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8734A - 숙취 해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숙취 해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8734A
KR20020088734A KR1020010027660A KR20010027660A KR20020088734A KR 20020088734 A KR20020088734 A KR 20020088734A KR 1020010027660 A KR1020010027660 A KR 1020010027660A KR 20010027660 A KR20010027660 A KR 20010027660A KR 20020088734 A KR20020088734 A KR 20020088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hangover
rice
calc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7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경용
김종민
김종완
Original Assignee
엄경용
김종민
김종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경용, 김종민, 김종완 filed Critical 엄경용
Priority to KR1020010027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8734A/ko
Publication of KR20020088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873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5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e.g. chopping up, cutting or grin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곡류와 첨가제를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곡류는 쌀 맥아, 알파 현미, 대두, 옥수수 전분 및 율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첨가제는 구연산, 포도당, 아스파라긴산, 칼슘 및 효소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기 조성물은 곡류에 포도당, 구연산, 아스파라긴산, 칼슘 및 효소 등과 같은 첨가제를 포함함으로서, 상기 첨가제에 의해 숙취 해소 뿐만 아니라 근원적인 신체 회복을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숙취 해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dissolving suffer from aftereffects of drink}
본 발명은 숙취 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곡류와 첨가제를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술은 인류 역사와 함께 한다. 따라서, 술은 인류 역사와 함께 시작되어 현재까지 기호 식품으로 애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술은 기호 식품으로 애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과음을 할 경우 간, 위, 대장 및 뇌 기능 등의 저하를 가져오고, 숙취에 시달리게 된다. 상기 숙취는 두통, 매스꺼움, 위산과다, 오심, 설치 및 권태감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때문에, 상기 숙취는 일상 생활에 지장을 초래한다. 따라서, 상기 숙취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들이 다양하게 강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술을 과음한 다음날 해장국 등과 같은 식품을 섭취하거나 또는 상기 숙취를 해소하기 위한 조성물을 섭취한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술을 마시기 전,후에 섭취하거나 또는 상기 술 자체에 첨가하여 섭취한다.
상기 조성물에 대한 예는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81,168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99-25458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99-37871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99-56904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2000-12556호 및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2000-56560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81,168호에 개시된 바와 의하면, 오리 나무 및 마가목 추출물 등을 구성 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99-25458호에 의하면, 유기산에 감자 및 오이 등을 구성 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99-37871호에 의하면, 호깨 나무, 대추, 칡, 감초 계피 및 꿀 등을 구성 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99-56904호에 의하면, 포타슘염 등을 구성 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2000-12556호에 의하면, 배와 호깨 나무 등을 구성 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2000-56560호에 의하면, 지자구 나무, 잔대, 대추, 갈근, 감초 등을 구성 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개시된 조성물들은 각 구성 성분의 효능에 의해 간, 위, 대장 및 뇌 기능을 회복하고, 이에 따라, 숙취를 해소한다. 그러나, 상기 조성물들을 단지 상기 숙취를 해소하기 위한 보조 기능을 가질 뿐이다. 즉, 상기 숙취 해소를 위한 효과를 갖기는 하지만 근본적인 신체의 회복을 유도하지는 못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조성물들은 음주후 정장 작용과 숙취 해소에 대한 부분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일부 신진 대사의 기능 회복을 더하여 그 발전이 진행되고있다. 따라서, 종래의 조성물들은 숙취 해소에 효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체의 회복을 근원적으로 유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숙취 해소 뿐만 아니라 신체의 회복을 근원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한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쌀 맥아, 알파 현미, 대두, 옥수수 전분 및 율무를 포함하는 곡류와, 구연산, 포도당, 아스파라긴산, 칼슘 및 효소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포함한다.
