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4057A - 가스밸브 - Google Patents

가스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4057A
KR20020074057A KR1020010084778A KR20010084778A KR20020074057A KR 20020074057 A KR20020074057 A KR 20020074057A KR 1020010084778 A KR1020010084778 A KR 1020010084778A KR 20010084778 A KR20010084778 A KR 20010084778A KR 20020074057 A KR20020074057 A KR 20020074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gas
operation rod
fuel gas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4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0772B1 (ko
Inventor
하야시유이치
시미즈마사노리
이시가키요이치로
미즈타니게이이치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20074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4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0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07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0Feeding or distributing other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02Gaseous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1/00Regulating fuel supply
    • F23N1/007Regulating fuel supply using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 Flow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기구에서 가스버너로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가스밸브에 관한 것으로, 내부통로에 삽입 설치한 조작로드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해서 가스개폐밸브의 개폐와 유량조절밸브에 의한 연료가스의 유량조절을 행하는 종래의 가스밸브에서는 사용하는 연료가스의 종류에 따라서 가스버너의 화염이 꺼지지 않을 정도의 최소가스유량을 설정할 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가스개폐밸브가 개방된 후에 조작로드를 전방향으로 더욱 소정량 이동시키면 개방해서 조작로드의 이동량에 응해서 유량조절을 행하도록 유량조절밸브를 구성하고. 유량조절밸브가 개방하기까지 연료가스유출부로의 연료가스의 공급은 가스개폐밸브의 하류측에 있어서 유량조절밸브 상류측의 내부통로와 가스유출부를 연통하도록 설치한 바이패스를 통해서 행해지며, 바이패스통로에 최소가스유량을 설정하는 오리피스를 형성한다.
따라서, 연료가스의 종류에 따라 최소가스유량을 설정 할 수 있고, 유량조절밸브에 이물질등이 끼어있어도 연료가스의 공급을 확실히 정지시킬 수 있는 가스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스밸브{Gas valve}
본 발명은 가스기구에서 가스버너로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가스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가스밸브는 예를 들어 특개평9-10102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가스밸브는 내부통로를 통해서 상호연통하도록 가스유입부와 가스유출부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한 밸브케이싱을 구비한다.
밸브케이싱의 내부통로에는 가스개폐밸브인 전자안전밸브 및 유량조절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안전밸브 및 유량조절밸브는 내부통로에 삽입 설치되어 전후방향으로 가동조작로드에 의해서 개방조작된다.
조작로드는 후술의 니들밸브의 밸브본체 전후방향의 이동량을 조절하는 캠기구를 통해서 풍로 전면에 설치한 회전조작식 조작부에 연결되어 있다.
유량조절밸브는 내부통로에 형성한 밸브공에 삽입가능한 테이퍼부 밸브본체를 가진 니들밸브로서 형성되고 있다.
밸브본체는 조립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하기 위해 조작로드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부를 회전조작해서 조작로드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밸브공에 대한 밸브체의 삽입깊이를 변화시키고, 그 삽입량에 응해서 연료가스의 공급량이 조절된다.
그런데 가스버너의 화염이 꺼지지않을 정도의 최소가스유량은 사용하는 연료가스의 종류에 따라서 상이하다.
