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4446A - 테트라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및 헥사메틸렌테레프탈아미드에 기초한 코폴리아미드 - Google Patents

테트라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및 헥사메틸렌테레프탈아미드에 기초한 코폴리아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4446A
KR20020074446A KR1020027004103A KR20027004103A KR20020074446A KR 20020074446 A KR20020074446 A KR 20020074446A KR 1020027004103 A KR1020027004103 A KR 1020027004103A KR 20027004103 A KR20027004103 A KR 20027004103A KR 20020074446 A KR20020074446 A KR 20020074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olyamide
terephthalamide
diamine
units
tetram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4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3995B1 (ko
Inventor
룰켄스루디
크롬바흐로베르트콘라드바르바라
Original Assignee
디에스엠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엠 엔.브이 filed Critical 디에스엠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20074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4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3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39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26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26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265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from at least two different diamines or at least two different di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26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28Preparatory proces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amide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테트라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단위 및 또한 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단위를 포함하는 반-방향족 폴리아미드에 관한 것이다. 코폴리아미드는 대략 290℃보다 더 높은 녹는점, 높은 결정성 및 좋은 안정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아미드는 대략 30-75몰% 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단위 및 또한 대략 0.01-20몰% 다른 단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연속적으로 1차 중합화가 용융상에서 영향을 받고, 고체상에서 이렇게 생성된 저분자 중합체의 후-중합화가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테트라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단위 및 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단위를 포함하는 반-방향족 코폴리아미드의 제조방법 및 상기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제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테트라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및 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에 기초한 코폴리아미드{COPOLYAMIDE BASED ON TETRAMETHYLENE TEREPHTHALAMIDE AND HEXAMETHYLENE TEREPHTHALAMIDE}
본 발명은 테트라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단위를 포함하는 반-방향족 폴리아미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테트라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제조방법 및 상기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 '반-방향족 폴리아미드'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방향족 디아민 또는 방향족 아미노카르복실산에서 유도된 방향족 또는 반-방향족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호모- 또는 공중합체로 이해되고, 상기 단위의 함량은 적어도 50몰%이다.
폴리테트라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또는 폴리아미드 4T, 또는 나일론 4T로 언급, 이후 약자로 PA 4T)는 예를 들면 R.J. Gaymans et al., J.Polym.Sci., Polym.Chem.Ed.,22, 1373(1984)에 공지되어있다. PA 4T는 약 430℃보다 높은 녹는점의 반-방향족, 반-결정형 폴리아미드이다.
반-결정형 (코)폴리아미드는 잠시 고온에 노출되는 성형 부품에 특히 사용되고 그후 상기 부품은 높은 치수 안정성 및 기계적 특성의 높은 보존성을 보인다. 예를 들면 자동차 및 전자 산업에서 절박한 요구가 증가하기 때문에, 고온, 특히 대략 290℃이상 및 더 바람직하게는 300℃이상에서의 내열성을 갖는 물질에 대한 고정된 필요가 있다. 상기 출원에 적당한 중합체는 대략 290℃보다 훨씬 높은 녹는점 및 또한 용융 안정성 및 결정화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높은 결정성 및 좋은 기계적 특성의 성형 부품을 형성하는 공지된 방법을 통해 용융 처리가 가능하다.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 '높은 결정성'은 50J/g의 최소 용융 엔탈피 값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20℃/min의 가열 속도에서 시차주사열량법(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DSC)로 얻은 2차 가열 곡선에서 유도). 높은 결정성은 예를 들면, 용융을 성형 부품으로 빠른 처리에 대해 및 특히 녹는점보다 약간 낮은 온도까지에서 강성도 및 치수 안정성과 같은 특성에 대해 우위를 보인다.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4T의 불리한 점은 특성의 상기 언급된 조합을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폴리아미드 4T는 분해 온도보다 더 높은 녹는점을 갖고, 그래서 PA 4T는 용융-처리가능한 중합체가 아니고, 그러므로 예를 들면 주입-성형 처리를 통해 성형 부품의 제조에 적당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언급된 불리한 점을 보이지 않고, 또는 적은 범위에 보이는 PA 4T에 기초한 용융-처리가능한 반-방향족 폴리아미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테트라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테트라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단위에 추가로 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단위를 또한 포함하는 반-방향족 코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다.
