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7432A - 광디스크, 광디스크의 재생방법과 재생장치 및 기록방법 - Google Patents

광디스크, 광디스크의 재생방법과 재생장치 및 기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7432A
KR20020087432A KR1020027012771A KR20027012771A KR20020087432A KR 20020087432 A KR20020087432 A KR 20020087432A KR 1020027012771 A KR1020027012771 A KR 1020027012771A KR 20027012771 A KR20027012771 A KR 20027012771A KR 20020087432 A KR20020087432 A KR 20020087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lead
optical disc
recording area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2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코요이치로
후루카와순수케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7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743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094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record carriers
    • G11B20/00123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record carriers the record carrier being identified by recognising some of its unique characteristics, e.g. a unique defect pattern serving as a physical signature of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094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 G11B19/12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involving the detection of carrier data forma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094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record carriers
    • G11B20/00115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record carriers wherein the record carrier stores a unique medium identif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G11B20/1403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levels
    • G11B20/1423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 G11B20/1426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conversion to or from block codes or representation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33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adding special lis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36Auxiliary data, e.g. lead-in, lead-out, Power Calibration Area [PCA], Burst Cutting Area [BCA], control inform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2007/00709Dimensions of grooves or tracks, e.g. groove depth, track pitch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35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session, i.e. a contiguous area having its own lead-in area, program area and lead-out are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record carriers
    • G11B7/261Preparing a master, e.g. exposing photoresist, electrofo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디스크의 재생방법이며, 장치에 장착된 광디스크에 기록된 식별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된 식별데이터에 의거해서 장착된 광디스크가 적어도 제 2기록영역과 제 2기록영역을 갖고, 제 1기록영역의 내주측에 제 1리드인영역이 설치되고, 제 1기록영역의 외주측에 제 1리드아웃영역이 설치되고, 제 1리드아웃영역의 외주측에서 제 2기록영역과의 사이에 제 2리드인영역이 설치되고, 제 2기록영역의 외주측에 제 2리드아웃영역이 설치된 광디스크인 것으로 판별된 때에는, 장착된 광디스크의 제 2기록영역에서 재생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광디스크, 광디스크의 재생방법과 재생장치 및 기록방법{Optical disc, optical disc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종래, 광디스크인 콤팩트디스크에는, 음악데이터가 미리 기억되어 있는 CD-DA(Compact Disc Digital Audio)디스크, 텍스트 데이터, 컴퓨터의 소프트웨어에 관한 프로그램데이터 등이 미리 기록되어 있는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데이터의 추기(追記)가 가능한 CD-R(Compact Disc Recordable)디스크, 데이터의 고쳐쓰기가 가능한 CD-RW(Compact Disc Rewritable)디스크, 적어도 2종류의 디스크가 각각 다른 기록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CD-Extra디스크 등이 있다.
이들 콤팩트디스크의 드라이브장치로서는, 오디오기기인 CD-DA디스크의 재생전용의 제 1의 드라이브장치와, 퍼스널컴퓨터(PC) 등이 설치되고, 상술한 전체 종류의 콤팩트디스크를 재생할 수 있는 제 2의 드라이브장치와, PC등에 설치되고, 상술한 모든 종류의 콤팩트디스크를 재생할 수 있는 동시에 CD-R디스크 및 CD-RW디스크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록을 행할 수 있는 제 3의 드라이브장치가 있다. 제 3의 드라이브장치에서는, CD-DA디스크, CD-ROM디스크, CD-Extra디스크 등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CD-R디스크나 CD-RW디스크에 디지털 카피하는, 즉, 어느 것의 디스크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디지털데이터 그대로 CD-R디스크나 CD-RW디스크에 기록할 수 있다.
그런데, 예를 들면 CD-DA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오디오데이터를 광자기디스크에 디지털 카피할 때에는, CD-DA디스크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광자기 디스크로의 디지털카피를 1회에 한하여 인정하는 SCMS(Serial Copy Management System)등의 무단복사 방지시스템에 의하여, CD-DA디지털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저작권의 관리가 행해진다.
그렇지만, PC에 통상 설치되는 제 3의 드라이브장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SCMS등의 무단복사 방지시스템이 이용되지 않고, 디지털카피의 횟수에 어떤 제한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제 3의 드라이브장치에서는, CD-DA디스크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CD-R디스크 혹은 CD-RW디스크에 디지털 카피한 오디오데이터를 또한 다른 CD- R디스크 혹은 CD-RW디스크에 디지털 카피를 행할 수 있고, 이용자는 , 이 오디오데이터를 디지털카피한 CD-R디스크 혹은 CD-RW디스크에 제 1의 드라이브장치나 제 2의 드라이브장치나 제 3의 드라이브장치에서 재생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레코드회사, 아티스트 등의 저작권자의 이익을 해치게 된다.
본 발명은, 제 1 섹션에 제 1의 포맷에서 데이터가 기록되고, 제 2 섹션에 제 2의 포맷에서 데이터가 기록 된 멀티섹션타입의 광디스크 등의 광디스크, 이 기록재생방법 및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고, 더욱이는 광디스크의 기록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재생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제 3의 광디스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제 3의 광디스크의 서브코드의 Q채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제 3의 광디스크의 제조공정을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도 5는, 제 3의 광디스크를 제조하기 위해 이용하는 유리원반을 제작하기 위한 컷팅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CD-DA디스크등 제 1의 광디스크를 재생할 수 있는 제 1의 재생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은, 제 1의 광디스크와 CD-ROM디스크등 제 2의 광디스크를 재생할 수 있는 제 2의 재생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8은, 제 1의 광디스크, 제 2의 광디스크에 더해 제 3의 광디스크도 재생할 수 있는 제 3의 재생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재생시스템에 있어서의 광디스크의 재생제어방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며, 도 9a는 제 1의 재생장치의 재생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b는 제 2의 재생장치의 재생제어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9c는 제 3의 재생제어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 2의 재생장치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1은, 제 2의 재생장치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 1의 드라이브장치, 제 2의 드라이브장치, 제 3의 드라이브장치등 기존의 드라이브장치에서의 재생을 금지할 수 있는 광디스크, 이 광디스크에 정보신호를 기억할 수 있는 기억방법 및 이 광디스크의 재생장치 및 재생제어방법을 제공하기로 한다.
상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되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광디스크는, 적어도 2개의 제 1의 기록영역과 제 2의 기록영역과, 제 1의 기록영역의 내주 측에 설치된 제 1의 리드인 영역과, 제 1의 기록영역의 외주측에 설치된 제 1의 리드아웃영역과, 제 1의 리드아웃영역의 외주측에서 제 2의 기록영역과의 사이에 설치된 제 2의 리드인영역과, 제 2의 기록영역의 외주측에 설치된 제 2의 리드아웃영역을 갖춘다. 이 광디스크에 있어서, 제 2의 리드인영역, 제 2의 기록영역 및 제 2의 리드아웃영역의 트랙피치는, 제 1의 리드인영역, 상기 제 1의 기록영역 및 상기 제 1의 리드아웃영역의 트랙피치보다도 좁게 형성되고, 제 1의 리드인영역에는 적어도 상기 제 2의 기록영역의 유무를 나타내는 식별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이 광디스크의 재생은, 장치에 장착된 광디스크에 기록된 식별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된 식별데이터에 의거하여 장착된 광디스크가 적어도 제 1의 기록영역과 제 2의 기록영역을 가지고, 제 1의 기록영역의 내주측 제 1의 리드인영역이 설치되고, 제 1의 기록영역의 외주측에 제 1의 리드아웃영역이 설치되고, 제 1의 외주측에서 상기 제 2의 기록영역과의 사이에 제 2의 리드인영역이 설치되고, 제 2의 기록영역이 외주측에 제 2의 리드아웃영역이 설치된 광디스크라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장착된 광디스크의 제 2의 기록영역으로부터 재생을 개시한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광디스크의 재생방법은, 장치에 장착된 광디스크의리드인영역으로부터 독출된 광디스크의 종류를 나타내는 매체식별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된 매체식별데이터에 의거하여 장착된 광디스크가 제 2의 리드인영역과 제 2의 리드인영역의 외주측에 설치된 제 2의 기록영역 및 제 2의 기록영역의 외주측에 설치된 제 2의 리드아웃영역의 트랙피치는 제 2의 리드인영역의 내주측에 설치된 제 1의 리드아웃영역과 제 1의 리드아웃영역의 내주측에 설치된 제 1의 기록영역의 내주측에 설치된 제 1의 리드인영역의 트랙피치보다도 좁게 형성된 광디스크라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장착된 광디스크의 제 2의 기록영역으로부터 재생을 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광디스크의 재생방법은, 장치에 장착된 광디스크 리드인영역으로부터 독출된 광디스크의 종별을 나타내는 매체식별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된 매체식별데이터에 의거하여 장착된 광디스크가 제 2의 리드인영역과 제 2의 리드인영역의 외주측에 설치된 제 2의 기록영역 및 제 2의 기록영역의 외주측에 설치된 제 2의 리드아웃영역의 트랙피치는 제 2의 리드인영역의 내주측에 설치된 제 1의 리드아웃영역과 제 1의 리드아웃영역의 내주측에 설치된 제 1의 기록영역 및 제 1의 기록영역의 내주측에 설치된 제 1의 리드인영역의 트랙피치보다도 좁게 형성된 광디스크라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장착된 광디스크의 제 1의 기록영역의 재생을 행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광디스크의 재생장치는, 광디스크가 장치에 장착되고, 장착된 광디스크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부와, 장착된 광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광픽업과, 광픽업을 장착된 광디스크의 지름방향으로 이동시켜 보내는 기구부와, 적어도 송출 기구부에 동작을 제어하고, 광픽업에 의하여 장착된 광디스크의 종별을 판별하는 제어부를 갖춘다. 제어부는, 장착된 광디스크가 적어도 제 1의 기록영역과 제 2의 기록영역을 가지고, 제 1의 기록영역의 내주측 제 1의 리드인영역이 설치되고, 제 1의 기록영역의 외주측에 제 1의 리드아웃영역이 설치되고, 제 1의 리드아웃영역의 외주측에서 제 2의 기록영역과의 사이에 제 2의 리드인영역이 설치되고, 제 2의 기록영역의 외주측에 제 2의 리드아웃영역이 설치된 광디스크라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송출 기구부를 제어하여 광픽업을 이동시켜 장착된 광디스크의 제 2의 기록영역으로부터 재생을 개시하다.
또, 발명에 관계되는 광디스크의 재생장치는, 광디스크가 장치에 장착되고, 장착된 광디스크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부와, 장착된 광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광픽업과, 광픽업을 장착된 광디스크의 지름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보내는 기능부와, 적어도 상기 보내는 기능부에 동작을 제어하고 광픽업에 의하여 장착된 광디스크로부터 독출된 식별데이터에 의거하여 장착된 광디스크의 식별을 판별하는 제어부를 갖춘다. 이 재생장치의 제어부는, 매체식별데이터에 의거하여, 장착된 광디스크가 제 2의 리드인영역과 제 2의 리드인영역의 외주측에 설치된 제 2의 기록영역 및 상기 제 2의 기록영역의 외주측에 설치된 상기 제 2의 리드아웃영역의 트랙피치가 제 2의 리드인영역의 내주측에 설치된 제 1의 리드아웃영역과 제 1의 리드아웃영역의 내주측에 설치된 제 1의 기록영역 및 제 1의 기록영역의 내주측에 설치된 상기 제 1의 리드인영역의 트랙피치보다도 좁게 형성된 광디스크라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보내는 기구부를 제어하여 광픽업을 이동시켜 장착된 광디스크의제 2의 기록영역으로부터의 재생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광디스크의 기록방법은, 제 1의 트랙피치에서 내주에서 외주로 향하는 제 1의 리드인영역, 제 1의 리드아웃영역을 형성하고, 제 1의 리드아웃영역의 외주측에서 내주로 향하는 제 1의 트랙피치보다도 좁은 제 2의 트랙피치에서 제 2의 리드인영역, 제 2의 기록영역 및 제 2의 리드아웃영역을 형성하고, 제 1의 리드인영역에는 적어도 제 2의 기록영역의 유무를 나타내는 식별데이터를 기록한다.
이 광디스크에 있어서, 제 1의 리드인영역에는, 제 2의 리드인 영역, 제 2의 기록영역 및 제 2의 리드인영역의 트랙피치는 제 1의 리드인영역, 제 1의 리드인 영역 및 상기 제 1의 리드아웃영역 트랙피치보다도 좁게 형성되어 있는 기록매체라고 나타내는 매체식별데이터가 기록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본 발명에 의하여 얻어진 구체적인 이점은,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의 설명에서 한층 밝혀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적용된 광디스크의 재생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디스크의 재생시스템(1)은, 제 1의 광디스크를 재생할 수 있는 제 1의 재생장치(40)와, 제 1의 광디스크 및 제 1의 광디스크와 다른 포맷에서 데이터가 기록된 제 2의 광디스크를 재생할 수 있는 제 2의 재생장치(60)와, 제 1의 광디스크, 제 2의 광디스크에 더해, 제 1 및 제 2의 광디스크와 다른 포맷에서 데이터가 기록된 제 3의 광디스크를 재생할 수 있는 제 3의 재생장치(80)를 갖춘다.
제 1의 광디스크는, 오디오데이터등 제 1의 데이터가 기록 된 CD-DA(Compact Disc Digital Audio)디스크이며, 제 1의 재생장치(40)는, 이 제 1의 광디스크의 재생전용기이다.
제 2의 광디스크는, 컴퓨터프로그램, 컴퓨터에서 처리된 처리데이터 등의 제 1의 데이터와 데이터의 배열을 다르게 하는 제 2의 데이터가 기록된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디스크, CD-R(Compact Disc Recordable)디스크, CD-RW(Compact Disc Rewritable)디스크 등이다. 이들 제 2의 광디스크는, 제 1의 광디스크와 같은 트랙피치에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제 2의 광디스크는, 리드인영역과 여기에 계속해서 데이터영역과 데이터영역에 계속해서 리드아웃영역에서 구성되는 섹션이 하나의 싱글섹션의 광디스크, 복수의 섹션이 설치된 멀티섹션타입의 광디스크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멀티섹션타입의 콤팩트디스크로서는, 내주측의 제 1의 섹션에 오디오데이터 등이 기록되고, 외주측의 제 2의 섹션에 컴퓨터프로그램등이 기록된 CD-Extra디스크등이 있다. 또한, 멀티섹션타입의 제 2의 광디스크의 섹션수는, 두개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 있어도 좋다. 제 2의 재생장치(60)는, 예를 들면, 퍼스널컴퓨터 등이며, 제 1의 광디스크에 더하여 이와 같은 제 2의 광디스크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제 2의 재생장치(60)는, 재생기능 외에, CD-R디스크나 CD-RW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 할 수 있는 기록재생장치라도 좋다.
