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7668B1 - 끈형상체의 고정구 - Google Patents

끈형상체의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7668B1
KR100457668B1 KR10-2002-0032580A KR20020032580A KR100457668B1 KR 100457668 B1 KR100457668 B1 KR 100457668B1 KR 20020032580 A KR20020032580 A KR 20020032580A KR 100457668 B1 KR100457668 B1 KR 100457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tring
hole
operation head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2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4557A (ko
Inventor
네즈미키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30024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4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6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 H01H2033/426Details concerning the connection of the isolating driving rod to a metallic part

Landscapes

  • Buckle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과제) 고정구에 있어서, 부착ㆍ고정되는 끈형상체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치수를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수단) 본체(1)는, 끈형상체(W)를 관통시키는 내부공간(10)과, 본체(1)의 측부(12)에 형성된 연통구멍(11)을 구비하고 있다. 로크체(2)는,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성된 조작 머리부(20)와, 끈형상체(W)를 관통시키는 관통구멍(21a)을 구비함과 아울러 본체(1)의 연통구멍(11)을 통해서 본체(1)의 내부공간(10)내로 삽입된 다리부(21)를 구비하고 있다. 로크체(2)의 조작 머리부(20)를 탄성변형시킨 다리부(21)의 압입상태에 있어서 다리부(21)의 관통구멍(21a)을 통해서 본체(1)에 끈형상체(W)를 관통시키도록 하고 있음과 아울러, 조작 머리부(20)의 탄성복귀에 의해서 이동되는 다리부(21)에 의해서, 본체(1)의 내부공간(10)내에 있어서 끈형상체(W)가 다리부(21)의 관통구멍(21a)의 구멍 가장자리부(21a')에 의해서 끼워져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Description

끈형상체의 고정구{Fastener of string-shaped material}
본 발명은, 각종 끈형상체를 관통시킴과 아울러, 관통시킨 끈형상체에 대해서 적당한 위치에서 부착ㆍ고정되며, 또한, 이 부착ㆍ고정상태를 필요에 따라서 해제가능하게 하는 고정구의 개량에 관한다.
의복등의 조임용 끈등에 부착ㆍ고정되어서 이용되는 고정구(코드 로크등이라고 불린다)로서, 본원 출원인이 개시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11-342009호에 이러한 끈고정구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고정구는, 끈의 관통구멍을 구비한 암수부재와, 이 암수부재를, 각각의 끈의 관통구멍이 서로 연이어 통하지 않도록 하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끈의 관통구멍을 통해서 고정구에 관통되는 끈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고정구의 치수를 작게 하는데에는 일정한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고정구를 구성하기 위해서 적어도 3개의 부품을 필요로 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류의 고정구에 있어서, 부착ㆍ고정되는 끈형상체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치수를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러한 종류의 고정구의 구성부품을 가능한 한 감소시키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고정구(R)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고정구(R)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고정구(R)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프리상태)
도 4는 고정구(R)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부착ㆍ고정상태)
도 5는 고정구(R)의 측면도
도 6은 고정구(R)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중앙부분에서의 도 6과 단면위치를 90도 다르게 한 단면도(로크체(2)는 단면으로 하지 않음)
도 8은 본체(1)의 평면도
도 9는 본체(1) 저면도
도 10은 본체(1)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좌측에서 본체(1)를 보고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도 10의 중앙부분에서의 도 10과 단면위치를 90도 다르게 한 단면도
도 13은 로크체(2)의 평면도
도 14는 로크체(2)의 저면도
도 15는 로크체(2)의 측면도
도 16은 도 15의 좌측에서 로크체(2)를 보고 나타낸 측면도
도 17은 로크체(2)의 단면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10 - 내부공간
11 - 연통구멍 12 - 측부
2 - 로크체 20 - 조작 머리부
21 다리부 21a - 관통구멍
21a' - 구멍 가장자리부 R - 고정구
W - 끈형상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고정구가 이하의 (1)∼(5)의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했다.
(1) 본체와 로크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2) 본체는,
끈형상체를 관통시키는 내부공간과,
본체의 측부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과 연이어 통하도록 형성된 연통구멍을 구비하고 있고,
(3) 로크체는,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성된 조작 머리부와,
끈형상체를 관통시키는 관통구멍을 구비함과 아울러 본체의 연통구멍을 통해서 본체의 내부공간내에 삽입된 다리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4) 로크체의 조작 머리부를 본체의 측부로 압입조작해서 이 조작 머리부를 탄성변형시킨 다리부의 압입상태에 있어서, 이와 같이 압입된 다리부의 관통구멍을 통해서 본체에 끈형상체를 관통시키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5) 조작 머리부의 탄성복귀에 의해서 이동되는 로크체의 다리부에 의해서, 본체의 내부공간내에 있어서, 끈형상체가 상기 다리부의 관통구멍의 구멍 가장자리부에 의해서 끼워져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1) 상기 조작 머리부를 압입조작하여 이 조작 머리부를 탄성변형시킨 상태에 있어서, 로크체의 다리부의 관통구멍을 통해서 본체에 끈형상체를 관통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이 상태에서 끈형상체의 소망하는 위치까지 끈형상체를 따라서 고정구를 이동시킬 수 있다.
