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478Y1 - 승용차 실내등 - Google Patents

승용차 실내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478Y1
KR0137478Y1 KR2019960012089U KR19960012089U KR0137478Y1 KR 0137478 Y1 KR0137478 Y1 KR 0137478Y1 KR 2019960012089 U KR2019960012089 U KR 2019960012089U KR 19960012089 U KR19960012089 U KR 19960012089U KR 0137478 Y1 KR0137478 Y1 KR 01374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arabolic mirror
spherical housing
passenger ca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20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1612U (ko
Inventor
이주창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120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478Y1/ko
Publication of KR9700616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16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4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4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5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for manual control of the light, e.g. of colour, orientation or int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7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B60Q3/76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spotlighting, e.g. reading 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승용차 실내등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보조실내등이나 실내등은 빛의 조사방향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어느 일방향으로 집중적인 빛을 조사할 수 없고,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빛을 집중적으로 조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예시도면 제2도 내지 제4도에서와 같이 포물면경(16)과 전구(2)가 내장되고 렌즈(10)가 상기 포물면경(16)외주에 부착된 구형하우징(12)과 상기 구형하우징(12)이 자유로이 회동되도록 케이스(14)가 설치되는 보조실내등(32)이 장착된 승용차 실내등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임의대로 빛의 조사방향을 조절하고 집중적인 빛이 조사됨으로써 실내등의 편리성은 최대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승용차 실내등
제1도 (a)는 승용차에 장착된 종래 실내등의 일례를 보인 분해사시도.
(b)는 보조실내등이 장착된 종래 실내등의 일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실내등이 장착된 실내등을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실내등이 장착된 실내등을 나타낸 제2도의 A-A의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실내등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렌즈 12 : 구형하우징
14 : 케이스 16 : 포물면경
18 : 중심연장선 20 : 하부케이스
22 : 상부케이스 24 : 지지대
26 : 전선 28 : 관통공
30 : 걸림턱 32 : 보조실내등
본 고안은 승용차 실내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루프의 저부에서 차실내 어느 방향으로라도 집중적인 빛을 조사할수 있는 보조실내등이 장착된 승용차 실내등에 관한 것이다.
차량 전장품이자 내장품 중의 하나인 실내등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야간시 차실내를 조명하는 부품임은 이미 주지된 바와 같고, 예시도면 제1도 (a)(b)에 이러한 실내등의 예를 도시하였다.
실내등(1)은 배터리를 전원으로 스위치 조작에 따라 전구(2)가 점등되며 상기 실내등(1)이 루프에 장착되기 위하여 받침대(3)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3)에 케이스(4) 및 렌즈(5)가 부착되며 그 사이에 전구(5)가 내장된다.
예시도면 제1도(b)는 보조실내등이 장착된 실내등을 나타낸 도면으로 보조실내등은 받침대(3)양측으로 전구(6)가 장착되어 실내등 전체를 점등시키지 않더라도 좌 또는 우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며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야간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차량 전장품종의 하나인 실내등이 장착되어 있고, 또한 차실내 전체를 조명하지 않고 일방향으로 조명시키는 보조실내등이 장착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더욱 도모한 것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조실내등이나 실내등은 빛을 조사할 수 없고, 또한 사용자가 원하느 방향으로 빛을 집중적으로 조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빛을 일방향으로 집중적으로 조사하기 위하여 차량 헤드라이트와 같은 포물면경의 초점에 전구가 위치하여야 하는데 상기 보조실내등의 전구는 받침대에 고정되므로 포물면경을 상기 보조실내등에 내장하는 경우 일방향만으로 집중적 빛을 조사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그 실익이 없다.
