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5207U - 리어 컴비네이션램프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리어 컴비네이션램프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5207U
KR19980045207U KR2019960058347U KR19960058347U KR19980045207U KR 19980045207 U KR19980045207 U KR 19980045207U KR 2019960058347 U KR2019960058347 U KR 2019960058347U KR 19960058347 U KR19960058347 U KR 19960058347U KR 19980045207 U KR19980045207 U KR 199800452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rear combination
garnish
combination lamp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83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재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583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5207U/ko
Publication of KR199800452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5207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9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built in the vehicle body
    • B60Q1/265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built in the vehicle body with arrangement for sealing the device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or for concealing gaps between the device and the vehicl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5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aesthetic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corative trim, partition walls or covers
    • F21S43/51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20Direction indicator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리어 컴비네이션램프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리어 컴비네이션램프는 램프렌즈와 개스킷과 벌브 및 벌브홀더가 차체에 보울트에 위해서 결합되었고, 가니쉬 또한 보울트에 의해서 차체에 고정되어 리어 컴비네이션램프의 결합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리어 컴비네이션램프와 가니쉬 사이의 단차가 발생하여 외관미가 저하되었으며 작업자의 조립공수가 많이 소모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예시도면 도 3에서와 같이 램프렌즈(10)가 부착 고정되는 램프하우징(12)과 리어범퍼와 리어 컴비네이션램프 사이에 결합되는 가니쉬(14)가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리어 컴비네이션램프의 램프하우징과 가니쉬를 일체형으로 성형시켜 결합시킨 것으로, 종래 램프하우징과 가니쉬 사이의 단차가 극복되어 기밀성과 수밀성이 극대화되며 작업공수가 단축되어 종국적으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리어 컴비네이션램프의 고정장치
본 고안은 리어 컴비네이션램프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어 컴비네이션램프의 결합에 있어서 리어 컴비네이션램프와 가니쉬와의 단차를 극복하고 외관미를 향상시키며 기밀성을 향상시킨 리어 컴비네이션램프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여러 가지 등화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바,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야간에 운전을 할 경우에는 운전자의 가시거리 확보 및 안전 주행을 하기 위한 헤드램프와, 야간 주행중 앞뒤에서 보았을 때 자동차의 존재를 상대편의 차량에게 알려주는 차폭등, 그 외에 브레이크를 밝았을 때 점등하는 브레이크등, 어우둔 야간에 사용되는 실내등, 안개등과 같은 각종 등화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예시도면 1은 자동차의 후미부를 도시한 사시도로, 리어 컴비네이션램프(1)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한 리어 컴비네이션램프(1)는 여러가지의 기능을 겸지한 램프의 조합체로써, 한가지 램프에 브레이크등, 차폭등, 방향전환등, 후진등 등 여러가지 등화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이러한 리어 컴비네이션램프(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브홀더(2)와 벌브(bulb, 3)과 기밀과 수밀작용을 하는 개스킷(4) 및 벌브(3)가 발산하는 빛을 차량의 후미부로 발산하여 주는 램프렌즈(5)로 구성되어 있다.
예시도면 도 3은 리어 컴비네이션램프(1)의 결합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리어 컴비네이션램프(1)는 램프렌즈(5)와 개스킷(4)과 벌브(3) 및 벌브홀더(2)가 차체에 보울트에 위해서 결합되었고, 가니쉬(6) 또한 보울트에 의해서 차체에 고정되어 리어 컴비네이션램프(1)의 결합이 이루어졌으며, 이로써 리어 컴비네이션램프(1)의 기밀과 수밀이 확실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된 바와 같이 종래의 리어 컴비네이션램프(1)는 램프렌즈(5)와 개스킷(4)과 벌브(3) 및 벌브홀더(2)가 차체에 보울트에 위해서 결합되었고, 가니쉬(6) 또한 보울트에 의해서 차체에 고정되어 리어 컴비네이션램프(1)의 결합이 이루어졌기 대문에, 리어 컴비네이션램프(1)와 가니쉬(6) 사이의 단차가 발생하여 외관미가 저하되었으며 작업자의 조립공수가 많아 소모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지닌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리어 컴비네이션램프의 결합에 있어서 리어 컴비네이션램프와 가니쉬와의 단차를 극복하고 외관미를 향상시키며 기밀성을 향상시킨 리어 컴비네이션램프를 제공하는데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램프렌즈가 부착 고정되는 램프하우징과 리어범퍼와 리어 컴비네이션램프 사이에 결합되는 가니쉬가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리어 컴비네이션램프의 램프하우징과 가니쉬를 일체형으로 성형시켜 결합시킨 것으로, 종래 램프하우징과 가니쉬 사이의 단차가 극복되어 기밀성과 수밀성이 극대화되며 작업공수가 단축되어 종국적으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도 1은 자동차의 후미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리어 컴비네이션램프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 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리어 컴비네이션램프의 결합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램프렌즈12:램프하우징
14:가니쉬16:리어 아웃사이드패널
18:보울트20:그로밋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램프렌즈(10)가 부착 고정되는 램프하우징(12)과 리어범퍼와 리어 컴비네이션램프 사이에 결합되는 가니쉬(14)가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결합되는 리어 컴비네이션램프의 고정장치이다.
