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3967A - 노런 오픈웍 패턴을 만들기 위해 선택된 바늘에서부터인접한 바늘로 편환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그리고편환전달 뜨게바늘 - Google Patents

노런 오픈웍 패턴을 만들기 위해 선택된 바늘에서부터인접한 바늘로 편환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그리고편환전달 뜨게바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3967A
KR20020093967A KR1020027014478A KR20027014478A KR20020093967A KR 20020093967 A KR20020093967 A KR 20020093967A KR 1020027014478 A KR1020027014478 A KR 1020027014478A KR 20027014478 A KR20027014478 A KR 20027014478A KR 20020093967 A KR20020093967 A KR 20020093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adjacent
hook
deflection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4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6294B1 (ko
Inventor
프랜체스코 가바그닌 아폴로니오
Original Assignee
프랜체스코 가바그닌 아폴로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랜체스코 가바그닌 아폴로니오 filed Critical 프랜체스코 가바그닌 아폴로니오
Publication of KR20020093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3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2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0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one set of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04B1/104Openwork fabric, e.g. pelerin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04B35/04Latch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2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04B9/38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stitch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2 수직으로 이격된 위치 사이에서 상호 이동하기 위해 장착된 바늘캠을 포함하는 기계에서 관상형 편직물에 오프닝을 만들기 위한 방법에 관련된다. 제 1 위치에서 바늘캠은 얀의 편환이 선택된 편환 형성바늘에서 해제되고 전달바늘로 전달되는 위치로 연속적으로 바늘을 낮춘다. 제 2 위치에서 바늘 캠은 편직물에서 노런 스티치를 형성하기 위해 선택된 편환 형성바늘에서 해제되지 않고 바늘을 형성하는 선택된 편환에 인접한 전달바늘에 얀의 편환이 전달되는 위치까지 바늘을 연속적으로 낮춘다. 바늘은 편환이 전달되는 것으로부터 선택되고 편환을 선택된 바늘의 수직면을 벗어나 인접한 바늘의 수직면으로 편향시켜 선택된 바늘에서 확대되며, 인접한 바늘은 편향된 편환에 대해서 낮아지고 간섭하지 않은 관계에 있게 된다. 인접한 바늘은 확대된 편환에 대해서 위쪽으로 연장된다. 바늘캠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 선택된 바늘은 편향된 편환으로부터 제거되고, 편환은 인접한 바늘으로 전달되어서 직물에 오프닝을 만든다. 바늘캠이 제 2 위치에 있을 때, 편향된 편환은 선택된 바늘에서 유지되고 편환은 또한 인접한 바늘에 전달되어서 직물에 노런 오프닝을 만든다. 편환을 전달하기에 적합한 바늘이 공지되었다.

Description

노런 오픈웍 패턴을 만들기 위해 선택된 바늘에서부터 인접한 바늘로 편환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그리고 편환전달 뜨게바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LOOP FROM A SELECTED NEEDLE TO AN ADJACENT NEEDLE FOR CREATING A DECORATIVE OPEN-WORK PATTERN WITH NO-RUN STITCH AND LOOP TRANSFER KNITTING NEEDLE}
편환(loop)이라는 단어는 바늘로 짜지는 얀(yarn)의 한 부분을 정의하는데 이용되지만, "스티치(편환,편조직)stitch"이라는 말이 대신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출원은 또한 기계가 작동하는 중에 캠의 위치를 바꾸거나 동시에 두 개의 캡으로 작동하여 노-런(no-run) 및 종래의 스티치 패턴(stitch pattern)이 변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공지한다. "노-런(no-run)"이라는 것은 길이방향 편성물을 따라 구멍이 확대되지 않도록 하는 양면짜기 특성(interlocking feature)을 갖는 스티치(stitch)를 의미하며 런-프루프(run-proof)(올리 풀리지 않는) 및런리스(run-less)라는 단어와 동의어이다. 이러한 형식의 스티치는 편성물 특히, 스타킹이나 팬티호스같이 수명이 긴 제품을 만든다. 전술된 바와 같이 노런 스티치(no-run stitch)는 추가적으로 패턴을 만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종래의 스티치와 함께 이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된 방법 및 장치에서 편환을 쉽게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된 바늘을 공지한다.
환편기는 얀의 다중 스트랜드(multiple strand)를 관상형 직물, 양말의 블랭크(blank)나 다른 구조로 짠다. 양말의 블랭크는 양말이나, 호스, 스타킹을 완성하기 위해 종래의 공정을 따라 마무리된다. 이러한 기계는 회전 가능한 바늘 실린더의 외부표면에 형성된 축방향 슬롯에 위치한 여러개의 바늘을 갖는다. 각각의 바늘은 마주대한 단부를 갖는 몸체를 포함한다. 후크는 바늘 몸체의 상측단부에 형성되고 끝부분은 바늘 몸체의 하측단부에 형성된다. 여러개의 싱커는 싱커가 바늘 사이에 선택적으로 위치하도록 바늘 실린더의 상측단부에 있는 싱커링(sinker ring)에 장착된다. 환편기는 또한 통과 바늘(passing needle)에 얀을 이송하는 공급장치를 포함한다. 얀은 바늘 주변에 편환을 형성한다.
횡편기(flat bed knitting machine)는 드레이프(drape), 의류 같은 제품을 형성될 수 있는 평직물(flat fabric)을 형성하는 평베드(flat bed) 비슷한 기능을 수행한다.
전달된 편식 편환으로 만들어진 직물에서 오픈웍으로 형성된 패턴을 갖는 양말은 구식이고 종래의 방식이다. 전달된 편환에 의해 차지되지 않은 공간은 직물에구멍을 만들고, 이러한 직물에 있는 구멍의 패턴은 원하는 미적효과를 만든다. 이러한 디자인은 미세 게이지 바늘(fine gauge needle) 사이에서 매우 작은 편환을 전달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비교적 거친 게이지 직물에 제한된다. 그러므로 노런 스티치를 만들 수 있는 타이츠, 팬티호스 같이 미세 게이지 양말을 포함하여 미세 게이지 편직물에서 미적인 오픈웍 패턴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편직기가 필요하다.
루미(Rumi) 등등에 허여된 미국 특허 3,838,583은 전달 편환을 갖는 오프닝을 만들도록 환편기를 변형시키는 장치를 공지한다. 루미 장치는 바늘 실린더 외부에 편심으로 위치한 유성기어 및 바늘 실린더 외부에 편심으로 위치한 다이알 플레이트(dial plate)를 포함한다. 다이알 플레이트의 상단표면은 방사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여러개의 내부 구멍들로 구비되며, 유성기어의 상단표면은 방사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열개의 외부 구멍들로 구비된다. 내부 구멍들은 회전방향에 대해서 반대방향으로 경사져있다. 내부 및 외부 구멍의 축방향 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며, 바늘을 구멍들의 높이까지 솟아오르게 하는 캠장치가 제공된다. 마지막으로, 여러개의 가동성 싱커가 바늘 실린더에 위치하며, 각각은 부분적으로 하나의 바늘을 둘러싼다. 얀의 스트랜드는 바늘 주면을 두르고 싱커에 대해서 연장된다.
작동시 선택기는 정상적인 작동위치를 지나 특정한 바늘 혹은 여러개의 바늘을 솟아오르게 한다. 바늘 위의 편환은 바늘 주변의 싱커 위에 있는 편한을 솟아오르게 하는 바늘 숄더(needle shoulder)에 걸린다. 말단 후크를 갖는 싱커는 앞으로전진하고 그 후크는 편환이 커지도록 편환 안으로 들어간다. 바로 그 다음에 두 개의 구멍 중 아무거나 바늘의 아래쪽 잘린부분 근처를 통과하여 편환으로 들어간다. 그런다음 바늘은 구멍에 있는 편환을 남긴채 정상위치로 되돌아온다. 구멍은 편환을 통해 솟아오른 바늘에 편환을 전달한다. 상기 바늘은 편환이 구멍에서 제거되고 정상적위치로 되돌아갈 때까지 계속 솟아오른다. 만약 내부구멍이 이용되면, 편환은 편환이 취해진 바늘의 이전 바늘로 전달된다. 만약 외부 구멍이 이용되면, 편환은 편환이 취해진 바늘 다음 바늘로 전달된다.
