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2745A - 인쇄물을 작성하는 장치와 방법 - Google Patents

인쇄물을 작성하는 장치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2745A
KR20020062745A KR1020027007101A KR20027007101A KR20020062745A KR 20020062745 A KR20020062745 A KR 20020062745A KR 1020027007101 A KR1020027007101 A KR 1020027007101A KR 20027007101 A KR20027007101 A KR 20027007101A KR 20020062745 A KR20020062745 A KR 20020062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image
hologram recording
hologram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7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라쿠라아키라
스즈키히로츠구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2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274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6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multiple sub- holograms or to obtain images from them, e.g. multicolour technique
    • G03H1/268Holographic stereogr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1/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 B31D1/02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the articles being labels or tags
    • B31D1/027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the articles being labels or tags involving, marking, printing or cod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6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multiple sub- holograms or to obtain images from them, e.g. multicolour technique
    • G03H1/268Holographic stereogram
    • G03H2001/2685One step recording proces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6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multiple sub- holograms or to obtain images from them, e.g. multicolour technique
    • G03H1/268Holographic stereogram
    • G03H2001/2695Dedicated prin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7/00Mechanical components or mechanical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3H2227/04Production line for mass produ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70/00Substrate bearing the hologram
    • G03H2270/20Shape
    • G03H2270/23Ribbon shaped, e.g. holographic foi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10T156/1034Overedge bending of lamina about edges of sheetlike b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10T156/1043Subsequent to assembly
    • Y10T156/1049Folding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10T156/1051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by fo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10T156/1062Prior to 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10T156/1084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of continuous or running length bonded we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2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cutting, punching, piercing, severing or tea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2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cutting, punching, piercing, severing or tearing
    • Y10T156/13Severing followed by associating with part from same sour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2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cutting, punching, piercing, severing or tearing
    • Y10T156/1317Means feeding plural workpieces to be joined
    • Y10T156/1322Severing before bonding or assembling of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2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cutting, punching, piercing, severing or tearing
    • Y10T156/1317Means feeding plural workpieces to be joined
    • Y10T156/1322Severing before bonding or assembling of parts
    • Y10T156/133Delivering cut part to indefinite or running length we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2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cutting, punching, piercing, severing or tearing
    • Y10T156/1317Means feeding plural workpieces to be joined
    • Y10T156/1322Severing before bonding or assembling of parts
    • Y10T156/1339Delivering cut part in sequence to serially conveyed 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2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cutting, punching, piercing, severing or tearing
    • Y10T156/1317Means feeding plural workpieces to be joined
    • Y10T156/1343Cutting indefinite length web after assembly with discrete art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02For plural parts or plural areas of single part
    • Y10T156/1744Means bringing discrete articles into assembled relationshi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lo Graphy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스트립 형태의 홀로그램 기록매체를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기록매체 이송부, 홀로그램 기록매체로부터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의 최소한 한 부분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의 소정의 영역을,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한 부분으로서 절단하는 절단부, 필름보존부와 보존된 보호필름(PF)의 복수의 시트들을 한 개씩 공급하는 필름공급부, PF의 접는 라인을 따라 두 겹으로 접혀져 있는 PF의 단일한 시트를 개방하고 접는 필름개폐부, 복수의 장착 시트들을 한 개씩 공급하는 장착시트 보존 및 공급부와, 홀로그램을 위한 기록매체 부분과 장착시트를 PF로 라미네이트하는 라미네이트부로 구비되어 있는 인쇄물 작성 시스템의 인쇄물 작성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Description

인쇄물을 작성하는 장치와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print}
일반적으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은 예를 들면, 다른 관찰 위치로부터 순차적으로 물체 화상을 최초 화상으로 포착하고 스트립 형태 또는 도트 형태의 요소 홀로그램으로서 최초 화상의 각각을 단일한 홀로그램 기록매체상에 순차적으로 노출 및 기록함으로써 얻어지는 복수의 화상들에 의해 생성된다.
예를 들면,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은 도 11a에 도시한 바와같이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장치(200)에 의해 생성된다.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장치(200)에는 최적의 간섭특성을 가지는 단일한 모드에 의해 파장이 형성되는 레이져광(L201)을 방출하는 레이져 광원(201), 방출된 레이져광(L201)을 물체광(object light : L202)과 참조광(L203)으로 분할하는 하프 미러(202), 광요소(203, 204, 205, 206, 207)와, 물체광(L202)의 광시스템을 구성하는 표시장치(208), 참조광(L203)의 광시스템을 구성하는 광요소(209, 210, 211)와, 물체광(L202)과 참조광(L203)이 집중되는 홀로그램(212)용 기록매체를 보존하거나 또는 공급하는 기전부(electromotive stage : 212)가 제공되어 있다.
물체광(L202)을 포함하는 광학계는 전반사 미러(203), 1차원 방향으로 확산되는 물체광을 가지는 제 1의 실린더 렌즈(204), 확산되는 물체광(L202)을 평행광으로 변환시키는 콜리메이터 렌즈(205), 투영렌즈(206)와, 광축을 따라 광입사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물체광(L202)을 노출기록부(P201)내의 홀로그램 기록매체(212)상에 유입시키는 제 2의 실린더 렌즈(207)에 의해 구성된다. 콜리메이터 렌즈(205)와 투영렌즈(206)의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전송형태의 액정 패널은 표시장치(208)를 구성한다. 표시장치(208)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화상처리부에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참조광(L203)을 포함하는 광학계는 1차원 방향으로 확산되는 물체광을 가지는 실린더 렌즈(209), 확산되는 물체광(L202)을 평행광으로 변환시키는 콜리메이터 렌즈(210), 물체광(L202)을 반사시켜 광축을 따라 광입사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노출기록부(P201)내의 홀로그램 기록매체(212)상에 유입시키는 전반사 미러(211)에 의해 구성된다.
홀로그램 기록매체(212)는 예를 들면 감광 필름(photosensitive film)으로 만들어지며 도 11b에 도시한 바와같이 기전부(213)에 의해 보존된다. 홀로그램 기록매체(212)는 기전부(213)의 구동에 의해 화살표(aa)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구동된다.
도 11a에 도시한 바와같이, 레이져광(L201)은 레이져 광원(201)으로부터 방출되어 하프 미러(202)에 입사한다. 레이져광(L201)은 하프 미러(202)에 의해 물체광(L202)과 참조광(L203)으로 분할된다.
물체광(L202)은 실린더 렌즈(204)와 콜리메이터 렌즈(205)를 통과한 후에 표시장치(208)상에 입사한다. 이 표시장치(208)를 통해 전송될 때에 표시되는 요소 화상에 따라, 화상이 변조된다. 변조된 물체광(L202)은 투영렌즈(206)와 실린더 렌즈(207)를 통과한 후에 노출기록부(P201)에 배열된 홀로그램 기록매체(212)상에 입사한다. 반사광(L203)은 실린더 렌즈(209), 콜리메이터 렌즈(210)와 전반사 미러(211)의 광학계를 통과한 후에, 노출기록부(P201)에 배열된 홀로그램 기록매체(212)상에 입사한다.
그러므로, 참조광(L203)과 표시장치(208)에 의해 표시된 화상에 의해 변조된 물체광(L202) 사이의 간섭에 의해 생성되는 간섭 프린지(fringes)는 스트립 또는 도트 형태로 요소 홀로그램(element hologram)으로 홀로그램 기록매체(212)상에 순차적으로 노출기록된다.
이러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장치(200)에 의해 생성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서는, 관찰자가 소정의 위치로부터 관찰자의 두 눈중 한 눈으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관찰할 때에 요소 홀로그램의 각각의 부분으로 여겨지는 기준화상정보의 전체 부분이 관찰자에 의해 2차원 화상으로서 식별된다. 이와같이 생성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서는, 관찰자가 상기 소정의 위치를 제외한 어느 위치로부터 관찰자의 두 눈중 다른 한 눈으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관찰할 때에, 요소 홀로그램의 각각의 부분으로 기록되어 있는 화상정보의 전체 부분이 다른 2차원 화상으로서 식별된다. 그러므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은 관찰자가 양 눈으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관찰할 때에 우측과 좌측 눈 사이의 시차(parallax)에 의해 노출기록 화상이 3차원 화상으로서 식별된다.
이러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관한 응용은 예를 들면 SPIE의 1998년 1월호 3293호, 페이지 246-253에서 아키라 시라쿠라, 노부히로 키하라와 시게유키 바바에 의해 게재된 "Instant portrait printing system"과 1998년 7월호 "Three-dimensional Image Conference 1998"에서 발표된 "High speed hologram portrait print system"에 기재되어 있다. 그 안에 기재된 바와같이, 대상물의 화상을 포착하고 시차화상 시퀀스를 생성하는 촬상장치/화상포착장치의 결합에 의해 구성되는 프린터 시스템과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또는 홀로그램을 인쇄물로 출력하는 상술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장치(200)와 같은 인쇄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대상물의 화상을 포착하는 단계로부터 동일한 위치에서 포착된 결과를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일본 특허 2000-315966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고 있으며, 본 출원의 공개내용은 법에 의해 허용된 범위에 따라 참조란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holographic stereogram image) 또는 홀로그램 화상이 노출기록되는 인쇄물 작성장치와 방법,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을 절단하는 장치와 방법,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이 노출기록되어 있는 홀로그램 기록매체를 보호필름으로 라미네이트하는 장치와 방법, 그리고 복수의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복수의 홀로그램 화상을 홀로그램 기록매체상에 순차적으로 노출기록시키는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는 인쇄물 작성시스템의 구성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는 인쇄물 작성시스템용 홀로그램 기록매체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a, 3b, 3c는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감광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3a는 초기상태를, 도 3b는 노출상태를, 도 3c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는 고정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며, 인쇄물 작성 시스템이 제공하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장치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와 5b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장치의 광학계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5a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장치의 광학계의 정면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장치의 광학계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며, 인쇄물 작성 시스템이 제공하는 고정처리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a, 7b, 7c, 7d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며, 인쇄물 작성시스템이 제공하는 인쇄물 작성장치의 처리내용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7a는 고정처리가 고정처리장치에 의해 응용되는 홀로그램 기록매체를 도시하며, 도 7b는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절단부분을 도시하며, 도 7c는 종이로 만든 장착시트와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부분을 중첩하고 장착시트와 보호필름 사이에 기록매체를 삽입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7d는 화상 카드를 인쇄물로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는 인쇄물 작성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는 인쇄물 작성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0a, 10b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는 인쇄물 작성장치내에 홀로그램 기록매체를 배치시키는 배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0a는 식별화상이 되는 식별라인이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장치에 의해 노출기록되는 홀로그램 기록매체를 도시하며, 도 10b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장치에 의해 식별화상이 되는 식별 도트가 노출기록되는 홀로그램 기록매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a, 11b는 종래의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장치의 광학계에 관한 설명을 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1a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장치의 광학계의 정면도이며, 도 11b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장치의 광학계의 평면도이다.
한편,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장치(200)는 홀로그램 기록매체(212)와??은 스트립 형태의 감광 필름을 자주 사용한다. 이 경우에, 단일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이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장치(200)에 의해 화상기록매체(212)상에 노출기록될 때에, 단일한 부분은 단일한 단위로 절단되며 소정의 고정처리(fixation process)가 스테레오그램을 절단하기 위해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이 대량 생산될 때에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없으므로, 대량생산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시스템의 실현을 방해하는 장애가 된다.
