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7851A - 중통 낚싯대 - Google Patents

중통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7851A
KR20020087851A KR1020020025209A KR20020025209A KR20020087851A KR 20020087851 A KR20020087851 A KR 20020087851A KR 1020020025209 A KR1020020025209 A KR 1020020025209A KR 20020025209 A KR20020025209 A KR 20020025209A KR 20020087851 A KR20020087851 A KR 20020087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fishing line
taper
rod
tap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5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4064B1 (ko
Inventor
마츠모토키요히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20087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7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4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40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02Fishing rods with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hollow rod
    • A01K87/005Fishing rods with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hollow rod comprising internal line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 A01K87/025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telescopi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싯줄 및 장대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강도가 우수한 중통 낚싯대를 제공한다.
이 진출 형식의 중통 낚싯대는, 원간(1)과 원간(1)의 수선측에 진출 형식으로 연결되는 제2 장대를 구비하고, 원간(1)은 수선측 단부로부터 장대 기단측으로 향하여 내경이 커지는 제1 테이퍼 부분 A와, 제1 테이퍼 부분 A의 장대 기단측에 연속하고 제1 테이퍼 부분 A보다 크게 테이퍼져서 장대 기단측으로 향할수록 내경이 커지는 제2 테이퍼 부분 B와, 제2 테이퍼 부분 B의 장대 기단측에 연속하고 제2 테이퍼 부분 B보다 작게 테이퍼져서 장대 기단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제3 테이퍼 부분 C를 가지고, 그에 더하여 이 제2 테이퍼 부분 B 및/또는 제3 테이퍼 부분 C에 형성된 낚싯줄 도입구(10)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중통 낚싯대{HOLLOW FISHING ROD}
본 발명은 중통 낚싯대, 특히 진출(振出) 형식으로 연결되고 내부에 낚싯줄을 삽통(揷通)할 수 있는 중통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진출 형식의 중통 낚싯대는, 내부에 낚싯줄 통로를 가지는 초릿대(穗先竿), 중간(中竿) 및 원상간(元上竿)과 이러한 장대의 기단측에 연결되고 각 장대를 순차적으로 내부에 수납할 수 있는 원간(元竿)을 구비하고 있다. 원간은 외주면에 제공되고 릴을 장착할 수 있는 릴 시트와, 릴 시트의 수선측(穗先側)에 제공된 낚싯줄 도입구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간고측(竿尻側) 단부에는 마개 형상의 고전(尻栓)이 끼워 넣어져 있다. 또한 초릿대의 수선측 선단에는 톱 가이드(top guide)가 제공되어 있다.
이 중통 낚싯대에서는, 사용시에는 각 장대를 순차적으로 수선측으로 잡아 빼서 고정하여 하나의 낚싯대로서 사용한다. 그리고 원간의 외주면에 제공된 릴로부터 나온 낚싯줄은 낚싯줄 도입구로부터 장대 내의 낚싯줄 통로로 도입되어 수선측으로 안내되고, 초릿대의 수선측 선단에 제공된 톱 가이드로부터 외부로 안내된다. 또한, 장대의 수납시에는 각 장대를 순차적으로 장대 기단측의 장대 내에 수납하여 컴팩트한 상태로 만든다.
여기에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싯줄 L이 낚싯줄 통로를 통과하고 있는 상태에서 각 장대를 수납하는 경우, 각 장대를 원간(1)의 기단측 단부까지 삽입하여 수납하면, 낚싯줄 도입구(10)로부터 도입된 낚싯줄 L은, 원간(1)의 기단측 단부에까지 삽입된 원상간(2)의 기단측 단부까지 일단 안내되고, 거기에서 되접어 꺾여서 원상간(2) 등의 각 장대 내에서 수선측으로 안내되게 된다(도 5 참조).
이와 같이 낚싯줄 L을 낚싯줄 통로에 삽통한 상태로 원상간(2)을 원간(1)에 수납하는 경우, 낚싯줄 L이 원상간(2)의 장대 기단측 단부에 도달할 수 있도록, 원간(1)의 낚싯줄 도입구(10)로부터 장대 기단측 내부에 원상간(2)의 외주와 원간(1)의 내주면 사이에 공극 S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종래의 이런 종류의 중통 낚싯대의 원간(1)에서는, 낚싯줄 도입구(10) 부근에 내경(內徑)에 단차(도 5의 X부분; 段差)를 제공하여 낚싯줄 도입구(10) 보다 장대 기단측의 내경을 대경화(大俓化)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단차 X를 제공한 중통 낚싯대에 있어서, 우선 낚시를 하고 있을 때에 낚싯줄 도입구로부터 도입한 낚싯줄이 이 단차 X 부분에 접촉하여 장대도 낚싯줄도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부분적으로 단차 X 부분에서 장대의 내경이 돌연 변화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 응력이 집중해 버릴 우려도 있다. 더욱이 이러한 단차 X를 제공해야만 한다면 장대를 자유롭게 설계하는 것에 많은 제한이 따른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싯줄 및 장대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강도가 우수한 중통 낚싯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중통 낚싯대의 전체도.