편환을 전달하기 위해 이용되는 다른 현존하는 장치 같이 장치는 일단 편환을 선택된 바늘에서 제거하여 다음번 바늘에 전달한다. 이러한 것은 거친 게이지 편직기에만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바늘 사이의 거리가 2.35mm거나 그 이상이면 직경이 3½인 실린더에서 120개의 바늘 혹은 2.35mm이하의 바늘 사이의 거리에서 작동하는 편직기의 편환 및 바늘의 크기가 너무 작기 때문에 장치가 편환을 안정적으로 전달하지 못하게 된다. 잘못 전달되는 것은 품질이 좋지 않게 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잘못 전달되는 문제점은 바늘 실린더의 직경이 감소하거나 작동되는 바늘의 개수가 증가할 때 악화된다.
결과적으로 편환을 전달하는 것은 종래의 미세 게이지 환편기에서는 안정적으로 발생될 수 없다. 그러므로 편환을 놓치지 않으며 미세 게이지 품목을 만들 수 있는 환편기에서 제조되는 양말에서 다른 결점을 발생시키지 않고 편환을 선택된 바늘에서 인접한 바늘로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양말이나 메리야스류를 포함하여 의복을 만들 수 있는 환편기 및 횡편기에 관련된다. 특히 본 발명은 선택된 바늘에 있는 편환(loop)을 확장시켜서 선택된 바늘이 편환을 방출하기 전에 확장된 편환을 통해 다른 바늘을 삽입하여 선택된 바늘로부터 인접한 바늘로 편환을 전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바늘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을 따르는 바늘의 후크영역을 확대한 부분도.
도 3은 도 1을 따르는 바늘의 편향기를 확대한 부분도.
도 4는 조절 가능한 캠배열을 도시하는데, 스티치가 바늘에서 해제되고 인접한 바늘로 전달되는 것을 도시함.
도 5는 조절 가능한 캡배열을 도시하는데, 스티치가 바늘에서 해제되지 않고 인접한 바늘로 전달되는 것을 도시함.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캠위치에 따라서 스티치 패턴을 만드는 이접한 후크와 싱커(sinker)의 평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캠 위치에 따라 스티치 패턴을 도시하는 스티치 다이아그램.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캠위치에 따라서 스티치 패턴을 만드는 이접한 후크와 싱커(sinker)의 평면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캠 위치에 따라 스티치 패턴을 도시하는 스티치 다이아그램.
도 10은 인접한 바늘과 싱커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1은 편환이 원래의 바늘에서 유지되고 인접한 바늘에 전달되는 직물에 대한 도면.
도 12는 편환이 원래의 바늘에서 해제되고 인접한 바늘에 전달되는 직물에 대한 도면.
도 13은 후크의 관련된 치수의 관계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를 따라는 측면도.
도 14는 다른 관련된 치수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 13의 바늘의 배면도.
* 부호 설명 *
10 : 바늘11 : 바늘 몸체
12 : 후크14 : 상측단부
15 : 끝부분16 : 하측단부
18 : 래치20 : 편향기
21 : 연장부22 : 단부영역
23 : 상측 편향기 표면30 : 실린더
33 : 바늘캠40 : 싱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직물에 미적인 모양을 만드는 작은 구멍으로 된 패턴을 갖는 양말을 만들기 위해 편환을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현존하는 장치 및 방법과는 달리, 본 발명은 직경이 3.5인치 이하인 바늘 실린더에 위치한 120 이상의 바늘을 작동하는 환편기에서 만들어진 매우 미세한 게이지 양말에 오픈웍 패턴이 형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바늘 사이의 간격이 1mm 이하인 게이지 기계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3.5 인치 이하의 직경을 갖는 바늘 실린더에 위치한 120개 이상의 바늘을 갖는 것 같은 미세 게이지 환편기를 포함하여 선택된 바늘에서 환편기에 편환을 오류없이 전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선택된 바늘이 편환을 풀어놓기 전에 편환을 그 다음번 바늘에 고정시켜서 편환을 선택된 바늘에서 다음번 바늘로 전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목적은 동시에 스티치가 개방되고 스티치를 전달/유지하는 조절 가능한 캠을 이용하여 관상형 직물을 편직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특별한 목적은 선택된 바늘에서 편환을 넓히고, 넓혀진 편환을 통해 그 다음번 바늘을 삽입하여서 선택된 바늘을 넓혀진 편환에서 제거하여 선택된 바늘이 편환을 풀어놓게 하여서 편환을 선택된 바늘에서 다음번 바늘에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인 편환을 전달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인 편환을 전달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캠장치 및 확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관상형 편직물에 오프닝을 만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여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달성되는데, 바늘 실린더의 축방향 바늘 슬롯에 장착된 여러개의 바늘을 갖는 편직기를 제공하는 단계로 구성되며, 각각의 바늘은 바늘 몸체의 상측 단부에 장착된 후크와 후크를 닫고 열기 위해 후크 아래에 있는 바늘 몸체에 피벗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래치를 제공하고, 인접한 바늘의 수평면 안의 바늘로 인해 형성된 얀의 편환을 편향시키는 편향기를 포함하고, 제 1,2 수직으로 이격된 위치 사이에서 상호 움직이도록 장착된 바늘캠으로 포함한다. 제 1 위치에서 바늘캠은 얀의 편환이 선택된 편환형성 바늘에서 해제되어 전달바늘로 전달되는 위치로 바늘을 연속적으로 낮춘다. 제 2 위치에서 바늘 캠은 편직물에서 노런 스티치를 형성하기 위해 선택된 편환형성 바늘에서 해제되지 않고 바늘을 형성하는 선택된 편환에 인접한 전달바늘에 얀의 편환이 전달되는 위치까지 바늘을 연속적으로 낮춘다. 인접한 바늘이 편향된 편환에 대해서 낮고 방해되지 않는 위치에 있는 동안 편환을 선택된 바늘의 수직평면에서 벗어나 측면으로 인접한 바늘의 수직평면에 편향시켜 선택된 바늘에서 편환이 확대되고 전달되는 것으로부터 바늘이 선택된다. 인접한 바늘은 확대된 편환으로 위쪽으로 향해 연장된다. 바늘캠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 선택된 바늘은 편향된 편환으로부터 제거되고, 편환은 인접한 바늘에 전달되어서 직물에 오프닝을 만든다. 바늘캠이 제 2 위치에 있을 때, 편향된 편환은 선택된 바늘에서 유지되고 편환은 또한 인접한 바늘로 전달되어서 직물에 노런 오프닝을 만든다.
본 발명의 한가지 선호되는 실시예를 따라서, 상기 방법은 관상형 편직물에서 원하는 오프닝 패턴을 나타내는 정해진 오픈웍 패턴을 만드는 단계로 구성되고 정해진 패턴을 따라서 상기 방법을 수행하여서 정해진 패턴을 따르는 오픈웍 패턴을 갖는 관상형 편직물을 만드는 것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선호되는 실시예를 따라서, 기계는 팬티호스를 짜기에 적합한 미세 게이지 관상형 편직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선호되는 실시예를 따라서, 기계는 옷, 드레이프(drape) 같은데 적합한 평직물을 짜기에 적합한 미세 게이지 편직기로 구성된다.
