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6957B1 - 코드 로크 - Google Patents

코드 로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6957B1
KR100346957B1 KR1020000028403A KR20000028403A KR100346957B1 KR 100346957 B1 KR100346957 B1 KR 100346957B1 KR 1020000028403 A KR1020000028403 A KR 1020000028403A KR 20000028403 A KR20000028403 A KR 20000028403A KR 100346957 B1 KR100346957 B1 KR 100346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e member
band
groove
arm member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8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7149A (ko
Inventor
라이친쿼
유주이치엔
Original Assignee
타이완인더스트리얼파스너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완인더스트리얼파스너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타이완인더스트리얼파스너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000028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6957B1/ko
Publication of KR20010107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7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957B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sthes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드 로크에 관한 것으로, 밴드를 체결하여 사용하는 물품의 고정용 수단으로 상부가 외부로 개구된 속이 빈 관체형상의 몸체 내부에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가지는 공간부(12)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양끝단에는 관통되게 이동홈(11)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12)의 일측면에는 가이드면(121)이 형성되어 있는 암부재(1)와, 상기 공간부(12)와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속이 빈 관체형상의 몸체 양끝단으로 관통홈(21)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하부로는 탄성부(22)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숫부재(2)로 구성된다.
따라서, 양끝단에 이동홈(11)이 형성되어 있는 암부재(1)의 내부 공간부(12)에 속이 빈 관체형상의 몸체 양끝단에 관통홈(21)이 형성된 숫부재(2)를 삽입하고, 상기 이동홈(11)과 관통홈(21)이 일치될 때 밴드(3)를 관통시킨다.
이때, 상기 암부재(1)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던 숫부재(2)를 가압하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숫부재(2)의 하부에 형성된 탄성부(22)의 자체 탄성력으로 인하여 상부로 돌출되는 것에 의해 밴드(3)를 체결할 수 있는 것에 의해 첫째, 암부재(1) 내부의 공간부(12)에 숫부재(2)가 완전히 삽입되어 밴드(3)를 체결하므로써, 전체 외관미의 상승효과를 누릴 수 있다.
둘째, 암부재(1) 및 숫부재(2)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밴드(3)의 상면이 암부재(1)의 이동홈(11) 상부에 단속되므로써, 흔들림 없는 안정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코드 로크{CORD LOCK}
본 발명은 코드 로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숫부재가 암부재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숫부재의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탄편을 이용하여 암부재의 접지면에서 압착 변형되거나 자체탄성으로 복귀하는 것에 의해 상기 암, 수부재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밴드를 고정시킬 수 있는 코드로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낭은 대부분 가방이 열리는 솔기의 중심부에 관통홈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홈에 밴드를 통과시키며, 상기 밴드의 양 끝단이 관통하여 나올 때 코드 로크를 이용하여 상기 양 끝단을 외경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코드 로크는 밴드의 외경표면을 따라 이동하게 하여 배낭의 개방크기를 조정하여 사용한다.
도 8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코드 로크의 사용상태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으로, 일반적인 배낭의 대부분이 이러한 형태의 코드 로크를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코드 로크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즉, 도 8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코드 로크의 구조는 숫부재(1')와 상기 숫부재(1')를 내부에 취합할 수 있는 암부재(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숫부재(1')의 상부에는 암부재(2')의 내측부와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가압부재(4')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4')의 하부에는 중앙 일측으로 관통홈(41')이 형성된 몸체부(10')가 구비되며, 상기 관통홈(41')의 하단에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걸림턱(411')이 수평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0')의 단부에는 고정부재(42')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숫부재(1')를 그 내부에 취합할 수 있는 암부재(2')의 내측에는 자체탄성력을 갖는 코일형 스프링(6')이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6')을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단속부재(53')가 상기 암부재(2')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암부재(2') 내부로 숫부재(1')가 삽입될 경우 상기 숫부재(1')의 관통홈(41')과 일치될 수 있는 이동홈(51')이 외부 일측부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숫부재(1')가 암부재(2')의 내부로 삽입될 경우 상기 숫부재(1')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가압부재(4')를 누르게 되면 상기 몸체부(10')의 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부재(42')가 