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4643A - 인터넷 제어가 가능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제어가 가능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4643A
KR20020064643A KR1020010074664A KR20010074664A KR20020064643A KR 20020064643 A KR20020064643 A KR 20020064643A KR 1020010074664 A KR1020010074664 A KR 1020010074664A KR 20010074664 A KR20010074664 A KR 20010074664A KR 20020064643 A KR20020064643 A KR 20020064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levator
control
uni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4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5014B1 (ko
Inventor
나정식
Original Assignee
엑트아이기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엑트아이기술(주) filed Critical 엑트아이기술(주)
Publication of KR20020064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4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5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50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02Serial port, e.g. RS232C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는 제어반의 제어 컴퓨터 구성에 있어 군관리 시스템이 불필요하게 되며 현재 4가지로 나뉘어진 엘리베이터 관리 네트워크를 1개의 네트워크로 처리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일화된 네트워크에 인터넷과 인트라넷을 연동 하여 실시간 인터넷 정보를 제공하거나 건물 상태를 즉시 서비스 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 할 수 있다한 것이다.

Description

인터넷 제어가 가능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Elevator System which is controlled through the Internet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터넷 기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제어반용 컴퓨터와 이를 채용한엘리베이터의 관련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일반적인 엘리베이터는 기계실, 카, 승강장, 승강로, 제어반 등을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은 몇 개의 서브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복수대의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관리하는 군관리 시스템(110), 각 엘리베이터를 관리하는 각대관리시스템(111, 112, .......)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은 군관리 시스템(110)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통제를 받게 된다.
엘리베이터 구성용 네트워크는 크게 4가지로 되어있다.
첫 번째 네트워크는 승강대 계열 네트워크(101)로 각대관리의 마이컴과 승강대 기기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로 버튼, 인디케이터 및 도어를 제어한다.
두 번째 네트워크는 승강장 계열 네트워크로(102) 각대관리의 마이컴과 승강장 기기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로 승강장 버튼이나 승강장 인디케이터를 제어한다.
세 번째 네트워크는 군관리 계열 네트워크(103)로서 각대관리 마이컴과 연결하여 군관리 정보를 제공한다.
네 번째 네트워크는 옵션계열 네트워크로(104)서 각대관리의 마이컴과 옵션 기기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로서 홀 정보 및 대기 시간 표시기 등을 제어한다.
일반적인 인터넷의 개념은 TCP/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네트웍과 네트웍들이 모인 하나의 거대한 네트웍(Network of Networks)이다. 인터넷에는 수많은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인터넷을 이용하면 시간이나 공간의 제약 없이 원하는 정보를 거의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프로토콜은 서로간에 합의된 통신방법으로 일반적으로 통신규약이라고 해석된다. 컴퓨터간의 데이터를 주고받는데 있어서 어느 컴퓨터가 통신을 시작하도록 할 것이며, 통신에 따른 응답은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데이터를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 통신 중에 발생한 에러는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등등의 경우에 따른 대처방안이 필요한데 이러한 역할을 하는 것을 프로토콜이라고 한다.
각기 네트워크들은 자신들의 구성원 컴퓨터가 의사소통 할 수 있는 언어를 갖고 있는데, 세계인의 언어와 같이 다양하여 외부의 네트워크와 연결을 하더라도 프로토콜이 틀리면 서로의 의사를 전달할 수 없다. 따라서 표준 TCP/IP프로토콜의 등장은 인터넷 발전의 원동력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인터넷을 이용하여 웹, 전자우편, 파일전송, 채팅, 뉴스, 텔넷, 고퍼 등의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으며 특히 웹서비스는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며 인터넷이라는 개념을 대표하는 서비스로 자리 잡고 있다.
