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9437A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9437A
KR20020079437A KR1020020018182A KR20020018182A KR20020079437A KR 20020079437 A KR20020079437 A KR 20020079437A KR 1020020018182 A KR1020020018182 A KR 1020020018182A KR 20020018182 A KR20020018182 A KR 20020018182A KR 20020079437 A KR20020079437 A KR 20020079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reflector
bulb
bulb socket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8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9391B1 (ko
Inventor
아이소요시아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20079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9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9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93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1/192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3/195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50Waterproof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구 소켓을 리플렉터 등에 장착했을 때의 램프의 외관상의 미관을 개선하고, 또한 전구 소켓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전구 소켓(4)에는 원통형을 한 소켓 본체(41)와, 소켓 본체(41)의 외주면에 전방 단면에서 후방 단부를 향해 경사진 결합 홈(42)을 구비한다. 리플렉터(2)에는 반사면(21)에서 후방을 향해서 돌출된 소켓 장착 통부(22)와, 소켓 장착 통부(22)의 내주면에 내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결합 홈(42)에 결합되는 결합 돌기(23)와 결합 홈(42)의 전방 단부를 폐색하는 폐색 돌기(24)를 구비한다. 결합 홈(42)과 결합 돌기(23) 및 폐색 돌기(24)와의 결합에 의해서 전구 소켓(4)은 리플렉터(2)에 지지된다. 폐색 돌기(24)에 의해 결합 홈(42)의 전방 단부가 막히기 때문에, 결합 홈(42)이 절결된 전방 단부가 리플렉터(2)의 전면측으로 노출되는 일이 없어 미관이 향상된다. 소켓 본체에는 플랜지나 바요네트 조각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전구 소켓의 직경 치수가 증대되지 않고 소형화가 실현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VEHICLE LAMP}
본 발명은 램프 본체나 리플렉터 등(이하, 이들을 총칭하여 "리플렉터"라 함)에 전구 소켓을 이용하여 전구를 지지하는 구조의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구 소켓 장착 부분의 미관을 개선한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용 램프에서는 리플렉터에 장착하는 전구를 교환할 수 있도록 리플렉터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전구 소켓에 의해 전구를 부착하고 있지만, 전구 소켓을 리플렉터에 착탈 가능하게 하는 구조로서 종래부터 바요네트(Bayonett)구조가 이용되고 있다. 도 7은 종래의 바요네트 구조의 일례의 사시도이다. 전구 소켓(7)은 컨택트 전극(75)이 내장되어 전구(5)의 베이스부(51)를 지지하기 위한 전구 지지용 개구(72)가 개구된 소켓 본체(71)를 갖고 있고, 그 소켓 본체(71) 둘레면의 복수 부위에는 외경 방향으로 바요네트 조각(73)이 돌출되어 있다. 또, 상기 바요네트 조각(73)과 통축 방향으로 미소 치수, 즉 후술하는 리플렉터(2)의 판 두께의 치수 만큼 떨어진 위치에 축 방향의 스프링 성질이 부여된 대직경의 플랜지(7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전구 소켓(7)이 장착되는 리플렉터(8)에는 상기 전구 소켓(7)의 소켓 본체(71)가 삽입 관통 가능한 원형의 전구 장착 구멍(81)이 개구되는 동시에, 그 원주 복수 부위에는 상기 바요네트 조각(73)이 삽입 관통 가능한 절취 홈(8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전구 소켓(7)을 리플렉터(8)에 장착할 때에는 도 8a에 단면도를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플렉터(8)의 배면측에서 소켓 장착 구멍(81)에 전구 소켓(7)의 소켓 본체(71)를 삽입하고, 또한 바요네트 조각(73)을 절취 홈(82)에 삽입 관통하여, 플랜지(74)를 리플렉터(8)의 배면에 접촉시킨다. 그런 다음 전구 소켓(7)을 통축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동함으로써, 바요네트 조각(73)과 플랜지(74) 사이에 리플렉터(8)의 소켓 장착 구멍(81)의 개구 가장자리부가 진입되어 상기 개구 가장자리부가 협지 상태로 되고, 이 협지력에 의해 전구 소켓(7)이 리플렉터(8)에 장착된다.
