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0841Y1 - 벨트용 버클 - Google Patents

벨트용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0841Y1
KR200320841Y1 KR20-2003-0012417U KR20030012417U KR200320841Y1 KR 200320841 Y1 KR200320841 Y1 KR 200320841Y1 KR 20030012417 U KR20030012417 U KR 20030012417U KR 200320841 Y1 KR200320841 Y1 KR 2003208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main body
hook
predetermined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24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희
Original Assignee
강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정희 filed Critical 강정희
Priority to KR20-2003-00124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08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08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08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A44B11/24Buckle with movable prong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벨트용 버클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외관이 미려하면서도 체결 및 해제가 간편한 벨트용 버클을 제공하는 것이며, 그 구성은 "ㄷ"형상의 본체와, 소정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으로써 양단부가 상기 본체의 양단부에 부착되고 외주면에 벨트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축과, 일단부에 결합링부를 일체로 갖는 소정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으로써, 상기 결합링부가 상기 결합축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벨트의 걸림공과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본체의 중간부에 걸려지는 걸고리로 구성되는 통상의 벨트용 버클에 있어서, 상기 버클은 본체의 중간부 전면에 소정폭과 깊이를 갖고 요부지게 형성되는 작동홈과; 상기 작동홈의 일단부에 요부지게 형성되는 탄성부재조립홈과; 상기 본체의 내측단 중간부에 상기 작동홈과 연통되도록 요부지게 형성되는 걸고리통과홈과; 상기 작동홈의 양단부측과 소정간격진 본체의 전면부 소정위치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나사공과; 소정폭과 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으로써 일측단면 중간부에 요부지게 형성되는 걸고리통과홈과, 일단부면에 요부지게 형성되는 탄성부재조립홈과, 타단부 상면에 관통형성되는 손잡이조립공을 구비하고, 상기 작동홈내에 길이방향으로 미끄럼작동가능하게 내장되어 작동부재와; 소정길이를 갖는 판상으로써 양단부 소정위치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나사공과 일축상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결합공과, 일측단부 중간부에 상기 본체의 걸고리통과홈과 일축상에 위치되는 걸고리통과홈과, 소정크기의 판상으로써 하면부에 부착되어 상기 작동부재의 상면을 미끄럼작동가능하게 누르는 누름판과 소정위치에 관통형성되어 장공을 갖고 상기 작동홈의 상면을 덮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부에 나사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작동부재의 손잡이조립공과 나사결합되어 상기 장공을 따라 작동되며 상기 작동부재를 작동시키는 손잡이와; 압축스프링으로써 일단부는 상기 본체의 탄성부재조립홈에 조립되고 타단부는 상기 작동부재의 탄성부재조립홈에 조립되어 상기 작동부재를 일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벨트용 버클{A buckle for belt}
본 고안은 벨트용 버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관이 미려하면서도 체결 및 해제가 간편한 구조를 갖도록 한 벨트용 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벨트용 버클은 "ㄷ"자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축으로써 벨트와 걸고리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축과 일단부에 결합링부를 일체로 갖는 막대형상으로써 상기 결합링부는 상기 결합축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벨트의 걸림공과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본체의 중간부에 걸려 벨트를 걸어 체결하는 걸고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벨트용 버클은 체결을 해제하고자 할 때 체결된 벨트를 역으로 잡아당겨 본체의 중간부에 걸려있는 걸고리의 단부를 일으키면서 걸고리의 단부와 벨트의 걸림공의 조립상태를 해제시킴으로써 벨트의 체결을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벨트용 버클은 벨트의 해제시 벨트을 역으로 잡아당긴 후 걸고리의 단부를 벨트의 걸림공으로부터 빼내야하기 때문에 벨트의 체결해제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외관도 미려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외관이 