편직기는 서로 최고 1mm 떨어진 바늘을 갖는 실린더 직경의 범위의 미세 게이지 기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선호되는 실시예를 따라서, 선택된 바늘 위의 편환을 확대하는 단계는 얀의 편환에 대해서 선택된 바늘을 바늘의 상단 방향으로부터 바늘의 하단으로 연속적으로 경사진 편환 접촉표면을 지나가도록 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선호되는 실시예를 따라서, 연속적으로 기울어진 접촉표면은 인접한 바늘쪽으로 바늘몸체에서 바깥 측면쪽으로 연장되며 바늘의 몸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편향기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선호되는 실시예를 따라서, 상기 장치는 바늘 실린더에서 축방향 바늘 슬롯에 장착된 여러개의 바늘을 갖는 편직기로 구성되며, 각각의 바늘은 후크를 열고 닫기 위해 후크 아래에 있는 바늘몸체에 피벗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래치 및 바늘몸체의 상측단부에 형성된 후크를 갖으며, 상기 장치는 또한 바늘에의해 형성된 얀의 편환을 인접한 바늘의 수직면에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기, 및 제 1,2 수직으로 이격된 위치 사이에서 상호 운동하기 위해 장착된 바늘캠으로 구성된다. 제 1 위치에서, 바늘캠은 얀의 편환이 선택된 편환형성 바늘에서 해제되고 전달바늘로 전달되는 위치로 바늘을 계속 낮춘다. 제 2 위치에서 바늘 캠은 편직물에서 노런 스티치를 형성하기 위해 선택된 편환형성 바늘에서 해제되지 않고 바늘을 형성하는 선택된 편환에 인접한 전달바늘에 얀의 편환이 전달되는 위치까지 바늘을 연속적으로 낮춘다. 바늘캠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 선택된 바늘은 편향된 편환으로부터 제거되고, 편환은 인접한 바늘에 전달되어서 직물에 오프닝을 만든다. 바늘캠이 제 2 위치에 있을 때, 편향된 편환은 선택된 바늘에서 유지되고 편환은 또한 인접한 바늘로 전달되어서 직물에 노런 오프닝을 만든다. 바늘 선택기는 편환이 전달되어질 바늘을 선택하고, 선택된 바늘에 의해 수용되는 편환기는 편환을 선택된 바늘의 수직면에서 나와 인접한 바늘의 수직면으로 측면으로 편향시켜 선택된 바늘에 있는 편환을 확대시키며, 인접한 바늘은 편향된 편환에 대해서 낮춰지고 간섭하지 않은 위치에 있게 된다.
편직기는 관상형 편직물에서 원하는 패턴의 오프닝을 나타내는 오픈웍 패턴을 저장하고 바늘을 선택하며 정해진 패턴에 따라 편환을 전달하여서 정해진 패턴을 따르는 오픈웍 패턴으로 된 관상형 편직물을 만들기 위한 패턴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선호되는 실시예를 따라서, 상기 기계는 또한 팬티호스를 짜기에 적합한 미세 게이지 관상형 편직기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선호되는 실시예를 따라서, 선택된 바늘은 연속적으로 기울어지는 편환 접촉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선호되는 실시예를 따라서, 연속적으로 경사진 접촉면은 바늘몸체로부터 인접한 바늘로 바깥쪽 측면으로 연장된 바늘의 몸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편향기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선호되는 실시예를 따라서, 편향기는 바늘 몸체에서 끝부분쪽으로 바깥쪽에서 약간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갖는데 인접한 싱커에 대해서 간섭하지 않는 관계로 주위에 연장된 연장부의 말단단부의 아치형 단부를 갖는다. 아치형 단부는 바깥쪽으로 돌출된 정지부재없이 종단되는 상단 편향기 표면을 갖는다.
관상형 직물에 오프닝을 만들기 위한 또 다른 선호되는 방법은 바늘 실린더에서 축방향 바늘슬롯에 장착된 여러개의 바늘을 갖는 편직기를 제공하는 단계로 구성되고, 각각의 바늘은 후크를 열고 닫기 위해 후크 아래에 있는 바늘 몸체에 피벗운동하도록 장착된 래치 및 바늘몸체의 상측단부에 형성된 후크를 갖으며, 상기 바늘에 의해 형성된 얀의 편환을 인접한 바늘의 수직면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장치를 포함하며, 편환을 전달하는데 영향을 주기 위해 바늘을 연속적으로 낮추기 위해 위치한 제 1,2 바늘캠을 포함한다. 제 1 캠은 얀의 편환이 선택된 편환형성 바늘에서 해제되어 전달바늘로 전달되는 위치로 정해진 패턴을 따라 바늘을 연속적으로 낮춘다. 제 2 캠은 편직물에서 노런 스티치를 형성하기 위해 선택된 편환형성 바늘에서 해제되지 않고 바늘을 형성하는 선택된 편환에 인접한 전달바늘에 얀의편환이 전달되는 위치까지 정해진 패턴을 따라 바늘을 연속적으로 낮춘다. 바늘은 편환이 전달되어질 것으로부터 선택되며, 선택된 바늘에 의해 수용되는 편환기는 편환을 선택된 바늘의 수직면에서 나와 인접한 바늘의 수직면으로 측면으로 편향시켜 선택된 바늘에 있는 편환을 확대시키며, 인접한 바늘은 편향된 편환에 대해서 낮춰지고 간섭하지 않은 위치에 있게 된다. 인접한 바늘은 확대된 편환쪽으로 윗방향으로 이동하여 편환을 수용하게 된다. 제 1 바늘캠이 바늘을 낮출 때 선택된 바늘은 편향된 편환에서 제거되고 편환은 인접한 바늘에 전달되어서 직물에서 오프닝을 만들게 된다. 제 2 바늘캠이 바늘을 낮출 때, 편향된 편환은 선택된 바늘에서 유지되고 편환은 또한 인접한 바늘에 전달되어 직물에 노런 오프닝을 만든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선호되는 실시예를 따라서, 편직물에 오프닝을 만들기 위한 장치게 제공되는데, 상기 장치는 바늘 실린더에서 축방향 바늘 슬롯에 장착된 여러개의 바늘을 갖는 편직기로 구성되고, 각각의 바늘은 후크를 열고 닫기 위해 후크 아래의 바늘몸체에 피벗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래치 및 바늘몸체의 상측단부에 형성된 후크를 갖으며, 바늘에 의해 형성된 얀의 편환을 인접한 바늘의 수직면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기를 포함한다. 제 1,2 바늘캠은 각각의 편환전달 위치로 바늘을 연속적으로 낮추기 위해 장착된다. 제 1 바늘캠은 얀의 편환이 선택된 편환형성 바늘에서 해제되어 전달바늘에 전달되는 위치까지 바늘을 연속적으로 낮춘다. 제 2 바늘캠은 편직물에서 노런 스티치를 형성하기 위해 선택된 편환형성 바늘에서 해제되지 않고 바늘을 형성하는 선택된 편환에 인접한 전달바늘에 얀의 편환이 전달되는 위치까지 정해진 패턴을 따라 바늘을 연속적으로 낮춘다. 편환이 정해진 패턴을 따라 전달되는 것으로부터 바늘을 선택하기 위한 바늘 선택기가 제공된다. 편향기는 편환을 선택된 바늘의 수직면에서 벗어나 인접한 바늘의 수직면으로 편향시켜서 선택된 바늘 위의 편환을 확대시키기 위해 선택된 바늘에 의해 수용되며, 인접한 바늘은 편향된 편환에 대해서 낮아지고 간섭하지 않는 관계가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방법은 환편기를 작동시키는 동안에 편환을 선택된 바늘로부터 그 다음번 바늘에 전달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선택된 바늘은 전달바늘이 제거되는 바늘이고, 그 다음번 바늘은 전달바늘이 놓이는 인접한 바늘이다. 그 다음 번 바늘이란 바늘 실린더회전 방향에 대해서 선택된 바늘에 우선하는 바늘이거나 바늘 실린더 회전 방향에 대해서 선택된 바늘에 연속한 바늘일 수 있다.
편환을 전달하기 위해서, 선택된 바늘의 편환은 확대된다. 일단 선택된 바늘의 편환이 충분히 확대되면, 그 다음번 바늘은 편환이 다음번 바늘에 대해서 고정되도록 확대된 편환을 통해 삽입된다. 최종적으로 선택된 바늘은 확대된 편환에서 제거되어 선택된 바늘이 편환을 해제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편환은 선택된 바늘에서 그 다음번 바늘로 완전히 전달되며, 제어된 구멍이 양말에 형성된다. 오프닝의 패턴은 정해진 설정에 따라 바늘을 설정하여 양말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는 선택된 바늘 위의 편환을 확대하기 위한 장치 및 선택된 편환을 선택된 바늘에서 그 다음번 바늘로 전달시키는 바늘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캠장치를 포함한다.
