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0746A - 영상 표시 장치, 영상 생성 장치, 영상 장치, 통신 장치및 영상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 장치, 영상 생성 장치, 영상 장치, 통신 장치및 영상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0746A
KR20020060746A KR1020027006330A KR20027006330A KR20020060746A KR 20020060746 A KR20020060746 A KR 20020060746A KR 1020027006330 A KR1020027006330 A KR 1020027006330A KR 20027006330 A KR20027006330 A KR 20027006330A KR 20020060746 A KR20020060746 A KR 20020060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ideo
image
synchronization
synchroniz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6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1703B1 (ko
Inventor
구보타고스케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0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0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1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17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1Arbitration of resources in a display system, e.g. control of access to frame buffer by video controller and/or main process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5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graph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0Mixing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an operation, e.g. adding, o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2Overlay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switch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for rolling or scro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6Gene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Synchronizing For Television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타이밍 신호 선택부(124)는 타이밍 신호 발생부(123)로부터 출력된 프레임 타이밍 신호를 구동부(128)로 출력하고, 기억부(126)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구동부(128)에 공급하는 타이밍을 제어하는 판독 타이밍 신호를 영상 데이터 판독부(127)로 출력한다. 영상 데이터 판독부(l27)는, 타이밍 신호 선택부(l24)로부터 판독 타이밍 신호가 출력된 경우, 판독 타이밍 신호가 지시하는 타이밍에 따라 기억부(126)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구동부(128)로 출력한다. 구동부(128)는 영상 데이터를 타이밍 신호 선택부(124)로부터 출력된 프레임 타이밍 신호의 타이밍에 맞춰 영상 표시부(129)로 출력한다.

Description

영상 표시 장치, 영상 생성 장치, 영상 장치, 통신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VIDEO DEVICE AND VIDEO DISPLAY METHOD}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수상기나 액정 패널 등 영상 표시 장치는 영상 데이터를 일정 주기마다 전송하여 표시하고 있다.
영상 표시 장치는 표시 화면에 깜빡거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일정 속도 이상으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미리 정해진 리프레시 주기로 영상 표시 장치에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회로를 높은 주파수로 항상 연속해서 동작시켜 놓아야 하고, 이 결과, 소비 전력이 증대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영상 데이터의 전송 방식을 개선함으로써 저소비 전력화를 도모하는 구성,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6-13091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 등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영상을 표시하는 LCD 모듈에 내부 기억 회로를 내장한다. 또한, MPU(마이크로·프로세서·유닛)가 제어하는 시스템 버스에 접속한 외부 기억 회로를 구비한 구성을 취한다. 그리고, 이들 내부 기억 회로와 외부 기억 회로 사이에서 영상 데이터 전송을 간헐적으로 실행한다. 이 간헐적인 영상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고주파 클럭은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때에만 발신시킨다. 고주파 클럭발신원의 기동과 영상 데이터 전송의 실행은, 외부 기억 회로가 접속되어 있는 시스템 버스의 동작을 전용 회로에 의해 감시하고, MPU가 외부 기억 회로로 액세스한 것을 검출함으로써 실행한다.
한편, 최근의 멀티미디어화에 따른 영상 통신 등을 목적으로 한 휴대 단말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에 이용되는 영상 표시 장치에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 이외에, 대기 시의 부분 표시 기능이나 정지 화상의 벽지 표시 기능 등 다채로운 기능이 요구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의 제어를 MPU에서 실행하기 위해서, MPU와 영상 표시 장치 사이에 전용 인터페이스를 마련하는 것은 기기의 소형화, 저비용화에 대한 장해가 된다.
이것에 대하여, 영상 신호 또는 동기 신호에 표시 화면의 제어 신호를 중첩하는 구성으로서,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9-204167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 등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컴퓨터 본체에서 이용자의 지시에 의해 제어 신호 중첩 회로가 제어 신호를 작성하고, 표시 제어 회로가 발생시키는 영상 신호 또는 동기 신호의 수직 귀선 기간에 이 제어 신호를 중첩한다. 표시 장치에서는 영상 신호 또는 동기 신호에 중첩된 제어 신호를 제어 신호 추출 회로에서 추출하고, 추출된 제어 신호를 바탕으로 표시 장치 제어 회로가 조정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장치에서는, 예컨대, 무선 제어, 음성 처리 등 다량의 처리를 필요로 하는 휴대 단말 등의 전자 장치에서는, 영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외부 기억 회로를 시스템 버스에 접속하고, MPU가 제어하는 시스템 버스를 통해서 방대한 정보량을 갖는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MPU에 있어서 큰 처리 부담이 된다.
