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5633A -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5633A
KR20020065633A KR1020027008637A KR20027008637A KR20020065633A KR 20020065633 A KR20020065633 A KR 20020065633A KR 1020027008637 A KR1020027008637 A KR 1020027008637A KR 20027008637 A KR20027008637 A KR 20027008637A KR 20020065633 A KR20020065633 A KR 20020065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or
switch device
operators
dial
operation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8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리니시유수케
수주키히로히토
하세가와도모노리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5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63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8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01H2019/146Roller type actu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08Actuators other then push button
    • H01H2221/016Lever; Rock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2Telephone handset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두개의 조작자들이 그 사이에 하나의 조작자를 두고 배열된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조작자들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고,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장치(11)는 조그 다이얼(20)의 다이얼부(23)(중앙 조작자)와, 그 사이의 다이얼부와 서로 근접하여 배치된 2개의 조작 버튼 스위치(21)의 조작버튼들(24,24)(외측 조작자)을 가지고, 조작버튼의 조작면(35)은 조그다이얼부로부터 더 높아지는 경사면(35a)에 형성된다.

Description

스위치 장치{Switch device}
종래, 휴대전화기 등의 핸디 전자기기에 있어서, 복수의 항목(처리) 등으로부터 선택 등을 행하기 위한 스위치 장치로서 소위 조그 다이얼이 채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그 다이얼을 통해 예정된 항목들로부터의 선택을 확정하고 실행하는데 있어서 상기 조그 다이얼에 배열된 2개의 누름 버튼 스위치를 가지는 스위치 장치가 있다.
그러나 조그 다이얼과 2개의 누름 버튼 스위치들은 조작성이 조악한 문제점을 가진다.
즉, 조그 다이얼의 조작과 2개의 누름 버튼 스위치들의 조작은 대개 동일한 손가락을 사용함으로써 실행된다.(예를들면 엄지) 그러나, 누름 버튼 스위치용 조작자들과 조그 다이얼의 다이얼부(조작자) 사이의 관계(형태, 상대적 위치 등)에 특별한 고안들이 적용되지 않았다. 조그 다이얼 조작 이후에 누름 버튼 스위치를 조작할 때, 조그 다이얼을 조작하는데 사용된 손가락은 다이얼부에서 떨어져서 누름 버튼 스위치의 조작자로 이동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그 조작성이 조악하다.
또한 3개의 조작자들이 근접하여 배치된 때에, 소위 동시적인 누름 또는 2개의 인접한 조작자들이 동시에 눌러지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두개의 조작자들이 그 사이에 있는 하나의 조작자와 배열된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조작자들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또 복수의 조작자들의 동시적인 누름을 방지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한 방향으로 배열된 3개의 조작자를 가진 스위치 장치 및 그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도 2에서 도 4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장치가 적용된 접는 휴대전화의 전체를 나타내고, 본 도면은 상케이스와 하케이스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전화의 상케이스와 하케이스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휴대전화의 상케이스와 하케이스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고, 도 2와는 다른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휴대전화의 상케이스와 하케이스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6에서 도 9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고, 본 도면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스위치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스위치 장치의 일부를 잘라내어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과는 다른 방향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1과 함께 스위치 장치가 손가락으로 조작된 상태를 나타내고 본 도면은 중앙 조작자가 조작되고 있는 모양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1은, 중앙 조작자에서 외측 조작자로의 손가락 이동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2는, 외측 조작자가 조작되고 있는 모양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상케이스 4. 하케이스
6. 안테나 7. 스피커
9. 액정 디스플레이 14. 커넥터
20. 조그다이얼 21. 조작 버튼 스위치
23. 다이얼부 24. 조작 버튼
25. 베이스판 26. 지지 베어링부
35a. 경사면 35b. 평단면
그래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장치는 중앙 조작자와, 중앙 조작자의 양쪽에 위치한 2개의 근접 위치된 외측 조작자들을 가지는 스위치 장치이고, 외측 조작자들의 각 조작면이 중앙 조작자로부터 더욱 높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장치는 중앙 조작자에 근접한 외측 조작자들은 중앙 조작자에 손가락 인주를 누르고, 중앙 조작자 위에서 굴리는 것처럼 손가락을 이동시키는 것만으로도 조작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하나의 손가락으로 3개의 조작자들을 가지는 스위치 장치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도 외측 조작자들은 3개의 조작자들의 배열에 거의 직교하고, 조작면들이 눌러진 방향에 거의 직교한 회전축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나아가 회전축은 외측조작자의 중앙조작자에 더 근접한 측면에 위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중앙 조작자가 조작된때는 외측 조작자가 조작될 수 없고, 외측 조작자가 조작된 때는 중앙 조작자는 조작될 수 없다. 이에 의해 소위 동시의 누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상세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따라서 이하 설명된다.