스프링(6')의 상부를 압박하면서 암부재(2')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이때, 암부재(2') 내부로 삽입된 고정부재(42')가 상기 암부재(2')의 단속부재(53')와 밀착하게 되고, 관통홈(41')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홈(111')을 암부재(2')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면(52')을 따라 밀어 넣으면, 관통홈(41')은 암부재(2')의 이동홈(51')과 일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암부재(2')의 이동홈(51')과 일치하게 형성된 관통홈(41')에 밴드를 삽입하고, 가압부재(4')를 누르고 있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숫부재(1')에 의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6')의 자체 탄성력에 숫부재(1')를 상부로 복귀시키게 되는 것에 의해 상기 암부재(2')와 숫부재(1')를 관통하고 있던 밴드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코드 로크는 그 제조방법이 난이하며, 다양한 부품들이 소모되는 것에 의해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코드 로크와 밴드와의 체결 후 상기 코드 로크와 밴드가 십자교차형태를 나타내기 때문에 전체 외관미가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암부재의 내부공간에 아래, 위로 위치를 제한하여 이동할 수 있는 숫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숫부재의 전, 후방 하부에 탄성부를 돌출되게 형성하며, 상기 숫부재의 상부에 형성되는 안압면을 가압할 경우 숫부재의 탄성편이 상기 암부재의 유도면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암부재와 숫부재가 일치하는 것에 의해 밴드를 흔들림없는 안정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코드 로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숫부재의 관통홈 일측에 형성된 걸림편을 이용하여 상기 숫부재를 가압하지 않을 경우 암부재의 이동홈의 상단에 단속되고, 숫부재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걸림편은 암부재의 이동홈 하부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걸림홈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홈과 이동홈이 일치되어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갖는 코드 로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암부재와 숫부재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코드 로크의 외부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암부재 내부의 공간부에 숫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암부재의 공간부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면에 의해 숫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탄성부가 압출변형되면서 상기 숫부재가 암부재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도시한 일부절결 단면도.
도 5는 암부재와 숫부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일부절결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코드 로크의 내부로 밴드가 관통되는 것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코드 로크의 내부에 밴드가 고정되는 것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일반적인 코드 로크의 형상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암부재 2 - 숫부재
3 - 밴드 11 - 이동홈
12 - 공간부 21 - 관통홈
22 - 탄성부 23 - 안압면
111 - 걸림홈 121 - 가이드면
122 - 유도면 211 - 걸림턱
221 - 절개홈 222 - 탄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밴드를 체결하여 사용하는 물품의 고정용 수단으로 상부가 외부로 개구된 속이 빈 관체형상의 몸체 내부에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가지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양끝단에는 관통되게 이동홈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의 일측면에는 가이드면이 형성되어 있는 암부재와;
상기 공간부와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속이 빈 관체형상의 몸체 양끝단으로 관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하부로는 탄성부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숫부재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양끝단에 이동홈이 형성되어 있는 암부재의 내부 공간부에 속이 빈 관체형상의 몸체 양끝단에 관통홈이 형성된 숫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이동홈과 관통홈이 일치될 때 밴드를 관통시킨다.
이때, 상기 암부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던 숫부재를 가압하던 힘을 제거하게되면, 상기 숫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탄성부의 자체 탄성력으로 인하여 상부로 돌출되는 것에 의해 밴드를 체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암부재와 숫부재만으로 밴드를 체결하여 사용하므로써, 제작비의 절감효과를 누릴 수 있으며, 간단한 조작만으로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갖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상부가 외부로 개구된 속이 빈 관체형상의 몸체 내부에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가지는 공간부를 갖는 암부재와 상기 공간부와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속이 빈 관체형상의 몸체 양끝단으로 관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하부로는 탄성부가 돌출되게 형성된 숫부재의 조립상태를 분해사시도로 도시한 것으로, 상기 숫부재가 암부재의 공간부에 삽입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코드 로크의 외부형상을 사시도로 도시한 것으로, 숫부재의 상부에는 안압면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양끝단에 관통되게 형성된 관통홈의 하부 일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턱에 상응하는 위치에는 걸림홈이 암부재의 이동홈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암부재의 공간부에 