각각의 바늘은 후크 아래에 위치한 래치를 갖는다. 래치는 래치의 말단단부가 후크의 말단단부와 접촉하는 후크가 닫힌 위치 및 래치가 바늘의 몸체와 접촉하고 후크에 대해서 말단에 배열된 후크 개방위치 사이에서 피벗운동한다. 후크 및 래치는 바늘 실린더에 대해서 방사형으로 외부를 향해 배열된다. 각각의 바늘 하측단부에 형성된 끝부분은 바늘 실린더 원주를 넘어서 방사형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각각 바늘의 하측단부는 바늘 실린더의 축방향 슬롯에 위치한 선택기 몸체의 상측단부와 접촉한다. 선택기 몸체는 바늘 실린더의 원주 이상으로 방사형 외부를 향하여 연장된 톱니를 갖는다. 후크의 상단은 후크가 확대된 편환으로 쉽게 삽입되도록 하는 독특한 측면을 갖는다.
액츄에이터는 선택기 몸체의 톱니와 맞물리고 프로그램된 설정에 따라 특정한 바늘을 수직으로 움직인다. 통상적으로 액츄에이터는 양말에서 형성되는 원하는 패턴의 오프닝을 만들기 위해 여러개의 바늘에서 반복적으로 선택하여 컴퓨터에 의해 제어된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편환확대 장치는 래치 아래에 있는 각각의 바늘 몸체로부터 측면으로 연장되고 일체형으로 형성된 편향기이며, 캠장치는 바늘 실린더의 외부표면에 인접하게 위치한 하단 캠 및 상단 캠을 포함한다. 편향기는 곡선형태이고 그 다음번 바늘의 평면 이상으로 연장된 말단단부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편향기는 초기에 방사상 바깥쪽으로 연장되지만, 바늘 실린더의 종축을 향해 방사상 안쪽으로 구부러진다. 편향기는 얀이 편향기의 하단을 지나가지 않도록 하는 캐치(catch) 혹은 정지부(stop)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단캠은 바늘 실린더의 하측단부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하단캠은 선택된 바늘 아래의 선택기 몸체 톱니를 안내하기 위해 점차적으로 위쪽방향을 향해 기울어진 표면을 갖는다. 오직 선택된 바늘만 하단 캠의 접촉표면과 액츄에이터가 만나서 솟아오른다. 하단 캠은 바늘의 끝부분이 상단 캠에 대해서 적합하게 위치하도록 선택된 바늘을 솟아오르게 한다.
상단 캠은 선호적으로 세 개의 부재를 포함한다. 상단 캠의 제 1 부재는 하단 캠 위에 위치하고 바늘 실린더의 회전방향으로 하단 캠의 접촉표면으로부터 오프셋(off-set)된다. 상단 캠의 제 2 부재는 상단 캠의 제 1 부재 위에 위치하고 일반적으로 삼각형 모양이다. 상단 캠의 제 2 부재는 선택된 바늘의 끝부분을 위쪽으로 안내하여 선택된 바늘이 좀더 솟아오르도록 하기 위해 위쪽으로 경사진 상단 접촉표면을 갖는다.
좀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장치의 작동에 대한 다음 설명은 하나의 바늘만이 선택된 바늘 실린더의 완전한 1회전을 나타낸다. 바늘 실린더가 한 바퀴 돌때 바늘에 의해 만나는 세 개의 영역이 있다. 제 1 영역은 공급장치가 얀을 바늘의 후크에 전달하는 편환 공급영역이다. 마지막 영역은 편환 해제영역이다. 최소한 하나의 편환 전달영역이 편환 공급영역 및 편환 해제영역 사이에 있다. 다중 편환 전달영역은 좀더 복잡한 패턴을 만들거나 한번 이상 편환을 전달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바늘이 편환 전달영역을 들어감에 따라, 바늘은 개별의 싱커 아래에 놓이고 바늘에 있는 래치는 후크가 닫힌 위치에 있게 된다.
편환 전달영역에서 액츄에이터는 바늘 아래의 선택기 몸체에 있는 톱니에 맞물려서 바늘을 선택한다. 액츄에이터는 상단 캠의 접촉표면과 함께 선택기 몸체의 톱니와 정렬되는 위치로 선택기 몸체 및 선택된 바늘을 솟아오르게 한다. 결과적으로 선택된 바늘은 선택기가 상단 캠의 접촉표면을 따라 위쪽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솟아오른다. 선택된 바늘의 이러한 위쪽방향 운동은 바늘 위에 있는 편환이 래치를 아래쪽으로 미끄러지게 하여서 래치가 후크의 열린 위치인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선택된 바늘이 이렇게 위쪽으로 이동하는 동안 그 다음번 바늘(모든 선택되지 않은 바늘)은 선택되지 않은 바늘의 후크를 싱커의 아래쪽에 유지시키는 하단 캠과 결합된다.
선택된 바늘의 끝부분이 상단 캠을 따라 위쪽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바늘에 있는 편환은 바늘의 몸체에 형성된 편향기와 만나는 아래쪽 방향으로 연속해서 미끄러지도록 한다. 편환은 편향기 아래쪽으로 미끄러짐에 따라서 넓어진다. 선택된 바늘의 끝부분이 상단 캠의 꼭대기에 다다를 때, 편환은 그 다음번 바늘의 평면 안으로 측면으로 넓어진다. 전술된 바와 같이, 편향기 단부에 있는 정지부는 싱커의 높이에 대해서 플랜지의 하단을 솟아오르게 하지 않고 바늘을 길게 해서 제거된다.
선택된 바늘의 끝부분이 상단 캠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그 다음번 바늘의 끝부분은 그 다음번 바늘을 솟아오르게 하는 하단 캠과 결합된다. 다음번 바늘은 바늘의 편환이 래치를 후크의 열린 위치로 아랫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바늘의 몸체 아래쪽으로 충분히 이동하는데까지 솟아오르게 된다. 그러나 편환은 래치를 지나가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단 캠의 아래쪽으로 경사진 접촉표면은 다음번 바늘을 싱커 아래에서 뒤쪽 아래로 이동하게 하지만 바늘의 편환은 후크의 열린 위치 아래쪽에 남아있게 된다.
자연적으로 하나 이상의 편환 전달영역은 편환 전달과정을 가속화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직물이 형성되는 좀더 복잡한 오픈웍 패턴을 만들기 위해 사용된다.
바늘이 편환 전달영역을 떠난 후에 편환 해제영역으로 들어간다. 편환 전달영역에서 모든 바늘은 바늘에 있는 편환을 래치를 지나 미끄러지게 하기에 충분한 높이까지 솟아오르며 싱커 아래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가게 된다. 결과적으로 모든 바늘은 그 개별의 편환을 해제한다. 그런다음 바늘은 편환 해제영역을 떠나서 공급장치를 지나 회전하고, 얀은 또 다시 모든 바늘 위에 놓이고 공정은 반복된다.
본 발명을 따르는 편직바늘의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바늘은 전방 및 후방 평면(A,D)를 갖는 몸체를 포함하며, 가장 높은 지점(B), 전방평면(C) 및 직경을 갖는 몸체의 상측단부의 후크, 몸체의 하측단부에 인접한 끝부분, 후크를 선택적으로 열고 닫기 위해 피벗 연결된 래치, 바늘로 형성된 얀의 편환을 인접한 바늘의 수직면에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기를 포함한다. 개선점은 후크 직경의 두 배인 직경(B-C)을 갖고 직경(B-C)에 대해서 3배의 직경(A-B)을 갖는 후크로 구성된다.
선호적으로 몸체에 대한 후크의 두께비는 3/5이다.
직경(C-D)은 직경(B-C)에 대해서 1.5배이다.
본 발명은 아래의 설명을 따라 변형된 환편기에 관련된다. 상기 편직기는 레이스 팬티호스 기계, 오픈웍 영역을 갖는 관상형 니트직물을 만들기에 적합한 기계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기계는 통상적으로 하우징에 장착된 공동의 바늘 실린더를 갖는다. 실린더는 직물을 만드는 중에 종방향 축에 대해서 종래의 장치에 의해 회전된다. 여러개의 축방향 슬롯이 바늘 실린더의 외부표면에 형성되고 여러개의 바늘은 기계적, 전기기계적 혹은 전기적패턴 및 직물형성장치의 제어하에서 위,아래로 교환운동을 하기 위해 슬롯에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패턴은 원하는 패턴을 다시 만들기 위해 기계의 편직요소에 디지털 출력을 보낼 수 있는 RAM, 자기디스크나 메모리 카드 같은 전자장치에 저장된다.
