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780Y1 - 결합부재간의 틈새제거용 클립 - Google Patents

결합부재간의 틈새제거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780Y1
KR960003780Y1 KR2019930029314U KR930029314U KR960003780Y1 KR 960003780 Y1 KR960003780 Y1 KR 960003780Y1 KR 2019930029314 U KR2019930029314 U KR 2019930029314U KR 930029314 U KR930029314 U KR 930029314U KR 960003780 Y1 KR960003780 Y1 KR 9600037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central
members
incision
fix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93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9539U (ko
Inventor
배유종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293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780Y1/ko
Publication of KR9500195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95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7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7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02Resiliently deformable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결합부재간의 틈새제거용 클립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자동차 콘솔박스의 분해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조립상태 요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제1부재 21a : 고정공
22 : 제2부재 22a : 고정돌기
100 : 클립 101 : 진입부
110 : 몸통 111 : 중앙 절개부
120 : 외측 절개편 121 : 내향 절곡부
본 고안은 두 부재가 결합되는 부위에 개재하여 틈새를 줄이는 틈새제거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등에서 상광부품간에 누적공차가 복합적으로 생기는 부위에는 갭(Gap) 및 단차가 불균일하게 발생된다. 예를 들어 자동차에서 콘솔박스에 변속레버가 장착되는 부위의 캡은 두 부재로 나누어지며 일측부재에 형성된 고정공에 대응부재에 형성된 고정돌기를 끼우는 방식으로 두 부재를 결합된다. 그러나 두 부재의 결합부위에 틈재가 발생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고정공에 고정돌기를 끼워 결합되는 두 부재에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큽립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공(21a)이 형성된 제1부재(21)와 고정돌기(22a)가 형성된 제2부재(22)를 결합할때 상기 고정공(21a)에 끼울 수 있도록 중앙 진입부(101)를 중심으로 몸통(110)과 외측 절개편(120)을 대칭되게 마련하고 각 단부에는 양단 절곡부(102)를 마련하되, 상기 몸통(110)에는 중앙 절개부(111)를 형성하며 상기 외측 절개편(120)에는 내향 절곡부(121)을 형성한 클립(100)을 구비한다.
클립(100)은 측면에서 볼때 대략 U자형으로 형성한다. 이 클립(100)은 중앙 진입부(101)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절곡하며 대칭되는 양부위에는 소정 위치에서 몸통(110)과 외측 절개편(120)으로 분할한다. 그리고 몸통(110) 및 외측 절개편(120)의 각 단부를 절곡시켜 양단 절곡부(102)를 형성한다. 이 양단 절곡부(102)는 외향으로 90°절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통(110)에는 대략 그 중앙부에 중앙 절개부(111)를 형성하되, 이 중앙 절개부(111)는 ㄷ자형으로 몸통(110)을 절개하고 그 단부가 외향으로 벌려져서 상향으로 지향되어야한다.
또한 외측 절개편(120)은 몸통(110)과 분리되는 부위로 부터 내향으로 절곡시킨 내향 절곡부(121)를 형성한다. 이 내향 절곡부(121)는 몸통(110)보다 내향으로 일부 절곡하며 다시 몸통(110)과 마찬가지로 수직하게 연장된다.
이러한 구조로 된 클립(100)은 일정크기의 단일한 평판을 절단압축하여 제작할 수 있다.
제3도 및 제4도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용 콘솔박스의 자동변속레버가 장착되는 부위에 조립되는 캡(20)등에 적용할 수 있다. 이 캡(20)은 제1부재(21)와 제2부재(22)로 구분되며, 두 부재를 클립(100)을 사용하여 틈새를 제거할 수 있다.
두 부재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1부재(21)에 형성된 고정공(21a)에 클립(100)을 끼워야 한다. 클립(100)을 끼울때는 중앙 진입부(101)에서 부터 고정공(21a)를 밀어 넣어 양단 절곡부(102)가 제1부재(21)의 상면에 밀착되게 한다. 그러면 중앙 절개부(111)가 고정공(21a)를 진입과정에서 오므라들었다가 다시 벌어져 그 단부가 제1부재(21)의 하면에 맞닿게 된다. 이와 같이 제1부재(21)에 클립(100)을 끼운 후 제2부재(22)의 고정돌기(22a)를 클립(100)안쪽으로 끼우면 된다. 이때 고정돌기(22a)의 양측면이 클립(100)의 내향 절곡부(121)와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단단히 끼워진다. 그리고 제2부재(22)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밀착턱(22b)은 제1부재(21)의 가장자리면과 서로 밀착된다. 부언하여 고정돌기(22a)의 일측에 톱니(22c)를 형성하여 클립(100)과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두 부재의 결합부의, 특히 고정돌기가 끼워지는 고정공에 사용함으로써 두 부재간의 결합력이 증대된다.

Claims (1)

  1. 중앙 진입부(101)를 중심으로 몸통(110)과 외측 절개편(120)을 대칭되게 마련하고 각 단부에는 양단 절곡부(102)를 마련하되, 상기 몸통(110)에는 중앙 절개부(111)를 형성하며 상기 외측 절개편(120)에는 내향절곡부(12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간의 틈새제거용 클립.
KR2019930029314U 1993-12-23 1993-12-23 결합부재간의 틈새제거용 클립 KR9600037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9314U KR960003780Y1 (ko) 1993-12-23 1993-12-23 결합부재간의 틈새제거용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9314U KR960003780Y1 (ko) 1993-12-23 1993-12-23 결합부재간의 틈새제거용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539U KR950019539U (ko) 1995-07-24
KR960003780Y1 true KR960003780Y1 (ko) 1996-05-07

Family

ID=19372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9314U KR960003780Y1 (ko) 1993-12-23 1993-12-23 결합부재간의 틈새제거용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78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539U (ko) 1995-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87902B1 (en) Plastic fastener
US5716235A (en) Rear holder integral-type connector
JPH08161952A (ja) 雌型電気接点部材
JP2730851B2 (ja) 雌型端子
US7563109B2 (en) Electrical component mounting block and electrical junction box
DE4329699C2 (de) Fassung für elektrisches Bauteil
JP4037205B2 (ja) 防水ボックス
JP3501344B2 (ja) 樹脂成形品のロック構造
KR960003780Y1 (ko) 결합부재간의 틈새제거용 클립
KR960005915B1 (ko) 와이퍼블레이드의 피봇죠인트
US20080315620A1 (en) Auto Panel Attachment Device
US6971146B2 (en) Fastening spring
JPH0249657Y2 (ko)
JPH0748417Y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構造
KR100247537B1 (ko) 자동차용 커넥터
KR100204655B1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
KR19980042566A (ko) 전자기기
KR200150890Y1 (ko) 쿼터 클라스 마운팅장치
KR100187149B1 (ko) 와셔 겸용 너트 클립
KR0154091B1 (ko) 체결용 너트
KR200151698Y1 (ko) 자동차 도어 내측의 당김 손잡이 설치구조
KR19980050849A (ko) 차량 트림류 고정 클립 구조물
JP2000253516A (ja) ブラインドキャップ
JPH1130208A (ja) 取付構造
JP3611250B2 (ja) 配線、配管等の取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4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