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1196U - 실내등이 구비된 자동차용 룸미러 - Google Patents

실내등이 구비된 자동차용 룸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1196U
KR19980031196U KR2019960044343U KR19960044343U KR19980031196U KR 19980031196 U KR19980031196 U KR 19980031196U KR 2019960044343 U KR2019960044343 U KR 2019960044343U KR 19960044343 U KR19960044343 U KR 19960044343U KR 19980031196 U KR19980031196 U KR 199800311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room mirror
lamp
seat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43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근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443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1196U/ko
Publication of KR199800311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196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1/1207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lamps; with tur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60Q1/266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on rear-view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등이 구비된 자동차용 룸미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룸미러 커버(10)의 하부에 하부에 룸램프(20)를 설치하고 룸램프(20) 양쪽으로는 운적석 및 조수석에서 지도 등을 보는데 사용될 수 있는 측방램프(30)를 각각 설치하여 운전자에게 후방 시야를 제공하는 룸미러에 앞좌석용 실내등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룸미러와 실내등을 단일 물품으로 제작하고 단일 공정에 의해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제작원가를 낮출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제한된 자동차의 실내 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실내등이 구비된 자동차용 룸미러
본 고안은 실내등이 구비된 자동차용 룸미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룸미러의 하부에 룸램프를 설치하고 룸램프 양쪽으로는 운적석 및 조수석에서 지도 등을 보는데 사용될 수 있는 측방램프를 각각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룸미러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볼조인트방식으로 설치되어 운전자가 뒷좌석의 상태 또는 자동차의 직후방에 장애물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되어지며, 앞좌석의 실내등은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헤드 라이닝(HADE LINING)에 설치되어 앞좌석의 조명에 사용되어진다.
종래에는 자동차에 반드시 필요한 룸미러와 앞좌석용 실내등을 별도로 제작하여 설치하고 있다. 즉 룸미러와 앞좌석용 실내등을 각각 제작한 후 별도의 설치 공정이 거쳐야 했기 때문에 제작원가가 상승하게 되고, 특히 제한된 실내 공간을 갖는 자동차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어도 되는 룸미러와 앞좌석용 실내등이 별도의 설치 공간을 갖게 됨으로써 자동차의 실내 공간을 제한하는 요인이 되고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운전자에게 후방 시야를 제공하는 룸미러에 앞좌석용 실내등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룸미러와 실내등을 단일 물품으로 제작하고 단일 공정에 의해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제작원가를 낮출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제한된 자동차의 실내 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룸미러의 하부에 하부에 룸램프를 설치하고 룸램프 양쪽으로는 운적석 및 조수석에서 지도 등을 보는데 사용될 수 있는 측방램프를 각각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되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룸미러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룸미러를 보인 설치상태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 룸미러 커버 11 : 미러
20 : 룸램프 30 : 측방램프
40 : 스위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볼조인트 방식으로 설치되는 룸미러에 있어서, 룸미러 커버(10)의 하부 중앙에 앞좌석에 조명을 제공하는 룸램프(20)를 설치하고, 이 룸램프(20)의 양측으로는 측방램프(30)를 각각 제공하며, 측방램프(30)의 외측에 스위치(40)를 설치하여서 된 것 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의 룸미러 커버(10)는 볼조인트 방식으로 설치되어 상하좌우로 방향을 조절됨으로써 운전자가 미러(11)부분을 통해 비춰지는 뒷좌석 또는 자동차 직후방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운행중 운전자나 조수석의 탑승자가 룸미러 커버(10)의 양측에 설치된 스위치(40)를 누르게 되면 룸램프(20)와 측방램프(30)에 전원이 인가되어 앞좌석에 조명을 제공하게 된다.
스위치(40)는 룸미러 커버(10)의 하부 양측에 제공되어 운전자와 조수석의 탑승자가 불편을 느끼지 않고 스위치(40)를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룸미러 커버(10)의 하부에 구비된 룸램프(20)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바닥에 떨어진 물건을 찾거나 콘솔박스를 사용할 때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측방램프(30)는 운전자나 조수석의 탑승자가 지도를 보도 행선지를 확인하거나 메모 등을 볼때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스위치(40)를 룸램프(20)와 측방램프(30)용으로 각각 설치하여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룸미러 커버(10)에 룸램프(20)와 측방램프(30)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자동차에서 처럼 헤드라이닝 부분에 장착부를 형성하여 실내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즉 룸미러 커버(10)의 하부에 구비된 룸램프(20)와 측방램프(30)가 앞좌석의 실내등 역활을 담당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룸미러 커버(10)의 하부에 하부에 룸램프(20)를 설치하고 룸램프(20) 양쪽으로는 운적석 및 조수석에서 지도 등을 보는데 사용될 수 있는 측방램프(30)를 각각 설치하여 운전자에게 후방 시야를 제공하는 룸미러에 앞좌석용 실내등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룸미러와 실내등을 단일 물품으로 제작하고 단일 공정에 의해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제작원가를 낮출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제한된 자동차의 실내 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Claims (1)

  1.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되는 룸미러에 있어서, 룸미러 커버(10)의 하부 중앙에 앞좌석의 조명을 제공하는 룸램프(20)를 설치하고, 이 룸램프(20)의 양측으로는 측방램프(30)를 각각 제공하며, 측방램프(30)의 외측에 스위치(40)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등이 구비된 자동차용 룸미러.
KR2019960044343U 1996-11-30 1996-11-30 실내등이 구비된 자동차용 룸미러 KR1998003119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343U KR19980031196U (ko) 1996-11-30 1996-11-30 실내등이 구비된 자동차용 룸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343U KR19980031196U (ko) 1996-11-30 1996-11-30 실내등이 구비된 자동차용 룸미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196U true KR19980031196U (ko) 1998-08-17

Family

ID=53986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4343U KR19980031196U (ko) 1996-11-30 1996-11-30 실내등이 구비된 자동차용 룸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119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0153A (en) Vehicle lighting apparatus
CA2302057A1 (en) Hvac duct/advertising card holder
EP0165817A3 (en) Light assembly
US20080122241A1 (en) Ambient lighting for vehicle interior floor console
US7163321B2 (en) Emergency vehicle grille
US6238068B1 (en) Truck bed lighting system
JP4470176B2 (ja) 車両用室内灯
KR19980031196U (ko) 실내등이 구비된 자동차용 룸미러
JP3122777U (ja) 自動車のデイライトの電気回路スイッチ制御システム
KR19990034622A (ko) 자동차의 조사방향 조절식 실내등
KR19990028111A (ko) 조명등이 설치된 자동차용 룸미러
JPS6346269Y2 (ko)
KR200151996Y1 (ko) 자동차용 룸램프일체형 실내후사경구조
JPH0446944U (ko)
KR200151504Y1 (ko) 무드 효과를 갖는 버스용 실내등
KR0123279Y1 (ko) 자동차 실내등의 설치 구조
KR19980083013A (ko) 자동차용 룸램프
JPH0330193Y2 (ko)
KR0185892B1 (ko) 자동차용 실내등
KR0143664B1 (ko) 자동차의 차고등이 부착된 룸미러 장치
KR970005210Y1 (ko) 자동차용 룸램프차광판의 취부구조
JPH1035359A (ja) 自動車のサイドミラー、サイドドアのドアノブ
KR0158256B1 (ko) 자동차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JPH0225702Y2 (ko)
KR19980052193U (ko) 자동차용 멀티 룸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