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0922A -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킷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0922A
KR20020090922A KR1020020029814A KR20020029814A KR20020090922A KR 20020090922 A KR20020090922 A KR 20020090922A KR 1020020029814 A KR1020020029814 A KR 1020020029814A KR 20020029814 A KR20020029814 A KR 20020029814A KR 20020090922 A KR20020090922 A KR 20020090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door
bearing arm
ki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9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2997B1 (ko
Inventor
슈테판 뫼니히
Original Assignee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020090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0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2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29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6Mounting of handles, e.g. to the wing or to the 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4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05B85/18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a longitudinal grip part being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 pa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53Mounting and attach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64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00Locks
    • Y10S70/31Handle assembly, lock-control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57Operators with knobs or han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611For control and machine elements
    • Y10T70/5757Handle, handwheel or knob
    • Y10T70/5761Retractable or flush hand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611For control and machine elements
    • Y10T70/5757Handle, handwheel or knob
    • Y10T70/5765Rotary or swinging
    • Y10T70/577Locked stationa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611For control and machine elements
    • Y10T70/5757Handle, handwheel or knob
    • Y10T70/5832Lock and hand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킷에 관한 것이다. 킷에서 지지대는 도어 내면에 부착되고, 손잡이는 도어 외면에 조립된다. 상기 손잡이는 지지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도어 외장의 한 부분을 관통하는 샤프트를 갖는다. 보다 편리한 조립을 위해서, 상기 손잡이의 지지를 위한 연결 수용부를 갖는 베어링 아암을 상기 지지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하는 것이 제안된다. 상기 수용부 내로 손잡이로부터의 샤프트 단부가 끼워질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샤프트 단부는 연결 플러그로서의 기능을 한다. 상기의 맞물림 연결을 보장하기 위하여, 제동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맞물림 연결은 멈춤 위치가 구비된 스프링 하중식 멈춤 부재에 의하여 실행된다. 상기 제동 장치는 연결시에 손잡이 샤프트 단부에 제공된 맞 멈춤 위치 내로 맞물린다. 상기 제동 장치는 연결의 보장을 위하여 상기 멈춤 부재의 스프링백 경로로 돌출해 있는 방해물에 의하여 실행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킷{OUTER DOOR HANDLE KIT, ESPECIALLY FOR VEHICLES}
본 발명은, 도어 내면에서 도어 외장에 부착가능한 지지대 및 도어 외면으로부터 상기 부착된 지지대에 조립가능한 손잡이로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가 조립 이후에는 상기 지지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손잡이의 한 단부에는 도어 외장에 있는 한 부분을 관통하여 끼워질 수 있는 샤프트가 구비된,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킷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에 상기 킷은 서로 분리된 2개의 구성 부품, 즉 도어 내면에 부착될 지지대 및 도어 손잡이로 이루어진다. 지지대가 부착된 이후에 손잡이는 도어 외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대에 조립되고, 그에 따라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손잡이의 한 단부는, 상기의 조립시에 도어 강판의 한 부분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샤프트를 구비한다.
이러한 종류의 공지된 킷(DE 30 30 519 C2)에서는 손잡이가 당김 손잡이로서 형성되고, 샤프트에 마주 놓인 상기 손잡이의 단부는 지지대에 있는 회전 베어링에 유지된다. 상기 조립된 손잡이의 샤프트는 부착된 지지대를 단단히 물게되고, 도어 내면 상에 설치된 잠금 레버와 상호 작용된다.
지지대에 손잡이를 지지시키기 위하여 또한 샤프트를 활용하는 것은 이미 제안되어 있다(비공개 DE 199 40 379 A1). 이 경우에, 상기 손잡이는 2개의 베어링 위치를 거쳐서 지지대에 결합되고, 조립된 이후에는 그에 따라서 수평의 축 내지는 기울어진 축을 중심으로 접힘 동작된다. 이를 위해서, 구성유닛으로서 상기 지지대는 회전가능한 베어링 아암과 결합된다. 상기 베어링 아암은 샤프트 단부에 설치된 연결 플러그를 위하여 연결 수용부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 수용부와 연결 플러그 사이의 맞물림 영역 내에는 도어 이음자리 내에 있는 구멍으로부터 접근가능한 제동 장치가 설치된다. 제동 장치의 경우에서는 맞물림 연결이 보장되며, 그러므로 예기치않은 해체가 방지된다.
다수의 적용예의 경우에서 손잡이 샤프트 단부와 베어링 아암 사이의 연결 영역 내에는 제동 수단을 접근 불가능하게 만드는 부품들이 있다. 그러한 부품들은 예컨대 지지대 내에 있는 키 실린더 또는 상기 키 실린더를 대신하는 블라인드 삽입물(Blind-Einsaetz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들에서는 손잡이 샤프트와 지지대측 베어링 아암 사이의 바람직한 연결 조립이 잘 될 수가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불리한 경우에서도 상기의 연결 조립을 즉각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만능의 사용가능한 킷을 개발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손잡이를 지지시키기 위하여 이미 상기 지지대가 연결 수용부가 있는 베어링 아암을 가지며, 상기 손잡이의 샤프트 단부가 손잡이의 조립시에 상기 베어링 아암의 연결 수용부 내로 맞물리는 연결 플러그로서 형성되며, 상기 연결플러그와 연결 수용부 사이의 연결 영역 내에는 도어 외장의 도어 이음자리 내에 있는 구멍을 통해서 접근가능하고, 제동시에 맞물림 연결을 보장하는 제동 장치가 배치되며, 상기 베어링 아암에는 스프링 하중식이고, 멈춤 위치가 있는, 이동가능한 멈춤 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연결 플러그의 손잡이 샤프트 단부에는 멈춤 부재를 위한 맞 멈춤 위치가 구비되며, 상기 제동 장치가 조정가능한 방해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해물은 연결의 제동시에 멈춤 부재의 스프링백 경로로 돌출하고, 상기 멈춤 부재를 연결 플러그 내에 있는 멈춤 맞물림에서 제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킷에 의하여 달성되며, 상기 조치들은 하기의 특별한 중요성과 일치한다.
