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293B1 - 개량된 보울트 작동장치를 갖춘 래치보울트 작동 조립체 - Google Patents

개량된 보울트 작동장치를 갖춘 래치보울트 작동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293B1
KR910005293B1 KR1019840001697A KR840001697A KR910005293B1 KR 910005293 B1 KR910005293 B1 KR 910005293B1 KR 1019840001697 A KR1019840001697 A KR 1019840001697A KR 840001697 A KR840001697 A KR 840001697A KR 910005293 B1 KR910005293 B1 KR 910005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cam
latch
main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1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8471A (ko
Inventor
알. 버어겐 개리
Original Assignee
퀵세트 코포레이션
씨. 모오간 허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퀵세트 코포레이션, 씨. 모오간 허시 filed Critical 퀵세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40008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8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6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lengthwise-adjustable bolts ; with adjustable backset, i.e. distance from door edg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5/00Locks in which a sliding latch is used also as a locking bolt
    • E05B55/12Locks in which a sliding latch is used also as a locking bolt the bolt being secured by the operation of a hidden parallel member ; Automatic latch bolt deadlocking mechanisms, e.g. using a trigger or a feel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17Locks with sliding bolt without provision for latching
    • E05B63/0021Locks with sliding bolt without provision for latching the bolt being shot over an increased length by a single turning operation of the ke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6Sliding
    • Y10T292/0969Spring projected
    • Y10T292/097Operating means
    • Y10T292/0977Cam
    • Y10T292/098Auxiliary bo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개량된 보울트 작동장치를 갖춘 래치보울트 작동 조립체
제1도는 삽입부재가 제거된 상태에서 주보울트 및 보조보울트는 모두 연장위치에 있으며 백세트 조정장치는 후방 백세트위치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모든 개량장치를 결합한 래치보울트 작동조립체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와 유사하나, 래치연장 슬리이브가 제거되어 있으며 백세트 삽입부재는 조립준비 정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제1도와 유사하나, 래치보울트 작동 조립체가 전방 백세트 위치에 있도록 백세트 삽입부재가 정위치에 조립되어 있고, 래치연장 슬리이브가 정확히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
제4도는 제3도의 화살표 4-4방향에서 본 수평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화살표 5-5방향에서 본 수직단면도.
제6도는 제5도와 유사하나, 본 발명의 래치보울트 작동조립체가 완전후퇴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7도는 제4도의 화살표 7-7방향에서 본 수직단면도로서, 주 및 보조보울트가 모두 완전연장위치에 도시되어 있는 래치보울트 작동조립체의 도면.
제8도는 제7도와 유사하나, 문을 닫힌 위치에 유지하도록 래치보울트 작동조립체가 문 프레임에 맞물려있는 것처럼, 보조보울트는 후퇴위치에, 주보울트는 완전연장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9도는 제8도와 유사하나, 제8도에서와 같이 주보울트를 완전연장위치로부터 구동 또는 가압하려는 시도가 행하여지고 잠금도그에 의해 주보울트가 구동력으로부터 걸어 멈추어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10도는 제8도와 유사하나, 본 발명의 래치보울트 작동조립체에 의해 주 및 보조보울트가 정확히 후퇴되기 시작하고 있는 초기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11도는 제10도와 유사하나, 주 및 보조보울트 모두가 완전후퇴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12도는 제7도의 화살표 12-12방향에서 본 수직단면도.
제13도는 제7도의 화살표 13-13방향에서 본 수직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모든 개량장치를 갖고 있는 래치보울트 작동조립체의 분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프레임 30 : 리트랙터(슬라이드)
40 : 캠 48 : 링크
54 : 주보울트 58 : 보울트 연장부재
60 : 잠금해제 슬라이드 84 : 보조보울트
92 : 잠금도그(dog) 106 : 기초부
본 발명은 문등에 사용되는 형식의 래치보울트 작동조립체에 관한 것이며, 보다 더 상세하게는 보울트작동에 있어서 개량된 래치보울트 작동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보울트 작동에 있어서 2개의 뚜렷한 개량분야중의 어느하나 또는 양자 모두에 관한 것으로, 그 하나는 래치를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하여 운동을 래치보울트로부터 작동자에게 전달하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래치를 열려는 불법적인 시도에 대하여 최대로 저지시키도록 개량된 방식으로 주보울트의 확실한 걸쇠(dogging)작용을 보장하기 위하여 보조보울트가 제공되었을 때 보조보울트와 주보울트 사이의 운동을 전달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체적인 결합시에 요구되는 최대의 조정 융통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개량분야중 어느하나 또는 양자 모두에 부가된 개량된 백세트(backset)조정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래치작동기구에 의해 후방 작동자로부터 전방으로 보울트쪽으로 운동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대부분의 종래의 래치구조는, 이 래치구조가 외부의 힘에 의한 침입에 저항하는 한편, 요구되는 신뢰도를 만족하며 계속적으로 작동되기 위해서, 필연적으로 상당히 복잡한 상태의 것이 될 수 밖에 없었다. 이는, 보울트의 맞물림위치로부터 해제위치로의 운동을 위해 확실한 기계적 운동을 필요로하지만 보울트 맞물림 위치로의 복귀운동을 위하여 단지 스프링 힘만을 이용하는 스프링 래치식의 경우에는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이다. 필요한 기계적 운동을 수행하기 위해 더 간단해진 기계적 구조를 가지면서도 운동전달방향, 즉 보울트 맞물림 해제시의 기계적 운동 또는 보울트 재맞물림시의 스프링에 기인한 운동의 전달방향에 관계없이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확실한 신뢰성을 제공하여 주는 구조를 절실하게 필요로 하고 또 요구하고 있다.
또한 현실의 추세에 따라 스프링 래치 구조에 특히 적용되지만 그 방식에 관계없이 래치구조는 적당한 사용성과 아울러 특히 안전성의 향상이 요구된다. 이에 따른 변화중의 하나는 예컨대 문으로부터 문 프레임의 걸쇠쪽으로의 보울트 돌출부의 확대이다. 확대된 보울트 돌출부가 안전성을 증가시킨다고 주장할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지만 이러한 래치구조를 설치 가능하도록 제작하기 위해서는 그 확대길이는 제한된 공간안에 포함되는 것이라야 한다. 따라서 적절한 사용가능성과 함께 전체구조내에서 최대한의 조정이 가능한 융통성을 지님으로써 기계적인 장점이 최대로 실현될 수 있는 운동전달 요소들을 제공하는 것이 래치구조의 관건이 된다.
