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365Y1 - 자동차 미등의 렌즈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미등의 렌즈 결합 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365Y1
KR0124365Y1 KR2019950043599U KR19950043599U KR0124365Y1 KR 0124365 Y1 KR0124365 Y1 KR 0124365Y1 KR 2019950043599 U KR2019950043599 U KR 2019950043599U KR 19950043599 U KR19950043599 U KR 19950043599U KR 0124365 Y1 KR0124365 Y1 KR 01243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reflector
coupling
protruding en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35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2777U (ko
Inventor
김재근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435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4365Y1/ko
Publication of KR9700327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27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3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3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4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reflectors and ref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6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3/235 - F21S43/25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7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자동차 미등의 렌즈와 반사경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렌즈의 외곽에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단과, 상기 돌출단에 결합되도록 반사경의 원주 내측에 형성된 결합단으로 구성하여 렌즈와 반사경의 탄성에 의해 일회적인 밀착 동작으로 렌즈와 반사경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을 좋게 하여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미등의 렌즈 결합 구조(A jointing structure of the rear lamp lens of a car)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미등의 렌즈 결합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서 결합 부위를 절단한 단면 상세도.
제3도는 일반적인 자동차 미등의 렌즈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분해도.
제4도는 미등이 설치된 트럭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렌즈 2:돌출단
3:반사경 4:결합단
5:패킹
본 고안은 자동차 미등의 렌즈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등의 반사경과 렌즈를 결합하는 결합 구조를 개선하여 결합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자동차 미등의 렌즈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차체와 새시로 구분되는 바, 상기한 새시는 엔진, 동력 전달 장치, 조향 장치, 서스펜션 등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 구성되어 있고, 차체는 상기한 각 장치를 지지함과 아울러 외관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한 차체는 운전자와 탑승자를 위한 좌석과, 윈도우, 트렁크 및 등화 장치 등 각종 보조 설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등화 장치에는 전조등, 방향 지시등, 미등, 후진등, 실내등 등이 있으며 이중 미등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방 양측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차량의 후방 양측에 설치되는 미등(M)은 야간에 주행하거나 정지하고 있을 때 자동차가 있는 것을 후방에서 따라오는 차량에게 알리기 위한 표시등으로서, 미등(M)은 미등(M)의 역할로만 사용되는 단독식과 제동등과 겸용으로 사용되는 겸용식이 있으며 겸용식의 전구는 전구 속에 2개의 필라멘트가 있어 전조등 스위치에 의해 점등된 상태에서도 제동등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더 밝게 빛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미동(M)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구(50)와, 상기한 전구(50)의 빛이 발산되는 방향을 제한하는 반사경(51)과, 상기 반사경(51)과 결합되어 전구(50)를 보호함과 동시에 적당한 색과 굴절률을 제공하여 미등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렌즈(52)와, 상기한 렌즈(52)와 반사경(51)의 사이에 삽입되어 내부를 밀폐하여 방수시키는 패킹(53)으로 구성된다.
상기 렌즈(52)와 반사경(51)의 결합은 렌즈(52)와 반사경(51)의 접촉면에 패킹(53)을 개재하고 밀착한 상태에서 다수의 스크류(54)를 체결하여 일체가 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다수의 스크류(54)를 사용하여 렌즈(52)와 반사경(51)을 결합하는 것은 여러 번의 스크류 작업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작업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4개의 스크류로 상기와 같은 렌즈(52)와 반사경(51)을 결합한다면 4번에 걸쳐서 스크류(54)를 조여야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므로 작업성이 매우 떨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렌즈와 반사경을 결합하기 위해 여러 번의 반복적인 작업을 하지 않고 간단하고 용이하게 결합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 미등의 렌즈 결합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자동차 미등의 렌즈와 반사경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렌즈의 외곽에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단과, 상기 돌출단에 결합되도록 반사경의 원주 내측에 형성된 결합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렌즈와 반사경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렌즈와 반사경의 결합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렌즈(1)의 외곽 주연부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소정길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단(2)과, 상기 돌출단(2)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서로 맞물려 결합되도록 반사경(3)의 원주 내측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길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된 결합단(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돌출단(2)과 결합단(4)은 서로 원주면 전체로 형성되어 일정한 외압에 의해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또한 상기 돌출단(2)과 결합단(4)이 등간격으로 교번적으로 형성되어져 있어 서로 엇갈리게 위치시켜 삽입시킨 후 일정각도로 회전하여 서로 맞물려지도록 하므로써 결합되게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단(3)과 결합단(4)의 사이에는 탄성고무재로 된 원형의 패킹(5)을 매개로 수밀 결합시키므로써, 외부로부터 빗물이나 오물이 렌즈내부로 침투하지 않도록 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렌즈와 반사경의 결합구조는 작업자가 반사경(4)의 중앙부에 형성된 중앙구멍에 전구(50)를 조립한다.