또한, 제 3의 광디스크는, 내주측에 제 1의 섹션이 설치되고, 외주측에 제 2의 섹션이 설치되고, 제 1의 섹션이 제 1 및 제 2의 광디스크와 같은 트랙피치에서 제 1의 데이터가 기록되고, 외주측의 제 2의 섹션이 제 1의 광디스크나 제 2의 광디스크보다 트랙피치를 좁게하여 기록밀도를 높여 제 3의 데이터가 기록된 멀티섹션타입의 광디스크이다. 예를 들면, 제 1의 섹션의 트랙피치는, 제 1, 제 2의 디스크의 트랙피치와 같은 1.5∼1.6㎛로 되어 있다. 제 1의 섹션에는, 오디오데이터, 화상데이터 등이 기록되고, 제 2의 섹션에는, 제 1의 데이터영역(2b)에 기록된 오디오데이터보다 고음질의 오디오데이터 등이 기록된다. 또한, 제 3의 광디스크의 섹션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이여도 좋고, 또, 제 3의 광디스크는,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이여도 좋다. 제 3의 재생장치(80)는, 제 1의 광디스크, 제 2의 광디스크에 더해 제 3의 광디스크, 즉 제 1의 광디스크나 제 2의 광디스크보다 트랙피치를 좁게하여 기록밀도를 높인 영역, 즉 제 2의 섹션의 제 2의 데이터영역도 재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재생시스템(1)에서는, 제 2의 재생영역(60)에 제 3의 광디스크가 장착되었을 때, 제 2의 재생장치(60)에서 데이터가 독출되는 것을 저지하는 것으로, 제 3의 광디스크에 기록된 콘텐츠의 저작권자의 보호를 도모할 수 있다. 즉, 제 2의 재생장치(60)에서는, 제 3의 광디스크의 제 1의 섹션은 제 1 또는 제 2의 광디스크와 같은 트랙피치이므로, 제 1의 섹션데이터는 독출할 수 있지만, 제 3의 광디스크의 제 2의 섹션은 제 1의 섹션보다도 트랙피치가 좁기 때문에, 제 2의 섹션에 기록하고 있는 데이터를 독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음에, 본 발명이 적용된 제 3의 광디스크(2)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 제 3의 광디스크(2)는, 기록데이터에 대응한 피트예가 스템퍼에 의해 옮겨 베껴진 폴리카보네트 등의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된 디스크기판과, 디스크기판의 피트예가 형성된 측의 면상에 형성된 반사층과, 이 반사층상에 형성된 보호막으로 구성된 재생전용의 광디스크이다. 제 3의 광디스크(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크의 센터구멍 주위에 제 1의 TOC(table of contents)영역과 다른 제 1의 리드인영역(2a)이 설치되고, 이 제 1의 리드인영역(2a)의 외주측에 제 1의 데이터 또는 제 2의 데이터가 기록되는 제 1의 데이터영역(2b)이 설치되고, 제 1의 데이터영역(2b)의 외주측에 제 1의 리드아웃영역(2c)이 설치되고, 제 1의 리드아웃영역(2c)의 외주측에 제 2의 TOC영역으로 되는 제 2의 리드인영역(2d)이 설치되고, 제 2의 리드인영역(2d)의 외주측에 제 3의 데이터가 기록되는 제 2의 데이터영역(2e)이 설치되고, 이 제 2의 데이터영역(2e)의 외주측에 제 2의 리드아웃영역(2f)이 설치되게 된다. 즉, 제 3의 광디스크(2)는, 내주측에, 제 1의 리드인영역(2a), 제 1의 데이터영역(2b), 제 1의 리드아웃영역(2d)으로 이루는 제 1의 섹션(3)이 설치되고, 외주측에, 제 2의 리드인영역(2d), 제 2의 데이터영역(2e), 제 2의 리드아웃영역(2f)으로 이루는 제 2의 섹션(4)이 설치된 멀티섹션타입의 디스크상의 광기록매체이다.
이 제 3의 광디스크(2)는, 제 1의 섹션(3)이 상술한 제 1의 광디스크나 제 2의 광디스크의 트랙피치와 같은 트랙피치에서 피트예가 설치되고, 제 2의 섹션(8)이 제 1의 섹션(4)보다 트랙피치가 좁게 형성되어 있고, 제 1의 섹션(3)보다 기록밀도가 높여져 있다. 여기서, 제 1의 데이터영역(2b)에는, 예를 들면 제 1의데이터이고 오디오데이터나 제 2의 데이터인 컴퓨터프로그램, 컴퓨터에서 처리된 처리데이터, 화상데이터 등이 기록되고, 제 2의 데이터영역(2e)에는, 예를 들면 데이터영역(2b)에 기록된 오디오데이터보다 가치 높은 데이터인 고음질의 오디오데이터 등이 기록된다. 여기서, 고음질의 오디오데이터란, 예를 들면 샘플링 데이터가 제 1의 데이터보다 높고, 또는, 제 1의 데이터보다 양자화스텝사이즈가 작은 데이터이다.
다음에, 제 3의 광디스크(2)의 제 1의 리드인영역(2a)의 서브코드데이터의 Q채널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서브코드데이터의 Q채널은, 2비트의 동기블록(SYNC)과, 4비트의 콘트롤블록(CNT)과, 어드레스블록(ADR)과, 4비트의 트랙번호블록(TNO)과, 8비트의 포인트블록(POINT)과, 24비트의 경과시간블록(TIME)과, 「0」이 기록된 8비트의 제로블록(ZERO)과, 24비트의 프라이머리 시간블록(PTIME)과, 16비트의 오류검출블록(CRC)으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경과시간블록(TIME)은, 경과시간 분의 위치를 나타내는 8비트의 분성분블록(MIN)과, 경과시간의 초의 위치를 나타내는 8비트의 초성분블록(SEC)과, 프레임번호를 나타내는 8비트의 프레임성분블록(FLAME)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라이머리시간(PTIME)도, 프라이머리시간의 분의 위치를 나타내는 8비트의 분성분블록(PMIN)과, 프라이머리시간의 초의 위치를 나타내는 8비트의 초성분블록(PSEC)과, 프레임번호를 나타내는 8비트의 프레임성분블록(PFLAME)으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제어블록(CNT)에는, 채널수나 프리엠퍼시스의 전환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제어블록(CNT)에는, 제 3의 광디스크가 컴퓨터프로그램, 컴퓨터에서 처리된 처리데이터등 데이터용의 광디스크인지 오로지 오디오데이터용의 광디스크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제 2의 광디스크에도, 여기에 오디오데이터용의 제 1의 광디스크와의 식별을 행하기 위한 식별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어드레스블록(ADR)에는, 트랙번호블록(TNO), 포인트블록(POINT), 경과시간블록(TIME), 제로블록(ZERO), 프라이머리시간블록(PTIME)으로 이루는 데이터블록의 포맷을 나타내는 식별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이 어드레스블록(ADR)에는, 멀티섹션타입의 광디스크인지 싱글섹션타입의 광디스크인지의 식별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트랙번호블록(TNO)은, 트랙번호가 기록되는 영역이며, 리드인영역에서는, 「00」로 기록되어 있다. 또한, 이 트랙번호블록(TNO)에는, 또한 제 1 및 제 2의 광디스크와 제 3의 광디스크(2)를 식별하는 식별데이터를 기록하도록 해도 좋다.
포인트블록(POINT)에는, 분성분블록(PMIN)과, 초성분블록(PSEC), 프레임성분블록(PFLAME)의 기록내용을 정의하기 위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경과시간블록(TIME)을 구성하는 분성분블록(MIN), 초성분블록(SEC), 프레임성분블록(FLAME)은, 절대시간(절대 어드레스)이 기록되어 있다.
제로블록(ZERO)에는, 제 3의 광디스크(2)에 한하여 제 1 및 제 2의 광디스크와 제 3의 광디스크(2)를 식별하는 식별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식별데이터는 트랙번호블록(TNO)에 기록해도 좋다.
프라이머리시간(PTIME)을 구성하는 분성분블록(PMIN), 초성분블록(PSEC), 프레임성분블록(PFLAME)은, 포인트블록(POINT)에서의 정의에 의거하여 목차데이터가 기록된다.
즉, 멀티섹션타입의 제 3의 광디스크(2)에서는, 제 1의 데이터영역(2b)의 최초의 트랙넘버, 제 1의 데이터영역(2b)의 최후의 트랙넘버, 제 1의 리드아웃영역(2d)의 시작의 어드레스, 다음의 섹션이 있는지 없는지, 제 2의 섹션(4)의 제 2의 리드인영역(2d)의 개시어드레스, 최초의 트랙넘버등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멀티섹션타입의 제 2의 광디스크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기록되어 있다.
오류검출블록(CRC)은, CRC(cyclic Redundancy Code) 등의 오류검출부호가 기록된다. 이 오류검출블록(CRC)은, 제어블록(CNT), 어드레스블록(ADR), 트랙번호블록(TNO), 포인트블록(POINT), 경과시간블록(TIME), 제로블록(ZERO), 프라이마리시간블록(PTIME)의 오류검출을 행한다.
또한, 제 3의 광디스크(2)가 멀티섹션타입인지 싱글섹션타입인지를 나타내는 식별데이터는, 제 1의 리드인영역(2a)의 서브코드데이터의 Q채널뿐만 아니라, 제 1의 데이터영역(2b)이나 제 1의 리드아웃영역(2c)의 서브코드데이터의 Q채널의 어드레스블록(ADR)에 기록하도록 해도 좋다. 또, 제 3의 광디스크(2)를 제 1 및 제 2의 광디스크와 식별하기 위한 식별데이터도, 제 1의 데이터영역(2b)이나 제 1의 리드아웃영역(2c)의 서브코드데이터의 Q채널의 트랙번호블록(TNO)이나 제로블록(ZERO)에 기록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은 제 3의 광디스크(2)는, 제 1의 리드인영역(2a)의 서브코드의 Q채널의 어드레스블록(ADR)에, 멀티섹션타입의 광디스크인지 싱글섹션타입의 광디스크인지를 나타내는 식별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제 2의 재생장치(60)이나 제 3의 재생장치(80)에 장착하였을 때, 우선적으로 제 2의 섹션(4)으로부터 재생을 개시할 수 있다. 제 3의 광디스크(2)는, 제 3의 재생장치(80)에서만 제 1의 광디스크나 제 2의 광디스크보다 트랙피치를 좁게한 기록영역, 즉 제 2의 섹션(4)을 재생할 수 있고, 제 2의 재생장치(60)에서, 전술한 대로, 제 1의 섹션(3)의 트랙피치보다도 제 2의 섹션(4)의 트랙피치가 좁기 때문에, 이 제 2의 섹션을 재생할 수 없다.
제 3의 광디스크(2)는, 제 1의 리드인영역(2a)의 서브코드데이터의 Q채널의 트랙번호블록(TNO)이나 제로블록(ZERO)에 제 3의 광디스크(2)를 제 1 및 제 2의 광디스크와 식별하기 위한 식별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제 3의 재생장치(80)에서 제 2의 섹션(4)을 우선하여 재생할 수 있고, 또, 식별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제 2의 재생장치(60)에서, 우선적으로 제 1의 섹션(3)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 1의 섹션(3)의 트랙피치는, 제 1, 제 2의 광디스크의 트랙피치와 같기 때문에, 제 2의 재생장치(60)에서 재생할 수 있다.
다음에, 이 제 3의 광디스크(2)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지스트 도포공정(11)에서는 유리원반에 포토레지스터를 도포하고, 계속하여 컷팅공정(12)에서, 기록해야 할 데이터에 따른 오목 볼록의 피트패턴을 레이저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광을 변조함으로써 컷팅하고 원반을 제조한다. 계속하여, 피트패턴이 레이저 컷팅 된 원반은, 현상·정착공정(13)에 있어서, 포토레지스트의 현상처리되어 정착처리가 된다. 이 후, 금속원반제작공정(14)에서, 표면에 전해(電解)도금이 입혀지고 머더 반(盤)인 금속원반이 제작된다. 다음에, 스탬퍼 제작공정(15)에서는, 금속원반을 토대로하여 스탬퍼가 제조된다. 기판형성공정(16)에서, 스탬퍼를 형성금형내에 설치하고, 사출형성기에 의해 폴리카보네이트나 아크릴 등의 투명수지를 이용하여 디스크기판이 형성되나, 이 공정에서 제작된 디스크기판의 한 쪽면에는, 컷팅공정(12)에서 원반에 형성된 피트패턴이 옮겨 베껴진다. 계속해서, 반사막형성공정(17)에서, 디스크기판의 피트패턴이 형성된 면에 스패터 등에 의해 반사막이 형성된다.
보호막도포공정(18)에서는, 반사막형성공정(17)에서 형성된 반사막상에 자외선 경화형수지를 스핀코드에 의하여 도포하고, 자외선을 조사(照射)함으로서 보호막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 3의 광디스크(2)는, 보호막이 형성된 면과는 반사측의 면으로부터 광빔이 조사됨으로서 데이터의 재생이 행해진다.
여기서, 컷팅공정(12)에서, 기록해야 할 데이터에 따른 요철의 피트패턴을 레이저 컷팅하고 원반을 제작하는 컷팅장치(20)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컷팅장치(20)는, 제 3의 광디스크(2)의 제 1의 섹션(3)에 기록해야 할 제 1의 데이터, 예를 들면 크로스인터리브·리드·솔로몬부호화(Cross Interleave Reed-Solomon Code;CIRC) 등에서 오류정정 부호화를 행하고 EMF(Eight to Fourteen Modulation)등에서 변조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의 데이터생성부(21)와, 제 1의 섹션(3)에 기록되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서브코드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의서브코드생성부(22)와, 제 3의 광디스크(2)의 제 2의 섹션(4)에 기록해야 할 제 3의 데이터, 예를 들면 고음질의 오디오데이터등을 오류정정부호화하고 변조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의 데이터 발생부(23)와, 제 2의 섹션(4)에 기록되는 서브코드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의 서브코드생성부(24)와, 제 1의 데이터생성부(21)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와 제 1의 서브코드생성부(22)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혼합하고 제 1의 섹션(3)에 기록해야 할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의 기록데이터생성부(25)와, 제 2의 데이터생성부(23)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와 제 2의 서브코드생성부(24)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혼합하고 제 2의 섹션(4)에 기록해야 할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의 기록데이터생성부(26)를 갖춘다.
컷팅장치(20)는, 아르곤 레이저, He-Cd레이저 등의 가스 레이저광원으로부터 구성되는 레이저 발광부(27)와, 발광부(27)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을 기록데이터에 의거하여 포케루스효과를 이용하는 EOM(Elector Optical Modulator)이나 초음파를 이용하는 AOM(Acoustic-Optical Modulator) 등에서 변조하는 광변조기(28)와, 제 1의 기록데이터생성부(25)에서 생성된 기록데이터와 제 2의 기록데이터생성부(26)에서 생성된 기록데이터를 선택적으로 광변조기(28)로 출력하도록 하는 전환부(29)와, 광변조기(28)에서 변조된 레이저광을 반사하여 광로를 편향하는 미러(30)와, 미러(30)를 가동하는 가동기구(31)와, 미러(30)에 의하여 반사된 레이저광을 집광하고, 유리원반(32)에 조사하는 대물렌즈(33)와, 유리원반(32)을 회전하는 회전구동부로 되는 모터(34)와, 장치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5)를 갖춘다.