게다가, 이러한 방법이 대상물을 촬상하는 단계로부터 동일한 위치에서 포착된 결과를 인쇄작업하는 단계까지를 포함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적용될 때에, 스트립 형태의 홀로그램 기록매체(212)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홀로그램 기록매체(212)내에 비노출된 부분들이 더욱 많아지게 한다. 이 때 생산성은 낮아지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실을 고려하여 고안된 것이다. 홀로그램 기록매체내의 비노출된 부분을 낭비하는 것이 최소화 될 수 있고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이 인쇄물로서 효과적으로 생성될 수 있는 인쇄물 작성장치와 방법이 제공된다.
게다가,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비노출 부분의 낭비를 최소화하고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을 인쇄물로서 효과적으로 작성하기 위해서 홀로그램 기록매체로부터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을 효과적으로 절단할 수 있는 화상절단장치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비노출 부분의 낭비를 최소화하고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을 인쇄물로서 효과적으로 작성하기 위해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이 노출기록되어 있는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한 부분을 보호필름으로 효과적으로 라미네이트하는 장치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비노출 부분의 낭비를 최소화하고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을 인쇄물로서 효과적으로 작성하기 위해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을 홀로그램 기록매체상에 순차적으로 노출하고 기록할 수 있는 화상기록장치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인쇄물 작성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이 노출되고 기록되어져 있는 인쇄물을 작성하는 인쇄물 작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복수의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들이 노출되고 기록되어져 있는 스트립 형태의 홀로그램 기록매체를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기록매체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간헐이송된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로부터, 노출되고 기록된 상기 복수의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들을 최소한 포함하는 영역을 절단하는 절단수단과, 상기 홀로그램을 위해 설계된 상기 기록매체의 한 부분이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되는 위치를 결정하는 배치수단과,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상기 부분의 양측을 보호하기 위해 복수의 보호필름 부분을 보존하고 있는 필름보존 수단과, 상기 단일한 부분이 두 개로 접혀져 있는 동안에 상기 필름보존 수단에 의해 보존되는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상기 복수의 부분들로부터 한 개의 단일한 부분을 한 위치로 공급하는 필름공급수단과, 상기 필름공급수단에 의해 상기 위치로 공급되고 접는 라인을 따라 두 개로 접혀진 상기 보호필름의 상기 단일 부분을 개폐하는 필름개폐수단과, 최소한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가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상기 필름개폐수단에 의해 상기 접는 라인을 따라 최초의 상태로 접혀지는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상기 부분을 가열하여 압력접착하는 가열 및 압력접착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양호한 실시예의 인쇄물 작성장치는 절단수단에 의해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상기 한 부분을 절단하며, 보호필름의 사이에 그 부분을 삽입하고, 가열 및 압력접착수단에 의해 생기 삽입된 부분을 라미네이트 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바람직한 인쇄물 작성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상기 방법은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이 노출되고 기록되어져 있는 인쇄물을 작성하는 인쇄물 작성방법으로서, 복수의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들이 노출되고 기록되어져 있는 스트립 형태의 홀로그램 기록매체를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이송단계와, 간헐적으로 이송되는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로부터, 노출되고 기록된 상기 복수의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들을 포함하는 영역을 배치하고 절단하는 배치 및 절단단계와, 상기 단일한 부분이 두 개로 접혀져 있는 동안에 양측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부분들로부터 상기 보호필름의 한 개의 단일한 부분을 공급하는 공급단계와, 접는 라인을 따라 두 개로 접혀진 상기 보호필름의 상기 단일 부분을개방하는 개방단계와, 최소한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가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상기 접는 라인을 따라 최초의 상태로 접혀지는 상기 보호필름의 상기 부분을 가열하여 압력접착하는 가열 및 압력접착단계를 구비하고 있다.
본 양호한 실시예의 인쇄물 작성장치는 절단수단에 의해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상기 한 부분을 절단하며, 보호필름의 사이에 그 부분을 삽입하고, 가열 및 압력접착수단에 의해 생기 삽입된 부분을 라미네이트 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바람직한 화상절단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상기 장치는 화상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들이 노출되고 기록되어져 있는 스트립 형태의 홀로그램 기록매체를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기록매체 이송수단과, 상기 기록매체 이송수단에 의해 간헐적으로 이송된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에 의해 노출되고 기록되는 상기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들을 최소한 포함하는 영역을 절단하는 절단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의 한 부분이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로부터 절단되는 위치를 결정하는 배치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이러한 절단장치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들을 최소한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을 가지는 부분을 배치수단에 의해 배치하고 절단수단에 의해 상기 부분을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한 부분으로 절단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바람직한 화상절단방법은 다음과 같은특징을 가지고 있다. 상기 방법은 화상절단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들이 노출되고 기록되어져 있는 스트립 형태의 홀로그램 기록매체를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이송단계와, 간헐적으로 이송되는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로부터, 노출되고 기록된 상기 복수의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들을 포함하는 영역을 배치하고 절단하는 배치 및 절단단계를 구비하고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바람직한 라미네이트 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상기 장치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들을 최소한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을 가지는 부분을 배치수단에 의해 배치하고 절단수단에 의해 상기 부분을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한 부분으로 절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바람직한 라미네이트 장치는 상술한 물체를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이 노출되고 기록되어져 있는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한 부분을 필름의 양측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필름으로 라미네이트하는 라미네이트 장치는 상기 보호필름의 복수의 부분들을 보존하는 보존수단과, 두 겹으로 접혀져 있고 상기 필름보존수단에 의해 보존되는 상기 보호필름의 상기 복수의 부분들을 한 개씩 공급하는 공급수단과, 두 겹으로 접혀져서 공급된 상기 보호필름의 단일한 시트를, 접는 라인을 따라, 개방하거나 또는 접는 필름개폐수단과, 상기 필름개폐수단에 의해 상기 접는 라인을 따라 최초의 상태로 접혀진 상기 보호필름을 가열 및 압력접착하는 가열 및 압력접착수단을 구비하며, 최소한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는 상기 보호필름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라미네이트 장치는 상기 부분을 보호필름 사이에 삽입하고 삽입된 부분을 가열 및 압력접착수단에 의해 라미네이트 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바람직한 라미네이트 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보호필름의 양측면을 보호하기 위해서 보호필름으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이 노출되고 기록되어져 있는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한 부분을 라미네이트하는 라미네이트 방법은 두 겹으로 접혀져 있는 상기 보호필름의 상기 복수의 부분들을 한 개씩 공급하는 공급단계와, 두 겹으로 접혀져서 공급된 상기 보호필름의 단일한 시트를, 접는 라인을 따라, 개방하는 개방단계와, 최소한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가 상기 보호필름 사이에 삽입되도록, 상기 접는 라인상에서 최초의 상태로 접혀진 상기 보호필름을 가열 및 압력접착하는 가열 및 압력접착 단계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라미네이트 방법은 상기 부분을 보호라미네이트 장치는 상기 부분을 보호필름 사이에 삽입하고 삽입된 부분을 가열 및 압력접착수단에 의해 라미네이트 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제 1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는 화상기록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스트립 형태의 홀로그램 기록매체 상에 복수의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을 순차적으로 노출하여 기록하는 화상기록장치는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상에 상기 복수의 홀로그램의 화상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을 노출 및 기록하고,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세로방향에서 홀로그램의 화상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의 각각의 전방 또는 후방에 식별화상을 노출하여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1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는 이러한 화상기록장치는 기록수단에 의해 홀로그램 기록매체 상의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을 노출하여 기록하는 경우에,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세로방향에서 홀로그램의 화상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의 각각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식별화상을 노출하여 기록한다.
게다가, 복수의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을 순차적으로 노출하여 기록하며 본 발명의 제 1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는 화상기록방법은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상에 상기 복수의 홀로그램의 화상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을 노출 및 기록하고,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세로방향에서 홀로그램의 화상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의 각각의 전방 또는 후방에 식별화상을 노출하여 기록하는 기록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1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는 이러한 화상기록장치는 기록수단에 의해 홀로그램 기록매체 상의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을 노출하여 기록하는 경우에,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세로방향에서 홀로그램의 화상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의 각각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식별화상을노출하여 기록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구성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양호한 실시예의 한 양태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의 장치는 본 발명의 인쇄물 작성시스템(100)을 구성하고 있다.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장치(10)는 스트립 형태의 감광 필름으로 형성된 홀로그램 기록매체상에 스트립 도는 도트 패턴으로 간섭 프린지들을 요소 홀로그램으로 순차적으로 노출기록함으로써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생성한다. 고정처리장치(40)는 생성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상에 소정의 고정처리를 수행한다. 인쇄물 작성장치(70)는 노출기록된 홀로그램 기록매체를 제작하여,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이 노출기록되어 있는 인쇄물을 위해 설계된 화상 카드IC를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인쇄물 생성시스템(100)은 복수의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이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의 각각에 의해 소정의 크기로 순차적으로 노출기록되어 있는 연장된 홀로그램 기록매체를 절단한다. 그리고 기록매체의 절단부분들의 양측을 보호하는 보호필름을 최소한 절단부분의 양측상에서 가열 및 압력접착함으로써 기록매체의 절단부분을 라미네이트하게 되므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을 노출기록된 단일한 화상 카드IC로서 공급하게 된다.
우선, 시스템(100)의 각 장치를 설명하기 전에,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요소 홀로그램의 노출 및 기록원리가 설명될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홀로그램 기록매체(3)는 말하자면 광-중합체된 광 중합체(photopolymer)로 형성된 광중합체층(5)이 스트립 형태의 필름 베이스(4)상에 형성되어 있고, 커버 시트층(6)이 광중합체층(5)에 접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필름-응용 형태 기록매체이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와같은 홀로그램 기록매체(3)는 광중합체층(5)을 구성하는 광중합된 광중합체의 단위체(monomer : M)가 매트릭스 중합체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상태에 있다. 광중합된 광중합체는 100 - 400mJ/cm2의 전력을 가지는 레이져광(LA)에 의해 반사되므로, 노출부의 매트릭스 중합체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단일체(M)가 중합되는 상태를 얻게 된다. 즉 중합된 상태를 얻게된다.
광중합된 광중합체는 주위로부터 단일체(M)의 이동에 의해 단일체(M)의 밀도의 불균일성에 의해 노출부와 비노출부사이의 굴절율을 변화시킨다. 도 3c에 도시한 바와같이, 광중합된 광중합체는 1000mJ/cm2의 전력의 자외선 또는 가시광(LB)에 의해 전체 표면상에서 반사되므로, 매트릭스 중합체내에서 단일체(M)의 중합을 종료시킨다. 홀로그램 기록매체(3)의 노출과 기록은 입사된 레이져광(LA)에 따라 굴절율이 변경되므로, 물체광과 참조광 사이의 간섬에 의해 발생되는 간섭 프린지를 광중합된 광중합체의 굴절율로 변경함으로써 수행된다.
인쇄물 작성시스템(100)은, 광중합체층(5)이 홀로그램 기록매체(3)과 같은 광중합된 광중합체로 구성되는 필름-응용형태 기록매체가 채택되므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장치(10)에 의한 노출처리후에 특정한 인화작업을 홀로그램 기록매체(3)에서 수행하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인쇄물 작성시스템(100)은 인화장치등이 불필요하고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신속하게 생성할 수 있으므로 전체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가 있다.
우선, 인쇄물 작성시스템의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장치(10)가 설명된다.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장치(10)는 상술한 홀로그램 기록매체(3)상에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을 노출기록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예를 들면,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장치(10)에는 화상 데이터 처리부(11),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장치(10)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컴퓨터(13)를 가지는 제어부(12),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생성하는 광학계(15)을 가지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부(14)가 제공되어 있다.
화상 데이터 처리부(11)는 화상처리 및 저장장치(17)를 위한 컴퓨터(16)이다. 예를 들면, 이 처리부(11)는 멀티플렉스 카메라 또는 이동 카메라등을 가지는 시차화상 시퀀스 촬상장치(1)로부터 제공되는 시차정보를 포함하는 포착된 화상 데이터(D1)와 화상 데이터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컴퓨터에 의해 발생되는 시차정보를 포함하는 컴퓨터 화상 데이터(D2)에 근거하여 시차 화상 데이터 시퀀스(D3)를 발생시킨다.