이러한 종래의 전구 소켓의 장착 구조에서는 전구 소켓(7)의 소켓 본체(71)의 둘레면에 여러 개의 바요네트 조각(73)이 돌출되어 있어, 전구 소켓(7)을 리플렉터(8)에 부착했을 때에는 도 8b에 전면 방향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플렉터(8)의 전면측의 반사면에 있어서 복수의 바요네트 조각(73)이 소켓 본체(71)의 주위로 노출되어 보이는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전구 소켓(7) 주위의 리플렉터(8)의 반사면(8a)이 이들 바요네트 조각(73)에 의해서 숨겨지게 되고, 또 절취 홈(82) 부분에는 반사면(8a)이 존재하지 않고, 또한 소켓 본체(71)가 움푹 패인 부분(71a)이 소켓 본체(71)의 전방 단면 보다 후퇴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램프를 전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이들 부분에서의 빛 반사는 적고, 이들 부분이 암흑부(점 표시부)로서 보여, 램프의 미관이 떨어지는 요인이 된다. 또, 전구 소켓(7)을 장착하는 소켓 장착 구멍(81)의 영역은 리플렉터(8)의 반사면(8a)이 반사면으로서 기능하지 않기 때문에, 그 만큼 리플렉터(8)의 반사 효율이 낮게 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또한, 소켓 본체(71)에 이것 보다 대직경의 바요네트 조각(73) 및 플랜지(74)를 형성할 필요가 생기기 때문에, 전구 소켓(7) 전체의 직경 치수가 커져 소형화가 곤란하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도 9a에 단면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플렉터(8)의 배면 일부를 원통 용기형으로 오목하게 하여 만든 소켓 장착 통부(83)를 형성하여, 이 소켓 장착 통부(83)의 배면에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은 식의 소켓 장착 구멍(81) 및 절취 홈(82)을 설치하여 상기한 전구 소켓(7)을 장착하는 구조도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 구조에서는 소켓 장착 통부(83)의 내경 치수를 바요네트 조각(73)의 외경 치수 보다 크게 형성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램프를 전면측에서 보았을 때에는 도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구 소켓(7)의 주위에 소켓 장착 통부(83)와 소켓 본체(71) 사이의 간극에 의한 암흑부(점 표시부)가 생겨, 램프의 미관이 떨어지는 요인이 된다. 또, 이 구성에서도, 전구 소켓(7)을 장착하는 소켓 장착 통부(83)의 영역은 리플렉터(8)의 반사면(8a)이 반사면으로서 역할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 만큼 리플렉터(8)의 반사 효율이 낮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구 소켓을 리플렉터 등에 부착했을 때의 암흑부의 발생을 억제하여 램프의 외관상의 미관 저하를 방지한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구 소켓의 소형화, 특히 소직경화를 실현한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램프의 평면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램프의 주요부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램프를 배면 방향에서 본 일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전구 소켓의 전면도, 측면도, 배면도이다.
도 5는 전구 소켓의 장착 동작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전구 소켓 장착 상태의 모식 사시도와 리플렉터의 전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전구 소켓 장착 구조의 일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전구 소켓 장착 구조의 단면도와 부착한 상태의 리플렉터의 전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다른 예의 전구 소켓 장착 구조의 단면도와 부착한 상태의 리플렉터의 전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량용 램프
2 : 리플렉터
3 : 렌즈
4 : 전구 소켓
5 : 전구
21 : 반사면
22 : 소켓 장착 통부
23 : 결합 돌기
24 : 폐색 돌기
41 : 소켓 본체
42 : 결합 홈
421 : 전방 단부
422 : 후방 단부
423 : 로크용 돌기
44 : 시일 링
본 발명은 반사면을 갖는 리플렉터에 전구 소켓을 이용하여 전구를 지지하는 구성의 차량용 램프로서, 상기 전구 소켓은 원통형을 한 소켓 본체와, 상기 소켓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소켓 본체의 전방 단면(端面)에서 후방 단부(端部)를 향해 경사진 결합 홈을 구비하고, 상기 리플렉터는 후방을 향해 돌출된 상기 소켓 본체의 외경과 거의 동일한 내경 치수의 소켓 장착 통부와, 상기 소켓 장착 통부의 후방부 근처의 내주면에 내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 홈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 돌기와, 상기 소켓 장착 통부의 전방 단부의 내주면에 내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 홈의 전방 단부를 폐색할 수 있는 폐색 돌기를 구비한다. 