기존의 엘리베이터 제어방식은 각 엘리베이터의 각대관리 시스템(111, 112,....)의 제어용 마이컴과 이를 통괄 관리하는 군관리 시스템(110)의 마이컴으로 나뉘어, 일방적으로 군관리 시스템(110)의 제어를 받는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즉, 극단적인 서버/클라이언트 환경하의 제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서버 시스템의 부정확한 동작이나 오류에 의해 각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에 심각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기존의 엘리베이터는 운송기능에 단순한 층 변화 정보만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인 기능이다.
이러한 엘리베이터에 전광판이나 TV를 달아 단순 정보나 광고 정도를 제공하는 것이 좀더 발전된 형태를 보여 주기도 했다.
그러나, 이들 엘리베이터는 관리상의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엘리베이터에 장착된 기계를 직접 제어하여야 하는 문제점과 신속한 자료 갱신에 있어 순발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다.
또한, 제공되는 정보에 대해 사용자와의 관계성보다는 일방적인 정보 전달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방식의 정보 전달은 진정한 의미에서의 정보 전달과 이용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제공되는 정보의 질에서도 자료갱신이나 가공의 용이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다른 정보 제공 매체보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고 엘리베이터라는 공간상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그나마 제공되는 정보의 인지도 및 인식률에서 상당한 손실을 가져오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첫 번째로 발전된 컴퓨팅 모델 채용을 통한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성능 향상 및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기존의 단순한 일괄제어방식의 컴퓨팅이 아닌 상호 작용적 인터넷 컴퓨팅 모델을 통해 엘리베이터 제어용 컴퓨터 모델을 단순화 및 효율적 조직체로 만드는 것이다.
두 번째로 다양한 정보를 엘리베이터라는 공간에서 제공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단순 층정보 및 대기시간의 정보가 아닌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제공하며 정보 제공의 매개체로 인터넷을 활용하여 일방적 정보 전달이 아닌 엘리베이터 이용자와 상호 반응하는 시스템으로 구현하는 것이다.
도1. 기존 엘리베이터의 네트워크 구성
도2. 인터넷 컴퓨터에 의한 엘리베이터 네트워크 구성
도3. 엘리베이터 제어용 컴퓨터의 구성
도4. 사용자 제어용 키패드의 구성
도5. 관리용 소프트웨어의 구성
도6. 운행제어부 소프트웨어구성
도7. 운행제어부 소프트웨어 흐름도
도8. 운송정보처리부 소프트웨어 구성
도9. 운송정보처리부 소프트웨어 흐름도
도10. 인터넷서비스부 소프트웨어 구성
도11. 인터넷서비스부 소프트웨어 흐름도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단일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간에 통신을 하는 다수의 각대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며,
각 각대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입력을 선택받기 위한 입력부;
시스템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입출력제어부;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른 각대 관리 시스템들로부터 운송정보를 입력받아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하고, 자체 시스템의 운송 정보를 생성하며, 정보를 수집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각대 관리 시스템의 제어프로그램 및 웹 브라우져 프로그램을 내장하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운행 정보 수집부가 운행정보가 도착하기를 대기하고 있다가, 운행정보가 도착하면 정보의 종류를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정보가 엘리베이터 구동용 정보일 경우, 운행정보 가공부가 RS232C 신호를 발생시켜 엘리베이터 제어부를 제어하고, 액정표시장치에 표현 할 자료라면 HTML형태로 엔코딩하는 작업을 수행한후 데이터를 액정표시장치에 표시하도록 하는 단계;
운행정보 가공부가 RS232C용 신호를 운행정보로서 다른 각대 관리 시스템에 엘리베이터 제어용 네트워크를 통해 발송하는 단계;
오류 발생 시에는 운행정보 가공부가 오류 신호를 발생하여 HTML신호로 변환하고, 운송정보 처리부와 엘리베이터 제어부에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운송정보 분석부가 운송정보가 도착되었는지 판단하여, 운송정보가 도착되었으면, 운송 정보의 유형을 분석하는 단계;
정보 디코딩부가 유형에 따라 정보를 디코딩하고, 이 가공된 정보를 액정표시장치에 출력하는 단계;
운송정보 분석부가 엘리베이터에 대한 치명적 오류가 발생 할시에 이상신호를 발생하고, 엘리베이터 제어부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의 구동을 멈추고, 운영자의 조치가 있을 때까지 동작을 보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정보 디코딩부가 인터넷/인트라넷 관련 정보, 운행정보 및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면 이를 표현 가능한 브라우져 형태의 정보로 디코딩 하는 단계;
사용자의 키입력이 없으면, 정보 표현부가 디코딩된 정보를 액정표시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해 정보 표현의 변경요구가 들어오면, 정보 디코딩부가 이를 처리하고, 사용자의 입력요구에 맞는 정보를 액정표시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면, 이러한 본 발명을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제어가 가능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2에서와 같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성은 종래의 군관리 시스템이 제거되었고, 복수개의 각대관리 시스템(211, 212,.....)으로 이루어지며, 네트워크도 종래기술인 도1의 4개의 네트워크에서 단일 네트워크(202)로 이루어진다.