여러개의 탄성링이 슬롯에서 바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서 바늘 및 바늘 실린더 주변에 위치한다. 바늘 실린더의 회전으로 인해서 바늘은 바늘 실린더의 수직축에 대해서 회전한다. 여러개의 싱커가 바늘 실린더의 상측단부에 위치한다.
편환 전달영역에서 액츄에이터는 종래의 방법대로 바늘을 선택하고 선택된바늘을 하측캠의 접촉면과 바늘 끝쪽을 정렬시키는 위치로 상승시킨다. 결과적으로 선택된 바늘은 끝부분이 하측 캠의 접촉표면을 따라 위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승한다. 이러한 선택된 바늘의 위쪽방향 운동으로 인해서 선택된 바늘 위의 편환이 바늘의 래치를 지나 아래쪽으로 이동하여서 래치가 후크의 개방위치로 내려가게 된다. 도 1,2를 참조. 하측 캠은 선택된 바늘의 끝부분이 상측캠의 상단 접촉표면과 정렬되는 위치로 선택된 바늘을 상승시킨다. 선택된 바늘의 위쪽으로 이동하는 동안 그 다음 바늘(모든 선택되지 않은 바늘)은 초기에 선택되지 않은 바늘의 후크를 싱커 아래로 유지시키는 하측캠과 맞물린다.
상측 캠을 따라 선택된 바늘의 끝부분이 위쪽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편환은 각각의 바늘의 몸체에 있는 편향기와 만나는 아래쪽으로 미끄럼 운동을 계속하도록 한다. 얀은 편환을 넓히는 편향기의 곡선표면 아래쪽으로 미끄러진다. 선택된 바늘의 끝부분이 상측캠의 꼭지점 부분에 도달했을 때 편환은 그 다음 바늘의 수직운동 평면에 놓이기에 충분히 넓혀진다. 선택된 바늘의 끝부분이 캠의 상단표면을 따라 이동할 때, 그 다음 바늘의 끝부분은 다음번 바늘을 상승시키는 상측캠의 제 1 영역과 맞물린다. 그 다음번 바늘은 래치를 후크 개방위치까지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바늘의 몸체 아래쪽으로 바늘이 충분이 이동하는 편환까지 상승된다. 그러나 편환은 래치를 지나치지 않는다. 그런후 상측캠은 다음번 바늘을 싱커 아래쪽으로 되돌아가게 하지만 바늘 위에 있는 래치는 후크 개방위치에서 아래쪽으로 유지된다.
캠은 또한 다음번 바늘을 솟아오르게 한다. 캠의 정점이 캠의 정점에 상응하기 때문에, 다음번 바늘은 선택된 바늘의 편향기 하측단부 주위에 위치한 확대된 편환을 통해 솟아오른다. 다음번 바늘의 후크는 편환 위에 위치하지만, 다음번 바늘 래치의 말단단부는 편환 아래쪽에서 유지된다. 다음번 바늘은 그 끝 부분이 캠의 접촉표면에 만날 때까지 상기 위치에 유지된다. 제 2 캠 및 제 3 캠은 확장된 편환을 통해 다음번 바늘을 솟아오르게 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기 위해 서로 이격된다. 캠은 일반적으로 캠에 대해서 반대로 생긴 사다리꼴 모양을 한다.
선택된 바늘의 끝부분은 선택된 바늘이 아래쪽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캠의 아랫방향으로 기울어진 접촉표면과 맞물린다. 편환은 선택된 바늘의 몸체 위에서 위쪽으로 미끄러진다. 편환은 선택된 바늘의 후크로 편환기 되돌아가지 못하게 하는 후크의 닫힌위치쪽으로 위방향을 향해 래치를 이동시킨다. 선택된 바늘의 후크가 싱커 아래로 이동할 때 편환이 해제된다. 캠은 다음번 바늘이 동일하게 움직이기 전에 선택된 바늘을 싱커 아래쪽으로 이동시킨다. 편환은 싱커의 위쪽에 있고 후크 개방위치에 있는 래치를 갖는 다음번 바늘의 후크에 걸려 있다. 마지막으로 캠은 모든 바늘을 각각의 싱커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며, 하나 이상의 편환 전달영역은 편환전달 과정을 가속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양말에 좀더 복잡한 구멍패턴을 만들기 위해 사용된다.
전술된 설명은 종래의 편직기술의 예이며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바늘이 편환 전달영역을 빠져나온 후에, 편한 해제영역으로 들어간다. 편한 해제 영역에서 바늘은 바늘에 있는 편환이 래치를 지나가도록 미끄러져서 낮아지기에 충분한 높이로 일단 솟아오른다. 아래 설명과 같이 바늘의 수직위치는 편환 인접한 바늘에 완전히 전달되는지, 선택된 바늘에서 유지되는지 또한 인접한 바늘로 전달되는지를 결정한다. 결과적으로 바늘들 중에 선택된 것들은 각각의 편환을 해제시킨다. 그런다음 바늘은 편환 해제 영역을 떠나고 편환기 모든 바늘에 놓여서 모든 과정이 반복되는 공급기 장치를 지나 회전하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바늘은 도 1-3에 도시되었으며 (10)번으로 표시되었다. 각각의 바늘(10)은 반대쪽 단부를 갖는 가늘고 긴 몸체(11)를 갖는다. 후크(12)는 바늘 몸체(11)의 상측단부(14)에 형성되고 끝부분(15)은 바늘몸체(11)의 하측단부(16)에 형성된다. 후크(12) 아래에서 래치(18)는 바늘 몸체(11)에 피봇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었다. 래치(18)는 래치(18)의 말단단부가 후크(12)의 말단단부가 접하는 후크 닫힌위치 및 래치(18)가 바늘몸체(11)에 만다는 후크개방위치 사이를 피봇회전하여서 후크(12)가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후크(12) 및 래치(18)는 바깥쪽을 향하는 바늘(10)의 개방측을 갖는 환편기의 바늘 실린더에 대해서 방사형으로 배열된다.
후크(10)는 또한 후크(10)에 형성된 편환을 개방하는 기능을 하는 편향기(20)를 포함한다. 편향기(20)는 인접한 싱커에 대해서 간섭하지 않는 관계로 연장되기 위해 연장부(21)의 말단 단부영역위에 있는 아치형 단부영역(22) 및 기울어져 아래쪽으로 연장된 연장부(21)를 포함한다. 아치형 단부영역(22)은 연장부를 갖는 상측 편향기 표면(23)을 공유하며 아치형 단부영역의 하단에 형성된 바깥쪽으로 돌출된 정지부재 없이 종단된다. 오히려 편환이 아치형 단부영역(22)의 하단을 지나지 않도록 바늘의 위쪽방향 이동을 제한하여 후크(10) 위에서 편환이 유지된다.
도 4,5에 조절 가능한 캠이 두 가지 다른 스티치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편직기의 한 부분이 도시되었다. 실린더(30)가 회전함에 따라서 바늘 슬롯에 수용된 바늘(10)은 종래의 방법대료 편직 스티치의 경로를 만드는 수직 운동을 통해 이동하게 된다. 바늘 캠(33)은 고정 세그먼트(34) 및 수직이동 세그먼트(35)를 포함한다.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그먼트(45)는 두 개의 수직으로 구별된 위치를 갖는다. 도 4에서 바늘(10)은 편환이 후크(12)의 상측에서 벗겨진 위치까지 낮아진다. 도 8,9를 참조. 도 5에서 바늘(10)은 편환이 후크(12)의 상측에서 벗겨지지 않은 높은 위치까지 낮아진다. 도 6,7 참조.
도 10에 바늘(10) 및 싱커(40)에 대한 편향기의 구조가 도시되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형 단부영역(22)은 선택된 바늘(10)에 형성된 편환이 인접한 바늘(10)에 전달되도록 인접한 바늘(10)의 평면을 충분히 지나가고 인접한 싱커(40)를 지나쳐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환이 전달되던지 그렇지 않던지 바늘 캠(35)의 위치에 따라 선택된 바늘에서 유지된다.