실시예로서, 상기 곡류는 55 내지 65 중량%이고, 상기 첨가제는 잔량인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곡류 중에서 상기 쌀 맥아는 16 내지 18 중량%이고, 상기 알파 현미는 12 내지 14 중량%이고, 상기 대두는 11 내지 13 중량%이고, 상기 옥수수 전분은 9 내지 11 중량%이고, 상기 율무는 7 내지 9 중량%이고, 상기 첨가제 중에서 상기 포도당은 9 내지 11 중량%이고, 상기 구연산은 9 내지 11 중량%이고, 상기 아스파라긴산은 9 내지 11 중량%이고, 상기 칼슘은 4.0 내지 4.5 중량%이고, 상기 효소는 5.5 내지 6.0 중량%이다. 그리고, 그 혼합 비율을 살펴보면, 상기 쌀 맥아, 알파 현미, 대두, 옥수수 전분, 율무, 포도당, 구연산, 아스파라긴산, 칼슘 및 효소는 1 : 0.75 내지 0.80 : 0.68 내지 0.72 : 0.55 내지 0.60 : 0.45 내지 0.50 : 0.55 내지 0.60 : 0.55 내지 0.60 : 0.55 내지 0.60 : 0.23 내지 0.26 : 0.33 내지 0.36이다.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산제, 환약 또는 드링크류의 제형을 갖기 때문에, 그 복용의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조성물은 곡류에 포도당, 구연산, 아스파라긴산, 칼슘 및 효소 등과 같은 첨가제를 포함함으로서, 상기 첨가제에 의해 숙취 해소 뿐만 아니라 근원적인 신체 회복을 유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칼슘 및 효소 등이 인체에 끼치는 영향이 상기 신체 회복을 근원적으로 유도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성분의 효능을 중심으로 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쌀 맥아는 효소의 작용으로 당분을 갖는다. 이와 같이, 상기 쌀 맥아는 상기 당분을 갖기 때문에 상기 조성물을 복용할 때 다소 거부감을 주는 맛을 해소한다. 그리고, 상기 쌀 맥아는 상기 조성물을 공복에서 복용할 때 다소의 포만감을 제공한다. 때문에, 상기 쌀 맥아에 의해 과음 이후에 나타나는 공복감을 해소할 수 있다. 즉, 상기 쌀 맥아는 숙취에서 나타나는 공복감을 해소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알파 현미는 현미를 발아시킨 것이다. 상기 알파 현미를 구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은 발아 식품의 효능에 기인한다. 즉, 상기 현미를 가열하지 않고, 발아시킬 경우 소화 기능에 탁월한 효능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알파 현미는 과음 이후에 나타나는 소화 기능 저하에 효과가 있다.
상기 대두는 콩과에 속하는 1년생 식물로서, 풍부한 단백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대두는 소화력이 탁월한 식품이다. 따라서, 상기 대두는 숙취로 인하여부족할 수 있는 단백질 등과 같은 영양분을 충분히 제공한다. 또한, 상기 대두는 탁월한 소화력을 갖기 때문에, 상기 조성물의 소화에 보조적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옥수수 전분은 옥수수를 습식 가공하여 상기 옥수수로부터 배아, 옥피, 글루텐을 분리 및 제거한 식품이다. 상기 옥수수 전분은 증량제 및 안정제로 사용된다. 때문에, 상기 옥수수 전분은 숙취로 인하여 나타나는 정신적 불안감 등을 해소시킨다. 그리고, 상기 옥수수 전분은 상기 쌀 맥아와 더불어 상기 공복감을 해소하는데 효능이 있다.
상기 율무는 예로부터 이용되어 왔던 구황 식품으로서, 단백질, 지방, 아미노산 등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특히, 상기 율무는 그 영양 가치가 탁월할 뿐만 아니라 소화를 보조하고, 위장의 기능을 활발하게 해주며, 폐의 기운을 증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율무는 단박질 분해 효소의 작용도 한다. 따라서, 상기 율무는 숙취로 인하여 나타나는 위 기능 저하를 증강시킬 뿐만 아니라, 그 영양 가치로서 상기 숙취로 인하여 나타날 수 있는 인체의 영향 저하를 증강시킬 수 있다.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상기 쌀 맥아, 알파 현미, 대두, 옥수수 전분 및 율무를 포함하는 곡류를 약 60 중량% 정도 포함한다. 그리고, 그 효능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포도당, 구연산, 아스파라긴산, 칼슘 및 효소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약 40 중량% 정도 포함한다.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첨가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포도당은 효소에 의해 전분으로부터 가수 분해되어 수득되는 단당류이다. 상기 포도당은 당분을 갖기 때문에 상기 조성물의 맛을 배가시킨다. 때문에, 상기 쌀 맥아와 함께 상기 조성물의 복용을 할 때 나타날 수 있는 거부감을 해소한다. 그리고, 상기 포도당은 인체에 흡수되는 속도를 향상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조성물의 복용시 흡수 속도를 향상시킴으로서, 상기 조성물의 효능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갖는다.