반-결정형, 반-방향족 폴리아미드의 녹는점은 폴리아미드를 공중합체로 변화하여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이 그 자체로 공지되어있다; 예를 들면 Polyamide의 6장, Kunststoff Handbuch 3/4, Becker/Braun (Eds), Hanser Verlag(Munchen), 1998, ISBN 3-446-16486-3을 참조. 상기 책은 더 낮은 녹는점의 다른 중합체의 단량체 단위가 흔히 반-결정형 중합체의 녹는점을 낮추는데 선택되고, 동형 단량체 단위가 공단량체로 사용되지 않으면, 녹는점의 감소가 일반적으로 특히 더 높은 공단량체 함량(30-70몰%로)에서 실제로 또는 완전히 결정성의 감소로 인해 수반된다는 것을 보인다.
매우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아미드는 상대적으로 높은 비-동형 공단량체 함량에도 불구하고 높은 결정성을 보이는 것이 발견되었다. 또한 놀라운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아미드는 용융-처리가능한데 반해, PA 4T 및 PA 6T의 녹는점이 각각 대략 430℃ 및 대략 370℃보다 높고, 분해 온도 이상이기 때문에 PA 4T 및 PA 6T는 용융-처리가능하지 않다는 것이다. 또 다른 이점은 코폴리아미드의 높은 열 안정성이다. 또 다른 이점은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아미드의 낮은 수분 흡수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의 단량체는 또한 낮은 비용으로 산업적 규모에 상업적으로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아미드는 바람직하게 대략 30-75몰% 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단위를 포함한다. 상기의 이점은 고온에서 기계적 특성의 너무 많은 감소 없이 잘 용융-처리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언급된 값보다 더 낮거나 또는 더 높은 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농도의 코폴리아미드의 경우에 녹는점은 각각PA 4T 또는 PA 6T의 녹는점에 매우 가까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아미드는 선택적으로 또한 테레프탈 디카르복실산외에 적어도 하나의 디카르복실산 및/또는 테트라메틸렌 디아민 또는 헥사메틸렌 디아민외에 적어도 하나의 디아민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카르복실산 또는 시클릭 아미드에서 유도된 단위를 포함한다. 또한 더 높은 기능성의 단량체가 선택적으로 또한 첨가된다. 바람직하게 코폴리아미드는 상기 언급된 단위의 대략 0.01-20몰%를 포함한다. 상기 첨가된 단위를 사용하는데 이점은 녹는점이 매우 낮아질 수 있어서 한편으로는 용융 처리력과 결정성의 보존 사이 및 다른 한편으로는 기계적 특성들 사이에 최적의 타협을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이점은 더 마일드한 조건이 코폴리아미드의 제조에 선택될 수 있음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더 높은 기능성의 산 또는 아민과 같은 단량체를 사용하는 추가의 이점은 더 높은 점성의 중합체가 더 쉽게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 교차결합을 막기 위해 상기 단량체의 함량은 0.01-3몰%가 바람직하다. 첨가된 단위의 성질 및 양은 시험에 기초하여 당분야 기술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다.
적당한 디카르복실산은 예를 들면 6 내지 18 탄소 원자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이다. 바람직하게 디카르복실산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예를 들면, 이소프탈산 또는 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이다. 상기의 이점은 코폴리아미드의 좋은 열 안정성이다. 더 바람직하게 이소프탈산은 디카르복실산으로 선택된다. 상기의 추가 이점은 녹는점을 공평하게 실제 낮추는데 반해 기계적 특성은 남는다.
적당한 디아민은 예를 들면 2 내지 18 탄소 원자의 선형 또는 가지형 지방족 아민이다. 바람직하게 7 내지 12 탄소 원자의 선형 지방족 디아민 또는 6 내지 10 탄소 원자의 가지형 지방족 디아민이 선택된다. 더 바람직하게 1,9-노난 디아민, 1,12-도데칸 디아민, 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아민 또는 2-메틸펜타메틸렌 디아민이 선택된다. 상기 선택의 이점은 공단량체의 상대적으로 적은 양에서 녹는점을 공평하게 실제 낮추는 것이 일어나고, 반면 다른 특성은 더 좋게 남는다는 것이다. 또 다른 적당한 디아민은 예를 들면 1,3-크실릴렌 디아민이다.