그런데, 도면에 나타난 각 실시형태는, 본 발명이 스위치 장치가 적용될 조그 다이얼과 조그 다이얼의 조작자인 다이얼부의 양쪽에 인접하여 위치된 2개의 조작자들을 갖는 이동전화의 스위치 장치이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장치를 채용하고 있는 핸디 전자장치로서 휴대전화가 도 1에서 도 4까지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된다.
휴대전화(1)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본체 케이스(2)를 가지고, 각종 부재들이 본체 케이스(2)에 수납되거나 부착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2)에서, 상케이스(3)의 하단부와 하케이스(4)의 상단부는 힌지(hinge)(5)를 통하여 서로 결합되어 있다. 양 케이스(3,4)는 각각의 정면이 서로 맞물려 있는 닫힌 상태와 양 케이스(3,4)의 정면이 보이는 열린 상태 사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그런데, 양 케이스(3,4)의 열린 상태에 있어서, 양 케이스(3,4)의 각각의 정면 사이의 각도가 거의 160도로 되어 있다. 그런 상태하에서 상케이스(3)의 하단부의 일부와 하케이스(4)의 상단부의 일부는 서로 접하고, 그럼으로써 상기 양 케이스(3,4)의 열린 각도는 규제된다.
안테나(6)는 상케이스(3)의 상부에 부착되어 자유롭게 인출되고 수납될 수 있다. 그리고 전파는 안테나(6)를 통해 기지국에 송신되고 수신된다.
전기음향 변환수단으로서 스피커(7)가 상케이스(3)의 정면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전화시, 통화상대의 음성이 이 스피커(7)에서 출력되게 된다.
음성전기 변환수단으로서 마이크로폰(8)이 하케이스(4)의 정면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전화통화시 이용자의 음성이 이 마이크로폰(8)에 의해 수집된다.
표시수단으로서 액정 디스플레이(LCD)(9)가 상케이스(3)의 정면의 대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신호 강도, 전지잔량, 통화상대의 전화번호,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내용(상대방의 전화번호와 이름 등), 발신 및 수신이력, 그외 각종의 등록된 내용 등,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입력조작수단으로서 다양한 조작키들(10,10,...)이 상부와 하부를 제외한 하케이스(4)의 정면의 대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조작키들(10,10,...)의 누름조작이 각종 명령,문자 등의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조작키들(10,10,...)과는 별개의 입력조작수단으로서 스위치 장치(11)가 하케이스(4)의 정면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별개의 입력조작 장치로서 누름버튼 스위치(12,12)들이 스위치 장치(11)의 좌우측면으로 약간 분리된 하케이스(4) 상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개구부(4a)가 하케이스(4)의 양측면들의 하부와 하단면에 형성되고, 하개구부(4a)를 아래 및 양측방향으로부터 덮도록 엘라스토머(elastomer)로부터 이루어진 보호부재(13)가 부착되어 있다.
인터페이스 커넥터(IF connector)(14)는 하개구부(4a)로부터 아래쪽으로 약간 돌출하도록 하케이스(4)의 하개구부(4a)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어폰 잭(15)은 하개구부(4a)의 오른쪽상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그 위치는 그 하단부보다 약간 위쪽이다.