미려하면서도 체결 및 해제가 간편한 벨트용 버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ㄷ"형상의 본체와, 소정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으로써 양단부가 상기 본체의 양단부에 부착되고 외주면에 벨트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축과, 일단부에 결합링부를 일체로 갖는 소정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으로써, 상기 결합링부가 상기 결합축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벨트의 걸림공과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본체의 중간부에 걸려지는 걸고리로 구성되는 통상의 벨트용 버클에 있어서, 상기 버클은 본체의 중간부 전면에 소정폭과 깊이를 갖고 요부지게 형성되는 작동홈과; 상기 작동홈의 일단부에 요부지게 형성되는 탄성부재조립홈과; 상기 본체의 내측단 중간부에 상기 작동홈과 연통되도록 요부지게 형성되는 걸고리통과홈과; 상기 작동홈의 양단부측과 소정간격진 본체의 전면부 소정위치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나사공과; 소정폭과 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으로써 일측단면 중간부에 요부지게 형성되는 걸고리통과홈과, 일단부면에 요부지게 형성되는 탄성부재조립홈과, 타단부 상면에 관통형성되는 손잡이조립공을 구비하고, 상기 작동홈내에 길이방향으로 미끄럼작동가능하게 내장되어 작동부재와; 소정길이를 갖는 판상으로써 양단부 소정위치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나사공과 일축상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결합공과, 일측단부 중간부에 상기 본체의 걸고리통과홈과 일축상에 위치되는 걸고리통과홈과, 소정크기의 판상으로써 하면부에 부착되어 상기 작동부재의 상면을 미끄럼작동가능하게 누르는 누름판과 소정위치에 관통형성되어 장공을 갖고 상기 작동홈의 상면을 덮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부에 나사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작동부재의 손잡이조립공과 나가결합되어 상기 장공을 따라 작동되며 상기 작동부재를 작동시키는 손잡이와; 압축스프링으로써 일단부는 상기 본체의 탄성부재조립홈에 조립되고 타단부는 상기 작동부재의 탄성부재조립홈에 조립되어 상기 작동부재를 일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용 버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벨트용 버클의 구성 및 조립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벨트용 버클의 정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벨트용 버클중 커버를 제거한 상태로 작동부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벨트용 버클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벨트용 버클 11: 본체
12: 작동홈 13,18: 탄성부재조립홈
16: 작동부재 20: 커버
30: 벨트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벨트용 버클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벨트용 버클의 구성 및 조립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벨트용 버클의 정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벨트용 버클중 커버를 제거한 상태로 작동부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벨트용 버클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벨트용 버클(10)은 본체(11)와, 결합축(27)과, 걸고리(28)와, 작동부재(16)와, 커버(20)와, 손잡이(25)와, 탄성부재(26)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1)는 "ㄷ"형상을 갖는 금속판으로써, 작동홈(12)와, 탄성부재조립홈(13)과, 걸고리통과홈(14)과, 복수개의 나사공(15)을 구비한다.
상기 작동홈(12)은 상기 본체(11)의 중간부 전면에 소정폭과 깊이를 갖고 요부지게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조립홈(13)은 상기 작동홈(12)의 일단부에 요부지게 형성되고, 상기 걸고리통과홈(14)은 상기 본체(11)의 내측단 중간부에 상기 작동홈(12)과 연통되도록 요부지게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나사공(15)은 상기 작동홈(12)의 양단부측과 소정간격진 본체(11)의 전면부 소정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축(27)은 소정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으로써 양단부가 상기 본체(11)의 양단부에 부착되고 외주면에 벨트(30)와 상기 걸고리(28)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걸고리(28)는 일단부에 결합링부(29)를 일체로 갖는 소정길이의 막대형상으로써, 상기 결합링부(29)가 상기 결합축(27)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벨트(30)의 걸림공(도시되지 않음)과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본체(11)의 중간부에 걸려진다.
상기 작동부재(16)는 소정폭과 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으로써 걸고리통과홈(17)과, 탄성부재조립홈(18)과, 손잡이조립공(19)을 구비하고, 상기 작동홈(12)내에 길이방향으로 미끄럼작동가능하게 내장된다.