적당한 아미노카르복실산 또는 시클릭 아미드는 예를 들면 4 내지 18 탄소 원자의 지방족 아미노카르복실산 또는 시클릭 아미드이다. 바람직하게 1,11-아미노운데카노산, 라우롤락탐 또는 에프실론-카프롤락톰이 선택된다. 더 바람직하게 에프실론-카프롤락탐이 선택된다.
더 높은 기능성의 적당한 단량체는 예를 들면 비스헥사메틸렌 트리아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아미드는 폴리아미드 및 그것의 공중합체의 제조에 그 자체로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적당한 방법은 예를 들면 Polyamide, Kunststoff Handbuch 3/4, Hanser Verlag(Munchen), 1998, ISBN 3-446-16486-3에 기술된다. 바람직하게 용융상 방법은 (유기) 용매가 회복 및 정제될 필요 없이 사용된다. 그러나 용융상에서 반응의 불리한 점은 고온에 코폴리아미드의 장기간 노출이다. 그러므로, 혼합 수 및 과량의 테트라메틸렌 디아민이 첨가되고,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것의 에스테르 또는 폴리에스테르 및 디아민의 혼합물이 (예를 들면 1.03-1.80의 상대 점성의)저 몰질량 코폴리아미드를 형성하기 위해 액체상을 통해 축중합되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방법은 예를 들면 US-5550208-A, EP-0393548-A 및 EP-0039524-A에 공지되어있다. 상기는 불활성 기체하에서 고체상으로 후-축합되고, 요구된 몰질량 및 점성의 코폴리아미드가 얻어질 때까지 선택적으로 증기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의 이점은 코폴리아미드가 고온에서 짧은 시간만 용융상이어서 요구되지 않는 부작용이 최소화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아미드 및 선택적으로 흔한 첨가제, 예를 들면 열- 및 UV-안정화제 등, 착색제, 처리제, 예를 들면 몰드(mould) 이형제 및 윤활제, 내충격 향상제, 강화 충전재 및 난연제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또한 폴리아미드외에 중합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아미드 또는 플라스틱 조성물은 예를 들면 주입-성형, 압출, 블로우 몰딩 및 압착 몰딩의 방법으로 용융에서 제품을 형성하는데 매우 적당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아미드 또는 플라스틱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은 제품은 예를 들면 자동차 부품, 전기 및 전자 부품, 필름 및 섬유이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참고로 추가로 설명될 것이고, 그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더 높은 상대 점성(예를 들면 2보다 더 높은)은 다른 조건 또는 다른 방법을 선택함으로 얻어질 수 있다.
실시예 1: PA 4T/6T (50:50)의 제조
112.8g의 테트라메틸렌 디아민 (DSM N.V.), 145.3g의 헥사메틸렌 디아민(Aldrich), 450g의 물 및 411.2g의 테레프탈산(Aldrich)의 혼합물을 2.5 리터 오토클레이브에서 가열 교반하여 물을 증류 제거하였다. 30분 후 온도가 160℃ 내지 230℃로 오르는 동안, 87wt% 수성 염 용액을 얻었다. 그후 오토클레이브를 닫았다. 오토클레이브의 내용물을 태우고 고체 생성물을 질소하에서 추가로 냉각시킨 후, 압력을 2MPa로 올리는 동안, 230℃의 온도에서 20분 동안 중합화가 영향을 받았다.
이렇게 생성된 예비중합체를 고체상에서, 우선 몇 시간 동안 질소 스트림하에서 150℃까지 점차 가열하고 그후 질소/물 증기(10/1 무게비)의 스트림하에서 24시간 동안 250℃에서 충분히 후-축합시켰다. 그후 중합체를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25℃ 96% H2SO4의 100㎖에서 중합체 1그램의 용액에서 결정된 것처럼, 생성된 중합체의 상대 점성은 1.35였다.
실시예 2: PA 4T/6T (40:60)의 제조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108.6g의 테트라메틸렌 디아민 (DSM N.V.), 209.2g의 헥사메틸렌 디아민(Aldrich), 553g의 물 및 498.4g의 테레프탈산(Aldrich)의 혼합물을 2.5 리터 오토클레이브에서 가열 교반하여 88wt.% 수성 염 용액을 30분 후에 얻었다. 상기 방법에서 온도가 160℃ 내지 230℃로 증가했다. 압력을 2MPa로 올리는 동안, 230℃의 온도에서 20분 동안 중합화가 영향을 받았다.