상기 멈춤 수단의 제동 장치는 연결 위치로부터 간격을 두고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어 이음자리 내에 있는 측면의 구멍으로부터의 접근을 보장하기 위하여, 충분히 크게 치수가 정해진 간격이 선택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대의 영역 내에 있는 예컨대 키 실린더와 같은 방해물들이 제동 장치로의 접근을 더 이상 방해하지 못한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상기 멈춤 수단은 하기와 같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손잡이측 샤프트 단부와 지지대측 베어링 아암 사이의 맞물림 연결은 연결 및 해체시에 쉽게 조정이 가능한 멈춤의 힘을 발생시키고, 정해진 연결 상태를 잠정적으로 결정짓는 멈춤 수단에 의해 예비 보장된다. 상기 잠정적인 연결 상태는 연결 및 해체 동안 진행되는 상기 멈춤 수단의 멈춤 동작을 연결이 완료된 이후에 차단시키는 방해물에 의해 제동될 수 있다.
상기 멈춤 수단은 베어링 아암에서 동작되는 멈춤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멈춤 부재는 스프링 하중식이고, - 연결시에는 - 그 멈춤 위치가 연결 플러그의 영역 내에 위치하는 맞 멈춤 위치 내로 돌출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멈춤 부재의 멈춤 맞물림을 연결 플러그 내에서 제동시키기 위하여, 언급한 방해물을 상기 멈춤 부재의 스프링 백 경로 내로 옮기는 것만 요구될 뿐이다.
도 1 및 도 2는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에 예비조립된 몰드 쉘(mold shell)로 이루어진 구성유닛의 전방 사시도 및 후방 사시도이며,
도 3은 도어 외장의 도어 내면에 부착되기 이전, 도 1 및 도 2의 구성유닛에 부속된 지지대의 배면도이며,
도 4는 공간상의 이유로 중간부분이 생략된 간단한 평면도로서, 조립이 완성되어 한 편에는 도 1 및 도 2의 조립 부품 및 다른 한 편에는 도 3의 조립 부품이 도시되고, 그 사이에 놓인 도어 강판의 외형은 이점쇄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도 5는 결합되어 있는 도 4의 킷을 관통하는 절단선 Ⅴ - Ⅴ을 따르는 횡단면도로서, 또 다른 방해 요소가 킷에서 없어진 가운데, 킷에 있는 양쪽 부품의 연결 동작이 시작되는 단계이며,
도 6은 상기 지지대에 지지된 베어링 아암을 관통하는 절단선 Ⅵ - Ⅵ을 따르는 종단면도로서, 또 다른 요소가 없어진 상태이며,
도 7 및 도 8은 도 5 및 도 6과 동일한 단면도로서, 상기 베어링 아암이 여전히 그 조립 상태에 있는 경우에, 상기 연결 과정이 끝난 이후의 부품이며, 그리고,
도 9 및 도 10은 유사한 단면도로서, 제동 장치에 의해 양쪽 부품의 맞물림 연결이 보장되는 경우에, 부착된 지지대에 있는 손잡이의 정지 상태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구성유닛(도 1, 도 2) 11: 도어 외면(도 4)
12: 도어 내면(도 4) 13: 도어 외장
14: 도어 이음자리(도 4) 15: (14) 내에 있는 구멍(도 4)
16: (41)을 위한 베어링 핀(도 3)
17: (23)을 끼우는 동작 화살표, 연결 동작(도 5)
17':(23)을 빼내는 동작, 연결 해체
18: (22)를 위하여 (40) 내에 있는 구멍(도 5)
19: (23)에 있는 진입 사면(도 1) 20: 손잡이
21: (20)의 조작 영역(도 1) 22: (20)에 있는 샤프트
23: 샤프트 단부, 연결 플러그(도 5) 24: (20)의 제 1 손잡이 단부(도 1)
25: (20)의 제 2 손잡이 단부(도 1)
26: (36)을 위한 고정된 돌출부, 언더컷(Hinterschnitt)(도 6)
27: 후크 헤드(도 4, 도 6) 28: 후크, 후크 샤프트(도 4)
29: (25)에 있는 연장 아암(도 2) 30: (10)의 몰드 쉘
31: (30)에 있는 덮개 32: (20)을 위한 제 2 베어링 위치
33: (31) 내에 있는 관통구(도 1) 34: (35)의 작동 단부(도 6)
35: 제동 수단, 조정 나사 35.1: (37)의 제동해제 자세(도 8)
35.2: (37)의 제동 자세(도 10) 36: (35)의 제 1 나사 부분
37: (35)의 제 2, 헤드측 나사 부분, 나사 헤드, 방해물
38: (32) 내에 있는 (35)를 위한 나사산 수용부
39: (35)를 위한 납작한 슬라이드 단부 40: 지지대, 제 2 조립 부품
41: (42) 및 (20)을 위한 제 1 베어링 위치 42: 베어링 아암
42.1: (42)의 조립 상태 42.0: (42)의 정지 상태
43: (23)을 위하여 (42) 내에 있는 연결 수용부
44: (42) 및 (20)을 위한 풀-백 스프링(Rueckstellfeder)
