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5196A - 벨트용 버클 - Google Patents

벨트용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5196A
KR20020065196A KR1020010005599A KR20010005599A KR20020065196A KR 20020065196 A KR20020065196 A KR 20020065196A KR 1020010005599 A KR1020010005599 A KR 1020010005599A KR 20010005599 A KR20010005599 A KR 20010005599A KR 20020065196 A KR20020065196 A KR 20020065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main plate
buckle
stop member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5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태환
김성근
황소현
Original Assignee
유태환
김성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태환, 김성근 filed Critical 유태환
Priority to KR1020010005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5196A/ko
Publication of KR20020065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19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1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turnable clamp
    • A44B1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turnable clamp with strap tigh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16Strap held by spring action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용 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벨트의 자유단을 신속하게 벨트에 착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클의 메인 플레이트를 회전할 수 있도록 한 벨트용 버클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버클의 메인 플레이트의 후방에 긴 홈이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소켓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소켓에는 리벳이 벨트 고정부재의 구멍을 통과하여 박히게 된다. 벨트 고정부재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일면은 벨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고, 그 반대면에는 메인 플레이트의 긴 홈에 끼워져 안착될 수 있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돌출부의 중앙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소켓이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벨트 고정부재의 개방면의 반대면과 소켓에 박힌 리벳의 머리 사이에는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벨트 고정부재의 측면에는 두 개의 구멍이 형성되고 벨트의 끝단에도 두 개의 구멍이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나사에 의해 체결되고, 벨트의 끝단 중앙에는 리벳과 소켓에 간섭하지 않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벨트용 버클 {Buckle for belt}
본 발명은 사람의 허리에 착용하게 되는 벨트용 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간단한 구성부품으로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벨트의 착탈이 용이한 벨트로서 벨트를 고정하는 부분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벨트의 안팎을 용이하게 바꿀 수 있는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버클 중 자동 버튼이 설치되어 버튼의 누름에 따라 버클로부터 벨트가 쉽게 빠지도록 한 버클(1)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버클(1)은 본체(10)에 일측이 고정되는 판 스프링(11)의 반대 측에는 걸림편(12)이 고정되고, 그 걸림편(12)의 뒤쪽에 요입부(13)와 경사진 턱(14)이 형성된 축을 갖는 버튼(20)을 끼워 요입부(13)에 걸림편(12)이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버튼(20)은 스프링(15)으로 탄지되고, 상기 버튼을 누르면 요입부(13)에 위치되어 있던 걸림편(12)이 경사진 턱(14)에 의해 들려지게 되고 이때 걸림편(12)의 선단에서 절곡된 절곡돌기(16)가 벨트(2)의 요철부(2a)에 걸려있다가 풀리면서 벨트를 쉽게 풀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버클은 판 스프링과 걸림 편 등이 각각 버클의 본체에 별도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버클 본체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버클은 벨트를 안팎을 바꾸려는 경우에는 벨트를 상기 버클에 연결된 고정부재로부터 해제한 다음 벨트를 180도 회전시켜 다시 고정부재에 물리도록 해야하기 때문에 벨트의 안팎을 바꾸는 작업이 매우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벨트를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 버클을 제공하는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벨트를 버클에 삽입 및 해제시 벨트를 안내하는 구성을 포함하도록 하여 그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버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버클의 배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버클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버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버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절단선 V-V으로 자른 본 발명의 버클의 수직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의 사용 상태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버튼을 누르기 시작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의 사용 상태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버튼을 반정도 누른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c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의 사용 상태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버튼을 완전히 누른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a는 도 6a에서 절단선 Ⅶa-Ⅶa로 자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버클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