도 7,9에 최종 스티치가 도시되었다.
도 11에 도 9를 따르는 노런 스티치 구조를 갖는 직물의 실제 단편이 도시되었다. 편환이 인접한 바늘에 완전히 전달되는 좀더 개방된 스티치가 도 12에 도시되었다. 패턴을 따라 도 4,5에 도시된 위치 사이에서 바늘 캠(35)을 옮겨서, 엷은 양말 혹은 다른 양말 제품이 도 7,9에 도시된 형식의 스티치를 조합하여 제조될 수있다.
도 13,14에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바늘(10)의 후크(10)가 도시되었다. 관통시 인접한 후크로부터 전달되는 편환을 돕기 위해 후크(12)는 상측의 뾰족한 끝부분 형태를 갖지 않는다. 오히려 후크(12)의 가장앞쪽 영역이 몸체(11)의 평면 이상으로 바깥쪽을 향해 연장되고 종래의 바늘 보다 위쪽에서 테이퍼지도록 후크(12)는 전방쪽으로 경사졌다. 또한 바늘의 후크영역 두께는 줄어들고 바늘몸체(11)의 두께 보다 얇다.
도 13,14에 다음과 같이 도시되었다.
1. 크기(B-C)는 "직경"으로 표시된 부분에서 후크의 직경에 두배이며.
2. 크기(A-B)는 크기(B-C)의 3배이고,
3. 후크(12)의 두께는 몸체(11) 두께의 약 3/5인데,
"A"는 몸체(11)의 평면이고, "B"는 후크(12)의 가장 높은 지점이고, " C"는 후크(12)의 전방표면이고, "D"는 크기(A-D)에서 몸체(11)의 앞쪽이다.
크기(C-D)는 크기(B-C)의 1.5배이다.
이러한 설계로 인해서 높은 안정성을 갖고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동안 편환 안으로 바늘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얇은 굵기의 오픈웍 관상형으로 편직된 직물을 만들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전술되었다.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의 전술된 설명 및 최적의 상태는 설명을 위한 것이며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Claims (20)

  1. 관상형 편직물에 오프닝을 만들기 위한 방법은
    (a) 바늘 실린더의 축방향 바늘 슬롯에 장착된 여러개의 바늘을 갖는 편직기를 제공하는데, 각각의 상기 바늘은 후크를 열고 닫기 위해 후크의 아래쪽 바늘몸체에 피벗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래치 및 바늘몸체의 상측 단부에 형성된 후크를 갖고, 바늘로 형성된 얀의 편환을 인접한 바늘의 수직면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기를 포함하고 제 1,2 수직으로 이격된 위치 사이에서 상호 이동하도록 장착된 바늘 캠을 포함하며,
    (i) 제 1 위치에서 바늘 캠은 얀의 편환이 선택된 편환 형성바늘로부터 해제되어 전달 바늘로 전달되는 위치로 바늘을 계속해서 낮추고,
    (ii)제 2 위치에서, 바늘 캠은 편직물에서 노런 스티치를 형성하기 위해 선택된 편환형성 바늘에서 해제되지 않고 바늘을 형성하는 선택된 편환에 인접한 전달바늘에 얀의 편환이 전달되는 위치까지 바늘을 연속적으로 낮추고,
    (b) 편환이 전달되는 것으로부터 바늘을 선택하며,
    (c) 인접한 바늘이 편향된 편환에 대해서 낮춰지고 간접하지 않는 관계에 있을 때 편환을 선택된 바늘의 수직면에서 벗어나게 해서 인접한 바늘의 수직면으로 측면으로 평향시켜 선택된 바늘의 편환을 넓히고,
    (d) 인접한 바늘을 확대된 편환에 위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e) 바늘캠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 편향된 편환으로부터 선택된 바늘을 제거하는데, 편환은 인접한 바믈에 전달되어 직물에 오프닝을 만들고,
    (f) 바늘 캠이 제 2 위치에 있을 때, 편환이 인접한 바늘에 전달되어 직물에 노런 오프닝을 만드는 동안 선택된 바늘에 편향된 편환을 유지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a) 관상형 편직물에 원하는 패턴의 오프닝을 나타내는 정해진 오픈웍 패턴을 만들고,
    (b) 정해진 패턴을 따라 제 1 항의 단계를 수행하여 정해진 패턴을 따라 오픈웍 패턴을 갖는 관상형 편직물을 만드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 혹은 제 2 항에 있어서, 기계는 미세 게이지 편직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선택된 바늘의 편환을 넓히는 단계는 바늘의 상측방향에서 바늘의 하측으로 얀의 편환에 대해 선택된 바늘을 이동시키며 점진적으로 경사진 편환 접촉면을 지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직기는 미세 게이지 양말기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점진적으로 경사진 접촉표면은 바늘 몸체에서 인접한 바늘 쪽으로 측면 바깥쪽을 향해 연장되고 바늘의 몸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편향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편직물에 오프닝을 만들기 위한 장치는
    (a) 바늘 실린더의 축방향 바늘 슬롯에 장착된 여러개의 바늘을 갖는 편직기로 구성되는데, 각각의 상기 바늘은 후크를 열고 닫기 위해 후크의 아래쪽 바늘몸체에 피벗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래치 및 바늘몸체의 상측 단부에 형성된 후크를 갖고, 바늘로 형성된 얀의 편환을 인접한 바늘의 수직면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기를 포함하고,
    (b) 제 1,2 수직으로 이격된 위치 사이에서 상호 움직이는 바늘캠으로 구성되는데 있어서,
    (i) 제 1 위치에서 바늘 캠은 얀의 편환이 선택된 편환 형성바늘로부터 해제되어 전달 바늘로 전달되는 위치로 바늘을 계속해서 낮추고,
    (ii) 제 2 위치에서, 바늘 캠은 편직물에서 노런 스티치를 형성하기 위해 선택된 편환형성 바늘에서 해제되지 않고 바늘을 형성하는 선택된 편환에 인접한 전달바늘에 얀의 편환이 전달되는 위치까지 바늘을 연속적으로 낮추고,
    (iii) 바늘 캠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 편향된 편환에서 선택된 바늘을 제거하여 편환을 인접한 바늘에 전달하여 직물에 오프닝을 만들고,
    (c) 바늘 캠이 제 2 위치에 있을 때, 편환이 인접한 바늘에 전달되어서 직물에 노런 오프닝을 만드는 동안 편향된 편환은 선택된 바늘에서 유지되며,
    (d) 편환이 전달되는 것으로부터 바늘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기,
    (e) 인접한 바늘이 편향된 편환에 대해서 낮춰지고 간접하지 않는 관계에 있을 때 편환을 선택된 바늘의 수직면에서 벗어나 인접한 바늘의 수직면으로 편향시켜서 선택된 바늘의 편환을 확대시키기 위한 선택된 바늘에 의해 수용되는 편향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a) 편직물에 원하는 패턴의 오프닝을 나타내는 정해진 오픈웍 패턴을 저장하고 바늘을 선택하고 정해진 패턴을 따라 편환을 전달하여서 정해진 패턴을 따라 오픈웍 패턴을 갖는 편직물을 만들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7 항 혹은 제 8 항에 있어서, 기계는 미세 게이지 편직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선택된 바늘은 점진적으로 경사진 편환 접촉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점진적으로 경사진 접촉표면은 바늘몸체에서 인접한 바늘쪽으로 측면 바깥쪽을 향하여 연장되고 바늘의 몸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편향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직기는 미세 게이지 양말기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기는 싱커와 간섭하지 않는 관계로 주위에 연장되기 위한 연장부의 말단단부 위의 아치형 단부영역과 함께 바늘몸체에서 끝부분 단부쪽으로 바깥쪽을 향해 아래쪽으로 기울어져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아치형 단부영역은 바깥쪽으로 돌출된 정지 부재가 없이 종단된 상단 편향기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관상형 직물에 오프닝을 만드는 방법은
    (a) 바늘 실린더의 축방향 바늘 슬롯에 장착된 여러개의 바늘을 갖는 편직기를 제공하는데, 각각의 바늘은 후크를 열고 닫기 위해 후크 아래의 바늘몸체에 피벗 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된 래치와 바늘몸체의 상측단부에 형성된 후크를 갖으며, 바늘에 의해 형성되는 얀의 편환을 인접한 바늘의 수직면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기를 포함하고, 편환 전달에 영향을 주기 위해 바늘을 연속적으로 낮추도록 위치한 제 1,2 바늘캠으로 포함하는데 있어서,
    (i) 제 1 캠은 얀의 편환이 선택된 편환 형성바늘로부터 해제되어 전달 바늘로 전달되는 위치로 바늘을 계속해서 낮추고,
    (ii) 제 2 캠은 편직물에서 노런 스티치를 형성하기 위해 선택된 편환형성 바늘에서 해제되지 않고 바늘을 형성하는 선택된 편환에 인접한 전달바늘에 얀의 편환이 전달되는 위치까지 바늘을 연속적으로 낮추고,
    (b) 편환이 전달되는 것으로부터 바늘을 선택하며,
    (c) 인접한 바늘이 편향된 편환에 대해서 낮춰지고 간접하지 않는 관계에 있을 때 편환을 선택된 바늘의 수직면에서 벗어나게 해서 인접한 바늘의 수직면으로 측면으로 평향시켜 선택된 바늘의 편환을 넓히고,
    (d) 인접한 바늘을 확대된 편환에 위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e) 제 1 바늘캠이 바늘을 낮출 때 편향된 편환으로부터 선택된 바늘을 제거하는데, 편환은 인접한 바늘에 전달되어서 직물에 오프닝을 만들고,
    (f) 제 2 바늘캠이 바늘을 낮출 때 편환이 인접한 바늘에 전달되어서 직물에 노런 오프닝을 만들동안 선택된 바늘에서 편향된 편환을 유지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편직물에 오프닝을 만들기 위한 장치는