45: (42)의 스프링 하중에 대한 힘 화살표(도 3, 도 5, 도9)
46: (40) 내에 있는 원통 수용부(도 3) 47: 비조작의 화살표(도 3)
48: (35)의 조작 화살표(도 3) 49: (43)에 대한 (34)의 변위
50: 멈춤 부재, 슬라이드 51: (50)에 있는 멈춤 위치, 멈춤 돌출부(도 7)
52: (23)에 있는 맞 멈춤 위치, 멈춤 홈(도 7)
53: 스프링, (50)의 스프링 하중
54: (50)을 위하여 (42) 내에 있는 슬라이드의 가이드(도 5)
55: (50)의 길이방향 이동 화살표, 이동 경로(도 6)
56: (54)를 위하여 (50)에 있는, 함께 동작되는 쇼울더(도 6)
57: (54)를 위하여 (42)에 있는, 고정된 쇼울더(도 6)
58: (50)에 있는, 함께 동작되는 정지 장치(도 6)
59: 고정된 맞 정지 장치(도 6) 60: (20)의 작동 화살표(도 9)
61: (40)에 있는 (30)의 제 1 부착 위치(도 2)
62: (40)에 있는 (30)의 제 2 부착 위치(도 2)
63: 지레를 위한 최종 위치(도 3, 도 4)
64: (36)을 위하여 (27)에 있는 늘린 사면(Auflaufschraege)(도 4)
본 발명의 그 밖의 조치 및 장점은 종속항, 하기의 설명 및 도면에서 알 수 있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외부 도어 손잡이를 위한 상기 킷은 한 면에서 예비조립된 구성유닛(10)을 포함하며, 상기 구성유닛은 도 4에 표시된 도어 외장(13)의 도어 외면(11)으로부터 조립된다. 상기 도어 외면에 마주 놓인 도어 내면(12)에는 전술한 바 대로 도 3에서 볼 수 있는 지지대(40)가 부착되며, 상기 지지대는 단지 중요한 것들만 언급되어 있는 다수의 예비조립된 요소들로 이루어진 조립 부품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조립 부품(40)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베어링 아암(42)을 위하여 제 1 스프링 하중식 베어링 위치(41)를 포함한다. 상기 베어링 아암(42)은 연결 수용부(43)를 구비한다. 상기 베어링 영역(41) 내에 설치된 풀-백 스프링(44)은 도 3의 힘 화살표(45) 방향으로 작용하는 베어링 아암(42)의 스프링 하중(45)을 발생시킨다. 상기 베어링 아암의 회전 동작은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제한 정지 장치들에 의해 제한된다. 도 3에서는 보다 잘 보이게 하기 위하여, 다른 구성유닛(10)에 속한 손잡이(20)의 정지 상태를 표시하는 베어링 아암(42)의 정지상태(42.0)가 도시된다.
상기 구성유닛(10)은, 함께 예비조립된 손잡이(20)의 조작 영역(21) 내에서연장된 몰드 쉘(30)을 포함한다. 상기 몰드 쉘(30)은 조립시에 도어 외장(13) 내에 있는 (자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구멍을 덮게 되며, 이 경우에서 도 9에서 이점쇄선으로 표시된 도어 외장(13)의 도어 외면(11)에서 지지대(40)와 나란한 상태가 된다. 상기 몰드 쉘(30)의 나란한 상태는 지지대(40)에 대한 (자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고정 수단에 의해 보장된다. 상기 몰드 쉘(30)에는, 손잡이(20)와 일치하여 연장되고 관통구(33)가 구비된 덮개(31)가 설치된다. 조립 이후 상기 관통구(33)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지지대(40)의 원통 수용부(46) 내에 조립되는 (자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키 실린더와 정렬된다.
상기 지지대(40) 내에 있는 원통 수용부(46)에 조립된 키 실린더는 연결 수용부(43)의 영역 내에 놓여있는 베어링 아암(42)의 영역을 덮게 되기 때문에, 지지대(40)의 협소면으로부터는 도 3에서 화살표(47)로 표시된 조작이 베어링 아암(42)의 영역 내에서 실행되지 않는다. 지지대측 베어링 아암(42)이 특별하게, 도 5에서 볼 수 있는 보조선(42.1)으로 표시된 조립 상태에 있게 되면, 도 3에서 화살표(48)로 표시된 영역 내에서는 그러나 조작이 가능하다. 도 4 및 도 6에 표시된 바와 같이, 조작(48)은 도어 외장(13)의 도어 이음자리(14) 내에 있는 구멍(15)을 관통하는 공구를 수단으로 하여 수행된다. 도 5의 조립 상태(42.1)인 경우에는, 도 6의 단면도로부터 유추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여러 차레에 걸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기능들을 충족해야하는 조정 나사(35)의 작동 단부(34)가 접근가능하게 된다.