이상과 같은 컷팅장치(20)는, 먼저 유리원반(32)의 내주측에 제 3의 광디스크(2)의 제 1의 섹션(3)에 기록해야 할 제 1의 데이터에 대응한 피트패턴을 형성하고, 이것에 연속하여 유리원반(32)의 외주측에 제 3의 광디스크(2)의 제 2의 섹션(4)에 기록해야 할 제 2의 데이터에 대응한 피트패턴을 형성한다. 즉, 먼저, 제 1의 데이터생성부(21)는, 데이터를 CIRC 등에서 오류정정부호화처리나 EFM등의 변조처리를 행하고, 제 3의 광디스크(2)의 제 1의 섹션(3)에 기록해야 할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것과 동시에, 제 1의 서브코드생성부(22)는, 제 1의 섹션(3)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서브코드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제 1의 서브코드생성부(22)는, 멀티섹션타입의 광디스크인지 싱글섹션타입의 광디스크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데이터나 제 3의 광디스크(2)를 제 1 및 제 2의 광디스크와 식별하기 위한 식별데이터를 포함하는 도 3에 나타낸 서브코드데이터의 Q채널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 2의 데이터생성부(23)는, 데이터를 CIRC등에서 오류정정부호화처리나 EFM등의 변조처리를 행하고, 제 3의 광디스크(2)의 제 2의 섹션(4)에 기록해야 할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것과 동시에, 제 2의 서브코드생성부(24)는, 제 2의 섹션(4)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서브코드데이터를 생성한다.
먼저, 제 3의 광디스크(2)의 제 1의 섹션(3)에 기록해야 할 데이터를 유리원반(32)에 기록할 때, 제 1의 기록데이터생성부(25)에는, 제 1의 데이터생성부(21)에서 생성된 데이터와 제 1의 서브코드생성부(22)에서 생성된 서브코드데이터가 입력되는 동시에, 디스크전체의 어드레스가 제 1의 섹션(3)의 TOC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제 2의 서브코드생성부(24)에서 출력된 제 2의 섹션(4)의 서브코드데이터의 일부가 입력된다. 제 1의 기록데이터생성부(25)는,제 1의 데이터생성부(21)에서 생성된 데이터와 제 1의 서브코드생성부(22)에서 생성된 서브코드데이터와 제 2의 서브코드생성부(24)에서 생성된 서브코드데이터를 혼합하고 제 1의 섹션(3)에 기록해야 할 데이터를 생성하고, 광변조기(28)에 출력한다. 여기서, 제어부(35)는, 전환부(29)를, 제 1의 기록데이터생성부(25)와 광변조기(28)를 접속하도록 전환한다. 한편, 레이저발생부(27)는, 레이저광을 출사하고, 이 레이저광은, 광변조기(28)에 입력된다. 광변조기(28)는, 제 1의 기록데이터발생부(25)에서 입력된 기록데이터에 의거하여 레이저광을 변조한다. 이 때, 광변조기(28)는, 표준적인 기록밀도가 되도록 레이저광을 변조한다. 광변조기(28)에서 변조된 레이저광은, 미러(30)에 입사(入射)된다. 미러(30)는, 레이저광을 유리원반(32)의 내주측에 걸쳐서 주사할 수 있도록, 가동기구(31)에 의해 이동된다. 미러(30)에 의하여 반사된 레이저광은, 대물렌즈(33)에 의해 집광되고, 회전구동부인 모터(34)에 의해 회전되어 있는 유리원반(32)에 조사되고, 유리원반(32)이 기록데이터에 대응하여 컷팅되고, 피트패턴의 잠상(潛像)이 형성된다.
이것에 연속하여, 제 3의 광디스크(2)의 제 2의 섹션(4)에 기록해야 할 데이터를 유리원반(32)에 기록할 때, 제 2의 기록데이터생성부(26)에는, 제 2의 데이터생성부(23)에서 생성된 데이터와 제 2의 서브코드생성부(24)에서 생성된 서브코드데이터가 입력된다. 제 2의 기록데이터생성부(26)는, 제 2의 데이터생성부(23)에서 생성된 데이터와 제 2의 서브코드생성부(24)에서 생성된 서브코드를 혼합하고 제 2의 섹션(4)에 기록해야 할 데이터를 생성하고, 광변조기(28)에 출력한다.여기서, 제어부(35)는, 전환부(29)를, 제 2의 기록데이터생성부(26)와 광변조기(28)를 접속하도록 전환한다. 따라서, 광변조기(28)는, 제 2의 기록데이터발생부(26)에서 입력된 기록데이터에 의거하여 레이저발광부(27)에서 출사된 레이저광을 변조한다. 이 때, 광변조기(28)는, 트랙피치가 제 1의 섹션(3)의 트랙피치보다도 좁게 되도록 레이저광을 변조한다. 광변조기(28)에서 변조된 레이저광은, 미러(30)에 입사(入射)된다. 레이저광은, 미러(30)에 의하여 광로가 접어 구부려지는 동시에, 제 1의 섹션의 트랙피치보다도 제 2 섹션의 트랙피치가 좁게 되도록 미러(30)가 가동기구(31)에 의하여 이동됨으로서, 유리원반(32)의 내외주에 걸쳐서 주사(走査)된다. 레이저광은, 대물렌즈(33)에 의해 집광되고, 모터(34)에 의해 회전되어 있는 유리원반(32)에 조사되고, 유리원반(32)이 기록데이터에 대응하여 레이저 컷팅되고, 피트패턴이 형성된다.
도 4에 나타내는 스템퍼제작공정(15)에서 제작되는 스템퍼는, 이상과 같이 컷팅장치(20)에 의하여 형성된 유리원반(32)을 나타내고 상술한 도 4에 나타내는 공정에 따라서 형성된다.
다음에, 본 발명이 적용된 광디스크의 재생시스템(1)을 구성하는 제 1의 광디스크를 재생할 수 있는 제 1의 재생장치(40)와, 제 1의 광디스크 및 제 2의 광디스크를 재생할 수 있는 제 2의 재생장치(60)와, 제 1의 광디스크, 제 2의 광디스크에 더해, 제 3의 광디스크(2)를 재생할 수 있는 제 3의 재생장치(8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의 광디스크(5)를 재생하는 제 1의 재생장치(40)는, 제 1의 광디스크(5)에 기록된 데이터의 독출을 행하는 광픽업(41)과, 광픽업(41)에서 출력이 입력되는 RF회로(42)와, RF회로(12)의 출력에 의거하여 대물렌즈의 포커싱 서보신호와 트래킹서보신호를 생성하는 서보회로(43)와, 제 1의 광디스크(5)를 선속도일정에서 회전하는 구동모터(44)와, 광픽업(41)을 제 1의 광디스크(5)의 지름방향으로 보내고 조작하기 위해 이송모터(45)를 갖춘다.
제 1의 재생장치(40)는, RF회로(42)에서의 출력을 복조하고, 에러정정, 디인터리브처리 등의 디코더처리를 행하는 제 1의 디코더(46)와, RF회로(42)의 출력에 의해 서브코드데이터를 추출하는 서브코드출력부(48)와, 제 1의 디코더(46)에서 디코더처리된 디지털데이터를 아날로그데이터에 변환하는 D/A컨버터(49)와, 아날로그신호에 변환된 오디오데이터 등을 출력하는 스피커(50)와, 어드레스정보등을 표시하는 표시부(51)와, 이용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재생버튼, 순방향 트랙점프버튼, 역방향 트랙점프버튼, 재생정지버튼 등으로 이루는 조작부(52)와, 장치(40)의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53)를 갖춘다. 제어기(53)는, 마이크로컴퓨터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RF회로(42)는, 광픽업(41)을 구성하는 도시하지 않는 광검출기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RF신호, 포커싱에러신호 및 트래킹에러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포커싱에러신호는, 소위 비점수차법에 의해 생성되고, 트래킹에러신호는, 소위 3빔법이나 푸시풀법에 의해 생성된다. RF회로(42)는, RF신호를 제 1의 디코더(46)에 출력하고, 포커싱에러신호 및 트래킹에러신호를 서보회로(43)에 출력한다.
서보회로(43)는, 제 1의 광디스크(5)를 재생할 때의 서보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서보회로(43)는, 공급된 포커싱에러신호에 의거, 이 포커싱에러신호가「0」로 되도록, 포커싱서보신호를 생성하고, 또, 공급된 트래킹에러신호에 의거, 이 트래킹에러신호가「0」로 되도록, 트래킹서보신호를 생성한다. 서보회로(43)는, 생성한 포커싱서보신호 및 트래킹서보신호를, 광픽업(41)의 도시하지 않은 대물렌즈 구동기구의 구동회로에 공급한다. 이 구동회로는, 공급된 포커싱서보신호 및 트래킹서보신호에 의거하여, 대물렌즈를 구동하는 광픽업(41)의 도시하지 않은 대물렌즈 구동기구를 구동제어 한다. 즉, 구동회로는, 공급된 포커싱서보신호에 의거 대물렌즈 구동기구를 구동하고, 대물렌즈를 대물렌즈의 광축과 평행한 포커싱방향에 구동변위시키고, 공급된 트래킹서보신호에 의거 구동하고, 대물렌즈의 광축과 직교하는 트래킹방향으로 대물렌즈를 구동변위시킨다. 서보회로(43)는, 구동모터(44)를 서보제어하기 위한 서보신호를 구동모터(44)에 출력하고, 제 1의 광디스크(5)가 예를 들면 선속도 일정에서 회전되도록 구동제어한다. 구동모터(44)의 회전축에는, 디스크회전구동부를 구성하는 디스크테이블이 설치되어 있고, 제 1의 광디스크(5)는, 디스크테이블에 재치되고, 디스크테이블과 함께 회전된다.
제 1의 디코더(46)는, 오로지 제 1의 광디스크(5)에 의해 독출한 제 1의 데이터의 디코더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의 디코더(46)는, RF회로(42)에서의 EFM변조되어 있는 오디오데이터를 복조하고, 또, CIRC 등의 에러정정처리, 디인터리브처리 등을 행하는 디코드처리를 행한다. 제 1의 디코더(46)는, D/A컨버터(49)에 디코드한 오디오데이터 등을 출력한다.
서브코드추출부(48)는, RF회로(42)에서 생성된 RF신호에 의해 TOC영역이나 데이터영역이나 리드아웃영역에 기록된 P채널이나 Q채널의 서브코드데이터를 추출한다. 서브코드추출부(48)는, TOC데이터에 의해 추출한 서브디코드데이터, 즉 어드레스정보나 트랙번호 등을 제어기(53)에 출력한다.
제어기(53)는, 제 1의 재생장치(40)의 전체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기(53)는, 서브코드추출부(48) 에 의해 입력된 어드레스정보나 트랙신호 등을 표시부(51)에 출력하고, 표시부(51)에 이들의 어드레스정보나 트랙번호등의 정보를 표시시킨다. 제어기(53)에는, 조작부(52)로부터 조작신호가 입력되고, 이 입력된 조작신호에 따라서 제 1의 재생장치(40)의 동작을 전환, 제어한다.
예를 들면 , 제어기(53)는, 조작부(52)에 의해 재생개시신호가 입력되어 있을 때에, 첫번째의 트랙으로부터 오디오데이터 등의 재생을 개시하기 때문에, 광픽업(41)이 제 1의 광디스크(5)의 가장 내주의 리드인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서브코드데이터 등의 TOC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도록, 이송모터(45)를 제어하고, 광픽업(41)을 리드인영역까지 이동시킨다.
이상과 같은 제 1의 재생장치(40)의 재생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예를 들면 이용자에 의하여 조작부(52)의 재생개시 버튼이 눌려지면, 제어기(53)는, 구동모터(44)를 제 1의 광디스크(5)가 선속도 일정하게 되도록 구동하는 동시에, 이송모터(45)를 구동하고, 광픽업(41)을 제 1의 광디스크(5)의 리드인영역에 기록된 서브코드데이터 등의 TOC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도록 이동시킨다. 리드인영역과 대향하는 위치에 이동된 광픽업(41)은, 광빔을 제 1의 광디스크(5)의 신호기록면에 조사한다. 제 1의 광디스크(5)의 신호기록면에서 반사된 복귀 광픽업(41)의 도시하지 않은 광검출기에 의해 전기신호로 교환되고, 광검출기는, 이 전기신호를 RF회로(42)에 출력한다. RF회로(42)는, RF신호를 생성하고 제 1의 디코더(46)에 출력하는 동시에, 포커싱에러신호와 트래킹에러신호를 생성하고, 서보회로(43)에 출력한다.
서보회로(43)는, 공급된 포커싱에러신호에 의거, 포커싱서보신호를 생성하고, 공급된 트래킹에러신호에 의거, 트래킹서보신호를 생성하고, 이들 생성한 에어신호를, 광픽업(41)의 도시하지 않은 대물렌즈 구동기구의 구동회로에 출력한다. 광픽업(41)은, 도시하지 않은 대물렌즈 구동기구를 구동하고, 대물렌즈를 광빔의 광축방향으로 구동변위시킴으로서 포커싱제어를 행하고, 대물렌즈를 광빔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동변위시킴으로서 트래킹제어를 행한다.
서브코드추출부(48)는, RF신호중에서 서브코드데이터를 추출하고, 제어기(53)에 출력하고, 제어기(53)는, 입력된 서브코드데이터에 의거하여 장치전체의 동작의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면, 제 1의 디코드(46)는, RF회로(42)로부터 입력된 RF신호에 대하여 복조, 에러정정, 디인터리브처리를 행하고, D/A컨버터(49)에 출력한다. D/A컨버터(49)는,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고, 스피커(50)에 출력하고, 스피커(50)는, 전기음향변환을 행하는 가청음으로서 출력한다. 제어기(53)는, 서브코드데이터로부터 추출한 어드레스정보나 트랙번호 등을 표시부(51)에 표시한다.
다음에, 제 1의 광디스크(5)와 제 2의 광디스크(6)에 기록된 정보신호의 재생을 행할 수 있는 제 2의 재생장치(60)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 제 2의 재생장치(60)는, 통상 퍼스널컴퓨터 등의 제어기장치이며,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의 광디스크(5)와 제 2의 광디스크(6)에 기록된 데이터의 독출을 행하는 광픽업(61)과, 광픽업(61)으로부터의 출력이 입력된 RF회로(62)와, RF회로(62)의 출력에 의거하여 광픽업(61)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대물렌즈의 포커싱서보신호와 트래킹서보를 생성하는 서보회로(63)와, 장착된 제 1의 광디스크(5) 또는 제 2의 광디스크(6)를 선속도 일정에서 회전하는 구동모터(64)와, 광픽업(61)을 제 1의 광디스크(5) 및 제 2의 광디스크(6)의 지름방향으로 보내고 조작하기 위한 이송모터(65)를 갖춘다.