이에 상술에서는 가스유량을 연속해서 변화시킬 수 있지만, 최소가스유량을 결정하는 밸브본체의 최소삽입깊이는 캠기구에 의해 정해지기 때문에 연료가스의 종류마다 최소가스유량을 설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 밸브공과 밸브본체와의 사이에 이물질등이 끼어있으면 조작로드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없고, 연료가스의 공급을 정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사용하는 연료가스의 종류에 따라서 최소가스유량의 설정을 할 수 있고, 유량조절밸브에 이물질등이 끼어있어도 연료가스의 공급을 확실히 정지시킬 수 있는 가스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스밸브유니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밸브의 배면도.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서 절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부분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밸브에서 가스버너의 중간불 상태를 도시하는 가스밸브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가스밸브에서 가스버너의 최소조절상태를 도시하는 가스밸브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가스밸브의 유량특성을 도시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가스밸브유니트 11 ; 밸브케이싱
15 ; 내부통로 3 ; 조작로드
4 ; 가스개폐밸브 6 ; 유량조절밸브
9 ; 바이패스통로 91 ; 오리피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가스밸브는 내부통로를 통해서 서로 연통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가스유입부와 가스유출부를 형성한 밸브케이싱을 구비하고, 내부통로에 전후방향으로 가동조작로드를 삽입설치함과 동시에 내부통로에서 가스유입부의 하류측으로 조작로드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개방하는 가스개폐밸브와, 가스개폐밸브의 하류측에 있어서 가스유출부의 상류측에 조작로드의 이동량에 응해서 가스유출부로의 연료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를 설치하고, 조작로드를 이동시켜서 연료가스의 공급과 연료가스유량의 조절을 할 수 있는 가스밸브에 있어서, 유량조절밸브는 가스개폐밸브가 개방된 후에 조작로드을 더욱 전방향으로 소정량 이동시키면 개방해서 조작로드의 이동량에 응해서 가스유량조절을 행하도록 구성하고, 유량조절밸브가 개방하기까지 가스유출부로의 연료가스의 공급은 가스개폐밸브의 하류측에 있어서 유량조절밸브의 상류측의 내부통로와 가스유출부를 연통하도록 형성한 바이패스통로를 통해서 행해지며, 바이패스통로에 연료가스의 최소가스유량을 설정하는 오리피스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가스밸브유니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밸브의 배면도로서, 도 1은 3개의 가스버너와 상하그릴버너(도면에 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한 가스풍로에 사용되는 가스밸브유니트를 도시한다.
이 경우 가스버너로서 연소량(Kcal/h)이 다른 3종류의 대화력, 중화력 및 소화력 가스버너가 사용된다.
가스밸브유니트(1)은 직육면체의 밸브케이싱(11)을 가지고, 밸브케이싱(11)의 측면에는 1개의 가스유입구(12)가 형성되며, 가스유입구(12)에는 전자안전밸브 (2)를 통해서 밸브케이싱(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스통로(13a) (13b)가 연통되어 있다.
각 가스통로(13a)(13b)에는 제 1 연통로(14)를 통해서 가스통로(13a)(13b)에 대해서 직각방향으로 연장한 내부통로(15)가 서로 평행하게 또는 격절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도 3참조)
동일 형상의 각 내부통로(15)는 제 2 연통로(16)를 통해서 밸브케이싱(11)의 상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연료가스유출구(17)에 연통한다.
그리고 각 연료가스유출구(17)에서 각 가스버너 및 상하그릴버너의 각 혼합관 (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에 연료가스가 공급된다.
도 3을 참도해서 내부통로(15)에는 길이방항을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가동조작로드(3)가 삽입설치되고, 그 일단은 내부통로(15)에 대향해서 밸브케이싱(11)에 형성된 개구부(11a)를 관통해서 외부에 돌출되어 있다.
조작로드(3)에는 내부통로(15) 내부에 제 1 연통로(14)의 근방에 형성한 밸브시트(17)와 동시에 연료가스개폐밸브(4)를 형성하도록 스프링(5)에서 상류측으로 향해서 된 밸브체(31)가 설치되어 있다.
가스개폐밸브(4)의 하류측에는 연료가스유출구(17)의 상류측에 위치한 유량조절밸브(6)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로드(3)의 전후방향의 이동은 내부통로에 대향해서 밸브케이싱(11)에 밀봉재(7)를 통해서 연결한 구동부(8)에 의해 행해지고, 구동부(8)는 내부통로(15)에 대향하는 관통공(81a)이 형성된 하우징(81)을 구비한다.
관통공(81a)에는 밸브케이싱(11)의 개구부(11a)에서 돌출한 조작로드(3)의 단부를 압입하는 슬라이드(82)가 삽입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82)는 하우징(81)에 부설한 스테핑모터(83)에 의해 구동된다.