상기 작동부재(16)의 걸고리통과홈(17)은 작동부재(16)의 일측단면 중간부에 요부지게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조립홈(18)은 작동부재(16)의 일단부면에 요부지게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조립공(19)은 작동부재(16)의 타단부 상면에 관통형성된다.
상기 커버(20)는 소정길이를 갖는 판상으로써, 복수개의 결합공(21)과, 걸고리통과홈(22)과, 누름판(23)과, 장공(24)을 갖고, 상기 작동홈(12)의 상면을 덮도록 상기 본체(11)의 전면부에 결합나사(31)에 의해 부착된다.
상기 복수개의 결합공(21)은 상기 커버(20)의 양단부 소정위치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본체(11)의 나사공(15)과 일축상에 위치되고, 상기 걸고리통과홈(22)은 상기 커버(20)의 일측단부 중간부에 상기 본체(11)의 걸고리통과홈(14)과 일축상에 위치되고, 상기 누름판(23)은 소정크기의 판상으로써 상기 커버(20)의 하면부에 부착되어 상기 작동부재(16)가 안정된 상태로 상기 작동홈(12)내에서 작동될 수 있도록 작동부재(16)의 상면을 미끄럼작동가능하게 누르도록 상기 작동홈(12)의 상면부와 조립되며, 상기 장공(24)은 상기 손잡이(25)가 조립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20)의 소정위치에 관통형성된다.
상기 손잡이(25)는 상단부에 소정형상의 형상구를 일체로 갖는 볼트로써 상기 형상구가 상기 커버(20)상에서 상기 장공(24)을 따라 미끄럼작동될 수 있도록 하단부가 상기 장공(24)을 통과하여 상기 작동부재(16)의 손잡이조립공(19)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탄성부재(26)는 압축스프링으로써, 일단부는 상기 본체(11)의 탄성부재조립홈(13)에 조립되고, 타단부는 상기 작동부재(16)의 탄성부재조립홈(18)에 조립되어 상기 작동부재(16)를 일측 길이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벨트용 버클(10)은 벨트를 체결할 때에는 종래의 방법과 같이 체결하지만 벨트의 체결을 해제할 때에는 벨트(30)를 잡아당길 필요없이 상기 손잡이(25)를 하방으로 슬라이딩 시키는 것만으로 간단하고 신속하게 벨트의 체결이 해제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손잡이(25)를 하방으로 슬라이딩 시키게되면 상기 손잡이(25)와 연동하여 상기 작동부재(16)가 상기 작동홈(12)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상기 탄성부재(26)는 작동부재(16)에 의해 압축되고, 상기 작동부재(16)의 걸고리통과홈(17)과 본체(11)의걸고리통과홈(14)이 일치되면서 걸고리(28)의 단부를 받치는 부분이 사라지게됨으로 상기 걸고리(28)의 단부는 본체(11)의 후방으로 회동되면서 벨트(30)의 걸림공과의 조립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손잡이(25)를 놓으면 상기 탄성부재(26)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16)가 원위치로 복원되게되는 것이며, 벨트를 체결할 때에는 상기 손잡이(25)를 재차 하방으로 슬라이딩 시켜 상기 걸고리(28)의 단부를 본체(11)의 전면으로 이동시킨 후 벨트(30)의 걸림공에 조립시키는 동시에 상기 손잡이(25)를 놓은 것만으로 벨트의 체결이 이루어 질 수 있는 것이며, 사용자에 취향에 따라서는 상기 손잡이(25)를 사용하지 않고 종래의 방법대로 벨트를 체결 또는 해제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하면, 외관이 미려하면서도 체결 및 해제가 간편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ㄷ"형상의 본체와, 소정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으로써 양단부가 상기 본체의 양단부에 부착되고 외주면에 벨트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축과, 일단부에 결합링부를 일체로 갖는 소정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으로써, 상기 결합링부가 상기 결합축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벨트의 걸림공과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본체의 중간부에 걸려지는 걸고리로 구성되는 통상의 벨트용 버클에 있어서, 상기 버클(10)은 본체(11)의 중간부 전면에 소정폭과 깊이를 갖고 요부지게 형성되는 작동홈(12)과; 상기 작동홈(12)의 일단부에 요부지게 형성되는 탄성부재조립홈(13)과; 상기 본체(11)의 내측단 중간부에 상기 작동홈(12)과 연통되도록 요부지게 형성되는 