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3529A - 베어링 재료 - Google Patents

베어링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3529A
KR20020083529A KR1020027012629A KR20027012629A KR20020083529A KR 20020083529 A KR20020083529 A KR 20020083529A KR 1020027012629 A KR1020027012629 A KR 1020027012629A KR 20027012629 A KR20027012629 A KR 20027012629A KR 20020083529 A KR20020083529 A KR 20020083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less
oxide
inclusions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2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쯔자끼아끼히로
이와모또다까시
야마자끼요시오
기자와가쯔히꼬
고또마사오
Original Assignee
가와사끼 세이데쓰 가부시키가이샤
고요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사끼 세이데쓰 가부시키가이샤, 고요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사끼 세이데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3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352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rings; for bearing r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6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lead, selenium, tellurium, or antimony, or more than 0.04% by weight of sulfu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2Structural composition; Use of special materials or surface treatments, e.g. for rust-proofing
    • F16C33/121Use of special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특별한 2차 정련 프로세스를 사용하지 않고 저비용으로, 범용의 긴 수명의 베어링용 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C: 0.95 ∼ 1.10질량%, Si: 0.15 ∼ 0.70질량%, Mn: 1.15질량% 이하, Cr: 0.90 ∼ 1.60질량%, P: 0.025질량% 이하를 함유하고, 비금속 개재물 형성원소인 S 및 O 를, S: 0.025질량% 이하, O: 0.0012질량% 이하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성분조성을 갖고, 또한 산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최대 직경이, 피검 면적: 320㎟ 일 때에 10㎛ 를 초과하고 15㎛ 이하, 또한 원 상당 직경이 3㎛ 이상인 산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개수가, 피검 면적: 320㎟ 일 때에 250개 이하이고, 또한 재료중에는 AlN 을 0.020질량% 이하 함유하고 및/또는 두께 1㎛ 이상인 황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개수가, 피검 면적: 320㎟ 일 때에 1200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재료.

Description

베어링 재료 {BEARING MATERIAL}
롤링 베어링 등에 사용되는 베어링 재료에는, 전동피로수명이 긴 것이 요구된다. 전동피로수명 평가방법의 하나로 B10수명이 사용된다. B10수명은 통계적으로 누적파손확률이 10% 로 추정되기까지의 총부하회수이다. 일반적으로, 베어링의 전동피로수명은, 재료 중에 존재하는 경질의 산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종래부터 재료 중의 산소량을 저감시킴으로써, 산화물계 비금속 개재물량의 저감을 도모함으로써, 전동피로수명의 향상을 도모해 왔다. 현재는 정련기술의 진보에 따라, 재료 중의 산소량을 중량비로 하여 10ppm 이하로까지 저감시킬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저산소화에 의한 전동피로수명의 향상방법은 거의 한계에 도달해 있다. 또 산소량을 10ppm 이하로 저감하면 제조비용이 증가되기 때문에, 범용 강에 적용하기는 어렵다.
최근에는 전동피로수명을 더 한층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 것이 제안되고있다. 에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126839호에서는, 단위면적 또는 단위체적중의 산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개수를 제한함으로써 긴 수명을 실현하는 베어링 재료가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25587호에서는, 극치통계에 의해 추정되는 산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예측 최대 직경을 제한함으로써, 긴 수명을 실현하는 베어링 재료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산소량을 10ppm 이하라는 극한에 가까운 값으로까지 낮춘 초청정강에 있어서는, 산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크기와 개수의 관계가 반드시 명료한 것은 아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91340호는, 강중의 황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두께와 개수, 그리고 산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예측 최대 직경에 착안하고 있다. 두께 1㎛ 이상인 황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개수가 피검 면적 (inspection area) 320㎟ 일 때에 1200개 이하, 및/또는 피검 면적 320㎟ 에서의 산화물의 예측 최대 직경을 10㎛ 이하로 제어함으로써, 긴 수명을 실현하는 베어링용 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91340호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산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최대 직경이 10㎛ 이상일 때에는, B10수명이 5 ×107이상을 달성하지 못했다. 상기 종래 기술은, 산화물의 개수 또는 최대 직경을 매우 낮은 값으로까지 저감시키는 것을 기초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초청정강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레이들 정련과 같은 특수한 2차 정련 프로세스가 필요하다. 제조 프로세스와 이것을 실현할 수 있는 제철 메이커가 제약을 받는다. 강의 정련 비용이 매우 상승되기 때문에, 범용 실용강에 확대 적용하기는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련의 프로세스 제약이 없고, 또한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지 않고, 범용의 긴 수명 베어링 재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롤러 베어링 또는 볼 베어링과 같은 롤링 베어링에 사용되는 베어링 재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동피로수명 특성이 우수한 베어링 재료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피검 면적 320㎟ 에서의, 산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최대 직경과 원 상당 직경 3㎛ 이상인 산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개수 및 전동피로수명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베어링 재료의 성분 조성을 상기와 같이 한정하는 이유에 대해 아래에 상세하게 서술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베어링 재료는, JIS G4805 고탄소 크롬 베어링강을 베이스로 하여 합금 설계한 성분 조성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다음은 베어링강의 예를 들어 설명한다.