여기서, 전구 소켓을 리플렉터에 장착했을 때에 소켓 본체의 전방 단면이 폐색 돌기의 전방 단면과 거의 동일한 평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소켓 본체의 외주면에는 소켓 장착 통부의 내면에 탄성 접촉하여 방수를 하는 시일 링이 끼워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구 소켓을 소켓 장착 통부 내에 삽입하여 장착한 상태에서는 결합 홈과 결합 돌기 및 폐색 돌기와의 결합에 의해서 전구 소켓은 리플렉터에 지지된다. 동시에, 폐색 돌기에 의해 결합 홈의 전방 단부가 폐색되기 때문에, 소켓 본체에 절결된 결합 홈의 전방 단부가 리플렉터의 전면측으로 노출되어 어둡게 보이는 일이 없어 미관이 향상된다. 또한, 소켓 본체에는 플랜지나 바요네트 조각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전구 소켓의 직경 치수가 증대되지 않아 소형화가 실현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차량용 램프(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 방향의 단면도이며, 상기 차량용 램프(1)는 내면이 알루미늄막 등의 반사막에 의해 반사면(21)으로서 구성되어, 거의 중심부에 전구(벌브)(5)를 지지하는 전구 소켓(4)을 장착할 수 있는 수지 성형된 리플렉터(2)와, 상기 리플렉터(2)의 전면 개구(2a)에 장착된 렌즈(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렌즈(3)는 주연부에 시일 다리부(31)를 갖고 있고, 상기 리플렉터(2)의 주연부에 설치된 시일 홈(25)내에 상기 시일 다리부(31)가 삽입되어, 시일제(30)에 의해 고정되고 있다.
도 2는 상기 리플렉터(2), 전구 소켓(4), 및 전구(5)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배면측에서 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구(5)는 편평(偏平)에 가까운 형상을 한 베이스부(51)에 내장 필라멘트에 전기 접속되는 전극(52)이 설치된, 소위 웨지 베이스 벌브가 이용되고 있다. 상기 리플렉터(2)는 후면을 향해서 돌출된 원통형의 소켓 장착 통부(2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구 소켓(4)은 상기 소켓 장착 통부(22)의 내경 치수와 거의 같은 외경 치수이며, 또한 소켓 장착 통부(22)의 통축 치수와 거의 같은 길이의 원통형을 한 소켓 본체(41)를 갖고 있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상기 전구 소켓의 전면도, 측면도 및 배면도이며, 상기 소켓 본체(41)의 전방 단면(401)에는 상기 전구(5)의 베이스부(51)를 삽입 지지하기 위한 가늘고 긴 전구 지지용의 개구(402)가 설치되고, 상기 전구(5) 베이스부(51)가 내측 삽입되어 지지된다. 또, 상기 전구 지지용 개구(402)의 내부에는 1쌍의 컨택트 전극(403)이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전구 지지용 개구(402)에 내측 삽입되는 상기 전구(5)의 전극(52)에 상기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컨택트 전극(403)의 사이에는 전구(5) 베이스부(51)에 설치된 볼록부(53)에 결합하여 전구(5)를 유지하기 위한 1쌍의 결합 부재(404)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소켓 본체(41)의 후방 단면(411)에는 소켓 본체(41)를 통축 둘레 방향으로 조작할 때에 이용하는 1쌍의 조작 부재(412)가 직경 방향을 따라 세워져 설치되는 동시에, 이 조작 부재(412) 사이에는 상기 컨택트 전극(403)에 접속되는 코드(414)를 인출하기 위한 1쌍의 코드 통부(41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소켓 본체(41)의 직경 방향에 대향하는 원주 방향 2곳의 외주면에는 소켓 본체(41)의 전방 단면(401)에 있어서 그 원주 일부를 절결한 상태로 개구되어, 소켓 본체(41)의 통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연장되어 소켓 본체(41)의 후방 단면(411) 근방 위치에서 종단된 나선형의 결합 홈(4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 홈(42)이 개구된 전방 단부(421)는 홈 폭이 약간 커지도록 일측면이 수직면(421a)이고 타측면이 테이퍼면(421b)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합 홈(42)의 종단측의 후방 단부(422)는 원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되고, 또 상기 후방 단부(422)의 근방에는 홈 내면을 내측으로 돌출시켜 상기 부위의 홈 폭 치수를 작게 한 로크용 돌기(4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소켓 본체(41)의 후방 단면(411)과 상기 결합 홈(42)의 후방 단부(422)와의 통축 방향 사이의 외주면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 원형 홈(43)이 형성되고, 이 원형 홈(43) 내에는 방수용의 시일 링(44)이 끼워 부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소켓 장착 통부(22)의 후단측(後端側) 내주면의 원주 2곳, 여기서는 직경 방향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상기 소켓 본체(41)의 결합 홈(42) 내로 진입 