또한, 종래의 장치에서는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전용 회로가 필요하거나, 또는 제어를 실현하기 위해서 영상 신호 및 영상 동기 신호를 영상 표시 장치에 항상 공급해야 하므로, 기기의 소형화, 저소비 전력화의 장해가 된다.
본 발명은 영상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영상 표시 기능 또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생성 기능 중 적어도 한쪽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에 이용하기에 바람직한 영상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영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장치의 신호 타이밍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장치의 신호 타이밍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장치의 신호 타이밍도,
도 5는 실시예 2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실시예 3에 따른 영상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실시예 4에 따른 영상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실시예 5에 따른 영상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실시예 6에 따른 영상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실시예 7에 따른 영상 생성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1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영상 생성 장치의 합성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영상 생성 장치의 합성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실시예 8에 따른 통신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및,
도 14는 실시예 9에 따른 통신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비 전력이 적고 회로 규모가 작으며 범용성이 높은 구성으로, 미리 기억한 영상 데이터의 화상 표시와, 외부로부터의 화상 표시를 행할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영상 데이터를 기억하고, 장치 내부에서 발생시킨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며, 동작하지 않는 장치 부분의 전원 공급을 정지하여 외부로부터 영상 데이터와 동기 신호가 입력된 경우,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와 동기 신호를 선택하여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영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서, 영상 장치(100)는 주로 MPU(101)와, 영상 생성 장치(110)와, 영상 표시 장치(120)로 구성된다.
영상 생성 장치(110)는 주로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부(111)와, 동기 신호 생성부(112)와, 영상 데이터 생성부(113)와, 선택부(114)와, 신호 기억부(115)와, 전원 제어부(116)로 구성된다.
영상 표시 장치(120)는 주로 분리부(121)와, 표시 제어부(122)와, 타이밍 신호 발생부(123)와, 타이밍 신호 선택부(124)와, 영상 데이터 기록부(125)와, 기억부(126)와, 영상 데이터 판독부(127)와, 구동부(128)와, 영상 표시부(129)로 구성된다.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부(111)는 MPU(101)로부터 출력된 부호화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경우,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지시를 동기 신호 생성부(112)로 출력하고, 부호화 영상 데이터를 복호하여 출력하는 신호 출력 지시를 영상 데이터 생성부(113)로 출력한다. 또한,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부(111)는 전원 제어부(116)에, 동기 신호 생성부(112) 및 영상 데이터 생성부(113)가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통지한다.
동기 신호 생성부(112)는,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부(111)로부터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지시가 출력된 경우,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나타내는 영상동기 신호를 영상 데이터 생성부(113), 선택부(114) 및 타이밍 신호 선택부(124)로 출력한다.
영상 데이터 생성부(113)는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부(111)로부터 출력된 신호 출력 지시에 따라, 부호화 영상 데이터를 복호하고, 복호한 영상 데이터와, 기억부(126)에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지시인 기록 신호(WR 신호)와, 기억부(126)를 선택하는 선택 신호(CS 신호)를 선택부(114)로 출력한다.
선택부(114)는 영상 데이터 생성부(113)로부터 영상 데이터, 기록 신호 및 선택 신호가 출력되고 있는 경우, 이들 신호를 분리부(121)로 출력하고, 이들 신호가 영상 데이터 생성부(113)로부터 출력되고 있지 않은 블랭킹(blanking) 기간에는, 블랭킹 기간인 것을 나타내는 블랭킹 통지 신호를 신호 기억부(115)로 출력하며, 신호 기억부(115)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커맨드를 판독해서 분리부(121)로 출력한다.
또한, 선택부(114)는 출력되는 신호가 영상 데이터인지 제어 커맨드인지를 식별하는 식별 신호(A0 신호)를 생성하여 분리부(121)로 출력한다.
신호 기억부(115)는 MPU(101)가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부(111)를 통해서 출력한 제어 커맨드를 기억하고, 선택부(114)로부터 블랭킹 통지 신호가 출력된 경우, 기억한 제어 커맨드를 선택부(114)로 출력한다.