상기의 불법적인 작동방지와 더불어 스프링 래치식 래치구조에서 개량될 수 있는 또 다른 분야는, 확실한 맞물림을 보장하기 위하여 보조보울트에 의해 주보울트를 걸어 멈추도록 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종래의 스프링 래치장치에서는 운동을 붙들거나 막는 작용이 대개는 주보울트와 보조보울트 사이에 있는 잠금도그에 의해 행하여지므로 주보울트는 문 프레임 내부의 스트라이크와 맞물려 연장되고 보조보울트는 이 스트라이크에 의해 후퇴된 상태로, 잠금도그는 주보울트를 지지하여 주보울트를 연장위치에 유지시킨다. 또한 이와 같은 특별한 위치 배열은 매우 정밀하게 생산 조립되어져야만 작동될 수 있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간의 공전운동(lostmotion)연결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개량될 분야는 공전 운동연결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비교적 단순화된 방식으로 구성되어 확실히 작동될 수 있도록 연결을 구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구성들 보다 향상된 장점을 제공할, 보울트 작동상의 2개의 개량내용중의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가진 래치보울트 작동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보울트 작동 개량의 하나는 힘전달 배열을 단순하게 해줄뿐만 아니라 지금까지는 불가능했던 독특한 방법으로 양호한 힘전달을 보장하여 주는 독특한 요소를 주 래치보울트와 후방 작동자 사이에 갖고 있다. 다른 보울트 작동 개량은 통상적인 보울트 작동조립체이외의 수단에 의해 주보울트를 후퇴시키려는 시도를 무산시켜 버리기 위해 주보울트를 연장 맞물림위치에 걸어 멈추게 하는 보조보울트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래치보울트를 원활하고 또 보다 더 효율적인 방식으로 후퇴시키기 위하여 후방작동자로부터 래치보울트로 운동을 전달해주며 사용자가 실수할 가능성을 사실상 제거한 래치작동 기구를 포함하는 래치보울트 작동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반원형 스핀들 같은 스핀들은 문손잡이나 레버로부터 리트렉터 쪽으로 운동을 전달하여 리트렉터에 미끄럼운동을 전해주게 된다. 리트렉터는 이어서 전방쪽으로 피봇식 링크와 독창적인 캠에 의해 주보울트에 미끄럼 및 피봇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 모든 것들은 요구되는 운동을 제공하도록 적절히 배열되어 있다. 또한 필요하다면 링크와 캠사이의 힘 전달연결부재는 스핀들의 적은 운동량이 주보울트의 큰 운동량을 발생시킬 수 있어서 주보울트가 최대길이를 갖는 것이 가능케하여 보다 더 확실한 안전성을 지니도록 하는 기계적구조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보울트가 완전맞물림위치에서 주보울트를 걸어서 멈추게하는 것을 확실하게 해주어, 주보울트를 그 후퇴위치로 운동시키려는 외부힘에 의한 주보울트의 불법작동을 막아주는 보조보울트에 의해 주보울트를 걸어 멈추게 하는 래치보울트 작동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래치작동 기구의 제공 여부에 관계없이, 래치작동기구가 주보울트로부터 후방으로 뻗어 있는 대체적인 U자 형상의 보울트 연장부재에 붙잡혀서 위치되어 있는 전방 및 후방의 유동성 잠금해제 슬라이드를 통하여 주보울트에 연결되어 있다. 이어서 잠금해제 슬라이드는 보조보울트에 의해 제어되는 잠금도그의 제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맞물림수단을 그 위에 갖고 있다. 따라서 통상적인 래치작동기구에 의한 주보울트의 완전 맞물림 위치로부터 통상적인 후퇴운동중에 잠금 해제 슬라이드의 맞물림 수단은 잠금도그를 해제시켜서 주보울트가 완전후퇴 위치로 운동되도록 한다. 그러나 통상적인 래치 작동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불법적으로 주보울트를 후퇴시키려는 시도가 행하여질 때에는 잠금해제 슬라이드의 맞물림 수단은 잠금도그와 접촉하지 않게 되며 잠금도그는 주보울트와 완전히 맞물린 상태로 유지되어 주보울트가 후방으로 운동하는 것을 저지하여 시도된 불법행위를 무산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보울트의 작동상의 개량특성중의 하나 또는 양자 모두 포함하며 또한 개량된 백세트 조정장치를 포함하는 래치보울트 작동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래치 작동 기구의 후방부분이 리트렉터 슬라이드라고 하면, 전방 및 후방 미끄럼 운동을 제공하기 위해 그곳에 연결되어 있는 스핀들은 요구되는 백세트 크기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둔 위치에서 리트렉터 슬라이드에 연결되어질 수 있다. 특정한 형태에 있어서는 스핀들이 삽입부재를 통해 리트렉터 슬라이드와 맞물리도록 전방 백세트 위치로 사용하기 위해 삽입부재가 리트렉트 슬라이드 쪽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거나 또는 삽입부재가 분리되어서 큰 백세트 조정장치를 제공하게 되며 스핀들은 직접 리트렉터 슬라이드와 맞물리게 된다. 2가지 경우에 있어서, 삽입부재가 현재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제거되어 있거나에 관계없이 조립에 도움를 주기 위해 리트렉터 슬라이드 상에서 플라스틱 슬리이브가 조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이하의 명세서와 단지 예시 목적상 첨부되어 있는 도면들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에 대하여 설명하면, 래치보울트 작동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개량된 주보울트 작동기구와 개량된 보조보울트 작동기구 및 개량된 백세트 조정장치를 포함하여 도시되어 있다. 이들은 각각 그들이 독자적으로 작동되어져 장점을 제공해 주게 되는데 그러나 여기서는 하나의 개량된 전체구성물 상태로 나타나져있다. 더욱이, 전체 조립체는 특별하게 언급된 곳을 제외하고는 통상의 재질이 사용하여 공지의 생산방법에 의해 형성되어진다.
먼저 제3도 내지 6도 및 제14도에 대하여는, 개량된 주보울트 작동 기구가 주로 설명될 것이며, 이 주보울트 작동기구는 래치 케이스 연장부재(22)로 이루어져 있는 부재번호20의 고정래치 프레임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 래치 케이스 연장부재(22)의 전방은 래치 캐리어(24)에 의해 부분적으로 망원경식으로 겹으로 포개어 끼워져 있으며, 차례로 이 래치 캐리어(25)는 래치케이스(26)에 의해 전방으로 완전히 망원경식으로 겹으로 포개어 끼워져 있다. 케이스연장부재(22), 캐리어(24) 및 케이스(26)는 모두 일반적인 통상의 방식으로 조립되어 있으며, 이중 몇몇 부품들은 이후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인 래치 연장 슬리이브(28)는 래치 케이스 연장부재(22)위를 덮어 감싸고 있어 개량된 백세트 조정 부분을 형성시켜주는데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전방 및 후방 또는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운동가능한 리트렉터 슬라이드(30)는 캐리어(24)와 케이스(26)에 의해 전방으로 겹으로 포개어 끼워져 뻗어있는 전방 연결부분(32)을 갖고는 있지만 주로 케이스 연장부재(22)에 의해 겹으로 포개어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 제14도에 명백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리트렉터 슬라이드(30)는 리트렉터 슬라이드가 케이스 연장부(22)내에서 운동하게 할수 있는 추가의 틈새 공간은 물론 스핀들 중합/맞물림 부분(36)을 형성하고 있는 후방으로 열려있는 절단부(34)를 갖고 있다. 리트렉터 슬라이드(30)의 전방연결부분(32)은 전방으로 열려있으며 이후의 설명목적상 캐리어(24)와 케이스(26)쪽으로 열려있는 피봇 소케트(38)을 갖고 있다.