그리고, 하케이스(4)의 하단에 부착된 보호부재(13)는 IF커넥터(14) 뿐 아니라 하케이스(4)의 하개구부(4a)도 덮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IF커넥터(14)를 폐쇄하는 커넥터 커버부(13a)와 이어폰 잭을 폐쇄하는 이어폰 잭 커버부(13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5에서 도 9까지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장치(11)는 조그 다이얼(20), 좌우 조작 버튼 스위치(21,21), 조그 다이얼(20)과 좌우 조작 버튼 스위치(21,21)를 유닛화 하기 위한 직사각형 프레임(22)으로 이루어져 있다. 조작 버튼 스위치(21,21)에 대한 조작자들로서 조작 버튼(24,24)이 조그 다이얼(20)의조작자로서의 다이얼부(23)의 좌우방향으로 위치되어 있다. 그런데, 다이얼부(23)는 특허청구범위에 지시된 중앙 조작자에 해당하고, 조작 버튼 스위치들(23,23)은 특허청구범위에 지시된 외측 조작자에 해당한다.
조그 다이얼(20)은 상기 원통형의 상기 다이얼부(23)와 약간 두꺼운 판 형태를 하고 그 중앙부에 놓여진 다이얼부(23)의 하측 거의 1/3이 수납된 오목부를 가지는 베이스판(25)을 포함한다. 다이얼부(23)의 좌우양단부를 회전가능 하도록 지지하는 지지 베어링부(26,26)가 베이스판(25)에 맞춰진다. 또한 좌우 방향으로 돌출된 설편(27,27)들이 스위치 장치(11)의 프레임(22)과 결합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종 접점이(도시하지 않음) 베이스판(25)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인코더 등이 지지 베어링부(26,26)내로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조그 다이얼(20)의 다이얼부(23)의 회전 조작의 실행은 항목선택용 커서 등의 표시 뿐만 아니라 액정 디스플레이(9)에 표시된 메뉴, 발신 및 수신 이력 리스트, 전화번호부 리스트 등과 같은 각종 표시항목의 스크롤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조그 다이얼(20)은 하케이스(4)의 내부방향으로 누르는 조작에 의해, 액정 디스플레이(9)에 표시된 항목을 확정하거나 실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나아가, 좌우 조작 버튼 스위치(21,21)를 조작함으로써 예정된 항목들을 선택하거나 실행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예를들면, 좌우 조작 버튼 스위치(21,21)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누름 조작에 의해 확정된 항목의 해제(클리어)가 가능하고,또는 상기 누름 조작에 의해 메뉴표시 동안에 메뉴층을 한단계 올리거나, 이용자가 통화중이라면 통화대기 메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레임(22)의 후면측에 형성된 작은 돌기(22a,22a)와 외부적으로 맞물린 상기 베이스판(25)의 설편(27,27)에 형성된 작은구멍(27a,27a)을 가짐으로써, 그리고 예를들면 작은 돌기(22a,22a)의 선단부를 열용착하는 것에 의해 조그 다이얼(20)이 프레임(22)에 결합된다.
프레임(22)에서 상기와 같이 각 프레임편들(22u,22d,22r,22l)에 의해 둘러싸인 중앙부에 조그 다이얼 배치구멍(28)이 형성된다. 조그 다이얼 배치구멍(28)의 좌우측면의 프레임편(22r,22l)들은 약간 넓은 평단부(29,29)에 형성된다. 원형의 접점부(30,30)는 그 중심보다 약간 상측에 비스듬한 위치에서 평단부(29,29)에 설치된다.
또한 돌기형의 버튼 회전축(31,31,...)들이 프레임(22)(평단부 29,29에 근접한 위치)의 상하 프레임편들(22u,22d)의 좌우단부에 상하방향으로 각각 돌출하여 형성된다. 그러한 버튼 회전축(31,31,...)들은 상기 조그 다이얼(20)의 베이스판(25)의 지지 베어링부(26,26) 위치와 상하 방향으로 대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 조그 다이얼(20)과 프레임(22)은 별개의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것에 한하지 않고, 단일 구조로 통합되어도 좋다.