게다가, 포착된 화상 데이터(D1)는 멀티플렉스 형태의 카메라에 의한 동시 촬상작업 또는 이동 카메라에 의한 연속 촬상작업에 의해 얻어지는 복수의 데이터를 표시한다. 시차정보는 포착된 화상 데이터(D1)를 구성하는 각 화상 데이터내에 포함된다. 컴퓨터 화상 데이터(D2)는 CAD와 CG와 같이 생성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와 관련된다. 시차정보는 컴퓨터 화상 데이터(D2)를 구성하는 각 화상 데이터내에 포함된다.
화상 데이터 처리부(11)는 홀로그램 화상 데이터(D4)를 발생시키며, 포착된 화상 데이터(D1)와/또는 컴퓨터 화상 데이터(D2)에 근거하여, 화상(16)처리용 컴퓨터에 의해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 대한 소정의 화상처리를 시차 화상 데이터 시퀀스(D3)에 대해 수행한다. 홀로그램 화상 데이터(D4)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등 또는 메모리와 같은 저장장치(17)내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아래에 기술되는 바와같이, 화상 데이터 처리부(11)는 요소 홀로그램 화상이 홀로그램 기록매체(3)상이 노출기록될 때에 저장장치(17)내에 저장된 홀로그램 화상 데이터(D4)로부터 요소 홀로그램 화상 데이터(D5)를 각각의 단일한 화상에 의해 순차적으로 독출한다. 한편, 처리부(11)는 제어부(12)의 제어 컴퓨터(13)로 요소 홀로그램 화상 데이터(D5)를 공급한다.
제어 컴퓨터(13)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부(140를 제어하여 화상 데이터 처리부(11)에 의해 제공된 요소 홀로그램 화상 데이터(D5)에 근거하여 요소 표시화상을 스트립 형태의 요소 홀로그램으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부(14)의 한부분에 설치된 홀로그램 기록매체(3)상에 노출기록한다. 아래에 기술된 바와같이, 제어 컴퓨터(13)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부(14)의 각 메카니즘의 동작을 제어한다.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부(14)에서는, 광학계(15)을 구성하는 각 요소가 댐퍼(19)를 통해 장치 케이스(20)로 지지되어 있는 지지판(광 테이블 : 18)에 의해 지지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광학계(15)은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입사 광학계(15A), 물체 광학계(15B)과 기준 광학계(15C)을 가지고 있다. 물체 광학계(15B)과 기준 광학계(15C)은 시스템(15A)으로부터 노출기록부(P1)까지의 물체광(L2)의 광학 경로길이가 시스템(15B)으로부터 노출길이부(P1)까지의 참조광(L3)의 길이와 실제적으로 동일하게 되어 물체광(L2)과 참조광(L3) 사이의 간섭경향을 개선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입사 광학계(15A)은 레이져광(L1)을 방출하는 레이져 광원(21), 레이져광(L1)을 다음의 처리부에 입사시키고 차폐(shielded)도록 하는 셔터기구(22), 물체광(L2)과 참조광(L3)으로 분할되는 레이져광(L1)을 가지는 하프 미러(23)를 가지고 있다.
레이져 광원(21)은 단일 파장과 최적 간섭경향을 가지는 레이져광(L1)을 방출하는 반도체 여기 YAG 레이져장치, 공냉 Ar 이론 레이져장치 또는 공냉 Kr 레이져장치와 같은 레이져장치에 의해서 구성된다.
셔터기구(22)는 요소 홀로그램의 화상 데이터(D5)의 출력 타이밍에 대응하여 제어 컴퓨터(13)로부터 나오는 제어신호(C1)에 의해 개폐되며, 다음에 오는 광학계를 통과한 후에 노출기록부(P1)에 배치된 홀로그램 기록매체(3)상에 레이져광(L1)을 입사시키며, 홀로그램 기록매체상의 레이져광(l1)의 입사를 차단한다.
하프 미러(23)는 입사 레이져광(L1)을 전송광과 반사광으로 분할한다. 레이져광(L1)에 의해 발생되는 전송광은 상기 물체광(L2)으로 사용되며, 반사광은 참조광(L3)으로서 이용된다. 물체광(L2)과 참조광(L3)은 다음의 부에 배열된 물체 광학계(15B)과 기준 광학계(15C)상에 각각 입사된다.
게다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입사 광학계(15A)은 레이져광(L1)의 전송방향을 적절하게 변경시키기 위해서 전반사 미러등을 가지고 있으므로 물체광(L2)의 광학 경로와 참조광(L3)의 광학 경로를 동일한 길이로 만들게 된다. 게다가, 셔터기구(22)는 셔터부재가 Acousto-Optic Modulation(AOM)를 가지는 전기셔터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기계적으로 구동되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셔터기구(22)는 레이져광(L1)이 전송되어 차단될 수 있도록 자유롭게 개폐될 수 있는 부재가 되어야 한다.
물체 광학계(15B)는 광축상의 광입사면으로부터 전반사 미러(24), 제 1의 실린더 렌즈(25), 콜리메이터 렌즈(26), 투영렌즈(27)와, 제 2의 실린더 렌즈(28)와 같은 광학부재를 순서대로 배열함으로써 구성된다.
전반사 미러(24)는 하프 미러(23)를 통해 전송된 물체광(L2)을 모두 반사시킨다. 이러한 전반사 미러(24)에 의해 모두 반사된 물체광(L2)은 제 1의 실린더 렌즈(25)로 제공된다.
제 1의 실린더 렌즈(25)는 아래에 기술된 투과형 액정표시기(29)의 표시면의 폭에 대응하여, 일차원 방향에서 전반사 미러(24)에 의해 전반사된 물체광(L2)을 확산시키기 위해 볼록렌즈와 핀홀(pinhole)의 결합으로 구성된다.
콜리메이터 렌즈(26)는 제 1의 실린더 렌즈(25)에 의해 확산된 물체광(l2)을 평행광으로 변경하고 투과형 액정표시기(29)상으로 평행광을 진행시킨다.
투영렌즈(27)는 제 2의 실린더 렌즈(28)상으로 물체광(L2)을 투사한다.
제 2의 실린더 렌즈(28)는 도 5b의 수평방향에서 평행광으로 변경된 물체광(l2)을 노출기록부(P1)상에 집광한다.
투과형 액정표시기(29)는 물체 광학계(15b)의 콜리메이터 렌즈(26)와 투영렌즈(27)의 사이에 배열되어 있다. 투과형 액정표시기(29)는 제어 컴퓨터(13)로부터 제공된 요소 홀로그램의 화상 데이터(D5)에 근거하여 요소 홀로그램 화상을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게다가, 제어 컴퓨터(13)는, 요소 홀로그램의 화상 데이터(D5)의 출력 타이밍에 따라, 홀로그램 기록매체(3)용 기록매체 이송기구(34)로 구동신호(C2)를 제공한다. 이러한 동작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제어 컴퓨터(13)는 홀로그램 기록매체(3)의 이송동작을 제어한다.
물체 광학계(15b)에 있어서는, 입사 광학계(15a)로부터 분할되어 입사된 점광원 상태의 물체광(L2)이 제 1의 실린더 렌즈(25)에 의해 확산됨과 동시에, 콜리메이터 렌즈(26)에 입사함으로써 확산광이 평행광으로 된다. 물체 광학계(15b)에 있어서는, 콜리메이터 렌즈(26)를 통해 투과형 액정표시기(29)에 입사된 물체광(26)이 요소 홀로그램에 따라 화상변조됨과 동시에, 투영렌즈(27)를 통해 제 2의 실린더 렌즈(28)로 변조된 물체광(L2)을 입사시킨다. 물체 광학계(15b)는, 셔터기구(22)가 개방동작되는 동안에, 화상변조된 물체광(L2)을 노출기록부(P1)의 홀로그램 기록매체(3)에 입사시키며, 투과형 액정표시기에 의해 표시된 요소 홀로그램 화상에 대응하여, 화상변조된 물체광(L2)을 노출기록한다.
참조 광학계(15c)는 광축상의 광입사면으로부터 실린더 렌즈(30), 콜리메이터 렌즈(31)와 전반사 미러(32)를 순서대로 배열함으로써 구성된다.
실린더 렌즈(30)는 상기 물체 광학계(15B)의 제 1의 실린더 렌즈(25)에서와 같이 볼록렌즈와 핀홀(pinhole)의 결합으로 구성되므로 하프 미러(23)에 의해 소정의 촉으로 반사되고 분할된 반사광(L3)을 확산시킨다. 구체적으로는, 투과형 액정표시기(29)의 표시면의 폭에 따라, 일차원 방향에서 광(L3)을 확산시키게 된다.
콜리메이터 렌즈(31)는 실린더 렌즈(30)에 의해 확산된 반사광(L3)을 평행광으로 변경시킨다.
전반사 미러(32)는 반사광(L3)을 반사시키고, 노출기록부(P1)의 홀로그램 기록매체(3)의 후방으로 진행시키고 홀로그램 기록매체(3)상에 입사시킨다.
게다가, 상술한 바와같이, 셔터기구(22)는 입사 광학계(15A)에 제공된다고 설명했지만, 셔터기구(22)는 물체 광학계(15B)와 참조 광학계(15C)의 노출기록부(P1)의 홀로그램 기록매체(3)의 이전과 이후에 배열될 수 있다. 게다가, 셔터기구(22)는 물체광(L2)과 참조광(L3)이 홀로그램 기록매체(3)상에 입사하는 위치의 바로 이전에 배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열 메카니즘의 동기에 의해 빛의 차단 또는 입사와 같은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이러한 광학계(15)는 하프 미러(23)에 의해 분할된 물체광(L2)이 진행하는 물체 광학계(15B)의 광학 경로가 참조광(L3)이 진행하는 참조 광학계(15C)와 실제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광학계(15)는 물체광(L2)과 참조광(L3)사이의 간섭경향을 향상시키므로, 좀 더 선명한 재생화상이 얻어지는 홀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
게다가, 필요에 따라, 광학계(15)에는, 진동등에 의해 바람직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에, 홀로그램 기록매체(3)의 노출과 기록을 중지시키기 위해 간섭 프린지 검출부(33)가 제공되어 있다.
간섭 프린지 검출부(33)상술한 광학계의 각각을 통해 홀로그램 기록매체(3)에 각각 입사하는 물체광(L2)과 참조광(L3)에 의해 형성되는 간섭 프린지의 상태를 검출한다. 간섭 프린지 검출부(33)는 예를 들면 전하결합장치(CCD)로 구성되며, 레이져 광원(21)에 의해 방출되는 레이져광(L1)의 파장에 의해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이 홀로그램 기록매체(3)상에 노출형성되는 영역과는 다른 검출영역내에서 형성되는 간섭 프린지의 진동상태를 검출한다.
