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412Y1 - 자동차용 전조등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전조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412Y1
KR0139412Y1 KR2019960050271U KR19960050271U KR0139412Y1 KR 0139412 Y1 KR0139412 Y1 KR 0139412Y1 KR 2019960050271 U KR2019960050271 U KR 2019960050271U KR 19960050271 U KR19960050271 U KR 19960050271U KR 0139412 Y1 KR0139412 Y1 KR 01394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fixed
lens
light bulb
weather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02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7253U (ko
Inventor
김재근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502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412Y1/ko
Publication of KR199800372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72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4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4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편하고 신속하게 웨더스트립을 렌즈와 케이스의 결합부위에 고정할 수 있으며 동시에 외부의 이 물질이나 빗물 등이 케이스의 내측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전조등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렌즈(50)가 고정되고, 타측에 조향핸들의 일측에 설치된 전조등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작동편(52)을 갖는 유압실린더(54)가 장착되며, 렌즈(50)와 결합되는 부분에 원형확대돌기(58)가 등간격으로 돌출구성된 케이스(56)와, 상기 케이스(56)의 원형확대돌기(58)에 삽입고정되는 체결공(60)이 등간격으로 배열되고, 하단에 케이스(56)에 밀착고정되는 접착테이프(64)가 부착되어 외부의 이 물질이나 빗물 등이 케이스(56)의 내측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긴 띠 형상을 갖는 웨더스트립(62)과, 상기 케이스(56)의 내측에 자동차의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점등되는 전구(66)와, 상기 전구(66)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에 유압실린더(54)의 작동편(52)이 고정되어 전구(66)의 빛을 전방으로 반사하는 반사판(6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전조등
본 고안은 자동차용 전조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편하고 신속하게 웨더스트립을 렌즈와 케이스의 결합부위에 고정할 수 있으며 동시에 외부의 이 물질이나 빗물 등이 케이스의 내측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전조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등화장치는 도로상의 다른 자동차나 또는 도로 이용자에게 자동차의 상태를 알리는 신호기능과, 대상물을 정확히 볼 수 있는 조명기능으로 나누어진다. 신호기능에는 방향지시등과 차폭등과, 브레이크등이 있으며, 조명기능에는 전조등과 안개등이 있다. 전조등은 주로 차량 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하향 및 상향의 이단으로 조절토록 구성되어 있다. 즉, 평상시에는 맞은편에서 주행중인 차량의 운전자 시계를 방해하지 않도록 근거리를 조사하는 하향을 유지하고, 필요에 따라 상향으로 하여 비교적 원거리를 조사토록 구성되어 있다. 물론 전조등은 낮시간에 주행할 때에도 위급차량등과 같이 비상시 등에 점등하여 위급상황임을 알리는 수단으로도 사용되고 있지만 대부분은 전자의 경우와 같이 야간주행시의 시계확보가 주된 사용 목적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조등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조등의 구성을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설명하면, 일측에 렌즈(10)가 고정되고, 타측에는 조향핸들(미도시)의 일측에 설치된 전조등스위치(미도시)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작동편(12)을 갖는 유압실린더(14)가 장착된 케이스(16)가 구비된다. 렌즈(10)와 케이스(16)의 결합부위에는 외부의 이 물질이나 빗물 등이 케이스(16)의 내측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웨더스트립(18)이 고정된다. 웨더스트립(18)이 렌즈(10)와 케이스(16)에 고정됨에 있어서는 접착재(20)를 이용한다. 케이스(16)의 내측에 자동차의 전원과 연결된 전구(22)가 구비되고, 이 전구(22)의 외주면에 전구(22)의 빛을 전방으로 반사하는 반사판(24)이 고정된다. 이 반사판(24)의 일측에는 유압실린더(14)의 작동편(12)이 고정된다. 유압실린더(14)의 작동편(12)이 반사판(24)에 고정됨에 있어서는 용접 및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용 전조등이 작동되는 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조향핸들(미도시)의 일측에 설치된 전조등스위치(미도시)를 작동시키면 자동차의 전원이 전구(22)로 공급된다. 자동차의 전원이 전구(22)로 공급됨에 따라 전구(22)의 빛이 반사판(24)을 통하여 전방으로 조사된다. 이때 운전자가 전조등스위치(미도시)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면 유압실린더(14)의 작동편(12)이 선택적으로 이동된다. 즉, 전조등스위치(미도시)를 상부로 이동시키면 유압실린더(14)의 작동편(12)이 일측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전조등(30)은 상향으로 조절된다. 또한, 운전자가 전조등스위치(미도시)를 하부 이동시키면 유압실린더(14)의 작동편(12)이 타측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전조등(30)은 하향으로 조절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용 전조등을 사용할 경우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먼저,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조등을 이용하여 야간에 용이하게 노면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지만, 전조등의 내측으로 외부의 이 물질이나 빗물 등이 침투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일정기간이 경과되면 웨더스트립을 렌즈와 케이스에 고정하는 접착재의 접착력이 저하되고, 이에 따라 웨더스트립이 렌즈와 케이스에서 이탈되었다.