이어서, 상기 렌즈의 돌출단(2)과 반사경의 결합단(4)이 원형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반사경(3)과 렌즈(2)를 패킹(5)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하게 되면, 상기 렌즈의 결합단(4)이 외부로 탄성적으로 벌여져 끼워지면서 돌출단(2)과 결합단(4)이 패킹(5)을 매개로 밀착결합되게 되므로써 외부와 수밀을 유지한 상태로 결합되게 된다.
또한, 반사경의 결합단(4)과 렌즈의 돌출단(2)이 서로 등간격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패킹(5)을 사이에 두고 상기 결합단(4)과 돌출단(2)이 서로 엇갈리도록 정렬시킨 상태에서 반사경(3)과 렌즈(2)이 서로 엇갈리도록 정렬시킨 상태에서 반사경(3)과 렌즈(2)를 밀착시켜서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결합단(4)과 돌출단(2)이 서로 맞물리면서 밀착되게 되어 외부와의 수밀상태를 유지하면서 결합되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렌즈와 반사판의 결합구조는 작업자가 별도의 스크류 고정작업없이 일정한 힘을 가하거나 회전시키므로써 간단히 결합작업을 끝낼 수 있어 작업공수를 줄여주게 될뿐만아니라 패킹을 사용하므로써 외부로부터 빗물이나 오물이 내부에 침투하지 않도록 수밀을 유지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렌즈의 돌출단과 반사경의 결합단이 일회적인 밀착 동작 및/또는 회전동작에 의해서만으로도 렌즈와 반사경이 간단히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성을 좋게 하여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 미동(M)의 렌즈와 반사경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렌즈(1)의 외곽에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단(2)과, 상기 돌출단(2)에 결합되도록 반사경(3)의 원주 내측에 형성된 결합단(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미등의 렌즈 결합 구조.
KR2019950043599U 1995-12-19 1995-12-19 자동차 미등의 렌즈 결합 구조 KR01243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3599U KR0124365Y1 (ko) 1995-12-19 1995-12-19 자동차 미등의 렌즈 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3599U KR0124365Y1 (ko) 1995-12-19 1995-12-19 자동차 미등의 렌즈 결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2777U KR970032777U (ko) 1997-07-26
KR0124365Y1 true KR0124365Y1 (ko) 1998-08-17

Family

ID=19435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3599U KR0124365Y1 (ko) 1995-12-19 1995-12-19 자동차 미등의 렌즈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436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2777U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1484697A (en) Motor vehicle headlight with reflector and lamp
KR0124365Y1 (ko) 자동차 미등의 렌즈 결합 구조
FR2702709B1 (fr) Train arriere de vehicule automobile du type a bras tires.
FR2710592B1 (fr) Projecteur pour véhicule automobile équipé de butées élastiques.
FR2431938A1 (fr) Phare pour vehicule automobile
FR2805596B1 (fr) Projecteur de vehicule automobile a masque et reflecteur
KR19980045207U (ko) 리어 컴비네이션램프의 고정장치
KR0138789Y1 (ko) 차량용 헤드램프 장착 구조물
FR2561752B1 (fr) Phare ou feu pour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reflecteur en deux parties dont l'une est solidaire de la douille d'ampoule
KR900002754Y1 (ko) 오토바이용 백미러
JPH0317363Y2 (ko)
KR0153149B1 (ko) 자동차용 안개등
KR200167534Y1 (ko) 자동차 백 도어 보조제동등
KR910007218Y1 (ko) 차량의 보조 방향지시등
KR100461149B1 (ko) 자동차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체결 구조
KR200152750Y1 (ko) 차량용 램프 시일구조
KR200337371Y1 (ko) 차량의 헤드램프용 커넥터 체결구조
KR960009004Y1 (ko) 자동차의 후미등(Tail Lamp) 장착구조
KR0120080Y1 (ko) 자동차용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의 장착구조
KR970037694A (ko) 자동차의 비상등
KR200151166Y1 (ko) 자동차용 전조등 시일고정구조
JPH0356427Y2 (ko)
KR200253654Y1 (ko) 자동차용 액세서리
KR0112746Y1 (ko) 자동차의 정비등겸용 차폭등
KR19980059669A (ko) 자동차용 룸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