또한, 정보 제공을 위해 외부에서 인터넷을 통해 접속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202)는 인터넷망(203)과 연동되어 있으며, 지능화 된 내부 건물 정보를관리자가 제공할 수 있도록 인트라넷망(204)과도 연결이 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은 기존의 서버/클라이언트 방식이 아닌 각 각대 관리 시스템이 하나의 서버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서버와 서버간의 단일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각 서버는 각종 데이터의 형식에 의해 지정 포트로 데이터를 받아 각자 이를 분석하는 제어프로그램을 통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 및 정보 제공을 담당하게 된다.
그러면, 이와 같은 각대 관리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하나의 각대 관리 시스템(211)을 설명하며, 나머지 각대 관리 시스템도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도3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각대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대 관리 시스템(211)은,
사용자의 입력을 선택받기 위한 입력부(303); 시스템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입출력제어부(304);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른 각대 관리 시스템들로부터 운송정보를 입력받아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하고, 자체 시스템의 운송 정보를 생성하며, 정보를 수집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5); 각대 관리 시스템의 제어프로그램 및 웹 브라우져 프로그램을 내장하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06); 상기 제어부(305)의 제어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309); 상기 제어부(305)의 제어에 따라 정보를 표시하는액정표시장치(308)를 포함한다.
그러면, 이러한 구성을 가진 각대 관리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엘리베이터 제어하기 위한 네트워크망(202)에 접속된 각대관리 시스템 (211)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카드(302, NIC)를 통하여 네트워크상의 엘리베이터 운송정보 및 인터넷/인트라넷 정보를 받는다.
또한, 사용자는 네트워크망(202) 또는 입력부(303)를 통해서 엘리베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키 입력 시 사용하게될 입력부(303)를 도4에 도시하였다.
도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키(403)를 눌러 액정표시장치(308)에서 해당 정보를 선택하면, 8048키보드프로세서(401)는 이 선택된 명령을 스켄코드로 변환하여 8255인터페이스칩(402)에 전달한다.
그러면, 8255인터페이스칩(402)은 이를 ASCII코드로 변환하여 입출력제어부 (304)에 전달하게 된다.
그러면, 입출력 제어부(304)는 I/O채널을 통하여 해당 입력을 제어부(305)에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부(305)의 중앙처리장치(311)는 입력된 자료를 처리한다. 이때, 제어부(305)의 중앙처리장치(311)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1)의 제어프로그램을 메모리(312)로 읽어와 실행하며, 이러한 기술은 이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305)는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입력된 명령 및 다른 각대 관리 시스템의 운송정보에 대응하여 엘리베이터를 운행하도록 제어하고, 자신의 운성정보를 생성하며, 인터넷 정보를 웹브라우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검색하게 된다.
이렇게 정보가 처리되면, 중앙처리장치(311)는 저장 대상이 되는 정보들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06)에 저장하는 동시에, 운송정보는 엘리베이터 제어 네트워크망(202)을 통해 다른 각대 관리 시스템에 발송한다.
