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2637B1 - 착탈이 용이한 버클 - Google Patents

착탈이 용이한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2637B1
KR100362637B1 KR1020000041325A KR20000041325A KR100362637B1 KR 100362637 B1 KR100362637 B1 KR 100362637B1 KR 1020000041325 A KR1020000041325 A KR 1020000041325A KR 20000041325 A KR20000041325 A KR 20000041325A KR 100362637 B1 KR100362637 B1 KR 100362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main plate
latch
buckle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1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7836A (ko
Inventor
김성근
Original Assignee
김성근
유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근, 유태환 filed Critical 김성근
Priority to KR1020000041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2637B1/ko
Priority to EP01908371A priority patent/EP1198187A1/en
Priority to AU36116/01A priority patent/AU3611601A/en
Priority to CN01800177A priority patent/CN1362864A/zh
Priority to PCT/KR2001/000164 priority patent/WO2001058301A1/en
Priority to JP2001557423A priority patent/JP2003521979A/ja
Publication of KR20010077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7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2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26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16Strap held by spr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있는 벨트 정지부재를 포함한다. 벨트 정지부재는 그 한쪽 면에 벨트의 삽입 방향으로 그 반경이 점점 커져 메인 플레이트와의 간격을 벨트의 두께보다도 점점 작게 할 수 있는 래치가 벨트의 폭 정도로 설치되며 래치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은 메인 플레이트와의 간격이 벨트의 두께보다도 약간 크게 떨어져 있으며 벨트의 삽입에 의해 회전하는 원통형 회전부와, 상기 래치가 설치되지 않는 부분이 메인 플레이트를 향하도록 상기 원통형 회전부를 회전시킬 수 있는 버튼 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메인 플레이트와 벨트의 두께보다도 약간 큰 간격을 두고 떨어져 결합되어 있는 벨트 정지부재의 원통형 회전부의 한쪽 면에 벨트의 진행방향으로 그 반경이 점점 커져 메인 플레이트의 간격을 벨트의 두께보다도 점점 작게 하는 래치를 벨트의 폭 정도로 설치함으로써, 벨트에 별도로 라체트를 만들지 않더라도 벨트를 정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착탈이 용이한 버클{The leather belt buckle}
본 발명은 착탈이 용이한 버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벨트의 착용시 벨트를 버클에 용이하게 결합시키고, 버클로부터 벨트를 신속히 해지할 수 있는 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버클 중 자동 버튼이 설치되어 버튼의 누름에 따라 버클로부터 벨트가 쉽게 빠지도록 한 버클(1)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버클(1)은 본체(10)에 일측이 고정되는 판 스프링(11)의 반대 측에는 걸림편(12)을 고정하여 걸림편(12)의 뒤쪽에서 요입부(13)가 형성되어 경사진 턱(14)이 형성된 축을 갖는 버튼(20)을 끼워 요입부(13)가 형성되어 경사진 턱(14)이 형성된 축을 갖는 버튼(20)을 끼워 요입부(13)에 걸림편(12)이 위치하도록 하면서 상기 버튼(20)은 스프링(15)으로 탄지되어 있어, 상기 버튼을 누르면요입부(13)에 위치되어 있던 걸림편(12)이 단 턱(14)에 의해 들려지게 되고 이때 걸림편(12)의 선단에 절곡되어진 절곡돌기(16)가 벨트(2)의 요철부(2a)에 걸려있다가 풀리면서 벨트를 쉽게 풀 수 잇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버클은 판 스프링과 걸림 편 등이 각각 버클의 본체에 별도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버클 본체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클(1)의 작동 부분이 별도의 메인 플레이트(30)로 구성되어 버클 본체(10)에 조립 결합함으로써 조립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나, 별도의 메인 플레이트(30)이 걸림편(12)의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메인 플레이트(30)의 일측면에 개구부(31)이 형성되어야 하고 또 걸림편(12)은 버튼 측에 스프링과 버튼이 메인 플레이트의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에 오물이 끼게 됨으로써 종종 동작이 되지 않거나 걸림편이 벨트의 라체트에 확실히 걸리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버클들은 걸림편과 벨트의 걸림을 확실히 하기 위해 벨트에 라체트를 형성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누름부의 작동에 의해 신속히 벨트를 해지되도록 한 버클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벨트에 라체트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벨트의 걸림을 확실히 할 수 있는 개량된 