도 7b는 도 6c에서 절단선 Ⅶb-Ⅶb로 자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버클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
도 8a는 도 6a에서 절단선 Ⅷa-Ⅷa로 자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버클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
도 8b는 도 6c에서 절단선 Ⅷb-Ⅷb로 자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버클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버클의 고정부재가 회전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버클의 고정부재와 메인 플레이트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버클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버클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0 : 메인 플레이트 210 : 벨트 정지부재
310 : 벨트 고정부재 311 : 돌출부
314 : 리벳 315 : 스프링
본 발명에 의한 버클은 벨트의 폭 만큼 서로 떨어져 있는 두 개의 브래킷이 돌출되어 있는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떨어져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고 버튼이 눌러짐에 따라 회전부재가 회전되어 그 회전부재의 래치의 걸림 이가 벨트로부터 해제되도록 구성된 벨트 정지부재와, 상기 벨트의 자유단을 안내할 수 있도록 양단이 상기 브래킷에 각각 연결되어 형성된 U자형의 컬러를 포함하는 버클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벨트와 결합되는 후방부에는 벨트의 일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벨트 고정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버클은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벨트가 끼워지도록 일면이 개방되고 그 반대 면에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후방면 중앙에 형성된 소켓이 통과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벨트를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벨트를 고정하게 되는 나사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홀더와, 상기 홀더의 소켓에 끼워진 리벳과, 상기 리벳의 머리와 홀더의 내측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붙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버클은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메인 플레이트와 정렬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와 메인 플레이트가 접하는 부분에 홈 또는 돌기가 각각 선택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버클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가 상기 벨트의 자유단이 삽입되는 쪽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완만하게 증가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버클은 상기 컬러와 벨트 정지부재가 일정 거리 떨어져 각각 브래킷에 연결되어 설치되되, 상기 컬러가 메인 플레이트의 전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벨트 정지부재는 후방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버클은 상기 컬러와 벨트 정지부재가 일정 거리 떨어져 각각 브래킷에 연결되어 설치되되, 상기 벨트 정지부재가 메인 플레이트의 전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벨트 정지부재는 후방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버클은 상기 브래킷에 벨트 폭 상하단부를 안내할 수 있도록 일정부분이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 예를 참조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벨트용 버클 장치(100)는 메인 플레이트(110)와, 메인 플레이트(110) 상에 벨트의 끝 부분을 고정시키기 위해 메인 플레이트 상에 구속되어 있는 벨트 정지부재(210)를 포함한다. 버클은 동이나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적절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버클의 메인 플레이트(110)의 바깥 면은 장식이 붙을 수 있다. 또한, 메인 플레이트(110)의 후방에는 벨트의 일단이 고정되는 벨트 고정부재(31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메인 플레이트(110)는 벨트의 자유단이 들어가는 부분인 전방으로부터 두께가 완만하게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메인 플레이트(110)의 전방에 형성된 U자 형태의 컬러(130)와 메인 플레이트(110)의 제2 측면 근처에서 벨트의 폭 만큼 떨어져 서로 마주보고 있는 제1 및 제2 브래킷(121, 123)을 포함하는데, 컬러(130)와 메인 플레이트(110) 사이로 정의되는 통로를 통해 벨트의 자유단이 들어오거나 빠져나간다. 제1 및 제2 브래킷(121, 123)은 상기 벨트를 안내할 수 있도록 컬러(130)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상하부로 벨트를 안내를 확실히 하고자 각각 절곡부가 형성되어 가이드(151, 153)를 이루고 있다.
제1 및 제2 브래킷(121, 123)의 벨트 두께 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는 각각 벨트 정지부재 결합 홀(125, 127)이 뚫려 있다. 제1 브래킷(121)에 형성된 벨트 정지부재 결합 홀(125)은 프로젝션(131, 133)이 그 중심을 향해 서로 마주보면서 돌출되어 있는 형태로, 제2 브래킷(123)에 형성된 벨트 정지부재 결합 홀(127)은 원형의 형태로 되어 있다.
벨트 정지부재(210)는 한쪽 측면에 래치(215)가 축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고정 부착된 원통 형태의 회전부(211)와 원통형태의 회전부(211) 내부에 위치하는 코일 스프링(213)과 버튼 부재(217)를 포함한다.