도 2는 도 1의 중통 낚싯대의 낚싯줄 도입구(10) 부근의 단면도.
도 3은 원상간(2)을 원간(1) 내에 수납할 경우의 도 2에 상당하는 도면.
도 4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도 2에 상당하는 도면.
도 5는 종래의 중통 낚싯대를 도시한 참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간
2 : 원상간
9 : 고전(尻栓)
10 : 낚싯줄 도입구
20 : 저전(底栓)
A : 제1 테이퍼 부분
B : 제2 테이퍼 부분
C : 제3 테이퍼 부분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의한 중통 낚싯대는, 복수 개의 장대를 진출 형식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중통 낚싯대에 있어서, 제1 장대와 제1 장대의 수선측에 진출 형식으로 연결되는 제2 장대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제1 장대는 수선측 단부부터장대 기단측으로 향하여 내경이 커지는 제1 테이퍼 부분과, 제1 테이퍼 부분의 장대 기단측에 연속하고 제1 테이퍼 부분보다 크게 테이퍼져서 장대 기단측으로 향할수록 내경이 커지는 제2 테이퍼 부분과, 제2 테이퍼 부분의 장대 기단측에 연속하고 제2 테이퍼 부분보다 작게 테이퍼져서 장대 기단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제3 테이퍼 부분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 제1 장대는 제2 테이퍼 부분 및/또는 제3 테이퍼 부분에 형성된 낚싯줄 도입구를 가지고 있다.
이 중통 낚싯대의 제1 장대는 제2 테이퍼 부분에서 장대 기단측으로 크게 확경(擴徑)하여 제1 테이퍼 부분과 제3 테이퍼 부분에서 그 내경이 크게 다르다. 그리고 제3 테이퍼 부분에서, 제2 장대가 수납되었을 때에도 제2 장대의 외주와 제1 장대의 내주 사이에 충분한 공극이 형성되어서 낚싯줄을 삽통한 상태로 제2 장대를 제1 장대 체내에 수납하여도 낚싯줄의 "통로"가 충분히 확보된다.
또한, 이 제1 테이퍼 부분과 제3 테이퍼 부분과의 사이는 제2 테이퍼 부분이고, 직경의 차이에 의한 단(段)이 생기지 않으며, 낚싯줄 도입구로부터 제1 장대 체내로 도입된 낚싯줄이 상하게 되지도 않는다. 게다가 불필요한 단차(段差)의 해소는 응력 집중도 억제하고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는 가능성도 높인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의한 중통 낚싯대는, 상기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중통 낚싯대에 있어서, 제1 장대의 제1 테이퍼 부분 및 제3 테이퍼 부분의 테이퍼는 각각 1/1000 ~ 3/1000이고, 제1 장대의 제2 테이퍼 부분의 테이퍼는 50/1000 ~ 100/1000이다.
제1 장대의 각 테이퍼 부분을 소정의 테이퍼로 설정함으로써 장대의 매끄러운 곡선을 충분히 유지하면서 필요한 강도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의한 중통 낚싯대는, 상기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중통 낚싯대에 있어서, 제2 테이퍼 부분의 축 방향 길이가 40 ~ 60mm이다.
제2 테이퍼 부분의 축 방향 길이를 소정의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제3 테이퍼 부분에 있어서의 공극을 확보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중통 낚싯대는, 원간(1; 元竿)과, 원간(1)의 수선측에 순차적으로 진출 형식으로 연결되는 원상간(2; 元上竿)과, 중간(3; 中竿) 및 초릿대(4; 穗先竿)를 가지고 있다. 각 장대는 탄소 섬유나 유리 섬유 등의 섬유 강화에 합성 수지를 함침하여 이루어지는 섬유 강화 수지로 구성되며 수선측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통 형상 부재이고, 내부에 낚싯줄을 삽통하기 위해서 낚싯줄 통로를 가지고 있다.
원간(1)은 주위면에 형성된 릴을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릴 시트(5)와, 릴 시트(5)의 수선측의 외주면에 형성된 낚싯줄 도입구(10)와, 장대 기단측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전(9; 尻栓)을 가지고 있다. 상세하게는, 원간(1)의 장대 기단측 단부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고전(9)이 나합(螺合)하고 있다. 도 2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원간(1)의 낚싯줄 도입구(10)는 길이 방향으로 신장하는 타원 형태의 긴 구멍이고, 예를 들어, 그 길이 방향의 길이는 40 내지 60mm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낚싯줄의 원활한 도입을 위해서도 바람직하다. 이 입구에는 세라믹 등의 경질 부재(11)가 끼워 넣어져 고정되어 있다. 또한, 낚싯줄 도입구(10) 부근은 부분적으로 섬유 강화 수지가 다른 부분에 비해 많이 배치 내지 권회(卷回)되어 있고, 낚싯줄 도입구(10) 부근은 다른 부분에 비해 두꺼워져 있다.
