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3642A -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3642A
KR20020073642A KR1020010013362A KR20010013362A KR20020073642A KR 20020073642 A KR20020073642 A KR 20020073642A KR 1020010013362 A KR1020010013362 A KR 1020010013362A KR 20010013362 A KR20010013362 A KR 20010013362A KR 20020073642 A KR20020073642 A KR 20020073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amorphous silicon
silicon layer
layer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3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7988B1 (ko
Inventor
이병기
이재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1-0013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7988B1/ko
Publication of KR20020073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3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9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8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 H01L21/823828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ate conductors, e.g. particular materials, sha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6Bombardment with radiation
    • H01L21/26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 H01L21/265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 H01L21/26506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in group IV semiconductors
    • H01L21/2651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in group IV semiconductors of electrically active spec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008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 H01L21/28017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 H01L21/28158Making the insulator
    • H01L21/28167Making the insulator on single crystalline silicon, e.g. using a liquid, i.e. chemical oxidation
    • H01L21/28185Making the insulator on single crystalline silicon, e.g. using a liquid, i.e. chemical oxidation with a treatment, e.g. annealing, after the formation of the gate insulator and before the formation of the definitive gate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 H01L21/3213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 H01L21/32135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by vapour etching only

Abstract

본 발명은 게이트 형성시 열처리를 통한 이온 주입을 함으로써 게이트 프로파일을 개선시켜 수율의 향상 및 소자의 신뢰성을 향상하도록 한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dual gate)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정의된 반도체 기판의 소정 영역에 소자 격리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전면에 게이트 절연막과, 비정질 실리콘층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상에 형성된 비정질 실리콘층 내에 서로 반대 도전형의 불순물 이온을 각각 주입하는 단계와, 상기 불순물 이온이 주입된 비정질 실리콘층에 열처리 공정을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비정질 실리콘층상에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층과 비정질 실리콘층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에 각각 제 1 게이트와 제 2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 방법 {Method for Forming Dual Gate of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게이트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게이트 형성시 열처리를 통한 이온 주입을 함으로써 게이트 프로파일을 개선시켜 수율의 향상 및 소자의 신뢰성을 향상하도록 한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SRAM과 같은 비 휘발성 기억 소자는 전원이 끊기지 않는 이상 정보를 유지하므로, 노트 북, PDA, 슈퍼 컴퓨터 등의 주로 휴대용 제품에 사용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이를 위해 저전력 동작 SRAM을 구현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데, 이러한 저전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문턱 전압(Threshold Voltage)이 0.7V보다 작아야 한다.
그러나 디자인 룰(design rule)이 감소함, 즉, 최소 선폭이 줄어듦에 따라 기존의 n+형 폴리 실리콘 게이트를 이용한 베리드 채널(Buried Channel) PMOS로는 펀치 쓰루우(punch through)가 발생하여 0.7V 이하의 문턱 전압을 구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PMOS의 경우는 p+형 폴리 실리콘을, NMOS의 경우는 n+형 폴리 실리콘을 게이트 물질로 사용하는 듀얼 게이트 구조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듀얼 게이트 형성에 있어서는, 서로 다른 극성의 폴리 실리콘 사이 상부 막 금속 층(W6)을 통한 상호 확산이 문제가 되며, 또한 p+형 도핑 물질로 쓰인 B(Boron)의 빠른 확산으로 인하여 기판의 전기적 특성이 변화되는 문제도 발생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 방법으로 진행하였을 때의 NMOS 게이트에 발생한 문제점을 나타낸 SEM이다.
도 1과 같이, 0.15㎛의 CD(Critical Dimension)를 가진 SRAM에서 텅스텐(W) 금속 듀얼 게이트를 형성한 후 각각의 게이트의 프로파일을 관찰하면, NMOS 게이트, 즉, n+형 이온 주입을 받은 비정질 실리콘 상부의 Rp(projected Range)에서 비정질 실리콘 층 사이드 노치(side notch)가 생긴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사이드 노치(side notch)는 후속 스페이서 공정과 스페이서 프로파일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b는 종래의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 방법에 대해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도 2a와 같이,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정의된 반도체 기판(21)에 STI(Shallow Trench Isolation) 공정으로 트렌치 형의 소자 격리막(22)을 형성한다.