캠(40)은 래치 케이스(26)내에서 전후방 또는 길이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피봇식으로 되어 있으며 피봇핀(42)에 의해 캐리어에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후방부분이 캐리어(24)쪽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캠(40)은 리트렉터 슬라이드(30)와 길이방향으로 대체적으로 일렬로 정렬되어 있으며 피봇핀(42)의 위로 약간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으며 리트렉터 슬라이드(30)내의 피봇소케트(38)와 대체로 일렬로 정렬되며 대체로 후방으로 열려있는 피봇소케트(44)를 갖고 있다. 캠(40)은, 위쪽방향으로는 피봇소케트(44)보다 명백히 위에 설치되어 있으며 캠을 캐리어(24)와 케이스(26)에 피봇연결하는 피봇핀(42)으로부터는 보다 더 먼 거리에 있게되는 손가락형상의 피봇돌기부분(46)에서 끝난다.
제5도 및 6도에 명백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링크(48)에는 리트렉터 슬라이드(30)이 피봇소케트(38)내에 들어 있는 확대된 반원형 끝부분(50)과 캠(40)내의 피봇 소케트(44)내에 들어있는 확대된 반원형 끝부분(52)이 형성되어 있다. 리트렉터 슬라이드와 캠사이의 대체적인 간격과 더불어, 리트렉터 슬라이드(30)와 캠(40)내의 피봇 소케트(38)와 (44)의 원형 및 아치형 표면은 리트렉터 슬라이드의 전후방 운동이 이들을 운동 가능하게 연결시켜주는 링크(48)에 의해 리트렉터 슬라이드(30)와 캠(40)간의 피봇운동은 물론이고 전후방 운동으로 전달되어질 수 있도록 되어있다. 리트렉터 슬라이드(30)의 운동은 전후방으로의 미끄럼 운동인 반면 캠(40)의 운동은 전후방으로의 피봇운동이다.
결국 주보울트(54)는, 제3,4 및 5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래치 케이스(26)로부터 부분적으로 뻗는 연장위치와, 제6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래치 케이스안에 완전히 들어가 있는 후퇴위치사이를 전후방으로 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주보울트(54)는 주보울트 스프링(56)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스프링은 정상상태에서는 주보울트를 연장위치로 가압하고 주보울트의 후퇴 위치로의 이동하에서는 압축되어 있다. 이같은 이유 때문에 본 발명의 래치보울트 작동조립체의 특별한 실시예는, 스프링 래치식 장치로서 알려져 있는데, 즉 스프링은 연장위치로 가압되고 스프링이 압축되면 보울트가 그 후퇴위치로 밀려 들어가도록 한 것이다.
역 U자형상의 보울트 연장부재(58)는 주보울트(54)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고정되어져서 보울트 연장부재의 전후방운동으로 주보울트가 전후방으로 운동하도록 한다. 비슷한 형상인 대체적인 U자 형상의 잠금해제 슬라이드(60)는 보울트 연장부재에 대해 전후방으로 제한된 거리의 미끄럼 운동을 위하여 보울트 연장부재(58)내에 끼워져 있다. 보울트 연장부재(58)에 대한 잠금 해제 슬라이드(60)의 이 미끄럼운동의 목적은 일단 보류하고, 주보울트(54)와 캠(40)사이의 조립은 제4도 및 5도에 명백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잠금해제 슬라이드(60)에 대해 거꾸로 서서 후방으로 윗쪽으로 삽입되어 있는 캠의 피봇 돌기 부분(46)에 의해 이루어진다.
개량된 주보울트 작동 기구의 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정확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필요한 전체적인 조립구성은 기본적으로는 예컨데 리트렉터 슬라이드(30)에 놓여서 전방으로는 전방위치 결정러그(64)와 맞물리고 후방으로는 후방위치 결정러그(66)와 맞물려서 리트렉트 슬라이드의 스핀들 맞물림부(36)를 덮도록 되어 있는 삽입부재(62)를 갖는 것으로 나타내져 있다. 삽입부재(62)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은 목적에 대하여는 후에 설명될 것이다.
삽입부재(62)는 횡방향으로 간격을 갖는 스핀들 결합부(70)를 가진 절단부(68)을 갖고 있어서 이 삽입부재의 절단부(68)는 그 전방 쪽으로는 리트렉터 슬라이드의 절단부(34)와 거의 동일하게 드러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뒤에서 설명될 것이다.
삽입부재(62)가 들어있는 상태에서 래치 연장 슬리이브(28)는 도시된 전방위치에 있게되어 전방고정구멍(72)과 후방고정구멍(74)이 유사한 전방 및 후방구멍(76,78)과 잘 일치하도록 되며 또 중요하게는 래치연장 슬리이브(28)의 확대된 스핀들 구멍(80)이 삽입부재(62)의 스핀들 결합부(70)와 일치되도록 한다. 통상적인 반원형 스핀들(82)은 래치 연장 슬리이브(28)의 스핀들 구멍(80)을 통해 삽입되어 있으며 삽입부재(62)의 스핀들 결합부(70)와 맞물려 있다. 스핀들은 공지의 운동을 제공하기 위해 그 한쪽 끝 또는 양쪽 끝이 문손잡이나 레버에 연결되어 진다.
지금까지 설명된 개량된 주보울트 작동 기구의 실시예에 대한 작동은 제4,5 및 6도에서 설명되어진다. 제4도 및 5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보울트(54)가 완전 연장 위치에 있는 것을 시점으로 할 때, 주보울트의 후퇴위치의 운동은 삽입부재(62)의 하나의 스핀들 결합부(70)에 후방으로 압력을 가하는 방향중 한쪽으로 스핀들(82)을 회전시킴으로써 시작된다. 이러한 후방으로의 의도적인 운동은 삽입부재(62)로부터 리트렉터 슬라이드(30)로 전달되어 리트렉터 슬라이드를 후방으로 운동시켜서 리트렉트 슬라이드와 캠사이의 링크(48) 연결에 의해서 캠(40)이 피봇 핀(42)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피봇 운동하게 된다.
제5도와 제6도를 비교하여 보면 명백한 바와 같이, 캠(40)의 피봇운동은 후방으로의 운동을 잠금 해제슬라이드(60)에 전달하며 후자가 보울트 연장부재(58)에 후방으로 꽉 붙어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후방으로의 운동은 주보울트(54)에 전달된다. 주보울트(54)의 후방으로의 운동은 제5도의 위치로부터 제6도의 위치로의 후퇴를 시작하게하므로 주보울트가 제6도에 도시되어 있는바와 같이 최종적으로는 후방으로 운동하여 완전 후퇴 위치에 있게된다. 스핀들(82)만 해제하면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스프링 래치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압축되어져 있는 주보울트 스프링(56)이 주보울트(54)를 완전 연장위치로 운동시킨다.