C: 0.95 ∼ 1.10질량%
C 는, 기지에 고용되어 마르텐사이트의 강화에 유효하게 작용하는 원소로, 담금질 템퍼링후의 강도 확보와 그것에 의한 전동피로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해 함유시킨다. 그 함유율이 0.95질량% 미만에서는 이와 같은 효과는 얻을 수 없고, 한편 1.10질량% 초과에서는 주조시에 거대 탄화물이 생성되어, 가공성 및 전동피로수명이 저하되므로, 0.95 ∼ 1.10질량% 범위로 한정하였다.
Si: 0.15 ∼ 0.70질량%
Si 는, 기지에 고용되어 템퍼링 연화 저항의 증대에 의해 담금질, 템퍼링 후의 강도를 높여 전동피로수명을 향상시키는 원소로서 유효하다. 이와 같은 목적하에 첨가되는 Si 함유량은 0.15 ∼ 0.70질량% 범위로 한다.
Mn: 1.15질량% 이하
Mn 은, 강의 담금질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기지 마루텐사이트의 인성, 경도를향상시키고, 전동피로수명의 향상에 유효하게 작용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서는 1.15질량% 이하를 첨가하면 충분하다. 하한은 특별히 설정할 필요는 없지만, 탈산 등을 위해 0.10질량% 이상 첨가하는 것이 타당하다.
Cr: 0.90 ∼ 1.60질량%
Cr 은, 담금질성의 향상과 안정된 탄화물의 형성을 통해, 강도의 향상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서는 전동피로수명을 향상시키는 성분이다. 이와 같는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90 ∼ 1.60질량% 의 첨가가 필요하다.
P: 0.025질량% 이하
P 는, 강의 인성 및 전동피로수명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가능한 한 낮은 것이 바람직하고, 그 허용 상한은 0.025질량% 이다.
S: 0.025질량% 이하
S 는, Mn 과 결합하여 MnS 등의 황화물계 개재물을 형성시켜 피삭성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다량으로 함유시키면 전동피로수명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0.025질량% 를 상한으로 해야 된다. 단, 후술하는 바와 같이 통상적인 용제, 압연법으로 개재물의 개수를 소정의 양으로 하기 위해서는 0.003질량% 를 상한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 0.0012질량% 이하
O 는, 경질인 산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을 형성하여, 전동피로수명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낮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0.0012질량% 까지는 허용된다. 따라서 그 상한을 O: 0.0012질량% 로 하였다.
Mo: 0.10 ∼ 0.25질량%
Mo 는, 본 발명에서 필요에 따라 첨가한다. 단, 고가 원소이기 때문에, 담금질성을 더 한층 향상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만 첨가한다. 그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Mo 는 0.10 ∼ 0.25질량% 범위에서의 첨가로 충분하다.