제 2의 재생장치(60)는, RF회로(62)로부터의 제 1의 광디스크(5)로부터의 독출신호에 대응하는 출력에 대하여 보조, 에러정정, 디인터리브처리 등의 디코드처리를 행하는 제 1의 디코더(66)와, RF회로(62)로부터의 제 2의 광디스크(6)로부터 독출한 신호에 의거하여 출력에 대하여 복조, 에러정정, 디인터리브처리 등의 디코드처리를 행하는 제 2의 디코더(67)와, RF회로(62)로부터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제 1의 디코더(66)와 제 2의 디코드(67)의 어느 것의 디코더에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전환부(68)와, RF회로(62)의 출력에 의해 제 1의 광디스크(5) 및 제 2의 광디스크(6)에서 독출된 TOC데이터로부터 서브코드데이터를 추출하는 서브코드추출부(69)와, 제 1의 디코더(66)나 제 2의 디코더(70)에서 디코드처리된 디지털데이터를 아날로그데이터에 변환하는 D/A컨버터(70)와, 아날로그신호에 변환된 오디오데이터 등을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71)와, 제 1의 광디스크(5)에 기록되어 있는 어드레스정보나 트랙번호 등을 표시하거나, 제 2의 광디스크(6)에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프로그램등에 의거한 데이터를 표시하는 모니터(72)와, 제 2의 디코더(67)와 모니터(72)와의 인터페이스(이하, 단지 I/F라 한다.)(73)와, 이용자에 의하여 마우스, 키보드, 텐키등으로 이루는 조작부(74)와, 장치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75)를 갖춘다. 제어기(75)는, 마이크로컴퓨터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즉, 제 2의 재생장치(60)는, 제 1의 재생장치(40)와 제 2의 광디스크(6)를 재생하기 위한 제 2의 디코더(67)와, 제 1의 디코더(66)를 제 2의 디코더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부(68)를 갖추고 있는 점에서, 제 1의 재생장치(40)와 상위하고 있다. 또한, 제 2의 재생장치(60)중 제 1의 재생장치(40)와 동일회로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제 2의 디코더(67)는, RF회로(62)로부터의 EFM변조되고, 제 2의 광디스크(6)에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프로그램 등의 제 2의 데이터를 제 2의 광디스크(6)로부터 독출하여 복조하고, 에러정정처리나 디인터프리처리 등을 행하는 디코드처리를 행한다. 제2의 디코더(67)는, 디코드한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서 I/F(73) 혹은 D/A컨버터(70)에 출력한다.
전환부(68)는, 제 1의 광디스크(5)의 재생을 행할 때, RF신호가 RF회로(62)에 의해 제 1의 디코더(66)에 출력되도록, RF회로(62)와 제 1의 디코더(66)를 접속하고, 제 2의 광디스크(6)의 재생을 행할 때, RF신호가 제 2의 디코더(67)에 RF회로(62)에 의해 출력되도록, RF회로(62)와 제 2의 디코더(67)를 접속한다.
제어기(75)는, 제 1의 재생장치(40)의 제어기(53)의 제어에 더해 다음과 같은 제어를 행한다. 즉, 제어기(75)는, 서브코드추출부(69)에 의해 입력된 제 1의 광디스크(5) 및 제 2의 광디스크(6)에서 독출된 서브코드데이터가 입력되면, 이 서브코드데이터에 의거하여, 디스크장착부로 되는 디스크테이블에 장착된 광디스크가 제 1의 광디스크(5)인지 제 2의 광디스크(6)인지를 판별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기(75)는, 도 3에 나타내는 TOC데이터를 구성하는 서브코드데이터의 Q채널의 제어블록(CNT)에 기록된 제 2의 광디스크(6)의 식별데이터를 검출했을 때, 전환부(68)를, RF회로(62)와 제 2의 디코더(67)를 접속하도록 전환한다.
또, 제어기(75)는, 도 3에 나타내는 TOC데이터를 구성하는 서브코드데이터의 Q채널의 어드레스블록(ADR)에 기록된 멀티섹션인 식별데이터를 검출했을 때, 외주측의 제 2의 섹션으로부터 우선적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외주측의 제 2의 섹션의 리드인영역으로 기록된 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위치까지 광픽업(61)을 이동시키도록 이송모터(65)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기(75)는, 재생하는 광디스크가 멀티섹션타입의 광디스크라고 판단하고, 외주측의 제 2 섹션의 재생을 개시했을 때, 제 2 섹션의 리드인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TOC데이터인 서브코드데이터의 제어블록(CNT)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데이터에 의거하여 데이터를 제 1의 디코더(66), 제 2의 디코더(67)의 어떤 제 2 섹션으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디코드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 또한, 제어기(75)는, 전환부(68)에서 제 1의 디코더(66)와 제 2의디코더(67)를 전환하는 디코드를 시험함으로서, 어느 디코드에서 디코드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제어기(75)는, 제 1, 제 2의 어떤 디코더(66, 67)에서 디코드할 수 없다고 판별했을 때, 광픽업(61)의 재생동작 및 구동모터(64)의 구동을 정지하고, 장착된 광디스크를 장치(60)로부터 배출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제어기(75)는, 장치(60)에 장착된 광디스크가 멀티섹션타입의 광디스크라고 판단했을 때, 다음과 같이 제 2의 재생장치(6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즉, 제어기(75)는, 외주측의 제 2 섹션의 재생을 개시했을 때에 제 2의 디코더(67)에서 데이터를 디코드할 수 없다는 것을 검출하면, 내주측의 제 1 섹션의 재생을 개시하도록, 광픽업(61)을 내주측의 제 1 섹션의 리드인영역에 기록된 TOC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이송모터(65)를 제어한다.
제어기(75)는, 서브코드모터의 어드레스블록(ADR)에 의해 재생하는 광디스크가 멀티섹션타입의 광디스크인 것을 검출하고, 또한 제로블록(ZERO)에 의해 제 3의 광디스크(2)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데이터를 검출했을 때, 외주측의 제 2 섹션에 엑세스하지 않고, 내주측의 제 1 섹션을 재생할 수 있도록, 광픽업(61)을 내주측의 제 1 섹션영역에 기록된 TOC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이송모터(65)를 제어한다.
이상과 같이 제 2의 재생장치(60)의 재생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예를 들면 이용자에 의하여 조작부(74)를 구성하는 재생개시버튼이 눌려지면, 제어기(75)는, 구동모터(64)를 장착된 광디스크가 선속도가 일정하게 되도록 구동하는 동시에, 이송모터(65)를 구동하고, 광픽업(61)을 광디스크의 가장 내주의 리드인영역에 기록된 서브데이터 등의 TOC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도록 이동시킨다. 광픽업(61)은, 광디스크에서 반사된 복귀 광빔을 광픽업(61)의 광검출기에서 검출하고, 광전변환하고 RF회로(62)에 출력한다. 서브코드추출부(69)는, 추출한 서브코드데이터를 제어기(75)에 출력한다. 제어기(75)는, 서브코드데이터중의 제어블록(CNT)에 기록된 식별데이터에 의거하여 디스크 테이블에 장착된 광디스크가 제 1의 디스크(5)인지 제 2의 광디스크(6)인지를 판단하고, 또, 서브코드데이터 중의 어드레스블록(ADR)에 기록된 식별데이터에 의거하여 싱글섹션타입의 광디스크인지 멀티섹션타입의 광디스크인지를 판단한다.
제어기(5)는, 리드인영역의 서브코드데이터의 제어블록(CNT)중에서 제 2의 광디스크(6)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데이터를 검출하지 않았을 때, 디스크장착부에는 제 1의 광디스크(5)가 장착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전환부(68)를 RF회로(62)와 제 1의 디코더(66)를 접속하도록 전환한다. 제 2의 재생장치(60)는, 제 1의 재생장치(40)와 동일하게, 독츨한 제 1의 데이터를 제 1의 디코터(66)에서 디코드하고, D/A컨버터(70)를 거쳐서 스피커(71)에 의해 출력한다.
제어기(75)는, 리드인영역의 서브코드데이터의 제어블록(CNT)으로부터 장치(60)에 장착된 광디스크가 제 2의 디스크라고 검출했을 때, 디스크테이블에는 제 2의 광디스크(6)가 장착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전환부(68)를 RF회로(62)와 제 2의 디코더(67)를 접속하도록 전환한다. 제 2의 재생장치(60)는, 독출한 제 2의 데이터를 제 2의 디코더(67)에서 디코드하고, I/F(73)를 거쳐서 모니터(72)에 데이터에 따른 표시를 행하고, 또는, D/A컨버터(70)를 거쳐서 스피커(71)에서 출력한다.
또한, 제어기(75)는, 리드인영역의 서브코드데이터의 어드레스블록(ADR)에서 멀티섹션타입의 광디스크인 것의 식별데이터를 검출했을 때, 이송모터(65)를 구동하고, 광픽업(61)을 제 2의 광디스크(6)의 외주측의 제 2의 섹션의 리드인영역에 기록된 서브코드데이터 등의 TOC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도록 이동시킨다. 제어기(75)는, 외주측의 제 2 섹션의 리드인영역에 기록된 서브코드데이터의 제어블록(CNT)의 식별데이터에 의거하여 디코더의 종류를 판별한다. 제어기(75)는, 전환부(68)를 RF회로(62)와 제 1의 디코더(66) 또는 제 2의 디코더(67)를 접속하도록 전환한다. 제 2의 재생장치(60)는, 제 2 섹션에서 독출한 데이터를 제 1의 디코더(66) 또는 제 2의 디코더(67)에서 디코드하고, I/F(73)를 거쳐서 모니터(72)에 데이터에 따른 표시를 행하고, 또한, D/A컨버터(70)를 거쳐서 스피커(71)로부터 출력한다.
외주측의 제 2 섹션이 종료하고, 조작부(74)에서 내주측의 제 1 섹션의 재생을 행하는 조작이 되면, 제어기(75)는, 이송모터(65)를 구동하고, 광픽업(61)을 제 2의 광디스크(6)의 내주측의 제 1의 섹션의 리드인영역에 기록된 서브코드데이터 등의 TOC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도록 이동시킨다. 제어기(75)는, 내주측의 제 1 섹션의 리드인영역에 기록된 서브코드데이터의 제어블록(CNT)의 식별데이터를 독출함으로서, 디코더의 종류를 판별하고, 교환부(68)를 RF회로(62)와 제 1의 디코더(66) 또는 제 2의 디코더(67)의 어느 것의 디코더가 접속되도록 전환한다. 제 2의 재생장치(60)는, 제 1 섹션으로부터 독츨한 제 1의 데이터 또는 제 2의 데이터를 제 1의 디코더(66)에서 디코드하고, I/F(73)를 거쳐서 모니터(72)에 데이터에 따른 표시를 행하고, 또는, D/A컨버터(70)를 거쳐서 스피커(71)로부터 출력한다.
다음에, 제 1의 광디스크(5)와 제 2의 광디스크(6)와 제 3의 광디스크(2)에 기록된 정보신호의 재생을 행할수 있는 제 3의 재생장치(80)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3의 재생장치(80)는, 제 1의 광디스크(5), 제 2의 광디스크(6), 제 3의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의 독출을 행하는 광픽업(81)과, 광픽업(81)으로부터의 출력이 입력된 RF회로(82)와, RF회로(82)의 출력에 의거하여 광픽업(81)의 도시하지 않은 대물렌즈의 포커싱서보신호와 트래킹서보신호를 생성하는 서보회로(83)와, 제 1의 광디스크(5), 제 2의 광디스크(6) 또는 제 3의 광디스크(2)를 각각 선속도 일정에서 회전하는 구동모터(84)와, 광픽업(81)을 제 1의 광디스크(5)와 제 2의 광디스크(6)와 제 3의 광디스크(2)의 지름방향으로 보내고 조작하기 위한 이송모터(85)를 갖춘다.
제 3의 재생장치(80)는, RF회로(82)로부터의 제 1의 광디스크(5)로부터 독출된신호에 의거한 출력에 복조, 에러정정, 디인터프리브처리 등의 디코드처리를 행하는 제 1의 디코더(86)와, RF회로(82)로부터의 제 2의 광디스크(6)로부터 독출된 신호에 의거해 출력에 복조, 에러정정, 디인터리브처리 등의 디코드처리를 행하는 제 2의 디코더(87)와, RF회로(82)로부터의 광디스크(2)에서 독출된 신호에 의거해 복조, 에러정정, 디인터리브처리 등의 디코드처리를 행하는 제 3의 디코더(88)와, RF회로(82)로부터 출력을 선택적으로 하고 제 1의 디코더(86)와 제 2의 디코더(87)와 제 3의 디코더(88)에 출력하는 전환부(89)와, RF회로(82)의 출력으로부터 제 1의 광디스크(5), 제 2의 광디스크(6), 제 3의 광디스크(2)로부터 독출된 TOC데이터로부터 서브코드데이터를 추출하는 서브코드추출부(90)와, 제 1의 디코더(86)나 제 2의 디코더(87)나 제 3의 디코더(88)에서 디코드처리된 디지털데이터를 아날로그데이터에 교환하는 D/A컨버터(91)와, 아날로그신호에 변환된 오디오데이터 등을 출력하는 스피커(92)와, 제 1의 광디스크(5)나 제 3의 광디스크(2)에 기록되어 있는 어드레스정보나 트랙번호 등을 표시하거나, 제 2의 광디스크(6)에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프로그램 등에 의거하여 데이터를 표시하는 모니터(93)와, 제 2의 디코더(87)나 제 3의 디코더(88)와 모니터(93)와의 인터페이스(이하, 단순히, I/F라고 한다.)(94)와, 이용자에 의해 마우스, 키보드, 텐키 등으로 이루는 조작부(95)와, 장치(80)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96)를 갖춘다. 제어기(96)는, 마이크로컴퓨터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즉, 제 3의 재생장치(80)는, 제 2의 재생장치(60)와 제 3의 광디스크(2)를 재생하기 위해 제 3의 디코더(88)를 가지고 있는 점과, 전환부(89)가 제 1의 디코더(86)와 제 2의 디코더(87)와 제 3의 디코더(88)와의 사이에서 전환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서 상위하고 있다. 또한, 제 3의 재생장치(80)의 구성요소중 제 2의 재생장치(60)와 동일의 회로에 대한 상세는 생략한다.
