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2407B1 - 멀티링크형 리어서스펜션의 트레일링아암용 부시 - Google Patents

멀티링크형 리어서스펜션의 트레일링아암용 부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2407B1
KR100192407B1 KR1019960067741A KR19960067741A KR100192407B1 KR 100192407 B1 KR100192407 B1 KR 100192407B1 KR 1019960067741 A KR1019960067741 A KR 1019960067741A KR 19960067741 A KR19960067741 A KR 19960067741A KR 100192407 B1 KR100192407 B1 KR 100192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tube
vehicle
bush
arm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7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9068A (ko
Inventor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67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2407B1/ko
Publication of KR19980049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9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2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24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링크형 리어서스펜션의 트레일링아암용 부시에 관한 것으로, 크로스멤버(100)에 타이어의 충격을 감쇠시킬 수 있도록 리어아암(200)과 어시스트아암(300)이 설치됨과 더불어, 소정각도로 기울어져 트레일링아암(400)이 금속성의 외측관(510)과 보울트가 끼워지도록 외측관(510)의 내부에 배치된 플라스틱내관(520) 및 상기 외측관(510)과 플라스틱내관(520)의 사이에 성형된 고무(530)로 이루어진 부시(500)를 매개로 어퍼아암에 설치된 멀티링크형 리어서스펜션에 있어서, 상기 부시(500)가, 차량의 안쪽방향으로 상기 플라스틱내관(520)에 끼워져 외측관(510)의 주행방향 내주면(511)에 지지되도록 스톱퍼(540)가 설치됨과 더불어 차량의 외부쪽방향으로는 상기 플라스틱내관(520)에 끼워져 외측관(510)의 역주행방향 내주면(511)에 지지되도록 스톱퍼(550)가 설치되어, 차량의 코너링시 발생되는 토우아웃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조정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멀티링크형 리어서스펜션의 트레일링아암용 부시
본 발명은 멀티링크형 리어서스펜션의 트레일링아암용 부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코너링시 발생되는 토우아웃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조정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멀티링크형 리어서스펜션의 트레일링아암용 부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중에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차체와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만드는 장치로서, 노면으로부터 충격을 완화시키는 섀시 스프링과, 섀시 스프링의 자유진동을 제어하여 승차감을 좋게 하는 쇽 업소버 및 차량의 롤링을 방지하는 스태빌라이저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현가장치는 자동차의 장착부위에 따라 앞현가장치와 뒤현가장치로 구분되어지고, 상기 뒤현가장치는 평행 리이프 스프링형과 코일스프링형의 차축식과, 스윙 액슬형과 트레일링아암형 및 세미 트레일링 아암형과 다이어고널 링크형의 독립식 및, 다수개의 링크로 결합되는 멀티링크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섀시 스프링은 차체와 바퀴사이에 설치되어 자동차가 주행할 때에 노면에서 받는 충격과 바퀴의 진동을 흡수하여 차체에 전달하지 않기 위한 것으로서, 금속제의 리이프 스프링과, 코일 스프링, 토오션 바아 스프링 등이 있고, 그외에도 고무 스프링이나 공기 스프링 등도 사용되고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멀티링크형 리어서스펜션을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크로스멤버(100)에 타이어의 충격을 감쇠시킬 수 있도록 리어아암(200)과 어시스트아암(300)이 설치됨과 더불어, 소정각도로 기울어져 트레일링아암(400)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트레일링아암(400)에는 제동력에 대응하도록 부시(500)가 제2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설치되어 있는 바, 이 부시는, 상기 트레일링아암(400)이 용접된 금속성의 외측관(510)과, 보울트가 끼워지도록 외측관(510)의 내부에 배치된 플라스틱내관(520) 및, 상기 외측관(510)과 플라스틱내관(520)의 사이에 성형된 고무(530)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부시(500)가 자동차의 코너링시나 제동시 트레일링아암(400)에 발생되는 탄력을 감쇠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부시(500)의 구조는, 코너링시 뒷바퀴가 토우아웃(Toe-out)되어 차량이 급선회하게 되는 결점을 해소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안쪽방향으로 부시의 플라스틱내관에 끼워져 외측관의 주행방향 내주면에 지지되도록 스톱퍼가 설치됨과 더불어 차량의 외부쪽방향으로는 부시의 플라스틱내관에 기워져 외측관의 역주행방향 내주면에 지지되도록 스톱퍼가 설치된 부시가 트레일링아암에 설치되어, 차량의 코너링시 발생되는 토우아웃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조정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멀티링크형 리어서스펜션의 트레일링아암용 부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멀티링크형 리어서스펜션을 나타내는 개략도.
제2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트레일링아암용 부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링아암용 부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방향 측면도.
제5도는 제3도의 B방향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크로스멤버 200 : 리어아암
300 : 어시스트아암 400 : 트레일링아암
500 : 부시 510 : 외측관
511 : 내주면 520 : 플라스틱내관
530 : 고무 540, 550 : 스톱퍼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크로스멤버에 타이어의 충격을 감쇠시킬 수 있도록 리어아암과 어시스트아암이 설치됨과 더불어, 소정각도로 기울어져 트레일링아암이 금속성의 외측관과 보울트가 끼워지도록 외측관의 내부에 배치된 플라스틱내관 및 상기 외측관과 플라스틱내관의 사이에 성형된 고무로 이루어진 부시를 매개로 어퍼아암에 설치된 멀티링크형 리어서스펜션에 있어서, 상기 부시가, 차량의 안쪽방향으로 상기 플라스틱내관에 끼워져 외측관의 주행방향 내주면에 지지되도록 스톱퍼가 설치됨과 더불어 차량의 외부쪽방향으로는 상기 플라스틱내관에 끼워져 외측관의 역주행방향 내주면에 지지되도록 스톱퍼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링아암용 부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제4도는 제3도의 A방향 측면도이며, 제5도는 제3도의 B방향 측면도로서, 종래 기술을 설명하는 제1도 및 제2도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크로스멤버(100)에 타이어의 충격을 감쇠시킬 수 있도록 리어아암(200)과 어시스트아암(300)이 설치됨과 더불어, 소정각도로 기울어져 트레일링아암(400)이 금속성의 외측관(510)과 보울트가 끼워지도록 외측관(510)의 내부에 배치된 플라스틱내관(520) 및 상기 외측관(510)과 플라스틱내관(520)의 사이에 성형된 고무(530)로 이루어진 부시(500)를 매개로 어퍼아암에 설치된 멀티링크형 리어서스펜션에 있어서, 상기 부시(500)가, 차량의 안쪽방향으로 상기 플라스틱내관(520)에 끼워져 외측관(510)의 주행방향 내주면(511)에 지지되도록 스톱퍼(540)가 설치됨과 더불어 차량의 외부쪽방향으로는 상기 플라스틱내관(520)에 끼워져 외측관(510)의 역주행방향 내주면(511)에 지지되도록 스톱퍼(550)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톱퍼(550)는 제4도와 제5도는 삼각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부체꼴형상으로 되어도 무상함은 물론이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트레일링아암(400)에 압축력을 작용하게 하는 차량의 범프시와 인장력을 작용하게 하는 차량의 제동시 스톱퍼(540,550)에 의해 외륜에서 시계방향의 회전성분을 만들어 토우인의 특성을 보이게 한다. 이때 상기 스톱퍼(540,550)에 의해 차량의 바디측 변형량을 적게 함은 물론 너클측의 변형량도 적게 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반대의 특성이 요구될 때에는 상기 스톱퍼(540,550)를 반대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링크형 리어서스펜션의 트레일링아암용 부시에 의하면, 차량의 안쪽방향으로 플라스틱내관에 끼워져 외측관의 주행방향 내주면에 지지되도록 스톱퍼가 설치됨과 더불어 차량의 외부쪽방향으로는 부시의 플라스틱내관에 끼워져 외측관의 역주행방향 내주면에 지지되도록 스톱퍼가 설치된 부시가 트레일링아암에 설치되어, 차량의 코너링시 발생되는 토우아웃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조정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크로스멤버(100)에 타이어의 충격을 감쇠시킬 수 있도록 리어아암(200)과 어시스트아암(300)이 설치됨과 더불어, 소정각도로 기울어져 트레일링아암(400)이 부시(500)를 매개로 어퍼아암에 설치된 멀티링크형 리어서스펜션에 있어서, 상기 부시(500)가, 바디패널에 고정되는 외측관(510)과, 이 이 외측관(510)의 내부에 배치된 플라스틱내관(520)과, 상기 외측관(510)과 플라스틱내관(520)의 사이에 성형된 고무(530)와, 상기 플라스틱내관(520)에 끼워져 외측관(510)의 주행방향 내주면(511)에 지지되도록 차량의 안쪽방향에 설치되는 스톱퍼(540)와, 상기 플라스틱내관(520)에 끼워져 외측관(510)에 역주행방향 내주면(511)에 지지되도록 차량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스톱퍼(5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링크형 리어서스펜션의 트레일링아암용 부시.
KR1019960067741A 1996-12-19 1996-12-19 멀티링크형 리어서스펜션의 트레일링아암용 부시 KR100192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7741A KR100192407B1 (ko) 1996-12-19 1996-12-19 멀티링크형 리어서스펜션의 트레일링아암용 부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7741A KR100192407B1 (ko) 1996-12-19 1996-12-19 멀티링크형 리어서스펜션의 트레일링아암용 부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068A KR19980049068A (ko) 1998-09-15
KR100192407B1 true KR100192407B1 (ko) 1999-06-15