본 발명의 개량된 보조보울트 작동 기구는 제7도 내지 14도에 도시되어 있고 주보울트(54)에 가로 놓여 있으며 그것과 상대적인 전후방 미끄럼 운동이 가능한 보조보울트(84)를 갖고 있다. 보조보울트(84)는 로드(86)상에 있는 스프링(88)에 의해 가압되며 전후방향으로 운동이 가능토록 설치되므로 보조보울트는 정상적으로는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에 의해 전방으로 완전히 가압되지만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지는 것처럼 스프링의 압축동안 후방으로의 여러 위치로 운동되어진다.
보조보울트(84)는 제7도 및 14도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뻗어 있는 덮개(90)를 갖고 있는데 예를 들어 제7도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보조보울트(84)와 주보울트(54)가 둘다 모두 연장위치에 있을 때 덮개는 주보울트(54)내에서 아래쪽으로 뻗어 있게된다.
잠금도그(92)는 주보울트(54)와 거의 일렬 상태로 보조보울트(84)안쪽에 설치되어있으며 로드(86)상의 보조보울트 스프링(88)의 후방 끝 부분사이에 고착되는 기초부(94)를 갖고 있다. 잠금도그 기초부(94)는 제7도와 8도를 비교하여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래치 캐리어(24)에 대해 윗방향 전방으로 약간의 각을 갖고서 형성되어 있다. 제7도에 도시되어 있는바와 같이 보조보울트(84)의 보조보울트 덮개(90)와 잠금도그(92)의 전방모서리가 접촉되어 있는 상태로 주 및 보조보울트(54,84)가 모두 완전히 전방에 있게되는 경우에는 잠금도그는 약간 아래쪽으로 유지되므로 그 기초부(94)가 래치 캐리어(24)의 전방으로 약간의 각을 이루게 되고, 그러나 덮개가 잠금도그로부터 제거될 때 스프링(88)은 잠금도그 기초부(94)를 래치 캐리어에 대하여 압착하게 가압하고 잠금도그의 그의 다른 부분들이 약간 윗쪽으로 경사지게 한다.
잠금도그 전방모서리(96)의 후방으로는 잠금도그(92)에는 먼저 파여진 맞물림 모서리(98)와 그 다음으로는 약간 높여진 해제모서리(100)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2개의 모서리는 잠금도그의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잠금도그(92)는 주보울트(54)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뻗어 있으며, 주보울트는 전방으로 잠금해제노치(104)에서 끝나는 상부 잠금노치(102)를 갖고 있다. 전체적인 조립은 잠금해제 슬라이드(60)상에 그 아래쪽에 뻗어 있으며, 뒤에서 설명되어질 것이지만, 잠금 도그에 대한 잠금 해제 슬라이드의 위치에 따라 잠금 도그(92)의 맞물림 및 해제 모서리(98,100)위에 형성되어있는 기초부(106)에 의해 완성된다.
본 발명의 개량된 보조보울트 작동 기구의 작동에 있어서, 그와 함께 앞서 설명한 개량된 주보울트 작동기구를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제7도는 주보울트(54)와 보조보울트(84)가 둘다 모두 완전연장 위치에 있으므로 그들이 문 프레임등과 맞물려 있지 않는 것을 보여준다. 잠금도그(92)의 전방모서리(96)가 보조보울트(84)의 덮개(90)에 대하여 놓이고 이에따라 잠금도그가 스프링(88)의 압력에 대하여 약간 아래쪽으로 유지되어진다는 것을 알게될 것이다. 또한 잠금해제 슬라이드(60)의 기초부(106)는 잠금도그(92)의 맞물림 모서리(98)위에 간격을 두고 위치한다.
주보울트(54)를 문 프레임 모서리의 걸쇠(나타나 있지 않음)내에 맞물리게 하는 것이 요구된다. 제1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핀들(82)이 부분적으로 회전되면, 리트렉터 슬라이드(30), 캠(40), 링크(48) 및 캠 피봇 돌기부분(46)의 잠금해제 슬라이드(60)와의 맞물림을 통해 잠금해제 슬라이드는 보울트 연장부재(58)를 이동시키며 그로인해 주보울트(54)는 후방으로 이동한다. 동시에 보조보울트(84)가 운동함에 따라 보조보울트 덮개(90)는 잠금도그(92)의 전방 모서리(96)를 따라 미끄럼운동하며 잠금해제 슬라이드(60)의 기초부(106)는 잠금도그에 대해 후방으로 운동하여 최종적으로는 잠금도그의 해제 모서리(100)와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조립체는 제1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 및 보조보울트(54,84)가 둘다 완전후퇴 위치에 이르게된다.
조립체는 문 프레임 모서리의 걸쇠와 일렬로 설치되며 제11도의 완전후퇴 위치로부터 제8도의 완전연장 위치까지 이동하는 주보울트(54)가 주보울트를 바깥으로 가압하는 주보울트 스프링(56)에 의해 연장위치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보조보울트(84)는 이것을 후퇴 위치로 있게 하는 걸쇠(Keeper)와 접촉하도록 뻗어져 있을 뿐이다. 그 결과는 보조보울트(84)의 덮개(90)는 후퇴위치에 있게 되어 잠금도그(92)의 전방 모서리(96)가 주보울트(54)의 안쪽 끝부분으로부터 약간의 간격을 갖고 설치된 주보울트(54)의 잠금노치(102)내에서 맞물린다. 또한 잠금해제 슬라이드(60)의 기초부(106)는 잠금도그(92)의 맞물림 모서리(98)와 결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는 전체적으로 주 및 보조보울트 작동기구가 잠금위치에 있을때인 것이다. 또한 예컨대 무단사용자가 연장상태에 있는 주보울트(54)에 어느 정도 힘을 가함으로써 기구를 보울트 쪽으로부터 풀려고 시도한 경우의 결과는 제9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될 것이다. 주보울트(54)는 잠금도그 전방모서리(96)가 주보울트 잠금노치(102)의 안쪽 끝부분에 이를때까지만 후방으로 이동되며 그 지점에서 주보울트는 더 이상 안쪽으로 이동하지 않아 기구는 잠금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주보울트(54)와 그 보울트 연장부재(58)가 후방으로 약간 이동되었더라도 잠금해제 슬라이드(60)는 이동하지 않아서 캠(4))의 후방의 모든 부품들은 움직여지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될 것이다.