전원 제어부(116)는 동기 신호 생성부(112) 및 영상 데이터 생성부(113)에 전력을 공급하고, 동기 신호 생성부(112) 및 영상 데이터 생성부(113)가 동작하지 않고 있는 경우, 동기 신호 생성부(112) 및 영상 데이터 생성부(113)에 대한 전력공급을 정지한다.
분리부(121)는 식별 신호에 근거하여 선택부(114)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영상 데이터인지 제어 커맨드인지를 식별하여, 선택부(114)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영상 데이터인 경우 영상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 기록부(125)로 출력하고, 선택부(114)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제어 커맨드인 경우 제어 커맨드를 표시 제어부(122)로 출력한다.
표시 제어부(122)는, 분리부(121)로부터 출력된 제어 커맨드가, 영상 표시 장치(120)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동작하도록 지시하는 커맨드인 경우, 외부 동기 신호를 선택하는 지시를 타이밍 신호 선택부(124)로 출력한다.
타이밍 신호 발생부(123)는 영상 표시부(129)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는 프레임 타이밍 신호를 발생시켜 타이밍 신호 선택부(124)로 출력한다.
타이밍 신호 선택부(124)는 타이밍 신호 발생부(123)로부터 출력된 프레임 타이밍 신호를 구동부(128)로 출력한다.
또한, 타이밍 신호 선택부(124)는 기억부(126)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구동부(128)로 공급하는 타이밍을 제어하는 판독 타이밍 신호를 영상 데이터 판독부(127)로 출력하고, 영상 데이터를 기억부(126)에 기록할 수 있는 타이밍을 나타내는 기록 허가 신호를 영상 데이터 기록부(125)로 출력한다.
또한, 타이밍 신호 선택부(124)는, 표시 제어부(122)로부터 외부 동기 신호를 선택하는 지시가 입력된 경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동기 신호에 동기한프레임 타이밍 신호를 구동부(128)로 출력하고, 판독 타이밍 신호를 영상 판독부(127)로 출력한다.
영상 데이터 기록부(125)는, 타이밍 신호 선택부(124)로부터 기록 허가 신호가 출력된 경우, 분리부(121)로부터 출력된 영상 데이터를 기억부(126)로 출력한다.
기억부(126)는 영상 데이터 기록부(125)로부터 출력된 영상 데이터를 기억하여, 요구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 판독부(127)로 출력한다.
영상 데이터 판독부(127)는, 타이밍 신호 선택부(124)로부터 판독 타이밍 신호가 출력된 경우, 판독 타이밍 신호가 지시하는 타이밍에 따라 기억부(126)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구동부(128)로 출력한다.
구동부(128)는 영상 데이터 판독부(127)로부터 출력된 영상 데이터를 타이밍 신호 선택부(124)로부터 출력된 프레임 타이밍 신호의 타이밍에 맞춰 영상 표시부(129)로 출력한다.
영상 표시부(129)는 구동부(128)로부터 출력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다음으로, 영상 장치(1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영상 표시 장치(120)가 단독으로 동작하는 경우, 영상 표시부(129)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는 프레임 타이밍 신호가 타이밍 신호 발생부(123)로부터 출력되어, 타이밍 신호 선택부(124)를 거쳐서 구동부(128)로 출력된다.
또한, 기억부(126)에 기억된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타이밍을 나타내는 판독 타이밍 신호를 프레임 타이밍 신호에 동기한 타이밍에서 영상 데이터판독부(127)로 출력한다.
영상 데이터는 판독 타이밍 신호의 타이밍에 따라 기억부(126)로부터 영상 데이터 판독부(127)를 거쳐서 구동부(128)로 출력되고, 프레임 타이밍 신호에 동기한 타이밍에서 영상 표시부(129)로 출력되며, 영상 표시부(129)에서 영상으로서 표시된다.
이와 같이, 실시예 1의 영상 장치는 타이밍 신호 발생부(123)에서 발생시킨 프레임 타이밍 신호를 이용하여 기억부(126)의 영상 데이터를 표시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영상 동기 신호 및 영상 데이터의 공급이 없는 상태라도 영상 표시를 자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영상 생성 장치(110)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를 영상 표시부(129)에서 표시하는 경우, MPU(101)로부터 출력된 부호화 영상 데이터가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부(111)를 거쳐서 영상 데이터 생성부(113)로 출력된다.
