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8174A - 차량용 트레일링 아암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트레일링 아암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8174A
KR20020088174A KR1020010027147A KR20010027147A KR20020088174A KR 20020088174 A KR20020088174 A KR 20020088174A KR 1020010027147 A KR1020010027147 A KR 1020010027147A KR 20010027147 A KR20010027147 A KR 20010027147A KR 20020088174 A KR20020088174 A KR 20020088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trailing arm
manufacturing
forg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7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7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8174A/ko
Publication of KR20020088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817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8Attaching arms to un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 B60G2200/462Toe-in/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1Shaping
    • B60G2206/8102Shaping by stamping
    • B60G2206/81022Shaping by stamping by fo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1Joinin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9Joining by deformation
    • B60G2206/82092Joining by deformation by press-fi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차량용 트레일링 아암(trailing arm)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트레일링 아암은,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단에 용접되고, 한 쌍의 서스펜션 아암이 결합되도록 형성된 단조형 아암으로 이루어져 차량의 선회 또는 제동시 토우 아웃을 줄이도록 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품의 최적 설계가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트레일링 아암 및 그 제조방법{TRAILING ARM FOR VEHICL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트레일링 아암(trailing arm)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지게 하여 코스트를 다운시키고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개선된 차량용 트레일링 아암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가장치는 주행 중 노면에서 받는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여 승차감과 자동차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현가장치는 차륜 구동방식에 따라 일체식과 독립식으로 나누어지고, 독립식 현가장치에는 전륜일 경우 위시본, 맥퍼슨 형식이 주로 사용되고, 후륜일 경우 트레일링 링크형식, 세미 트레일링 아암 형식 등이 주로 사용된다.
도 1에는 이중 세미 트레일링 암 형식의 현가장치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후방 차축(102)과 프레임(104) 사이에 트레일링 아암(106)이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특히, 상기 트레일링 아암(106)은, 바디(107)와, 이 바디(107)의 일단에 형성되어 차축(102)에 선회 가능하도록 하는 제1관통부재(미도시)와, 상기 바디(107)의 타단에 형성되어 일정 각도로 분할되어 프레임(104) 측에 힌지 결합되는 부시가 끼워지도록 각각 형성된 제2관통부재(108) 및 제3관통부재(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트레일링 아암(106)은 주조, 단조, 및 프레스 동일 공법으로 일체화로 제조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트레일링 아암(106)의 제조방법은 각 공법별로 제조되므로 특히, 주조 및 단조 공법에 따라 제조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프레스 공법에 따라 내구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험이 필요하고 개발기간이 길어진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일링 아암(106) 전체를 단조, 주조, 및 프레스 공법을 적용하여 제조함에 따라 중량이 커지고, 정도(정밀도)가 떨어지는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공법을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시키고 최적의 설계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중량이 줄어들고, 정도가 향상된 차량용 트레일링 아암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트레일링 아암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레일링 아암의 구성을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트레일링 아암
11.바디
20. 단조형 아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트레일링 아암은,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단에 용접되고, 한 쌍의 서스펜션 아암이 결합되도록 형성된 단조형 아암으로 이루어져 차량의 선회 또는 제동시 토우 아웃을 줄이도록 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트레일링 아암 제조방법은, 바디와, 이 바디의 일단에 형성되어 한 쌍의 서스펜션 아암이 결합되는 단조형 아암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트레일링 아암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바디를 프레스 공법에 의해 형성하는 단계와; (b) 상기 단조형 아암을 단조 공법에 의해 형성하는 단계와; (c) 상기 바디의 일단에 상기 단조형 아암을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레일링 아암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일반적인 차량용 트레일링 아암 및 그 제조방법의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특징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레일링 아암(10)은, 바디(11)와, 상기 바디(11)의 일단에 용접되고, 한 쌍의 서스펜션 아암(31,32)이 결합되도록 형성된 단조형 아암(20)으로 이루어져 차량의 선회 또는 제동시 토우 아웃을 줄이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바디(11)의 타단에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 부시(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서스펜션 아암은 어퍼 아암(upper arm)(31)과, 로우어 아암(lower arm)(32)으로 구성된다.
한편, 도 2에서 설명되지 않은 참조부호 21, 31a, 32a는 리어 쇽업소버(미도시)가 결합되는 마운팅부와, 아암 부시를 나타내 보인 것이다. 그리고 참조부호 W는 용접부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레일링 아암 제조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레일링 아암 제조방법은, 우선, 바디(11)를 프레스 공법에 의해 형성한다.(단계 110)
이어서, (b) 한 쌍의 서스펜션 아암(31,32)이 결합되는 단조형 아암(20)을 단조 공법에 의해 형성한다.(단계 120)
그리고, 상기 바디(11)의 일단에 단조형 아암(20)을 용접한다.(단계 13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레일링 아암 및 그 제조방법에서, 상기 단조형 아암(20)은 어퍼 아암(31) 및 로우어 아암(32)이 결합되는 것은 물론 쇽업소버가 결합되는 마우팅부(21)가 형성되어야 하므로 정밀도를 요한다. 따라서 상기 단조형 아암(20)은 단조 공법을 적용하여 별도로 제조한다.