이어, 상기 소자 격리막(22)을 포함한 반도체 기판(21) 전면에 게이트 산화막(23)을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 산화막(23) 상에 비정질(amorphous) 실리콘층(24)을 증착한다.
그리고, NMOS형 및 PMOS형의 듀얼 게이트 형성을 위해 상기 제 1, 제 2 영역에 n+형 및 p+형의 이온을 각각 주입한다. 일반적으로 p+형 이온으로는 B(Boron)를 주입하고, n+형 이온으로는 P(Phosphorus)을 주입한다.
이어, 선택적으로 n+형 또는 p+형 이온이 주입된 상기 비정질 실리콘층 상(24)에 W/WN의 금속 층(25)을 증착한다. 상기 비정질 실리콘층 상(24)의 WN은 n+형 및 p+형의 이온이 서로의 영역으로 확산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어, 상기 금속 층(25) 상에 절연막 등을 사용하여 하드 마스크층(26)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드 마스크층(26) 상에 감광막(27)을 도포한 후, 노광 및 현상하여 감광막(27)을 패터닝하여 게이트 영역을 정의한다.
2b와 같이, 상기 패터닝된 감광막(27)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하드 마스크 층(26), 금속층(25), 비정질 실리콘 층(24)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제 1영역과 제 2 영역에 각각 제 1 게이트(100)와 제 2 게이트(200)를 형성한다. 상기 제 1 게이트 (100)는 NMOS형 게이트이고, 상기 제 2 게이트(200)는 PMOS형 게이트이다.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이온 주입을 통해 게이트 형성시 n+형 이온인 P(Phosphorus)가 질량이 크기 때문에 식각비(etch rate)가 커서, 그 손상(damage)이 크다. 도면에서 이온 주입한 영역이 짙은 색일수록 손상이 큼을 나타낸다.
도 3은 종래의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 방법으로 형성한 듀얼 게이트를 나타낸 SEM이다.
도 3과 같이, 실제로 종래의 방법으로 듀얼 게이트를 형성하여 보면, NMOS 게이트 측벽, 즉, 이온 주입이 있었던 영역에서 사이드 노치(side notch)가 일어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듀얼 게이트(dual gate)를 형성하기 위하여 p+형(Boron) 이온 주입과 n+형(Phosphorus) 이온 주입을 한 후, 이후의 식각 공정에서 상기 이온 주입된 이온의 식각비 차이로 n+형의 이온이 주입된 비정질 실리콘 층의 상부 측벽에서 사이드 노치(side notch)가 발생한다.
이러한 사이드 노치는 게이트 프로파일(gate profile) 특성을 나쁘게 하고, 추후의 스페이서 증착 공정에서 악영향을 일으켜 수율의 감소 및 소자의 신뢰성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게이트 형성시 열처리를 통한 이온 주입을 함으로써 게이트 프로파일을 개선시켜 수율의 향상 및 소자의 신뢰성을 향상하도록 한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 방법으로 진행하였을 때의 앤모스 게이트에 발생한 문제점을 나타낸 SEM
도 2a 내지 도 2b는 종래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 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
도 3은 종래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 방법을 통해 형성한 듀얼 게이트를 나타낸 SEM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 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 방법을 통해 형성한 듀얼 게이트를 나타낸 SEM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41 : 기판 42 : 소자 격리막
43 : 게이트 산화막 44 : 비정질 실리콘층
45 : WN/W의 금속층 46 : 하드 마스크층
47 : 감광막
400 : NMOS형 게이트 500 : PMOS형 게이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 방법은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정의된 반도체 기판의 소정 영역에 소자 격리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전면에 게이트 절연막과, 비정질 실리콘층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상에 형성된 비정질 실리콘층 내에 서로 반대 도전형의 불순물 이온을 각각 주입하는 단계와, 상기 불순물 이온이 주입된 비정질 실리콘층에 열처리 공정을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비정질 실리콘층상에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층과 비정질 실리콘층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에 각각 제 1 게이트와 제 2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례는 현재 0.15㎛ 16M Full CMOS SRAM 소자에서 적용하고 있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 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도 4a와 같이 제 1 영역, 제 2 영역으로 정의된 반도체 기판(41)에 STI 공정을 통해 트렌치 형의 소자 격리막(42)을 형성한다.
이어, 상기 반도체 기판(41) 상에 게이트 산화막(43),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층(44)을 차례로 증착한다.