따라서, 상기 보조실내등은 이러한 포물면경을 장착하고 있지 않으므로 집중적인 빛을 조사할 수 없어 그 광도가 낮아 독서등 등의 특별한 역할을 기대하기 어렵고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없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임의에 따라 집중적인 빛을 차실내 어느 방향으로라도 조사할 수 있는 보조실내등이 장착된 승용차 실내등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포물면경이 내장된 구형하우징의 구형곡면의 일부를 케이스가 밀착되게 하여 상기 구형하우징이 그 구심을 중심으로 사실내 어느 방향으로도 케이스에서 접동이 자유롭도록 함으로써 이에 따라 포물면경의 회동도 자유로워 빛의 집중조사 가능하고 그 방향설정이 자유로운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 집중적인 보조실내등의 빛이 차실내 어느 방향이라도 그 조사가 가능하여 실내등에 대한 사용자의 편의를 최대한으로 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예시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렌즈(10)가 장착된 구형하우징(12)이 케이스(14)에 밀착되어 그 회동이 자유로운 보조실내등(32)을 형성하되, 상기, 보조실내등(32)은 그 내부에 포물면경(16)이 내장되고 렌즈(10)가 장착된 구형하우징(12)과 상기 구형하우징(12)의 접동이 자유롭도록 그 양측의 구형곡면에 밀착되는 케이스(14)로 구성된 승용차 실내등이다.
여기서, 케이스(14)는 상기 구형하우징(12)의 중심연장선(18)을 기준으로 구형하우징(12)의 하부곡면에 일착하는 하부케이스(20)와 상부곡면에 밀착되는 상부케이스(3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구형하우징(12)은 포물면경(16)의 외주가 위치하는 곳에 상기 렌즈(10)가 장착되고 상기 포물면경(16)을 고정하는 지지대(24)가 설치된 것이다.
상기 지지대(24)는 전선(26)이 통과하는 관통공(28)이 그 하부로부터 포물면경(16)까지 형성되어지고, 그 하부 외측에 상기 구형하우징(12)의 접동시 전선(26)과 하부케이스(20)와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걸림턱(30)이 형성되어 있다.
예시도면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실내등(32)이 장착된 실내등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보조실내등(32)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차실내 어느 방향으로 빛을 집중적으로 조사할 수 있도록 포물면경이 내장된 구형하우징(12)과 이에 밀착되는 케이스(14)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내등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제2도의 A-A단면도로서, 상기 구형하우징(12)속에 포물면경(16) 및 상기 포물면경(34)을 고정하는 지지대(24)가 설치되고, 구형하우징(12)이 회동됨에 따라 상기 포물면경(16)이 회동되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빛을 원하는 방향으로 조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형하우징(12)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그 회동을 원할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구형하우징(12)의 곡면중심부를 밀착 지지하는 케이스(14)는 상부케이스(22)와 하부케이스(20)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케이스(22)는 구형하우징(12)의 중심연장선으로부터 하부곡면을 지지하여 상기 구형하우징(12)의 이탈을 방지하고 그 회동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구형하우징(12)의 포물면경(16)이 위치하는 부분은 빛이 통과되도록 투명이나 반투명재질로 이루어진 렌즈(10)가 부착되며, 상기 렌즈(10)는 외관을 고려해 구형하우징(12)의 곡면에 연장되는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상기 구형하우징(12)의 구형 의미는 렌즈의 외주가 하부케이스(20)에 닿기까지의 케이스(14) 내에서의 회동범위를 의미하며, 상기 회동범위를 넘어서는 범위까지 구형일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즉, 회동범위의 한계는 하부케이스(20) 끝단과 상기 포물면경(16)의 외주일 끝단 즉 렌즈(10)의 일끝단이 일치할 때까지 이고, 상기 범위를 넘어서 회동이 될 경우, 상기 케이스(14)에 의해 빛이 조사되지 않는 부위가 생기며 이러한 경우는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불필요하고 무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은 상기 범위내에서 제한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회동범위의 제한은 상부케이스(22)와 걸림턱(30)간의 간섭으로 이러한 제한을 받게된다.
상기 걸림턱(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렌즈(10)의 일 끝단이 하부케이스(20)의 일끝단과 만날 때 상부케이스(22)와 만나는 부위가 걸림턱(30)의 형성위치가 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범위를 최대한으로 하여 빛이 조사되는 범위를 최대한으로 하기 위해서는 포물면경(16)의 초점, 즉, 전구가 위치하는 곳이 구형하우징(12)의 중심으로부터 렌즈(10) 표면의 중심간 연장선에서 렌즈표면에 가까울수록 조사되는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초점이 렌즈표면에 가까워질수록 포물면경(16)의 길이가 축소되어 빛이 집중되지 못하거나, 또는 포물면경(16) 자체의 축소로 빛이 너무 작은 면적에 집중될 수 있으므로 상기 초점, 즉 전구의 위치는 이를 고려해 정해져야 한다.