간섭 프린지 검출부(33)는 검출된 영역에서 소정의 값보다 더 큰 값을 나타내는 진동상태의 간섭 프린지를 검출할 때에 제어 컴퓨터(13)로 검출신호를 제공한다. 제어 컴퓨터(13)는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셔터기구(12)를 비구동상태로 변경한다. 그러므로, 물체광(L2)과 참조광(L3)을 차단함으로써 홀로그램 기록매체(3)에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의 생성이 중지된다. 게다가, 간섭 프린지 검출부(33)는 검출영역내에서 형성된 간섭 프린지가 소정의 값보다 더 큰 값을 나타내는 진동상태에 있는 경우에 검출신호를 제어 컴퓨터(13)로 전송하는 것을 중지한다. 그러므로, 제어 컴퓨터(13)는 물체광(L2)과 반사광(L3)을 홀로그램 기록매체(3)상에 입사시키고, 셔터기구(22)를 구동상태로 변경함으로써,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생성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장치(10)는 간섭 프린지 검출부(33)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홀로그램 기록매체(3)상에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노출기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물체광(L2)과 참조광(L3)에 의한 간섭 프린지는 안정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러므로, 간섭 프린지 검출부(33)는 더 높은 회절효과를 가지는 좀 더 밝은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 게다가, 간섭 프린지 검출부(33)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장치(10)는 이러한 설치장소와 같은 제한조건으로부터 자유로운 상태에서 사용하기에 더욱 편리하게 된다.
게다가, 상술한 간섭 프린지 검출부(33)는 홀로그램 기록매체(3)의 인접부에 배치되며 검출영역내에서 형성된 간섭 프린지의 한 부분을 검출한다고 설명이 되었지만,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이러한 특징과 구조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간섭 프린지 검출부(33)는 물체광(L2)의 한 부분과 참조광(L3)의 한 부분을 미러등에 의해 소정의 위치로 진행시켜 간섭 프린지를 형성하고 간섭 프린지를 검출한다. 게다가, 간섭 프린지 검출부(33)는 하프 미러등에 의해 물체광(L2)과 참조광(3)으로 분할되어진 빛을 검출함으로써 간섭 프린지를 형성할 수 있다. 게다가, 간섭 프린지 검출부(33)는 물체광(L2)과 참조광(3)으로 분할되어진 검출광에 의해 간섭 프린지를 형성할 수 있다. 게다가, 간섭 프린지 검출부(33)는 간섭 프린지를 검출하기 위해서 레이져 광원(L2)으로부터 방출된 레이져광(L1)의 한 부분을 직접 인출함으로써 진동 검출용 간섭 프린지를 형성할 수 있다. 게다가, 간섭 프린지 검출부(33)에는 광학계(15)가 아닌 다른 진동검출용 광학계가 제공되어 있으므로 다른 광학계에 의한 간섭 프린지를 검출하여 진동의 발생을 검출하게 된다.
게다가,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장치(10)는 한 개의 요소 홀로그램에 대응하는 양만큼 도 5의 화살표(a)에 지시된 방향으로 홀로그램 기록매체(3)를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기록매체 이송기구(34)를 가지고 있다.
기록매체 이송기구(34)는 제어 컴퓨터(13)로부터 제공된 구동신호(C2)에 근거하여 홀로그램 기록매체(3)를 간헐적으로 구동한다. 게다가,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장치(10)는 제어 컴퓨터(13)로부터 제공된 제어신호(C1)에 근거하여셔터기구(22)를 동작시킴으로써 레이져광(L1)의 광학 경로를 개방하게 되어, 기록매체 이송기구(34)의 구동과 인터로킹하게 된다(interlocking).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러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장치(10)는 상술한 광학계(15)용 구성부재 또는 부품등의 각각을 알루미늄판 도는 알루미늄 합금판등에 장착함으로써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진동등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경우, 물체광(L2)과 참조광(L3)은 안정된 상태에서 홀로그램 기록매체(3)상에 입사하지 않으므로, 홀로그램 기록매체(3)에 대한 최적상태에 있는 어느 간섭 프린지가 노출기록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장치(10)는 복수의 댐퍼(19)에 의해 광학계(15)에 가해지는 진동으로 인한 영향을 제거하기 위해서 지지판(18)을 지지하고 있다.
각 댐퍼(19)의 상세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되었다. 그러나, 댐퍼(19)는 공기 스프링, 고무 또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력부재로 만들어진다. 댐퍼(19)의 각 부분의 각각은 지지판(18)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댐퍼(19)의 각각은 기판(18)을 지지한다. 다른 단부는 장치 케이스(20)의 장착부(20)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외부로부터 광학계(15)에 가해진 진동등이 1㎛를 실제적으로 가지는 레이져광(L1)의 파장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작거나 또는 레이져광(L1)의 파장의 1/5과 동일하게 되어 진동이 금지되도록 이러한 댐퍼(19)가 구동된다. 그러므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장치(10)에서는, 진동등이 외부로부터 가해지더라도, 물체광(L2)과 참조광(L3)은 어떠한 방해를 받지 않고 안정상태에서 홀로그램 기록매체(3)상에 입사한다. 그러므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장치(10)는 회절효과가 최적이 되는 좀 더 밝은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생성하게 된다.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장치(10)는 이와같이 진행경로상에서 한 개의 요소 홀로그램에 대응하는 양만큼 홀로그램 기록매체(3)를 구동시키고 기록매체(3)를 중지시키며, 각 요소 화상에 의해 노출기록이 종료될 때마다 제어부(12)의 제어 컴퓨터(13)로부터 기록매체 이송기구(34)로 한 개의 요소 홀로그램에 대응하는 구동신호(C2)를 제공함으로써, 비노출부분을 노출기록부(P1)에 대응되도록 한다. 게다가,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장치(10)는 홀로그램 기록매체(3)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홀로그램 기록매체(3)내의 진동을 신속하게 중지시킨다. 상술한 바와같이, 홀로그램 기록매체(3)는 스트립 형태의 감광 필름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기록매체(3)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차단상태에서 전체가 유지되어 있는 필름 카트리지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배열된 공급롤(supplying roll)주위에 감겨져 있다. 홀로그램 기록매체(3)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장치(10)의 내부로 공급되며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장치(10)내에 필름 카트리지가 로드될 때에 기록매체 이송기구(34)에 의해 진행 경로상에서 진행된다.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장치(10)는 상술한 상태에서 셔터기구(22)를 개방하는 경우 홀로그램 기록매체(3)의 양측으로부터 변조된 물체광(L2)과 참조광(L3)을 노출기록부(P1)에서 홀로그램 기록매체(3)에 입사시켜서 요소 홀로그램에 대응하는 간섭 프린지를 노출기록한다. 한 개의 요소화상의 노출기록을 완료한 후에 그리고 구동신호(C2)를 제어부(12)의 제어 컴퓨터(13)로부터 기록매체이송기구(34)로 제공한 후에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장치(10)는 신속하게 소정의 양만큼 홀로그램 기록매체(3)를 구동하고 그 후에 동작을 중지시킨다. 게다가, 홀로그램 기록매체(3)는 도시되지 않은 릴링 롤러(reeling roller)에 의해 감겨져 있다.
상술한 동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장치(10)는 순차적으로 복수의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연장된 홀로그램 기록매체(3)상에 노출기록하여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생성한다.
인쇄물 작성 시스템(100)의 고정처리장치(40)는 다음에 설명될 것이다. 고정처리장치(40)는 자외선(LB)을 홀로그램 기록매체(3)상에 방사하는 처리와 소정의 온도에서 홀로그램 기록매체(3)를 가열하는 가열처리를 포함하는 고정처리를 수행한다. 그러므로, 고정처리장치(40)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장치(10)에 의해 홀로그램 기록매체(3)상에 노출기록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을 고정시킨다.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예를 들면, 고정처리장치(40)에는 홀로그램 기록매체(3)를 공급하는 공급롤러(41), 홀로그램 기록매체(3)를 보존하고 구동시키는 안내 롤러(42, 45), 홀로그램 기록매체(3)상에 자외선(LB)을 방사하는 자외선 램프(43), 홀로그램 기록매체(3)를 가열하는 가열 롤러(44)와 홀로그램 기록매체(3)를 감는 릴링 롤러(46)가 제공되어 있다.
공급롤러(41)는 고정처리장치(40)에 장착 및 분리가능하게 되어 있다. 공급롤러(41)는 화살표(b)에 의해 표현된 회전방향내에서 도시되지 않은 축에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안내롤러(42)는 화살표(c)에 의해 지시된 방향에서 감겨진 홀로그램 기록매체(3)를 공급한다.
안내롤러(42)는 화살표(d)에 의해 지시된 방향에서 도시되지 않은 지지축상에 회전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안내롤러(42)는 공급롤러(41)로부터 제공된 홀로그램 기록매체(3)를 보존하고 있으며 화살표(e)에 의해 지시된 방향에서 홀로그램 기록매체(3)를 공급한다.
자외선 램프(43)는 안내롤러(42)와 아래에 기술되는 가열롤러(44)의 사이의 진행경로를 따라 배열되어 있다. 자외선 램프(43)는 물체광(L2)과 참조광(L3)에 의해 생성되는 간섭 프린지에 의해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이 노출기록되는 홀로그램 기록매체(3)상에 1000mJ/cm2의 전력을 가지는 자외선(LB)을 방사하여 매트릭스 중합체내에서 단일체(M)의 중합을 완료한다.
가열롤러(44)는 화살표(f)에 의해 지시된 회전방향에서 지지축상에 회전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가열롤러(44)(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는 가열롤러(44)의 주위에 홀로그램 기록매체(3)와 튼튼히 접속되어 있고, 가열롤러(44)위의 전체 원주의 거의 반과 대응하는 회전각도를 가지며, 클리어런스(clearance)없이 원주면에 기록매체(3)를 접속시키고 있으며 매체(3)를 구동시킨다. 가열롤러(44)의 내부에는 가열롤러(44)가 거의 120℃에서 보존되게 하는 가열기가 제공된다. 가열롤러(44)는 가열기에 의해 홀로그램 기록매체(3)를 소정의 온도 이하로 가열하며 상술한 광중합체층(5)의 굴절율의 변조수준을 개선한다. 가열롤러(44)는 화살표(g)에 의해 지시된 방향에서 가열된 홀로그램 기록매체(3)를 구동/이송한다.
안내롤러(45)는 화살표(h)에 의해 지시된 회전방향에서 지지축에 고정되어있다. 안내롤러(45)는 가열롤러(44)에 의해 제공된 홀로그램 기록매체(3)를 보존하고 기록매체(3)를 화살표(i)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공급한다.
릴링롤러(reeling roller : 46)는 고정처리장치(40)에 대해서 분리 및 장착가능하다. 롤러(46)는 화살표(j)에 의해 지시된 회전방향에서 지지축(도시 안됨)에 회전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롤러(46)는 롤러(46)가 고정처리장치(40)에 장착될 때에 고정되어지는 홀로그램 기록매체(3)를 감는다.
고정처리장치(40)는 이와같이 공급롤러(41), 안내롤러(42, 45), 가열롤러(44)와 릴링롤러(46)를 회전시키며, 고정처리(fixation process)를 제어부의 제어에 근거하여 홀로그램 기록매체(3)에 대해서 수행한다.