Family

ID=19489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7741A KR100192407B1 (ko) 1996-12-19 1996-12-19 멀티링크형 리어서스펜션의 트레일링아암용 부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240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068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5902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00192407B1 (ko) 멀티링크형 리어서스펜션의 트레일링아암용 부시
KR100456896B1 (ko) 리어 서스펜션의 트레일링 아암 부쉬
KR100224493B1 (ko) 차량의 후륜 현가장치
KR100451090B1 (ko)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 부시
KR100361302B1 (ko) 자동차의 전륜 현가장치
KR200151159Y1 (ko) 횡력 지지 수단을 갖는 후륜 현가 장치 구조
KR960003495Y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20070035874A (ko) 차륜의 캠버 제어용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
KR19990007181U (ko) 자동차 서스펜션의 크로스 맴버 보강용 브라켓
KR100211575B1 (ko) 자동차 어퍼 암 축핀의 핀 볼트 고정구조
KR100199741B1 (ko) 위시본식 전방서스펜션
KR19980024176U (ko) 자동차의 멀티 링크 서스펜션
KR0139695Y1 (ko) 상부 컨트롤 아암의 리바운드 범퍼
KR200141421Y1 (ko) 세미트레일링암형(semi trailing arm type) 뒤현가장치의 콘트롤 암(control arm) 고정구조
KR100451089B1 (ko)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형 현가장치
KR200187358Y1 (ko) 현가장치의 로어암용 부시
KR960003493Y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960005202Y1 (ko) 자동차의 트레일링 아암 고정구조
KR101081257B1 (ko) 서스펜션의 마운팅 부시
KR20030055449A (ko) 자동차의 멀티링크형 현가장치
KR20030080475A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9980029950U (ko) 자동차 어퍼 암 축핀의 어퍼 암 브라켓 고정구조
KR19980013796A (ko) 자동차 서스펜션의 트레일링 링크용 부시구조
KR19980046563A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용 부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