예비중합체를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고체상에서 충분히 후-축합하였다.
생성된 중합체의 상대 점성은 1.35이었다.
코폴리아미드를13C-NMR 분광기로 임의의 공중합체임을 발견하였다.
실시예 3: PA 4T/6T (30:70)의 제조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67.7g의 테트라메틸렌 디아민 (DSM N.V.), 203.4g의 헥사메틸렌 디아민(Aldrich), 459g의 물 및 411.2g의 테레프탈산(Aldrich)의 혼합물을 2.5 리터 오토클레이브에서 가열 교반하여 85wt.% 수성 염 용액을 30분 후에 얻었다. 상기 방법에서 온도가 160℃ 내지 230℃로 증가했다. 그후 압력을 2MPa로 올리는 동안, 240℃의 온도에서 15분 동안 중합화가 영향을 받았다.
예비중합체를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고체상에서 충분히 후-축합하였다.
생성된 중합체의 상대 점성은 1.54이었다.
실시예 4: PA 4T/6T (40:60)의 제조
실시예 1에서와 비슷한 방법으로 116.4g의 테트라메틸렌 디아민 (DSM N.V.), 209.2g의 헥사메틸렌 디아민(Aldrich), 482g의 물, 239.2g의 테레프탈산(Aldrich) 및 299.8g의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Aldrich)의 혼합물을 2.5 리터 오토클레이브에서 교반하여 물 및 메탄올을 증류 제거하였다. 30분 가열한 후, 88wt.% 수성 염 용액을 얻었다. 상기 방법에서 온도가 160℃ 내지 230℃로 증가했다. 압력을2MPa로 올리는 동안, 240℃의 온도에서 15분 동안 중합화가 영향을 받았다.
예비중합체를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고체상에서 충분히 후-축합하였다.
생성된 중합체의 상대 점성은 1.58이었다.
코폴리아미드의 열 특성화
Mettler Toledo Star System(DSC)를 사용하여 녹는 온도 Tm(피크 값), 녹는 엔탈피 ΔHm, 결정화 온도 Tc(피크 값) 및 결정화 엔탈피 ΔHc를 결정하였다. N2대기에서 20℃/min의 가열 및 냉각 속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폴리아미드 샘플을 연속적으로 380℃까지 가열하였고, 380℃에서 1분 후 80℃로 냉각하였고 다시 380℃로 충분히 가열하였다. 결과는 표 1에 요약되어있다.
1차 가열 곡선에서 이중 녹는 피크가 발견되었고, 이에 반해 2차 가열 곡선에서는 단일, 넓은 변이가 관찰되었다.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은 공단량체 함량의 코폴리아미드가 300℃보다 분명히 더 높고 높은 결정성의 녹는점을 갖는다.
실시예 1-3의 코폴리아미드의 DSC 측정 결과
1차 가열 곡선 냉각 곡선 2차 가열 곡선
Tm(℃) ΔHm(J/g) Tc(℃) ΔHc(J/g) Tm(℃) ΔHm(J/g)
실시예 1 321/346 115 321/305 -65 343 70
실시예 2 313/335 96 300 -57 331 74
실시예 3 319/348 112 315 -78 346 90

Claims (11)

  1. 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라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단위를 포함하는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코폴리아미드가 추가로 테레프탈산외에 적어도 하나의 디카르복실산, 및/또는 테트라메틸렌 디아민 또는 헥사메틸렌 디아민외에 적어도 하나의 디아민,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카르복실산 또는 시클릭 아미드에서 유도된 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폴리아미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폴리아미드가 약 30-75몰% 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폴리아미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코폴리아미드가 테트라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및 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외에 약 0.01-20몰% 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폴리아미드.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카르복실산이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폴리아미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카르복실산이 이소프탈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폴리아미드.
  7.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방족 디아민이 1,12-도데칸 디아민 및/또는 2-메틸펜타메틸렌 디아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폴리아미드.
  8.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클릭 아미드가 에프실론-카프롤락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폴리아미드.
  9. 연속적으로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것의 에스테르 또는 폴리에스테르 및 디아민의 중합화가 용융상에서 영향을 받아 저분자 중합체를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저분자 중합체의 후-중합화가 고체상에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테트라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단위 및 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단위를 포함하는 반-방향족 코폴리아미드의 제조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반-방향족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 9 항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얻은 플라스틱 조성물.