다음에, 인쇄물 작성시스템(100)의 인쇄물 작성장치(70)가 고정처리장치(40)에 의해 설명될 것이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같이, 인쇄물 작성장치(70)는 고정처리가 수행되어진 연장된 홀로그램 기록매체(3) 즉, HSn, HSn+1, HSn+2...로 표시되는 복수의 노출기록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이 순차적으로 노출기록되어져 있는 홀로그램 기록매체(3)를 순차적으로 절단한다. 도 7b에 도시한 바와같이, 장치(70)는 HSn, HSn+1, HSn+2...로 표시되는 복수의 노출기록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의 각각에 의해 소정의 크기 만큼 절단된 홀로그램 기록매체(3)를 순차적으로 절단한다. 도 7c에 도시한 바와같이, MDn, MDn+1, MDn+2...로 표시되는 복수의 절단된 홀로그램 기록매체(3)의 각각은 장착시트 MTn, MTn+1, MTn+2..의 각각의 위에 중첩된다. 그 후에 가열 및 압착접착에 의해 라미네이트 된다. 결과적으로, 도 7d에 도시한 바와같이, 장치(70)는 HSn, HSn+1,HSn+2...로 표시되는 복수의 노출기록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이 각각 노출기록되어지는 복수의 화상카드(ICn, ICn+1, ICn+2,....)를 조립한다. 도 8과 9에 도시한 바와같이, 인쇄물 작성장치(70)에는 홀로그램 기록매체(3)를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기록매체 이송부(71), 소정의 크기로 홀로그램 기록매체(3)를 절단하는 절단부(72), 절단부(72)에 의해 절단된 홀로그램 기록매체(3)의 부분들을 이송하는 이송부(73), 두 겹으로 접혀져 있는 보호필름의 단일한 시트를 보본하고 그것을 소정의 장착부로 공급하는 필름 보존 및 공급부, 필름의 접는 라인을 따라 두 겹으로 접혀져 있는 보호필름의 시트를 개방하고 그 후에 그 시트를 닫는 필름개폐부(75), 종이와 같은 복수의 장착시트(MT)를 보존하고 있는 장착시트 보존 및 공급부(76)와, 홀로그램 기록매체(MD)의 부분과 장착시트(MT)를 보호필름(PF)으로 라미네이트하는 라미네이트부(77)가 제공되어 있다.
기록매체 이송부(71)는 지지판(78, 79)과 측벽(80)에 의해 형성된 공간내에 배열되어 있다. 기록매체 이송부(71)는 홀로그램 기록매체(3)를 공급하는 공급롤러(81), 기록매체(3)가 구동되는 공급경로를 구성하고 있는 안내롤러(82, 83)와, 기록매체(3)를 감는 릴링롤러(84)를 가지고 있다.
공급롤러(81)는 인쇄물 작성장치(70)에 장착 및 분리가능하게 되어 있다. 공급롤러(81)는 고정처리장치(40)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연장된 홀로그램 기록매체(3)가 감겨져 있는 상태에서 측벽(80)에 대해서 지지축의 한 단부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롤러(81)는 도 8의 화살표(k)에 의해 표현된 회전방향내에서 지지축상에서 회전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공급롤러(81)는 도 8의 화살표(L)에의해 표현된 방향내에서 감겨진 홀로그램 기록매체(3)를 간헐적으로 공급한다.
안내롤러(82)는 측벽(80)에 대해서 지지축(도시 안됨)의 한 단부에 의해 지지된다. 안내롤러(82)는 도 8의 화살표(m)에 의해 지시된 회전방향에서 지지축상에 회전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안내롤러(82)는 공급롤러(81)로부터 제공된 홀로그램 기록매체(3)를 보존하고 있으며 도 8과 도 9의 화살표(n)에 의해 지시된 방향에서 홀로그램 기록매체(3)를 간헐적으로 구동한다.
안내롤러(83)는 측벽(80)에 대해서 지지축(도시 안됨)의 한 단부에 의해 지지된다. 안내롤러(83)는 도 8의 화살표(o)에 의해 지시된 회전방향에서 지지축상에 회전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안내롤러(83)는 공급롤러(82)로부터 제공된 홀로그램 기록매체(3)를 보존하고 있으며 도 8의 화살표(p)에 의해 지시된 방향에서 홀로그램 기록매체(3)를 간헐적으로 구동한다.
릴링롤러(84)는 인쇄물 작성장치(70)에 장착 및 분리가능하게 되어 있다. 릴링롤러(84)는 측벽(80)에 대해서 지지축의 한 단부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롤러(84)는 도 8의 화살표(q)에 의해 표현된 회전방향내에서 지지축상에 회전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롤러(84)는 롤러(84)가 인쇄물 작성장치(70)상에 장착될 때에 절단부(72)에 의해 절단된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나머지 부분(MD)을 감는다.
이와같이 기록매체 이송부(71)는 제어부(도시 안됨)의 제어하에서 공급롤러(81), 안내롤러(82, 83)와 릴링롤러(84)를 회전시키므로, 홀로그램 기록매체(3)를 간헐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즉, 기록매체 이송부(71)는 홀로그램 기록매체(3)를 간헐적으로 공급하게 되므로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부분(MD)이절단부(72)에 의해 절다되는 위치는 지지판(78)에서 개방되는 개방부(85)에 대응하게 된다. 게다가, 간헐적인 이송작업을 제어하는 방법의 보기가 아래에 설명된다.
절단부(72)는 지지판(78)위에 배치된 안내 컬럼(91), 도 8의 안내 컬럼(91)을 따라 화살표(r)에 의해 표시된 수직방향에서 상하로 구동되는 구동기구(92)와, 구동기구(92)에 고정되어 있는 커터(cutter : 93)를 가지고 있다.
절단부(72)에서는, 홀로그램 기록매체(3)가 기록매체 이송부(71)에 의해 간헐적으로 공급되어 개방부(85)로부터 관찰되는 기록매체(3)상에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HS)이 노출기록되어 있는 위치에 도달할 때에, 구동기구(92)는 제어부의 제어하에서 안내 컬럼(91)을 따라 수직 하측으로 구동된다. 결과적으로, 절단부(72)에서는, 한 부분이 구동기구(92)에 직사각형으로 고정되어 있는 커터(93)가 구동기구(92)의 구동에 따라, 커터(93)의 블레이드 단부(blade edge)(ED)가 하측을 향해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직방향에서 하측으로 구동된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같이, 개방부(85)로부터 관찰되어지는 연장된 홀로그램 기록매체(3)의 한 부분에 대응하여, 절단부(72)는 절단되어질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HS)을 최소한 포함하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직사각형을,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한 부분(MD)으로서 절단한다. 그 후에, 절단부(72)에서는, 지지판(78, 79)과 측벽(80)에 의해 형성된 공간내에서 개방부(85)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베이스(94)위에 천공된 커터 삽입부(95)에 대해서 커터(93)가 눌려질 때까지 구동기구(92)가 수직방향에서 하측으로 구동된다.
게다가, 절단부(72)에서는,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절단된 부분(MD)들이 커터(93)내의 블레이드 단부(ED)에 흡수되도록 부착되어 있을 때에, 구동기구(92)는 제어부의 제어에 근거하여 안내 컬럼(91)을 따라 수직방향에서 상측으로 구동된다. 그러므로, 절단부(72)에서는, 커터(93)가 구동기구(92)의 구동에 따라, 수직방향에서 상측으로 구동된다. 그 후에, 절단부(72)에서는, 구동기구(92)가 소정의 위치만큼 수직방향에서 상측으로 구동될 때에, 구동기구(92)는 축으로 규정된 구동기구(92)의 단부를 중심으로, 도 8의 화살표(s)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180도 만큼 대칭적으로 회전된다. 즉, 절단부(72)에서는, 구동기구(92)가 도 8의 점선 라인부에 의해 지시된 구동기구(92')로서 화살표(EE)에 의해 지시된 단부에 대해서 대칭적으로 회전된다. 게다가, 커터(83)는 구동기구(92)의 회전구동에 따라, 180도 만큼 또한 회전되므로,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한 부분(MD)에 흡수적으로 부착된 블레이드(ED')가 상측으로 향하고 있는 상태가 얻어지게 된다.
절단부(72)에서는, 구동기구(92)가 홀로그램 기록매체(3)의 한 부분(MD)을 절단하기 위해 제어부(도시 안됨)의 제어하에서 구동된다. 구동기구(92)는 홀로그램 기록매체(3)의 절단된 부분(MD)이 블레이드 단부(ED)에 흡수되도록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180도 만큼 대칭적으로 회전된다. 절단부(72)에서는, 홀로그램 기록매체(3)가 기록매체 이송부(71)에 의해 간헐적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동작은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HS)이 개방부(85)로부터 관찰될 때에,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이송부(73)는 지지판(78)상에 제공된 컬럼(101)에 고정되어 있는 안내레일(102), 세로방향의 부분이 안내 레일을 따라 도 8과 도 9의 화살표(t)에 의해 표시된 수평방향에서 지지되고 구동되는 암(arm : 103)과 암(103)의 세로방향 부분의 다른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흡수부착부(104)를 포함하고 있다.
이송부(73)는 흡수부착부(104)의 수직방향의 중앙축이 절단부(72)의 커터(93)의 세로방향의 중앙축과 일치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송부(73)에서는, 암(103)이 안내 레일(102)을 따라 도 8과 도 9의 화살표(t)에 의해 지시된 방향에서 구동된다. 이송부(73)에서는, 암(103)의 구동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흡수부착부(104)의 수직방향의 중앙축이 장착부(105)의 실제적인 중앙부에 도달할 때까지 암(103)은 구동된다. 이송부(73)에서, 암(103)에 의해 흡수되어진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부분(MD)은 흡수부착부(104)에 의한 흡수력의 방출로 인해 장착부(105)상에 장착된다. 그 후에, 아래에 기술되는 바와같이, 인쇄물 작성장치(70)에서는, 이송부(73)가 구동되어 장착부(105)상의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한 부분(MD)을 이송하는 동안에, 플라스틱 필름(PF)의 단일한 시트는 필름보존 및 공급부(74)에 의해 장착부(105)상에서 두 겹으로 접혀진다. 게다가, 장착시트(MT)는 필름 개폐부(75)에 의해 접는 라인을 따라 개방된 플라스틱 필름(PF)의 단일한 시트상에 장착시트 보존 및 공급부(76)에 의해 장착된다. 도 7c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송부(73)에 의해 이송되는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부분(MD)은 장착시트(MT)상에 장착된다. 그 후에, 이송부(73)에서, 암(103)은 상술한 소정의 위치만큼 안내 레일(102)을 따라 수평방향내에서 구동된다.
이와같이 이송부(73)는 제어부(도시 안됨)의 제어하에서 흡수부착부(104)에의해 흡수되는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부분(MD)을 장착부(105)로 이송한다. 이송부(73)는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부분(MD)이 절단부(72)에 의해 절단될 때마다 이러한 동작을 반복한다.
필름보존 및 공급부(74)는 플라스틱 필름(PF)의 복수의 시트를 보존한다. 그 후에, 필름보존 및 공급부(74)는 플라스틱 필름(PF)의 단일한 시트가 반으로 되는 상태에서 플라스틱 필름(PF)의 복수의 시트를 보존한다. 필름보존 및 공급부(74)는 장착부(105)상에 플라스틱 필름(PF)의 흡수된 단일한 시트를 장착하고 초기 위치로 그 흡수된 단일한 시트를 구동한다. 필름보존 및 공급부(74)는 절단부(72)에 의해 절단된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한 부분(MD)에 대응하여, 제어부의 제어하에서 플라스틱 필름(PF)의 보존된 시트중에서 단일한 시트를 인출하여, 흡수된 플라스틱 필름(PF)의 상기 단일한 시트를 장착부(105)로 이동시킨다.
이와같이 필름보존 및 공급부(74)는 제어부의 제어하에서 기록매체의 부분(MD)이 절단부(72)에 의해 절단될 때마다, 보존된 플라스틱 필름(PF)을 1매씩 장착부(105)로 공급하는 작업을 반복한다.
필름보존 및 공급부(74)의 단일한 시트가 플라스틱 필름(PF)의 단일한 시트가 두 겹으로 겹쳐지는 상태에서 장착부(105)상에 장착될 때에, 필름개폐부(75)는 제어부(도시 안됨)의 제어에 따라 접는 라인을 따라 플라스틱 필름(PF)의 상기 시트를 개방한다. 즉, 도 8에 도시한 바와같이, 필름개폐부(75)는 두 겹으로 겹쳐진 플라스틱 필름(PF)의 상부면의 접는 라인에 대향하는 단부를 보존하며 그 단부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므로 접는 라인을 따라 플라스틱 필름(PF)을 개방하게 된다.그 후에, 장착시트(MT)와 이송부(73)에 의해 이송되는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부분(MD)이 개방된 플라스틱 필름(PF)상에 장착될 때에, 필름개폐부(75)가 접는 라인을 따라 플라스틱 필름(PF)을 초기 상태로 접는 상태에서 플라스틱 필름(PF)의 단부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므로 플라스틱 필름(PF)은 장착시트(MT)와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부분(MD)사이에 삽입된다.