제 3의 디코더(88)는, RF회로(42)로부터의 EFM변조되어 있는 제 3의 광디스크(2)의 외주측의 제 2 섹션(4)에 기록되어 있는 고음질의 오디오데이터 등의 제 3의 데이터를 복조하고, 또, 에러정정처리나 디인터프리브처리 등을 행하는 디코드처리를 행한다. 제 3의 디코더(88)는, 디코드한 제 3의 데이터를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서 I/F(94) 혹은 D/A컨버터(91)에 출력한다.
제어기(96)는, 제 2의 재생장치(60)의 제어기(75)의 제어에 더해 다음과 같은 제어를 행한다. 즉, 제어기(96)는, 서브코드추출부(90)에 의해 입력된 제 1의 광디스크(5), 제 2의 광디스크(6), 제 3의 광디스크(2) 중, 장치(80)에 장착된 광디스크로부터 독출된 서브코드데이터가 입력되면, 이 서브코드데이터의 제어블록(CNT)이나 제로블록(ZERO)의 식별에 따라서, 디스크테이블에 장착된 광디스크가 제 1의 광디스크(5) 인지 제 2의 광디스크(6)인지 제 3의 광디스크(2)인지를 판단한다. 제어기(96)는, 도 3에 나타내는 서브코드데이터의 Q채널의 제어블록(CNT)에 기록된 제 2의 광디스크(6)의 식별데이터를 검출했을 때, 전환부(89)를 RF회로(82)와 제 2의 디코더(67)를 접속하도록 전환한다. 제어기(96)는, 서브코드 Q채널의 제로블록(ZERO)이나 트랙번호블록(TNO)에 기록되어 있는 제 3의 광디스크(2)의 식별데이터를 검출했을 때, 전환부(89)를 RF회로(82)와 제 3의 디코더(88)를 접속하도록 전환한다.
제어기(96)는, 도 3에 나타내는 TOC데이터를 구성하는 서브코드데이터의 Q채널의 어드레스블록(ADR)에 기록된 멀티섹션타입의 광디스크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데이터를 검출했을 때나, 제로블록(ZERO)이나 트랙번호블록(TNO)에 기록된 제 3의 광디스크(2)의 식별데이터를 검출했을 때, 전환부(89)를 제 3의 디코더(88)로 전환하는 동시에 외주측의 제 2의 섹션으로부터 우선적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외주측의 제 2 섹션의 리드인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을수 있는 위치까지 광픽업(61)을이동시키도록 이송모터(65)를 제어한다.
이상과 같은 제 3의 재생장치(80)의 재생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이용자에 의하여 조작부(95)를 구성하는 재생개시버튼이 눌려지면, 제어기(96)는, 구동모터(84)가 장착된 광디스크가 선속도 일정으로 되도록 회전구동하는 동시에, 이송모터(85)를 구동하고, 광픽업(81)이 장착된 광디스크의 가장 내주측의 리드인영역에 기록된 서브코드데이터 등의 TOC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도록 이동시킨다. 광픽업(81)은, 광디스크에서 반사된 복귀의 광빔을 도시하지 않은 광검출기에서 검출하고, 광전변환하고 RF회로(82)에 출력한다. 서브코드추출부(90)는, 추출한 서브코드데이터를 제어기(96)에 출력한다. 제어기(96)는, 서브코드데이터 중의 제어블록(CNT)이나 제로블록(ZERO)의 식별데이터에 의거하여 디스크테이블에 장착된 광디스크가 제 1의 광디스크인지 제 2의 광디스크인지 제 3의 광디스크인지를 판단하고, 또는 어드레스블록(ADR)중의 식별데이터에 의거하여 싱글섹션타입의 광디스크인지 멀티섹센타입의 광디스크인지를 판단한다.
제어기(96)는, 가장 내주의 리드인영역으로부터 독출된 서브코드데이터중에서 제 2의 광디스크(6)나 제 3의 광디스크(2)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데이터를 검출할 수 없었을 때, 디스크테이블에는, 제 1의 광디스크(5)가 장착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전환부(89)를 RF회로(82)와 제 1의 디코더(82)와 제 1의 디코더(86)를 접속하고, 제 1의 광디스크(5)의 재생을 한다.
제어기(96)는, 가장 내주의 리드인영역으로부터 독출된 서브코드데이터의 제어블록(CNT)의 식별데이터로부터 제 2의 광디스크(6)인 것을 검출했을 때, 디스크테이블에는 제 2의 광디스크(6)가 장착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전환부(89)를 RF회로(82)와 제 2의 디코더(87)를 접속하도록 전환하고, 제 2의 광디스크(6)의 재생을 한다.
또한, 제어기(96)는, 가장 내주의 리드인영역으로부터 독출된 서브코드데이터의 제로블록(ZERO)이나 트랙번호블록(TNO)으로부터 제 3의 광디스크(2)인 것을 검출하였을 때, 송출모터(85)를 구동하고, 광픽업(81)을 제 3의 광디스크(2)의 외주측의 제 2 섹션(4)의 리드인영역에 기록된 서브코드데이터 등의 TOC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도록 이동시키는 동시에, 전환부(89)를 RF회로(82)와 제 3의 디코더(88)를 접속하도록 전환하여, 제 3의 광디스크(2)의 재생을 한다.
또한, 제어기(96)는, 가장 내주의 리드인영역으로부터 독출된 서브코드데이터의 어드레스블록(ADR)에 의해 멀티섹션타입의 광디스크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데이터를 검출했을 때, 전환부(89)를 RF회로(62)와 제 2의 디코더(67) 또는 제 3의 디코더(88)를 접속하도록 전환하는 동시에, 이송모터(85)를 구동하고, 광픽업(81)을 장착된 광디스크로서의 제 2의 광디스크(6) 또는 제 3의 광디스크(2)의 외주측의 제 2 섹션의 리드인영역에 기록된 서브코드데이터 등의 TOC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도록 이동시킨다. 제 3의 재생장치(80)는, 제 2 섹션으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제 2의 디코더(87) 혹은 제 3의 디코더(88)에서 디코드하고, 멀티섹션타입의 제 2의 광디스크(5) 또는 제 3의 광디스크(2)의 재생을 한다.
외주측의 제 2 섹션이 종료하고, 조작부(74)에서 내주측의 제 1 섹션의 재생을 행하는 조작이 행해지면, 제어기(96)는, 전환부(89)를 RF회로(82)와 제 1의 디코더(86)를 접속할 수 있도록 전환하는 동시에, 이송모터(85)를 구동하고, 광픽업(81)을 제 2의 디스크(6) 또는 제 3의 광디스크(2)의 내주측의 제 1 섹션의 리드인영역에 기록된 서브코드데이터 등의 TOC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도록 이동시킨다. 제 3의 재생장치(80)는, 독출한 제 1의 섹션으로부터의 독출한 데이터를 제 1의 디코더(86)에서 디코드하고 재생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제 1의 재생장치(40)와 제 2의 재생장치(60)와 제 3의 재생장치(80)에서 구성된 재생시스템(1)에 대하여 도 9a 내지 도9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9a를 이용하여 제 1의 재생장치(40)의 재생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 1의 재생장치(40)에는, 스텝(S1)에 있어서, 이용자에 의하여 제 1의 광디스크(5)가 디스크테이블에 장착된다. 이어서, 스텝(S2)에 있어서, 제 1의 재생장치(40)는, 예를 들면 이용자에 의하여 조작부(52)를 구성하는 재생개시버튼이 눌려지면, 광픽업(41)을 제 1의 광디스크(5)의 가장 내주의 리드인영역에 이동시키고, 리드인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독출한다. 이것에 의하여 서브코드추출부(48)는, 광픽업(41)에 의하여 광디스크(5)의 리드인영역으로부터 독츨된 TOC데이터로부터 서브코드데이터를 추출한다. 이어서, 스텝(S3)에 있어서, 제 1의 재생장치(40)는, 추출한 서브코드데이터에 의거하여 광픽업(41)을 제 1의 광디스크(5)의 지름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 1의 광디스크(5)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고, 제 1의 디코더(46)에서 제 1의 광디스크(5)로부터 독출한 제 1의 데이터의 디코더처리를 행함으로써, 제 1의 광디스크(5)에 기록되어 있는 오디오데이터의재생을 행한다.
또한, 제 1의 재생장치(40)는, 컴퓨터프로그램 등이 기록되어 있는 제 2의 광디스크(6)가 장착되었을 때에는 제 1의 디코더(46)에서 데이터를 디코드할 수 없으므로, 예를 들면, 장치(40)로부터 제 2의 광디스크(6)를 배출한다. 제 1의 재생장치(40)는, CD-Extra 등이 장착되었을 때, 내주측의 제 1 섹션은 제 1의 디코더(46)에서 디코드처리할 수 있는 오디오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으므로 내주측의 제 1 섹션의 재생만을 행한다.
다음에, 도 9b를 이용하여 제 2의 재생장치(60)의 재생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스텝(S11)에 있어서, 제 2의 재생장치(60)에는, 이용자에 의하여 제 1의 광디스크(5), 제 2의 광디스크(5) 또는 제 3의 광디스크(2)의 어떠한 광디스크가 장치(60)내에 장착된 디스크테이블에 장착된다. 계속하여, 스텝(S12)에 있어서, 제 2의 재생장치(60)는, 예를 들면 이용자에 의하여 조작부(74)를 구성하는 재생개시버튼이 눌려지면, 광픽업(61)을 디스크테이블에 장착된 광디스크의 가장 내주의 리드인영역에 이동시키고, 리드인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TOC데이터를 독출한다. 이것에 의하여, 서브코드데이터추출부(69)는, 독출된 TOC데이터서브코드의 추출을 행한다.
스텝(S13)에 있어서, 제어기(75)는, 도 3에 나타내는 TOC데이터를 구성하는 서브코드데이터의 Q채널의 어드레스블록(ADR)에 기록된 멀티섹션타입의 광디스크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식별데이터를 검출함으로서, 디스크테이블에 장착된 광디스크가 싱글섹션타입의 광디스크인지 멀티섹션타입의 광디스크인지의 식별을 행한다.제어기(75)는, 검출된 식별데이터에 의거하여 디스크테이블에 장착된 광디스크가 멀티섹션타입의 광디스크라고 판단했을 때, 스텝(S14)으로 진행하고, 검출된 식별데이터에 의거하여 멀티섹션타입의 광디스크가 아니고, 즉, 싱글섹션타입의 광디스크라고 판단했을 때 스텝(S18)으로 진행하고, 가장 내주의 리드인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TOC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된 TOC데이터에 의거하여 광픽업(61)을 광디스크의 지름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광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여 재생한다.
스텝(S14)에 있어서, 제어기(75)는, 외주측의 제 2 섹션으로부터 우선적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외주측의 제 2 섹션의 리드인영역에 기록된 TOC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위치까지 광픽업(61)을 이동시키도록 이송모터(65)를 제어하고, 광픽업(61)에 의하여 제 2 섹션의 리드인영역으로부터 독출된 TOC데이터에 의거하여 광픽업(61)을 이동시킴으로서 외주측의 제 2 섹션으로 엑세스한다.
제어기(75)는, 스텝(S15)에 있어서, 제 1의 디코더(66), 제 2의 디코더(67)의 어느 디코더에서 외주측의 제 2 섹션의 데이터를 디코드할 수 있는지 어떤지를 판단한다. 즉, 제어기(75)는, 외주측의 제 2 섹션의 리드인영역의 TOC데이터중의 제어블록(CNT)의 식별데이터를 독출함으로서, 제 2 섹션으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디코드할 수 있는 디코더의 종류를 판별한다. 제어기(75)는, 제어블록(CNT)의 식별데이터에 의거하여 전환부(68)를 RF회로(62)와 제 1의 디코더(66) 또는 제 2의 디코더(67)의 어느 것의 디코더와 접속하도록 전환한다.
제어기(75)는, 전환부(68)에서 제 1의 디코더(66)와 제 2의 디코더(67)에서 전환을 행함으로서 제 1의 디코더(66) 또는 제 2의 디코더(67)에서 제 2 섹션으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디코드할 수 있는지 어떤지를 디코더의 종류를 판단한다. 제어기(75)는, 제 1의 디코더(66) 또는 제 2의 디코더(67)에서 제 2 섹션으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디코드할 수 있을 때, 스텝(S16)으로 진행하고, 제 1의 디코더(66) 또는 제 2의 디코더(67)에서 제 2 섹션으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디코드할 수 없었을 때, 스텝(S19)으로 진행한다.
스텝(S16)에 있어서, 제어기(75)는, 제 2 섹션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 1 또는 제 2의 디코더에 전환하고, 외주측의 제 2 섹션의 재생을 개시한다. 그리고, 제 2 섹션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는, 제 1의 디코더(66) 또는 제 2의 디코더(67)에서 디코드되고, 디코드된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서 스피커(71) 또는 모니터(72)에 출력한다.
제어기(75)는, 스텝(S17)에 있어서, 조작부(74)에서 내주측의 제 1 섹션의 재생을 행하는지 어떤지를 판단한다. 제어기(75)는, 스텝(S17)에서 조작부(74)의 입력에 의거하여 내주측의 제 1 섹션을 재생할 때, 스텝(S18)으로 진행하고, 스텝(S17)에서 조작부(74)로부터의 입력 없이 제 1 섹션의 재생을 행하지 않을 때, 스텝(S20)으로 진행하고, 장착된 광디스크의 재생을 정지한다.
스텝(S18)에 있어서, 제어기(75)는, 내주측의 제 1 섹션의 리드인영역, 즉 가장 내주의 리드인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도록 송출모터(65)를 구동하고, 광픽업(61)을 제 2의 굉디스크(6)의 내주측의 제 1섹션의 리드인영역과 대향하는 위치에 이동시키고, 광픽업(61)에 의해 리드인영역에 기록된 서브코드데이터 등의 TOC데이터를 독출한다. 제어기(75)는, 내주측의 제 1 섹션의 리드인영역의 TOC데이터를 구성하는 서브코드데이터의 제어블록(CNT)의 식별데이터에 의거하여, 제 1 섹션으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디코드할 수 있는 디코더의 종류를 판별하고, 전환부(68)를 RF회로(62)와 제 1의 디코더(66) 또는 제 2의 디코더(67)의 어느 것의 디코더와 접속하도록 전환한다. 제 2의 재생장치(60)는, 제 1 섹션으로부터 독출한 데이터를 제 1의 디코더(66) 또는 제 2의 디코더(67)에서 디코드하고, I/F(73)를 거쳐서 모니터(72)에 데이터에 따른 표시를 행하고, 또는, D/A컨버터(70)를 거쳐서 스피커(71)로부터 출력한다.
그런데, 제어기(75)는, 스텝(S15)에 있어서, 외주측의 제 2 섹션에 기록된 데이터의 디코드를 행할 수 없을 때, 스텝(S19)으로 진행하고, 디스크테이블에 장착된 광디스크를 장치(60)로부터 배출시킨다. 예를 들면, 제어기(75)는, 제 3의 광디스크(2)의 외주측의 제 2섹션(4)과 같이 트랙피치가 제 1의 광디스크(5)나 제 2의 광디스크(6)의 트랙피치 보다 좁기 때문에 데이터를 독출할 수 없을 때, 디스크테이블에 장착된 광디스크로서의 제 3의 광디스크를 장치(60)로부터 배출한다.