숫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일부절결 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숫부재의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탄성부가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암부재의 공간부에 삽입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인 코드 로크는 암부재(1)와 숫부재(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암부재(1)와 숫부재(2)의 조립상태를 상세히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외부로 개구된 속이 빈 관체형상의 몸체 내부에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가지는 공간부(12)가 형성된 암부재(1)에 상기 공간부(12)와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속이 빈 관체형상의 몸체 양끝단으로 관통홈(21)이 형성되고, 그 하부로는 자체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22)가 형성된 숫부재(2)를 상기 암부재(1)의 공간부(12)를 향하도록 하부방향으로 삽입하면, 상기 숫부재(2)에 형성된 탄성부(22)의 단부가 상기 공간부(12)의 가이드면(121)을 따라 암부재(1) 내부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암부재(1)의 공간부(12)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면(121)의 양측면에는 유도면(122)이 형성되고, 상기 숫부재(2)의 몸체 하부에 형성된 탄성부(22)는 자체 탄성력을 갖는 탄편(222)으로 구비되며, 상기 탄편(222)에는 절개홈(221)이 각각 내삽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편에 각각 내삽지게 형성된 절개홈(221)은 상기 탄편(222)이 빈번한 사용에 따른 변형이 발생될 경우 안압력이 감소될 수 있게 되므로 그 수를 증감하여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숫부재(1)의 상부 표면에는 안압면(23)을 돌출되게 형성하여 상기 숫부재(2)를 가압하는데 따른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안압면(23)을 다수개로 형성시켜 지압효과를 누릴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는 암부재 내부의 공간부에 숫부재가 삽입될 경우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면에 의해 숫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탄성부가 변형되면서 상기 숫부재가 암부재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일부절결하여 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상기 암부재의 가이드면과 숫부재의 탄성부가 밀착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즉, 도 4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숫부재(2)의 상부에 다수개로 형성된 안압면(23)을 가압하면, 상기 숫부재(2)의 양측면은 암부재(1)의 공간부(12) 일측에 형성된 유도면(122)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숫부재(2)의 하부에 형성된 탄성부(22)는 가이드면(121)에 밀착되어 압출변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숫부재(2) 양측 단부에는 암부재(1)의 이동홈(11) 상부에 의해 단속되는 걸림턱(211)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암부재(1)의 이동홈(11) 하부에는 숫부재(2)의 걸림턱(211)에 상응하는 걸림홈(111)이 내삽지게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숫부재(2)의 관통홈(21)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211)은 상기 걸림턱(211)의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걸림홈(111)과 밀착하게 되어 상기 숫부재(2)의 관통홈(21)과 암부재(1)의 이동홈(11)이 일치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인 코드 로크의 내부로 밴드가 관통되는 것을 측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암부재의 이동홈과 숫부재의 관통홈이 일치할 때 상기 이동홈 및 관통홈에 밴드가 관통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코드 로크의 내부에 밴드가 고정되는 것을 측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암부재의 이동홈과 숫부재의 관통홈을 통과한 밴드를 고정시킬 경우 상기 숫부재를 가압하고 있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숫부재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관통홈을 관통하고 있는 밴드의 상면이 암부재의 이동홈 상부에 의해 단속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즉, 도 6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밴드(3)가 암부재(1)의 이동홈(11)과 숫부재(2)의 관통홈(21)을 관통한 후에 상기 숫부재(2)의 안압면(23)을 가압하고 있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암부재(1)의 내측 하면에 압출변형되어 있던 탄성부(22)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복귀할려는 작용을 하여 상기 숫부재(2)는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암부재(1)와 숫부재(2)의 내부를 관통하고 있던 밴드(3)의 상면이 상기 암부재(1)의 이동홈(11) 상부에 의해 단속되는 것이다.
즉, 외부로 개구된 속이 빈 관체형상의 몸체 내부에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갖는 공간부(12)가 형성된 암부재(1)에 상기 공간부(12)와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속이 빈 관체형상의 몸체 양끝단으로 관통홈(21)이 형성되고, 그 하부로는 자체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22)가 형성된 숫부재(2)를 상기 암부재(1)의 공간부(12)를 향하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숫부재(2)의 상부에 다수개로 형성된 안압면(23)을 가압하면, 상기 숫부재(2)의 양측면은 암부재(1)의 공간부(12) 일측에 형성된 유도면(122)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숫부재(2)의 하부에 형성된 탄성부(22)는 가이드면(121)에 밀착되어 압출변형되게 되며, 상기 숫부재(2)의 관통홈(21)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211)은 상기 걸림턱(211)의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걸림홈(111)과 밀착하게 되어 상기 숫부재(2)의 관통홈(21)과 암부재(1)의 이동홈(11)이 일치하게 된다.