가능한 직경 및 길이 치수의 원주형을 한 1쌍의 결합 돌기(23)가 내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소켓 장착 통부(22)의 전단측의 내주면의 원주 2곳의 직경 방향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상기 결합 홈(42)의 전방 단부(421)에 진입 가능한 치수의 폐색 돌기(24)가 내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폐색 돌기(24)는 그 전방 단면(24c)에서 후방을 향해 폭 치수가 서서히 작아지도록 일측면이 수직면(24a)이고 타측면이 테이퍼면(24b)으로서 형성된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 돌기(23)와 폐색 돌기(24)의 위치 관계는 상기 소켓 본체(41)에 설치한 결합 홈(42)의 후방 단부(422)와 전방 단부(421)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관계로 설정되고 있다. 또, 상기 폐색 돌기(24)의 전방 단면(24c)은 상기 리플렉터(2)의 반사면(21)과 거의 동일한 평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반사면(21)의 일부로서 구성되어, 빛을 반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의 차량용 램프에서는 리플렉터(2)에 대하여 전구 소켓(4)을 장착할 때는 맨처음에 전구 소켓(4)의 전구 지지용 개구(402)에 전구(5) 베이스부(51)를 삽입하여 전구(5)를 지지하게 한다. 이 지지 구조는 지금까지의 전구 소켓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 다음, 우선 도 5a와 같이, 전구 소켓(4)을 리플렉터(2)의 배면측에서 소켓 장착 통부(22) 내로 삽입한다. 이때, 소켓 본체(41)의 각 결합 홈(42)의 전방 단부(421)를 소켓 장착 통부(22) 내의 1쌍의 결합 돌기(23)에 위치맞춤시켜, 전구 소켓(4)을 약간 소켓 장착 통부(22) 내로 밀어 넣어, 양 결합 돌기(23)를 결합 홈(42)의 전방 단부(421) 내로 진입시킨다. 그리고, 조작 부재(412)를 이용하여 소켓 본체(41)를 동 도면의 시계 방향으로 축회전시키면, 도 5b와 같이, 결합 홈(42)과 결합 돌기(23)와의 미끄럼 접촉에 의해 소켓 본체(41)는 나사식으로 나아가면서, 즉 축 둘레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소켓 장착 통부(22) 내로 진입되어 간다. 그리고, 도 5c와 같이, 결합 홈(42)의 후방 단부(422)의 바로 앞까지 결합 돌기(23)가 진입된 후, 더욱 소켓 본체(41)를 나사식으로 나아가게 하면, 도 5d와 같이, 결합 돌기(23)가 로크용 돌기(423)를 타고 넘어 후방 단부(422)에 도달하여, 결합 돌기(23)는 로크용 돌기(423)에 의해서 후방 단부(422) 내에 협지된 상태가 유지되는 로크 상태가 되어, 소켓 본체(41)가 소켓 장착 통부(22)로부터 용이하게는 이탈 분리되지 않는 상태로 되어 전구 소켓(4)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전구 소켓(4)의 장착이 완료되는 동시에, 도 5d에 나타내고, 또 도 6a에 모식 사시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 홈(42)의 전방 단부(421) 내에는 폐색 돌기(24)가 진입되어, 폐색 돌기(24)와 전방 단부(421)의 각 수직면(24a, 421a)과 테이퍼면(24b, 421b)이 서로 접촉함으로써 결합 홈(42)의 전방 단부(421)가 막힌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전구 소켓(4)은 1쌍의 결합 홈(42)의 전방 단부(421)에 있어서 폐색 돌기(24)에 의해 지지되고, 또 후방 단부(422)에 있어서 결합 돌기(23)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합계 4곳에서 지지되어 소켓 장착 통부(22) 내에 안정적으로 장착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바요네트 구조와 같이 소켓 본체에 직경 치수의 큰 플랜지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소켓 본체의 외경 치수를 감소시켜 전구 소켓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동시에, 결합 홈(42)의 전방 단부(421)가 폐색 돌기(24)에 의해서 막힘으로써,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플렉터(2)를 전면측에서 보았을 때에, 소켓 본체(41)의 전방 단면(401)에 절결되어 있는 결합 홈(42)의 전방 단부(421)는 폐색 돌기(24)에 의해서 덮여 숨겨지게 되어, 이 결합 홈(42)의 전방 단부(421)가 리플렉터(2)의 전면측, 즉 반사면(21)의 일부 영역 내에 나타나 그 부분이 어둡게 보이는 일이 없어, 리플렉터(2) 내지 램프의 미관이 향상된다. 특히, 이 실시예에서는 폐색 돌기(24)의 전방 단면(24c)은 소켓 본체(41)의 전방 단면(401)과 거의 동일한 평면에 위치되고, 더구나 상기 전방 단면(24c)은 리플렉터(2)의 반사면(21)과 동일 반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미관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즉, 도 6b에 있어서 점 형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 장착 통부(22)의 내주면과 소켓본체(41)의 외주면 사이의 매우 작은 간극의 영역이 어둡게 보이는 데에 지나지 않고, 다른 영역은 반사면과 같은 정도로 밝게 보이게 된다.