버클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버클의 배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버클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버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는 도 3의 버클 본체에 결합되는 별도의 몸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버클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버클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의 절단선 VII-VII으로 자른 본 발명의 버클의 수직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버튼을 누르기 시작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
8b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버튼을 반정도 누른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
8c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버튼을 완전히 누른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a는 도 8a에서 절단선 IXa-IXa로 자른 본 발명의 버클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
도 9b는 도 8c에서 절단선 IXb-IXb로 자른 본 발명의 버클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
도 10a는 도 8a에서 절단선 Xa-Xa로 자른 본 발명의 버클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
도 10b는 도 8c에서 절단선 Xb-Xb로 자른 본 발명의 버클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있는 벨트 정지부재를 포함한다. 벨트 정지부재는 그 한쪽 면에 벨트의 삽입 방향으로 그 반경이 점점 커져 메인 플레이트와의 간격을 벨트의 두께보다도 점점 작게 할 수 있는 래치가 벨트의 폭 정도로 설치되며 래치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은 메인 플레이트와의 간격이 벨트의 두께보다도 약간 크게 떨어져 있으며 벨트의 삽입에 의해 회전하는 원통형 회전부와, 상기 래치가 설치되지 않는 부분이 메인 플레이트를 향하도록 상기 원통형 회전부를 회전시킬 수 있는 버튼 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메인 플레이트와 벨트의 두께보다도 약간 큰 간격을 두고 떨어져 결합되어 있는 벨트 정지부재의 원통형 회전부의 한쪽 면에 벨트의 진행방향으로 그 반경이 점점 커져 메인 플레이트의 간격을 벨트의 두께보다도 점점 작게 하는 래치를 벨트의 폭 정도로 설치함으로써, 벨트에 별도로 라체트를 만들지 않더라도 벨트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목적들은 또, 벨트의 폭 만큼 서로 떨어져 있는 두 개의 브래킷이 돌출되어 있는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떨어져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는 벨트 정지부재를 포함하는 버클에 있어서, 상기 벨트 정지부재는, 한쪽 면에 벨트의 삽입 방향으로 그 반경이 점점 커져 메인 플레이트와의 간격을 벨트의 두께보다도 점점 작게 할 수 있는 벨트의 폭 정도로 길게 연장된 레치를 가지며, 래치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과 메인 플레이트와의 간격은 벨트의 두께 보다도 크도록 되어 있는 원통형 회전부와, 상기 원통형 회전부의 래치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이 상기 메인 플레이트를 향하도록 상기 원통형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버튼 부재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벨트 정지부재에 포함되는 원통형 회전부는 회전 가능하도록 그 한쪽만이 너트에 의해 브래킷과 결합되고, 반대쪽은 직선운동만이 가능한 버튼 부재에 의해 브래킷과 연결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버튼 부재의 직선운동에 의해 원통형 회전부가 회전되게 구성되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벨트용 버클 장치(100)는 메인 플레이트(110)와, 메인 플레이트(110) 상에 벨트의 끝 부분을 고정시키기 위해 메인 플레이트 상에 구속되어 있는 벨트 정지부재(210)를 포함한다. 버클은 동이나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적절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버클의 메인 플레이트(110)의 바깥 면은 장식이 붙을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110)는 메인 플레이트(110)의 제1 측면 근처에 형성된 U자 형태의 컬러(130)와 메인 플레이트(110)의 제2 측면 근처에서 벨트의 폭 만큼 떨어져 서로 마주보고 있는 제1 및 제2 브래킷(121, 123)을 포함하는데, 컬러(130)와 메인 플레이트(110) 사이로 정의되는 통로를 통해 벨트의 자유단이 들어오거나 빠져 나간다. 제1 및 제2 브래킷(121, 123)의 끝단으로부터는 메인 플레이트(110)의 제2 측면 쪽으로 더 연장된 U자 형태의 벨트 결합부(129)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브래킷(121, 123)의 아래쪽으로부터는 각각 컬러(130)를 향해 가이드(151, 153)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브래킷(121, 123)의 벨트 두께 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는 각각 벨트 정지부재 결합 홀(125, 127)이 뚫려 있다. 제1 브래킷(121)에 형성된 벨트 정지부재 결합 홀(125)은 프로젝션(131, 133)이 그 중심을 향해 서로 마주보면서 돌출되어 있는 형태로, 제2 브래킷(123)에 형성된 벨트 정지부재 결합 홀(127)은 원형의 형태로 되어 있다.