Sb: 0.0010질량% 이하
Sb 는, 스크랩 등의 제강원료로부터 혼입되는 경우가 있는데, 전동피로수명을 저하시키는 원소이기 때문에, 스크랩 등을 엄선하는 등의 수단에 의해, 그 상한을 0.0010질량%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N량: 0.020질량% 이하
AlN 은, 강중의 양이 0.020질량% 를 초과하면 전동피로수명이 현저하게 저하되므로, 0.020질량% 를 상한으로 하여 가능한 한 낮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강중 AlN 량의 저감방법으로는, 강중 Al 량 및 강중 N 량의 저감이 가장 유효하다. 또한 담금질시의 유지온도를 높임으로써 대처할 수 있지만, 베어링의 제조성을 현저하게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상기 AlN 량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강중의 Al 을 0.03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020질량% 이하로 하고, 또 N 을 0.01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008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는, 두께 1㎛ 이상인 황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개수를 피검 면적 320㎟ 일 때에 1200개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황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형태에 대해, 두께 1㎛ 이상으로 한정한 이유는, 비금속 개재물의 조성을 가시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한계의 크기이고, 전동피로수명과의 대응도 양호하기 때문이다. 또 황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개수는, 전동피로수명의 향상에 대해서는 가능한 한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두께 1㎛ 이상인 황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개수가, 피검 면적 320㎟ 에서 1200개를 초과하면 B10수명이 급격하게 저하되므로, 그 상한을 1200개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특정사항인 산화물계 개재물의 최대 직경과 개수의 한정이유에 대해 서술한다.
상기 성분조성의 JIS G4805 고탄소 크롬 베어링강 (SUJ2 상당 강) 에 있어서, AlN 및/또는 황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을 제어한 강에 대해 조사한 결과에 대해 서술한다. 도 1 은 피검 면적 320㎟ 일 때의 산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최대 직경과 원 상당 직경 3㎛ 이상인 산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개수와의 관계 및 전동피로수명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 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산화물의 최대 직경이 10㎛ 를 초과해도 15㎛ 이하이고, 또한 3㎛ 이상인 산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개수가 250개 이하의 범위이면, 우수한 전동피로수명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산화물계 개재물의 최대 직경을 10㎛ 이하와 같은 극저치까지 저감하지 않아도, 동시에 그 개수를 제어하기만 하면, 긴 수명의 강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정련의 비용증가, 프로세스가 제약을 받지 않고 긴 수명의 강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범위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위해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서 규정한 강조성 및, AlN 및/또는 황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을 제어한 강에 있어서, 산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예측 최대 직경이 10㎛ 를 초과해도 15㎛ 이하이고, 또한 그 개수를 소정 이하로 제어하기만 하면, 긴 수명의 베어링 강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킨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특정 사항을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은 C: 0.95 ∼ 1.10질량%, Si: 0.15 ∼ 0.70질량%, Mn: 1.15질량% 이하, Cr: 0.90 ∼ 1.60질량%, P: 0.025질량% 이하를 함유하고, 비금속 개재물 형성원소인 S 및 O 를, S: 0.025질량% 이하, O: 0.0012질량% 이하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성분조성을 갖고, 또한 재료중에는 AlN 을 0.020질량% 이하 함유하고, 또한 산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최대 직경이, 피검 면적: 320㎟ 일 때에 10㎛ 를 초과하고 15㎛ 이하, 또한 원 상당 직경 (equivalent circle diameter) 이 3㎛ 이상인 산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개수가, 피검 면적: 320㎟ 일 때에 250개 이하인 베어링 재료이다.
또 본 발명은 C: 0.95 ∼ 1.10질량%, Si: 0.15 ∼ 0.70질량%, Mn: 1.15질량% 이하, Cr: 0.90 ∼ 1.60질량%, P: 0.025질량% 이하를 함유하고, 또한 Mo: 0.10 ∼ 0.25질량% 를 함유하고, 비금속 개재물 형성원소인 S 및 O 를, S: 0.025질량% 이하, O: 0.0012질량% 이하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성분조성을 갖고, 또한 재료중에 AlN 을 0.020질량% 이하 함유하고, 또한 산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최대 직경이, 피검 면적: 320㎟ 일 때에 10㎛ 를 초과하고 15㎛ 이하, 또한 원 상당 직경이 3㎛ 이상인 산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개수가, 피검 면적: 320㎟ 일 때에 250개 이하인 베어링 재료이다.