또한 버튼 회전축(31)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지시된 외측 조작자의 회전 축(31)에 대응한다. 또한 청구범위 제 3항 및 제 4항에 기재된[3개의 조작자들의 배열 방향]은 이 실시형태에서는 좌우방향이다. 그리고,[조작면의 누름 방향]은 이 실시형태에서는 하케이스(4)의 내부 방향이다. 결국 이 실시형태에서는 회전축(31)의 방향은 그들 모두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 즉 상하방향이다.
혀모양이고 외부로 돌출한 피지지편(32,32)은 프레임(22)의 좌우 프레임편(22r,22l) 외측 가장자리의 위치에 형성되고, 그 위치들은 중심보다는 하부에 조금 더 가깝다. 작은 구멍들(32a,32a)이 상기 피지지편(32,32)에 각각 형성된다. 피지지편(32,32)에서는, 작은 구멍들(32a,32a)이 하케이스(4)의 정면 반(참조부호 생략)의 뒤쪽에 돌출되어 형성된 작은 돌기(도시생략) 내로 삽입된 후 작은 돌기들의 선단부는 예를들면 열용착되어 하케이스(4)의 내부에 스위치 장치(11)가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조그 다이얼(20)의 다이얼부(23)와 좌우 조작 버튼 스위치들의(21,21) 조작 버튼들은(24,24) 하케이스(4)의 표면을 통하여 돌출된다.
스위치 장치(11)의 좌우 조작 버튼 스위치들은(21,21) 좌우대칭인 점을 제외하고는 거의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다. 따라서 좌 조작 버튼 스위치(21)만 설명되고, 우 조작 버튼 스위치(21)의 설명은 대응부위 및 대응부분에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임으로서 생략된다.
조작 버튼 스위치(21)는 상하측 좌측이 폐쇄되어 있고 외형이 거의 반원통형인 조작 버튼(24)과, 조작 버튼(24)의 뒤쪽 가장자리상에 왼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평단부(29)의 전방에 위치된 눌림편(33)과 뒤쪽 가장자리에서 상방 및 하방으로 돌출되고 또한 이들 선단 가장자리에 있어서 뒤쪽에 돌출된 피지지편(34,34)을 포함한다.
조작 버튼(24)은 다이얼부(23)와 반대측에서 상기 조그 다이얼(20)의 지지 베어링부(26)의 전면, 상면, 하면, 좌측면을 덮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 전면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손가락(F)에 의해 눌러질 조작면(35)이다.
눌림편(33)의 뒤쪽면에는 작은 볼록부(36)가 상기 접점부(3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작 버튼 스위치(21)가 조작되면 작은 볼록부(36)가 접점부(30)를 누르고 조작 버튼 스위치(21)를 켜게 된다.
피지지편(34,34)에서, 작은 구멍(34b,34b)들이 서로의 반대편에 형성되고, 작은 구멍(34b,34b)들은 프레임(22)의 회전축(31,31)과 각각 맞물려 있다. 따라서 조작 버튼 스위치(21)는 회전가능하도록 프레임(22)에 의해 지지된다.
그런데, 이 실시형태에서 조작 버튼 스위치(21)는 회전가능하도록 프레임(22)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나 본 발명 이것에 한하지 않는다. 조작 버튼 스위치(21)는 조그 다이얼(20) 측의 부재, 예를들면 베이스판(25) 또는 지지 베어링부(26)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도 좋다.
이처럼, 회전 가능하도록 조작된 버튼 스위치(21)에서, 그 조작면(35)이 조그 다이얼(20)의 다이얼부(23)보다 약간 더 낮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스위치 장치(11)가 손가락(F)으로 접촉된 때 어느 조작자(다이얼(23)과 조작버튼(24,24))가 접촉되었는지 쉽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다이얼부(23)가 눌려진 때, 다이얼부(23)와 조작 버튼 스위치(21)의 조작면(35)은 높이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나아가 조작 버튼(24)의 조작면(35)은 우측 가장자리가 상하 방향으로 호를 가지고, 상기 다이얼부(23)의 원주와 거의 같거나 또는 작은 곡률로 형성되어 표면측에 대한 돌출량이 좌방향에 따라서 증가하는 경사면(35a)에 형성된다. 또한 좌단은 표면측에 대한 돌출량이 변하지 않는 평단면(35b)으로 형성된다.