한편 래치 기구를 정상적으로 열고자 할 때에는 원활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달성된다. 제8도의 잠금위치에 있는 부품들에 대해 먼저 살펴보면, 스핀들(82)을 부분적으로 회전시키면 리트렉터 슬라이드(30)를 후방으로 미끄럼 이동시키고 링크(48)를 통해 킴(40)을 후방으로 피봇운동시키게 된다. 캠 피봇돌기부분(46)은 제10도에 모두 나타나 있는 것처럼 잠금해제 슬라이드(60)를 후방으로 밀어서 주보울트(54)와 보울트 연장부재(84)가 모두 후방으로 이동하게 한다.
초기운동시에는, 잠금도그 전방모서리(96)는 잠금노치(102)내에 남아있고 반면 잠금해제 슬라이드 기초부(106)는 잠금도그 결합 모서리(98)를 따라 운동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잠금해제 슬라이드 기초부(106)는 잠금도그 해제 모서리(100)에 이르러 그 위로 접촉하게 되는데 이 지점은 잠금도그 전방 모서리996)가 주보울트 잠금노치(102)와 결합하기 바로 직전의 곳이다. 이와 같이 잠금해제 슬라이드 기초부(1060를 잠금도그 해제 모서리(100)로 이동시키면 잠금도그(92)는 제10도의 위치로 아래쪽으로 힘을 받아 이 위치에서의 계속되는 모든 운동은 최종적으로 제11도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주 및 보조보울트(54,84)가 완전 후퇴 위치에 이르도록 한다.
본 발명의 개량된 백세트 조정장치는 제1도 내지 6도 및 14도에 도시되어 있다. 간단히 설명하면 래치 구조물에서의 백세트는 특별한 경우에 변동은 있지만, 2개의 백세트 조정을 지정하는 것이 산업부문에서 표준 관행으로 되어있는데, 작은 것은 2/8∼3/8인치이고 큰 것은 2/4∼3/4인치이다. 본 발명의 개량된 백세트 조정장치는 위의 2가지 치수사이에서 조정 가능한 것으로 설명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특별한 백세트 조정장치가 제3도 내지 6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짧은 즉 작은 백세트 즉2/8∼3/8인치의 것이 될 것이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래치 연장 슬리이브(28)는 삽입부재(62)가 리트렉터 슬라이드(30)에 대해 전방 및 후방위치 러그(64,66)사이의 적합한 장소에 위치되어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는 래치 케이스 연장부(22)를 넘어 전방 위치상태에 있다. 도한 삽입부재(62)가 설치된 이러한 짧은 백세트 조정장치에서는 래치연장 슬리이브(28) 및 더 중요한 래치케이스 연장부(22)의 전방 및 후방 고정구멍(72,74,76,78)은 조립체를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와 같이 짧은 백세트 조정장치에서 스핀들(82)은 삽입되어 삽입부재(62)의 스픈들 결합부(70)를 삽입부재(62)에 의해 덮혀진 곳으로부터 후방으로 떨어져 있는 리트렉터 슬라이드(30)의 스핀들 결합부(36)와 맞물리도록 하여 이 조정세팅에서 이동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스핀들(82)은 따라서 부분적으로 회전되어 삽입부재(62)에 힘을 전달하여 리트렉터 슬라이드(30)의 미끄럼 이동을 발생시킨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리트렉터 슬라이드(30)의 미끄럼 이동은 링크(48)에 의해 캠(40)의 피봇 운동으로 전달되어 최종적으로는 주 및 보조보울트(54,84)의 후방 운동으로 전달되어 진다. 큰 즉, 긴 백세트 조정은 제1 및 2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삽입부재(62)는 아주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래치 케이스 연장부(22)의 부재들 사이에 단순히 가로질러 조립되어 있다.
제2도에 달리 나타나 있는 것처럼 스핀들(82)(도시되어 있지 않음)은 분리되고 래치 연장슬리이브(28)는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져서 조립체로부터 해체되며 삽입부재가 분리되고, 래치 연장 슬리이브는 제1도에 도시된 위치로 단순히 미끄러져 되돌아가는데 다른 고정 구멍들과 일치하는 위치를 갖는다.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래치 연장 슬리이브(28)의 전방 고정구멍(72)은 래치 케이스 연장부(22)의 중간 고정구멍(108)에 일치시켜서 래치 연장 슬리이브 전체가 후방으로 간격을 갖게 위치되고 그 후방 고정구멍(74)이 래치 케이스 연장부의 후방 고정홈(78)의 후방에 간격을 갖고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리트렉터 슬라이드(30)의 스핀들 결합부(37)와 결합하고 있는 스핀들(82)의 재 조립시에 삽입부재(62)는 분리되고 스핀들의 부분적인 회전은 리트렉터 슬라이드(30)가 후방으로 미끄럼 운동하게 한다.
앞에서도 설명한 것처럼 이러한 운동이 링크(48)연결에 의하여 캠(40)의 후방으로의 피봇 운동을 일으켜서 최종적으로 주 및 보조보울트(54,84)의 후방으로의 미끄럼 운동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어느쪽 백세트 조정장치도 약간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즉 작은 백세트 조정을 위해서는 삽입부재(62)를 추가하거나 또는 큰 백세트 조정을 위해서는 삽입부재(62)를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독특한 본 래치보울트 작동조립체는 3가지 다른 분야의 개량점을 가지고 제공되어 있다. 주보울트 작동기구에 있어서는, 훨씬 더 효율적이고 원활한 작동조립체를 제공하여 주며 사람들이 실패하는 알져진 분야에서의 오작동 가능성을 없애준다. 보조보울트가 결합된 작동 기구에 있어서는 운동은 간단해지며 보조보울트 작동 기구는 불법적인 시도를 막는데 있어 간단하면서도 더욱 더 확실하게 해주는 2단계 운동을 가져다준다. 마지막으로, 개량된 백세트 조정장치는 앞의 어느 장치와도 실질적으로 결합되어질 수 있는데 지금까지 제공되고 있는 백세트 조정방법을 간단히 행할뿐 아니라 간단하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원리들이 래치보울트 작동조립체의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 여기서 설명되어져 있지만, 그러한 특정 구조에만 본 발명의 원리들을 제한시키고자한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동일한 원리들이 다양한 다른 형태의 래치보울트 작동 조립체에 그대로 적용되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원리들은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져야 하며 클레임의 특허해당 부분을 포함하여 첨부된 클레임에 기술되어 있는 특정한 범위에 한정되어야 한다.