또한, MPU(101)로부터 출력된 제어 커맨드에 근거하여 영상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지시 신호가 동기 신호 생성부(112)로 출력되고,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지시 신호가 영상 데이터 생성부(113)로 (제어 커맨드가 신호 기억부(115)로) 출력된다.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부(111)로부터 출력되는 지시 신호에 따라, 영상 동기 신호가 동기 신호 생성부(112)에서 생성되어 영상 데이터 생성부(113)와 선택부(114)와 타이밍 신호 선택부(124)로 출력된다.
영상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 생성부(113)에서 부호화 영상 데이터를 복호하여생성되고, 동기 신호 생성부(112)로부터 출력된 영상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선택부(114), 분리부(121) 및 영상 데이터 기록부(125)를 거쳐서 기억부(126)에 기록된다.
한편, 동기 신호 생성부(112)로부터 출력된 영상 동기 신호가 타이밍 신호 선택부(124)를 거쳐서 구동부(128)로 출력된다.
또한, 기억부(126)에 기억된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타이밍을 나타내는 판독 타이밍 신호는 프레임 타이밍 신호에 동기한 타이밍에서 영상 데이터 판독부(127)로 출력된다.
영상 데이터는 판독 타이밍 신호의 타이밍에 따라 기억부(126)로부터 영상 데이터 판독부(127)를 거쳐서 구동부(128)로 출력되고, 프레임 타이밍 신호에 동기한 타이밍에서 영상 표시부(129)로 출력되며, 영상 표시부(129)에서 영상으로서 표시된다.
이와 같이, 실시예 1의 영상 장치는, 상기 기재된 영상 표시 장치에 영상 동기 신호와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 경우에는, 기억 수단으로의 영상 데이터 기록과 구동 타이밍을 동기시킴으로써 표시가 흐트러지는 일없이 동화상을 표시할 수 있어 고품질 영상 표시를 얻을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영상 장치의 신호 타이밍도를 나타낸다.
도 2에서 횡축은 시간을 나타낸다.
영상 표시 장치(120)가 단독으로 동작하는 경우, 타이밍 신호 발생부(123)로부터 출력된 프레임 타이밍 신호에 동기하여, 기억부(126)에 기억된 영상 데이터를판독한다.
영상 표시 장치(120)의 단독 동작이 외부로부터의 영상 표시 동작으로 전환되는 경우, 영상 데이터와 영상 동기 신호의 생성과 출력을 지시하는 커맨드(1)가 MPU(101)로부터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부(111)로 출력된다.
커맨드(1)에 따라 동기 신호 생성부(112)에서 영상 동기 신호(Vsync)가 생성되어, 영상 데이터 생성부(113)와 선택부(114)와 타이밍 신호 선택부(124)로 출력된다.
또한, 동기 신호 생성부(112)로부터 출력된 영상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영상 데이터가 영상 데이터 생성부(113)에서 생성되어 선택부(114)로 출력된다.
다음으로, MPU(101)는 영상 표시 장치(120)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동작할 것을 지시하는 커맨드(2)를 출력하고,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부(111)는 영상 표시 장치(120)의 제어에 대한 것임을 판별한 경우, 신호 기억부(115)에 커맨드(2)를 기록한다.
커맨드(2)는 선택부(114)에서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고 있는 기간에 신호 기억부(115)로부터 판독되어 분리부(121)로 출력된다.
그리고 커맨드(2)는 분리부(121)에서 제어 신호라고 판단되어, 표시 제어부(122)를 거쳐서 타이밍 신호 선택부(124)로 출력된다.
이 신호 기억부(115)로의 기록은 데이터 신호, 선택 신호(CS 신호), 기록 신호(WR 신호)에 의해서 행해진다.
타이밍 신호 선택부(124)는 커맨드(2)를 수취하면, 타이밍 신호 발생부(123)로부터 출력된 프레임 타이밍 신호를 출력한 후에, 출력하는 프레임 타이밍 신호를 동기 신호 생성부(112)로부터 출력된 신호로 변경한다.
이후에, 동기 신호 생성부(112)로부터 출력된 프레임 타이밍 신호에 동기하여, 기억부(126)에 영상 데이터의 기록 및 판독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영상 표시 장치(120)가 커맨드(2)를 수신한 후, 동기화 기간을 거쳐 영상 동기 신호(Vsync)에 동기한 프레임 타이밍 신호를 발생시키고, 기억부(126)의 영상 데이터 판독 및 기록도 영상 동기 신호(Vsync)에 동기하여 동작한다.