또한, 원간(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수선측으로 갈수록 소경화(小徑化)하고 수선측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가 제공되어 있지만, 그 내경에서도 수선측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가 제공되어 있고, 특히 내경에 있어서는 3 단계의 테이퍼 부분으로 구성된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간(1)의 수선측 단부로부터 낚싯줄 도입구(10)의 수선측까지 비교적 완만하게 장대 기단측으로 갈수록 대경화(大徑化)하는 제1 테이퍼 부분 A가 있고, 이것에 연속하여 비교적 크게 테이퍼진 제2 테이퍼 부분 B, 제1 테이퍼 부분과 같이 완만하게 테이퍼진 제3 테이퍼 부분 C로 구성된다. 그리고 낚싯줄 도입구(10)는 이 제2 테이퍼 부분 B에 상당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개개의 테이퍼 부분의 구체적인 경사는 낚싯대의 크기나 길이에 의해 변화되는 것이지만, 예를 들어, 제1 테이퍼 부분 A 및 제3 테이퍼 부분 C의 테이퍼는 각각 1/1000 ~ 3/1000이고, 제2 테이퍼 부분 B의 테이퍼는 50/1000 ~ 100/1000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상간(2)은, 원간(1)의 수선측에 진출 형식으로 연결되고 섬유 강화 수지로 구성되며 수선측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통 형상 부재이고, 그 장대 기단측 단부 외주가 원간(1)의 수선측 단부 내주면과 감합(嵌合)하여 연결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시에는 원간(1) 내에 수납되게 된다. 또한, 내부에는 낚싯줄이 삽통할 수 있는 낚싯줄 통로가 있고, 예를 들어, 지름 안쪽 방향으로 돌출하는 낚싯줄 지지 돌기를 나선 형상으로 내주면에 형성하고 있다. 더욱이 장대 기단측 단부 내주면에 암나사 부분을 가져서, 여기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공을 가지는 저전(20; 底栓)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도 3 참조).
중간(3) 및 초릿대(4)도 상술한 원상간(2)과 같은 섬유 강화 수지로 구성되고 수선측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통 형상 부재이고, 각각 진출 형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중통 낚싯대에서는, 낚시를 할 때에는 각 장대를 장대 기단측의 장대로부터 잡아 뺀 상태로 한 자루의 낚싯대로 만들고, 주지의 낚싯줄 안내 도구를 이용하여 낚싯줄의 삽통을 조작하고 낚시를 한다. 구체적으로는, 릴에서 나온 낚싯줄 L을 낚싯줄 도입구(10)로부터 장대 체내로 도입하고 순차적으로 수선측으로 안내하여 초릿대(4)의 톱 가이드(6)로부터 외부로 도출한다(도 2 참조). 이 때, 낚싯줄 도입구(10) 부근의 원간(1)의 내주면에 특별히 단차 등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낚싯줄 L이 원간(1)의 내주면과 불필요하게 마찰하는 일 없이 낚싯줄 L의 출납이 원활함과 동시에 낚싯줄 L 및 원간(1)의 손상도 생기지 않는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중통 낚싯대의 수납시에는, 낚싯줄 L을 장대 내에 삽통한 상태에서 초릿대(4)로부터 순차적으로 원상간(2)을 원간(1) 내로 수납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이 수납할 경우에는 낚싯줄 도입구(10)로부터의 낚싯줄 L은 보다 장대 기단측에 위치하게 되는 원상간(2)의 저전(20)을 향하고, 낚싯줄 L은 낚싯줄 도입구(10) 부근에서 일단 장대 기단측으로 되접어 꺾이게 된다.이 때, 원간(1)은 제2 테이퍼 부분 B의 경사에 의해 제3 테이퍼 부분 C에서 크게 확경하고, 원간(1)의 내경과 원상간(2)의 외경 사이에는 충분한 스페이스가 형성되어, 낚싯줄 L의 "통로"가 충분히 확보된다. 게다가 제1 테이퍼 부분 A와 제3 테이퍼 부분 C의 불필요한 단차의 해소는 응력 집중도 억제하고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는 가능성도 높인다.