이 경우 슬라이드(82)의 내부에는 스테핑모터(83)의 회전축(83a)에 형성된나선부와 형합하는 나선산이 형성되고, 스테핑모터(83)를 회전시키면 그 회전에 응해서 관통공(81a) 내부에서 슬라이드(82)가 전후방향으로 왕복운동한다.
슬라이드(82)에는 또, 상부로 향해서 돌출한 돌출부(82a)가 형성되고, 하우징 (81)의 상부에는 돌출부(82a)에 결합하는 슬라이드 볼륨식 리니어센서(8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리니어센서(84)의 저항치의 변화에 응해서 조작로드(3)의 전후방향의 이동량(스트로크)이 검출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풍로 본체에 터치패널을 설치하고, 터치패널을 조작해서 조작로드(3)의 작동, 즉 가스개폐밸브(4)의 개폐와 유량조절밸브(6)에 의한 연료가스의 유량조절을 전동식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가스풍로를 구성할 수 있다.
유량조절밸브(6)는 내부통로(15)에 밀봉재(61a)를 통해서 삽입설치되고, 상류측의 단부에 밸브공(61b)을 가지는 케이스(61)와, 밸브공(61b)에 삽입되고, 조작로드(3)의 푸쉬조작으로 하류측으로 향해서 이동되는 밸브본체(62)를 구비한 니들밸브로 구성되어 있다.
밸브본체(62)는 도 3에 도시한 유량조절밸브(6)의 개방상태에서 밸브공(61)을 막는 플랜지부(62a)와, 플랜지부(62a)에서 상류측으로 향해서 밸브공(61b)를 관통한 원통형상의 머리부(62b)와, 하류측으로 신장되는 신장부(62c)로 된다.
또, 케이스(61)의 외벽면에는 제 2 연통로(16)에 일치하는 개구(61c)가 형성되고, 케이스(61)의 하류측의 단부에는 가이드부재(63)가 장착되어 있다.
가이드부재(63)은 신장부(62a)와 협동해서 밸브본체(62)를 평행이동시키는역할을 한다.
밸브본체(62)는 플랜지부(62a)와 가이드부재(63)와의 사이에 설치한 스프링 (64)에 의해서 상류측으로 향해서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로드(3)의 푸쉬조작으로 스프링(64)의 탄성력에 맞서는 플랜지부 (62a)가 밸브공(61b)에서 분리한 경우에 밸브공(61b)의 개도에 응해서 가스유출구 (17)로 연료가스공급량이 조절된다.
여기에서 종래의 가스밸브처럼 밸브공(61b)의 내벽을 일정한 내경으로 길게 설정한 것으로는 밸브본체(62)의 원통형상의 머리부(62b)가 밸브공(61b)내부를 진퇴하는 동안 밸브공(61b)과 머리부(62b)와의 간극의 면적은 변화하지 않지만, 연료가스가 간극을 통과하는 동안에 압력손실이 발생해서 가스유량이 일정하게 되지 않는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케이스(61)의 내면에 압입한 황동재 박판(65)에 의해 밸브공(61b)를 형성함과 동시에 박판(65)의 진퇴방향의 폭을 압력손실이 발생하지 않는 정도로 작은 수치로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 플랜지부(62a)가 밸브공(61b)에서 분리되면 처음에는 가스유출구 (17)로 연료가스유량이 연속해서 증가하고, 밸브공(61b)에서 원통형상의 머리부 (62b)가 완전히 이탈하기까지는 밸브공(61b)과 머리부(62b)와의 간극면적이 변화하지 않고, 그 이상 압력손실도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연료가스유량이 일정하게 되는 영역이 많들어진다.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조작로드(3)의 스트로크가 5mm에서 7.5mm의 사이에서유량이 일정하게 되도록 머리부(62b)의 길이를 설정했다.
이 경우 가스버너를 중간불로 하는데 필요한 연료가스가 가스유출구(17)로 흐른다.
그런데 가스버너의 화염이 꺼지지 않을 정도의 최소가스유량은 사용하는 연료가스의 종류에 응해서 상이하다.