벨트 정지부재(210)는 한쪽 측면에 래치(215)가 축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고정 부착된 원통 형태의 회전부(211)와 원통형태의 회전부(211) 내부에 위치하는 코일 스프링(213)과 버튼 부재(217)를 포함한다.
래치(215)는 회전부(211)의 아래쪽으로부터 회전부(211)의 위쪽을 향해 원통 면의 일부에 걸쳐 대략 벨트의 폭 정도의 길이로 연장 부착되어 있다. 원통형 회전부(211)에는 래치(215)가 형성된 그 반대편에 오른쪽 위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경사진 변을 갖는 직각 삼각형 형태의 홀(221)이 형성되어 있다. 래치(215)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그 반경이 점차 커지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그 표면에는 복수 개의 걸림 이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부(211)의 크기와 래치(215)의 크기는, 벨트 정지부재(210)가 메인 플레이트(110)와 결합되었을 때, 래치(215)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회전부(211)의 원주면과 메인 플레이트(110) 사이의 간격이 벨트의 두께 보다더 크고, 래치(215)의 첫 번째 걸림 이(215a)와 메인 플레이트(110) 사이의 간격은 벨트의 두께보다 더 작은 형태에 의해 정해진다. 래치(215)의 첫 번째 걸림 이(215a)와 메인 플레이트(110) 사이의 간격은 벨트의 자유단이 원활하게 회전부(211)와 메인 플레이트 사이로 끼워지게 한다. 한편 래치(215)의 첫 번째 걸림 이(215a)의 끝단은 뭉툭하게 되어 있는데, 이는 벨트가 버클에 끼워질 때 벨트의 자유 단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버튼 부재(217)는 헤드부분(251)과 헤드부분(251)으로부터 연장되고 회전부(21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되어 원통형 회전부(211)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된 연장부분(253) 그리고 연장부분(253)으로부터 가늘고 길게 더 연장되는 로드부분(255) 세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연장부분(253)에는 제1 브래킷(121)에 형성된 벨트 정지부재 결합 홀(131)의 프로젝션(133, 134)에 대응하여 홈(257, 259)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전부(211)의 한 쪽은 외부로부터 제1 브래킷(121)에 형성된 벨트 정지부재 결합 홀(125)을 통해 끼워지는 버튼 부재(217)에 의해 결합되고, 반대쪽은 외부로부터 제2 브래킷(121)에 형성된 벨트 정지부재 결합 홀(127)을 통해 끼워지는 리벳(281)에 의해 결합된다. 벨트 정지부재(210)가 제1 및 제2 브래킷(121, 123) 사이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버튼 부재의 연장부분(253)에 형성된 홈(257, 259)은 제1 브래킷(121)에 형성된 벨트 정지부재 결합 홀(131) 안쪽으로 돌출된 프로젝션(131, 133)이 끼어 들게 되어 버튼부재(217)를 상하로만 움직이게 할 뿐 회전하지 못하게 한다. 반대로 제2 브래킷(123)에 형성된 원으로 된 벨트 정지부재 결합 홀(127)은리벳(281)으로 결합되므로 원통형 회전부(211)를 회전 가능하게 한다.