그런데 경사면(35a)과 평단면(35b)과 같은 용어는 아래로부터 봤을때 조작 버튼(24)의 능선이 경사졌는지 평평한지를 표현한다. 실제로 조작면(35)의 경사면(35a)은 좌방향을 따라서 표면측으로 넓어지는 트럼펫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 경사면(35a)은 조작 버튼(24)의 좌우 방향을 따라서 중앙부의 지점으로부터 돌출량이 점차 증가하는 경사면으로 규정된다. 그러나 경사면은 상기 구성에 한하지 않고 조그 다이얼(20)의 측면의 조작 버튼(24)의 가장자리로부터 경사지게 구성되어도 좋다.
그래서, 조작 버튼 스위치(21)는 조작 버튼(24)의 내부공간에 조그 다이얼(20)의 지지 베어링부(26)을 덮고,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22)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면(35)의 우측 가장자리가 상기 조그 다이얼(20)의 다이얼부(23)의 왼쪽 가장자리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또한 조작 버튼 스위치(21)의 눌림편(33)의 작은 돌기부(36)는 접점부(30)에 접촉 또는 근접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그 다이얼(20)과 좌우 조작 버튼 스위치(21,21)들이 유닛화 되어 있는 스위치 장치(11)는 하케이스(4)에 그 내측에서 부착되고, 다이얼부(23)와 좌우 조작 버튼(24,24)은 하케이스(4)의 표면으로부터 약간 돌출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나아가 조그 다이얼은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 버튼 스위치(21)보다 약간 높게 되어 있다.
따라서, 스위치 장치(11)가 손가락(F)으로 접촉된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3개의 조작자(다어얼(23)과 조작 버튼 스위치들(21,21))가 어느것이 접촉되고 있는지는 쉽게 확인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것은 그들의 조작가능성 향상에 기여한다.
그래서, 조그 다이얼이 조작되는 때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다이얼부(23)를 손가락(F)의 인주를 사용함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굴리는 것처럼 회전시키고, 하케이스(4)의 내부 방향으로 누르는 조작에 의해 행하여진다.
또한 좌우 조작 버튼 스위치(21,21)들이 조작되는 때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굴리는 것처럼 다이얼(23)에 배치된 손가락(F)을 이동시키고, 손가락(F)의 끝보다 약간 측면에 근접한 부위를 사용하여 조작 버튼(24,24)의 조작면(35,35)을 누르는 것에 의해 행하여진다. 눌려진 조작 버튼 스위치(21,21)들은 버튼 회전축(31,31)주위로 회전되고, 그 외측부분들은(눌림편(33,33)) 하케이스(4) 내부 방향으로 눌려짐으로써 조작된다. 그래서 눌림편(33,33)의 뒤쪽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작은 돌기부(36,36)는 틀체(22)의 접점부(30)를 누르고, 각 조작 버튼 스위치들을(21,21) 별개로 켠다.
구체적으로는 다이얼부(23)에 배치된 손가락(F)이 좌우 방향으로 그것을 굴리는 것처럼 이동되는 때에 손가락(F) 인주가 다이얼부(23)를 접촉하더라도 조작 버튼(24)를 누르고 있는 손가락(F)의 부분은 굴림 방식으로 조작면(35)의 경사면(35a)을 접촉하는 동안에 외부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손가락(F)의 살이 평단면(35b)에 배치된 때에, 평단면(35b)상의 하케이스(4)의 내부 방향 힘은증가하고, 따라서 조작 버튼 스위치(21)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작은 돌기부(36)는 접점부(30)을 누른다. 그래서 그러한 평단면(35b)은 조작 버튼 스위치(21)의 조작을 더 용이하게 하도록 기능한다. 이것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손가락(F)이 경사면(35a)에서 좌우 방향으로 상당한 정도로 이동되지 않을 경우 조작 버튼 스위치(21)를 회전시키는 힘이 생성되지 않고 조작성이 조악해진다.