이에 사용하는 연료가스의 종류가 다른 가스기구마다 최소가스유량을 설정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도 4를 참조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로드(3)의 이동이 개시되어 가스개폐밸브(4)가 개방한 후, 조작로드(3)가 전방향으로 더욱 이동되면 유량조절밸브(6)의 밸브본체(62)의 이동이 개시되도록 밸브본체(62)의 머리부(62b)에 조작로드(3)의 선단부를 수납하는 수납공(62d)를 형성했다.
이 경우 조작로드(3)가 30mm이동한 때에 밸브본체(62)의 이동이 개시되도록 수납공(62d)의 길이를 설정했다.
여기에서 가스개폐밸브(4)가 개방한 후의 유량조절밸브(6)의 개방시기 즉, 밸브본체(62)의 이동개시 시기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는 전후방향의 이동시에 조작로드(3)의 축이 어긋나지 않게 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케이스(62)에서 상류측으로 향해서 신장한 지지부 (61d)를 형성해서 조작로드(3)를 가이드함과 동시에 밸브케이싱(11)의 개구부(11a)에 있어서도 조작로드(3)를 가이드한다.
그것에 의해 수납공(62d) 내부에서 조작로드(3)의 균형상실에 의한 접동저항의 증가도 억지할 수 있다.
가스개폐밸브(4)가 개방한 후, 밸브본체(62)의 이동이 개시되기까지 연료가스유출구(17)로의 연료의 공급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량조절밸브(6)의 상류측의 내부통로(15)와 제 2 연통로(16)를 연통하도록 형성한 바이패스통로(9)를 통해서 행해진다.
바이패스통로(9)는 밸브케이싱(11) 내부에 절곡형성되고, 바이패스통로(9)의 내부통로(15)에 대해서 직각으로 상부로 향해서 신장하는 부분은 밸브케이싱(11)의 상부까지 통해 있다.
이 상부로 향해서 신장한 부분에는 제 2 연통로(16)으로 흐르는 연료가스의 최소가스유량을 설정하는 오리피스(91)가 형성되어 있다.
오리피스(91)는 그 머리부(92)가 밸브케이싱(11)의 상부로 돌출하도록 삽입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오리피스(91)를 적절히 교환하는 것으로 사용하는 연료가스의 종류에따라 최소유량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의 유량조절밸브(6)에서는 조작로드(3)를 후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에도 밸브본체(62)가 케이스(61)의 밸브공(61b)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밸브본체(62)가 조작로드(3)와 일체로되어 이동한다.
이에 조작로드(3)의 전후방향의 이동에 수반되는 밸브본체(62)의 위치의 히스테리시스가 극히 작게 된다.
다음으로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가스밸브(1)의 작용을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가스밸브(1)의 정지상태에서 터치패널의 점화 버튼을 누르면 스테핑모터(83)가 정방항으로 회전해서 슬라이더(82)를 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에서 가스버너 점화의 확실성 관점에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로드(3)는 먼저 가스개폐밸브(4)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조작로드(3)의 단부가 수납공 (62d)에 삽입되고, 가스버너가 중간불 위치로 되기까지 밸브본체(62)를 하류측으로 향해서 이동시킨다.
이 경우 가스버너의 혼합관에는 내부통로(15)에서 유량조절밸브(6) 및 바이패스(9)를 경유해서 연료가스가 공급되고, 가스버너의 점화가 행해진다.
그리고 가스버너의 점화 후에는 터치패널의 화력조절버튼을 조작해서 스테핑모터(83)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슬라이더(82)를 통해서 조작로드(3)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밸브본체(62)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밸브공(61b)의 개도를 변화시켜서 가스유출구(17)로의 연료가스공급량이 조절된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밸브공(61b)의 내벽을 일정 내경으로 길게한 종래기술의 가스밸브에서는 도에 점선으로 도시한 것처럼 가스버너의 중간불 위치에 해당하는 5mm에서 7.5mm 범위에 있어서 조작로드(3)의 스트로크(mm)를 변화해도 가스버너로의 연료가스공급량으로 환산한 가스버너의 연소량(Kcal)은 일정하게 되지않는 것에 대해서 밸브공(61b)을 박판(65)에 의해 형성한 본 발명에서는 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것처럼 가스버너의 중간불 위치에 해당하는 5mm에서 7.5mm의 범위에서 조작로드(3)의 스트로크(mm)를 변환한 때의 가스버너의 연소량은 거의 일정했다.