또 본 발명은 C: 0.95 ∼ 1.10질량%, Si: 0.15 ∼ 0.70질량%, Mn: 1.15질량% 이하, Cr: 0.90 ∼ 1.60질량%, P: 0.025질량% 이하를 함유하고, 또한 Sb: 0.0010질량% 이하를 함유하고, 비금속 개재물 형성원소인 S 및 O 를, S: 0.025질량% 이하, O: 0.0012질량% 이하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성분조성을 갖고, 또한 재료중에 AlN 을 0.020질량% 이하 함유하고, 또한 산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최대 직경이, 피검 면적: 320㎟ 일 때에 10㎛ 를 초과하고 15㎛ 이하, 또한 원 상당 직경이 3㎛ 이상인 산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개수가, 피검 면적: 320㎟ 일 때에 250개 이하인 베어링 재료이다.
또 본 발명은, C: 0.95 ∼ 1.10질량%, Si: 0.15 ∼ 0.70질량%, Mn: 1.15질량% 이하, Cr: 0.90 ∼ 1.60질량%, P: 0.025질량% 이하를 함유하고, 또한 Mo: 0.10 ∼ 0.25질량% 및 Sb: 0.0010질량% 이하를 함유하고, 비금속 개재물 형성원소인 S 및 O 를, S: 0.025질량% 이하, O: 0.0012질량% 이하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성분조성을 갖고, 또한 재료중에 AlN 을 0.020질량% 이하 함유하고, 또한 산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최대 직경이, 피검 면적: 320㎟ 일 때에 10㎛ 를 초과하고 15㎛ 이하, 또한 원 상당 직경이 3㎛ 이상인 산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개수가, 피검 면적: 320㎟ 일 때에 250개 이하인 베어링 재료이다.
또한 상기 각 발명에 관련되는 베어링 재료는, 두께 1㎛ 이상인 황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개수가, 피검 면적: 320㎟ 일 때에 1200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C: 0.95 ∼ 1.10질량%, Si: 0.15 ∼ 0.70질량%, Mn: 1.15질량% 이하, Cr: 0.90 ∼ 1.60질량%, P: 0.025질량% 이하를 함유하고, 비금속 개재물 형성원소인 S 및 O 를, S: 0.025질량% 이하, O: 0.0012질량% 이하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성분조성을 갖고, 또한 재료중에 두께 1㎛ 이상인 황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개수가, 피검 면적: 320㎟ 일 때에 1200개 이하이고, 또한 산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최대 직경이, 피검 면적: 320㎟ 일 때에 10㎛ 를 초과하고 15㎛ 이하, 또한 원 상당 직경 3㎛ 이상인 산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개수가, 피검 면적: 320㎟ 일 때에 250개 이하인 베어링 재료이다.
또 본 발명은, C: 0.95 ∼ 1.10질량%, Si: 0.15 ∼ 0.70질량%, Mn: 1.15질량% 이하, Cr: 0.90 ∼ 1.60질량%, P: 0.025질량% 이하를 함유하고, 비금속 개재물 형성원소인 S 및 O 를, S: 0.025질량% 이하, O: 0.0012질량% 이하 함유하고, 또한 Mo: 0.10 ∼ 0.25질량% 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성분조성을 갖고, 또한 재료중에 두께 1㎛ 이상인 황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개수가, 피검 면적: 320㎟ 일 때에 1200개 이하이고, 또한 산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최대 직경이, 피검 면적: 320㎟ 일 때에 10㎛ 를 초과하고 15㎛ 이하, 또한 원 상당 직경 3㎛ 이상인 산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개수가, 피검 면적: 320㎟일 때에 250개 이하인 베어링 재료이다.