상기 구연산은 레몬 등과 같은 물질에서 추출하는 것으로서, 건강 증진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구연산은 인체 내의 젖산의 축적을 저지하여 피로 회복에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상기 구연산은 레몬 등과 같은 물질에서 추출하기 때문에 충분한 비타민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구연산은 숙취로 인한 피로 회복에 효능을 갖는다.
상기 아스파라긴산은 아미노산의 일종으로서, 특히 콩나물에 풍부하다. 상기 아스파라긴산은 간 세포 내에서 알코올 대사를 촉진시켜 준다. 이에 따라, 상기 숙취로 인한 간 기능 저하에 효과가 있다. 때문에, 상기 아스파라긴산은 상기 조성물에서 간 기능을 증진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칼슘은 인체의 미네랄 구성과 유사한 우골분 등에서 추출하는 것으로서, 그 흡수력이 탁월하다. 상기 칼슘은 철분 등을 제공하는 물질로서, 특히 숙취로 인해 인체 내에 축적되는 주정 내의 불순물 흡착한다. 또한, 상기 칼슘은 혈액 순환에 탁월한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칼슘은 알코올 분해에도 효과가 있다. 때문에, 상기 칼슘은 상기 숙취로 인하여 인체에 축적되는 불순물 제거에 탁월한 효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칼슘은 알코올 분해에 효과가 있기 때문에 숙취로 인한전반적인 기능 저하에 효과가 있다.
상기 효소는 인체의 내장 활동, 근육 활동, 신경 활동 및 뇌 활동 등에 필수적이다. 때문에, 상기 효소는 숙취로 인한 신진 대사의 기능 저하에 탁월한 효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효소는 다양한 효과를 갖는데, 그 중에서도 숙취를 없애주는데 탁월하다. 이는, 상기 효소가 분해 작용을 행하여 상기 알코올을 분해시키기 때문으로, 음주로 인하여 인체의 혈액 중에 있는 알코올을 분해시켜 땀 또는 소변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갖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효소는 인체 내의 항상성을 유지한다. 때문에, 상기 효소는 인체 내의 이물질을 실질적으로 제거하고, 인체 내에 존재하는 세균의 평형을 유지하고, 인체 내의 세포 조직을 강화하고, 병원균에 대한 저항력을 강화시킨다. 따라서, 상기 효소는 숙취로 인하여 인체 내에 작용하는 나쁜 영향들에 효능을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효소는 혈액 정화 작용을 갖는다. 때문에, 혈중 콜레스테롤을 용해시키고, 혈류의 흐름을 좋게 한다. 따라서, 상기 효소는 숙취로 인하여 혈류에 가해지는 지장을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효솨는 혈액 중의 노폐물과 병족을 분해하여 배설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때문에, 상기 효소는 숙취로 인하여 혈액 중에 존재하는 노폐물 등을 원할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조성물은 쌀 맥아, 알파 현미, 대두, 옥수수 전분 및 율무를 포함하는 곡류와, 구연산, 포도당, 아스파라긴산, 칼슘 및 효소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갖기 때문에, 그 각각의 기능이 협조하여 상기 숙취를 근원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즉, 상기 숙취로 인한 공복감 등과 같은 불쾌감을 해소하고, 신진 대상의기능 저하를 해소하고, 특히 혈액 중에 있는 알코올 성분과 노폐물 등을 실질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숙취에 탁월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약 60 중량%의 곡류와 약 40 중량%의 첨가제로 구성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곡류 중에서 상기 쌀 맥아는 16 내지 18 중량%이고, 상기 알파 현미는 12 내지 14 중량%이고, 상기 대두는 11 내지 13 중량%이고, 상기 옥수수 전분은 9 내지 11 