한편, 중앙처리장치(311)는 RS232C인터페이스(307)를 통해 자신이 속한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검색된 인터넷 정보와 건물정보 등을 표시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엘리베이터 제어부(309)는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를 구동하게 되며, 액정표시장치(308)는 해당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상기 과정에서 제어프로그램은 엘리베이터를 관리 및 운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이며, 도5에 그 구성을 나타내었다.
도5를 참조하면, 제어프로그램은 운행제어부(501), 운송정보처리부(502), 인터넷서비스부(503)를 포함한다.
운행제어부(501)는 타 엘리베이터의 운송 정보를 받아 자신의 엘리베이터를 적절히 운행 할 수 있는 제어를 담당하는 소프트웨어이고, 운송정보처리부(502)는 자신의 엘리베이터 운송 정보를 제어 가공하는 일을 담당하게 된다. 인터넷서비스부(503)는 인터넷과 인트라넷의 정보를 엘리베이터 제어용 컴퓨터로 가공하여 제공하며 사용자 키입력에 관한 처리도 수행한다.
운행 제어부(501) 소프트웨어의 상세 구성은 도6에 나타내었다.
도6을 참조하면, 운행 제어부(501)는, 자신의 엘리베이터나 타 엘리베이터의 운행정보를 수집하는 운행정보 수집부(601)와 수집된 정보를 가공하는 운행정보 가공부(602)를 포함한다.
이 소프트웨어의 동작 흐름을 도7에 도시하였으며, 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행 정보 수집부(601)는 운행정보가 도착하기를 대기하고 있다가(S701), 운행정보가 도착하면 정보의 종류를 분석한다(S702).
분석된 정보가 엘리베이터 구동용 정보일 경우, 운행정보 가공부(602)는 RS232C 신호를 발생(S704)시켜 엘리베이터 제어부(309)를 제어하고, 액정표시장치 (308)에 표현 할 자료라면 HTML형태로 엔코딩하는 작업을 수행한후(S708) 데이터를 액정표시장치(308)에 표시하도록 한다(S709).
또한, 운행정보 가공부(602)는 RS232C용 신호를 운행정보로서 다른 각대 관리 시스템(212,....)네 엘리베이터 제어용 네트워크(202)를 통해 발송한다(S705).
만일, 오류 발생 시에는 운행정보 가공부(602)는 오류 신호를 발생(S707)하여 HTML신호로 변환하고(S708), 운송정보 처리부(502)와 엘리베이터 제어부(309)에 신호를 보낸다.(S709)
도8은 운송정보 처리부(502)의 구성도이다.
도8을 참조하면 운송정보 처리부(502)는 운행정보와 홀 정보를 가져와 분석하는 운송정보 분석부(801)와 이를 LCD모니터에 표현 가능하게 가공하는 정보 디코딩부(802)를 포함한다.
그러면, 운송정보 처리부의 동작을 도9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송정보 분석부(801)는 운송정보가 도착되었는지 판단하여(S901), 운송정보가 도착되었으면, 운송 정보의 유형을 분석한다(S902).
그러면, 정보 디코딩부(802)는 유형에 따라 정보를 디코딩하고(S903) 이 가공된 정보를 액정표시장치(308)에 출력한다(S904).
한편, 운송정보 분석부(801)는 엘리베이터에 대한 치명적 오류가 발생 할시에는(S905) 이상신호를 발생하고(S906), 엘리베이터 제어부(309)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의 구동을 멈추고, 운영자의 조치가 있을 때까지 동작을 보류한다(S907).
도10은 인터넷 서비스부의 구성도이다.
도10을 참조하면 인터넷 서비스부는 인터넷과 인트라넷, 운행정보, 사용자명령을 받는 정보 디코딩부(1001)와, 이를 브라우져 형태로 표현하는 정보 표현부(1002)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면, 이러한 구성을 가진 인터넷 서비스부의 동작을 도1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정보 디코딩부(1001)는 인터넷/인트라넷 관련 정보, 운행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받기 위해 대기하다가(S1101), 정보가 입력되면 이를 표현 가능한 브라우져 형태의 정보로 디코딩 한다(S1102).