걸고리통과홈(14)과; 상기 작동홈(12)의 양단부측과 소정간격진 본체(11)의 전면부 소정위치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나사공(15)과; 소정폭과 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으로써 일측단면 중간부에 요부지게 형성되는 걸고리통과홈(17)과, 일단부면에 요부지게 형성되는 탄성부재조립홈(18)과, 타단부 상면에 관통형성되는 손잡이조립공(19)을 구비하고, 상기 작동홈(12)내에 길이방향으로 미끄럼작동가능하게 내장되어 작동부재(16)와; 소정길이를 갖는 판상으로써 양단부 소정위치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본체(11)의 나사공(15)과 일축상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결합공(21)과, 일측단부 중간부에 상기 본체(11)의 걸고리통과홈(14)과 일축상에 위치되는 걸고리통과홈(22)과, 소정크기의 판상으로써 하면부에 부착되어 상기 작동부재(16)의 상면을 미끄럼작동가능하게 누르는 누름판(23)과, 소정위치에 관통형성되는 장공(24)을 갖고 상기 작동홈(12)의 상면을 덮도록 상기 본체(11)의 전면부에 나사결합되는 커버(20)와; 상기 커버(20)의 장공(24)을 관통하여 상기 작동부재(16)의 손잡이조립공(19)과 나사결합되어 상기 장공(24)을 따라 작동되며 상기 작동부재(16)를 작동시키는 손잡이(25)와; 압축스프링으로써 일단부는 상기 본체(11)의 탄성부재조립홈(13)에 조립되고 타단부는 상기 작동부재(16)의 탄성부재조립홈(18)에 조립되어 상기 작동부재(16)를 일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용 버클.
KR20-2003-0012417U 2003-04-22 2003-04-22 벨트용 버클 KR2003208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417U KR200320841Y1 (ko) 2003-04-22 2003-04-22 벨트용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417U KR200320841Y1 (ko) 2003-04-22 2003-04-22 벨트용 버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0841Y1 true KR200320841Y1 (ko) 2003-07-23

Family

ID=49411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417U KR200320841Y1 (ko) 2003-04-22 2003-04-22 벨트용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084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8344B1 (en) Handle structure for turning and adjusting direction
US20050183914A1 (en) Retractable luggage handle with a handle grip extended from top connecting portion of two pulling rods
TWI462707B (zh) 可更換扣部的皮帶頭
CN109068820B (zh) 设计成安装在带轮行李箱上的固定装置和相应的辅助钩挂元件
KR200320841Y1 (ko) 벨트용 버클
GB2445928A (en) Telescopic handle assembly
US6003956A (en) Wheel mounting arrangement for a golf cart
US7219432B2 (en) Stamping and die-cutting tool with a quick mould change design
KR20090001831U (ko) 장신구의 체인 연결구
CN210169218U (zh) 一种连接扣
KR200320873Y1 (ko) 혁대용 버클
GB2370802A (en) Expandable tubular body, especially a handle
TWM298498U (en) Ratchet structure for screw driver
US20110147683A1 (en) Puller with adjustable hook head
WO2020010658A1 (zh) 易拆解的翻转双面腰带扣
CN218713605U (zh) 花洒支架
KR100346957B1 (ko) 코드 로크
KR200404384Y1 (ko) 다용도 구조용 들것의 결합 해체용 분리 장치
KR200215067Y1 (ko) 창문 자물쇠
KR200215878Y1 (ko) 사무용펀치
KR100443464B1 (ko) 벨트해제기구를 갖는 버클
USD462607S1 (en) Locking header stud
KR200324623Y1 (ko) 조립식 부채
KR200279130Y1 (ko) 철판에 탈부착이 가능한 열쇠고리
KR100356527B1 (ko) 핸들 없는 수도꼭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