래치(215)는 회전부(211)의 아래쪽으로부터 회전부(211)의 위쪽을 향해 원통면의 일부에 걸쳐 대략 벨트의 폭 정도의 길이로 연장 부착되어 있다. 원통형 회전부(211)에는 래치(215)가 형성된 그 반대편에 오른쪽 위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경사진 변을 갖는 직각 삼각형 형태의 홀(221)이 형성되어 있다. 래치(215)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그 반경이 점차 커지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그 표면에는 복수 개의 걸림 이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부(211)의 크기와 래치(215)의 크기는, 벨트 정지부재(210)가 메인 플레이트(110)와 결합되었을 때, 래치(215)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회전부(211)의 원주면과 메인 플레이트(110) 사이의 간격이 벨트의 두께 보다 더 크고, 래치(215)의 첫 번째 걸림 이(215a)와 메인 플레이트(110) 사이의 간격은 벨트의 두께보다 더 작은 형태에 의해 정해진다. 래치(215)의 첫 번째 걸림 이(215a)와 메인 플레이트(110) 사이의 간격은 벨트의 자유단이 원활하게 회전부(211)와 메인 플레이트 사이로 끼워지게 한다. 한편 래치(215)의 첫 번째 걸림 이(215a)의 끝단은 뭉툭하게 되어 있는데, 이는 벨트가 버클에 끼워질 때 벨트의 자유단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버튼 부재(217)는 헤드부분(251)과 헤드부분(251)으로부터 연장되고 회전부(21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되어 원통형 회전부(211)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된 연장부분(253) 그리고 연장부분(253)으로부터 가늘고 길게 더 연장되는 로드부분(255) 세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연장부분(253)에는 제1 브래킷(121)에 형성된 벨트 정지부재 결합 홀(131)의 프로젝션(133, 134)에 대응하여 홈(257, 259)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전부(211)의 한 쪽은 외부로부터 제1 브래킷(121)에 형성된 벨트 정지부재 결합홀(125)을 통해 끼워지는 버튼 부재(217)에 의해 결합되고, 반대쪽은 코일 스프링(213)을 개재하여 외부로부터 제2 브래킷(121)에 형성된 벨트 정지부재 결합 홀(127)을 통해 끼워지는 리벳(281)에 의해 지지된다. 벨트 정지부재(210)가 제1 및 제2 브래킷(121, 123) 사이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버튼 부재의 연장부분(253)에 형성된 홈(257, 259)은 제1 브래킷(121)에 형성된 벨트 정지부재 결합 홀(131) 안쪽으로 돌출된 프로젝션(131, 133)이 끼어 들게 되어 버튼부재(217)를 상하로만 움직이게 할 뿐 회전하지 못하게 한다. 반대로 제2 브래킷(123)에 형성된 원으로 된 벨트 정지부재 결합 홀(127)은 리벳(281)으로 결합되어 원통형 회전부(211)가 벨트 정지부재 결합홈(125,127)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버튼부재(217)의 연장부분(253)으로부터 가늘고 길게 더 연장된 로드부분(255)은 원통형 회전부(211) 내부에 삽입된 코일 스프링(213) 가운데에 끼어 들어간다. 로드부분(255)이 원통형 회전부(211)의 내부에 위치하는 코일 스프링(213)에 끼워짐으로써, 버튼 부재(217)를 누를 때, 버튼 부재(217)의 연장부분(253)이 원통형 회전부(211)의 내부에 들어 있는 코일 스프링(213)을 수직방향으로 누르게 하고, 버튼 부재(217)로부터 누르는 힘을 제거했을 때 코일 스프링(213)이 버튼 부재(217)의 연장부분(253)을 수직방향으로 밀어 올려 적은 힘으로도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다.