상기 조정 나사(35)의 제 1 기능은 도 5 및 도 6에 따른 베어링 아암(42)의전술한 조립 상태(42.1)를 보장하는 것이다. 상기 베어링 아암(42)의 베어링 위치(41)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베어링 핀(16)에 의해 지정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또 5에서 표시된 탄력(45)이 베어링 아암(42)에 가해지며, 상기 탄력은 일반적으로 상기 베어링 아암을 도 9에서 동일한 보조선(42.0)으로 표시된, 이미 언급한 정지 상태로 옮기려고 한다. 상기 조정 나사(35)는 그러나 제 1 나사 부분(36)을 가지며, 상기 제 1 나사 부분은 도 6에서 가장 잘 볼 수 있고 지지대(40)에 속해 있는 고정된 돌출부(26)와 함께 작용한다. 이러한 상황은 방해 요소가 없어져 있는 도 4의 평면도에서도 알 수 있다. 상기 돌출부(26)는 지지대(40)에 있는 후크(28)의 언더컷된 헤드(27)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어링 아암(42)의 조립 상태(42.1)에서는 그러므로 나사 부분(36)이 후크 헤드(27)의 언더컷(26)에 탄력적으로 인접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20)의 한 손잡이 단부(24)에는 회전 동작 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22)가 구비된다. 마주 놓여 있는 다른 한 손잡이 단부(25)는, 도 2에서 특히 잘 도시된 것과 같이, 연장 아암(28)을 거쳐서 몰드 쉘(30)의 후면에 있는, 이미 언급한 제 2 베어링 위치(32)에 연결된다. 그 결과, 구성유닛(10) 내에서 손잡이(20)와 몰드 쉘(30) 사이의 결합이 성립된다. 그 밖에도 도 2에서는, 상기 샤프트(22)가 몰드 쉘-덮개(31) 내에 있는 개구를 관통하여 돌출하고, 몰드 쉘(30)의 후면상으로 튀어나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손잡이(20)의 조립시에 상기 구성유닛(10) 전체가 조작되는데, 이것은 도 5 내지 도 10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구성유닛(10) 내에 있는 손잡이(20)를 위해서 제 2 베어링 위치(32)가 이미 있는 반면에, 도 3에 따른 시작상황에서는 상기 손잡이(20)를 위해 정해진 제 1 베어링 위치(41)가 우선은 작용하지 않는데, 그 이유로서 상기 제 1 베어링 위치는 본 경우에 지지대(40) 내로 통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 1 베어링 위치(41)는 그러나, 도 5 및 도 6에 그 시작단계가 표시되어 있는 연결에 의해 작용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구성유닛(10)은, 손잡이 샤프트(22)가 지지대(40) 내에 있는 구멍(18)을 관통하여 도 5의 동작 화살표(17)로 표시된 끼우는 동작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조작된다. 상기의 꽂음(17)시에 샤프트 단부(23)는 지지대측 베어링 아암(42)의 연결 수용부(43) 내부로 진입한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 단부(23)는 그 선단에 적합한 진입 사면(19)이 제공되어 있는 "연결 플러그"로 형성된다.
상기 꽂음 동작(17)시에 연결 플러그(23)가 멈춤 부재(50)와 함께 작용한다. 상기 멈춤 부재(50)는 베어링 아암(42)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스프링(53)에 의해 하중을 받는다. 상기 멈춤 부재(50)는 그 스프링 하중(53)으로 인하여 작용되는 멈춤 위치(51)를 베어링 아암(42)의 연결 수용부(43) 내로 파고 들도록 한다. 상기 멈춤 부재는 본 경우에서 슬라이드(50)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드는 베어링 아암(42)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54) 내에서 도 6에서 볼 수 있는 화살표(55) 방향으로 길이방향 이동된다. 상기 스프링 하중은 감겨있는 압력 스프링으로부터 발생되며, 상기 압력 스프링의 한 단부는 함께 동작되는 쇼울더(56)에 지지되고, 다른 한 단부는 베어링 아암(42)에 고정된 쇼울더(57)에 지지된다. 상기 멈춤 위치(51)가 연결 수용부(43)에서 최대한 밀어넣어진 자세는 상기슬라이드(50)와 함께 동작되는 정지 장치(58)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정지 장치는 이 경우에 베어링 아암(42)에 고정된 맞 정지 장치(59)에 지지된다.