  11.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반-방향족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 9 항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얻은 제품.
KR1020027004103A 1999-10-05 2000-09-21 테트라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및 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계 코폴리아미드 KR1006839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13215 1999-10-05
NL1013215A NL1013215C2 (nl) 1999-10-05 1999-10-05 Copolyamide op basis van tetramethyleentereftaalamide en hexamethyleentereftaalami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446A true KR20020074446A (ko) 2002-09-30
KR100683995B1 KR100683995B1 (ko) 2007-02-20

Family

ID=19769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4103A KR100683995B1 (ko) 1999-10-05 2000-09-21 테트라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및 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계 코폴리아미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747120B2 (ko)
EP (1) EP1226202B1 (ko)
JP (1) JP4676122B2 (ko)
KR (1) KR100683995B1 (ko)
CN (1) CN1233693C (ko)
AT (1) ATE328937T1 (ko)
AU (1) AU7969700A (ko)
DE (1) DE60028595T2 (ko)
ES (1) ES2265992T3 (ko)
NL (1) NL1013215C2 (ko)
PT (1) PT1226202E (ko)
TW (1) TWI250176B (ko)
WO (1) WO200102531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0216A (ko) * 2010-04-29 2013-06-07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KR20160040200A (ko) * 2013-08-06 2016-04-12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폴리아마이드 필름 및 제조 방법
KR20160143729A (ko) * 2014-04-02 2016-12-14 주식회사 쿠라레 폴리아미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35724B2 (en) * 1997-07-15 2005-08-30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nk jet nozzle having actuator with anchor positioned between nozzle chamber and actuator connection point
US8557386B2 (en) * 2004-11-17 2013-10-15 Prc-Desoto International, Inc. Selectively strippable intermediate coatings and methods of use
EP1966281B1 (en) * 2005-12-23 2016-03-09 Solvay Specialty Polymers USA, LLC. High melting point polyamide
BRPI0707219B1 (pt) * 2006-01-26 2018-01-23 Dsm Ip Assets B.V. Poliamida semi-aromática semicristalina, seu processo de preparação, composição de polímero, uso da referida poliamida ou da composição de polímero, parte moldada e seu uso
EP1880846B1 (de) * 2006-07-18 2012-12-19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Bogenoffsetdruckmaschine
EP2170982A1 (en) * 2007-07-23 2010-04-07 DSM IP Assets B.V. Plastic component for a lighting systems
ATE544803T1 (de) * 2007-07-23 2012-02-15 Dsm Ip Assets Bv E/e-verbinder und darin verwendete polymerzusammensetzung
WO2009012932A1 (en) * 2007-07-23 2009-01-29 Dsm Ip Assets B.V. Polyamide compositions and bobbins made thereof
FR2933414B1 (fr) * 2008-07-07 2010-08-13 Arkema France Polyamide, composition comprenant un tel polyamide et leurs utilisations
KR101437144B1 (ko) * 2011-12-13 2014-09-02 제일모직주식회사 폴리아미드 수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KR102076382B1 (ko) * 2012-05-09 2020-02-11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플라스틱 엔진 커버
CA2898266A1 (en) * 2013-01-30 2014-08-07 Dsm Ip Assets B.V.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polyamide
TWI648310B (zh) * 2013-01-30 2019-01-21 荷蘭商Dsm智慧財產有限公司 聚醯胺的製備方法
EP3094768B1 (en) * 2014-01-17 2018-08-29 DSM IP Assets B.V. Polyamide fibers
MX2016017017A (es) * 2014-06-26 2017-05-12 Dsm Ip Assets Bv Proceso para la preparacion de una poliamida semi-aromatica, semi-cristalina.