(2) 또한, 이와 같이 끈형상체의 소망하는 위치까지 끈형상체를 따라서 고정구를 이동시킨 후, 조작 머리부의 압입을 해제함으로써, 조작 머리부를 완전하게는아니지만 탄성복귀 시키고, 이 탄성복귀에 의해서 본체의 연통구멍으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로크체의 다리부에 의해서 본체의 내부공간내에 있어서 끈형상체가 상기 다리부의 관통구멍의 구멍 가장자리부에 의해서 끼워져 유지됨으로써, 상기 소망하는 이동위치에서 끈형상체에 고정구를 부착ㆍ고정할 수 있다.
(3) 또한, 이와 같이 끈형상체의 소망하는 위치에 고정구를 부착ㆍ고정시킨 상태에서, 조작 머리부를 다시 압입조작하여 상기 조작 머리부를 탄성변형시킴으로써, 본체의 내부공간의 안측으로 로크체의 다리부를 이동시켜서 이 다리부의 관통구멍의 구멍 가장자리부가 끈형상체를 끼워져 유지하는 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끈형상체에 대한 고정구의 부착ㆍ고정상태를 해제하여 다시 끈형상체를 따라서 소망하는 위치까지 고정구를 이동시킬 수 있다.
(4) 또한, 본체의 내부에 로크체를 탄발시키는 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끈형상체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본체의 치수, 나아가서는 이 방향에서의 고정구의 치수를 지장없이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다. 특히, 본체를 끈형상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하고, 끈형상체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는 가능한 한 짧은 치수의 눈에 잘 띄지 않는 형상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로크체의 조작 머리부의 압입방향의 고정구의 치수를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압입조작시에 고정구를 파지(把持)하기 쉽다.
(5) 또한, 로크체의 조작 머리부를 끈형상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구성하여, 이 조작 머리부가 무리없이 충분한 탄성 복귀력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로크체의 압입조작에 있어서의 조작면을 끈형상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가능한한 크게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조작 머리부 자체가, 끈형상체가 다리부의 관통구멍의 구멍 가장자리부에 의해서 끼워져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의 역할을 맡고 있기 때문에, 합리적인 구조임은 물론, 상기 끼워져 유지된 상태를 해제함에 있어서, 조작 머리부의 압입조작에 의해서 압입력 전부를 그대로 조작 머리부에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끈형상체의 고정구에 있어서의 로크체의 조작 머리부가, 이 조작 머리부와 다리부와의 연접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형성된 1쌍의 탄성편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조작 머리부의 압입조작에 의한 다리부의 이동 및 이 압입조작의 해제에 의한 다리부의 이동을 모두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끈형상체의 고정구에 있어서의 본체의 측부 중 로크체의 조작 머리부와 마주 향하는 부분에, 이 조작 머리부가 수납되는 크기의 본체의 내부공간측으로 움푹 패인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끈형상체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고정구의 치수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에 기재된 끈형상체의 고정구에 있어서, 본체의 연통구멍에 있어서의 끈형상체의 관통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는 마주 향하는 구멍 가장자리부간의 간격이, 이 관통방향에 있는로크체의 다리부의 두께보다 크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고정구의 끈형상체에 대한 부착ㆍ고정상태에 있어서, 끈형상체를 가능한 한 크게 굴곡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이와 같이 굴곡된 끈형상체의 굴곡부의 일부를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연통구멍으로 삽입하여 이 연통구멍의 구멍 가장자리부에 눌려져 닿도록 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끈형상체에 대한 부착ㆍ고정력을 보다 강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에 기재된 끈형상체의 고정구가, 본체에 있어서의 연통구멍의 하측에 있는 내벽부에, 이 연통구멍으로부터 로크체의 다리부를 삽입함에 따라서, 이 다리부에 형성된 걸어맞춤부에 대해서 이 다리부측 및 내벽부측의 쌍방 또는 어느 일측의 탄성변형후의 탄발에 의해서 걸어맞춰지는 피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본체의 연통구멍에 대해서 로크체의 다리부를 삽입함에 따라서, 본체의 피걸어맞춤부에 로크체의 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출 수 있으며, 이 걸어맞춤에 의해서 이 걸어맞춤위치를 넘어서 본체의 연통구멍으로부터 로크체의 다리부가 다시 발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본체와 로크체를 원터치로 조립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도 1 내지 도 17에 의거해서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대해서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끈형상체(W)의 고정구(R)의 사용상태를 사시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상기 고정구(R)를 구성하는 로크체(2)와 본체(1)를 분리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로크체(2)의 조작 머리부(20)를 압입조작한 상태를, 도 4는 상기 압입조작을 해제해서 끈형상체(W)에 고정구(R)를 부착ㆍ고정한 상태를 각각 단면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은 고정구(R)를 각각 나타내고 있고, 도 8 내지 도 12는 본체(1)를 각각 나타내고 있으며, 도 13 내지 도 17은 로크체(2)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끈형상체(W)의 고정구(R)는, 각종 끈형상체(W)를 관통시킴과 아울러, 관통시킨 끈형상체(W)에 대해서 적당한 위치에서 부착ㆍ고정되고, 또한, 이 부착ㆍ고정상태를 필요에 따라서 해제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끈형상체(W)로서는, 전형적으로는, 의복이나 주머니체의 개방부 주위를 둘러 형성된 끈이나, 이러한 것들에 이용되는 조임용 끈등을 예정하는 것이다.