도 7 및 도 8에서는 아암측 연결 수용부(43)와 샤프트(22)에 있는 연결 플러그(23) 사이의 연결 자세가 도시된다. 상기 연결 자세는 슬라이드측 멈춤 위치(51)가 샤프트측 맞 멈춤 위치(52)와 맞물리면서 결정된다. 이 경우에 상기 멈춤 위치(51)는 멈출 돌출부로서 형성되고, 상기 맞 멈춤 위치(52)는 멈춤 홈으로서 형성된다. 전술한 연결(17)시에 상기 멈춤 돌출부(51)는 샤프트 내의 멈춤 홈(52) 앞에 있는 융기부를 지나치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드(50)는 가이드(54) 내에서 전술한 길이방향 이동(55)을 실행한다. 이것은 그러나 단지,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조정 나사(35)의 헤드측 제 2 나사 부분(37)이 납작한 슬라이드 단부(39)의 이동 경로(55)의 장소에 있지 않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상기 조정 나사(35)는 베어링 아암(42)의 나사산 수용부(38) 내로 수용된다. 이 경우에 상기 조정 나사(35)는 2가지 최종 자세 사이에서 조정될 수 있는데, 그 중 하나의 최종 자세가 도 8에 보조선(35.1)으로 표시되고, 손잡이(20)의 연결(17)시에 내지는 반대로 해체시에 일어나며, 나중에 보다 상세하게 알 수 있기 때문에 "제동해제 자세"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동해제 자세(35.1)는 동시에 전술한 베어링 아암(42)의 조립 상태(42.1)를 결정짓는다. 이것은 제 1 나사 부분(36)이 고정된 돌출부(26)에 후면 맞물림으로써 일어난다.
샤프트측 연결 플러그(23)가 아암측 연결 수용부(43) 내로 연결된 이후에는 도 7 및 도 8에 따라서 상기 조립 상태(42.1)가 유지된다. 이것은 도 9 및 도 10에서 볼 수 있는 조치에 의해 일어난다. 상기 조치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도 7 및 도 8의 조립 상태(42.1)로부터 도 4의 도어 이음자리 내에 있는 구멍을 관통하여 화살표(48) 방향으로 공구가 유도되고, 상기 조정 나사(35)의 작동 단부(34)와 맞닿게 된다. 그런 다음에 상기 공구에 의해 조정 나사(35)는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보조선(35.2)으로 표시된 제 2 자세로 옮겨진다. 그런 다음에, 상기 조정 나사(35)가 후크(28)의 언더컷(26)을 더 이상 후면 맞물지 못할 만큼, 상기 나사 부분(36)이 풀리게 된다. 그러면 베어링 아암(42)이 자유로와지고, 상기 베어링 아암은 가해지는 전술한 스프링 하중(45)에 의해 이미 언급한 보조선(42.0)으로 표시된 도 9의 정지 상태로 옮겨진다. 그러면 상기 손잡이(20)가 최대한 진입되고, 최종 정지 장치에 의해 상기 정지 상태에서 단단히 붙잡힌다. 그러면 손잡이(20)에 속해있는 구성유닛(10)의 몰드 쉘(30)은 도 2에서 61 및 62로 표시된 위치가 부착수단에 의해 상기 지지대(40)에 고정될 수 있는 그 최종 위치에 이르게 된다. 그러면 상기 구성유닛(10)은 도어 외면(11)에 최종적으로 부착된다. 그러면 상기 손잡이는 도 2에 있는 쉘측 베어링 위치(32)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될 뿐만 아니라, 상기 베어링 아암(42)을 거쳐서 지지대측 베어링 위치(41)를 중심으로 또한 회전가능하게 된다.
양 베어링 위치(32, 41)는 손잡이(20)의 회전축을 결정짓는다. 그러면 상기 손잡이는 정지해 있는 몰드 쉘(30) 및 지지대(40)에 대하여 도 9의 작동 화살표(60) 방향으로 조작될 수 있다. 상기 작동(60)시에 손잡이(20)와 연결된 베어링 아암(42)은 자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활동 상태로 회전된다. 상기 베어링 아암(42)의 회전 동작은 레버를 거쳐서 도 3 및 도 4에서 63으로 표시된 위치에서 끝나는 지레에 전달된다. 상기 지레는 본 경우에서 상기 최종 위치(63)에 접속된 Bowden 케이블로 이루어지며, 상기 Bowden 케이블은 자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자물쇠 부재로 유도된다. 상기 자물쇠 부재들은 작동(60)시에 풀린다. 도어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아암(42)의 정지 상태(42.0) 내에서 조정 나사(35)의 작동 단부(34)는 더 이상 즉각적으로 도어 이음자리(14) 내에 있는 언급한 구멍(15)을 통하여 접근이 불가능하다. 그 뿐만 아니라, 상기 조정 나사(35)는 바로 그 자세(35.2)에서 아암측 수용부(43) 내에 플러그(23)가 맞물림 연결되는 것을 제동시키는 또 하나의 기능을 갖는다. 이 때문에 상기 조정 나사(35)의 자세(35.2)가 "제동자세"로서 표시되어야 한다. 이것은, 상기 헤드측 나사 부분(37)이, 도 10에 따라서, 점선(55)으로 표시된 슬라이드(50)의 이동 경로 내로 들어감으로써 일어난다. 이것은, 나사 헤드가 납작한 상부의 슬라이드 단부(39)를 후면 맞물리는 가운데 일어난다. 상기 슬라이드(50)가 차단됨으로써, 멈춤 돌출부(51)가 멈춤 홈(52)에 맞물리는 것이 보장된다.