KR102461047B1 (ko) * 2016-12-08 2022-10-28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열가소성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 부품, 및 자동차 및 e&e 용도에서의 이의 용도
KR102263527B1 (ko) 2017-04-25 2021-06-09 어드밴식스 레진즈 앤드 케미컬즈 엘엘씨 카프로락탐을 기재로 하는 반-방향족 코폴리아미드
WO2019067517A1 (en) * 2017-09-28 2019-04-0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MERIZATION PROCESS
WO2019077067A1 (en) * 2017-10-20 2019-04-25 Dsm Ip Assets B.V. POLYAMIDE COPOLYMER, PROCESS FOR PREPARATION AND MOLDED PRODUCTS PRODUCED THEREFROM
JP7022673B2 (ja) * 2018-09-28 2022-02-18 Ntn株式会社 樹脂製プーリ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7014810A (en) * 1970-10-08 1970-12-28 Fibre forming copolyterephthalamides contg - hexamethylene and nonamethylene residues
JPS599214A (ja) * 1982-07-01 1984-01-18 Unitika Ltd コポリアミド繊維
JPH0653795B2 (ja) * 1985-02-15 1994-07-20 旭化成工業株式会社 高分子量ナイロン46の製造方法
EP0231545B1 (en) * 1986-01-04 1992-07-29 Dsm N.V. Copolyamides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IT1227673B (it) * 1988-12-02 1991-04-23 Eniricerche S P A M Copoliammidi e copoliesterammidi semiaromatiche e procedimento per la loro preparazione
FR2643377B1 (fr) * 1989-02-21 1992-09-11 Rhone Poulenc Chimie Procede de preparation de polyamides semi-aromatiques comprenant des restes d'acide(s) dicarboxylique(s) aromatique(s) et d'alkylpentamethylenediamine
JP2718749B2 (ja) * 1989-03-22 1998-02-25 三菱化学株式会社 耐熱性ポリアミドフィルム
DE3912767A1 (de) * 1989-04-19 1990-10-25 Basf Ag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copolyamiden
BE1006314A3 (fr) * 1992-11-04 1994-07-19 Solvay Procede de synthese de polyamides.
NL1005520C2 (nl) * 1997-03-13 1998-09-15 Dsm Nv Automobielonderdelen uit een polyamide samenstelling.
US6297345B1 (en) * 1999-05-27 2001-10-02 Ube Industries, Ltd. Polyamide having excellent stretching properti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0216A (ko) * 2010-04-29 2013-06-07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KR20160040200A (ko) * 2013-08-06 2016-04-12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폴리아마이드 필름 및 제조 방법
KR20160143729A (ko) * 2014-04-02 2016-12-14 주식회사 쿠라레 폴리아미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50176B (en) 2006-03-01
WO2001025311A1 (en) 2001-04-12
CN1384847A (zh) 2002-12-11
ES2265992T3 (es) 2007-03-01
KR100683995B1 (ko) 2007-02-20
AU7969700A (en) 2001-05-10
CN1233693C (zh) 2005-12-28
JP2003528165A (ja) 2003-09-24
NL1013215C2 (nl) 2001-04-06
JP4676122B2 (ja) 2011-04-27
EP1226202B1 (en) 2006-06-07
PT1226202E (pt) 2006-10-31
DE60028595T2 (de) 2007-05-31
US6747120B2 (en) 2004-06-08
EP1226202A1 (en) 2002-07-31
US20020183479A1 (en) 2002-12-05
ATE328937T1 (de) 2006-06-15
DE60028595D1 (en) 200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74446A (ko) 테트라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및 헥사메틸렌테레프탈아미드에 기초한 코폴리아미드
KR101377355B1 (ko) 반-결정성 반-방향족 폴리아마이드
KR0168468B1 (ko) 폴리아미드 및 폴리아미드 조성물
EP0827976B1 (en) Polyamide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thermal stability
US5422418A (en) Polyamides and objects obtained from them
US3597400A (en) Synthetic linear transparent polyamides
US20110160407A1 (en) Novel polyamideimides and preparation and compositions comprised thereof
US4232145A (en) Injection moldable glass clear transparent polyamide
KR101969176B1 (ko)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JPH04227634A (ja) テトラエチレングリコールジアミン及び芳香族ジカルボン酸からのポリエーテルアミドの製法
US4268661A (en)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glass clear transparent polyamide
US4868280A (en) Copolyamide from tetramethylene diamine, adipic acid and terephthalic acid
US4864009A (en) Molding composition consisting of aliphatic/aromatic copolyamide
KR20200063224A (ko) 폴리아미드 공중합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로 제조된 성형된 부품
KR0156796B1 (ko) 투명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공중합 폴리아미드 조성물
KR100347314B1 (ko) 유연성과투명성이우수한폴리아미드의제조방법
JPS6255532B2 (ko)
KR19980045992A (ko) 투명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공중합폴리아미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