의복의 개방부 주위를 둘러 형성된 조임용 끈을 예로 든다면, 전형적으로는, 상기 조임용 끈에 있어서의 의복의 개방부의 인출부에 각각 고정구(R)를 부착ㆍ고정시킴으로써 이용된다. 상기 조임용 끈에 대한 고정구(R)의 부착ㆍ고정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의복의 개방부 주위를 두르는 조임용 끈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의복의 개방부를 좁히거나 혹은 넓힐 수 있다.
이러한 고정구(R)는, 본체(1)와 로크체(2)를 조립하는 것에 의해서 구성된다.
본체(1)는,
(1) 끈형상체(W)를 관통시키는 내부공간(10)과,
(2) 본체(1)의 측부(12)에 있어서 이 내부공간(10)과 연이어 통하도록 형성된 연통구멍(11)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체(1)는, 관통되는 끈형상체(W)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가늘고 길게 형성된 통형상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는, 그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에 있어서, 외곽형상이 거의 방형(方形)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부(12)는 그 길이방향을 따르는 4개의 외면부(13,13ㆍㆍㆍ)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본체(1)는, 그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에 있어서, 내곽형상이 거의 원형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그 일단면(14)에서 타단면(14)을 향하여, 이 양단면(14,14)에 있어서 외측으로 개방된 둥근구멍을 관통상태로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체(1)는, 상기 둥근구멍에 의해서 상기 내부 공간(10)을 구비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본체(1)에 있어서의 일단면(14)으로 개방된 상기 둥근구멍의 입구로부터 끈형상체(W)의 단말(端末)을 넣고, 이 단말을 상기 본체(1)에 있어서의 타단면(14)으로 개방된 상기 둥근구멍의 입구로부터 발출함으로써, 본체(1)의 내부 공간(10)을 끈형상체(W)가 관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연통구멍(11)은, 본체(1)의 길이방향을따르는 4개의 외면부(13,13ㆍㆍㆍ) 중 일측에 있어서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연통구멍(11)은, 본체(1)의 길이방향의 대략 중간 정도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로크체(2)는,
(1)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성된 조작 머리부(20)와,
(2) 끈형상체(W)를 관통시키는 관통구멍(21a)을 구비함과 아울러 본체(1)의 연통구멍(11)을 통해서 본체(1)의 내부공간(10)으로 삽입된 다리부(21)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러한 로크체(2)의 조작 머리부(20)는, 상기 끈형상체(W)를 본체(1)에 관통시키는 방향{즉, 본체(1)의 길이방향}으로 가늘고 긴 판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다리부(21)는, 상기 조작 머리부(20)의 일면측으로부터, 이 조작 머리부(20)의 일면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판형상편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다리부(21)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조작 머리부(20)의 길이방향의 대략 중간정도의 위치에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조작 머리부(20)의 폭치수와 거의 같은 폭치수를 갖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다리부(21)는, 광폭(廣幅)의 양면(21b,21b)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광폭(廣幅)의 양면(21b,21b)을 상기 본체(1)의 폭방향을 따르도록 하여 상기 연통구멍(11)을 통해서 본체(1)의 내부 공간(10)내로 삽입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되는 다리부(21)에, 상기 끈형상체(W)를 관통시키는 관통구멍(21a)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관통구멍(21a)은, 다리부(21)의 돌출측에 있는 구멍 가장자리부(21a')를 원호형상으로 만곡시킴과 아울러, 이 만곡시킨 구멍 가장자리부(21a')에 의해서 끈형상체(W)가 끼워져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조작 머리부(20)는, 상기 다리부(21)의 돌출측이 만곡내측이 되도록 원호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조작 머리부(20)는, 그 양면이 각각 만곡면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 머리부(20)는, 상기와 같이 만곡된 양면의 만곡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상기 다리부(21)의 돌출위치를 중심으로 한 양측을 각각 탄성변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로크체(2)의 조작 머리부(20)가, 이 조작 머리부(20)와 다리부(21)의 연접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형성된 1쌍의 탄성편(20a,20a)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첫째, 이와 같이 만곡된 로크체(2)의 조작 머리부(20)에 의해서, 이 조작 머리부(20)를 탄성변형시키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는, 본체(1)의 연통구멍(11)을 통해서 본체(1)의 내부공간(10)에 삽입된 다리부(21)의 관통구멍(21a)이, 본체(1)의 내부공간(10)으로 통과되는 끈형상체(W)가 이 관통구멍(21a)을 관통하지 못하도록 상기 내부공간(10)과 연이어 통하지 않게 되어 있다(도 6). 즉, 만곡상태에서 양단부를 본체(1)의 측부(12)에 접하게 하는 조작 머리부(20)에 의해서, 로크체(2)의 다리부(21)는, 그 돌출단측이 상기 연통구멍(11)을 통해서 본체(1)의 내부공간(10)내로 삽입되어 들어가기는 하지만, 상기 관통구멍(21a)의 형성부분은 이 내부공간(10)내로 삽입되지 않는 상태로 지지되도록 하고 있다.