Claims (22)

  1. 래치 작동 기구를 통하여 작동하는 후방 작동자의 운동에 의해 전방연장 위치로부터 후방후퇴 위치로 이동이 가능한 보울트를 장착하고 있는 프레임을 가진 래치보울트 작동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래치 작동 기구는, 상기 프레임내에서 전방 및 후방이동이 가능하며 후방작동자의 운동을 후방 리트렉터의 운동으로 전달하기 위해 후방 작동자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후방부분을 갖고 있는 리트렉터와; 상기 프레임내에 들어있으며 상기 프레임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기초 끝과 상기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으로 피봇회전하는 자유부분을 구비한 캠, 상기 캠의 후방 피봇운동시 후방운동을 상기 보울트에 전달해 주기위해 상기 보울트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상기 캠 자유부분과; 그 후방끝에서는 상기 리트렉터의 전방부분에 피봇식으로 연결되고 그 전방끝에서는 상기 기초끝으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캠 자유부분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링크; 및 상기 프레임내에 들어있으며 상기 보울트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여 고착되는 보울트 연장부와 상기 보울트 연장부 쪽으로 연장하여 위치되는 상기 캠 자유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보울트 작동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전방 끝은 상기 보울트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캠자유부분보다 짧은 거리만큼 상기 캠 베이스로부터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캠자유부분에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보울트 작동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잠금해제 슬라이드는 상기 보울트 연장부내에서 전방 및 후방으로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캠의 상기 캠 자유부분을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보울트 작동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전방 끝은 상기 보울트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캠자유부분보다 더 짧은 거리만큼 상기 캠베이스로부터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캠자유부분에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잠금해제 슬라이드는 상기 보울트 연장부내에서 전방 및 후방으로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캠의 상기 캠 자유부분을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보울트 작동 조립체.
  5. 래치 작동 기구를 통하여 작동하는 후방 작동자의 운동에 의해 전방연장 위치로부터 후방후퇴 위치로 이동이 가능한 보울트를 장착하고 있는 프레임을 가진 래치보울트 작동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래치 작동기구는, 상기 프레임내에서 전방 및 후방이동이 가능하며 후방작동자의 운동을 후방 리트렉터의 운동으로 전달하기 위해 후방 작동자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후방부분을 갖고 있는 리트렉터와; 상기 프레임내에 들어있으며 상기 프레임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기초 끝과 상기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으로 피봇회전하는 자유부분을 구비한 캠, 상기 캠의 후방 피봇운동시 후방운동을 상기 보울트에 전달해 주기위해 상기 보울트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상기 캠 자유부분과; 그 후방끝에서는 상기 리트렉터의 전방부분에 피봇식으로 연결되고 그 전방끝에서는 상기 캠 기초끝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되는 상기 캠자유부분에 피봇으로 연결되는 링크와; 주보울트인 상기 보울트와 후퇴위치에서, 상기 래치 작동기구를 통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주보울트를 후퇴위치로 가압하려하는, 상기 주보울트에 대한 직접적인 모든 힘에 대항하여 상기 프레임내에 위치하며 잠금도그에 의해 상기 주보울트를 연장위치에 걸어 멈추는 보조보울트와; 상기 프레임내에 들어 있으며 상기 주보울트에 고착되어 있는 보울트 연장부재와; 상기 보울트 연장부에 대해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한 잠금해제 슬라이드, 그 위에 러그를 갖고 있는 상기 잠금해제 슬라이드, 상기 래치작동기구의 상기 캠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주보울트를 후퇴시키도록 상기 보울트 연장부를 맞물리게 하며 동시에 상기 주보울트가 걸어 멈추어지는 것을 막도록 상기 잠금 해제 슬라이드의 상기 러그를 상기 잠금도그와 맞물리게 하는 상기 잠금해제 슬라이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주보울트의 후방 가압시도에 의해서만 같은 어떠한 잠금해제 슬라이드 후방이동과는 관계없이 상기 보울트 연장부의 후방으로의 이동은 상기 잠금도그가 상기 주보울트를 연장위치에 걸어 잠그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보울트 작동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트 연장부는 후방으로 단면이 U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잠금해제 슬라이드를 겹쳐지게 끼워넣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보울트 작동 조립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트 연장부는 후방으로 단면이 U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잠금해제 슬라이드를 겹쳐지게 끼워넣고 있으며, 상기 잠금해제 슬라이드는 상기 보울트 연장부내부에서 단면이 U자 형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보울트 작동 조립체.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해제 슬라이드 러그는, 잠금도그가 연장위치에 있는 상기 주보울트를 걸어 멈추게 하는 동안에는 작용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잠금해제 슬라이드가 상기 캠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는 때에는 상기 주보울트를 걸어 멈추게 하는 것에 대항하여 상기 잠금도그를 제어하는 작용이 가능하게 구성 및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보울트 작동 조립체.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트 연장부는 후방으로 단면이 U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잠금해제 슬라이드를 겹쳐지게 끼워넣고 있으며, 상기 잠금해제 슬라이드는 상기 보울트 연장부내부에서 단면이 U자형상이며; 상기 잠금해제 슬라이드 러그는 잠금도그가 연장위치에 있는 상기 주보울트를 걸어 멈추게하는 동안에는 작용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잠금해제 슬라이드가 상기 캠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는 때에는 상기 주보울트를 걸어 멈추게 하는 것에 대항하여 상기 잠금도그를 제어하는 작동이 가능하게 구성 및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보울트 작동조립체.
  10. 래치작동 기구를 통하여 작동하는 후방 작동자의 운동에 의해 전방연장 위치로부터 후방후퇴 위치로 이동이 가능한 보울트를 장착하고 있는 프레임을 가진 형식의 래치보울트 작동조립체에 있어서, 래치 작동 기구는, 상기 프레임내에서 전방 및 후방이동이 가능하며 후방작동자의 운동을 후방 리트렉터의 운동으로 전달하기 위해 후방 작동자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후방부분을 갖고 있는 리트렉터와; 상기 프레임내에 들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기초 끝과 상기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으로 피봇회전하는 자유부분을 구비한 캠, 상기 캠의 후방 피봇운동시 후방운동을 상기 보울트에 전달해 주기위해 상기 보울트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상기 캠 자유부분과, 그 후방끝에서는 상기 리트렉터의 전방부분에 피봇식으로 연결되고 그 전방끝에서는 상기 캠 기초끝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되는 상기 캠 자유부분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링크, 및 2가지 백세트 크기를 제공하기 위해 각각 2가지 칫수의 위치에 교호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후방 작동자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상기 리트랙터 후방부분, 상기 리트랙터상에 직접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리트랙터 후방부분, 상기 리트랙터에 운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삽입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설치되어 있을 때 상기 하나의 리트랙터 후방부분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는 다른 하나의 리트랙터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보울트 작동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전방 끝은 상기 보울트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캠자유부분보다 더 짧은 거리만큼 상기 캠 기초끝으로부터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캠자유부분에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보울트 작동 조립체.