또한, 이 제 2의 재생장치(60)의 제어기(75)는, 싱글섹션타입의 제 3의 광디스크의 재생을 행할 때에도, 제 3의 광디스크(2)는 제 1의 광디스크(5)나 제 2의 광디스크(6)보다 트랙피치가 좁게 되어 있고, 제 3의 광디스크(2)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할 수 없기 때문에 디스크테이블에 장착된 제 3의 광디스크를 장치(60)로부터 배출시킨다.
다음에, 도 9c를 이용하여 제 3의 재생장치(80)의 재생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스텝(S31)에 있어서, 제 3의 재생장치(80)에는, 이용자에 의하여 제1의 광디스크(5), 제 2의 광디스크(6) 또는 제 3의 광디스크(2)의 어느 것에 광디스크가 장착된다. 계속하여, 스텝(s32)에 있어서, 제 3의 재생장치(80)는, 예를 들면 이용자에 의하여 조작부(95)를 구성하는 재생개시버튼이 눌려지면, 광픽업(81)을 디스크테이블에 장착된 광디스크의 가장 내주의 리드인영역에 이동시키고, 리드인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TOC데이터를 독출한다. 서브코드데이터추출부(90)는, 독출된 TOC데이터로부터 서브코드데이터를 추출한다.
스텝(S33)에 있어서, 제어기(96)는, 도 3에 나타내는 서브코드데이터의 Q채널의 제로블록(ZERO)이나 트랙번호블록(TNO)에 기록되어 있는 제 3의 광디스크(2)의 식별데이터를 검출했는지 어떤지에 따라서, 디스크테이블에 제 3의 광디스크(2)인지 어떤지를 판단한다. 제어기(96)는, 제 3의 광디스크(2)의 식별데이터가 검출되고, 장착된 광디스크가 제 3의 광디스크(2)라고 판단했을 때, 스텝(S34)으로 진행하고, 제 3의 디스크(2)의 식별데이터가 검출되지 않고, 장착된 광디스크가 제 3의 광디스크(2)가 아니라고 판단되었을 때, 스텝(S37)으로 진행한다.
스텝(S34)에 있어서, 제어기(96)는, 전환부(89)를 제 3의 디코더(88)에 전환하는 동시에 장착된 광디스크의 외주부의 섹션으로부터 우선적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외주측의 제 2 섹션의 리드인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위치까지 광픽업(81)을 이동시키고 리드인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TOC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된 TOC데이터에 의거하여 제 2 섹션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독출하여 재생한다.
제어기(96)는, 스텝(S35)에 있어서, 조작부(95)로부터의 입력에 의거하여 내주측의 제 1 섹션(3)의 재생을 행하는지 어떤지를 판단한다. 제어기(96)는, 스텝(S35)에서 조작부(95)로부터의 입력에 의거하여 내주측의 제 1 섹션(5)을 재생할 때, 스텝(S36)으로 진행하고, 스텝(S35)에서 조작부(95)로부터의 입력 없이 제 1 섹션(5)의 재생을 행하지 않을 때, 스텝(S40)으로 진행하고, 장착된 광디스크의 재생을 정지한다.
스텝(S36)에 있어서, 제어기(96)는, 내주측의 제 1 섹션(5)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도록 이송모터(85)를 구동하고, 광픽업(81)을 제 2의 광디스크(6)의 내주측의 제 1 섹션의 리드인영역에 이동시키고, 광픽업(81)에 의하여 제 1 섹션의 리드인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TOC데이터의 서브코드데이터를 독출한다. 제어기(96)는, 내주측의 제 1 섹션의 리드인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디코드할 수 있는 디코더의 종류를 판별하고, 전환부(89)를 RF회로(82)와 제 1의 디코더(86) 또는 제 2의 디코더(87)와의 어느 것의 디코더에 접속하도록 전환한다. 제 3의 재생장치(80)는, 제 1 섹션으로부터 독출한 데이터를 제 1의 디코더(86) 또는 제 2의 디코더(87)에서 디코드하고, I/F(94)를 거쳐서 모니터(93)에 데이터에 따른 표시를 행하고, 또는 D/A컨버터(91)를 거쳐서 스피커(91)로부터 출력한다.
그런데, 제어기(96)는 스텝(33)에 있어서, 디스크테이블에 장착된 광디스크가 제 3의 광디스크(2)가 아니라고 판단하면, 계속하여, 스텝(S37)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내는 TOC데이터를 구성하는 서브코드데이터의 Q채널의 어드레스블록(ADR)에 기록되어 있는 멀티섹션타입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식별데이터를 검출함으로서, 디스크테이블에 장착된 디스크가 싱글섹션타입의 광디스크인지 멀티섹션타입의 광디스크인지의 식별을 행한다. 제어기(96)는, 스텝(S37)에서 디스크테이블에 장착된 광디스크가 멀티섹션타입의 광디스크라고 판단했을 때, 스텝(S38)으로 진행하고, 스텝(S37)에서 멀티섹션타입의 광디스크가 아니고, 즉 싱글섹션타입의 광디스크라고 판단했을 때 스텝(S39)으로 진행한다.
스텝(S38)에 있어서, 제어기(96)는, 외주측의 제 2 섹션의 리드인영역의 기록되어 있는 TOC데이터를 독출한다. 제어기(96)는, 외주측의 제 2 섹션의 리그인영역의 TOC데이터의 서브코드데이터를 독출함으로서, 제 1의 디코더(86), 제 2의 디코더(87)의 어느 것의 디코더에서 외주측의 제 2 섹션으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디코드 할 수 있는지 어떤지를 판단한다. 제어기(96)는, 독출된 서브코드데이터에 의거하여 전환부(89)를 RF회로(82)와 제 1 디코더(86) 또는 제 2의 디코더(87)와의 어느 것의 디코더와 접속하도록 전환한다. 제어기(96)는, 외주측의 제 2 섹션에 기록되어 있는 디코더에 대응하는 디코더에 전환한 후, 외주측의 제 2 섹션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독출하고 재생을 개시한다. 제 2 섹션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는, 제 1의 디코더(86) 또는 제 2의 디코더(87)에서 디코드되고,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서 스피커(92) 또는 모니터(93)에 출력된다.
제어기(96)는, 스텝(S37)에 있어서, 디스크테이블에 장착된 광디스크가 멀티섹션타입의 광디스크가 아니고, 즉 싱글섹션타입의 광디스크라고 판단했을 때, 계속하여, 스텝(S39)에 있어서, 장착된 광디스크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의 재생을 개시한다. 즉, 제어기(96)는, 가장 내주의 리드인영역으로부터 TOC데이터의 서브코드를 독출하고, 제 1의 디코더(86), 제 2의 디코더(87)의 어느 것의 디코더에서 광디스크로부터 독출된 서브코드데이터에 의거하여 데이터를 디코드할 수 있는지 어떤지를 판단한다. 제어기(96)는, 독출된 서브코드데이터에 의거하여 전환부(89)를 RF회로(82)와 제 1의 디코더(86) 또는 제 2의 디코더(87)와의 어느 것의 디코더와 접속하도록 전환한다. 제어기(96)는, 싱글섹션타입의 제 1의 광디스크(5) 또는 제 2의 광디스크(6)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디코더에 전환하고, 광디스크(5 또는 6)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의 재생을 개시한다. 독출된 데이터는, 제 1디코더(86) 또는 제 2의 디코더(87)에서 디코드되고,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서 스피커(92) 또는 모니터(93)에 출력된다.
또한, 제 3의 재생장치(80)의 제어기(96)는, 싱글섹션타입의 제 3의 광디스크(2)가 디스크테이블에 장착되면, 가장 내주의 리드인영역에 기록된 서브코드데이터로부터 제 3의 광디스크(3)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데이터를 검출함으로서, 장치된 광디스크가 제 3의 광디스크(2)라고 판단하고, 전환부(89)를 제 3의 디코더(88)에 전환하고, 광디스크(2)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재생한다.
이상과 같은 재생시스템(1)의 재생제어방법에 의하면, 제 3의 광디스크(2)를 재생함에 있어서, 인증이 얻어진 제 3의 재생장치(80)에서만 재생할 수 있고, 인증을 얻지 않은 제 1의 재생장치(40)나 제 2의 재생장치(60), 특히 제 2의 재생장치(60)에서의 재생을 행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 2의 재생장치(60)가 CD-R디스크나 CD-RW디스크등의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 정보신호를 기록할 수 있는 기록기능을 가지더라도, 제 1의 광디스크(5)나 제 2의 광디스크(6)의 트랙피치보다 좁은 트랙피치에서 데이터가 기록된 제 3의 광디스크(2)의 제 2 섹션(4)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할 수 없으므로, 제 3의 광디스크(2)는 장치로부터 배출되므로, 위법으로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 디지털카피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제 2의 재생장치(60)의 재생제어방법의 다른 예에 대하여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제 2의 재생장치(60)는, 제 2 섹션의 재생을 행할 수 없을 때, 장착된 광디스크를 배출하지 않고, 제 1 섹션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독출하고, 즉, 엑세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제 3의 광디스크(2)를 재생하는 인증을 받지 않는 장치에서의 제 3의 광디스크(2)의 재생을 적극적으로 제지하는 우회장치(circumvention divice)이다.
먼저, 스텝(S51)에 있어서, 제 2의 재생장치(60)에는, 이용자에 의하여 제 1의 광디스크(5), 제 2의 광디스크(6) 또는 제 3의 광디스크(2)의 어느 것이 디스크테이블에 장착된다. 계속하여, 스텝(S52)에 있어서, 제 2의 재생장치(60)는, 예를 들면 이용자에 의하여 조작부(74)를 구성하는 재생개시버튼이 눌려지면, 광픽업(61)을 디스크테이블에 장착된 광디스크의 가장 내주의 리드인영역에 이동시키고, 리드인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TOC데이터를 독출한다. 이것에 의하여, 서브코드추출부(69)는, 독출된 TOC데이터로부터 서브코드데이터를 추출한다.
스텝(S53)에 있어서, 제어기(75)는, 도 3에 나타내는 TOC데이터를 구성하는 서브코드데이터의 Q채널의 어드레스블록(ADR)에 기록된 멀티섹션타입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식별데이터를 검출함으로서, 디스크테이블에 장착된 광디스크가 싱글섹션타입의 광디스크인지 멀티섹션타입의 광디스크인지의 식별을 행한다. 제어기(75)는, 스텝(S53)에서 디스크테이블에 장착된 광디스크가 멀티셕션타입의광디스크라고 판단했을 때, 스텝(S54)으로 진행하고, 스텝(S53)에서 장착된 굉디스크(2)가 멀티셕션타입의 광디스크가 아니고, 즉 싱글섹션타입의 광디스크라고 독출하고, 독출된 TOC데이터에 의거하여 장착된 광디스크의 재생을 행한다.
스텝(S54)에 있어서, 제어기(75)는, 외주측의 제 2 섹션으로부터 우선적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외주측의 제 2 섹션의 리드인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위치까지 광픽업(61)을 이동시키는 송출모터(65)를 제어하고, 광픽업(61)은, 외주측의 제 2 섹션의 리드인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TOC데이터를 독출한다.
제어기(75)는, 스텝(S55)에 있어서, 제 21 섹션의 리드인영역으로부터 독출된 서브코드데이터의 제어블록(CNT)에 기록된 식별데이터에 의거하여 제 1의 디코더(66), 제 2의 디코더(67)의 어느 것의 디코더에서 외주측의 제 2 섹션으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디코더 할 수 있는지 어떤지를 판단한다. 제어기(75)는, 식별데이터에 의거하여 전환부(68)를 RF회로(62)와 제 1의 디코더(66) 또는 디코더(67)와의 어느 것의 디코더에 접속하도록 전환한다.
제어기(75)는, 식별데이터에 의거하여 전환부(68)를 전환함으로서 제 1의 디코더(66), 제 2의 디코더(67)의 어느 것의 디코더에서 디코드할수 있는지 어떤지를 판단한다. 제어기(75)는, 제 1의 디코더(66) 또는 제 2의 디코더에서(67)에서 제 2의 섹션으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의 디코드를 할 수 있을 때, 스텝(S56)으로 진행하고, 제 1의 디코더(66) 또는 제 2의 디코더(67)에서 제 2 섹션으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의 디코드할 수 없을 때, 스텝(S58)으로 진행한다. 즉, 제 3의 재생장치(80)의 제어기(75)는, 제 3의 광디스크(2)의 외주측의 제 2 섹션(4)으로부터의 독출을 행할 수 없을 때에는 장착된 광디스크로서의 제 3의 광디스크(2)를 장치(80) 배출하지 않고, 제 3의 광디스크(2)의 내주측의 제 1 섹션과 대향하는 위치에 광픽업(61)을 이동시키고, 제 1 섹션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독출하여 재생한다.
스텝(S56)에 있어서, 제어기(75)는, 식별데이터에 의거하여 제 2 섹션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디코드할 수 있는 디코더로 전환하고, 외주측의 제 2 섹션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을 개시한다. 제 2 섹션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는, 제 1의 디코더(66) 또는 제 2의 디코더(67)에서 디코드되고,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서 스피커(71) 또는 모니터(72)에 배출된다.
제어기(75)는, 스텝(S57)에 있어서, 조작부(74)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외주측의 제 1 섹션의 재생을 행하는지 어떤지를 판단한다. 제어기(75)는, 스텝(S57)에서 조작부로부터의 입력에 의거하여 내주측의 제 1 섹션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한다고 판단되었을 때, 스텝(S58)으로 진행하고, 스텝(S57)에서 조작부(74)로부터 입력 없이 제 1 섹션의 재생을 행하지 않는다고 판단되었을 때, 스텝(S59)으로 진행하고, 장착된 광디스크의 재생을 정지한다.
스텝(S58)에 있어서, 제어기(75)는, 내주측의 제 1 섹션의 리드인영역, 즉 가장 내주의 리드인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TOC데이터를 독출시키도록 이송모터(65)를 구동하고, 광픽업(61)을 제 2의 광디스크(6)의 내주측의 제 1 섹션의 리드인영역과 대향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광픽업(61)에 의하여 리드인영역에 서브코드데이터등의 TOC데이터를 독출한다. 제어기(75)는, 내주측의 제 1 섹션의 리드인영역으로부터 독출된 TOC데이터의 서브코드를 데이터에 의거하여 제 1 섹션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디코드할 수 있는 디코더의 종류를 판별하고, 독출된 서브코드데이터에 의거하여 전환부(68)를 RF회로(62)와 제 1의 디코더(66) 또는 제 2의 디코더(67)의 어느 것의 디코더가 접속되도록 전환한다. 제 2의 재생장치(60)는, 독출된 데이터를 제 1의 디코더(66) 또는 제 2의 디코더(67)에서 디코드하고, I/F(73)를 거쳐서 모니터(72)에 데이터에 따른 표시를 행하고, 또는, D/A컨버터(70)를 거쳐서 스피커(71)로부터 출력한다.