둘째, 로크체(2)의 조작 머리부(20)를 본체(1)의 측부(12)로 압입조작하여 이 조작 머리부(20)를 탄성변형시킨 다리부(21)의 압입상태에 있어서, 이와 같이 압입된 다리부(21)의 관통구멍(21a)을 통해서 본체(1)에 끈형상체(W)를 관통시키도록 하고 있다(도 3). 즉, 이 압입조작에 의해서 만곡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조작 머리부(20)를 탄성변형시킴으로서, 로크체(2)의 다리부(21)에 있어서의 상기 관통구멍(21a)의 형성부분이 본체(1)의 내부공간(10)으로 삽입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셋째, 상기 압입에 의해서 탄성변형된 조작 머리부(20)의 상기 압입을 해제함으로써, 이 조작 머리부(20)가 탄성복귀되고, 이 조작 머리부(20)의 탄성복귀에 의해서 이동되는 로크체(2)의 다리부(21)에 의해서 본체(1)의 내부공간(10)내에 있어서 끈형상체(W)가 이 다리부(21)의 관통구멍(21a)의 구멍 가장자리부(21a')에 의해서 끼워져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도 4).
즉,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고정구(R)에 의하면,
(1) 상기 조작 머리부(2)를 압입조작하여 이 조작 머리부(20)를 탄성변형시킨 상태에 있어서, 로크체(2)의 다리부(21)의 관통구멍(21a)을 통해서 본체(1)에 끈형상체(W)를 관통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이 상태에서 끈형상체(W)의 소망하는위치까지 끈형상체(W)를 따라서 고정구(R)를 이동시킬 수 있다.
(2) 또한, 이와 같이 끈형상체(W)의 소망하는 위치까지 끈형상체(W)를 따라서 고정구(R)를 이동시킨 후, 조작 머리부(20)의 압입을 해제함으로써 조작 머리부(20)를 완전하게는 아니지만 탄성복귀시키고, 이 탄성복귀에 의해서 본체(1)의 연통구멍(11)으로부터 발출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로크체(2)의 다리부(21)에 의해서 본체(1)의 내부공간(10)내에 있어서 끈형상체(W)가 이 다리부(21)의 관통구멍(21a)의 구멍 가장자리부(21a')에 의해서 끼워져 유지되도록 하여, 상기 소망하는 이동위치에서 끈형상체(W)에 고정구(R)를 부착ㆍ고정할 수 있다.
(3) 또한, 이와 같이 끈형상체(W)의 소망하는 위치에 고정구(R)를 부착ㆍ고정시킨 상태에서, 조작 머리부(20)를 다시 압입조작하여 상기 조작 머리부(20)를 탄성변형시킴으로써, 본체(1)의 내부공간(10)의 안측으로 로크체(2)의 다리부(21)를 이동시켜서 이 다리부(21)의 관통구멍(21a)의 구멍 가장자리부(21a')에 의해서 끈형상체(W)가 끼워져 유지되는 상태를 해제하고, 이것에 의해서 끈형상체(W)에 대한 고정구(R)의 부착ㆍ고정상태를 해제하여 다시 끈형상체(W)를 따라서 소망하는 위치까지 고정구(R)를 이동시킬 수 있다.