이와 같이, 게이트 물질로 주로 사용해왔던 폴리 실리콘(Poly Si)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이후의 이온 주입 공정에서 p+형 이온 주입으로 사용되는 B(Boron)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이다. 만일 폴리 실리콘을 사용하게 되면 B의 빠른 확산으로 인해 기판의 전기적 특성이 변화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 비정질 실리콘 층(44)은 폴리 실리콘(Poly Si) 및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 층의 이중 증착 구조로 대체하여 상기 기술한 기판의 전기적 특성이 변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41)의 제 1 영역상에 형성된 비정질 실리콘 층(44)에 n+형의 이온을 주입하고, 제 2 영역상에 형성된 비정질 실리콘 층(44)에는 p+형의 이온을 주입한다.
여기서, 상기 n+형의 이온 주입을 하는 이온은 P(Phosphorus) 또는 As(Arsenic)를, p+형의 이온 주입을 하는 이온은 B(Boron)를 사용한다.
이어, 상기 n+형 및 p+형 이온이 주입된 반도체 기판(41)의 전면에 열처리를 하여 이온 주입으로 인한 Rp(projected Range) 영역의 손상을 최소화한다.
상기 열처리는 비정질 실리콘 층(44)이 결정화되지 않는 조건하(비정질 특성이 파괴되지 않도록 함)에 퍼니스(Furnace)를 이용하여, 300내지 450℃의 온도로 30분 이상 가열하여 실시하거나, 빠른 열처리 방식(RTP : Rapid Thermal Process)으로 450내지 800℃의 온도로 30분 이하로 가열하여 실시한다.
이 때, 상기 퍼니스 방식이나 빠른 열처리 방식의 열처리 공정시 분위기 가스로 N2, H2를 사용한다.
이어, 상기 이온 주입된 비정질 실리콘층(44) 상에 WN/W의 금속층(45)을 증착한다. 이러한 상기 금속 층(45)의 WN 성분은 비정질 실리콘층과 W의 금속층 계면에서 확산 방지막(diffusion barrier)으로 기능하며, 상기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의 도핑된 이온이 서로의 영역에 대해 확산이 일어나는 현상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금속 층(45)으로 WN/W 층을 사용하는 대신 TiN/W, TiN/Ti, WN/Ti, W6을 증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A/B에서 A는 확산 방지막, B는 원래의 금속층).
그리고, 상기 WN/W의 금속 층(45) 상에 하드 마스크 층(46)을 증착한다. 상기 하드 마스크 층(46)은 산화막을 주로 사용하며, 이후 게이트 식각 공정시 식각 방지막(etch barrier)으로서 기능한다.
이어, 상기 하드 마스크 층(46) 상에 감광막(47)을 도포하고, 노광 및 현상 공정을 통해 감광막(47)을 패터닝하여 게이트 영역을 정의한다.
도 4b와 같이, 상기 패터닝된 감광막(47)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하드 마스크 층(46), WN/W의 금속층(45), 비정질 실리콘층(44)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기판의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에서 각각 제 1, 제 2 게이트(400, 500)를 형성한다. 여기서 제 1 게이트는 NMOS형 게이트이며, 제 2 게이트는 PMOS형 게이트이다.
이 때 상기 열처리 공정으로 인해 Rp 영역의 손상이 거의 없으므로, 비정질 실리콘층(44) 측벽 상부에서 사이드 노치(side notch)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상기의 식각 공정시에는 특히, 금속층(45)을 식각함에 있어서는 반드시F(NF3, CF4, SF6) 계열의 가스를 사용한다.
그런데, F 계열의 가스는 상기 비정질 실리콘(Si)을 등방성(isotropic)으로 식각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즉, 비정질 실리콘층(44) 측벽에서 언더 컷(undercut)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측벽의 언더 컷 정도는 상기 이온 주입 공정에서의 비정질 실리콘 층 손상(damage)에 따라 다른 데, 상기 이온 주입 공정시 열처리를 함으로 인해 비정질 실리콘 층의 손상이 최소화되었으므로, 비정질 실리콘의 측벽에서의 언더컷 현상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이후,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식각 공정 중 WN/W의 금속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한 하드 마스크를 평탄화 공정을 통하여 제거한다.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하드 마스크 제거 후 남아있는 비정질 실리콘 층과 W/WN의 금속층은 함께 게이트 의 역할을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 방법을 통해 형성한 듀얼 게이트를 나타낸 SEM이다.