또, 도 2에서는, MPU(101)가 발행한 영상 표시 장치(120)로의 커맨드(2)를 수직 동기 신호(Vsync)의 수직 블랭킹 기간에 다중화하여 영상 표시 장치(120)로 전송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수평 동기 신호(Hsync)의 수평 블랭킹 기간에 다중화해도 무방하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영상 장치의 신호 타이밍도를 나타낸다.
도 3에서, MPU(101)의 커맨드(2)는 수평 동기 신호(Hsync)(301)의 수평 블랭킹 기간에 출력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의 영상 장치에서는, 영상 생성 장치가 발생시켜 영상 표시 장치로 공급하는 영상 동기 신호를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수직 동기 신호(Vsync)와 수평 동기 신호(Hsync)로 했지만, 이것을 예컨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수직 동기 신호(Vsync)와 유효 데이터 신호(VALID)로 해도, 마찬가지의 효과 작용이 얻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1의 영상 장치는, 상기 기재의 영상 표시 장치가 내부에 기억한 화상 데이터를 내부에서 발생한 동기 신호의 타이밍에서 표시함으로써, 단독으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경우에, 영상 생성 장치는 복호 수단 및 영상 동기 신호 생성 수단의 구성 부분을 동작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의 영상 장치는 제어 커맨드와 영상 데이터를 구별하는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공통의 신호선에 의해 제어 커맨드와 영상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적은 신호선으로 영상 표시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의 영상 장치는, 영상 표시 장치에 외부로부터 영상 동기 신호와 영상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에 기억부(126)로의 영상 데이터 기록과 영상 표시부(129)의 구동 타이밍을 동기시킴으로써 재기록 도중의 영상이 표시되는 등 표시가 흐트러지지 않게 동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의 영상 장치는 MPU와 영상 표시 장치를 직접 접속하는 일 없이, MPU로부터 영상 표시 장치로 제어 커맨드를 전송함으로써 적은 신호선으로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영상 장치는 MPU를 영상 표시 장치에 접속하여 제어 및 영상 데이터의 전송을 행한다.
도 5는 실시예 2에 따른 영상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단, 도 1과 공통된 구성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서, MPU(101)와 분리부(121)를 MPU(101)가 제어하는 시스템 버스에 의해 접속한다.
이 시스템 버스는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버스에 의해, CS 신호를 선택 신호 중 하나에 의해, WR 신호를 기록 신호에 의해, A0 신호를 어드레스 버스 중 하나에 의해 각각 접속함으로써, MPU(101)는 소정 어드레스로의 액세스에 의해 A0 신호를 논리 레벨로 제어할 수 있고, 영상 표시 장치(120)로의 제어 커맨드 공급과 영상 데이터 공급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2의 영상 장치는 MPU를 영상 표시 장치에 직접 접속하여 제어 및 영상 데이터의 전송을 행할 수 있고, 영상 데이터의 동화상을 표시하는 지 여부에 관계없이 여러 가지 전자 장치를 구성할 수 있어, 개개의 전자 장치마다 영상 표시 장치를 변경할 필요가 없고, 전자 장치의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표시하는 화상의 종류에 관계없이 영상 표시 부분에 동일한 구성의 영상 표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 2의 영상 장치에서는, CS 신호를 시스템 버스의 선택 신호 CS0, A0 신호를 시스템 버스의 어드레스 버스의 Address0에 접속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 CS 신호는 임의의 선택 신호, A0 신호는 어드레스 버스 중 임의의 하나에 접속해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 2의 영상 장치에는, MPU 또는 영상 생성 장치와 영상 표시장치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데이터, CS 신호, WR 신호로 했지만, 데이터, CS 신호, 판독 기록 식별 신호(R/W 신호)로 해도, 마찬가지의 효과 작용이 얻어진다.
(실시예 3)
도 6은 실시예 3에 따른 영상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단, 도 1과 공통된 구성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의 영상 장치는 기억부(601)를 구비하여, 영상 데이터의 기록과 판독을 동시에 행하는 점이 도 1과 다르다.
도 6에서, 영상 데이터 기록부(125)는 타이밍 신호 선택부(124)로부터 기록 허가 신호가 출력된 경우, 분리부(121)로부터 출력된 영상 데이터를 기억부(601)로 출력한다.