(4) 또한, 본체(1)의 내부에 로크체(2)를 탄발시키는 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끈형상체(W)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본체(1)의 치수, 나아가서는 이 방향에서의 고정구(R)의 치수를 지장없이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다. 특히, 본체(1)를 끈형상체(W)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하고, 끈형상체(W)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는 가능한 한 치수가 작은 눈에 잘 띠지 않는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로크체(2)의 조작 머리부(20)의 압입방향의 고정구(R)의 치수를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압입조작시에 고정구(R)를 파지하기가 쉽다.
(5) 또한, 로크체(2)의 조작 머리부(20)를 끈형상체(W)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구성하여, 이 조작 머리부(20)가 무리없이 충분한 탄성복귀력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로크체(2)의 압입조작시에 조작면을 끈형상체(W)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가능한 한 크게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조작 머리부(20) 자체가 끈형상체(W)가 다리부(21)의 관통구멍(21a)의 구멍 가장자리부(21a')에 의해서 끼워져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의 역할을 맡고 있기 때문에 합리적인 구조임은 물론, 이 끼워져 유지되는 상태를 해제함에 있어서, 조작 머리부(20)의 압입조작에 의해서 압입력 전부를 그대로 조작 머리부(20)에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작 머리부(20)가, 상기 다리부(21)의 돌출위치를 중심으로 한 양측을 각각 상기 압입조작에 의해서 탄성변형시키는 1쌍의 탄성편(20a,20a)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압입조작에 의한 다리부(21)의 이동 및 이 압입조작의 해제에 의한 다리부(21)의 이동을 모두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와는 달리, 조작 머리부(20)를, 다리부(21)와의 연접위치로부터 측방을 향해서 돌출하는 1개의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편(20a)에 의해서 구성해 두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체(1)의 측부(12) 중 로크체(2)의 조작 머리부(20)와 마주 향하는 부분에, 본체(1)의 내부공간(10)측으로 움푹 패인 오목부(15)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체(1)의 측부(12)를 구성하는 4개의 외면부(13,13ㆍㆍㆍ) 중, 상기 연통구멍(11)이 형성되어 있는 외면부(13)에, 본체(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는 홈 형상을 이루는 오목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15)는, 상기 연통구멍(11)이 형성되어 있는 개소가 가장 깊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 연통구멍(11)을 중심으로 한 양측의 오목부(15)의 바닥면(15a)을 각각, 본체(1)의 단부에서 상기 연통구멍(11)을 향함에 따라서 점점 낮아지는 경사면(15b)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로크체(2)의 조작 머리부(20)가, 이 오목부(15)의 폭내에 수납되는 폭치수를 가지며, 조작 머리부(20)를 이 오목부(15)내에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연통구멍(11)을 통해서 상기 다리부(21)가 본체(1)의 내부공간(10)내로 삽입된 구성을 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머리부(20)를 본체(1)에 압입조작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는, 조작 머리부(20)를 구성하는 1쌍의 탄성편(20a,20a)의 선단부(20a')를 오목부(15)의 바닥면(15a)에 접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경사면(15b)에 의해서, 이 선단부(20a')에서부터 조작 머리부(20)에 있어서의 다리부(21)의 연접위치를 향함에 따라서 조작 머리부(20)와 오목부(15)의 바닥면(15a)과의 사이의 간격이 넓어져 가는 상태로, 상기 오목부(15)에 조작 머리부(20)가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머리부(20)는, 상기 오목부(15)의 바닥면(15a)에 조작 머리부(20)의 다리부(21)의돌출측의 면을 밀착시키는 위치까지, 본체(1)측을 향해서 이 조작 머리부(20)를 탄성변형시키면서 압입조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끈형상체(W)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고정구(R)의 치수를 보다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체(1)의 연통구멍(11)에 있어서의 끈형상체(W)의 관통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는 마주 향하는 구멍 가장자리부(11c,11c)간의 간격이, 이 관통방향에 있는 로크체(2)의 다리부(21)의 두께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체(1)의 연통구멍(11)은,
(1) 로크체(2)의 다리부(21)의 폭치수보다 약간 폭이 넓은 중앙 구멍부(11a)와,