한편, 소켓 장착 통부(22)의 내주면과, 그 내부에 삽입된 소켓 본체(41)의 외주면 사이의 간극은 소켓 본체(41)의 외주면의 원형 홈(43) 내에 끼워 부착된 시일 링(44)에 의해서 밀봉되어, 상기 간극의 방수 효과가 도모된다. 또, 상기 소켓 장착 통부(22)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결합 돌기(23) 및 폐색 돌기(24)가 원주 방향으로 다른 위치가 되도록 설계함으로써, 리플렉터(2)의 금형에 의한 성형시에 슬라이더를 이용할 필요가 없고, 또한, 전구 소켓(4)에 있어서도 결합 홈(42)을 소켓 본체의 직경 방향으로 금형에 의해 뽑을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전구 지지용 개구(402)를 성형하기 위한 슬라이더를 이용하는 것 외에는 본 구조를 채용함에 의한 새로운 슬라이더를 이용할 필요는 없어, 리플렉터(2) 및 전구 소켓(4)의 성형을 쉽게 하고, 또한 낮은 비용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구 소켓에 2개의 결합 홈을 설치한 예를 설명했지만, 전구 소켓의 직경 치수에 따라서 3개 혹은 그 이상의 결합 홈을 설치하더라도 좋다. 또, 소켓 장착 통부에 설치한 결합 돌기와 폐색 돌기의 형상은 상기 실시예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적절히 변경하더라도 좋다. 또한, 소켓 본체의 후방 단부에 플랜지를 설치하여, 이 플랜지에 시일 링을 유지하여 소켓 장착 통부의 후방 단부와의 사이에서 방수를 도모하도록 하더라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리플렉터에 렌즈를 장착한 구성의 차량용 램프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도시했지만, 램프 본체와 렌즈로 램프실을 구성하여, 상기등실 내에 리플렉터를 내장하는 구성의 차량용 램프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구 소켓에는 원통형을 한 소켓 본체와, 소켓 본체의 외주면에 전방 단면에서 후방 단부를 향해 경사진 결합 홈을 구비하고, 리플렉터에는 반사면에서 후방을 향해 돌출된 소켓 본체의 외경과 거의 동일한 내경 치수의 소켓 장착 통부와, 소켓 장착 통부의 내주면에 내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결합 홈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 돌기와 결합 홈의 전방 단부를 폐색할 수 있는 폐색 돌기를 구비하기 때문에, 전구 소켓을 소켓 장착 통부 내에 삽입하여 장착한 상태에서는 결합 홈과 결합 돌기 및 폐색 돌기와의 결합에 의해서 전구 소켓은 리플렉터에 지지되는 동시에, 폐색 돌기에 의해 결합 홈의 전방 단부가 폐색되기 때문에, 결합 홈의 개구된 전방 단부가 리플렉터의 전방면측으로 노출되는 일이 없어, 램프를 전방면측에서 보았을 때의 미관이 향상되고, 또한, 소켓 본체에는 플랜지나 바요네트 조각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전구 소켓의 직경 치수가 늘어나지 않아 소형화가 실현된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반사면을 갖는 리플렉터에 전구 소켓을 이용하여 전구를 지지하는 구성의 차량용 램프로서, 상기 전구 소켓은 원통형을 한 소켓 본체와, 상기 소켓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소켓 본체의 전방 단면에서 후방 단부를 향해서 경사진 결합 홈을 구비하고, 상기 리플렉터는 후방을 향해 돌출된 상기 소켓 본체의 외경과 거의 동일한 내경 치수의 소켓 장착 통부와, 상기 소켓 장착 통부의 후방부 근처의 내주면에 내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 홈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 돌기와, 상기 소켓 장착 통부의 전방 단부의 내주면에 내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 홈의 전방 단부를 폐색할 수 있는 폐색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구 소켓을 상기 리플렉터에 장착했을 때에, 상기 소켓 본체의 전방 단면이 상기 폐색 돌기의 전방 단면과 거의 동일한 평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소켓 장착 통부의 내면에 탄성 접촉하여 방수를 하는 시일 링이 끼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KR10-2002-0018182A 2001-04-06 2002-04-03 차량용 램프 KR1004493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08238A JP3889238B2 (ja) 2001-04-06 2001-04-06 車両用灯具