또한 좌우 조작 버튼 스위치(21,21)들이 조작되는 때에, 각 외측면들이 눌러진다.(좌 조작 버튼 스위치(21)의 경우는 좌단, 우 조작 버튼 스위치(21)의 경우는 우단) 그래서 다이얼부(23)는 결코 동시에 눌러지지 않는다. 따라서 소위 2개의 누름 버튼들의 동시누름이 실행되는 일은 없다.
즉, 좌우 조작 버튼 스위치(21,21)는 조작 버튼 스위치(24,24)의 측면이 다이얼부(23)를 향해 눌러지더라도 뒤쪽면(하케이스(4)의 내부방향)으로 눌러질 수 없고 결국 그 회전 지주들이(fulcrums)(버튼 회전축(31,31)) 다이얼부(23) 방향의 측면에 존재한다. 따라서 좌우 조작 버튼 스위치(21,21)의 조작에 있어, 그들을 누르고 있는 손가락(F)이 이미 다이얼부(23)에서 분리되거나, 적어도 누름 방향으로 힘이 공급되지 않는다. 비록 손가락(F)이 다이얼부(23)를 접촉하고 있어도 이는 뒤쪽면으로(하케이스(4)의 내부방향) 눌러질 수 없다. 따라서 2개의 누름 버튼들의 동시 누름이 방지된다.
다이얼부(23)가 하케이스(4)의 내부방향으로 눌림에 의해 조작되는 때에도 역시 마찬가지이다. 손가락(F)이 좌우 조작 버튼(24,24)을 접촉하고 있거나 다이얼부(23)가 하케이스(4)의 내부방향으로 눌려질 수 있더라도, 버튼 회전축(31,31)이 그러한 조작을 방해하기 때문에 좌우 조작 버튼 스위치(21,21)들은 하케이스(4)의 내부방향으로 눌려지지 않고 따라서 2개의 누름 버튼의 동시 누름을 방지한다.
그러한 스위치 장치(11)에서, 각 조작자들(다이얼부(23)와 조작 버튼들(24,24))의 배열방향의 길이가 15mm와 25mm 사이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기 실시형태에 따라 휴대전화기(1)의 스위치 장치(11)의 배치구조로부터 고려하면 조작자들을(23,24,24) 조작하는 손가락(F)이 엄지가 되도록 나타내질 수 있고, 인간의 엄지의 폭은 보통 성인 남자는 20mm에서 25mm 이고, 성인 여자는 15mm에서 20mm 이다. 그래서 조작성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예를들면 스위치 장치(11)의 치수가 20mm로 되면, 다이얼부(23)의 치수는9mm로, 각 조작 버튼 스위치들(21,21)의 치수는 5.2mm, 다이얼부(23)와 조작 버튼 스위치(21) 간의 간격을 0.3mm로 하고, 조작 버튼 스위치(21)의 경사면(35a)을 4.3mm로, 평단면(35b)을 0.9mm로 해도 좋다.
또한 당해 스위치 장치(11)의 좌우 방향의 치수는 상술한 인간의 손가락(F)의 폭 치수에 기초하여 어느정도까지 결정될 수 있으나 휴대 전화(1)의 폭 치수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위치 장치(11)가 2개의 조작 버튼 스위치들(21,21)이 다이얼부(23)의 양측에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더라도, 이들 3개의 조작자들(다이얼부(23)와 조작 버튼 스위치들(21,21))이 서로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향상될 수 있고, 그 스위치 장치의 조작자들의 배열 방향의치수를 감소시키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처럼 스위치 장치(11)를 채용함으로써 휴대전화 같은 단말 장치들에 관하여 좌우 방향의 치수가 감소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다른 스위치들 즉 상기 실시형태에서 누름 버튼 스위치들(12,12) 등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데, 상기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장치는 중앙 조작자가 조그 다이얼의 다이얼부인 장치에 적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러한 것에 한하지 않고 중앙 조작자가 누름 버튼 스위치이어도 좋다. 요약하면, 중앙 조작자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외측 조작자들의 조작면들은 중앙 조작자에서 측면 방향으로 멀어질수록 높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것만이 요구된다.