버튼부재(217)의 연장부분(253)으로부터는 원통형 회전부(211)에 형성된 직각 삼각형 형상의 홀(221)을 통해 외부로 빠져 나오는 누름 로드(265)가 결합되어 있는데, 누름 로드(265)에는 원추형 롤러(267)가 끼워져 있다. 누름 로드(265)에끼워진 원추형 롤러(267)는 원통형 회전부(211)에 형성된 직각 삼각형 형태로 된 홀(221)의 경사면에 접촉한다. 누름 로드(265)에 끼워진 롤러(267)는 버튼부재(217)를 누를 때, 버튼부재(217)가 직선적으로 아래쪽으로 내려감에 따라 원통형 회전부(211)에 형성된 직각 삼각형 형태의 홀(221) 경사면을 누르면서 회전하여 원통형 회전부(211)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원통형 회전부(211)의 일부는 보호관(271)에 의해 감싸져 원통형 회전부(211)에 오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의 후방부에는 벨트의 일단이 고정되게 되는데, 이러한 구조는 도 9 및 도 10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플레이트(110)의 후방에는 긴 홈(110c)이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소켓(110a)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소켓(110a)에는 리벳(314)이 벨트 고정부재(310)의 구멍(312)을 통과하여 박히게 된다. 고정부재(3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일면은 벨트(5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고, 그 반대면에는 메인 플레이트(110)의 긴 홈(110c)에 끼워져 안착될 수 있는 돌출부(31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돌출부(311)의 중앙에는 구멍(312)이 형성되어 상기 소켓(110a)이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벨트 고정부재(310)의 개방면의 반대면과 소켓(110a)의 구멍(110b)에 박힌 리벳(314)의 머리 사이에는 스프링(315)이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스프링(315)의 탄성력에 의해 벨트 고정부재(310)는 메인 플레이트(110)에 접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벨트 고정부재(310)의 측면에는 두 개의 구멍(313)이 형성되고 벨트(500)의 끝단에도 두 개의 구멍(500a)이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나사(316)에 의해 체결되고, 벨트(500)의 끝단 중앙에는 리벳(314)과 소켓(110a)에 간섭하지 않도록 홈(500b)이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컬러(130)가 메인 플레이트(110)의 전방부에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상하부의 절곡부 가이드(151, 153)는 컬러(130) 쪽으로 다시 호를 그리며 절곡되어 연결 절곡부(151a, 153a)를 이루고 있는 바, 이것은 컬러(130)를 통과하여 투입되는 벨트의 자유단을 완전히 안내하기 위함이다. 즉, 컬러와 메인 플레이트 내면 사이의 거리는 벨트의 두께보다 훨씬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벨트의 자유단이 용이하게 그 컬러를 통과할 수 있고, 컬러를 통과한 벨트의 자유단의 상하단부는 연결 절곡부(151a, 153a)의 안내를 받아 절곡부(151, 153) 내측을 통과한 다음, 원통형 회전부(211)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 예의 동작을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벨트는 메인 플레이트(110)의 오른쪽으로부터 컬러(130)를 걸쳐 벨트 정지부재(210)을 구성하는 원통형 회전부(211)에 형성된 래치부재(215)의 걸림 이(215a)를 밀면서 메인 플레이트(110)와 원통형 회전부(211) 사이로 들어간다. 일단 메인 플레이트(110)와 원통형 회전부(211) 사이로 들어간 벨트는, 래치(215)의 첫 번째 걸림 이(215a)와 메인 플레이트(110) 사이의 간격이 벨트의 두께보다 더 작게 되어 있음으로 걸림 이(215a)에 물리게 된다. 벨트를 버클로부터 빼기 위해 벨트를 당기면 벨트를 당기는 힘은 걸림 이를 걸쳐 원통형 회전부(211)에 전달되어 원통형 회전부(21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원통형 회전부(211)에 형성된래치(215)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그 반경이 점차 커지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원통형 회전부(21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래치(215)의 걸림 이(215a)와 메인 플레이트(110) 사이의 간격은 점차 좁아지게 되고, 벨트가 빠져나감에 따라 순서적으로 두 번째 세 번째 걸림 이(215a)에 물리게 되어 더 이상 버클로부터 빠져나갈 수 없게 된다. 더욱이 원통형 회전부(211)에 형성된 래치(215)는 대략 벨트의 폭과 비슷한 길이로 원통형 회전부(211)의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벨트와 물리는 면적이 크게 되어 벨트에 별도로 라체트를 형성하지 않더라도 벨트가 더 이상 버클로부터 빠져나갈 수 없게 된다.