또 본 발명은, C: 0.95 ∼ 1.10질량%, Si: 0.15 ∼ 0.70질량%, Mn: 1.15질량% 이하, Cr: 0.90 ∼ 1.60질량%, P: 0.025질량% 이하를 함유하고, 비금속 개재물 형성원소인 S 및 O 를, S: 0.025질량% 이하, O: 0.0012질량% 이하 함유하고, 또한 Sb: 0.0010질량% 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성분조성을 갖고, 또한 재료중에 두께 1㎛ 이상인 황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개수가, 피검 면적: 320㎟ 일 때에 1200개 이하이고, 또한 산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최대 직경이, 피검 면적: 320㎟ 일 때에 10㎛ 를 초과하고 15㎛ 이하, 또한 원 상당 직경 3㎛ 이상인 산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개수가, 피검 면적: 320㎟ 일 때에 250개 이하인 베어링 재료이다.
또 본 발명은, C: 0.95 ∼ 1.10질량%, Si: 0.15 ∼ 0.70질량%, Mn: 1.15질량% 이하, Cr: 0.90 ∼ 1.60질량%, P: 0.025질량% 이하를 함유하고, 비금속 개재물 형성원소인 S 및 O 를, S: 0.025질량% 이하, O: 0.0012질량% 이하 함유하고, 또한 Mo: 0.10 ∼ 0.25질량% 및 Sb: 0.0010질량% 이하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성분조성을 갖고, 또한 재료중에 두께 1㎛ 이상인 황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개수가, 피검 면적: 320㎟ 일 때에 1200개 이하이고, 또한 산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최대 직경이, 피검 면적: 320㎟ 일 때에 10㎛ 를 초과하고 15㎛ 이하, 또한 원 상당 직경 3㎛ 이상인 산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개수가, 피검 면적: 320㎟ 일 때에 250개 이하인 베어링 재료이다.
표 1 에 나타낸 화학조성 및 AlN 량, 황화물계 비금속 개재물 및 산화물을 갖는 JIS G4805 고탄소 크롬 베어링용 강 2종 (SUJ2 상당 강) 을 전로에서 용제하여, RH 탈가스를 실시하고, 그 후 연속주조하여 65㎜φ의 봉강으로 압연하였다. 또한 비교를 위해 전로용제 후에 레이들 정련을 실시한 초청정강도 용제하였다. 이어서 불림, 구상화 풀림 후에, 830℃ 에서 30분 유지시킨 후 담금질하고, 180℃ 에서 2시간 템퍼링을 실시하여, 절삭 및 러핑 마무리에 의해 60㎜φ×5㎜ 의 원반형 전동피로수명 시펌편을 얻었다. 또한 비금속 개재물의 측정은, 봉강의 1/4 직경부로부터 16㎜ ×120㎜ 의 피검면을 갖는 시험편을 압연방향으로 채취하고, 피검 면적이 320㎟ 일 때의 산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최대 직경, 개수 및 두께 1㎛ 이상인 황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총개수를 실측하였다. 또 전동피로시험은, 모리 타입 트러스트형 전동피로시험기를 사용하여, 헤르츠 최대 접촉응력: 5260㎫, 반복응력수: 30㎐ 그리고 윤활유: #68 터빈유의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그 시험의 결과를, 와이블 분포에 따른 것으로 하여 확률지 상에 정리하여, B10수명으로 평가하였다.