또한 정지 상태(42.0)에서 조정 나사(35)의 작동 단부(34)가 도어 이음자리-구멍(15)으로부터 접근가능한 경우에 한해서, 상기 손잡이(10)의 간단한 해체가 준비될 수 있다. 그러면, 즉 도 10에서 볼 수 있는 정지 상태(42.0)에 있는 상기 조정 나사(35)를 도 10의 제동자세(35.2)로부터 도 8에서 볼 수 있는 제동해제 자세(35.1)에 이를 수 있도록 조정할 수가 있다. 그러면 상기 나사 부분(35)이 다시 도 6 및 도 8에서 볼 수 있는 빠져나간 자세로 될 수 있기는 하지만, 도 9 및 도 10의 정지 상태(42.0)에서는 전술한 도 4에서 볼 수 있는 후크 헤드(27)를 후면 맞물지는 못한다. 또한 도 4에서 볼 수 있는 나사 부분(36)은 그러면 그 곳에 있는 후크 헤드(27)의 상부에 놓이게 된다. 상기 후크 헤드에는 그러나 늘린 사면(64)이 제공되고, 후크(24)에 속해 있는 샤프트는 스프링 탄력을 받는다. 그런 다음에 손잡이(20)가 도 9의 화살표(60)에 따른 작동 방향으로 당겨지면, 도 4에서 앞에 있는 나사 부분(36)이 후크 헤드(27)의 늘린 사면(64)을 지나치게 되고, 후크의 언더컷(26) 뒤에서 스냅결합되고, 도 4에서 볼 수 있는 자세에 오게 된다. 그러면 다시 도 7 및 도 5에 따른 베어링 아암의 조립 상태(42.1)가 된다. 그러면 샤프트측 플러그(23)가 아암측 연결 수용부(43)로부터 도 7의 빼내어지는 화살표(17') 방향으로 해체가 가능하게 된다. 이에 대한 원인은 또한, 슬라이드(50)의 자유로운 길이방향 이동(55)에 있다. 도 9 및 도 10에서 방해물로서 작용하는 나사 헤드(37)는 이제 다시 도 8의 제동해제 자세(35.1)에 있게 된다. 상기 자세(35.1)는 슬라이드 가이드(54)의 바닥에 나사 헤드(37)를 갖다 댐으로써 경계가 정해진다. 상기 납작한 슬라이드 단부(39)가 풀리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해, 손잡이 샤프트와 지지대측 베어링 아암 사이의 바람직한 연결 조립이 어떠한 경우에도 능숙하게 이루어지는, 만능의 사용가능한 킷이 개발될 수 있다.

Claims (14)

  1. 도어 내면(12)에서 도어 외장(13)에 부착가능한 지지대(40) 및
    도어 외면(11)으로부터 상기 부착된 지지대(40)에 조립가능한 손잡이(20)로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20)가 조립 이후에는 상기 지지대(40)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손잡이의 한 단부(24)에는 도어 외장(13)에 있는 한 부분을 관통하여 끼워질 수 있는 샤프트(22)가 구비된,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킷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0)를 지지시키기 위하여 이미 상기 지지대(40)가 연결 수용부(43)를 갖춘 베어링 아암(42)을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20)의 상기 샤프트의 단부가 손잡이의 조립시에 상기 베어링 아암(42)의 연결 수용부(43) 내로 맞물리는 연결 플러그(23)로서 형성되며,
    상기 연결 플러그(23)와 연결 수용부(43) 사이의 연결 영역 내에는 도어 외장(13)의 도어 이음자리(14) 내에 있는 구멍(15)을 통해서 접근가능하고, 제동시에 맞물림 연결을 보장하는 제동 장치(35)가 배치되며,
    상기 베어링 아암(42)에는 스프링 하중식(53)이고, 멈춤 위치(51)가 있는, 이동가능한 멈춤 부재(50)가 배치되며,
    상기 연결 플러그(23)의 손잡이 샤프트 단부에는 멈춤 부재(50)를 위한 맞 멈춤 위치(52)가 구비되며,
    상기 제동 장치가 조정가능한 방해물(37)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해물(37)은연결의 제동시에 멈춤 부재(50)의 스프링백 경로로 돌출하고, 상기 멈춤 부재(50)를 연결 플러그(23) 내에 있는 멈춤 맞물림(51, 52)상태로 제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외부 손잡이 킷.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 부재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드(50)로 구성되며,
    상기 베어링 아암(42)이 상기 슬라이드(50)를 위한 가이드(5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외부 손잡이 킷.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54)가 상기 베어링 아암(42)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외부 손잡이 킷.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50)가 함께 동작되는 쇼울더(56)를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 아암(42)이 아암에 고정된 쇼울더(57)를 구비하며, 그 사이에는 멈춤의 힘을 슬라이드(50)로 가하는 스프링 부재(53)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외부 손잡이 킷.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50)가 함께 동작되는 정지 장치(58)를 구비하며,