필름개폐부(75)는 이와같이 제어부의 제어하에서 플라스틱 필름(PF)이 장착부(105)상에 장착될 때마다 플라스틱 필름(PF)을 개폐하는 작업을 반복한다.
장착시트 보존 및 공급부(76)는 장착시트(MT)의 복수의 시트를 보존한다. 장착부(105)상에 장착된 플라스틱 필름(PF)이 필름개폐부(75)에 의해 개방될 때에, 장착시트 보존 및 공급부(76)는 제어부(도시 안됨)의 제어하에서 흡수된 장착시트(MT)의 보존된 단일한 시트만을 장착시트(MT)로부터 인출하여, 장착시트(MT)의 이러한 단일 시트가 온 상태인 경우에 그 시트를 장착부(105)로 이동한다. 그 후에, 장착시트 보존 및 공급부(76)는 장착시트(MT)의 흡수된 단일 시트를 장착부(105)에 장착하고 그 후에 흡수된 시트를 초기위치로 이동한다.
장착시트 보존 및 공급부(76)는 이와같이 제어부(도시 안됨)의 제어하에서 장착부(105)에 장착된 플라스틱 필름(PF)이 필름개폐부(75)에 의해 개방될 때마다 보존된 장착시트를 한 개씩 장착부(105)로 반복적으로 공급한다.
라미네이트부(77)는 두 겹으로 겹쳐진 플라스틱 필름(PF)의 사이에서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부분(MD)과 장착시트(MT)를 중첩함으로써 형성되는 벌크(bulk)를 압력접착하는 압력접착롤러(112, 113), 압력접착롤러(112, 113)에 의해 압력접착 되어지고, 두 겹으로 겹쳐진 플라스틱 필름(PF)의 사이에서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부분(MD)과 장착시트(MT)를 중첩함으로써 형성되는 벌크를 이송하는 이송부(114)와, 두 겹으로 겹쳐진 플라스틱 필름(PF)의 사이에서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부분(MD)과 장착시트(MT)를 중첩함으로써 형성되는 벌크를 가열 및 압력접착하며, 그 안에 가열기를 가지는 가열롤러(115, 116)를 포함한다.
라미네이트부(77)에서는, 두 겹으로 겹쳐진 플라스틱 필름(PF)의 사이에서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부분(MD)과 장착시트(MT)를 중첩함으로써 형성되는 벌크가 장착부(105)로부터 도 8과 도 9의 화살표(u)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이송된다. 라미네이트부(77)에서는, 압력접착롤러(112)가 도 8의 화살표(v)에 의해 지시된 회전방향내에서 지지축상에 회전하도록 제공되어 있다. 압력접착롤러(113)는 도 8의 화살표(w)에 의해 지시된 회전방향내에서 지지축상에 회전하도록 제공되어 있다. 지지축이 서로 평행한 압력접착롤러(112, 113)는 압력접착면이 서로 실제적으로 접촉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라미네이트부(77)에서는,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부분(MD)과 장착시트(MT)를 중첩함으로써 형성되는 벌크가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각 부분(MD)과 장착시트(MT)의 사이에 삽입될 때에, 압력접착롤러(112, 113)는 제어부의 제어하에서 회전된다. 두 겹으로 겹쳐진 플라스틱 필름(PF)의 사이에서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부분(MD)과 장착시트(MT)를 중첩함으로써 형성되는 벌크는 압력접착된다. 벌크는 도 8과 도 9의 화살표(x)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공급되어 가열롤러(115, 116)로 제공된다.
라메네이트부(77)에서는, 가열롤러(115)가 도 8의 화살표(y)에 의해 지시된회전방향내에서 지지축상에 회전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가열롤러(116)가 화살표(z)에 의해 지시된 회전방향내에서 지지축상에 회전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지지축이 서로 평행하고 압력접착면이 서로 실제적으로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가열롤러(115, 116)가 배열되어 있다. 라미네이트부(77)에서는, 두 겹으로 겹쳐진 플라스틱 필름(PF)의 사이에 삽입된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부분(MD)과 장착시트(MT)를 중첩함으로써 형성되는 벌크가 이송된다. 그 후에, 제어부(도시 안됨)의 제어에 따라, 가열롤러(115, 116)는 회전되며, 두 겹으로 겹쳐진 플라스틱 필름(PF)의 사이에 삽입된 가열롤러(115, 116)가열롤러(115, 116) 중첩함으로써 형성되는 벌크는 가열 및 압착접착된다. 결과적으로 라미네이트된 화상카드 IC를 생성하게 된다. 라미네이트부(77)에서는, 생성된 화상카드(IC)가 가열롤러(115, 116)의 회전구동에 의해 도 8과 도 9의 화살표(x) 방향내에서 공급되어 배출부(117)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제어부(도시 안됨)의 제어에 따라, 두 겹으로 겹쳐진 플라스틱 필름(PF)의 사이에 삽입된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부분(MD)과 장착시트(MT)를 중첩함으로써 형성되는 벌크가 반송될 때마다, 라미네이트부(77)는 이와같이 플라스틱 필름(PF)으로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부분(MD)과 장착시트(MT)를 라미네이트하여 화상카드 IC를 생성하며 그 화상카드 IC를 외부로 방출한다.
인쇄물 작성장치(70)는, 기록매체 이송부(70)에 의해 간헐적으로 이송되는 홀로그램 기록매체(3)를, 절단부(72)에 의해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HS)의 각각에 대해서 절단하여, 라메니이트부(77)에 의해 기록매체의 얻어진 부분(MD)을각각 라미네이트하여 라미네이트된 것을 화상카드 IC로서 배출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인쇄물 작성장치(70)는 기록매체 이송부(71)에 의해 홀로그램 기록매체(3)를 간헐적으로 공급하므로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부분(MD)은 지지판(78)에 개방된 개방위치(85)에 따라 절단부(72)에 의해 홀로그램 기록매체(3)로부터 절단된다. 여기에서, 복수의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HS)의 각각이 동일한 구간 거리마다 노출기록되어 있을 때에, 인쇄물 작성장치(70)는 이 거리에 따라 기록매체 이송부(71)를 간헐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복수의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HS)의 각각이 홀로그램 기록매체(3)상에서 균일한 구간거리마다 배치되고 기록되어 있다고 확신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절단되어질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부분(MD)이 인쇄물 작성장치(70)로 제공되어야 하는 위치를 결정하는 어느 방향설정이 요구된다.
인쇄물 작성시스템(100)의 제 1의 방법은 인쇄물 작성장치(70)에 의해 홀로그램 기록매체(3)로부터 회절화상을 독출하여,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HS)이 노출기록되어져 있는 위치를 검출하여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부분(MD)이 절단되는 위치를 검출하게 된다.
즉, 인쇄물 작성장치(70)는 CCD카메라와 같은 촬상장치와,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부분(MD)이 절단되는 위치를 결정하는 배치부로서, 소정의 위치에서 개방부(85)로부터 관찰될 수 있는 홀로그램 기록매체(3)를 조명하는 광원을 포함한다. 인쇄물 작성장치(70)는 광원으로부터의 조명광에 의해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HS)의 회절화상을 상술한 참조광으로 재생하며, 촬상부에 의해 이러한 회절화상의 단부를 독출한다. 그러므로, 장치(70)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HS)이 개방부(85)로부터 관찰될 수 있는 홀로그램 기록매체(3)상에 노출기록 되었다는 것을 검출한다. 게다가, 인쇄물 작성장치(70)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HS)이 노출기록 되었다는 것을 감츨한다. 그 후에, 인쇄물 작성장치(70)는 기록매체 이송부(71)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절단부(72)의 구동을 구동하여 홀로그램 기록매체(3)를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부분(MD)으로 절단한다.
이와같이, 인쇄물 작성시스템(100)은 홀로그램 기록매체(3)로부터의 회절화상의 단부를 독출하므로, 홀로그램 기록매체(3)의 간헐적인 이송작업을 제어하고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부분(MD)이 절단되는 한 부분을 고정밀도로 배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제 1의 방법에서는, 홀로그램 기록매체(3)상에 노출기록되어 있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HS)의 단부가 밝게 되는 것이 필요하다. 즉, 홀로그램 기록매체(3)로부터의 회절화상의 단부가 어두울 때에 그 단부를 검출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그러므로, 제 2의 방법에서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장치(10)에 의해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HS)이 홀로그램 기록매체(3)상에 노출기록될 때에, 인쇄물 작성시스템(100)은, 홀로그램 기록매체(3)의 세로방향내에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HS)의 각각의 전방과 후방에 라인 형태 또는 도트 형태의 식별화상을 노출기록한다. 식별화상의 회절화상은 제 1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쇄물 작성시스템(100)에 의해 독출된다. 그러므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HS)이 노출기록되어 있는 위치가 검출되며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부분(MD)의 절단위치가 결정된다.
즉, 도 10a에 도시한 바와같이,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장치(10)는 HSn, HSn+1, HSn+2...로 표시되는 복수의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을 순차적으로 연장된 홀로그램 기록매체(3)에 노출기록한다. 게다가, 도 10b에 도시한 바와같이, DLn, DLn+1, DLn+2...로 표시되는 식별라인은 홀로그램 기록매체(3)상의 HSn, HSn+1, HSn+2...로 표시되는 복수의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사이에서 순차적으로 노출기록된다. 게다가, 식별화상으로서, DDn, DDn+1, DDn+2...로 표시되는 식별도트들은 HSn, HSn+1, HSn+2...로 표시되는 복수의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사이에서 노출기록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인쇄물 작성장치(10)는 개방부(85)로부터 각각 관찰되는 홀로그램 기록매체(3)의 부분을 조명하는 광원과, 상술한 바와같이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부분(MD)이 절단되는 위치를 결정하는 배치부로서 동작하는 CCD 카메라와 같은 촬상부를 포함한다. 식별화상으로 이용되는 식별도트(DD) 또는 식별라인(DL)의 회절화상은 상술한 참조광이 되는 광원부로부터 나오는 조명광에 의해 재생된다. 이러한 회절화상은 촬상부에 의해 독출된다. 그러므로, 인쇄물 작성장치(70)는 개방부(85)로부터 관찰되는 홀로그램 기록매체(3)의 부분에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HS)이 노출기록되어 있다는 것을 검출한다. 그 후에 인쇄물 작성장치(70)가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HS)이 노출기록되어 있다는 것을 검출할 때에, 기록매체 이송부(71)의 구동은 중지되며, 절단부(72)의 구동은 개시되어 노출기록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HS)을 제어부(도시 안됨)의 제어에 따라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부분(MD)으로 절단한다.