사용자의 키입력이 없으면, 정보 표현부(1002)는 디코딩된 정보를 액정표시장치(308)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S1104).
한편,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해(S1103) 정보 표현의 변경요구가 들어오면, 정보 디코딩부(1001)는 이를 처리하고(S1105), 입력요구에 맞는 정보를 액정표시장치(308)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1104). 또한, 사용자는 키 입력에 의해 인터넷 서비스 및 다양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으며, 정보 디코딩부(1001)는 이에 따라 웹브라우져 프로그램등을 이용하여 해당 정보를 액정표시장치(308)에 표시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제어반의 제어 컴퓨터 구성에 있어 군관리 시스템이 불필요하게 되며 현재 4가지로 나뉘어진 엘리베이터 관리 네트워크를 1개의 네트워크로 처리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일화된 네트워크에 인터넷과 인트라넷을 연동 하여 실시간 인터넷 정보를 제공하거나 건물 상태를 즉시 서비스 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 할 수 있다.

Claims (7)

  1. 단일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간에 통신을 하는 다수의 각대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며,
    각 각대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입력을 선택받기 위한 입력부;
    시스템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입출력제어부;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른 각대 관리 시스템들로부터 운송정보를 입력받아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하고, 자체 시스템의 운송 정보를 생성하며, 정보를 수집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각대 관리 시스템의 제어프로그램 및 웹 브라우져 프로그램을 내장하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의 선택을 받기 위한 키;
    상기 키에 의해 선택된 명령을 스켄코드로 변환하는 키보드프로세서;
    상기 키보드프로세서의 출력을 ASCII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입출력제어부로 출력하는 인터페이스칩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어부는,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 인터넷 정보를 제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타 엘리베이터의 운송 정보를 받아 자신의 엘리베이터를 적절히 운행 할 수 있는 제어를 담당하는 운행제어부;
    자신의 엘리베이터 운송 정보를 제어 가공하는 운송정보처리부;
    인터넷과 인트라넷의 정보를 엘리베이터 제어용 컴퓨터로 가공하여 제공하며 사용자 키입력에 관한 처리도 수행하는 인터넷서비스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5. 운행 정보 수집부가 운행정보가 도착하기를 대기하고 있다가, 운행정보가 도착하면 정보의 종류를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정보가 엘리베이터 구동용 정보일 경우, 운행정보 가공부가 RS232C 신호를 발생시켜 엘리베이터 제어부를 제어하고, 액정표시장치에 표현 할 자료라면 HTML형태로 엔코딩하는 작업을 수행한후 데이터를 액정표시장치에 표시하도록 하는 단계;
    운행정보 가공부가 RS232C용 신호를 운행정보로서 다른 각대 관리 시스템에 엘리베이터 제어용 네트워크를 통해 발송하는 단계;
    오류 발생 시에는 운행정보 가공부가 오류 신호를 발생하여 HTML신호로 변환하고, 운송정보 처리부와 엘리베이터 제어부에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6. 운송정보 분석부가 운송정보가 도착되었는지 판단하여, 운송정보가 도착되었으면, 운송 정보의 유형을 분석하는 단계;
    정보 디코딩부가 유형에 따라 정보를 디코딩하고, 이 가공된 정보를 액정표시장치에 출력하는 단계;
    운송정보 분석부가 엘리베이터에 대한 치명적 오류가 발생 할시에 이상신호를 발생하고, 엘리베이터 제어부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의 구동을 멈추고, 운영자의 조치가 있을 때까지 동작을 보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7. 정보 디코딩부가 인터넷/인트라넷 관련 정보, 운행정보 및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면 이를 표현 가능한 브라우져 형태의 정보로 디코딩 하는 단계;
    사용자의 키입력이 없으면, 정보 표현부가 디코딩된 정보를 액정표시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해 정보 표현의 변경요구가 들어오면, 정보 디코딩부가 이를 처리하고, 사용자의 입력요구에 맞는 정보를 액정표시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01-0074664A 2001-02-01 2001-11-28 인터넷 제어가 가능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4950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04779 2001-02-01