또한 외측 조작자의 조작면의 경사면이 트럼펫 형태인 장치가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그러한 것에 한하지 않고, 그 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평평하고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것이어도 좋다.
게다가 상기 실시형태에서 도시된 각 부재들의 실제 형태 및 구조들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구체화의 예일 뿐이며, 그것으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좁게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상기의 설명들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장치는 중앙 조작자와 그 사이의 중앙 조작자와 서로 근접하여 배치된 2개의 외측 조작자를 갖는 스위치 장치이고, 외측 조작자들의 조작면들이 중앙 조작자에서 측면으로 멀어질수록 높아지는 경사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는, 단순히 중앙 조작자 상에손가락 인주를 위치시키고 손가락을 중앙 조작자 위에서 굴리는 것처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인접한 외측 조작자들이 조작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한 손가락에 의해 3개의 조작자를 가진 스위치 장치의 조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조작 버튼들이 중앙 조작자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는 상술한 구조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3개의 조작자들은 서로서로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그들의 조작성은 향상될 수 있으며 나아가 3개의 조작자들을 서로 근접하게 위치시킴으로써 스위치 장치의 배열방향의 치수가 감소될 수 있고, 따라서 그러한 스위치 장치를 채용하고 있는 전기 장치에 있어서 그들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할 뿐 아니라 다른 스위치들 즉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누름 버튼 스위치들(12,12) 역시 설치될 수 있고 더욱 다기능화를 기대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 2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외측 조작자들의 조작면들은 경사면들에 연속적인 평단면으로 형성된 그 외측부을 가진다. 그러므로 중앙 조작자를 조작하는 손가락이 외측 조작자로 이동되면, 손가락 끝의 중심부보다 측면에 약간 더 가까운 부분이 평단면에 의해 용이하게 걸릴 수 있고, 외측 조작자들의 조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
청구범위 제 3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3개의 조작자들의 배열 방향의 길이가 15mm에서 25mm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인간의 엄지손가락의 치수를 고려한 때 , 조작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별개의 스위치 장치는, 외측 조작자가 3개이 조작자들의 배열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이고 또한 조작면들의 눌림 방향에 거의 직교하는 회전축에 설치됨으로써 자유로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며 그 회전축은 중앙 조작자에 인접한 외측 조작자의 측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별개의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중앙 조작자가 조작되는 때는 외측 조작자는 조작될 수 없고, 외측 조작자가 조작되는 때는 중앙 조작자는 조작될 수 없다. 그러므로, 소위 동시 누름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4)

  1. 제 1의 조작자(이하〔중앙조작자〕라 함)와 외측 조작자들 사이에 중앙 조작자를 끼우도록 서로 근접하여 배치된 2개의 조작자들(이하〔외측 조작자들〕이라 함)을 가지는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중앙 조작자로부터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높아지는 경사면 상에 형성된 외측 조작자의 조작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외측 조작자의 조작면은, 그 외측 단부가 상기 경사면에 연속하여 평단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3개의 조작자들의 배열 방향의 길이가 15 mm에서 25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4. 제 1의 조작자(이하〔중앙조작자〕라 함)와 외측 조작자들 사이에 중앙 조작자를 두고 서로 근접하여 배치된 2개의 조작자들(이하〔외측 조작자들〕이라 함)을 가지는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측 조작자들은 3개이 조작자들의 배열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이고또한 그 조작면들의 눌림 방향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인 회전축을 가지고, 그 회전축은 중앙 조작자에 근접한 외측 조작자의 측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KR1020027008637A 2000-11-07 2001-11-07 스위치 장치 KR200200656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39124A JP2002150894A (ja) 2000-11-07 2000-11-07 スイッチ装置
JPJP-P-2000-00339124 2000-11-07
PCT/JP2001/009732 WO2002039471A1 (fr) 2000-11-07 2001-11-07 Dispositif de commut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633A true KR20020065633A (ko) 2002-08-13

Family

ID=18814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8637A KR20020065633A (ko) 2000-11-07 2001-11-07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74322B2 (ko)
EP (1) EP1261003A4 (ko)
JP (1) JP2002150894A (ko)
KR (1) KR20020065633A (ko)