상기 평가결과를, 표 1 에 함께 나타낸다. 이 표에 나타낸 것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에 있는 강은, 모두 비교강에 비하여 긴 수명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강 No.7 은, AlN 량 및 황화물계 개재물이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만, 산화물은 본 발명의 범위로 제어된 비교강이다. 전동피로수명에 현저한 개선효과는 관찰되지 않고, AlN 및/또는 황화물계 개재물의 제어와 동시에 산화물의 크기, 개수를 동시에 제어함으로써, 비로소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강 No.8, 9 는, 산화물계 개재물의 최대 직경 또는 개수가 본 발명에서 특정하는 범위를 초과한 비교강이다. 전동피로수명이 현저하게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또 강 No.10 은, 레이들 정련 프로세스의 적용에 의해 산화물계 개재물의 최대 직경을 10㎛ 이하로 한 비교강이다. 수명은 확실히 길지만, 제조비용이 비싸 제조 프로세스나 제조 메이커가 제한된다. 범용 강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되는 베어링 재료는, 강조성 및 AlN 및/또는 황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을 제어한 강에 있어서, 산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예측 최대 직경이 10㎛ 초과해도 15㎛ 이하이고, 또한 그 개수를 소정 개수 이하로 제어하기만 하면, 전동피로수명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산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최대 직경을 저감하기 위해 사용하였던 레이들 정련 등이 필요없다. 제조비용은 낮게 조절되고, 제조 프로세스나 제조 메이커가 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에, 범용의 긴 수명의 강에 적합한 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C: 0.95 ∼ 1.10질량%, Si: 0.15 ∼ 0.70질량%, Mn: 1.15질량% 이하, Cr: 0.90 ∼ 1.60질량%, P: 0.025질량% 이하를 함유하고, 비금속 개재물 형성원소인 S 및 O 를, S: 0.025질량% 이하, O: 0.0012질량% 이하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성분조성을 갖고, 또한 재료중에는 AlN 을 0.020질량% 이하 함유하고, 또한 산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최대 직경이, 피검 면적 (inspection area): 320㎟ 일 때에 10㎛ 를 초과하고 15㎛ 이하, 또한 원 상당 직경 (equivalent circle diameter) 이 3㎛ 이상인 산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개수가, 피검 면적: 320㎟ 일 때에 250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재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의 상기 화학성분에 첨가하여 추가로, Mo 를 0.10 ∼ 0.25질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재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의 상기 화학성분에 첨가하여 추가로, Sb 를 0.001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재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께 1㎛ 이상인 황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개수가, 피검 면적: 320㎟ 일 때에 1200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재료.
  5. C: 0.95 ∼ 1.10질량%, Si: 0.15 ∼ 0.70질량%, Mn: 1.15질량% 이하, Cr: 0.90 ∼ 1.60질량%, P: 0.025질량% 이하를 함유하고, 비금속 개재물 형성원소인 S 및 O 를, S: 0.025질량% 이하, O: 0.0012질량% 이하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성분조성을 갖고, 또한 재료중에 두께 1㎛ 이상인 황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개수가, 피검 면적: 320㎟ 일 때에 1200개 이하이고, 또한 산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최대 직경이, 피검 면적: 320㎟ 일 때에 10㎛ 를 초과하고 15㎛ 이하, 또한 원 상당 직경 3㎛ 이상인 산화물계 비금속 개재물의 개수가, 피검 면적: 320㎟ 일 때에 250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재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의 상기 화학성분에 첨가하여 추가로, Mo 를 0.10 ∼ 0.25질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재료.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의 상기 화학성분에 첨가하여 추가로, Sb 를 0.001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재료.
KR1020027012629A 2001-01-26 2002-01-24 베어링 재료 KR200200835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18884 2001-01-26
JP2001018884A JP3889931B2 (ja) 2001-01-26 2001-01-26 軸受材料
PCT/JP2002/000493 WO2002059390A1 (fr) 2001-01-26 2002-01-24 Materiau antifric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7287A Division KR20080035021A (ko) 2001-01-26 2002-01-24 베어링 재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529A true KR20020083529A (ko) 2002-11-02

Family

ID=1888484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2629A KR20020083529A (ko) 2001-01-26 2002-01-24 베어링 재료