KR1020010004779 2001-0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4643A true KR20020064643A (ko) 2002-08-09
KR100495014B1 KR100495014B1 (ko) 2005-06-14

Family

ID=27692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4664A KR100495014B1 (ko) 2001-02-01 2001-11-28 인터넷 제어가 가능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50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353A (ko) * 2003-04-11 2003-05-17 박정호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모니터에서의 정보표시방법 및 그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0441078B1 (ko) * 2001-12-12 2004-07-21 주식회사 동양 인트라넷을 응용한 승강기 관리방법
KR100449001B1 (ko) * 2001-11-28 2004-09-16 (주)임베디드웹 통신망을 통한 원격 감시기능을 갖춘 엘리베이터 제어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376B1 (ko) * 1997-11-11 2004-12-04 오티스엘지엘리베이터 유한회사 엘리베이터원격감시제어장치
US5955710A (en) * 1998-01-20 1999-09-21 Captivate Network, Inc.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for use in an elevator
KR100293625B1 (ko) * 1999-03-17 2001-06-15 성기수 엘리베이터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KR20010028578A (ko) * 1999-09-22 2001-04-06 백영문 인터넷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BR0016323A (pt) * 1999-12-14 2002-08-27 Otis Elevator Co Sistema de mostrador de elevador
KR100394233B1 (ko) * 2000-09-06 2003-08-09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감시내용을 작화 및 변경하는 컴퓨터를 갖는 모니터링시스템
KR100449001B1 (ko) * 2001-11-28 2004-09-16 (주)임베디드웹 통신망을 통한 원격 감시기능을 갖춘 엘리베이터 제어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001B1 (ko) * 2001-11-28 2004-09-16 (주)임베디드웹 통신망을 통한 원격 감시기능을 갖춘 엘리베이터 제어시스템
KR100441078B1 (ko) * 2001-12-12 2004-07-21 주식회사 동양 인트라넷을 응용한 승강기 관리방법
KR20030039353A (ko) * 2003-04-11 2003-05-17 박정호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모니터에서의 정보표시방법 및 그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5014B1 (ko) 2005-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6561A (en) Communication network data manager system
CN101394417A (zh) 远程访问装置以及远程访问系统
JP2003087270A (ja) マルチチャネル管理装置、マルチチャネル対応端末、マルチチャネル管理プログラム、マルチチャネル混信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マルチチャネル設定装置
KR100495014B1 (ko) 인터넷 제어가 가능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TWI537743B (zh) 遠端管理方法及其裝置
JP2003005823A (ja) 遠隔監視方法及び監視制御用オペレーション装置
JP2001177813A (ja) 装置間通信方法
JPH05721B2 (ko)
CN103907105B (zh) 一种用于建立客户端‑主机连接的方法
EP1567958A1 (en) A data processing system
JPS61190626A (ja) プロセス表示装置
JPH06239548A (ja) 昇降機の保守装置
JPH06232986A (ja) 集合住宅管理システム
JPH08132413A (ja) 建築用パネル製造ラインのコントロール装置
CN113987438A (zh) 一种用于安保机器人的远程管理系统
JP2002374361A (ja) リモートコンソールシステム
JPH06175803A (ja) 表示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758471B2 (ja) オンラインシステムにおける緊急運転方式
JPH05308359A (ja) マルチポートトランシーバ装置
JPH034695A (ja) 分散型制御システム
JPH08221361A (ja) オンライン計算機システム
JPH08211928A (ja) 監視システム
JPH0784690A (ja) 電子式キャッシュレジスタシステム
JPH03233749A (ja) メニューバイパス方法及び装置
JPH0398149A (ja) トランザクション送信制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