버튼부재(217)의 연장부분(253)으로부터 가늘고 길게 더 연장된 로드부분(255)은 원통형 회전부(211) 내부에 삽입된 코일 스프링(213) 가운데에 끼어 들어간다. 로드부분(255)이 원통형 회전부(211)의 내부에 위치하는 코일 스프링(213)에 끼워짐으로써, 버튼 부재(217)를 누를 때, 버튼 부재(217)의 연장부분(253)이 원통형 회전부(211)의 내부에 들어 있는 코일 스프링(213)을 수직방향으로 누르게 하고, 버튼 부재(217)로부터 누르는 힘을 제거했을 때 코일 스프링(213)이 버튼 부재(217)의 연장부분(253)을 수직방향으로 밀어 올려 적은 힘으로도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다.
버튼부재(217)의 연장부분(253)으로부터는 원통형 회전부(211)에 형성된 직각 삼각형 형상의 홀(221)을 통해 외부로 빠져 나오는 누름 로드(265)가 결합되어 있는데, 누름 로드(265)에는 원추형 롤러(267)가 끼워져 있다. 누름 로드(265)에 끼워진 원추형 롤러(156)는 원통형 회전부(211)에 형성된 직각 삼각형 형태로 된 홀(221)의 경사면에 접촉한다. 누름 로드(265)에 끼워진 롤러(267)는 버튼부재(217)를 누를 때, 버튼부재(217)가 직선적으로 아래쪽으로 내려감에 따라 원통형 회전부(211)에 형성된 직각 삼각형 형태의 홀(145) 경사면을 누르면서 회전하여 원통형 회전부(211)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원통형 회전부(211)의 일부는 보호관(271)에 의해 감싸져 원통형 회전부(211)에 오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동작을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벨트는 메인 플레이트(110)의 오른쪽으로부터 컬러(130)를 걸쳐 벨트 정지부재(210)을 구성하는 원통형 회전부(211)에 형성된 래치부재(215)의 걸림 이(215a)를 밀면서 메인 플레이트(110)와 원통형 회전부(211) 사이로 들어간다. 일단 메인 플레이트(110)와 원통형 회전부(211) 사이로 들어간 벨트는, 래치(215)의 첫 번째 걸림 이(215a)와 메인 플레이트(110) 사이의 간격이 벨트의 두께보다 더 작게 되어 있음으로 걸림 이(215a)에 물리게 된다. 벨트를 버클로부터 빼기 위해 벨트를 당기면 벨트를 당기는 함은 걸림 이를 걸쳐 원통형 회전부(211)에 전달되어 원통형 회전부(21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원통형 회전부(211)에 형성된 래치(215)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그 반경이 점차 커지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원통형 회전부(21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래치(215)의 걸림 이(215a)와 메인 플레이트(110) 사이의 간격은 점차 좁아지게 되고, 벨트가 빠져나감에 따라 순서적으로 두 번째 세 번째 걸림 이(215a)에 물리게 되어 더 이상 버클로부터 빠져나갈 수 없게 된다. 더욱이 원통형 회전부(211)에 형성된 래치(215)는 대략 벨트의 폭과 비슷한 길이로 원통형 회전부(211)의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벨트와 물리는 면적이 크게 되어 벨트에 별도로 라체트를 형성하지 않더라도 벨트가 더 이상 버클로부터 빠져나갈 수 없게 된다.
도 9a 및 도 10a는 점선으로 도시된 벨트가 래치(215)의 첫 번째 걸림 이(215a)와 메인 플레이트(110) 사이에 물려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원통형 회전부(211) 내부에 들어있는 코일 스프링(213)이 버튼 부재(217)의 연장부분(253)을 위로 밀게 되어 버튼 부재(217)의 헤드부분(251)은 위쪽으로 올라와 있게 된다.