또, 신장부(62c)의 단부가 가이드부(63)의 저부에 맞닿기까지 전방향으로 이동되면 가스버너는 강한불 상태로 된다.
다른 방향에서 가스버너의 최소조절위치까지 스테핑모터(83)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조작로드(3)를 후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유량조절밸브(6)는 개방상태로 된다.
이 경우 연료가스는 바이패스 통로(9)만을 통해서 가스유출부(17)로 흐른다.
여기에서 바이패스 통로(9)에 오리피스(91)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최소가스유량의 연료가스가 가스버너의 혼합관으로 흐른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로드를 전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먼저 가스개폐밸브가 개방되고, 내부통로로 연료가스가 유입한다.
그리고 유량조절밸브가 개방하기까지는 내부통로에 유입한 연료가스는 바이패스통로를 통해서만 가스유출부로 흐른다.
또한, 조작로드를 전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유량조절밸브가 개방되고, 가스유출부에서는 내부통로에서 유량조절밸브 및 바이패스통로를 경유해서 연료가스가 흐른다.
이 경우 조작로드의 전후방향의 이동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가스버너로의 연료가스의 공급량이 조절된다.
타측에서 연료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경우 조작로드를 후방향으로 이동시켜 가면 유량조절밸브가 폐쇄된다.
유량조절밸브가 폐쇄된 후, 가스개폐밸브가 폐쇄하기까지는 연료가스가 바이패스통로만을 통해서 가스유출부로 흐른다.
이 경우 바이패스 통로에는 최소가스유량을 설정하는 오리피스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하는 연료가스의 종류마다 가스버너의 화염이 꺼지지않을 정도의 최소가스유량을 설정할 수 있다.
유량조절밸브는 예를 들어 내부통로에 삽입설치된 밸브공을 가지는 케이스 와, 밸브공 방향으로 부세된 조작로드의 푸쉬조작에 의해 밸브공에서 이탈하도록 이동하는 밸브본체를 구비하고, 조작로드가 소정량 이동한 후 밸브본체의 이동이 개시되도록 밸브본체의 조작로드측 단부에 조작로드의 선단부를 수납하는 수납공을 형성하면 좋다. 이것에 의해 유량조절밸브의 케이스와 밸브본체와의 사이에 이물질등이 끼어있어도 조작로드와 본체는 별체로 있고, 어느 조작로드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가스개폐밸브를 폐쇄해서 연료가스의 공급을 정지할 수 있다.
또, 유량조절밸브에서는 조작로드를 후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에도 밸브본체가 밸브시트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는 것으로 밸브본체가 조작로드와 일체로 되어 이동하기 때문에 조작로드의 전후방향의 이동으로 수반하는 밸브본체의 위치의 히스테리시스가 극히 작게 되고, 가스버너의 화력설정이 안정하다.
또, 밸브공을 가진 케이스를 내부통로에 삽입설치하기 때문에 내부통로에 직접밸브공을 형성하는 것에 비해서 밸브케이싱의 가공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여기에서 가스개폐밸브가 개방한 후의 밸브본체의 이동개시 시기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는 이동시의 조작로드의 축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일단이 밸브케이싱에 형성한 개구부로 돌출하도록 내부통로에 삽입설치한 상기 조작로드를 그 전후방향의 이동시에 축이 어긋나지 않도록 상기 개구부와 상기 케이스에 형성한 지지부에서 가이드하면 조작로드가 소정의 간격을 둔 2개소에서 가이드되기 때문에 조작로드의 이동시 축이 어긋나는 것이 방지된다.
그것에 의해 수납공내부에서 조작로드의 균형상실에 의한 접동저항증가를 억지할 수 있다.