(2) 이 중앙 구멍부(11a)의 양측에, 로크체(2)의 다리부(21)의 폭치수보다 약간 폭이 좁은 측 구멍부(11b)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3) 그리고, 이 중앙 구멍부(11a)와 측 구멍부(11b)의 치수차에 의해서, 연통구멍(11)에 있어서의 본체(1)의 길이방향에 있는 양 구멍벽부에 각각, 상기 다리부(21)의 돌출방향에 있는 측연부(側緣部)(21c)를 수납하는 제 1 홈(11d)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연통구멍(11)의 중앙 구멍부(11a)에 있어서 연통구멍(11)에 삽입된 로크체(2)의 다리부(21)의 일측면(21b)과 이 일측면(21b)과 마주 향하는 측 구멍부(11b)에 있어서의 끈형상체(W)의 관통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는 구멍가장자리부(11c)와의 사이 및, 로크체(2)의 다리부(21)의 타측면(21b)과 이 타측면(21b)과 마주 향하는 측 구멍부(11b)에 있어서의 끈형상체(W)의 관통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는 구멍 가장자리부(11c)와의 사이에, 로크체(2)의 다리부(21)의 관통구멍(21a)에 끈형상체(W)를 관통시킨후의 조작 머리부(20)의 탄성복귀에 의해서 굴곡된 끈형상체(W)의 굴곡외측에 있는 끈형상체(W)의 일부가 본체(1)의 내측으로부터 삽입되도록 하고 있다(도 4).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고정구(R)의 끈형상체(W)에 대한 부착ㆍ고정상태에 있어서, 끈형상체(W)를 가능한 한 크게 굴곡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이와 같이 굴곡된 끈형상체(W)의 굴곡부의 일부를 본체(1)의 내측으로부터 연통구멍(11)으로 삽입시켜서 이 연통구멍(11)의 구멍 가장자리부(11c)에 눌려져 닿게 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끈형상체(W)에 대한 부착ㆍ고정력을 보다 강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통구멍(11)에 끈형상체(W)의 굴곡부가 본체(1)의 내부로부터 삽입되는 만큼, 이 끈형상체(W)에 대한 부착ㆍ고정상태에 있어서의 로크체(2)의 다리부(21)의 본체(1)의 외측을 향한 이동치수를 크게 확보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이 부착ㆍ고정상태에 있어서의 로크체(2)의 조작 머리부(20)의 탄성변형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조작 머리부(20)의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피로, 즉, 상기 부착ㆍ고정상태에 있어서 조작 머리부(20)가 크게 탄성변형된 상태로 그대로 놓여짐에 따른 조작 머리부(20)의 탄성변형력의 감소를 가능한 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체(1)에 있어서의 연통구멍(11)의 하측에있는 내벽부에, 이 연통구멍(11)으로부터의 로크체(2)의 다리부(21)의 삽입에 따라서, 이 다리부(21)에 형성된 걸어맞춤부(21d)에 대해서, 이 다리부(21)측 및 내벽부측의 쌍방 또는 어느 일측의 탄성변형후의 탄발에 의해서 걸어맞춰지는 피걸어맞춤부(16)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체(1)에 있어서의 상기 연통구멍(11)이 형성된 외면부(13)와 대향하는 외면부(13)측으로부터, 상기 연통구멍(11)에 있어서의 제 1 홈(11d)의 내측단을 향해서 연장되는 상기 제 1 홈(11d)보다 깊은 제 2 홈(1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홈(11d)과 제 2 홈(17)과의 깊이의 차이분의 단차면(16a)이, 상기 연통구멍(11)에 있어서의 본체(1)의 내측의 구멍 가장자리부에 본체(1)의 양측에 있어서 각각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로크체(2)의 다리부(21)에 있어서의 이 다리부(21)의 돌출방향에 있는 측연부(21c)와, 상기 다리부(21)의 돌출단 가장자리부와의 서로 접하는 2개의 모퉁이부에 각각, 측방을 향해서 돌출되는 걸어맞춤 돌부(21e)가 형성되어 있다.
이 로크체(2)의 다리부(21)에 있어서의 1쌍의 걸어맞춤 돌부(21e,21e)의 돌출단(21f)간의 치수는, 1쌍의 제 1 홈(11d,11d)의 홈바닥 사이의 간격, 즉, 연통구멍(11)의 중앙 구멍부(11a)의 본체(1)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구멍폭보다 약간 크게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1쌍의 제 2 홈(17,17)의 홈바닥 사이의 간격보다 약간 작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1쌍의 걸어맞춤 돌부(21e,21e)는 각각, 그 돌출단(21f)을 중심으로 한 하측에, 이 돌출단(21f)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걸어맞춤 돌부(21e)의 상하방향의 두께치수를 작게 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21g)을 구비함과 아울러, 그 돌출단(21f)을 중심으로 한 상측에, 상기 단차면(16a)에 대한 걸어맞춤면(21h)을 가지고 있다.
또한, 다리부(21)에 있어서의 1쌍의 걸어맞춤 돌부(21e,21e) 의 측방에는, 다리부(21)의 돌출단에 있어서 하측으로 개방되고 상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확장 슬롯(21i)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확장 슬롯(21i)에 의해서 다리부(21)의 양측이 각각 탄성변형 가능해지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 우선, 본체(1)의 연통구멍(11)에 로크체(2)의 다리부(21)를 삽입함에 따라서, 제 1 홈(11d)의 홈바닥에 걸어맞춤 돌부(21e)를 맞부딪쳐서, 이 걸어맞춤 돌부(21e)가 형성되어 있는 다리부(21)의 측부를 각각 내측으로 탄성변형시킬 수 있다. 이 탄성변형은, 상기 돌부의 경사면(21g)에 의해서 서서히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연통구멍(11)에 대한 로크체(2)의 다리부(21)의 삽입을 비교적 부드럽게 행할 수 있다.