또한, 웨더스트립을 렌즈와 케이스의 결합부위에 고정시 접착재를 렌즈와 케이스이 결합부위에 도포한 상태에서 웨더스트립을 가압밀착하여 고정하였지만, 이러한 경우 접착재에 의하여 렌즈가 오염되어 전조등의 밝기가 떨어짐은 물론 작업자가 작업하기가 불편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간편하고 신속하게 웨더스트립을 렌즈와 케이스의 결합부위에 고정할 수 있으며 동시에 외부의 이 물질이나 빗물 등이 케이스의 내측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전조등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조등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조등의 구성을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조등의 구성을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웨더스트립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렌즈52 : 작동편
54 : 유압실린더56 : 케이스
58 : 원형확대돌기60 : 체결공
62 : 웨더스트립64 : 접착테이프
66 : 전구68 : 반사판
70 : 전조등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일측에 렌즈가 고정되고, 타측에 조향핸들의 일측에 설치된 전조등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작동편을 갖는 유압실린더가 장착되며, 렌즈와 결합되는 부분에 원형확대돌기가 등간격으로 돌출구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원형확대돌기에 삽입고정되는 체결공이 등간격으로 배열되고, 하단에 케이스에 밀착고정되는 접착테이프가 부착되어 외부의 이 물질이나 빗물 등이 케이스의 내측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긴 띠 형상을 갖는 웨더스트립과,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자동차의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점등되는 전구와, 상기 전구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에 유압실린더의 작동편이 고정되어 전구의 빛을 전방으로 반사하는 반사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조등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전조등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조등의 구성을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웨더스트립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설명하면, 일측에 렌즈(50)가 고정되고, 타측에는 조향핸들(미도시)의 일측에 설치된 전조등스위치(미도시)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작동편(52)을 갖는 유압실린더(54)가 장착된 케이스(56)가 구비된다. 이 케이스(56)의 외주면에는 원형확대돌기(58)가 등간격으로 돌출구성된다. 케이스(56)의 원형확대돌기(58)에 삽입고정되는 체결공(60)이 등간격으로 배열된 웨더스트립(62)이 구비된다. 이 웨더스트립(62)의 하단에는 접착테이프(64)가 부착되고, 이 웨더스트립(64)은 긴 띠 형상을 갖는다. 케이스(56)의 내측에 자동차의 전원과 연결된 전구(66)가 구비되고, 이 전구(66)의 외주면에 전구(66)의 빛을 전방으로 반사하는 반사판(68)이 고정된다. 이 반사판(68)의 일측에는 유압실린더(54)의 작동편(52)이 고정된다. 유압실린더(54)의 작동편(52)이 반사판(68)에 고정됨에 있어서는 용접 및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웨더스트립이 케이스에 고정되는 상태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웨더스트립(62)의 체결공(60)을 케이스(56)에 돌출구성된 원형확대돌기(58)의 상단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웨더스트립(62)의 상단을 가압하면 웨더스트립(62)이 케이스(56)에 고정된다. 즉, 웨더스트립(62)의 상단을 가압함에 따라 케이스(56)의 원형확대돌기(58)가 웨더스트립(62)의 체결공(60)에 삽입고정된다. 이때 웨더스트립(62)의 하단에 부착된 접착테이프(64)가 케이스(56)에 밀착고정된다. 