JPJP-P-2001-00108238 2001-04-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437A true KR20020079437A (ko) 2002-10-19
KR100449391B1 KR100449391B1 (ko) 2004-09-22

Family

ID=18960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8182A KR100449391B1 (ko) 2001-04-06 2002-04-03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889238B2 (ko)
KR (1) KR100449391B1 (ko)
CN (1) CN123730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20623B2 (ja) * 2008-01-18 2013-01-16 住友電装株式会社 バルブソケットの取付構造
CN102691954B (zh) * 2011-03-25 2014-06-11 光阳工业股份有限公司 车辆用易组立防水灯具结构
CN106594682B (zh) * 2016-11-03 2020-03-06 武汉通畅汽车电子照明有限公司 一种车灯灯泡的快速安装结构
CN106555973A (zh) * 2017-01-18 2017-04-05 蔡小若 一种t20转向刹车灯
DE102018132786A1 (de) * 2018-12-19 2020-06-25 HELLA GmbH & Co. KGaA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computergenerierten Hologramms, Hologramm sowie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CN109630983B (zh) * 2018-12-24 2020-06-12 广州市莱帝亚照明股份有限公司 一种防水灯具及其装配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2661A (ja) * 1994-05-09 1995-11-14 Yazaki Corp ランプソケットへのランプ誤挿入防止構造
JPH088012A (ja) * 1994-06-23 1996-01-12 Yazaki Corp ランプソケット
JP2000149617A (ja) * 1998-11-10 2000-05-30 Toyota Motor Corp 車両用ランプ
JP2000268608A (ja) * 1999-03-12 2000-09-29 Yazaki Corp リアコンビネーションラ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37306C (zh) 2006-01-18
JP2002304906A (ja) 2002-10-18
JP3889238B2 (ja) 2007-03-07
KR100449391B1 (ko) 2004-09-22
CN1380512A (zh) 2002-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8993B1 (en) Lighting device
KR100293377B1 (ko) 차량용등기구
JPH11329011A (ja)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KR100449391B1 (ko) 차량용 램프
CN211853879U (zh) 车辆用灯具
KR100416425B1 (ko) 차량용 등기구
KR100438263B1 (ko) 차량용 등기구
JP4261808B2 (ja) 照明器具
KR101058334B1 (ko) 차량용 램프의 전구 고정구조
EP0552111A1 (fr) Boîtier à bague de fixation flexible
AU662803B2 (en) A flashlight including two reflecting mirrors for one light source
JPH0855502A (ja) 車両用灯具
WO2005021322B1 (en) Exterior projector lens lamp
CN218453348U (zh) 一种超车灯及其车辆
US6585401B2 (en) Light source bulb of lighting device for vehicle
CN216521423U (zh) 一种带倒车灯的后雾灯
JP2558982Y2 (ja) 車両用灯具
JP4606206B2 (ja) ランプユニット
KR0126576Y1 (ko) 자동차용 램프
JP2793762B2 (ja) 車両用灯具
JP3752715B2 (ja) 照明器具
JPH10321007A (ja) 車両用灯具
JPH04272601A (ja) 自動車用コンビネーションヘッドランプ
JP2542840Y2 (ja) 車両用灯具
CN101585339B (zh) 车用投影灯以及车前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