(2) 계속해서, 본체(1)의 연통구멍(11)에 대해서, 제 1 홈(11d)의 내측단을 걸어맞춤 돌부(21e)의 돌출단(21f)이 넘는 위치까지 로크체(2)의 다리부(21)를 삽입하면, 일단 탄성변형되어 있던 다리부(21)의 측부가 탄성복귀되어 걸어맞춤 돌부(21e)의 걸어맞춤면(21h)이 상기 단차면(16a)에 걸어맞춰질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양 면(21h,16a)이 걸어맞춰지는 위치로부터 다시 로크체(2)의 다리부(21)가 발출되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체(1)의 연통구멍(11)에 대해서 로크체(2)의 다리부(21)를 삽입함에 따라서, 본체(1)의 피걸어맞춤부(16){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단차면(16a)}에 로크체(2)의 걸어맞춤부(21d){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걸어맞춤 돌부(21e)}를 걸어맞출 수 있고, 이 걸어맞춤에 의해서 이 걸어맞춤 위치를 넘어서 본체(1)의 연통구멍(11)으로부터 로크체(2)의 다리부(21)가 다시 발출되지 않게 하고, 본체(1)와 로크체(2)를 원터치로 조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1)에 조립되는 로크체(2)는, 상기 제 2 홈(17)의 형성범위 내에 있어서, 상기 조작 머리부(20)의 압입에 의해서 본체(1)의 내측을 향해서 이동되며, 또한, 이와 같이 압입된 조작 머리부(20)의 탄성복귀에 의해서 본체(1)의 외측을 향해서 이동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연통구멍(11)의 중앙 구멍부(11a)의 직하(直下)위치에 있는 본체(1)의 내벽부에, 조작 머리부(20)의 압입에 의해서 로크체(2)의 다리부(21)의 돌출단측이 삽입되는 구멍부(18)가 형성되어 있어서, 다리부(21)의 이동량을 가능한 한 크게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로크체(2)의 조작 머리부(20) 및 다리부(21)에 소용(所用)의 탄성변형 특성을 부여하는 것은, 전형적으로는, 이 로크체(2)를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함으로써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로크체(2)와 본체(1) 쌍방을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체(1)에 있어서의 상기 단차면(16a)의 직하(直下)에는, 제 2 홈(17)의 홈 폭과 거의 같은 폭을 구비한 창구멍(19)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창문 구멍(19)을 통해서 상기 단차면(16a)을 플라스틱 성형에 의해서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끈형상체의 고정구에 의하면, 부착ㆍ고정되는 끈형상체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고정구의 치수를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고정구를 본체와 로크체의 2가지 부품으로 지장없이 구성할 수 있다.

Claims (5)

  1. 본체와 로크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본체는,
    끈형상체를 관통시키는 내부공간과,
    본체의 측부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과 연이어 통하도록 형성된 연통구멍을 구비하고 있으며,
    로크체는,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성된 조작 머리부와,
    끈형상체를 관통시키는 관통구멍을 구비함과 아울러 본체의 연통구멍을 통해서 본체의 내부공간내로 삽입된 다리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로크체의 조작 머리부를 본체의 측부에 압입조작하여 이 조작 머리부를 탄성변형시킨 다리부의 압입상태에 있어서, 이와 같이 압입된 다리부의 관통구멍을 통해서 본체에 끈형상체를 관통시키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조작 머리부의 탄성복귀에 의해서 이동되는 로크체의 다리부에 의해서 본체의 내부공간내에 있어서 끈형상체가 상기 다리부의 관통구멍의 구멍 가장자리부에 의해서 끼워져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형상체의 고정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로크체의 조작 머리부가, 이 조작 머리부와 다리부의 연접위치를 중심으로 한 양측에 형성된 1쌍의 탄성편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형상체의 고정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본체의 측부 중 로크체의 조작 머리부와 마주 향하는 부분에, 이 조작 머리부가 수납되는 크기의 본체의 내부공간측으로 움푹 패인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형상체의 고정구.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의 연통구멍에 있어서의 끈형상체의 관통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는 마주 향하는 구멍 가장자리부간의 간격이, 상기 관통방향에 있는 로크체의 다리부의 두께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형상체의 고정구.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에 있어서의 연통구멍의 하측에 있는 내벽부에, 상기 연통구멍으로부터 로크체의 다리부가 삽입됨에 따라서, 상기 다리부에 형성된 걸어맞춤부에 대해서, 상기 다리부측 및 내벽부측의 쌍방 또는 어느 일측의 탄성변형후의 탄발에 의해서 걸어맞춰지는 피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형상체의 고정구.