    (a) 바늘 실린더의 축방향 바늘 슬롯에 장착된 여러개의 바늘을 갖는 편직기로 구성되는데, 각각의 상기 바늘은 후크를 열고 닫기 위해 후크의 아래쪽 바늘몸체에 피벗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래치 및 바늘몸체의 상측 단부에 형성된 후크를 갖고, 바늘로 형성된 얀의 편환을 인접한 바늘의 수직면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기를 포함하고,
    (b) 개별의 편환 전달위치에 바늘을 연속적으로 낮추기 위해 장착된 제 1,2 바늘캠으로 구성되는데 있어서,
    (i) 제 1 바늘캠은 얀의 편환이 선택된 편환 형성바늘로부터 해제되어 전달 바늘로 전달되는 위치로 바늘을 계속해서 낮추고,
    (ii) 제 2 바늘캠은 편직물에서 노런 스티치를 형성하기 위해 선택된 편환형성 바늘에서 해제되지 않고 바늘을 형성하는 선택된 편환에 인접한 전달바늘에 얀의 편환이 전달되는 위치까지 바늘을 연속적으로 낮추고,
    (c) 편환이 전달되는 것으로부터 바늘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기,
    (d) 인접한 바늘이 편향된 편환에 대해서 낮춰지고 간접하지 않는 관계에 있을 때 편환을 선택된 바늘의 수직면에서 벗어나 인접한 바늘의 수직면으로 편향시켜서 선택된 바늘의 편환을 확대시키기 위한 선택된 바늘에 의해 수용되는 편향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전방 및 후방 평면(A,D)이 있는 몸체, 가장 높은 지점(B), 전방평면(C) 및 직경을 갖는 몸체의 상측단부에 있는 후크, 몸체의 하측단부에 인접한 끝부분,후크를 선택적으로 열고 닫기 위해 피벗부착된 래치, 바늘에 의해 형성된 얀의 편환을 인접한 바늘의 수직면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기를 갖는 편직기에서, 개선점은
    (a) 후크의 직경에 대해서 두 배인 직경(B-C),
    (b) 직경(B-C)에 대해서 세 배인 직경(A-B)을 갖는 후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17. 전방 및 후방 평면(A,D)이 있는 몸체, 가장 높은 지점(B), 전방평면(C) 및 직경을 갖는 몸체의 상측단부에 있는 후크, 몸체의 하측단부에 인접한 끝부분,후크를 선택적으로 열고 닫기 위해 피벗부착된 래치, 바늘에 의해 형성된 얀의 편환을 인접한 바늘의 수직면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기를 갖는 편직기에서, 개선점은
    (a) 후크의 직경에 대해서 두배인 직경(B-C),
    (b) 직경(B-C)에 대해서 세 배인 직경(A-B)을 갖는 후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몸체에 대한 후크의 두께비율은 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
  19. 관상형 편직물에 오프닝을 만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a) 바늘 실린더의 축방향 바늘 슬롯에 장착된 여러개의 바늘을 갖는 편직기를 제공하는데, 각각의 바늘은 후크를 열고 닫기 위해 후크 아래의 바늘몸체에 피벗 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된 래치와 바늘몸체의 상측단부에 형성된 후크를 갖으며, 바늘에 의해 형성되는 얀의 편환을 인접한 바늘의 수직면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기를 포함하고, 편환 전달에 영향을 주기 위해 바늘을 연속적으로 낮추도록 위치한 제 1,2 바늘캠으로 포함하는데 있어서,
    (i) 제 1 캠은 얀의 편환이 선택된 편환 형성바늘로부터 해제되어 전달 바늘로 전달되는 위치로 바늘을 계속해서 낮추고,
    (ii) 제 2 캠은 편직물에서 노런 스티치를 형성하기 위해 선택된 편환형성 바늘에서 해제되지 않고 바늘을 형성하는 선택된 편환에 인접한 전달바늘에 얀의 편환이 전달되는 위치까지 바늘을 연속적으로 낮추고,
    (b) 편환이 전달되는 것으로부터 바늘을 선택하며,
    (c) 인접한 바늘이 편향된 편환에 대해서 낮춰지고 간접하지 않는 관계에 있을 때 편환을 선택된 바늘의 수직면에서 벗어나게 해서 인접한 바늘의 수직면으로 측면으로 평향시켜 선택된 바늘의 편환을 넓히고,
    (d) 인접한 바늘을 확대된 편환에 위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e) 제 1 바늘캠이 바늘을 낮출 때 편향된 편환으로부터 선택된 바늘을 제거하는데, 편환은 인접한 바늘에 전달되어서 직물에 오프닝을 만들고,
    (f) 제 2 바늘캠이 바늘을 낮출 때 편환이 인접한 바늘에 전달되어서 직물에 노런 오프닝을 만들 동안 선택된 바늘에서 편향된 편환을 유지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편직물에 오프닝을 만들기 위한 장치는
    (a) 바늘 슬롯에 장착된 여러개의 바늘을 갖는 편직기로 구성되는데, 각각의 상기 바늘은 후크를 열고 닫기 위해 후크의 아래쪽 바늘몸체에 피벗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래치 및 바늘몸체의 상측 단부에 형성된 후크를 갖고, 바늘로 형성된 얀의 편환을 인접한 바늘의 수직면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기를 포함하고,
    (b) 개별의 편환 전달위치에 바늘을 연속적으로 낮추기 위해 장착된 제 1,2 바늘캠으로 구성되는데 있어서,
    (i) 제 1 바늘캠은 얀의 편환이 선택된 편환 형성바늘로부터 해제되어 전달 바늘로 전달되는 위치로 바늘을 계속해서 낮추고,
    (ii) 제 2 바늘캠은 편직물에서 노런 스티치를 형성하기 위해 선택된 편환형성 바늘에서 해제되지 않고 바늘을 형성하는 선택된 편환에 인접한 전달바늘에 얀의 편환이 전달되는 위치까지 바늘을 연속적으로 낮추고,
    (c) 편환이 전달되는 것으로부터 바늘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기,
    (d) 인접한 바늘이 편향된 편환에 대해서 낮춰지고 간접하지 않는 관계에 있을 때 편환을 선택된 바늘의 수직면에서 벗어나 인접한 바늘의 수직면으로 편향시켜서 선택된 바늘의 편환을 확대시키기 위한 선택된 바늘에 의해 수용되는 편향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27014478A 2001-02-28 2001-04-12 노런 오픈웍 패턴을 만들기 위해 선택된 바늘에서부터 인접한 바늘로 루프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루프전달 뜨게바늘 KR1008362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796,010 US6321578B1 (en) 2001-02-28 2001-02-28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loop from a selected needle to an adjacent needle for creating a decorative open-work pattern with no-run stitch and loop transfer knitting needle
US09/796,010 2001-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3967A true KR20020093967A (ko) 2002-12-16
KR100836294B1 KR100836294B1 (ko) 2008-06-09

Family

ID=25167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4478A KR100836294B1 (ko) 2001-02-28 2001-04-12 노런 오픈웍 패턴을 만들기 위해 선택된 바늘에서부터 인접한 바늘로 루프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루프전달 뜨게바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321578B1 (ko)
EP (1) EP1364085B1 (ko)
JP (1) JP2004519563A (ko)
KR (1) KR100836294B1 (ko)
AU (1) AU2001253450A1 (ko)
DE (1) DE60132491T2 (ko)
IT (1) ITBS20010023A1 (ko)
WO (1) WO200207079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819B1 (ko) * 2008-03-31 2009-12-11 김민수 환편기 및 이를 이용하는 편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39752B1 (en) * 2002-06-10 2003-04-01 Francesco Gavagnin Apollonio Fine gauge knitted fabric with open-work pattern
ITMI20051190A1 (it) * 2005-06-23 2006-12-24 Santoni & C Spa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manufatti a maglia con macchine circolari per maglieria con cilindro degli aghi azionabile con moto rotatorio attorno al suo asse in ambedue i sensi di rotazione particolarmente con macchine circolari ad elevata fine
ITMI20051189A1 (it) * 2005-06-23 2006-12-24 Santoni & C Spa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manufatti a maglia con macchine circolari per maglieria particolarmente con macchine circolari ad elevata finezza
ATE462814T1 (de) * 2005-11-18 2010-04-15 Santoni & C Spa Nadel zur übergabe von maschen an benachbarte nadeln für strick- oder wirkmaschinen oder dergleichen
EP1921189B1 (de) * 2006-11-09 2011-05-11 Groz-Beckert KG Maschinenstricknadel
ITMI20080121A1 (it) * 2008-01-28 2009-07-29 Santoni & C Spa Ago per operare il trasferimento di punti di maglia dallo stesso ago ad aghi adiacenti per macchine per maglieria, calzetteria o simili.