  12. 제10항에 있어서, 보울트 연장부는 상기 보울트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여 고착되어지며 상기 캠 자유부분은 상기 보울트 연장부내로 연장하여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보울트 작동 조립체.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트는 주보울트이며, 후퇴위치에서, 상기 래치작동 기구를 통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주보울트를 후퇴 위치로 가압하려 하는, 상기 주보울트에 대한 직접적인 모든 힘에 대항하여 잠금도그에 의해 상기 주보울트를 연장 위치에 걸어 멈추는 보조보울트가 있으며; 보울트 연장부는 상기 주보울트에 고착되어 있으며; 잠금 해제 슬라이드는 상기 보울트 연장부에 대해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잠금해제 슬라이드는 러그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잠금해제 슬라이드는 상기 래치작동기구의 상기 캠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주보울트를 후퇴시키도록 상기 보울트 연장부재를 맞물리게하며 동시에 상기 주보울트가 걸어 멈추어지는 것을 막도록 상기 잠금해제 슬라이드의 상기 러그를 상기 잠금도그와 맞물리게 하며, 상기 주보울트의 후방 가압 시도에 의해서와 같은 어떠한 잠금해제 슬라이드 후방이동과는 관계없이 상기 보울트 연장부의 후방으로의 이동은 상기 잠금도그가 상기 주보울트를 연장 위치에 걸어 잠그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보울트 작동 조립체.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트는 주보울트이며, 후퇴위치에서, 상기 래치작동 기구를 통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주보울트를 후퇴위치로 가압하려 하는, 상기 주보울트에 대한 직접적인 힘에 대항하여 잠금도그에 의해 상기 주보울트를 연장 위치에 걸어 멈추는 보조보울트가 있으며; 보울트 연장부는 상기 주보울트에 고착되어있으며; 잠금해제 슬라이드는 상기 보울트 연장부에 대해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잠금해제 슬라이드는 러그를 갖고 있으며, 상기 잠금해제 슬라이드는 상기 래치작동 기구의 상기 캠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잠금해제 슬라이드는 상기 주보울트를 후퇴시키도록 상기 보울트 연장부를 맞물리게 하며, 상기 주보울트가 걸어 멈추어지는 것을 막도록 상기 잠금회제 슬라이드의 상기 러그를 상기 잠금도그와 맞물리게 하며, 상기 주보울트의 후방가압 시도에 의해서와 같은 어떠한 잠금해제 슬라이드 후방이동과는 관계없이 상기 보울트 연장부의 후방으로의 이동은 상기 잠금도그가 상기 주보울트를 연장위치에 걸어 멈추도록 하며; 제거가능한 슬리이브는 상기 리트랙터의 일부를 덮어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슬리이브는 상기 리트랙터 후방 부분 삽입부재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은 상태로 래치 작동 기구의 운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보울트 작동 조립체.
  15. 주보울트 및 보조보울트를 설치한 프레임과, 래치 작동기구를 통하여 작동하는 후방 작동자의 운동에 의해 전방연장 위치로부터 후방후퇴 위치로 이동 가능한 주보울트와, 후퇴위치에서, 상기 래치작동 기구를 통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주보울트를 후퇴 위치로 가압하려는, 상기 주보울트에 대한 직접적인 모든 힘에 대항하여 잠금도그에 의해 상기 주보울트를 연장 위치에 걸어멈추는 보조보울트를 가지고 있는 형식의 래치장치에 있어서, 래치 작동기구는, 상기 프레임내에 들어있으며 상기 주보울트에 고착되어 있는 보울트 연장부와; 상기 보울트 연장부에 대해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잠금해제 슬라이드, 그 위에 러그를 가지고 있는 상기 잠금해제 슬라이드, 상기 래치 작동 기구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주보울트를 후퇴시키도록 상기 보울트 연장부재를 맞물리게 하며 한편 동시에 상기 주보울트의 걸어멈추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잠금해제 슬라이드의 상기 러그를 상기 잠금도그와 맞물리게 하는 상기 잠금해제 슬라이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주보울트의 후방가압 시도에 의해서와 같은 어떠한 잠금 해제 슬라이드 후방이동과는 관계없이 상기 보울트 연장부의 후방으로의 이동은 상기 잠금도그가 상기 주보울트를 연장위치에 걸어 멈추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보울트 작동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주보울트에 고착되어 있는 상기 보울트 연장부는 상기 주보울트로부터 후방으로 단면이 U자 형상이 뻗어있으며, 상기 보울트 연장부는 상기 잠금해제 슬라이드가 보울트 연장부 안에서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잠금해제 슬라이드를 겹쳐지게 끼워넣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보울트 작동조립체.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트 연장부재는 대체적으로 그 단면이 U자 형상이며 상기 주 보울트로부터 후방으로 뻗어있으며, 상기 잠금해제 슬라이드는 단면이 유사하게 U자 형상이며 보울트 연장부내에서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보울트 작동조립체.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해제 슬라이드 러그는 잠금도그가 연장위치에 있는 상기 주보울트를 걸어 멈추게 하는 동안에는 작용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잠금해제 슬라이드가 상기 래치 작동 기구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는 때에는 상기 주보울트를 걸어 멈추게 하는 것에 대항하여 상기 잠금도그를 제어하도록 구성 및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보울트 작동 조립체.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주보울트에 고착되어 있는 상기 보울트 연장부는 상기 주보울트로부터 후방으로 단면이 U자 형상으로 뻗어 있으며, 상기 보울트 연장부는 상기 잠금해제 슬라이드가 보울트 연장부 안에서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잠금 해제 슬라이드를 겹쳐지게 끼워넣고 있으며; 상기 잠금해제 슬라이드러그는 잠금도그가 연장 위치에 있는 상기 주보울트를 걸어 멈추게하는 동안에는 작용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잠금해제 슬라이드가 상기 래치 작동 기구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는 때에는 상기 주보울트를 걸어멈추게 하는 것에 대항하여 상기 잠금도그를 제어하도록 구성 및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보울트 작동 조립체.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트 연장부는 대체적으로 그 단면이 U자 형상이며 상기 주보울트로부터 후방으로 뻗어 있으며, 상기 잠금해제 슬라이드는 단면이 유사하게 U자 형상이며 보울트 연장부내에서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잠금해제 슬라이드 러그는 잠금도그가 연장위치에 있는 상기 주보울트를 걸어 멈추게하는 동안에는 작용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잠금해제 슬라이드가 상기 래치작동기구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는 때에는 상기 주보울트를 걸어 멈추게 하는 것에 대항하여 상기 잠금도그를 제어하도록 구성 및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보울트 작동조립체.
  21. 래치 작동 기구를 통하여 작동하는 후방 작동자의 운동에 의해 전방연장 위치로부터 후방후퇴 위치로 이동이 가능한 보울트를 장착하고 있는 프레임을 가진 래치보울트 작동조립체에 있어서, 래치 작동 기구는, 상기 프레임내에서 전방 및 후방이동이 가능하며 후방작동자의 운동을 후방 리트랙터의 운동으로 전달하기 위해 후방 작동자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후방부분을 갖고 있는 리트랙터와; 상기 프레임내에 들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기초 끝과 상기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으로 피봇회전하는 자유부분을 구비한 캠, 상기 캠의 후방운동으로의 후방 피봇운동시 후방으로의 운동을 상기 보울트에 전달해 주기 위해 상기 보울트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상기 캠 자유부분과; 그 후방끝에서는 상기 리트랙터의 전방부분에 피봇식으로 연결되고 그 전방끝에서는 상기 캠 기초끝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되는 상기 캠 자유부분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링크, 및 각각의 상기 리트랙터 및 캠내에 들어가는 폭이 넓혀진 곡면부분으로 되어 있는 상기 링크 전방 및 후방 끝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보울트 작동조립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전방 끝은 상기 보울트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캠자유부분보다 더 짧은 거리만큼 상기 캠베이스로부터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캠 자유부분에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리트랙터는 상기 프레임내에서 전방 및 후방으로 미끄럼 이동으로 전방 및 후방 이동이 가능하게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보울트 작동조립체.