도 7a 및 도 8a는 점선으로 도시된 벨트가 래치(215)의 첫 번째 걸림 이(215a)와 메인 플레이트(110) 사이에 물려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원통형 회전부(211) 내부에 들어있는 코일 스프링(213)이 버튼 부재(217)의 연장부분(253)을 위로 밀게 되어 버튼 부재(217)의 헤드부분(251)은 위쪽으로 올라와 있게 된다.
메인 플레이트(110)와 원통형 회전부(211) 사이로 들어가 있는 벨트를 버클로부터 빼내기 위해서는 위로 올라와 있는 버튼 부재(217)의 헤드부분(251)을 누르는 것으로 벨트는 버클로부터 빠져 나올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도 4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부재(217)의 헤드부분(251)을 누르면, 버튼 부재(217)의 연장부분(255)에 형성된 홈(257, 259)에는 제1 브래킷(121)에 형성된 벨트 정지부재 결합 홈(125)에 돌출된 프로젝션(131, 133)이 끼어 있으므로, 버튼 부재(217)는 회전하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아래쪽으로 내려가게 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부재(217)가 아래쪽으로 내려감에 따라 버튼 부재(217)의 연장부분(253)은 원통형 회전부(211) 내로 들어가면서 코일 스프링(213)은 압축하게 된다. 한편 버튼부재(217)의 연장부분(255)으로부터 원통형 회전부(211)의 직각 삼각형 형상의 홀(221)을 통해 밖으로 노출된 누름 로드(265)에 끼워진 롤러(267)는 직각 삼각형 형상의 홀의 경사진 변을 회전하면서 누르게 된다. 누름 로드(265)에 끼워진 롤러(267)에 의해 원통형 회전부(211)에 형성된 직각 삼각형 형상의 변이 눌러짐에 따라 원통형 회전부(211)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원통형 회전부(211)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원통형 회전부(211)에 설치된 래치(215)와 메인 플레이트(110) 사이의 간격은 점점 커지게 된다.
그리고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재(217)의 연장부분(255)으로부터 원통형 회전부(211)의 직각 삼각형 형상의 홀(221)을 통해 밖으로 노출된 누름 로드(265)에 끼워진 롤러(267)가 버튼부재(217)의 연장부분(255)으로부터 원통형 회전부(211)의 직각 삼각형 형상의 홀(221)의 경사면의 가장 아래 부분으로 내려가게 되면, 원통형 회전부(211)는 완전히 회전하여 래치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원주면이 메인 플레이트(110) 쪽을 향하게 된다. 이때의 래치(215)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회전부(211)의 원주면과 메인 플레이트(110) 사이의 간격이 벨트의 두께 보다 더 크므로 벨트는 버클로부터 쉽게 빠져 나올 수 있은 상태로 된다.
도 7b는 메인 플레이트(110)와 원통형 회전부(211) 사이로 들어간 벨트가 원통형 회전부(211)의 회전에 의해 래치(215)의 걸림 이의 물림으로부터 벗어난 생태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고, 도 8b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버튼부재(217)의 헤드부분(251)은 아래쪽으로 내려가 있고, 이때, 원통형 회전부(211)는 완전히 회전하여 래치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원주면이 메인 플레이트(110) 쪽을 향하게 되어 래치(215)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회전부(211)의 원주면과 메인 플레이트(110) 사이의 간격이 벨트의 두께 보다 크게 떨어져 있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7a는 메인 플레이트(110)와 원통형 회전부(211) 사이로 들어간 벨트가 래치(215)의 첫 번째 걸림 이(215a)와 메인 플레이트(110) 사이에서 걸림 이(215a)에 물려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이고, 도 8a는 그 수평 단면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메인 플레이트(110)와 원통형 회전부(211) 사이로 들어간 벨트는 래치(215)의 두 번째 세 번째 걸림 이에 물려있다. 이때 버튼부재(217)의 헤드부분은 위쪽으로 올라와 있다.