이상과 같이 제 2의 재생장치(60)에서는, 제 2의 재생장치(60)에서 제 3의 광디스크(2)를 재생하고자 할 때, 제 2 섹션(4)의 트랙피치가 제 1의 광디스크(5)나 제 2의 광디스크(6)보다 트랙피치가 좁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데이터를 독출할 수 없고, 강제적으로 내주측의 제 1 섹션(3)에 엑세스 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 2의 재생장치(60)가 CD-R디스크나 CD-RW디스크 등의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 정보신호를 기록할 수 있는 기록 기능을 가질 때이더라도, 제 2 섹션(4)을 재생할 수 없으므로, 제 3의 광디스크(2)의 제 2 섹션(4)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가 위법으로 기록 가능한 디키털카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의 재생장치(60)의 재생제어방법의 또 다른 예에 대하여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제 2의 재생장치(60)는, 디스크테이블에 장착된 광디스크가 제 3의 광디스크(2)인 것을 검출했을 때, 내주측의 제 1 섹션(3)에 엑세스로, 제 2 섹션(4)에 엑세스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스텝(S61)에 있어서, 제 2의 재생장치(60)에는, 이용자에 의하여 제 1의 광디스크(5), 제 2의 광디스크(6) 또는 제 3의 광디스크(2)의 어느 것이 디스크테이블에 장착된다. 계속하여, 스텝(S62)에 있어서, 제 2의 재생장치(60)는, 예를 들면 이용자에 의하여 조작부(74)를 구성하는 재생개시버튼이 눌려지면, 광픽업(61)을 디스크테이블에 장착된 광디스크의 가장 내주의 리드인영역으로 이동시키고, 리드인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TOC데이터를 독출한다. 이것에 의하여, 서브코드추출부(69)는, 독출된 TOC데이터로부터 서브코드데이터를 추출한다.
스텝(S63)에 있어서, 제어기(75)는, 도 3에 나타내는 서브코드데이터의 Q채널의 제로블록(ZERO)이나 트랙번호블록(TNO)에 기록되어 있는 제 3의 광디스크(2)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데이터를 검출했는지 어떤지에 의하여, 디스크테이블에 장착된 광디스크가 제 3의 광디스크(2)인지 어떤지를 판단한다. 제어기(75)는, 스텝(S63)에서 독출된 식별데이터에 의거하여 장착된 광디스크가 제 3의 광디스크(2)라고 판단되었을 때, 스텝(S64)으로 진행하고, 스텝(S63)에서 장착된 광디스크가 제 3의 광디스크(2)가 아니라고 판단되었을 때 스텝(S65)으로 진행한다.
스텝(S64)에 있어서, 제어기(75)는, 내주측의 제 1 섹션의 리드인영역과 대향하는 위치까지 송출모터(65)를 구동하여 광픽업(61)을 이동시키고, 광픽업(61)에 의해 광디스크의 내주측의 제 1 섹션의 리드인영역에 기록된 서브코드데이터 등의 TOC데이터를 독출한다. 제어기(75)는, 내주측의 제 1 섹션의 리드인영역으로부터 독출된 TOC데이터의 서브코드데이터의 제어블록(CNT)에 기록된 식별데이터를 독출함으로서, 제 1 섹션에 기록된 데이터를 디코드할 수 있는 디코더의 종류를 판별하고, 식별데이터에 의거하여 전환부(68)를 RF회로(62)와 제 1의 디코더(66) 또는 제 2의 디코더(67)의 어느 것의 디코더와 접속되도록 전환한다. 제 2의 재생장치(60)는, 제 1 섹션으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제 1의 디코더(66) 또는 제 2의 디코더(67)에서 디코드하고, I/F(73)를 거쳐서 모니터(72)에 따른 표시를 행하고, 또한, D/A컨버터(70)를 거쳐서 스피커(71)로부터 출력한다.
그런데, 제어기(75)는, 스텝(S63)에 있어서, 식별데이터에 의거하여 디스크테이블에 장착된 광디스크가 제 3의 광디스크(2)가 아니라고 판단되었을 때, 계속하여, 스텝(S65)으로 진행하고, 도 3에 나타내는 TOC데이터를 구성하는 서브코드데이터의 Q채널의 어드레스블록(ADR)에 기록된 멀티섹션타입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식별데이터를 검출함으로서, 디스크테이블에 장착된 광디스크가 싱글섹션타입의 광디스크인지 멀티섹션타입의 광디스크인지의 식별을 행한다. 제어기(75)는, 스텝(S65)에서 디스크테이블에 장착된 광디스크가 멀티섹션타입의 광디스크라고 판단했을 때, 스텝(S66)으로 진행하고, 스텝(S65)에서 장착된 광디스크가 멀티섹션타입의 광디스크가 아닌, 즉 싱글섹션타입의 광디스크라고 판단했을 때 스텝(S64)으로 진행하고, 장착된 광디스크의 외주측의 제 2 섹션에 엑세스한다.
스텝(S66)에 있어서, 제어기(96)는, 외주측의 제 섹션의 리드인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위치까지 광픽업(81)을 이동시키고, 외주측의 섹션에 엑세스한다. 스텝(S67)에 있어서, 제어기(67)는, 외주측의 제 2 섹션의 리드인영역의 서브코드의 제어블록(CNT)을 독출함으로서, 제 1의 디코더(66), 제 2의 디코더(67)의 어느 것을 선택하고, 독출된 제어블록(CNT)에 의거하여 전환부(68)를 전환한다. 제어기(75)는, 외주측의 제 2 섹션의 재생을 개시한다. 제 2 섹션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는, 제 1의 디코더(66) 또는 제 2의 디코더(67)에서 디코드되고,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서 스피커(71) 또는 모니터(72)에 출력된다.
스텝(S68)에 있어서, 제어기(75)는, 조작부(74)로부터의 조작신호에 의하여 내주측의 제 1 섹션의 재생을 행하는지 어떤지를 판단한다. 제어기(75)는, 스텝(S58)에서 조작부(74)로부터의 입력에 의거하여 내주측의 제 1 섹션을 재생할 때, 스텝(S64)으로 진행하고, 제 1의 섹션에 엑세스하고, 제 1 섹션으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에서 재생을 행하고, 스텝(S68)에서 조작부(74)로부터의 입력 없이 제 1 섹션의 재생을 행하지 않을 때, 스텝(S69)으로 진행하고, 장착된 광디스크의 재생을 정지한다.
이상과 같은 제 2의 재생장치(60)에서, 제 2의 재생장치(60)에서 제 3의 광디스크(2)를 재생하고자 할 때, 가장 내주의 리드인영역의 TOC데이터를 독출함으로써, 장착된 광디스크가 제 3의 광디스크(2)인 것을 검출했을 때, 제 2 섹션(4)에 엑세스 하지 않고, 강제적으로 내주측의 제 1 섹션(3)에 엑세스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 2의 재생장치(60)가 CD-R디스크나 CD-RW디스크 등의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 정보신호를 기록할 수 있는 기록기능을 가질 때라도, 제 2 섹션(4)을 재생할 수 없으므로, 제 3의 광디스크(2)의 제 2 섹션(4)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가 위법으로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 디지털 카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광디스크는, 내주측의 제 1 섹션에, 제 1의 포맷에서 데이터가 기록되고, 외주측의 제 2 섹션에, 내주측의 제 1 섹션보다 트랙피치를 좁게한 제 2의 포맷에서 데이터가 기록되고, 내주측의 제 1 섹션의 리드인영역에, 멀티섹션인것을 식별하는 식별데이터가 기록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부터 어느 재생장치에서 재생하고자 할 때, 종래의 재생장치는, 리드인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멀티섹션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데이터를 검출하고, 재생할 수 없는 외주측의 제 2 섹션에 엑세스한다. 이 광디스크에서는, 제 2의 재생장치에서 외주측의 제 2 섹션이 재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광디스크는, 멀티섹션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데이터가 리드인영역에 기록되어 있으므로, 제 2의 섹션을 재생할 수 있는 재생장치에서는, 우선적으로 제 2의 섹션을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재생장치에서는, 제 2의 섹션을 재생할 수 없을 때, 이 기록매체를 배출하거나, 강제적으로 제 1 섹션에 엑세스하는 것으로, 제 2 섹션에 기록된 데이터가 권한이 없는 장치에서 재생되고, 예를 들면 디지털 카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저작권의 보호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35)

  1. 적어도 2개의 제 1기록영역과 제 2기록영역과,
    상기 제 1기록영역의 내주측에 설치된 제 1리드인영역과,
    상기 제 1기록영역의 외주측에 설치된 제 1리드아웃영역과,
    상기 제 1리드아웃영역의 외주측에서 상기 제 2기록영역과의 사이에 설치된 제 2리드인영역과,
    상기 제 2기록영역의 외주측에 설치된 제 2리드아웃영역을 갖추고,
    상기 제 2리드인영역, 상기 제 2기록영역 및 상기 제 2리드아웃영역의 트랙피치는 상기 제 1리드인영역, 상기 제 1기록영역 및 상기 제 1리드아웃영역의 트랙피치보다도 좁게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 1리드인영역에는 적어도 상기 제 2기록영역의 유무를 나타내는 식별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광디스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리드인영역에는, 상기 제 2리드인영역, 상기 제 2기록영역 및 상기 제 2기록영역의 리드영역의 트랙피치는 상기 제 1리드인영역, 상기 제 1리드아웃영역의 트랙피치보다도 좁게 형성되어 있는 기록매체인 것을 나타내는 매체식별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광디스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리드인영역에는, 상기 제 2기록영역에 기록된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종류식별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광디스크.
  4. 장치에 장착된 광디스크에 기록된 식별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식별데이터에 의거해서 상기 장착된 광디스크가 적어도 제 1기록영역과 제 2기록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 1기록영역의 내주측 제 1리드인영역이 설치되고, 상기 제 1기록영역의 외주측에 제 1리드아웃영역이 설치되고, 상기 제 1외주측에서 상기 제 2기록영역과의 사이에 제 2리드인영역이 설치되고, 상기 제 2기록영역의 외주측에 제 2리드아웃영역이 설치된 광디스크라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상기 장착된 광디스크의 상기 제 2기록영역에서 재생을 개시하는 광디스크의 재생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기록영역에서 독출된 데이터의 디코드가 되지 않았을 때, 또는 상기 제 2기록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가 독출되지 않았을 때의 어느 때에 상기 장착된 광디스크를 상기 장치에서 배출하는 재생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기록영역에서 독출된 데이터의 디코드가 되지 않았을 때에는 상기 제 1기록영역을 재생하는 광디스크의 재생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기록영역의 재생에 앞서 상기 제 2리드인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제 2리드인영역에서 독출된 데이터에 의거해서 디코더를 전환하는 광디스크의 재생방법.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기록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종료 후에, 상기 제 1기록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지시가 입력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 1기록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을 행하는 광디스크의 재생방법.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장착된 광디스크가 리드인영역과 상기 리드인영역의 외주측에 설치된 기록영역과 상기 기록영역의 외주측에 설치된 리드아웃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광디스크인 것으로 판별되었을 때에는, 상기 리드인영역에서 독출된 데이터에 의거해서 상기 기록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을 행하는 광디스크의 재생방법.
  10. 장치에 장착된 광디스크의 리드인영역에서 독출된 광디스크의 종류를 나타내는 매체식별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상기 매체식별데이터에 의거해서 상기 장착된 광디스크가 제 2리드인영역과 상기 제 2리드인영역의 외주측에 설치된 제 2기록영역 및 상기 제 2기록영역의 외주측에 설치된 상기 제 2리드아웃영역의 트랙피치는 상기 제 2리드인영역의 내주측에 설치된 제 1리드아웃영역과 상기 제 1리드아웃영역의 내주측에 설치된 제 1기록영역의 내주측에 설치된 상기 제 1리드인영역의 트랙피치보다도 좁게 형성된 광디스크인 것으로 판별되었을 때에는, 상기 장착된 광디스크의 상기 제 2기록영역에서 재생을 행하는 광디스크의 재생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기록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독출에 앞서, 상기 제 2리드인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대인(代人)의 리드인영역에서 독출된 데이터에 의거해서 디코더를 전환하는 광디스크의 재생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기록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종료 후에, 상기 제 1기록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지시가 입력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 1기록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을 행하는 광디스크의 재생방법.
  13. 장치에 장착된 광디스크의 리드인영역에서 독출된 광디스크의 종류를 나타내는 매체식별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상기 매체식별데이터에 의거해서 상기 장착된 광디스크가 제 2리드인영역과 상기 제 2리드인영역의 외주측에 설치된 제 2기록영역 및 상기 제 2기록영역의 외주측에 설치된 상기 제 2리드아웃영역의 트랙피치는 상기 제 2기록영역의 외주측에 설치된 상기 제 2리드아웃영역의 트랙피치는 상기 제 2리드인영역의 내주측에 설치된 제 1리드아웃영역과 상기 제 1리드아웃영역의 내주측에 설치된 제 1기록영역 및 상기 제 1기록영역의 내주측에 설치된 상기 제 1리드인영역의 트랙피치보다도 좁게 형성된 광디스크인 것으로 판별되었을 때에는, 상기 장착된 광디스크의 상기 제 1기록영역의 재생을 행하는 광디스크의 재생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장착된 광디스크가 적어도 제 1기록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 1기록영역의 내주측 제 1리드인영역이 설치되고, 상기 제 1기록영역의 외주측에 제 1리드아웃영역이 설치되고, 상기 제 1리드아웃영역의 외주측에서 상기 제 기록영역과의 사이에 제 2리드인영역이 설치되고, 상기 제 2기록영역에 제 2리드아웃영역이 설치된 광디스크인 것으로 판별되었을 때에는 상기 장착된 광디스크의 상기 제 2기록영역에서 재생을 개시하는 광디스크의 재생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기록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종료 후에, 상기 제 1기록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지시가 입력되었을 때에는, 상기제 1기록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을 행하는 광디스크의 재생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장착된 광디스크가 리드인영역과 리드인영역의 외주측에 설치된 기록영역과 상기 기록영역의 외주측에 설치된 리드아웃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광디스크인 것으로 판별되었을 때에는, 상기 리드인영역에서 독출된 데이터에 의거해서 기록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을 행하는 광디스크의 재생방법.