KR1019840001697A 1983-04-11 1984-03-31 개량된 보울트 작동장치를 갖춘 래치보울트 작동 조립체 KR9100052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483,550 US4516798A (en) 1983-04-11 1983-04-11 Latch bolt operating assembly having bolt operating improvements
US483550 1983-04-11
US483,550 1983-04-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8471A KR840008471A (ko) 1984-12-15
KR910005293B1 true KR910005293B1 (ko) 1991-07-24

Family

ID=23920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1697A KR910005293B1 (ko) 1983-04-11 1984-03-31 개량된 보울트 작동장치를 갖춘 래치보울트 작동 조립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516798A (ko)
JP (2) JPS59199975A (ko)
KR (1) KR910005293B1 (ko)
AU (1) AU548655B2 (ko)
CA (1) CA1231356A (ko)
ES (1) ES531821A0 (ko)
GB (2) GB2138070B (ko)
HK (2) HK6898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91502C (en) * 1985-07-31 1991-10-29 Luis Valdajos Gallego Bolt lock with selectively variable actuating axis depth
US4750766A (en) * 1985-11-25 1988-06-14 Richard Shen Amphi-latch for a tubular lockset
JPS6373463U (ko) * 1986-10-29 1988-05-16
US4746154A (en) * 1987-02-02 1988-05-24 Posse Lock Manufacturing Co., Ltd. Tubular lock with an adjustable device for two-size setting
US4844522A (en) * 1987-11-02 1989-07-04 Kwikset Corporation Latch assembly
US4804216A (en) * 1988-02-01 1989-02-14 Dexter Lock Company Convertible backset latch mechanism
CA2046829A1 (en) * 1990-08-10 1992-02-11 Gary R. Bergen Door latch assembly
JP2509894Y2 (ja) * 1993-03-01 1996-09-04 高橋金物株式会社 ドア錠
SE505779C2 (sv) * 1994-04-14 1997-10-06 Assa Ab Låsmekanism
US5611581A (en) * 1995-03-13 1997-03-18 Emhart Inc. Latch assembly
US6441735B1 (en) 2001-02-21 2002-08-27 Marlin Security Systems, Inc. Lock sensor detection system
NZ594709A (en) * 2010-09-09 2012-03-30 Assa Abloy Australia Pty Ltd Low profile combination lock and latch for sliding cavity door of varying widths
US10400477B2 (en) 2015-11-03 2019-09-03 Townsteel, Inc. Electronic deadbolt
US11124992B2 (en) 2016-12-29 2021-09-21 Townsteel, Inc. Sliding actuator assembly for a latchset
US10890020B2 (en) 2016-12-29 2021-01-12 Townsteel, Inc. Double latch lockset
EP3798394B1 (en) * 2019-09-25 2022-03-02 Uhlmann & Zacher GmbH Door lock adapter
KR20220149347A (ko) * 2021-04-30 2022-11-08 주식회사 직방 래치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79320A (en) * 1936-06-17 1938-02-03 Yale & Towne Mfg Co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deadlocking latch
US2711920A (en) * 1952-07-14 1955-06-28 Schlage Lock Co Compound latch unit
US2776155A (en) * 1954-06-11 1957-01-01 Kwikset Locks Inc Extension for tubular latches
US3203719A (en) * 1962-10-22 1965-08-31 Francis J Moore Simplified construction for door latch operating mechanism
US3172691A (en) * 1963-02-06 1965-03-09 Fred J Russell Low friction latch bolt and hinge guide
US3353858A (en) * 1965-06-18 1967-11-21 Schlage Lock Co Lock unit with an extendable latch bolt
GB1185641A (en) * 1966-03-14 1970-03-25 Micro And Prec Moulding Chelt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oor Latches
GB1419831A (en) * 1972-03-20 1975-12-31 Daempa As Door latches
US4362328A (en) * 1980-05-19 1982-12-07 Truth Incorporated Patio door lock
US4427224A (en) * 1980-10-29 1984-01-24 Emhart Industries, Inc. Latch bolt assembly with selectively adjustable spindle backs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152130B (en) 1987-03-18
KR840008471A (ko) 1984-12-15
AU548655B2 (en) 1985-12-19
GB8408404D0 (en) 1984-05-10
JPH0726503B2 (ja) 1995-03-22
GB2138070B (en) 1987-03-18
JPH06123186A (ja) 1994-05-06
HK68988A (en) 1988-09-09
ES8503772A1 (es) 1985-03-16
GB8503852D0 (en) 1985-03-20
AU2520484A (en) 1984-10-18
GB2152130A (en) 1985-07-31
CA1231356A (en) 1988-01-12
US4516798A (en) 1985-05-14
HK69088A (en) 1988-09-09
GB2138070A (en) 1984-10-17
JPS59199975A (ja) 1984-11-13
ES531821A0 (es) 1985-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5293B1 (ko) 개량된 보울트 작동장치를 갖춘 래치보울트 작동 조립체
US6283516B1 (en) Lock mechanism
US5484180A (en) Electric strike mechanism
US6354121B1 (en) Mortise lockset with internal clutch
US5918916A (en) Automatic deadbolt with separate trigger
US5219385A (en) Lock for fire-escape door
JPH041834B2 (ko)
KR100483392B1 (ko) 전자기 잠금 기구
US6131966A (en) Latch holdback mechanism for a mortise lock
JPS6363874A (ja) 出口装置
JPH0557391B2 (ko)
US20100032966A1 (en) Gate latch device
CA2047590C (en) Door latch assembly
TW201619483A (zh) 具有斜閉塞面之柱形閂鎖螺栓組裝件
US6672116B1 (en) Double-locking mechanism for handcuffs
GB2206919A (en) Anti-pick lock mechanism
US5570916A (en) Breakaway lever clutch with vertical lift trim
CA2246211A1 (en) Deadbolt combination locking system with automatic locking spring bolt
NZ270234A (en) Door lever handle rotatably connected to a trim housing and driving a cam therein which moves a slider linearly along a guide rod which also holds a stop plate
US5094486A (en) Dead bolt assembly
EP0662553B1 (en) Door lever assembly
US6196035B1 (en) Door lock assembly having an automatically actuated latch mechanism
US20210047859A1 (en) Adjustable button mechanism
GB2226359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lockable handle assemblies
AU656896B2 (en) Improvements in door lo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1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