그리고 상기 바디(11)는 정밀도가 요구되지 않음으로 프레스 공법에 의해 제조한다. 그리고 이들을 용접에 의해 결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레일링 아암 및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부품의 기능 및 구조에 따라 프레스 공정과 단조 공정을 각각 별도로 수행한 후, 이들을 용접에 의해 결합시키므로 제조가 간단해지고, 제품(트레일링 아암)에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 내구성, 및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각 공법의 장점만을 이용되므로 제품의 최적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품을 별도로 공법별로 제작되므로 불필요한 살 부분이 제거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중량이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단에 용접되고, 한 쌍의 서스펜션 아암이 결합되도록 형성된 단조형 아암으로 이루어져 차량의 선회 또는 제동시 토우 아웃을 줄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레일링 아암.
  2. 바디와, 이 바디의 일단에 형성되어 한 쌍의 서스펜션 아암이 결합되는 단조형 아암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트레일링 아암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바디를 프레스 공법에 의해 형성하는 단계와;
    (b) 상기 단조형 아암을 단조 공법에 의해 형성하는 단계와;
    (c) 상기 바디의 일단에 상기 단조형 아암을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레일링 아암 및 그 제조방법.
KR1020010027147A 2001-05-18 2001-05-18 차량용 트레일링 아암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881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147A KR20020088174A (ko) 2001-05-18 2001-05-18 차량용 트레일링 아암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147A KR20020088174A (ko) 2001-05-18 2001-05-18 차량용 트레일링 아암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8174A true KR20020088174A (ko) 2002-11-27

Family

ID=27705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7147A KR20020088174A (ko) 2001-05-18 2001-05-18 차량용 트레일링 아암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8174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63115A (ja) * 1987-04-21 1988-10-31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ヨンア−ム構造
JPH0535405U (ja) * 1991-10-22 1993-05-14 株式会社ヨロズ 自動車用サスペンシヨンアーム
JPH0661513U (ja) * 1993-02-12 1994-08-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KR0177288B1 (ko) * 1995-04-28 1999-03-20 와다 아키히로 아암 및 아암의 단조방법
KR100219925B1 (ko) * 1995-03-23 1999-09-01 와다 아끼히로 서스펜션 아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63115A (ja) * 1987-04-21 1988-10-31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ヨンア−ム構造
JPH0535405U (ja) * 1991-10-22 1993-05-14 株式会社ヨロズ 自動車用サスペンシヨンアーム
JPH0661513U (ja) * 1993-02-12 1994-08-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KR100219925B1 (ko) * 1995-03-23 1999-09-01 와다 아끼히로 서스펜션 아암
KR0177288B1 (ko) * 1995-04-28 1999-03-20 와다 아키히로 아암 및 아암의 단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99060A1 (en) Torsion beam axle suspension
EP0675813B1 (en)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JP2002166714A (ja)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KR101163695B1 (ko) 차량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
JP3128678B2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取り付け構造
KR20020088174A (ko) 차량용 트레일링 아암 및 그 제조방법
JP2000016042A (ja) リヤサスペンション構造
JP3200854B2 (ja) 操舵駆動輪用サスペンションの組立て方法
KR100452203B1 (ko) 두께 차이를 갖는 현가장치용 로워암
CN219191849U (zh) 一种汽车悬架减振器结构
KR200151159Y1 (ko) 횡력 지지 수단을 갖는 후륜 현가 장치 구조
KR100224493B1 (ko) 차량의 후륜 현가장치
CN212400816U (zh) 汽车后悬架系统、汽车后悬架套件和汽车
US20230150324A1 (en) Suspension
KR102074498B1 (ko) 차량용 너클 및 그 제조 방법
KR20050101899A (ko) 차량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
KR200206928Y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로워 컨트롤 아암
JPH09290611A (ja) ラテラルロッドの取付構造
KR100422485B1 (ko) 리어 현가장치의 트레일링 링크부재의 부시구조
JPH03246169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500296B1 (ko) 듀얼링크 타입 현가장치
KR100192407B1 (ko) 멀티링크형 리어서스펜션의 트레일링아암용 부시
JPH03136996A (ja) 自動二輪車用前輪サスペンションのスイングアーム構造
KR100456900B1 (ko) 차량의 리어서브프레임과 서스펜션아암들의 배치구조
JPH01106714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