    상기 정지 장치(58)가 스프링 하중(53)으로 인하여 아암에 고정된 맞 정지 장치(59)와 함께 작용함으로써, 연결 수용부(43) 내에서 멈춤 위치(51)의 밀어넣어진 자세를 최대로 결정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외부 손잡이 킷.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작용을 하는 방해물(35, 37)이 베어링 아암(42)에 설치되고, 연결 수용부(43)와 간격(49)을 두고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외부 손잡이 킷.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해물이 - 연결(23, 43)을 위한 제동작용 이외에도 - 상기 베어링 아암(42)을 정해진 회전 상태(조립 상태;42.1)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동시에 가지며,
    상기 베어링 아암(42)의 조립 상태(42.1)가 지지대(40)에 대한 손잡이(20)의 조립(17) 내지는 해체(17')를 최적화시키고 및/또는 도어 이음자리-구멍(15)으로부터 상기 방해물(53, 37)로의 접근을 최적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외부 손잡이 킷.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해물(35, 37)은,
    한편으로는, 맞물림 멈춤(51, 52)에 의해 맞물림 연결이 보장되기는 하지만 상기 베어링 아암(42)의 회전 동작이 풀어지게 되는 제동자세(35.2) 및
    다른 한편으로는, 맞물림 멈춤(51, 52)이 보장되지 않음으로써 손잡이(20)의 연결(17) 및 해체(17')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지지대(40) 내에 베어링 아암(42)의 조립 상태가 고정되어 있는 제동해제 자세(35.1)인 2가지 최종자세(35.1, 35.2) 사이에서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외부 손잡이 킷.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아암(42)이 방해물(37) 기능을 갖는 조정 나사(35)를 위하여 나사산 수용부(38)를 구비하며,
    상기 조정 나사의 작동 단부(34)가 나사조임에 이용되고, 조립 상태(42.1)에서 도어 이음자리(14) 내에 있는 구멍(15)으로부터 접근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외부 손잡이 킷.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나사(35)는,
    제동해제 자세(35.1)를 표시하는 제 1 나사 자세에서 지지대(40)에 있는 돌출부(26)와 함게 작용함으로써, 베어링 아암(42)의 조립 상태(42.1)를 고정시키는 제 1 나사 부분(36) 및
    제동자세(35.2)를 결정짓는 제 2 나사 자세에서 멈춤 부재 내지는슬라이드(50)의 이동 경로로 돌출하고, 손잡이(20)와 베어링 아암(42)의 연결(23, 43)을 보장하는 제 2 나사 부분(3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외부 손잡이 킷.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아암(42)이 손잡이(20)가 접힘 동작되는 방향으로 도어 외장(13)에서 하중을 받으며,
    상기 돌출부(26)가 접힘 동작되는 반대 방향으로 언더컷된 후크 헤드(27)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나사 부분(36)이 조정 나사(35)의 제 1 나사 자세(35.1)에서 상기 언더컷(26)을 후면 맞물게 되고, 베어링 아암(42)의 조립 상태(42.1)를 결정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외부 손잡이 킷.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해물의 작동 위치 내지는 상기 조정 나사(35)의 작동 단부(34)가 단지 베어링 아암(42)의 조립 상태(42.1)에서만 도어 이음자리(14)에 있는 구멍(15)으로부터 접근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외부 손잡이 킷.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작 영역(21) 내에 있는 손잡이(20)에 몰드 쉘(30)이 배치되고, 상기 몰드쉘(30)은 부착시에 도어 외면(11) 상에 놓이고 지지대(40)에 고정되며,
    상기 손잡이(20)가 상기 몰드 쉘(30)과 함께 예비조립되는 구성 부품(10)으로 형성되기는 하지만, 지지대(40)에 부착되어 있는 몰드 쉘(30)과는 달리 상기 손잡이(20)는 작동시 움직여지며,
    상기 구성유닛(10) 내에서 상기 손잡이(20)가 몰드 쉘(30)과 함께 베어링 위치(32)를 가지며,
    상기 몰드측 베어링 위치(32)는 베어링 아암측 베어링 위치(41)에 대하여 마주 놓인 손잡이 단부(25)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외부 손잡이 킷.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쉘(30)은 지지대(40)에 수용된(46) 키 실린더를 위하여 덮개(3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외부 손잡이 킷.