<다른 실시 형태>
(a)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낚싯줄 도입구(10)를 제2 테이퍼 부분 B 위에 형성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것을 제2 테이퍼 부분 B가 확경한 후의 제3 테이퍼 부분 C의 수선측 부분에 형성해도 좋다. 또한 제2 테이퍼 부분 B와 제3 테이퍼 부분 C에 걸쳐서 낚싯줄 도입구(1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낚싯줄 도입구(10)의 형성 위치 및 각 테이퍼 부분의 길이 방향의 길이를 설정하는 것 등에 있어서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b) 낚싯줄 도입구(10)에는, 그 외의 낚싯줄 도입 가이드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c) 낚싯대를 구성하는 장대의 개수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낚싯줄 도입구를 형성하고 내경의 테이퍼를 설정하는 낚싯대는 원간(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원상간(2)에 낚싯줄 도입구를 형성하여 소정의 테이퍼 부분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중통 낚싯대는, 낚싯줄 및 장대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강도가 우수하다.

Claims (3)

  1. 복수 개의 장대를 진출(振出) 형식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중통 낚싯대에 있어서,
    제1 장대와,
    상기 제1 장대의 수선측(穗先側)에 진출 형식으로 연결되는 제2 장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장대는 수선측 단부로부터 장대 기단측을 향해 내경(內徑)이 커지는 제1 테이퍼 부분과, 상기 제1 테이퍼 부분의 장대 기단측에 연속하고 상기 제1 테이퍼 부분보다 크게 테이퍼져서 장대 기단측으로 향할수록 내경이 커지는 제2 테이퍼 부분과, 상기 제2 테이퍼 부분의 장대 기단측에 연속하고 상기 제2 테이퍼 부분보다 작게 테이퍼져서 장대 기단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제3 테이퍼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테이퍼 부분 및/또는 상기 제3 테이퍼 부분에 형성된 낚싯줄 도입구를 포함하는, 중통 낚싯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대의 제1 테이퍼 부분 및 제3 테이퍼 부분의 테이퍼는 각각 1/1000 ~ 3/1000이고, 상기 제1 장대의 제2 테이퍼 부분의 테이퍼는 50/1000 ~ 100/1000인, 중통 낚싯대.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테이퍼 부분의 축 방향 길이는 40 ~ 60mm인, 중통 낚싯대.
KR1020020025209A 2001-05-16 2002-05-08 중통 낚싯대 KR1008640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46594 2001-05-16
JP2001146594A JP2002335818A (ja) 2001-05-16 2001-05-16 中通し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7851A true KR20020087851A (ko) 2002-11-23
KR100864064B1 KR100864064B1 (ko) 2008-10-16

Family

ID=18992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209A KR100864064B1 (ko) 2001-05-16 2002-05-08 중통 낚싯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2335818A (ko)
KR (1) KR100864064B1 (ko)
CN (1) CN1214710C (ko)
TW (1) TW52857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378B1 (ko) * 2003-02-24 2006-05-22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머신코드 구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1887B2 (ja) * 2005-07-19 2011-03-02 株式会社シマノ 振出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0103B2 (ja) * 1993-12-24 2000-10-16 ダイワ精工株式会社 中通し釣竿
JP3346527B2 (ja) * 1996-07-22 2002-11-1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中通し釣竿
JPH1075689A (ja) * 1996-09-03 1998-03-24 Shimano Inc 振出式中通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378B1 (ko) * 2003-02-24 2006-05-22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머신코드 구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28574B (en) 2003-04-21
CN1214710C (zh) 2005-08-17
JP2002335818A (ja) 2002-11-26
KR100864064B1 (ko) 2008-10-16
CN1385065A (zh) 200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445045A (en) Telescopic umbrella shaft
KR20020087851A (ko) 중통 낚싯대
JP2003319738A (ja) 竿体の連結構造
KR20030028432A (ko) 낚싯대
CN212014162U (zh) 一种拼接式碳纤维鱼竿
JP2003009727A (ja) 竿体の嵌合構造
KR100998891B1 (ko) 낚싯대
KR20040064220A (ko) 낚싯대
KR200430650Y1 (ko) 뽑기식 및 꽂기식 겸용 낚싯대 조립체
JP4371533B2 (ja) 竿体の嵌合構造
KR20040024504A (ko) 낚싯대
KR200315435Y1 (ko) 릴 낚시대
JP2000157115A (ja) 中通し竿用竿体止め具
JP2909044B2 (ja) 中通し竿
JP2004305112A (ja) 竿体の連結構造
JP2001352864A (ja) 釣 竿
KR100998892B1 (ko) 낚싯대
JP2000093049A (ja) 中通し竿
JP2005021132A (ja) 管状体の連結構造
JP2003180204A (ja) 釣 竿
JP2004089112A (ja) 中通し竿
JP2000201581A (ja) 中通し竿
KR0132329Y1 (ko) 낚시대
JP2000050771A (ja) 釣 竿
JP2000023607A (ja) 中通し竿用案内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