예시도면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실내등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요도로서, 도시된 일점쇄선은 빛의 조사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실내등(32)은 구형하우징(12)이 케이스(14)에 지지되어 그 회동이 자유로운바, 사용자는 편의에 따라 상기 구형하우징(12)을 회동시켜 빛의 조사방향을 임의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포물면경(16)과 전구(2)가 내장되고 렌즈(10)가 상기 포물면경(16)외주에 부착된 구형하우징(12)과 상기 구형하우징(12)이 자유로이 회동되도록 케이스(14)에 지지된 보조실내등(32)이 장착된 승용차 실내등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임의대로 빛의 조사방향을 조절하고 집중적인 빛이 조사됨으로써 실내등의 편리성은 최대로 하여 궁극적으로는 차량의 상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포물면경(16)이 내장되고 상기 포물면경(16)의 외주가 위치하는 곳에 상기 렌즈가 장착되어 상기 포물면경(16)을 고정하는 지지대(24)가 설치되어 내측의 전구 조사 방향의 각도가 하부 원곡선을 따라 자유로이 상하 원회전 이동하는 구형하우징(12)과, 상기 구형하우징(22)의 중심연장선(18)을 기준으로 하부곡면에 밀착되는 하부케이스(20)와 상부곡면에 밀착되는 상부케이스(22)가 조립되어 이루어진 케이스(14)로 구성된 승용차 실내등.
  2. 제1항에 있어서, 구형하우징(12)은 포물면경(16)의 외주가 위치하는 곳에 상기 렌즈(10)가 장착되고, 상기 포물면경(16)을 고정하는 지지대(24)가 설치된 승용차 실내등.
  3. 제1항에 있어서, 지지대(24)는 그 하부 외측에 상기 구형하우징(12)의 회동시 전선(26)과 하부케이스(20)와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걸림턱(30)이 형성된 승용차 실내등.
KR2019960012089U 1996-05-16 1996-05-16 승용차 실내등 KR01374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2089U KR0137478Y1 (ko) 1996-05-16 1996-05-16 승용차 실내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2089U KR0137478Y1 (ko) 1996-05-16 1996-05-16 승용차 실내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612U KR970061612U (ko) 1997-12-10
KR0137478Y1 true KR0137478Y1 (ko) 1999-04-01

Family

ID=19456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2089U KR0137478Y1 (ko) 1996-05-16 1996-05-16 승용차 실내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47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612U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0434A (en) Overhead light
EP0111426B1 (en) A light for a vehicle visor
US4760500A (en) Reading light for vehicle
KR0137478Y1 (ko) 승용차 실내등
US4638413A (en) Combination spotlight and table lamp
WO2003101779A2 (en) Vehicle auxiliary light
US5944406A (en) Rotatable compartment light for vehicles
JPH0454029Y2 (ko)
KR200162544Y1 (ko) 자동차의 룸램프
KR100501653B1 (ko) 맵기능과 룸기능을 동시에 갖는 오버헤드 콘솔램프
KR0135862Y1 (ko) 자동차의 보조램프
US3491231A (en) Low voltage lighting fixture
KR0126174Y1 (ko) 자동차의 조명기구
KR0117677Y1 (ko) 자동차용 실내등
KR970002501Y1 (ko) 자동차 실내등
EP0344135A2 (en) Sun visor and lighting installation for motor vehicles
KR0120309Y1 (ko) 차량용 실내등 조립체
KR200144910Y1 (ko) 작업램프
KR0130681Y1 (ko) 룸램프 자동점멸장치
KR200368492Y1 (ko) 스포트 조명
KR200190127Y1 (ko) 미러 일체형 룸램프
JP2577498Y2 (ja) 照明器具
KR19990026044U (ko) 자동차의 실내등
KR19990005783U (ko) 자동차의 보조 실내등
KR970005211Y1 (ko) 자동차용 룸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