예시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리어 컴비네이션램프의 결합 단면도로서,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램프하우징(12)가 가니쉬(14)를 일체형으로 형성시켜서 램프하우징(12)가 가니쉬(14)의 단차를 극복하여 기밀성과 수밀성을 극대화 시킨 것이다.
이하, 상기 결합된 리어 컴비네이션램프의 결합방법 및 기대효과에 대하여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리어 컴비네이션램프는 종래의 리어 컴비네이션램프(1)와 가니쉬(6)가 별도로 조립되어 조립공수가 증가되었던 것에 반하여, 리어컴비네이션램프(1)의 램프하우징(12)가 가니쉬(14)가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램프하우징(12)의 상단부와 가니쉬(14)의 하단부가 리어 아웃사이드패널(16)에 보울트(18)와 그로밋(20)의 결합으로 체결되어 작업이 단순화 되는 작업자에게 편리함을 주는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리어 컴비네이션램프의 램프하우징과 가니쉬를 일체형으로 성형시켜 결합시킨 것으로, 종래 램프하우징과 가니쉬 사이의 단차가 극복되어 기밀성과 수밀성이 극대화 되며 작업공수가 단축되어 종국적으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램프렌즈(10)가 부착 고정되는 램프하우징(12)과 리어범퍼와 리어 컴비네이션램프 사이에 결합되는 가니쉬(14)가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컴비네이션램프의 고정장치.
KR2019960058347U 1996-12-27 1996-12-27 리어 컴비네이션램프의 고정장치 KR1998004520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8347U KR19980045207U (ko) 1996-12-27 1996-12-27 리어 컴비네이션램프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8347U KR19980045207U (ko) 1996-12-27 1996-12-27 리어 컴비네이션램프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207U true KR19980045207U (ko) 1998-09-25

Family

ID=53997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8347U KR19980045207U (ko) 1996-12-27 1996-12-27 리어 컴비네이션램프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520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5639A (ko) * 2011-08-04 2013-02-14 세메스 주식회사 약액공급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5639A (ko) * 2011-08-04 2013-02-14 세메스 주식회사 약액공급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0080A (en) Vehicular lamp
JP4218611B2 (ja) 車両用灯具、車両用灯具付き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H0685281B2 (ja) ランプ一体型フロントグリル
KR19980045207U (ko) 리어 컴비네이션램프의 고정장치
CN216113833U (zh) 车灯和全地形车
KR200151751Y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기밀구조
KR100410884B1 (ko) 자동차용 실드 및 베젤 일체형 헤드램프 구조
KR0112746Y1 (ko) 자동차의 정비등겸용 차폭등
JPH0115042Y2 (ko)
KR200179506Y1 (ko) 자동차 후진용 조명등
KR0168755B1 (ko) 자동차용 램프의 렌즈체결구조
KR200273626Y1 (ko) 자동차 외부후사경 장착용 보조점등구
KR0139412Y1 (ko) 자동차용 전조등
KR200337373Y1 (ko) 차량의 안개등 커넥터
KR970006465Y1 (ko) 자동차용 안개등의 커넥터 고정구조
KR200167534Y1 (ko) 자동차 백 도어 보조제동등
KR0124365Y1 (ko) 자동차 미등의 렌즈 결합 구조
KR200207415Y1 (ko) 경광등용 난반사체 고정장치
KR0143249B1 (ko) 자동차용 프론트범퍼의 포그램프
JP2555771Y2 (ja) 車両用灯具
JP2004243793A (ja) 車両用灯具
KR200152337Y1 (ko) 자동차의 헤드 램프 취부구조
KR19980048482U (ko) 자동차의 안개등 취부구조
KR20000007174U (ko) 자동차램프용 벌브소켓.
KR19980059669A (ko) 자동차용 룸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