또, 특히 가스버너의 중간불 화력설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연료가스의 유량이 일정하게 되는 영역이 형성되도록 유량조절밸브를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여기에서 상기 종래의 가스밸브처럼 밸브공의 내벽을 일정 내경으로 길게한 것에서는 밸브본체와 밸브공과의 간극을 연료가스가 통과하는 순간에 압력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에 가스유량이 일정하게 되지 않는다.
이 경우 상기 밸브본체는 상기 밸브공 내부를 진퇴함과 동시에 외경 일정부를 가진 원통형상의 머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공을 케이스내부에 형성한 박판에 의해 형성하며, 머리부의 머리부의 외경 일정부와 밸브공과의 사이의 간극의 면적을 일정하게해서 연료가스가 간극을 통과하는 순간에 압력손실이 없도록 하면 좋다.
상기 조작로드는 예를 들어 밸브케이싱에 부설한 회전축을 가진 구동수단에 의해서 이동되고, 제어된 회전축의 회전에 응해서 조작로드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조작로드와 회전축을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수단을 통해서 연결해 두면 전동구동에 의한 빈틈없는 화력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5)

  1. 내부통로를 통해서 서로 연통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가스유입부와 가스유출부를 형성한 밸브케이싱을 구비하고, 내부통로에 전후방향으로 가동조작로드를 삽입 설치함과 동시에 내부통로에서 가스유입부 하류측으로 조작로드를 전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개방하는 가스개폐밸브와, 가스개폐밸브의 하류측에 있어서 가스유출부의 상류측에 조작로드의 이동량에 응해서 가스유출부로의 연료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를 설치하고, 조작로드를 이동시켜서 연료가스공급과 연료가스유량의 조절을 행하는 가스밸브에 있어서,
    유량조절밸브는 가스개폐밸브가 개방한 후에 조작로드를 더욱 전방향으로 소정량 이동시키면 개방해서 조작로드의 이동량에 응해서 가스유량의 조절을 행하도록 구성되고, 유량조절밸브가 개방하기까지 가스유출부로의 연료가스의 공급은 가스개폐밸브의 하류측에 있어서 유량조절밸브의 상류측의 내부통로와 가스유출부를 연통하도록 형성한 바이패스통로를 통해서 행해지고, 바이패스통로에 연료가스의 최소가스유량을 설정하는 오리피스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내부통로에 삽입설치되고, 밸브공을 가지는 케이스와, 밸브공방향으로 부세된 조작로드의 푸쉬조작에 의해 밸브공에서 이탈하도록 이동하는 밸브체를 구비하고, 조작로드가 소정량 이동한 후 밸브본체의 이동이 개시되도록 밸브본체의 조작로드측 단부에 조작로드의 선단부를 수납하는수납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밸브.
  3. 제 2 항에 있어서, 일단이 밸브케이싱에 형성된 개구부로 돌출하도록 내부통로에 삽입설치한 상기 조작로드를 그 전후방향의 이동시에 축이 어긋나지 않도록 상기 개구부와 케이스에 형성한 지지부에서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밸브.
  4. 제 2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는 상기 밸브공 내부를 진퇴함과 동시에 외경 일정부를 가지는 원통형상의 머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공을 케이스 내부에 설치한 박판에 의해 형성하고, 머리부의 외경 일정부와 밸브공과의 사이의 간극면적을 일정하게 해서 간극을 연료가스가 통과하는 순간 압력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밸브.
  5. 제 1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로드는 밸브케이싱에 부설한 회전축을 가지는 구동수단에 의해서 이동되고, 제어된 회전축의 회전에 응해서 조작로드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조작로드와 회전축을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수단을 통해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밸브.