도 7b는 메인 플레이트(110)와 원통형 회전부(211) 사이로 들어간 벨트가 원통형 회전부(211)의 회전에 의해 래치(215)의 걸림 이(215a)의 물림으로부터 벗어난 생태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고, 도 8b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버튼부재(217)의 헤드부분(251)은 아래쪽으로 내려가 있고, 이때, 원통형 회전부(211)는 완전히 회전하여 래치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원주면이 메인 플레이트(110) 쪽을 향하게 되어 래치(215)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회전부(211)의 원주면과 메인 플레이트(110) 사이의 간격이 벨트의 두께 보다 크게 떨어져 있은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도 9는 버클(500)이 90도 회전된 상태를나타내는데, 사용자는 벨트(500)를 잡은 상태에서 그냥 메인 플레이트(110)를 회전시키면 된다. 즉, 사용자가 벨트(500)를 잡은 상태에서 메인 플레이트(110)를 회전시키려는 회전력을 가하게 되면 벨트 고정부재(310)의 돌출부(311)가 완만한 원형의 일부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돌출부(311)가 메인 플레이트(100)의 긴 홈(110c)으로부터 이탈되는 동시에 리벳(341) 머리와 벨트 고정부재(310)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315)이 압착되어 메인 플레이트(110)가 회전이 된다. 물론, 180도 회전시키고 가하던 회전력을 멈추면 다시 돌출부(311)가 긴 홈(110c)에 안착되어 그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벨트 정지부재(210)가 메인 플레이트(110)의 전방부에 위치하고, 컬러(130)가 후방부에 위치하게 된 상태이며, 벨트를 고정하기 위한 벨트 고정부재(400)는 버클의 메인 플레이트(100) 후방부 상하단부에 연장된 브래킷(410)과 그 브래킷(4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치형(420a)이 형성된 치형 회전부재(420)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40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한 제2실시 예와 거의 유사하고 다만, 메인 플레이트(100)의 후방부 상하단부에 연결된 브래킷(410')이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도 3과 도 11 및 도 12의 기술적 사상은 서로 조합할 수 있는 바, 벨트 정지부재가 메인 플레이트의 전방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1실시 예와 같은 회전 가능한 벨트 고정부재를 설치할 수 있고, 벨트 정지부재가 메인 플레이트의 후방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2실시 예와 같은 치형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벨트 고정부재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은 이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충분히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버클은 적은 공간을 차지하는 벨트 정지부재와 회전 가능한 벨트 고정부재가 설치되므로 신속하게 벨트를 신체에 착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클의 메인 플레이트를 자유자재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버클은 메인 플레이트가 전방에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완만하게 두꺼워지도록 형성되고, 절곡부가 형성된 브래킷과 컬럼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벨트의 착탈을 확실하게 안내하여 벨트의 착탈을 신속하게 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버클은 벨트에 허리 사이즈에 따른 다수개의 구멍을 뚫거나 종래의 버클에 설치된 걸림수단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홈들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 제작이 매우 간편하고, 벨트의 자유단이 버클을 통과하여 벨트의 반대편 끝단 내측 쪽으로 통과하게 되기 때문에 이를 안내하는 부품들이 불필요하게 되어 부품수가 감소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Claims (7)

  1. 벨트의 폭 만큼 서로 떨어져 있는 두 개의 브래킷이 돌출되어 있는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떨어져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고 버튼이 눌러짐에 따라 회전부재가 회전되어 그 회전부재의 래치의 걸림 이가 벨트로부터 해제되도록 구성된 벨트 정지부재와, 상기 벨트의 자유단을 안내할 수 있도록 양단이 상기 브래킷에 각각 연결되어 형성된 U자형의 컬러를 포함하는 버클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벨트와 결합되는 후방부에는 벨트의 일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벨트 고정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용 버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벨트가 끼워지도록 일면이 개방되고 그 반대 면에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후방면 중앙에 형성된 소켓이 통과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벨트를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벨트를 고정하게 되는 나사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홀더와, 상기 홀더의 소켓에 끼워진 리벳과, 상기 리벳의 머리와 홀더의 내측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붙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용 버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메인 플레이트와 정렬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와 메인 플레이트가 접하는 부분에 홈 또는 돌기가 각각 선택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용 버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는 상기 벨트의 자유단이 삽입되는 쪽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완만하게 증가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용 버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와 벨트 정지부재는 일정 거리 떨어져 각각 브래킷에 연결되어 설치되되, 상기 컬러가 메인 플레이트의 전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벨트 정지부재는 후방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용 버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와 벨트 정지부재는 일정 거리 떨어져 각각 브래킷에 연결되어 설치되되, 상기 벨트 정지부재가 메인 플레이트의 전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벨트 정지부재는 후방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용 버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에는 벨트 폭 상하단부를 안내할 수 있도록 일정부분이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고, 컬러와 연결되는 부분은 라운지게 형성된 연결 절곡구가 벨트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용 버클.