중량%이고, 상기 율무는 7 내지 9 중량%이고, 상기 첨가제 중에서 상기 포도당은 9 내지 11 중량%이고, 상기 구연산은 9 내지 11 중량%이고, 상기 아스파라긴산은 9 내지 11 중량%이고, 상기 칼슘은 4.0 내지 4.5 중량%이고, 상기 효소는 5.5 내지 6.0 중량%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쌀 맥아는 17 중량%이고, 상기 알파 현미는 13 중량%이고, 상기 대두는 12 중량%이고, 상기 옥수수 전분은 10 중량%이고, 상기 율무는 8 중량%이고, 상기 포도당은 10 중량%이고, 상기 구연산은 10 중량%이고, 상기 아스파라긴산은 10 중량%이고, 상기 칼슘은 4.2 중량%이고, 상기 효소는 5.8 중량%이다. 상기 조성물의 중량비는 인체에 가장 효율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범위로서,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각각의 구성 성분이 갖는 효과가 단독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성물을 그 구성 성분의 혼합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쌀 맥아, 알파 현미, 대두, 옥수수 전분, 율무, 포도당, 구연산, 아스파라긴산, 칼슘 및 효소는 1 : 0.75 내지 0.80 : 0.68 내지 0.72 : 0.55 내지 0.60 : 0.45 내지 0.50 : 0.55 내지 0.60 : 0.55 내지 0.60 : 0.55 내지 0.60 : 0.23내지 0.26 : 0.33 내지 0.36의 혼합비를 갖는다. 상기 조성물의 혼합비 또한 인체에 가장 효율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범위로서,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각각의 구성 성분이 갖는 효과가 단독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조성물의 구성 성분을 개별적으로 준비한다.
상기 쌀 맥아는 그 주성분인 쌀을 적당한 온도, 산소 그리고 습도를 갖는 장소에서 발아시켜 준비한다. 그리고, 상기 발아를 통하여 준비시킨 상기 쌀 맥아를 분쇄시켜 분말로 조제한다.
상기 알파 현미 또한 상기 쌀 맥아와 마찬가지로, 그 주성분인 현미를 발아시켜 준비한다. 그리고, 상기 발아를 통하여 준비시킨 상기 알파 현미를 분쇄시켜 분말로 조제한다.
상기 대두는 상기 대두 자체를 분쇄시켜 분말로 조제한다. 상기 율무 또한 상기 대두와 마찬가지로 상기 율무 자체를 분쇄시켜 분말로 조제한다.
상기 옥수수 전분은 그 주성분인 옥수수를 습식 가공을 거쳐 옥수수에서 배아, 옥피, 글루텐 등을 분리 및 제거시켜 준비한다. 그리고, 상기 분리 및 제조를 통하여 준비시킨 상기 옥수수 전분을 분쇄시켜 분말로 조제한다.
상기 포도당은 결정성 분말 형태를 갖는 함수 결정 포도당 또는 무수 결정 포도당을 준비한다. 그리고, 상기 구연산은 레몬에서 추출한 다음 분말로 준비한다. 상기 아스파라긴산은 콩나물로부터 추출하여 분말로 준비한다. 그리고, 상기칼슘은 동물의 뼈, 갑각류의 껍질 또는 미역 등과 같은 해조류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분말로 준비한다. 상기 효소는 동물 또는 식물에 미생물 상태로부터 생기는 교질 상태의 것으로부터 준비한다.
그리고, 상기 준비물들을 전술한 구성비로 혼합한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산제 형태의 제형을 갖는다. 또한, 상기 산제 형태의 제형을 갖는 조성물을 백밀(꿀) 또는 물엿(조청) 등을 사용하여 환약 형태의 제형을 갖도록 준비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조성물들을 드링큐류로 준비할 수도 있다.
상기 산제 형태의 제형을 갖는 조성물은 물과 함께 복용하거나 또는 물에 혼합하여 음용할 수 있다. 때문에, 음주 전,후에 상기 조성물을 복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성물을 술에 혼합하여 음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환약 형태의 제형을 갖는 조성물은 음주 전,후에 복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성물은 성인 1회 복용 기준이 5 내지 10g 정도이다.