도 5와 같이, 듀얼 게이트, 즉, 앤모스 게이트 및 피모스 게이트 모두 측벽에 손상이 없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SRAM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식각 이전 열처리 공정에서 게이트 식각 후 이온 주입을 시행하는 계면에서 발생하는 기판 사이드 노치 현상을 억제하여 후속 스페이서 증착 및 프로파일을 개선하여 수율 및 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7)

  1.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정의된 반도체 기판의 소정 영역에 소자 격리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전면에 게이트 절연막과, 비정질 실리콘층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상에 형성된 비정질 실리콘층 내에 서로 반대 도전형의 불순물 이온을 각각 주입하는 단계;
    상기 불순물 이온이 주입된 비정질 실리콘층에 열처리 공정을 실시하는 단계;
    상기 비정질 실리콘층상에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금속층과 비정질 실리콘층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에 각각 제 1 게이트와 제 2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공정은 퍼니스를 이용하여 300내지 450℃에서, 30분 이상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공정은 RTP 공정으로 450내지 800℃에서 30분 이내로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공정은 분위기 가스로 N2,H2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실리콘층 상에 다결정 실리콘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층은 WN/W, TiN/W, TiN/Ti, WN/Ti, W6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듀얼게이트 형성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층의 선택적 식각시 F계열의 가스로 식각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 방법.
KR10-2001-0013362A 2001-03-15 2001-03-15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 방법 KR100407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3362A KR100407988B1 (ko) 2001-03-15 2001-03-15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3362A KR100407988B1 (ko) 2001-03-15 2001-03-15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3642A true KR20020073642A (ko) 2002-09-28
KR100407988B1 KR100407988B1 (ko) 2003-12-01

Family

ID=27697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3362A KR100407988B1 (ko) 2001-03-15 2001-03-15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79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697B1 (ko) * 2005-06-29 2007-03-2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듀얼 폴리사이드 게이트를 갖는 씨모스 소자의 제조방법
KR100746623B1 (ko) * 2006-06-29 2007-08-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듀얼폴리게이트 형성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7091B2 (ja) * 1995-12-27 2002-09-24 ソニー株式会社 デュアルゲート構造のcmos型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162714A (en) * 1997-12-16 2000-12-19 Lsi Logic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thin polygates for sub quarter micron CMOS process
KR100261683B1 (ko) * 1997-12-31 2000-07-15 김영환 듀얼 게이트 전극 제조방법
KR100332125B1 (ko) * 1999-06-30 2002-04-10 박종섭 씨모스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KR100598162B1 (ko) * 1999-07-02 2006-07-1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장치의 게이트 형성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697B1 (ko) * 2005-06-29 2007-03-2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듀얼 폴리사이드 게이트를 갖는 씨모스 소자의 제조방법
US7417283B2 (en) 2005-06-29 2008-08-26 Hynix Semiconductor Inc. CMOS device with dual polycide gat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46623B1 (ko) * 2006-06-29 2007-08-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듀얼폴리게이트 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7988B1 (ko) 2003-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203560A1 (en) CMOS transistor having different PMOS and NMOS gate electrode structures and method of fabrication thereof
JP4633310B2 (ja) Mosトランジスタのゲルマニウムがドーピングされたポリシリコンゲートの形成方法及びこれを利用したcmosトランジスタの形成方法
US20050048729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istor
KR100843879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2004282068A (ja) 半導体装置の形成方法
KR100407988B1 (ko)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 방법
KR100311498B1 (ko) 반도체 소자의 이중 게이트 형성방법
KR100753136B1 (ko) 듀얼 폴리실리콘게이트를 구비한 반도체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73240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906500B1 (ko) 반도체소자의 게이트 제조방법
KR100915165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315451B1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및 샐리사이드 콘택 형성 방법
KR100459932B1 (ko)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KR100236056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344840B1 (ko) 반도체 소자의 듀얼게이트 형성 방법
KR100459930B1 (ko) 부분적으로 셀프 얼라인 된 살리사이드 콘택 형성 방법
KR100866704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TW202341478A (zh) 電晶體結構及其製造方法
KR20030049353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30052481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274341B1 (ko) 반도체소자의제조방법
JP2001257343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KR20030001750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30051037A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 방법
KR20030057909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