그러므로, 인쇄물 작성시스템(100)은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장치(10)에 의해 홀로그램 기록매체(3)상에 식별화상을 노출기록한다. 시스템(100)은 인쇄물 작성장치(70)에 의해 홀로그램 기록매체(3)로부터 식별화상의 회절화상을 독출한다. 그러므로, 시스템(100)은 홀로그램 기록매체(3)의 간헐적인 이송작업을 제어하게 되어,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HS)의 단부가 어둡더라도,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부분(MD)이 절단되는 위치를 고정밀도로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한 양태로서 표시된 인쇄물 작성시스템(100)은 복수의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HS)이 소정의 크기로 순차적으로 노출기록되어 있는 스트립 형태의 홀로그램 기록매체(3)를 고정밀도로 절단할 수 있으며, 효과적으로 양 측면에서 플라스틱 필름(PF)을 가열 및 압력접착하며, 필름(PF)으로 복수의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HS)의 각각을 라미네이트할 수 있다. 그 결과, 라미네이트된 화상을 단일한 화상카드 IC로 생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홀로그램 기록매체(3)내의 비노출부분의 낭비가 제거되며 인쇄물로서의 화상카드 IC가 좀 더 효과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화상카드 IC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이 이용되는 이용분야에서는, 이용자에게 좀 더 많은 흥미를 제공하게 된다. 게다가, 후방면상에 접착층을 거지는 화상카드 IC가 이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HS)이 노출기록되어 있는 화상 도장(seal)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화상 도장은 접착성의 이중코팅된 테이프의 한 면을 화상카드 IC의 후방에 부착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게다가, 인쇄물 작성시스템(100)은 접착층이 미리 부착되고, 필링(peeling) 장착(시트) 또는 필링 필름이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HS)이 노출기록되어 있는 관찰면을 보호하기 위한 면과 대향하는 면에 부착되어 있는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인쇄물 작성시스템(100)은 화상카드 IC대신에 화상 도장을 생성할 수 있다. 물론, 그 경우에, 말할 필요도 없이,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HS)이 접는 라인을 따라 플라스틱 필름(PF)을 접음으로써 삽입될 때에, 플라스틱 필름(PF)상에 미리 부착되어 있는 접착층은 가열 및 접착 압력을 위해 내구성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상술한 양호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부분(MD)이 장착시트 보존 및 공급부(76)에 의해 제공된 장착시트(MT)상에서 중첩되어 있다는 것과 중첩된 벌크가 플라스틱 필름(PF)을 가열 및 압력접착함으로써 라미네이트된다는 것이 설명되었다. 그러나, 예를 들면, 인쇄물 작성장치(70)에는 장착시트 보존 및 공급부(76)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으나, 최소한 플라스틱 필름(PF)에 의해 기록매체의 부분(MD)을 가열 및 압력접착하여 라미네이트 함으로써 화상카드 IC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HS)은 상술한 화상 데이터(D1)와컴퓨터 화상(D2)과 같은 개인정보에 근거한다. 그 후에, 화상 패턴 또는 로고( logo)와 같은 개인정보가 없는 장착시트(MT)에 의해 상기 구성이 유지될 수 있다. 게다가, 장착시트(MT)의 기능으로서, 초기에는,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부분(MD)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는 화상카드 IC가 실현되며 화상카드 IC는 견고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게다가, 상술한 바와같이, 홀로그램 기록매체(3)는 필름층(4)에 의해 형성되는 3층 구성, 광중합체층(5)과 커버시트층(6)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홀로그램 기록매체(3)에서는, 광중합체층(5)은 필름층(4)과/또는 커버시트층(6)으로부터 벗겨지게 된다(peeled). 따라서, 홀로그램 기록매체(3)의 부분, 즉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부분(MD)의 양면에 플라스틱 필름(PF)을 라미네이트 함으로써 양면을 보호하고 필링(peeling)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게다가, 다른 말로 표현하면, 장착시트(MT)를 삽입하지 않고 플라스틱 필름(PF)으로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부분(MD)을 최소한 라미네이트 함으로써 생성되는 화상카드 IC도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부분(MD)과 장착시트(MT)를 중첩하고 플라스틱 필름(PF)으로 라미네이트 함으로써 생성되는 화상카드 IC뿐만 아니라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이 이용되는 것으로서 가치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 인쇄물 작성장치(70)에는 장착시트 보존 및 공급부(76)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장치(70)는 이송부(73)를 통해 개폐되고 장착부(105)상에 장착된 플라스틱 필름(PF)상으로 절단부(72)에 의해 절단된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절단된 부분들의 부분(MD)을 이송하여 그 부분(MD)을 가열 및 압력접착하고 라미네이트 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과 홀로그램에 적용된다. 즉, 상술한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장치(10)가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생성하고 인쇄물 작성장치(70)가 화상카드 IC로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HS)을 생성한다는 것이 설명되었다. 본 발명은 홀로그램을 생성한 후에 홀로그램 화상이 인쇄물 작성장치(70)에 의해 화상카드 IC로서 생성되는 경우에 쉽게 적용될 수 있다.
게다가, 상술한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인쇄물 작성장치(70)가 단일한 장치로 구성된다는 것이 설명되었다. 그러나, 예를 들면, 기록매체 이송부와 절단부(72)와, 필요에 따라, 처리의 전반부에 대응하는 이송부(73)가 단일한 화상절단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게다가, 필름보존 및 공급부(74), 필름개폐부(75), 장착시트 보존 및 공급부(76)와 필요에 따라 처리의 후반부에 대응하는 이송부(73)가 다른 단일한 라미네이트 장치로서 제공될 수 있다.
게다가, 상술한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생성장치(10), 고정처리장치(40)와, 인쇄물 작성장치(70)가 각각 독립적으로 배열되어 있다는 것이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들은 단일한 장치로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수성의 어느 정도를 가지는 양호한 실시예에서 기술되었지만, 명백하게 많은 변화, 변경과 결합은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여기에 상세하게 기술된 것 이외의 수정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보호필름이 플라스틱 필름으로 기술되었지만, 어느 다른 물질도 라미네이션의 기능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으며, 즉, 긁힘, 구부림, 물등과 같은 외부 인자에 대해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또는 홀로그램을 보호하기 위해 이용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종이로 된 장착시트/층/지지판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종이 또는 다른 물질로 된 다른 종류를 장착시트/층/지지판으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31)

  1.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이 노출되고 기록되어져 있는 인쇄물을 작성하는 인쇄물 작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복수의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들이 노출되고 기록되어져 있는 스트립 형태의 홀로그램 기록매체를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기록매체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간헐이송된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로부터, 노출되고 기록된 상기 복수의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들을 최소한 포함하는 영역을 절단하는 절단수단과,
    상기 홀로그램을 위해 설계된 상기 기록매체의 한 부분이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되는 위치를 결정하는 배치수단과,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상기 부분의 양측을 보호하기 위해 복수의 보호필름 부분을 보존하고 있는 필름보존 수단과,
    상기 단일한 부분이 두 개로 접혀져 있는 동안에 상기 필름보존 수단에 의해 보존되는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상기 복수의 부분들로부터 한 개의 단일한 부분을 한 위치로 공급하는 필름공급수단과,
    상기 필름공급수단에 의해 상기 위치로 공급되고 접는 라인을 따라 두 개로 접혀진 상기 보호필름의 상기 단일 부분을 개폐하는 필름개폐수단과,
    최소한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가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상기 필름개폐수단에 의해 상기 접는 라인을 따라 최초의 상태로 접혀지는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상기 부분을 가열하여 압력접착하는 가열 및 압력접착수단을 구비하는 인쇄물 작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상기 각 부분을 상기 필름개폐수단에 의해 상기 접는 라인을 따라 개방되어 있는 상기 보호필름중 한 필름으로 전달하는 전달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인쇄물 작성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장착시트를 보존하는 장착시트 보존수단과,
    상기 접는 라인을 따라 상기 필름개폐수단에 의해 개방되어 있는 상기 보호필름중 한 필름으로 상기 복수의 장착시트를 한 개씩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가열 및 압력접착수단은 상기 플라스틱 필름이 최초의 상태로 접혀지는 동안에 상기 필름개폐수단에 의해 상기 접는 라인을 따라 상기 필름을 가열 및 압력접착하며,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상기 필름 공급수단에 의해 제공된 상기 장착시트 보존수단과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상기 부분의 사이에 끼워져 있는 인쇄물 작성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상기 부분의 각각을 상기 필름 개폐수단에 의해 상기 접는 라인을 따라 개방된 상기 보호필름중 한 필름위에 있으며 상기 장착시트 공급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장착시트상으로 전달하는 전달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인쇄물 작성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수단은,
    상기 기록매체 이송수단에 의해 간헐적으로 공급된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를 다른 위치로부터 조명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조명광에 의해 재생되는 회절상을 독출하는 촬상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기록매체 공급수단에 있어서는,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작업을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작업이 상기 촬상수단이 상기 회절상을 독출한 결과에 따라 제어되는 인쇄물 작성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수단은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조명광에 의해 재생된 상기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상기 홀로그램 화상의 회절상을 독출하는 인쇄물 작성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에는, 상기 기록매체의 세로 방향내에 각 홀로그램의 화상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의 각각의 전방 또는 후방에 식별화상이 노출기록되며,
    상기 촬상수단은, 상기 광원수단으로부터의 조명광에 의해 재생되는 상기 식별화상의 상기 회절상을 독취하는 인쇄물 작성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화상은, 라인 형태 또는 도트 형태로 되는 인쇄물 작성장치.
  9.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이 노출되고 기록되어져 있는 인쇄물을 작성하는 인쇄물 작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복수의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들이 노출되고 기록되어져 있는 스트립 형태의 홀로그램 기록매체를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이송단계와,
    간헐적으로 이송되는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로부터, 노출되고 기록된 상기 복수의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들을 포함하는 영역을 배치하고 절단하는 배치 및 절단단계와,
    상기 단일한 부분이 두 개로 접혀져 있는 동안에 양측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부분들로부터 상기 보호필름의 한 개의 단일한 부분을 공급하는 공급단계와,
    접는 라인을 따라 두 개로 접혀진 상기 보호필름의 상기 단일 부분을 개방하는 개방단계와,
    최소한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가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상기 접는 라인을 따라 최초의 상태로 접혀지는 상기 보호필름의 상기 부분을 가열하여 압력접착하는 가열 및 압력접착단계를 구비하는 인쇄물 작성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된 홀로그램 기록매체는 상기 접는 라인을 따라 상기 보호필름중 한 시트상으로 전달되는 인쇄물 작성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접는 라인을 따라 개방된 상기 보호필름중 한 필름으로 상기 복수의 장착시트를 한 개씩 공급하는 공급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보호필름이 최초의 상태로 접혀지는 동안에 상기 접는 라인을 따라 상기 보호필름을 가열 및 압력접착하며, 상기 공급수단에 의해 제공된 상기 장착시트와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상기 부분의 사이에는 상기 보호필름이 끼워져 있는인쇄물 작성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절단된 부분의 각각을 접는 라인을 따라 개방된 상기 보호필름중 한 필름위에 제공된 상기 장착시트상으로 전달하는 전달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인쇄물 작성방법.
  13. 화상절단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들이 노출되고 기록되어져 있는 스트립 형태의 홀로그램 기록매체를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기록매체 이송수단과,
    상기 기록매체 이송수단에 의해 간헐적으로 이송된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에 의해 노출되고 기록되는 상기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들을 최소한 포함하는 영역을 절단하는 절단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의 한 부분이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로부터 절단되는 위치를 결정하는 배치수단을 구비하는 화상절단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수단은,
    상기 기록매체 이송수단에 의해 간헐적으로 이송되는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를 소정의 위치로부터 조명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조명광에 의해 재생되는 회절상을 독출하는 촬상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기록매체 공급수단에 있어서는,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작업을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작업이 상기 촬상수단이 상기 회절상을 독출한 결과에 따라 제어되는 화상절단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수단은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조명광에 의해 재생된 상기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의 또는 상기 홀로그램 화상의 화절상의 가장자리 부분을 독출하는 화상절단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에는, 상기 기록매체의 세로 방향내에 각 홀로그램의 화상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의 각각의 전방 또는 후방에 식별화상이 노출기록되며,
    상기 촬상수단은, 상기 광원수단으로부터의 조명광에 의해 재생되는 상기 식별화상의 상기 회절상을 독취하는 화상절단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화상은, 라인 형태 또는 도트 형태로 되는 화상절단장치.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한 부분을 전달하는 전달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화상절단장치.