KR1020010005599A 2001-02-06 2001-02-06 벨트용 버클 KR200200651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599A KR20020065196A (ko) 2001-02-06 2001-02-06 벨트용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599A KR20020065196A (ko) 2001-02-06 2001-02-06 벨트용 버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765U Division KR200231525Y1 (ko) 2001-02-06 2001-02-06 벨트용 버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196A true KR20020065196A (ko) 2002-08-13

Family

ID=27693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5599A KR20020065196A (ko) 2001-02-06 2001-02-06 벨트용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519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410B1 (ko) * 2009-06-25 2010-04-14 (주)제이앤커뮤니티 벨트의 양면 사용 및 분리가 용이한 버클
KR101109653B1 (ko) * 2011-09-09 2012-02-29 정혜원 벨트의 단부가 내부로 들어가는 버클
KR101399176B1 (ko) * 2013-04-22 2014-05-27 김선광 벨트용 버클
KR101529665B1 (ko) * 2014-03-21 2015-06-17 이엘트렌드 주식회사 의복벨트용 버클 어셈블리
KR102249796B1 (ko) * 2020-08-13 2021-05-10 신혁주 허리벨트용 버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410B1 (ko) * 2009-06-25 2010-04-14 (주)제이앤커뮤니티 벨트의 양면 사용 및 분리가 용이한 버클
KR101109653B1 (ko) * 2011-09-09 2012-02-29 정혜원 벨트의 단부가 내부로 들어가는 버클
KR101399176B1 (ko) * 2013-04-22 2014-05-27 김선광 벨트용 버클
KR101529665B1 (ko) * 2014-03-21 2015-06-17 이엘트렌드 주식회사 의복벨트용 버클 어셈블리
KR102249796B1 (ko) * 2020-08-13 2021-05-10 신혁주 허리벨트용 버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6409B1 (en) Adhesive tape dispenser
KR20020065196A (ko) 벨트용 버클
EP0994660B1 (en) Adjustable quick-release buckle, particularly for diving masks or similar
KR200231525Y1 (ko) 벨트용 버클
KR200407563Y1 (ko) 혁대용 버클
EP0128253A1 (en) Device for cleaning teeth
KR100362637B1 (ko) 착탈이 용이한 버클
US7555803B2 (en) Sponge mop construction
KR200257415Y1 (ko) 혁대용 버클
JP3151763B2 (ja) 魚釣用リール
JP3482529B2 (ja) 替刃式カッターナイフ
JP3184002B2 (ja) 親綱緊張器
JP2000157131A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付き釣り具
JP3413104B2 (ja) 針用糸通し器
KR920008213Y1 (ko) 휴대용 소형기기의 벨트클립
KR100836341B1 (ko) 롤 테이프 자동 절단장치의 롤 테이프 걸이장치
KR200175664Y1 (ko) 조절용 벨트 파스너
JPH0750962Y2 (ja) バックル
JPH0546643Y2 (ko)
JPH0693583A (ja) 古紙の処理装置
JP2589222Y2 (ja) 三ツ折れ中留の長さ調整構造
JPH04236927A (ja) トイレットペーパーホルダー
KR100443464B1 (ko) 벨트해제기구를 갖는 버클
KR200229759Y1 (ko) 버클
JP2578177Y2 (ja) バック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