메인 플레이트(110)와 원통형 회전부(211) 사이로 들어가 있는 벨트를 버클로부터 빼내기 위해서는 위로 올라와 있는 버튼 부재(217)를 누르는 것으로 벨트는 버클로부터 빠져 나올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부재(217)의 헤드부분(251)을 누르면, 버튼 부재(217)의 연장부분(255)에 형성된 홈(257, 259)에는 제1 브래킷(121)에 형성된 벨트 정지부재 결합 홈(125)에 돌출된 프로젝션(131, 133)이 끼어 있으므로, 버튼 부재(217)는 회전하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아래쪽으로 내려가게 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부재(217)가 아래쪽으로 내려감에 따라 버튼 부재(217)의 연장부분(253)은 원통형 회전부(211) 내로 들어가면서 코일 스프링(213)은 압축하게 된다. 한편 버튼부재(217)의 연장부분(255)으로부터 원통형 회전부(211)의 직각 삼각형 형상의 홀(221)을 통해 밖으로 노출된 누름 로드(265)에 끼워진 롤러(267)는 직각 삼각형 형상의 홀의 경사진 변을 회전하면서 누르게 된다. 누름 로드(265)에 끼워진 롤러(267)에 의해 원통형 회전부(211)에 형성된 직각 삼각형 형상의 변이 눌러짐에 따라 원통형 회전부(211)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원통형 회전부(211)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원통형 회전부(211)에 설치된 래치(215)와 메인 플레이트(110) 사이의 간격은 점점 커지게 된다.
그리고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재(217)의 연장부분(255)으로부터원통형 회전부(211)의 직각 삼각형 형상의 홀(221)을 통해 밖으로 노출된 누름 로드(265)에 끼워진 롤러(267)가 버튼부재(217)의 연장부분(255)으로부터 원통형 회전부(211)의 직각 삼각형 형상의 홀(221)의 경사면의 가장 아래 부분으로 내려가게 되면, 원통형 회전부(211)는 완전히 회전하여 래치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원주면이 메인 플레이트(110) 쪽을 향하게 된다. 이때의 래치(215)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회전부(211)의 원주면과 메인 플레이트(110) 사이의 간격이 벨트의 두께 보다 더 크므로 벨트는 버클로부터 쉽게 빠져 나올 수 있은 상태로 된다.
도 9b는 메인 플레이트(110)와 원통형 회전부(211) 사이로 들어간 벨트가 원통형 회전부(211)의 회전에 의해 래치(215)의 걸림 이의 물림으로부터 벗어난 생태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고, 도 10b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10b를 참조하면 버튼부재(217)의 헤드부분(251)은 아래쪽으로 내려가 있고, 이때, 원통형 회전부(211)는 완전히 회전하여 래치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원주면이 메인 플레이트(110) 쪽을 향하게 되어 래치(215)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회전부(211)의 원주면과 메인 플레이트(110) 사이의 간격이 벨트의 두께 보다 크게 떨어져 있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9a는 메인 플레이트(110)와 원통형 회전부(211) 사이로 들어간 벨트가 래치(215)의 첫 번째 걸림 이(215a)와 메인 플레이트(110) 사이에서 걸림 이(215a)에 물려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이고, 도 10a는 그 수평 단면도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메인 플레이트(110)와 원통형 회전부(211) 사이로 들어간 벨트는 래치(215)의 두 번째 세 번째 걸림 이에 물려있다. 이때 버튼부재(217)의 헤드부분은 위쪽으로 올라와 있다.
