
자동차의 운행시 후방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서 루프패널의 전방에 설치되는 실내후사경과 야간 운행시 자동차실내에 필요한 조명을 공급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룸램프를 구성함에 있어서 :
상기 실내후사경(10)과 룸램프(20)를 루프패널(1)에 고정하기 위한 장착용 베이스(11)를 일체화하고, 상기 일체화된 베리스(11)상에 실내후사경스테이(13), 룸램프(20)의 벌브(22)와 벌브고정용브라켓(23)등을 설치하고, 벌브빛의 확산을 위한 룸램프렌즈(24)는 실내후사경스테이(13)와 결합되도록한다.
상기 실내후사경스테이(13)에 고정되는 룸램프렌즈(24)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를 사용하고, 룸램프렌즈(24)의 끝단에는 개략형상의 단턱(25)을 형성하여 결합후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실내후사경의 스테이(13)는 자동차의 충돌 혹은 추돌사고시 운전자의 신체와 접촉시 2차부상을 방지하기위해서 실내후사경(10)이 루프패널(1)로부터 쉽게 이탈할 수 있도록 상호 요철부(26, 27)에 의해서 억지끼움된 2중구조로 결합된다.
상기 룸램프일체형 실내후사경(2)에서 빛을 발하는 벌브(22)는 스테이(13)중 심부에 장입된 벌브고정브라켓(23)에 의해서 고정되고 이로인해서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게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자동차용 룸램프일체형 실내후사경구조는 좁은 조립공간의 공간활용을 증대시킴은 물론, 장착베이스의 일체화에 따른 부품수의 절감으로 작업공정수와 부품원가의 절감을 초래하여 생산성향상 기여하는 효과를 지닌다.

Claims (1)

  1. 자동차의 운행시 후방의 시야를 확보하기위해서 루프패널의 전방에 설치되는 실내후사경과 야간 운행시 자동차실내에 필요한 조명을 공급하기위해서 사용되는 룸램프를 구성함에 있어서 : 상기 실내후사경(10)과 룸램프(20)의 루프패널(1)로의 고정장착용 베이스(11)를 일체화하고, 상기 일체화된 베이스(11) 상에 실내후사경스테이(13), 룸램프(20)의 벌브(22)와 벌브고정용브라켓(23)을 구비하고, 그 끝단에는 개략형상의 단턱(25)을 형성함으로서 실내후사경(10)이 루프패널(1)로부터 쉽게 이탈할 수 있도록 상호 요철부(26, 27)에 의해서 억지끼움된 2중구조로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룸램프일체형 실내후사경구조.
KR2019970011773U 1997-05-20 1997-05-20 자동차용 룸램프일체형 실내후사경구조 KR2001519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773U KR200151996Y1 (ko) 1997-05-20 1997-05-20 자동차용 룸램프일체형 실내후사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773U KR200151996Y1 (ko) 1997-05-20 1997-05-20 자동차용 룸램프일체형 실내후사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233U KR19980067233U (ko) 1998-12-05
KR200151996Y1 true KR200151996Y1 (ko) 1999-07-15

Family

ID=19501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1773U KR200151996Y1 (ko) 1997-05-20 1997-05-20 자동차용 룸램프일체형 실내후사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199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233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7311B2 (en) Light with a ring structure for a vehicle lamp
JP2004196298A (ja) 外部リヤビューミラー装置
KR200151996Y1 (ko) 자동차용 룸램프일체형 실내후사경구조
JPH1059077A (ja) 車両のサイドミラー装置
JP3436359B2 (ja) 車両用サイドバイザー
JP2005053460A (ja) 点滅方向指示灯付き自動車及び自動車用点滅方向指示灯装置
WO2005118338A1 (en) The flank indicator lamp and a rear guard lamp
KR200249373Y1 (ko) 라이트가 구비된 후방미러조립체
KR0112746Y1 (ko) 자동차의 정비등겸용 차폭등
KR100345869B1 (ko) 차량 후방측의 제동램프브라켓트
KR100267672B1 (ko) 자동차용 스톱 램프
KR19980046688U (ko) 자동차 번호판등과 보조제동등의 일체화 설치구조
KR20000060765A (ko) 자동차 룸 램프의 터미널 구조
KR100316333B1 (ko) 차량 후방측의 제동램프브라켓트
KR200262474Y1 (ko) 램프가 부설된 후사경
KR0173670B1 (ko) 백셀프 패널 내장형 경광등 조립체
KR0143664B1 (ko) 자동차의 차고등이 부착된 룸미러 장치
KR19990019625U (ko) 자동차용 비상 삼각대
KR0139412Y1 (ko) 자동차용 전조등
KR100365229B1 (ko) 자동차의 보조 제동등
KR19980054146U (ko) 자동차의 리어램프 결합구조
EP1213179A2 (en) System of signaling and/or illumination
KR19980031196U (ko) 실내등이 구비된 자동차용 룸미러
KR20010074301A (ko) 자동차간 의사전달 신호기
KR19980022481U (ko) 자동차의 라이트가 장착된 아웃사이드 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