기억부(601)는 영상 데이터 기록부(125)로부터 출력된 영상 데이터를 기억하고, 요구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 판독부(127)로 출력한다. 또한, 기억부(60l)는 판독과 기록 신호선을 별도로 마련한 이중 포트 구성을 채용하여, 영상 데이터의 기록과 판독을 동시에 행한다.
영상 데이터 판독부(127)는, 타이밍 신호 선택부(124)로부터 판독 타이밍 신호가 출력된 경우, 판독 타이밍 신호가 지시하는 타이밍에 따라 기억부(601)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구동부(128)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3의 영상 장치는 기억부를 판독과 기록의 신호선을 별도로 마련한 이중 포트 구성으로 함으로써, 영상 데이터의 기록과 판독을 동시에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동작 클럭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실시예 4)
도 7은 실시예 4에 따른 영상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단, 도 1과 공통된 구성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의 영상 장치는 플래그(702)를 구비하는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부(701)를 구비하고, MPU(101)가 플래그(702)를 참조하여 제어 커맨드를 선택부(114)로 출력할 수 있는 기간에 제어 커맨드를 출력하는 점이 도 1과 다르다.
도 7에서,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부(701)에 MPU(101)로부터 시스템 버스를 통해서 판독할 수 있는 플래그(702)를 구비한다.
선택부(114)는,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부(701)로부터의 신호를 선택하여 분리부(121)로 출력하고 있는 경우, 플래그(702)를 제어 커맨드 송신이 유효하다고 설정하고, 영상 데이터 생성부(113)로부터의 신호를 선택하여 분리부(121)로 출력하고 있는 경우, 플래그(702)를 제어 커맨드 송신이 무효라고 설정한다.
MPU(101)는 플래그(702)를 참조하여 플래그(702)가 유효할 때만 영상 생성 장치(110)로 제어 커맨드를 발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4의 영상 장치는 제어 커맨드를 발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이용함으로써, 외부의 처리 장치로부터 제어 커맨드를 입력한 경우에, 영상 데이터가 송신되어 있지 않은 기간에 영상 표시 장치에 송신할 수 있으므로, 제어 커맨드를 기억할 필요가 없고 회로 구성을 작게 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8은 실시예 5에 따른 영상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단, 도 1과 공통된 구성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의 영상 장치는 인터럽트 신호 발생부(801)를 구비하여, 제어 커맨드가 발행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인터럽트 신호를 MPU로 출력하는 점이 도 1과 다르다.
도 8에서, 인터럽트 신호 발생부(801)는, 선택부(114)가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부(111) 측을 선택하는 기간의 최초에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켜, MPU(101)로 출력한다.
예컨대, 선택부(114)는 영상 동기 신호의 입력이 없을 때에는 항상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부(111) 측을 선택하여 인터럽트 신호 발생부(801)로 출력하는 블랭킹 통지 신호를 Low로 하고, 또한, 영상 동기 신호 및 영상 데이터의 입력이 있을 때에는 선택부(114)가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부(111) 측을 선택하는 기간에만 블랭킹 통지 신호를 Low로 한다. 그리고, 인터럽트 신호 발생부(801)는 블랭킹 통지 신호가 High에서 Low로 변화했을 때에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동기 신호 생성부(112)의 동작 제어는, MPU(101)에 의해 행해지므로, MPU(101)는 영상 동기 신호가 생성되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고, 영상 동기 신호가 생성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임의의 타이밍으로 제어 커맨드를 발행하고, 영상 동기 신호가 생성되어 있을 때는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한 직후로부터 영상 동기 신호의 블랭킹 기간에 의해 정해지는 소정 시간 내에 제어 커맨드를 발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5의 영상 장치는 제어 커맨드를 발행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인터럽트 신호를 외부의 처리 장치로 출력함으로써, 외부의 처리 장치로부터 제어 커맨드가 입력된 경우에, 영상 데이터가 송신되어 있지 않은 기간에 영상 표시 장치에 송신할 수 있으므로, 제어 커맨드를 기억할 필요가 없고 회로 구성을 작게 할 수 있다.