KR10-2001-0084778A 2001-03-16 2001-12-26 가스밸브 KR1004407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75560 2001-03-16
JP2001075560A JP3664661B2 (ja) 2001-03-16 2001-03-16 ガスバルブ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057A true KR20020074057A (ko) 2002-09-28
KR100440772B1 KR100440772B1 (ko) 2004-07-21

Family

ID=18932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4778A KR100440772B1 (ko) 2001-03-16 2001-12-26 가스밸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664661B2 (ko)
KR (1) KR100440772B1 (ko)
TW (1) TW536606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84867A (zh) * 2012-10-01 2015-09-02 德芬迪意大利有限责任公司 恒温器
KR20180022087A (ko) * 2016-08-23 2018-03-06 윤진웅 가스렌지용 이중 화력조절장치
WO2019164030A1 (ko) * 2018-02-22 2019-08-29 윤진웅 가스렌지용 이중 화력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12978B2 (ja) * 2007-08-10 2012-04-11 リンナイ株式会社 バルブユニット装置
JP6143609B2 (ja) * 2013-08-30 2017-06-07 株式会社パロマ 加熱調理器
JP6278470B2 (ja) * 2015-04-27 2018-02-14 リンナイ株式会社 ガスコンロにおける火力調節装置
WO2017197547A1 (zh) * 2016-05-17 2017-11-23 李雪波 利于两气切换调节的两气通用燃气阀
JP6871069B2 (ja) * 2017-06-05 2021-05-12 リンナイ株式会社 ガス弁装置
CN111981500B (zh) * 2019-05-24 2024-04-23 林内株式会社 火势调节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77625A (en) * 1979-11-06 1981-06-26 Gasutaa:Kk Gas cock with safety device for pilot flame
JP2981820B2 (ja) * 1994-04-26 1999-11-22 リンナイ株式会社 ガス器具の火力調節装置
JP3052123B2 (ja) * 1995-10-02 2000-06-12 リンナイ株式会社 回転操作式ガス弁装置
JP3091953B2 (ja) * 1995-10-04 2000-09-25 リンナイ株式会社 ガス弁装置
IT1293697B1 (it) * 1997-04-30 1999-03-10 Op Srl Ora Op Controls S R L Unita' valvolare di sicurezza e regolazione per un impianto a gas particolarmente un impianto di riscaldament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84867A (zh) * 2012-10-01 2015-09-02 德芬迪意大利有限责任公司 恒温器
CN104884867B (zh) * 2012-10-01 2017-08-29 德芬迪意大利有限责任公司 恒温器
KR20180022087A (ko) * 2016-08-23 2018-03-06 윤진웅 가스렌지용 이중 화력조절장치
WO2019164030A1 (ko) * 2018-02-22 2019-08-29 윤진웅 가스렌지용 이중 화력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0772B1 (ko) 2004-07-21
TW536606B (en) 2003-06-11
JP2002276932A (ja) 2002-09-25
JP3664661B2 (ja) 200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0772B1 (ko) 가스밸브
KR100571097B1 (ko) 가스 조절 장치
JP6580399B2 (ja) ガスコンロ
KR100426644B1 (ko) 가스밸브
US6571829B2 (en) Gas control valve in water heater
JP3842174B2 (ja) ガス制御装置
JP2002303418A (ja) ガスバルブ
JP4451955B2 (ja) ニードル式器具栓
KR100565547B1 (ko) 가스기구의 화력조절장치
US5067651A (en) Fuel control device, fuel control system using the device and method of making the device
JP3643982B2 (ja) ガス器具の火力調節装置
JP3724666B2 (ja) ガス弁開閉装置
JPH0728529A (ja) 流量制御弁装置
US4813596A (en) Fuel control device, fuel control system using the device and method of making the device
US4921161A (en) Fuel control device, fuel control system using the device and method of making the device
JP3590254B2 (ja) 水圧応動ガス弁
JP2002310424A (ja) ガスバルブ
JP4233237B2 (ja) ガス器具の火力調節装置
JPS626150B2 (ko)
JP3581019B2 (ja) ガス流量調節装置
JPH05682Y2 (ko)
JPH11108204A (ja) ガス器具栓
JPH11182691A (ja) ガスコック装置
JP2020056477A (ja) 電動式ガス弁装置
JPH11304245A (ja) 元止め式ガス湯沸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