  17. 광디스크가 장치에 장착되고, 상기 장착된 광디스크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장착된 광디스크에서 데이터를 독출하는 광픽업과,
    상기 광픽업을 상기 장착된 광디스크의 지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송출기구부와,
    적어도 상기 송출기구부에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광픽업에 의해 상기 장착된 광디스크에서 독출된 식별데이터에 의거해서 상기 장착된 광디스크의 종별을 판별하는 제어부를 갖추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착된 광디스크가 적어도 제 1기록영역과 제 2기록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 1기록영역의 내주측에 제 1리드인영역이 설치되고, 상기 제 1기록영역의 외주측에 제 1리드아웃영역이 설치되고, 상기 제 1리드아웃영역의 외주측에서 상기 제 2기록영역과의 사이에 제 2리드인영역이 설치되고, 상기 제 2기록영역의 외주측에 상기 제 2리드아웃영역이 설치된 광디스크인 것으로 판별되었을 때에는, 상기 송출기구부를 제어하여 상기 광픽업을 이동시켜서 상기 장착된 광디스크의 상기 제 2기록영역에서 재생을 개시하는 광디스크의 재생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광픽업으로부터의 출력신호가 공급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코더를 갖추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코더에 의해 상기 제 2기록영역에서 독출된 데이터의 디코드가 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었을 때에는 상기 장착된 광디스크를 상기 장치에서 배출시키는 광디스크의 재생장치.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착된 광디스크의 상기 제 2기록영역에서 독출시키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었을 때에는 상기 장치에 장착된 광디스크를 상기 장치에서 배출하는 광디스크의 재생장치.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광픽업으로부터의 출력신호가 공급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코더를 갖추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코더에 의해 상기 제 2기록영역에서 독출된 데이터의 디코드가 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었을 때에는 상기 송출기구부를 제어하여 상기 광픽업을 이동시켜 상기 장착된 광디스크의 상기 제 1기록영역을 재생하는 광디스크의 재생장치.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광픽업으로부터의 출력신호가 공급되는 복수의 디코더를 갖추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출기구부를 제어하여 상기 광픽업을 상기 제 2리드인영역과 대향하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상기 제 2리드인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제 2리드인영역에서 독출된 데이터에 의거해서 상기 복수의 디코더 중 상기 광픽업으로부터의 출력신호가 공급되는 디코더를 선택하는 광디스크의 재생장치.
  22.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기록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종료 후에, 상기 제 1기록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지시가 입력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 1기록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을 행하는 광디스크의 재생장치.
  23.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착된 광디스크가 리드인영역과 상기 리드인영역의 외주측에 설치된 기록영역과 상기 기록영역의 외주측에 설치된 리드아웃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광디스크인 것으로 판별되었을 때에는, 상기 리드인영역에서 독출된 데이터에 의거해서 상기 기록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을 행하는 광디스크의재생장치.
  24. 광디스크가 장치에 장착되고, 상기 장착된 광디스크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장착된 광디스크에서 데이터를 독출하는 광픽업과,
    상기 광픽업을 상기 장착된 광디스크의 지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송출기구부와,
    적어도 상기 송출기구부에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광픽업에 의해 상기 장착된 광디스크에서 독출된 식별데이터에 의거해서 상기 장착된 광디스크의 종별을 판별하는 제어를 갖추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체식별데이터에 의거해서 상기 장착된 광디스크가 제 2리드인영역과 상기 제 2리드인영역의 외주측에 설치된 제 2기록영역 및 상기 제 2기록영역의 외주측에 설치된 상기 제 2리드아웃영역의 트랙피치는, 상기 제 2리드인영역의 내주측에 설치된 상기 제 1리드아웃영역과 상기 제 1리드아웃영역의 내주측에 설치된 제 1기록영역 및 상기 제 1기록영역의 내주측에 설치된 상기 제 1리드인영역의 트랙피치보다도 좁게 형성된 광디스크인 것으로 판별되었을 때에는, 상기 송출기구부를 제어하여 상기 광픽업을 이동시켜 상기 장착된 광디스크의 상기 제 2기록영역에서 재생을 개시하는 광디스크의 재생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광픽업으로부터의 출력신호가 공급되는 복수의 디코더를 갖추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출기구부를 제어하여 상기 광픽업 상기 제 2리드인영역과 대향하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상기 제 2리드인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제 2리드인영역에서 독출된 데이터에 의거해서 상기 복수의 디코더 중 상기 광픽업으로부터의 출력신호가 공급되는 디코더를 선택하는 광디스크의 재생장치.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기록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종류 후에, 상기 제 1기록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지시가 입력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 1기록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을 행하는 광디스크의 재생장치.
  27. 광디스크가 장치에 장착되고, 상기에 장착된 광디스크가 회전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장착된 광디스크에서 데이터를 독출하는 광픽업과,
    상기 광픽업을 상기 장착된 광디스크의 지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송출기구부와,
    적어도 상기 송출기구부에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광픽업에 의해 상기 장착된 광디스크에서 독출된 식별데이터에 의거해서 상기 장착된 광디스크의 식별을 판별하는 제어부를 갖추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체식별데이터에 의거해서 상기 장착된 광디스크가 제2리드인영역과 상기 제 2리드인영역의 외주측에 설치된 상기 제 2기록영역 및 상기 제 2기록영역의 외주측에 설치된 상기 제 2리드아웃영역의 트랙피치는 상기 제 2리드인영역의 내주측에 설치된 제 1리드아웃영역과 상기 제 1리드아웃영역의 내주측에 설치된 제 1기록영역 및 상기 제 1기록영역의 내주측에 설치된 상기 제 1리드인영역의 트랙피치보다도 좁게 형성된 광디스크인 것으로 판별되었을 때에는, 상기 송출기구부를 제어하여 상기 광픽업을 이동시켜 상기 장착된 광디스크의 상기 제 1기록영역의 재생을 개시하는 광디스크의 재생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착된 광디스크가 적어도 제 1기록영역과 제 2기록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 1기록영역의 내주측 제 1리드인영역이 설치되고, 상기 제 1기록영역의 외주측에 제 1리드아웃영역이 설치되고, 상기 제 1리드아웃영역의 외주측에서 상기 제 2기록영역과의 사이에 제 2리드인영역이 설치되고, 상기 제 2기록영역의 외주측에 제 2리드아웃영역이 설치된 광디스크인 것으로 판별되었을 때에는, 상기 송출기구부를 제어하여 상기 픽업을 이동시켜 상기 장착된 광디스크의 상기 제 2기록영역에서 재생을 개시시키는 광디스크의 재생장치.
  2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기록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종료 후에, 상기 제 1기록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지시가 입력되어 있었을 때에는, 상기 제 1기록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을 행하는 광디스크의 재생장치.
  30.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착된 광디스크가 리드인영역과 상기 리드인영역의 외주측에 설치된 기록영역과 상기 기록영역의 외주측에 설치된 리드인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광디스크인 것으로 판별되었을 때에는, 상기 리드인영역에서 독출된 데이터에 의거해서 상기 기록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을 행하는 광디스크의 재생장치.
  31. 제 1트랙피치 내주에서 외주로 향하여 제 1리드인영역, 제 1리드아웃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 1리드아웃영역의 외측에 외주로 향하여 상기 제 1트랙피치보다도 좁은 제 2트랙피치에서 제 2리드인영역, 제 2기록영역 및 제 2리드아웃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 1리드인영역에는 적어도 상기 제 2기록영역의 유무를 나타내는 식별데이터를 기록하는 광디스크의 기록방법.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리드인영역에는, 상기 제 2리드인영역, 상기 제 2기록영역 및 상기 제 2리드인영역의 트랙피치는 상기 제 1리드인영역, 상기 제 1리드인영역 및 상기제 1리드아웃영역 트랙피치보다도 좁게 형성되어 있는 기록매체인 것을 나타내는 매체식별데이터가 기록되는 광디스크의 기록방법.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식별데이터는, 상기 제 1리드인영역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서브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광디스크의 기록방법.
  34.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리드인영역에는, 상기 제 2기록영역에 기록된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종류식별데이터가 기록되는 광디스크의 기록방법.
  35.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식별데이터는, 상기 제 2리드인영역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서브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광디스크의 기록방법.
KR1020027012771A 2001-01-31 2002-01-31 광디스크, 광디스크의 재생방법과 재생장치 및 기록방법 KR200200874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24689 2001-01-31
JP2001024689A JP2002230786A (ja) 2001-01-31 2001-01-31 記録媒体、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再生装置及び再生制御方法
PCT/JP2002/000798 WO2002061741A1 (fr) 2001-01-31 2002-01-31 Disque optique, procede et appareil de reproduction de disques optiques et procede d'enregistr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7432A true KR20020087432A (ko) 2002-11-22

Family

ID=18889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2771A KR20020087432A (ko) 2001-01-31 2002-01-31 광디스크, 광디스크의 재생방법과 재생장치 및 기록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31246B2 (ko)
JP (1) JP2002230786A (ko)
KR (1) KR20020087432A (ko)
CN (1) CN1459095A (ko)
DE (1) DE10290504T1 (ko)
WO (1) WO20020617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0143B2 (ja) * 2001-08-06 2009-02-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再生装置
DE10223080A1 (de) * 2002-05-17 2003-12-04 Ahead Software Ag Wahleinrichtung für Lese- und/oder Schreibeinrichtungen für beschreibbare Digital Versatile Disk (DVD)
KR20040016536A (ko) * 2002-08-17 2004-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재생 전용 광디스크의 어드레스 정보 기록방법과,그에 따른 고밀도 재생 전용 광디스크
KR100739672B1 (ko) * 2002-09-10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정보 저장매체 및 데이터의 재생 방법
KR101111992B1 (ko) * 2003-11-10 2012-02-24 파나소닉 주식회사 기록/재생 장치, 기록/재생 방법, 및 제어기
US7596069B2 (en) * 2003-11-25 2009-09-29 Dell Products L.P. Optical medium aligned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JP2005166122A (ja) * 2003-11-28 2005-06-23 Toshiba Corp 光ディスク装置及び情報再生方法
WO2005059754A1 (en) * 2003-12-17 2005-06-30 Mix & Burn Recording and security system
US7907492B1 (en) * 2004-03-17 2011-03-15 Doug Carson & Associates, Inc. Data storage medium with improved multi-session recording format
JP2006107622A (ja) * 2004-10-05 2006-04-20 Toshiba Corp ライトワンスメディアへの記録方法、記録装置および再生装置
KR100765800B1 (ko) * 2007-05-15 2007-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정보 저장매체 및 데이터의 재생 방법
JP2012195020A (ja) * 2011-03-15 2012-10-11 Sony Corp 原盤ストラテジ調整方法、ディスク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6921A (en) * 1987-06-17 1992-11-24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Optical disk carrying tracking information in multiple formats and apparatus for analyzing same
JPH04252470A (ja) * 1991-01-28 1992-09-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及びディスク再生装置
JPH06187732A (ja) * 1992-12-15 1994-07-08 Sony Corp 光磁気デイスク装置及び光磁気デイスク
JPH0773471A (ja) * 1993-09-03 1995-03-17 Pioneer Electron Corp 追記型光ディスクの情報記録装置
JPH0798878A (ja) * 1993-09-30 1995-04-11 Sanyo Electric Co Ltd ディスクプレーヤーの再生方法
JPH07226012A (ja) * 1994-02-10 1995-08-22 Sanyo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再生装置
KR960706160A (ko) * 1994-08-31 1996-11-08 이데이 노부유키 광디스크와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Optical disk and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TW301740B (ko) * 1995-05-31 1997-04-01 Sony Co Ltd
JP3707137B2 (ja) * 1996-07-04 2005-10-19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媒体、再生装置
US6154427A (en) * 1997-01-22 2000-11-28 Sony Corporation Recording medium, recording apparatus, reproducing method, and reproducing apparatus
JPH10241298A (ja) * 1997-02-21 1998-09-11 Sanyo Electric Co Ltd 記憶媒体、情報記録装置および情報再生装置
US6310854B1 (en) * 1997-11-28 2001-10-30 Yamaha Corporation Optical disk having areas of different recording densities or functions
JP3381607B2 (ja) * 1998-01-29 2003-03-04 ヤマハ株式会社 光ディスクおよび光ディスク再生装置
US6424615B1 (en) * 1997-12-24 2002-07-23 Yamaha Corporation Optical disk having plurality of volumes, recording device and reproduction device for same
EP1923812A3 (en) * 1999-12-28 2008-10-29 Mitsubishi Kagaku Media Co., Ltd. Data erase methods for use in an optical recording medium
US6515951B1 (en) * 2000-02-01 2003-02-04 Lg Electronics, Inc. Disk ejecting method
JP4277452B2 (ja) * 2000-02-25 2009-06-10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再生装置
JP2001297535A (ja) * 2000-04-14 2001-10-26 Sony Corp データ記録方法、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再生方法、データ再生装置および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230786A (ja) 2002-08-16
CN1459095A (zh) 2003-11-26
DE10290504T1 (de) 2003-12-24
US7031246B2 (en) 2006-04-18
US20030147323A1 (en) 2003-08-07
WO2002061741A1 (fr) 2002-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3013B1 (ko) 디스크기록재생장치 및 디스크기록재생방법
KR960010569B1 (ko) 디스크 기록 장치
JP2003091927A (ja) 記録媒体、記録媒体の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記録媒体の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並びにデータ出力方法
JP4211395B2 (ja)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及び再生方法
KR20020087432A (ko) 광디스크, 광디스크의 재생방법과 재생장치 및 기록방법
KR100801508B1 (ko) 데이터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방법 및 장치
WO2001059786A1 (fr) Procede d'enregistrement et/ou reproduction de donnees sur/a partir support enregistrement/enregistre, dispositif de reproduction, support enregistrement, procede de reconnaissance d'un support enregistrement/enregistre, et procede enregistrement et/ou de reproduction associe
JPWO2003003358A1 (ja) データの記録媒体、記録媒体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並びに記録又は再生方法
EP1089282A2 (en) Data recording medium, data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data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US7362671B2 (en) Optical disc recording and/or playing apparatus and method
JP4206758B2 (ja) データ記録媒体、データ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データ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JP3279043B2 (ja) 光ディスク
JP3585881B2 (ja) データ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データ再生装置及び方法
RU2300149C2 (ru) Способ записи/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данных
JP4089205B2 (ja) マスタリング装置及び方法並びにデータ記録装置及び方法
JP3955289B2 (ja) データ記録媒体
JP2003338050A (ja) 光記録媒体及び光記録媒体への固有識別情報記録方法、並びに光記録媒体からの固有識別情報読出方法
JP2003203422A (ja) ディスク記録媒体、再生装置、再生方法
JPH11232847A (ja) 再生順序記憶方法及び再生順序記憶装置
JP2003151145A (ja) データ記録媒体、データ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データ再生装置及び方法
JP2005078673A (ja) 再生装置及びフォーマット判定方法
JPH05290385A (ja) 光ディスク
JP2003196931A (ja) ディスク記録媒体、再生装置、再生方法
JP2003217238A (ja) ディスク記録媒体
JP2005129103A (ja) コンテンツデータ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