US10519577B2 (en) 2016-05-05 2019-12-31 Nike, Inc. Circular knitted garment with apertures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97865A (en) * 1961-08-29 Philip
US2083301A (en) * 1934-09-18 1937-06-08 Jones Thomas Henry Knitted fabric
GB446670A (en) * 1934-10-29 1936-04-29 Thomas Henry Jones Improvements in the means for and method of producing knitted fabric
GB458086A (en) * 1935-06-11 1936-12-11 Thomas Henry Jones Improvements in the means for and method of producing knitted fabrics
US2076896A (en) * 1935-06-11 1937-04-13 Hosiery Developments Ltd Means for producing knitted fabrics
US2188125A (en) * 1937-12-30 1940-01-23 Wigley Arthur Transfer instrument
US2292940A (en) * 1940-02-13 1942-08-11 Wildt & Co Ltd Loop transferring instrument for knitting machines
US2953914A (en) * 1950-08-23 1960-09-27 Rudolph E Zerumeith Stitch-transfer needle for knitting machines
US2780082A (en) * 1950-08-23 1957-02-05 Rudolph E Zeruneith Loop transfer method
US3110167A (en) * 1958-11-01 1963-11-12 Parthum Richard Method of making a knit fabric
JPS4932291Y1 (ko) * 1968-04-06 1974-08-31
JPS4327980Y1 (ko) * 1968-04-25 1968-11-18
DE1811053A1 (de) * 1968-11-26 1970-08-06 Texpatent S A R L Textile Maschenware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 ihrer Herstellung
US3584481A (en) * 1969-03-06 1971-06-15 Teihichi Kayashi Knitting needle for transferring stitches
US3609998A (en) * 1969-09-08 1971-10-05 Whirkmaschinenbau Karl Marx St Circular knitting machine with a pivotable half dial
GB1383240A (en) * 1971-03-29 1975-02-05 Rumi G Circular knitting machine
JPS5947061B2 (ja) * 1973-10-09 1984-11-16 ルミ グエリノ 移動ステツチ模様のついたストツキングのような編物を製作するための円形編機
JPS5463032U (ko) * 1977-10-12 1979-05-02
JPS5872189U (ja) * 1980-07-29 1983-05-16 株式会社 桜井製作所 横移し針
CH664392A5 (de) * 1984-12-18 1988-02-29 Dubied & Cie Sa E Zungennadel fuer maschenuebertragung.
JPS6433591U (ko) * 1987-08-19 1989-03-01
JPH01246449A (ja) * 1988-03-25 1989-10-02 Yoshizumitaketarou Shoten:Kk ループ移転装置
US5222379A (en) * 1990-03-15 1993-06-29 Nagata Seiki Kabushiki Kaisha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body suits and the like
DE4240037C2 (de) * 1992-11-28 2001-02-08 Sipra Patent Beteiligung Schloßanordnung für eine Strickmaschine
US6089045A (en) * 1999-02-02 2000-07-18 Edelweiss Manufacturing C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loop from a selected needle to an adjacent needle for creating a decorative open work pattern
US6085554A (en) * 1999-02-02 2000-07-11 Edelweiss Manufacturing Co., Inc. Loop transfer needle for a circular knitting machine
US6170299B1 (en) * 1999-02-02 2001-01-09 Edelweiss Manufacturing C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loop from a selected needle to an adjacent needle for creating a decorative open-work patter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819B1 (ko) * 2008-03-31 2009-12-11 김민수 환편기 및 이를 이용하는 편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70799A3 (en) 2003-03-13
ITBS20010023A1 (it) 2002-09-16
JP2004519563A (ja) 2004-07-02
AU2001253450A1 (en) 2002-09-19
EP1364085A2 (en) 2003-11-26
EP1364085A4 (en) 2003-11-26
US6321578B1 (en) 2001-11-27
WO2002070799A2 (en) 2002-09-12
AU2001253450A8 (en) 2005-10-13
DE60132491D1 (de) 2008-03-06
EP1364085B1 (en) 2008-01-16
KR100836294B1 (ko) 2008-06-09
DE60132491T2 (de) 200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9752B1 (en) Fine gauge knitted fabric with open-work pattern
KR101187217B1 (ko) 특히, 3차원 형상의 의류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환편기
KR100948216B1 (ko) 플러쉬 직물을 제조하는 환편기
EP1091033B1 (en) Circular knitted fabric and method for forming article from the same
KR100470002B1 (ko) 하이(high)-로우(low)플러쉬편제품과이를제조하기위한장치및방법
EP1054089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ubular items, such as hosiery items or the like, which are closed at an axial end, using a single-cylinder circular machine
EP0472743B1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body suit etc.
EP2567011B1 (e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and a method for knitting an article with a circular knitting machine
US608904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loop from a selected needle to an adjacent needle for creating a decorative open work pattern
KR100836294B1 (ko) 노런 오픈웍 패턴을 만들기 위해 선택된 바늘에서부터 인접한 바늘로 루프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루프전달 뜨게바늘
SK41093A3 (en) Multiple yarn feed circular knitting machine, in particular for stockings
JPH03193955A (ja) インレイパイル糸を有する編地およびその製法
US617029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loop from a selected needle to an adjacent needle for creating a decorative open-work pattern
US6085554A (en) Loop transfer needle for a circular knitting machine
US372611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knitting a net fabric
JPH04272259A (ja) ジャカードパイル編地の編成方法及び装置
US6230523B1 (en) Loop transfer needle for a circular knitting machine
KR20030038662A (ko) 장식용 오픈워크 패턴의 고리를 만들기 위해 고리를옮기는 방법
JPH0345755A (ja) パイル柄出し装置
JPH03269141A (ja) 丸編機のパイル編成装置
ITBS990054A1 (it) Metodo e dispositivo per trasportare un punto di maglia da un ago selezionato ad un ago adiacente per creare un disegno di aperture decorat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