그리고, 상기 산제 형태의 제형을 갖는 조성물을 가지고 다음과 같은 임상 실험을 실시하였다. Ⅰ 그룹은 평균 연령 22.5세의 성인 남녀 7명으로, 상기 Ⅰ 그룹의 성인 남녀 각각은 알코올 도수 25%인 소주를 안주없이 30분 내에 300mℓ를 마시게 하였다. 그리고, Ⅱ 그룹은 평균 연령 24세의 성인 남녀 8명으로, 상기 Ⅱ 그룹의 성인 남녀 각각은 알코올 도수 25%인 소주를 안주없이 30분 내에 300mℓ를 마시게 하였다. 또한, 상기 Ⅱ 그룹에게는 상기 소주를 마신 직후, 상기 조성물 5 내지 10g을 물과 함께 복용하게 하였다. 여기서, 상기 실험에 참가한 Ⅰ 그룹 및 Ⅱ 그룹은 평균 주량이 약 300㎖ 정도이다.
그 결과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상기 Ⅰ 그룹의 경우 혈중 알코올 농도가 9시간 이후에도 0.2%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상기 Ⅱ 그룹의 경우 혈중 알코올 농도는 3시간이 경과한 이후 0.1% 정도로 경감하였고, 5시간이 경과한 이후에는 거의 미미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험 결과, 상기 조성물이 혈중 알코올 농도를 경감시키는 효능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상기 Ⅱ 그룹의 성인 남녀 8명은 숙취에서 오는 공복감을 호소하는 사람이 아무도 없었고, 두통을 호소하는 사람 또한 아무도 없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숙취로 인한 매스꺼움, 설사, 불쾌감 등을 호소하는 사람들도 아무도 없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이 숙취에 효능이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조성물 각각이 갖는 효능으로서 상기 숙취로 인하여 인체에 끼치는 나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조성물은 알코올 분해 능력을 가질 뿐만 아니라 혈액 순환, 소화 기능, 노폐물 분비 등에도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숙취 이후에 상기 조성물을 복용할 경우 상기 숙취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숙취로 인한 영향을 근원적으로 해결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쌀 맥아, 알파 현미, 대두, 옥수수 전분 및 율무를 포함하는 곡류와, 구연산, 포도당, 아스파라긴산, 칼슘 및 효소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류는 55 내지 65 중량%이고, 상기 첨가제는 잔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곡류 중에서 상기 쌀 맥아는 16 내지 18 중량%이고, 상기 알파 현미는 12 내지 14 중량%이고, 상기 대두는 11 내지 13 중량%이고, 상기 옥수수 전분은 9 내지 11 중량%이고, 상기 율무는 7 내지 9 중량%이고, 상기 첨가제 중에서 상기 포도당은 9 내지 11 중량%이고, 상기 구연산은 9 내지 11 중량%이고, 상기 아스파라긴산은 9 내지 11 중량%이고, 상기 칼슘은 4.0 내지 4.5 중량%이고, 상기 효소는 5.5 내지 6.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쌀 맥아, 알파 현미, 대두, 옥수수 전분, 율무, 포도당, 구연산, 아스파라긴산, 칼슘 및 효소는 1 : 0.75 내지 0.80 : 0.68 내지 0.72 : 0.55 내지 0.60 : 0.45 내지 0.50 : 0.55 내지 0.60 : 0.55 내지 0.60 : 0.55 내지 0.60 : 0.23 내지 0.26 : 0.33 내지 0.36의 혼합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산제, 환약 또는 드링크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20010027660A 2001-05-21 2001-05-21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200200887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660A KR20020088734A (ko) 2001-05-21 2001-05-21 숙취 해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660A KR20020088734A (ko) 2001-05-21 2001-05-21 숙취 해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8734A true KR20020088734A (ko) 2002-11-29

Family

ID=27705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7660A KR20020088734A (ko) 2001-05-21 2001-05-21 숙취 해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87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494B1 (ko) * 2004-04-12 2006-07-2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알코올 분해 촉진능을 가지는 물질의 초고속 스크리닝방법
WO2016099043A1 (ko) * 2014-12-17 2016-06-23 주식회사 블루텍 숙취해소용 및 간기능 개선용 음료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143A (ko) * 1993-06-28 1995-01-03 고창순 아스파테이트 또는 아스파라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콜성 장해보호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950007867A (ko) * 1993-09-22 1995-04-15 성우경 숙취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생약제 조성물