WO (1) WO20020394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47609B2 (en) * 2003-12-31 2008-11-0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based fault classification
KR100804790B1 (ko) * 2004-03-10 2008-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능선택스위치를 구비한 스크롤키
US7812271B2 (en) * 2005-11-30 2010-10-12 Lg Electronics Inc. Complex button assembly and portable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KR100724433B1 (ko) * 2006-02-28 2007-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US7860538B2 (en) * 2006-02-28 2010-12-2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7996050B2 (en) * 2006-02-28 2011-08-09 Lg Electronics Inc. Input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JP4888202B2 (ja) * 2007-04-10 2012-02-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入力操作部品
EP1995752B1 (en) * 2007-04-20 2013-10-16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Multifunctional rotary switch
JP5555015B2 (ja) * 2010-03-10 2014-07-2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車載用入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0338A (en) * 1983-06-20 1986-05-20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Switch for adjustably tilting mirror members of outer members
JPS61128612U (ko) * 1985-01-29 1986-08-12
US5689095A (en) * 1993-09-20 1997-11-18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Switching device
US5412165A (en) * 1993-11-19 1995-05-02 Eaton Corporation Multiple switch assembly with detented rocker actuator
US6097964A (en) * 1997-09-04 2000-08-01 Nokia Mobile Phones Limited Navigation key for a handset
US5923007A (en) * 1997-10-15 1999-07-13 Motorola, Inc. Switch assembly including rocker switch with integrated center selector switch
JPH11191344A (ja) * 1997-12-26 1999-07-13 Niles Parts Co Ltd 複合スイッチ
US6332024B1 (en) * 1998-03-05 2001-12-1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ortable terminal
JP3060240U (ja) * 1998-07-23 1999-08-17 京セラ株式会社 移動体通信機器のマルチファンクションキー
JP2000173404A (ja) * 1998-12-04 2000-06-23 Sony Corp スイッチ装置
JP3951485B2 (ja) * 1998-12-25 2007-08-0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回転・押圧操作型電子部品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055281B2 (ja) * 1999-02-10 2008-03-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押圧・回転操作型電子部品
TW508606B (en) * 1999-07-27 2002-11-01 Alps Electric Co Ltd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74322B2 (en) 2004-08-10
JP2002150894A (ja) 2002-05-24
WO2002039471A1 (fr) 2002-05-16
US20030136651A1 (en) 2003-07-24
EP1261003A1 (en) 2002-11-27
EP1261003A4 (en) 2006-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56911B2 (ja) スイッチ装置
KR100753094B1 (ko) 회전조작스위치장치 및 통신단말장치
AU748845B2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EP0913977B1 (en) A radiotelephone handset
EP0913976B1 (en) A radiotelephone handset
JPH11126126A (ja) 携帯電話機用スクロールスイッチ装置
US20080018607A1 (en) Input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20065633A (ko) 스위치 장치
US20100311477A1 (en) Biasing component for raising and lowering a keyboard for a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EP2412149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function button operable by a stylus or by a similar device
US20070123320A1 (en) Key input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US7106857B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CA2705660C (en) A biasing component for raising and lowering a keyboard for a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JP3844585B2 (ja) 携帯型無線通信装置
JP2004319327A (ja) 方向操作キー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端末装置
JP5045277B2 (ja) 電子機器におけるキー構造及び電子機器
JP2005236924A (ja) 開閉式携帯情報端末
JP4534374B2 (ja) 操作装置
JP2003092620A (ja) スイッチ装置、携帯型情報端末装置、及び機器操作方法
JP2004112431A (ja) 携帯電話
JP2000090780A (ja) マルチファンクションキー
JP2007329616A (ja) 通信端末装置
JP2004296329A (ja) キー及びキーを備えた電子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