도 9b는 메인 플레이트(110)와 원통형 회전부(211) 사이로 들어간 벨트가 원통형 회전부(211)의 회전에 의해 래치(215)의 걸림 이(215a)의 물림으로부터 벗어난 생태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고, 도 10b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10b를 참조하면 버튼부재(217)의 헤드부분(251)은 아래쪽으로 내려가 있고, 이때, 원통형 회전부(211)는 완전히 회전하여 래치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원주면이 메인 플레이트(110) 쪽을 향하게 되어 래치(215)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회전부(211)의 원주면과 메인 플레이트(110) 사이의 간격이 벨트의 두께 보다 크게 떨어져 있은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메인 플레이트와 벨트의 두께보다도 약간 큰 간격을 두고 떨어져 결합되어 있는 벨트 정지부재의 원통형 회전부의 한쪽 면에 시계 반대방향으로 그 반경이 점점 커져 메인 플레이트의 간격을 벨트의 두께보다도 점점 작게 하는 래치를 벨트의 폭 정도로 설치함으로써, 벨트에 별도로 라체트를 만들지 않더라도 벨트를 정지시킬 수 있다.

Claims (4)

  1.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있는 벨트 정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벨트 정지부재는 한쪽 면에 벨트의 삽입 방향으로 그 반경이 점점 커져 메인 플레이트와의 간격을 벨트의 두께보다도 점점 작게 할 수 있는 벨트의 폭 정도로 래치가 설치되며, 상기 래치가 설치되지 않는 부분은 메인 플레이트의 간격이 벨트의 두께보다도 약간 크게 되도록 되어 있으며 벨트의 삽입에 의해 회전되는 원통형 회전부와, 상기 원통형 회전부의 상기 래치가 설치되지 않는 부분이 메인 플레이트를 향하도록 상기 원통형 회전부를 회전시킬 수 있는 버튼 부재를 포함하는 착탈이 용이한 버클.
  2. 벨트의 폭 만큼 서로 떨어져 있는 두 개의 브래킷이 돌출되어 있는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떨어져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는 벨트 정지부재를 포함하는 버클에 있어서,
    상기 벨트 정지부재는:
    한쪽 면에 벨트의 삽입 방향으로 그 반경이 점점 커져 메인 플레이트와의 간격을 벨트의 두께보다도 점점 작게 할 수 있는 벨트의 폭 정도로 길게 연장된 레치를 가지며, 래치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과 메인 플레이트와의 간격은 벨트의 두께 보다도 크도록 되어 있는 원통형 회전부와;
    상기 원통형 회전부의 래치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이 상기 메인 플레이트를 향하도록 상기 원통형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버튼 부재를 포함하는 착탈이 용이한 버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정지부재에 포함되는 원통형 회전부는 회전 가능하도록 그 한쪽만이 너트에 의해 브래킷과 결합되고, 반대쪽은 직선운동만이 가능한 버튼 부재에 의해 브래킷과 연결되는 착탈이 용이한 버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부재의 직선운동에 의해 원통형 회전부가 회전되는 착탈이 용이한 버클.