원형확대돌기(58)가 체결공(60)에 삽입고정되고, 하단에 부착된 접착테이프(64)가 케이스(56)에 밀착고정되어 있음으로 외부의 충격이나 자동차의 진동에 의하여 웨더스트립(62)이 케이스(56)에서 이탈되지 않음은 물론 외부의 이 물질이나 빗물 등이 케이스(56)의 내측으로 침투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전조등은 케이스의 원형확대돌기에 삽입고정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하단에 접착테이프가 부착된 웨더스트립을 구비하여 간편하고 신속하게 웨더스트립을 렌즈와 케이스의 결합부위에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케이스의 내측으로 외부의 이 물질이나 빗물 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일측에 렌즈(50)가 고정되고, 타측에 조향핸들의 일측에 설치된 전조등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작동편(52)을 갖는 유압실린더(54)가 장착되며, 렌즈(50)와 결합되는 부분에 원형확대돌기(58)가 등간격으로 돌출구성된 케이스(56)와,
    상기 케이스(56)의 원형확대돌기(58)에 삽입고정되는 체결공(60)이 등간격으로 배열되고, 하단에 케이스(56)에 밀착고정되는 접착테이프(64)가 부착되어 외부의 이 물질이나 빗물 등이 케이스(56)의 내측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긴 띠 형상을 갖는 웨더스트립(62)과,
    상기 케이스(56)의 내측에 자동차의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점등되는 전구(66)와,
    상기 전구(66)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에 유압실린더(54)의 작동편(52)이 고정되어 전구(66)의 빛을 전방으로 반사하는 반사판(6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조등.
KR2019960050271U 1996-12-17 1996-12-17 자동차용 전조등 KR01394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0271U KR0139412Y1 (ko) 1996-12-17 1996-12-17 자동차용 전조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0271U KR0139412Y1 (ko) 1996-12-17 1996-12-17 자동차용 전조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253U KR19980037253U (ko) 1998-09-15
KR0139412Y1 true KR0139412Y1 (ko) 1999-04-01

Family

ID=19479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0271U KR0139412Y1 (ko) 1996-12-17 1996-12-17 자동차용 전조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41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253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2390671A1 (fr) Phare de croisement et d'eclairage de route pour vehicule automobile
US20020130773A1 (en) Method and apparatus used for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a front windshield mounted vehicle brake light
KR0139412Y1 (ko) 자동차용 전조등
CN216113833U (zh) 车灯和全地形车
KR200151166Y1 (ko) 자동차용 전조등 시일고정구조
US3287550A (en) Vehicle light
KR910001187Y1 (ko) 자동차용 전조라이트
KR20150069369A (ko) 차량의 주간 주행등 어셈블리
KR0149628B1 (ko) 자동차의 범퍼 장착형 램프
KR100306120B1 (ko) 전조등 불빛 차단장치
KR0131908Y1 (ko) 차량의 룸램프 장착구조
KR0112746Y1 (ko) 자동차의 정비등겸용 차폭등
KR19980013960U (ko) 자동차용 전조등 이상여부 확인장치
KR19980045207U (ko) 리어 컴비네이션램프의 고정장치
KR910006270Y1 (ko) 자동차의 중간전조등장치
KR950005372Y1 (ko) 차량 전조등의 보조등 장치
KR20050005080A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KR0125228Y1 (ko) 착탈이 가능한 차량용 룸 램프
KR200151996Y1 (ko) 자동차용 룸램프일체형 실내후사경구조
KR200152750Y1 (ko) 차량용 램프 시일구조
KR200253651Y1 (ko) 자동차 후방 전조등
KR0119234Y1 (ko) 자동차의 전조등 장치
KR19980043152U (ko) 헤드램프 보조장치
KR19980063090U (ko) 자동차 프런트콤비네이션램프
KR19980052057A (ko) 자동차 전조등의 하이빔 및 로우빔 절환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