  19. 화상절단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들이 노출되고 기록되어져 있는 스트립 형태의 홀로그램 기록매체를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이송단계와,
    간헐적으로 이송되는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로부터, 노출되고 기록된 상기 복수의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들을 포함하는 영역을 배치하고 절단하는 배치 및 절단단계를 구비하는 화상절단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간헐적으로 이송되는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를 조명하는 조명단계와,
    상기 조명에 의해 재생되는 회절상을 독출하는 독출단계와,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상기 회절상을 독출한 결과에 따라,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작업을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화상절단방법.
  21.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이 노출되고 기록되어져 있는 홀로그램 기록매체를 보호필름으로 라미네이트하는 라미네이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의 복수의 부분들을 보존하는 보존수단과,
    두 겹으로 접혀져 있고 상기 필름보존수단에 의해 보존되는 상기 보호필름의 상기 복수의 부분들을 한 개씩 공급하는 공급수단과,
    두 겹으로 접혀져서 공급된 상기 보호필름의 단일한 시트를, 접는 라인을 따라, 개방하거나 또는 접는 필름개폐수단과,
    상기 필름개폐수단에 의해 상기 접는 라인을 따라 최초의 상태로 접혀진 상기 보호필름을 가열 및 압력접착하는 가열 및 압력접착수단을 구비하며,
    최소한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는 상기 보호필름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라미네이트 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개폐수단에 의해 접는 라인상에서 개방되어 있는 상기 보호필름의 단일한 시트상으로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상기 부분을 전달하는 전달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라미네이트 장치.
  23. 제 21항에 있어서,
    복수의 장착시트를 보존하는 보존수단과,
    상기 보존수단에 의해 보존되는 상기 복수의 장착시트를 한 개씩 상기 필름개폐수단에 의해 상기 접는 라인을 따라 개방된 상기 보호필름의 단일한 시트상으로 공급하는 장착시트 공급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가열 및 압력접착수단은 상기 필름개폐수단에 의해 상기 보호필름의 상기 접는 라인상에서 최초의 상태로 접혀져 있는 상기 보호필름을 가열 및 압력접착하며, 상기 장착시트 공급수단에 의해 상기 보호필름의 단일한 부분상에 제공된 상기 장착시트와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가 상기 보호필름 사이에 삽입되는 라미네이트 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개폐수단에 의해 접는 라인상에서 개방되어 있는 상기 보호필름의 단일한 시트상으로 상기 장착시트 공급수단에 의해 제공된 상기 장착시트까지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한 부분을 전달하는 전달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라미네이트 장치.
  25. 보호필름의 양측면을 보호하기 위해서 보호필름으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이 노출되고 기록되어져 있는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한 부분을 라미네이트하는 라미네이트 방법에 있어서,
    두 겹으로 접혀져 있는 상기 보호필름의 상기 복수의 부분들을 한 개씩 공급하는 공급단계와,
    두 겹으로 접혀져서 공급된 상기 보호필름의 단일한 시트를, 접는 라인을 따라, 개방하는 개방단계와,
    최소한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가 상기 보호필름 사이에 삽입되도록, 상기 접는 라인상에서 최초의 상태로 접혀진 상기 보호필름을 가열 및 압력접착하는 가열 및 압력접착 단계를 구비하는 라미네이트 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접는 라인상에서 개방되어 있는 상기 보호필름의 한 필름으로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상기 부분을 전달하는 전달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라미네이트 방법.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장착시트를 한 개씩 상기 접는 라인을 따라 개방된 상기 보호필름의 한 필름상으로 공급하는 장착시트 공급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보호필름이 최초의 상태로 접혀져 있는 동안에 상기 접는 라인상에서 상기 보호필름을 가열 및 압력접착하며, 상기 보호필름의 사이에 상기 공급된 장착시트와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상기 부분을 삽입시키는 라미네이트 방법.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접는 라인상에서 개방되어 있는 상기 보호필름의 단일한 시트상에 제공된 상기 장착시트까지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상기 부분을 각각 전달하는 전달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라미네이트 방법.
  29. 스트립 형태의 홀로그램 기록매체 상에 복수의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을 순차적으로 노출하여 기록하는 화상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기록장치는,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상에 상기 복수의 홀로그램의 화상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을 노출 및 기록하고,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세로방향에서 홀로그램의 화상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의 각각의 전방 또는 후방에 식별화상을 노출하여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구비하는 화상기록장치.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화상은, 라인 형태 또는 도트 형태로 되는 화상기록장치.
  31. 스트립 형태의 홀로그램 기록매체 상에 복수의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 또는 홀로그램 화상을 순차적으로 노출하여 기록하는 화상기록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기록방법은,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상에 상기 복수의 홀로그램의 화상 또는 홀로그래픽스테레오그램 화상을 노출 및 기록하고,
    상기 홀로그램 기록매체의 세로방향에서 홀로그램의 화상 또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화상의 각각의 전방 또는 후방에 식별화상을 노출하여 기록하는 기록단계를 구비하는 화상기록방법.
KR1020027007101A 2000-10-16 2001-10-16 인쇄물을 작성하는 장치와 방법 KR200200627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15966A JP2002123158A (ja) 2000-10-16 2000-10-16 印刷物作成装置及び印刷物作成方法、画像切抜装置及び画像切抜方法、ラミネート装置及びラミネート方法、並びに、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記録方法
JPJP-P-2000-00315966 2000-10-16
PCT/JP2001/009077 WO2002033493A2 (en) 2000-10-16 2001-10-16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pri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745A true KR20020062745A (ko) 2002-07-29

Family

ID=18794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7101A KR20020062745A (ko) 2000-10-16 2001-10-16 인쇄물을 작성하는 장치와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6739368B2 (ko)
EP (1) EP1269270A2 (ko)
JP (1) JP2002123158A (ko)
KR (1) KR20020062745A (ko)
CN (1) CN1398363A (ko)
TW (1) TW539929B (ko)
WO (1) WO2002033493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714B1 (ko) * 2004-06-07 2008-01-23 삼성전기주식회사 비트 단위로 저장하기 위한 광기록 장치
KR100797713B1 (ko) * 2004-06-07 2008-01-23 삼성전기주식회사 1차원 회절형 광변조기를 이용한 광기록 장치
KR100918659B1 (ko) * 2009-01-19 2009-09-22 켄지 요시다 도트패턴을 포함하는 매체면의 인쇄 방법
US7876460B2 (en) 2004-10-15 2011-01-25 Kenji Yoshida Print structure, printing method and reading method for medium surface with print-formed dot patter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20329B2 (en) 2003-12-23 2011-09-20 Yvonne Marie Chavez Versatile decorative object, named the Paired Image Print, having a unique visual effect and a method of making said versatile decorative object
JP4315033B2 (ja) * 2004-03-23 2009-08-1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US7785436B2 (en) * 2004-03-30 2010-08-31 Noritsu Koki Co., Ltd. Laminating method for forming a laminate layer on a recording surface of a recording medium
CN101849231A (zh) * 2007-10-04 2010-09-29 耐克国际有限公司 用于定制物品的显示卡和方法
DE102015226604A1 (de) * 2015-12-22 2017-06-22 Bundesdruckerei Gmbh Verfahren zum Integrieren eines Hologramms in einen Sicherheitsdokumentkörper und Sicherheitsdokumentkörp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90631A (en) * 1975-12-22 1980-12-02 Roland Moraw Holographic identification element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e thereof
GB2159118B (en) * 1984-05-18 1987-07-08 David John Instanc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labels
US4925779A (en) * 1988-12-22 1990-05-15 Qualex, Inc. Photo strip protection method and product
JPH08310170A (ja) * 1995-05-18 1996-11-26 Dainippon Printing Co Ltd ホログラム付き印画物及びその作成方法
US6159327A (en) * 1996-04-12 2000-12-12 Polaroid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heat bondable lamina to a substrate
JP3644135B2 (ja) * 1996-07-02 2005-04-27 ソニー株式会社 ホログラフィックステレオグラムの作成方法及び作成装置
US5776286A (en) * 1997-01-29 1998-07-07 Motorola, Inc. Hologram manufacturing process and method for efficiently providing a multi-holographic optical element substrate unit
JP4288728B2 (ja) * 1998-01-06 2009-07-01 ソニー株式会社 ホログラフィックステレオグラム作成装置
WO2000053423A1 (en) * 1999-03-10 2000-09-14 American Bank Note Holographics, Inc. Techniques of printing micro-structure patterns such as holograms directly onto final documents or other substrates in discrete areas thereof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714B1 (ko) * 2004-06-07 2008-01-23 삼성전기주식회사 비트 단위로 저장하기 위한 광기록 장치
KR100797713B1 (ko) * 2004-06-07 2008-01-23 삼성전기주식회사 1차원 회절형 광변조기를 이용한 광기록 장치
US7876460B2 (en) 2004-10-15 2011-01-25 Kenji Yoshida Print structure, printing method and reading method for medium surface with print-formed dot pattern
US8023148B2 (en) 2004-10-15 2011-09-20 Kenji Yoshida Print structure, printing method and reading method for medium surface with print-formed dot pattern
KR100918659B1 (ko) * 2009-01-19 2009-09-22 켄지 요시다 도트패턴을 포함하는 매체면의 인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98363A (zh) 2003-02-19
US7013942B2 (en) 2006-03-21
TW539929B (en) 2003-07-01
WO2002033493A3 (en) 2002-10-10
EP1269270A2 (en) 2003-01-02
US20040194893A1 (en) 2004-10-07
WO2002033493A2 (en) 2002-04-25
US20030051818A1 (en) 2003-03-20
JP2002123158A (ja) 2002-04-26
US6739368B2 (en) 2004-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12523B1 (en) Producing images of security features
US6613481B2 (en) Hologram film ha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rded there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201144953A (en) Hologram-including medium, hologram-including medium produc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authentication method
JP6373870B2 (ja) 後になってからホログラフィック書き込みをするための方法ならびに半製品および後になってからホログラフィック書き込みをするための装置
TW321732B (ko)
KR20020062745A (ko) 인쇄물을 작성하는 장치와 방법
JP2003015509A (ja) 画像露光記録装置及び画像露光記録方法
JP4315033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2016107587A (ja) 画像転写装置及びホログラムリボン
JP4207260B2 (ja) 画像記録装置
JP4599654B2 (ja) 画像記録装置及びホログラム用記録媒体カートリッジ
JP4221777B2 (ja) ホログラム画像記録装置及びホログラム画像記録方法
JP4674420B2 (ja) ホログラム包装体、及びホログラム展示装置
JP4788538B2 (ja) ホログラム包装体
JP3454023B2 (ja) ホログラフィックステレオグラム用記録媒体、ホログラフィックステレオグラムおよびその作製方法ならびにこれに用いるホログラフィックステレオグラム作製装置
JP4474963B2 (ja) 後処理装置及び後処理方法
JP4200774B2 (ja) カード状情報記録媒体及び体積ホログラム記録方法
JP2002196655A (ja) 印刷物製造装置及び印刷物製造方法
JP2016053707A (ja) 画像形成装置及び記録方法
JPH1184994A (ja) 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記録方法、並びに画像記録媒体
JP2002123156A (ja) ホログラム、ホログラム作製装置及びホログラム作製方法
JPH1097175A (ja) ホログラフィックステレオグラム作成装置
JP2002162889A (ja) フィルム保持装置及び定着処理システム
JP2002304110A (ja) 画像再生装置
JP2003280500A (ja) 立体画像プリント、立体画像プリントの製造方法、立体画像プリンタ、及び立体画像記録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