KR1020020029814A 2001-05-29 2002-05-29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킷 KR1008829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26045.8 2001-05-29
DE10126045A DE10126045A1 (de) 2001-05-29 2001-05-29 Türaußengriff-Bausatz, insbesondere für Fahrzeu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0922A true KR20020090922A (ko) 2002-12-05
KR100882997B1 KR100882997B1 (ko) 2009-02-12

Family

ID=7686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9814A KR100882997B1 (ko) 2001-05-29 2002-05-29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킷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44074B2 (ko)
EP (1) EP1262615B1 (ko)
KR (1) KR100882997B1 (ko)
AT (1) ATE290144T1 (ko)
DE (2) DE10126045A1 (ko)
ES (1) ES2234945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33309B4 (de) * 2000-07-04 2004-05-0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EP1408187B1 (de) * 2001-03-01 2006-11-29 DaimlerChrysler AG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s Verschlusses von Türen, Klappen od. dgl., insbesondere an Fahrzeugen
EP1475494A3 (en) * 2003-05-09 2009-12-16 HONDA MOTOR CO., Ltd. Door handle device for vehicles
SE530091C2 (sv) * 2004-06-30 2008-02-26 Volvo Lastvagnar Ab En dörrmodul och ett förfarande för att hos en fordonsdörr sammankoppla ett manöverorgan hos en stängnings- och öppningsmekanism och ett handtag
US8201859B2 (en) * 2005-07-26 2012-06-19 Intier Automotive Inc. Door handle assembly
US7377562B2 (en) * 2005-07-26 2008-05-27 Intier Automotive Inc. Door handle assembly
DE102009045873A1 (de) * 2009-10-20 2011-04-2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Flächenbündige Griffvorrichtung für eine Tür eines Fahrzeugs
KR101575424B1 (ko) * 2013-12-17 2015-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래치장치
DE102014007970A1 (de) * 2014-05-31 2015-12-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Türinnenöffner für eine Kraftfahrzeugtür
USD766694S1 (en) * 2015-09-24 2016-09-20 Hoppe Holding Ag Handle
DE102016115733A1 (de) * 2016-08-24 2018-03-0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Kraftfahrzeug-Griffanordnung
EP3361026B1 (fr) * 2017-02-14 2019-08-28 U-Shin Italia S.p.A. Poignée de porte à fixation par vis extérieure
JP7330140B2 (ja) * 2020-06-23 2023-08-21 ミネベアアクセス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30519C2 (de) * 1980-08-13 1983-01-27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Außenliegender Ziehgriff,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türen
US4438964A (en) * 1981-06-18 1984-03-27 Pierce Manufacturing, Inc. Paddle operated vehicle latch
DE3343443C2 (de) * 1983-12-01 1985-12-05 Neiman GmbH, 5657 Haan Außenbetätigung einer Kraftfahrzeugtür
DE4002963C1 (en) * 1990-02-01 1991-07-11 Mercedes-Benz Aktiengesellschaft, 7000 Stuttgart, De Vehicle door handle grip - has handle movement controlled by individual swivel levers used to hinge it
JPH05123687A (ja) * 1991-10-31 1993-05-21 Kurita Water Ind Ltd 上水用濾過装置
KR0163394B1 (ko) * 1994-07-06 1998-12-01 전성원 도어 제동장치
DE4446904C1 (de) * 1994-12-27 1996-02-08 Ymos Ag Ind Produkte Kraftfahrzeug-Türgriff
DE19724572C1 (de) * 1997-06-11 1998-10-22 Bayerische Motoren Werke Ag Außentürgriff,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DE29819472U1 (de) * 1998-10-31 1999-02-18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ß mit Ziehgriff
DE19949119B4 (de) * 1999-01-20 2005-12-29 Valeo Gmbh & Co Schliesssysteme Kg Vorrichtung zur Verriegelung eines bewegbaren an einem Kraftfahrzeug angeordneten Teiles
FR2789426B1 (fr) * 1999-02-05 2001-06-15 Valeo Securite Habitacle Poignee d'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DE19940379C2 (de) * 1999-08-25 2001-07-12 Huf Huelsbeck & Fuerst Gmbh Türaußengriff, insbesondere für Fahrzeuge
US6447030B1 (en) * 2000-08-25 2002-09-10 Adac Plastics, Inc. Door handle assembly with detented closed position
DE20016108U1 (de) * 2000-09-16 2001-01-18 Kiekert Ag Türbetätigungsaggregat für insbesondere Kraftfahrzeuge
JP3569675B2 (ja) * 2000-12-14 2004-09-22 株式会社ユーシン 自動車用ハンドル装置
DE10109106B4 (de) * 2001-02-24 2004-02-12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Türaußengriff-Baugruppe, insbesondere für Fahrzeu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62615A3 (de) 2004-04-14
ES2234945T3 (es) 2005-07-01
DE50202350D1 (de) 2005-04-07
EP1262615A2 (de) 2002-12-04
EP1262615B1 (de) 2005-03-02
US20020178770A1 (en) 2002-12-05
ATE290144T1 (de) 2005-03-15
DE10126045A1 (de) 2002-12-12
KR100882997B1 (ko) 2009-02-12
US6644074B2 (en) 2003-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90922A (ko)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킷
KR100373241B1 (ko)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시스템
JPH0557391B2 (ko)
DE102004007998B4 (de) Türsperr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RU2764429C2 (ru) Устройство разблокировки дверного замка
RU2277160C2 (ru) Устан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действием ручки в дверном замке и дверной замок с таким установоч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US20100024588A1 (en) Lever lockout assembly
US7614842B2 (en) Lift arm assembly with integrated cylinder stop
AU4379700A (en) A window operator
US11828084B2 (en) Door-unlatching device
DE102007013228B4 (de) Lenkradschlosseinrichtung
KR910005293B1 (ko) 개량된 보울트 작동장치를 갖춘 래치보울트 작동 조립체
US4602136A (en) Manual actuating device for enclosed electrical switches
JPH07116874B2 (ja) シリンダ状ロックアセンブリ
RU2354797C2 (ru) Разрезной шпиндель
US20060260431A1 (en) Window handle
EP1306503B1 (de)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s Verschlusses von Türen oder Klappen, insbesondere an Fahrzeugen
AU4504099A (en) Closure, especially for vehicles
US11339875B2 (en) Anti-theft and rollaway prevention manual park release mechanism with rotating handle
CN113906191B (zh) 家具连接配件
KR200218408Y1 (ko) 손잡이부출몰형문용잠금장치
JPH0743380Y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DE102008039443B4 (de) Fronthaubenschloss für ein Kraftfahrzeug
JPS6332553Y2 (ko)
JP3710894B2 (ja) 戸先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