KR950024764A (ko) * 1994-02-18 1995-09-15 강상모 알콜성 장해 보호제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
KR960009910A (ko) * 1994-09-27 1996-04-20 겐지 이치카와 식품 또는 음료첨가용 발효액의 제조방법 및 식품 또는 음료첨가용 발효액
KR19990056904A (ko) * 1997-12-29 1999-07-15 엠 길 로렌스 숙취 치료용 조성물
KR20000066984A (ko) * 1999-04-22 2000-11-15 안상태 숙취해소 및 뇨산대사 장애를 해소시킬수 있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143A (ko) * 1993-06-28 1995-01-03 고창순 아스파테이트 또는 아스파라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콜성 장해보호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950007867A (ko) * 1993-09-22 1995-04-15 성우경 숙취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생약제 조성물
KR950024764A (ko) * 1994-02-18 1995-09-15 강상모 알콜성 장해 보호제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
KR960009910A (ko) * 1994-09-27 1996-04-20 겐지 이치카와 식품 또는 음료첨가용 발효액의 제조방법 및 식품 또는 음료첨가용 발효액
KR19990056904A (ko) * 1997-12-29 1999-07-15 엠 길 로렌스 숙취 치료용 조성물
KR20000066984A (ko) * 1999-04-22 2000-11-15 안상태 숙취해소 및 뇨산대사 장애를 해소시킬수 있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494B1 (ko) * 2004-04-12 2006-07-2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알코올 분해 촉진능을 가지는 물질의 초고속 스크리닝방법
WO2016099043A1 (ko) * 2014-12-17 2016-06-23 주식회사 블루텍 숙취해소용 및 간기능 개선용 음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5745B1 (ko) 기능성 새싹채소 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의 방법으로 제조한새싹 채소 음료
CN105105025B (zh) 一种发芽糙米制备的粉体酵素食品
KR101301094B1 (ko)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018065B1 (ko) 대추를 사용한 건강음료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음료
KR101611954B1 (ko) 변비 및 피로회복 개선 기능을 가지는 발효광물 생식 환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발효광물 생식 환
CN111902049A (zh) 宿醉解酒功能优异并且预防酒精所致肝损伤的健康饮料组成物
KR20170060195A (ko) 미강발효물공정
KR20100028258A (ko) 다시마의 발효에 의한 다량의 gaba를 함유한 발효산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천연 발효조미료와 다시마 발효분말의 제조 방법
KR101277200B1 (ko) 유기농 곡류 효소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080305191A1 (en) Drinking Water For a Diabetic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KR101935500B1 (ko) 고함량 아베난쓰라마이드의 발아 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hamoli et al. Finger millet (Eluesine coracana):-Nutritional status, health benefits and processing status-A review
KR101837158B1 (ko) 미강 발효물을 이용한 연육소스 및 그 제조방법
JP3760139B2 (ja) 飲食品組成物の製造法
KR100512322B1 (ko) 변비에 개선 효과를 갖는 식물 복발효 효소액 및 이를사용한 기능성 음료
KR20020088734A (ko)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1133813B1 (ko) 막걸리의 제조방법
KR101690416B1 (ko) 천마, 미강, 치아씨, 녹차분말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JP3762364B2 (ja) ミミズと蟻を用いた健康食品の製造方法
CN114343095A (zh) 一种麦汁饮料的生产方法
CN106616099A (zh) 一种可提高小儿食欲的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KR100552144B1 (ko) 식물 복발효 효소액 및 이를 사용한 기능성 음료
KR101296419B1 (ko) 오이함유 음료수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876557A (zh) 一种葛根护肝饮料及其制作方法
KR101383791B1 (ko) 발아현미를 이용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