KR1020087007287A KR20080035021A (ko) 2001-01-26 2002-01-24 베어링 재료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7287A KR20080035021A (ko) 2001-01-26 2002-01-24 베어링 재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93609B2 (ko)
EP (1) EP1354971A4 (ko)
JP (1) JP3889931B2 (ko)
KR (2) KR20020083529A (ko)
CN (1) CN1201026C (ko)
CA (1) CA2404363C (ko)
WO (1) WO20020593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4843A (ko) 2002-05-14 2005-01-12 고요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베어링 궤도 부재의 제조 방법
CN101397628B (zh) * 2007-09-25 2011-04-13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连铸轴承钢圆钢及其制造方法
CN102459679B (zh) * 2009-05-20 2017-03-29 Skf公司 轴承部件
JP5400589B2 (ja) * 2009-11-30 2014-01-2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転動疲労寿命に優れた鋼材
JP5406687B2 (ja) * 2009-11-30 2014-02-0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転動疲労寿命に優れた鋼材
JP5400590B2 (ja) * 2009-11-30 2014-01-2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転動疲労寿命の安定性に優れた鋼材
JP5400591B2 (ja) * 2009-11-30 2014-01-2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冷間加工性に優れた軸受用鋼
US9080608B2 (en) 2010-07-02 2015-07-14 Aktiebolaget Skf Flash-butt welded bearing component
JP5605912B2 (ja) 2011-03-31 2014-10-1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転動疲労特性に優れた軸受用鋼材および軸受部品
ES2675718T3 (es) 2011-05-25 2018-07-12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Acero para cojinetes con excelentes características de fatiga rodante
TWI448565B (zh) * 2011-05-30 2014-08-11 Kobe Steel Ltd 轉動疲勞特性優異的鋼材
JP2013047557A (ja) * 2011-08-29 2013-03-07 Nsk Ltd スラスト軸受
JP5820326B2 (ja) 2012-03-30 2015-11-2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転動疲労特性に優れた軸受用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5899704B (zh) * 2014-01-10 2017-12-22 新日铁住金株式会社 轴承部件
CN111763889A (zh) * 2020-06-02 2020-10-13 钢铁研究总院 一种高碳轴承钢及其制备方法
CN112111696A (zh) * 2020-09-29 2020-12-22 钢铁研究总院 高等向性和长接触疲劳寿命的高碳轴承钢及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7420B2 (ja) * 1989-07-21 1997-09-24 日本精工株式会社 転がり軸受
JP3725179B2 (ja) * 1991-07-18 2005-12-07 日本精工株式会社 転がり軸受の製造方法
JP3254317B2 (ja) * 1993-10-08 2002-02-04 日本精工株式会社 超清浄度軸受用鋼の製造方法および超清浄度軸受用鋼
JP3338761B2 (ja) * 1996-02-29 2002-10-28 川崎製鉄株式会社 軸受材料
JP3779078B2 (ja) * 1998-11-10 2006-05-2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転動疲労寿命に優れる軸受用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01026C (zh) 2005-05-11
US20030136474A1 (en) 2003-07-24
KR20080035021A (ko) 2008-04-22
WO2002059390A1 (fr) 2002-08-01
US6893609B2 (en) 2005-05-17
CN1460127A (zh) 2003-12-03
EP1354971A4 (en) 2006-01-04
CA2404363C (en) 2009-12-01
JP3889931B2 (ja) 2007-03-07
JP2002220638A (ja) 2002-08-09
CA2404363A1 (en) 2002-09-24
EP1354971A1 (en) 2003-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83529A (ko) 베어링 재료
KR20050122222A (ko) 전동피로수명에 우수한 강재 및 그 제조방법
JP2956324B2 (ja) 加工性および転動疲労性に優れた軸受用鋼
KR100508463B1 (ko) 구름피로수명이 우수한 베어링용 강
KR100350572B1 (ko) 베어링재료
JP4283643B2 (ja) 耐食性に優れた軸受鋼及び軸受部品
EP0745695B1 (en) Bearing part
JP2001026836A (ja) 冷間加工性、転動疲労強度およびねじり疲労強度に優れた高周波焼入用鋼ならびに機械構造用部品
WO2018212196A1 (ja) 鋼及び部品
KR100629217B1 (ko) 인성 및 준고온역에서의 구름접촉 피로수명이 우수한표면경화 베어링용 강
SK1442001A3 (en) Steel for making a ball bearing part
JP3308838B2 (ja) 軸受用鋼
CN111334708B (zh) 一种抗拉强度≥2250MPa且疲劳性能优异的高强度弹簧钢及其生产方法
JP3308836B2 (ja) 軸受用鋼
EP0336701B1 (en) A high carbon chromium bearing steel
JP3659373B2 (ja) 軸受用鋼
JPH0633190A (ja) 長寿命軸受用鋼
JPH08188849A (ja) 軸受用肌焼鋼
JP2003268496A (ja) 軸受用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326

Effective date: 20090113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