이때, 밴드를 상기 암부재(1)의 이동홈(11)과 숫부재(2)의 관통홈(21)에 삽입하고, 상기 밴드(3)가 이동홈(11)과 관통홈(21)을 관통한 후에 상기 숫부재(2)의 안압면(23)을 가압하고 있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암부재(1)의 내측 하면에 압출변형되어 있던 탄성부(22)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복귀할려는 작용을 하여 상기 숫부재(2)는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숫부재(2)가 상부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숫부재(2)와 암부재(1) 내부로 삽입되어 있던 밴드(3)의 상면이 상기 암부재(1)의 이동홈(11)의 상부에 의해 단속되어 안정적인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첫째, 암부재 내부의 공간부에 숫부재가 완전히 삽입되어 밴드를 체결하므로써, 전체 외관미의 상승효과를 누릴 수 있다.
둘째, 암부재 및 숫부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밴드의 상면이 암부재의 이동홈 상부에 의해 단속되므로써, 흔들림없는 안정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밴드를 체결하여 사용하는 물품의 고정용 수단으로 상부가 외부로 개구된 속이 빈 관체형상의 몸체 내부에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가지는 공간부(12)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양끝단에는 관통되게 이동홈(11)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12)의 일측면에는 가이드면(121)이 형성되어 있는 암부재(1)와;
    상기 공간부(12)와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속이 빈 관체형상의 몸체 양끝단으로 관통홈(21)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하부로는 탄성부(22)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숫부재(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로크.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숫부재(2) 양측 단부에는 암부재(1)의 이동홈(11) 상부에 의해 단속되는 걸림턱(211)이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로크.
  3.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재(1)의 이동홈(11) 하부에는 숫부재(2)의 걸림턱(211)에 상응하는 걸림홈(111)이 내삽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로크.
  4.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숫부재(1)의 상부 표면에는 안압면(23)이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로크.
  5.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재(1)의 공간부(12)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면(121)의 양측면에는 유도면(12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로크.
KR1020000028403A 2000-05-25 2000-05-25 코드 로크 KR100346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8403A KR100346957B1 (ko) 2000-05-25 2000-05-25 코드 로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8403A KR100346957B1 (ko) 2000-05-25 2000-05-25 코드 로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7149A KR20010107149A (ko) 2001-12-07
KR100346957B1 true KR100346957B1 (ko) 2002-07-31

Family

ID=60276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8403A KR100346957B1 (ko) 2000-05-25 2000-05-25 코드 로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69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06754A1 (en) * 2004-07-12 2006-01-19 Gye Youl Kim Cord lock
WO2016039492A1 (ko) * 2014-09-11 2016-03-17 이원호 흡연용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01935A1 (it) * 2019-02-11 2020-08-11 Riri Sa Fermacorda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06754A1 (en) * 2004-07-12 2006-01-19 Gye Youl Kim Cord lock
WO2016039492A1 (ko) * 2014-09-11 2016-03-17 이원호 흡연용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7149A (ko) 200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8569A (en) Fastening device for joining together furnishing panels
JP3383894B2 (ja) 紐締め具
US4577374A (en) Snap hook and buckle
US7878024B2 (en) Earring
JP5715712B2 (ja) 調節可能な連結金具
JP5713369B2 (ja) 装身具用連結構造
US4935996A (en) Combination hinge and clasp for jewelry
KR100346957B1 (ko) 코드 로크
CN110558686B (zh) 一种连接结构及穿戴产品
KR100588198B1 (ko) 끈의 단부커버
US20050076483A1 (en) Low-profile heavy-duty buckle
US4277866A (en) Jewelry clasp and method
US20020157694A1 (en) Umbrella with switch for folding and opening umbrella automatically
JPH0125565B2 (ko)
JP3952250B2 (ja) 装身具用連結具
KR200380977Y1 (ko) 휴대물품 연결용 줄이 구비된 연결구
CN213639902U (zh) 一种矩形锁链扣及具有该矩形锁链扣的手链
KR200205271Y1 (ko) 악세사리 체결구
KR200349199Y1 (ko) 우산 손잡이
CN219159321U (zh) 一种可快速扣接的自定位扣具
JP3077801U (ja) 縄索用留め具
CN220607576U (zh) 一种按压式弹力扣
CN211197192U (zh) 一种包装盒用隐藏式弹性锁扣
KR100329087B1 (ko) 전면 제어식 버클
JPH11346811A (ja) 輪状装身具の中留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