KR1020000041325A 2000-02-08 2000-07-19 착탈이 용이한 버클 KR100362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1325A KR100362637B1 (ko) 2000-02-08 2000-07-19 착탈이 용이한 버클
EP01908371A EP1198187A1 (en) 2000-02-08 2001-02-05 The leather belt buckle
AU36116/01A AU3611601A (en) 2000-02-08 2001-02-05 The leather belt buckle
CN01800177A CN1362864A (zh) 2000-02-08 2001-02-05 皮带扣
PCT/KR2001/000164 WO2001058301A1 (en) 2000-02-08 2001-02-05 The leather belt buckle
JP2001557423A JP2003521979A (ja) 2000-02-08 2001-02-05 革ベルトバック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5712 2000-02-08
KR1020000005712 2000-02-08
KR1020000041325A KR100362637B1 (ko) 2000-02-08 2000-07-19 착탈이 용이한 버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7836A KR20010077836A (ko) 2001-08-20
KR100362637B1 true KR100362637B1 (ko) 2002-11-29

Family

ID=26636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1325A KR100362637B1 (ko) 2000-02-08 2000-07-19 착탈이 용이한 버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198187A1 (ko)
JP (1) JP2003521979A (ko)
KR (1) KR100362637B1 (ko)
CN (1) CN1362864A (ko)
AU (1) AU3611601A (ko)
WO (1) WO20010583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06409A (zh) * 2018-06-06 2018-11-13 广东信浓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便于调节的驾校教学用后视镜教学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5310U (ko) * 1980-08-27 1982-03-12
JPS6029507U (ja) * 1983-08-03 1985-02-28 宇内金属工業株式会社 バンド用バックル
KR910008296Y1 (ko) * 1989-12-05 1991-10-15 김길용 버클
KR0110233Y1 (en) * 1995-05-24 1997-11-26 Kim Kwee Nam Leather belt
KR19980021094U (ko) * 1996-10-18 1998-07-15 박창식 톱니형 체결수단을 가지는 버클
KR19980057413U (ko) * 1997-02-04 1998-10-15 이대성 벨트 버클
KR19990004105U (ko) * 1998-10-15 1999-01-25 윤성연 혁대용 버클
KR200166079Y1 (ko) * 1999-07-19 2000-02-15 박희상 혁대버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8960U (ko) * 1978-09-08 1980-03-13
KR970026658U (ko) * 1995-12-05 1997-07-24 김영운 버클
KR19980021051U (ko) * 1996-10-18 1998-07-15 이정용 버클의 밴드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5310U (ko) * 1980-08-27 1982-03-12
JPS6029507U (ja) * 1983-08-03 1985-02-28 宇内金属工業株式会社 バンド用バックル
KR910008296Y1 (ko) * 1989-12-05 1991-10-15 김길용 버클
KR0110233Y1 (en) * 1995-05-24 1997-11-26 Kim Kwee Nam Leather belt
KR19980021094U (ko) * 1996-10-18 1998-07-15 박창식 톱니형 체결수단을 가지는 버클
KR19980057413U (ko) * 1997-02-04 1998-10-15 이대성 벨트 버클
KR19990004105U (ko) * 1998-10-15 1999-01-25 윤성연 혁대용 버클
KR200166079Y1 (ko) * 1999-07-19 2000-02-15 박희상 혁대버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58301A1 (en) 2001-08-16
EP1198187A1 (en) 2002-04-24
AU3611601A (en) 2001-08-20
KR20010077836A (ko) 2001-08-20
CN1362864A (zh) 2002-08-07
JP2003521979A (ja) 2003-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6620A (en) Telescopic extension wand for vacuum cleaner
US6176409B1 (en) Adhesive tape dispenser
KR100417600B1 (ko) 가정용 기구에 이용되는 신축자재 장치 및 그것의 조립방법
US20070108331A1 (en) Tape measure
CA2647757A1 (en) Telescopic extension for a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KR100362637B1 (ko) 착탈이 용이한 버클
US6081973A (en) Belt buckle device
KR960008694Y1 (ko) 낚시용 릴의 클러치 장치
TWI827813B (zh) 捆束機
KR20020065196A (ko) 벨트용 버클
KR200231525Y1 (ko) 벨트용 버클
TWI828876B (zh) 捆束機
US6427291B1 (en) Buckle
US5692692A (en) Clicker element for fishing reel
US7555803B2 (en) Sponge mop construction
KR200239280Y1 (ko) 벨트용 버클
JPH09289851A (ja) 釣用リール
GB2370802A (en) Expandable tubular body, especially a handle
KR960000897Y1 (ko) 톰니형 체결수단을 구비한 벨트
JP2589222Y2 (ja) 三ツ折れ中留の長さ調整構造
KR100443464B1 (ko) 벨트해제기구를 갖는 버클
KR200229759Y1 (ko) 버클
KR200277567Y1 (ko) 테이프 커팅기의 테이프롤 이탈방지장치
EP1552980B1 (en)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a child seat releasably to a retaining ring
KR200320841Y1 (ko) 벨트용 버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