KR10-2002-0032580A 2001-09-18 2002-06-11 끈형상체의 고정구 KR1004576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83527 2001-09-18
JP2001283527A JP4674015B2 (ja) 2001-09-18 2001-09-18 紐状体の留め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557A KR20030024557A (ko) 2003-03-26
KR100457668B1 true KR100457668B1 (ko) 2004-11-18

Family

ID=19107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2580A KR100457668B1 (ko) 2001-09-18 2002-06-11 끈형상체의 고정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674015B2 (ko)
KR (1) KR100457668B1 (ko)
TW (1) TW58503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7382B1 (ko) 2012-03-22 2012-11-05 허균 재활용품 배출 그물망의 끈 고정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6956A (ja) * 2006-10-04 2008-04-17 Teijin Entech Co Ltd 濾材および濾材を用いた浄化方法
KR102442615B1 (ko) 2015-07-09 2022-09-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방법
WO2020204023A1 (ja) * 2019-04-02 2020-10-08 株式会社ニフコ 紐留め具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2394A (en) * 1978-03-13 1981-04-21 Dzus Fastener Co., Inc. Quarter-turn fastener
KR870009352U (ko) * 1985-12-28 1987-07-07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끈 파스너
JPH07177908A (ja) * 1993-12-24 1995-07-18 Ykk Kk 紐固定具
KR950030911A (ko) * 1994-05-27 1995-12-18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끈고정구
KR960006829A (ko) * 1994-08-12 1996-03-22 요시다 다다히로 코드 정지기
JPH10234432A (ja) * 1997-02-28 1998-09-08 Ykk Corp 紐固定具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7810U (ja) * 1984-08-09 1986-03-08 日本ノ−シヨン工業株式会社 紐固定具
JPS63172311U (ko) * 1987-04-30 1988-11-09
JPH0539309U (ja) * 1991-10-31 1993-05-28 吉田工業株式会社 コードストツパー
JPH0617511U (ja) * 1992-08-12 1994-03-08 吉田工業株式会社 紐締め具
JP3247020B2 (ja) * 1994-12-26 2002-01-15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コードストッパー
JPH1014619A (ja) * 1996-07-01 1998-01-20 Airisu:Kk 紐止め具
JPH10137010A (ja) * 1996-11-11 1998-05-26 Ykk Corp 紐止具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2394A (en) * 1978-03-13 1981-04-21 Dzus Fastener Co., Inc. Quarter-turn fastener
KR870009352U (ko) * 1985-12-28 1987-07-07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끈 파스너
JPH07177908A (ja) * 1993-12-24 1995-07-18 Ykk Kk 紐固定具
KR950030911A (ko) * 1994-05-27 1995-12-18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끈고정구
KR960006829A (ko) * 1994-08-12 1996-03-22 요시다 다다히로 코드 정지기
JPH10234432A (ja) * 1997-02-28 1998-09-08 Ykk Corp 紐固定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7382B1 (ko) 2012-03-22 2012-11-05 허균 재활용품 배출 그물망의 끈 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088407A (ja) 2003-03-25
JP4674015B2 (ja) 2011-04-20
TW585031U (en) 2004-04-21
KR20030024557A (ko) 2003-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1085Y1 (ko) 끈 고정구
JP3383894B2 (ja) 紐締め具
KR101481360B1 (ko) 2피스 클립
EP1887902B1 (en) Plastic fastener
US6648542B2 (en) Vehicles having parts connected with a sealing spring fastener comprising a closed cavity
KR100680490B1 (ko) 클립 및 에어백본체의 부착구조
KR970000456Y1 (ko) 은폐형 슬라이드 파스너용 자동 잠금 슬라이더
KR100457668B1 (ko) 끈형상체의 고정구
US4945614A (en) Buckle assembly
US20100284761A1 (en) Press Type Fastener
KR20110023809A (ko) 클립
WO2023165133A1 (zh) 一种用于固定零部件的紧固装置及紧固组件
US20080098574A1 (en) Cord Lock
JPH11287221A (ja) クリップ
KR20040105559A (ko) 끈형상체의 고정구 및 끈형상체의 고정구조
JP4225610B2 (ja) 部材の取付具
KR0165637B1 (ko) 끈고정구
JPH07313218A (ja) 紐止め具
KR100290646B1 (ko) 수고정구
CN219739339U (zh) 线对板连接器
JPS6114737Y2 (ko)
JP4309156B2 (ja) 留め具
JPH116545A (ja) ボールチェーン用ジョイント
JP2002096692A (ja) 装飾部品の取付構造
KR960003780Y1 (ko) 결합부재간의 틈새제거용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