(실시예 6)
도 9는 실시예 6에 따른 영상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단, 도 1과 공통된 구성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의 영상 장치는 제어 커맨드와 제어 커맨드의 인수를 구별하는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공통의 신호선으로 제어 커맨드와 제어 커맨드의 인수를 송신한다. 여기서 인수란 제어 커맨드와 함께 영상 표시 장치로 송신되는 파라미터값이다. 영상 표시 장치는 제어 커맨드와 이 인수에 따라 처리를 행한다. 예컨대, 기억부(126)에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또는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어드레스를 인수로 지정함으로써, 표시되는 영상을 스크롤할 수 있다.
도 9에서,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부(901)는 시스템 버스의 어드레스 버스 중 1비트를 식별 신호(A0 신호)로서 신호 기억부(903)에 기록한다.
선택부(902)는 영상 데이터를 분리부(121)로 출력하지 않고 있는 블랭킹 기간에 신호 기억부(903)로부터 데이터 신호와 A0 신호를 판독하고, 분리부(121)로 출력한다.
신호 기억부(903)는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부(901)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기억하고, 또한 A0 신호도 기억하여, 선택부(902)가 신호 기억부(903)를 선택했을 때에는 기억한 데이터 신호를 제어 커맨드 또는 제어 커맨드의 인수로서 출력하는 것과 함께 A0 신호를 분리부(121)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6의 영상 장치는 제어 커맨드와 제어 커맨드의 인수를 구별하는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공통의 신호선으로 제어 커맨드와 제어 커맨드의 인수를 송신하는 것보다 적은 신호선으로 고도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실시예 7)
도 10은 실시예 7에 따른 영상 생성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단, 도 1과 공통된 구성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의 영상 생성 장치는 그래픽 데이터 기억부(1001)와 합성부(1002)를 구비하여, 영상 데이터와 그래픽 데이터를 선택하거나 또는 가중치를 부여하고 합성하는 점이 도 1과 다르다.
도 10에서, 그래픽 데이터 기억부(1001)는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부(111)로부터 출력된 그래픽 데이터 및 선택기 제어 신호를 기억하고, 동기 신호 생성부(112)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그래픽 데이터 및 제어 신호를 합성부(1002)로 출력한다.
합성부(1002)는 제어 신호에 따라 영상 데이터 생성부(113)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와 그래픽 데이터 기억부(1001)로부터 출력되는 그래픽 데이터를 합성하고, 합성한 영상 데이터를 선택부(114)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합성부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실시예 7에 따른 영상 생성 장치의 합성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의 합성부(1100)는 실시예 7에 따른 영상 생성 장치의 합성부(1002)의 동작을 하는 영상 합성 장치이다.
선택기(1101)는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부(111)로부터 출력된 선택기 제어 신호에 따라,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부(111)로부터 출력된 그래픽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 생성부(113)로부터 출력된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부(114)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7의 영상 생성 장치는 영상 데이터와 그래픽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함으로써 표시 화상의 표현력을 향상할 수 있다.
예컨대, MPU(101)는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부(111)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중 1비트를 사용하여 표시하는 화상의 선택을 제어함으로써, 그래픽 데이터 기억부(1001)에 기록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 중 임의의 위치에 재기록하는 표시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합성부의 별도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예 7에 따른 영상 생성 장치의 합성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의 합성부(1200)는 실시예 7에 따른 영상 생성 장치의 합성부(1002)의 동작을 하는 영상 합성 장치이다.
도 12에서, 합성부(1200)는 계수 테이블(1201)과, 승산기(1202)와, 승산기(1203)와, 가산기(1204)로 주로 구성된다. 합성부(1200)는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부(111)로부터 출력된 그래픽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 생성부(113)로부터 출력된 영상 데이터를 소정의 가중치로 합성하여 선택부(114)로 출력한다.
계수 테이블(1201)은 시스템 버스 인터페이스부(111)로부터 출력되는 계수 테이블 신호에 근거하여 그래픽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의 합성 비율을 결정하고, 화상 합성에서의 영상 데이터의 가중 계수를 승산기(1202)로 출력하며, 화상 합성에서의 그래픽 데이터의 가중 계수를 승산기(1203)로 출력한다.
승산기(1202)는 영상 데이터에 계수 테이블(1201)로부터 출력된 가중 계수를 승산하고, 승산 결과를 가산기(1204)로 출력한다.
승산기(1203)는 그래픽 데이터에 계수 테이블(1201)로부터 출력된 가중 계수를 승산하고, 승산 결과를 가산기(1204)로 출력한다.
가산기(1204)는 승산기(1202)로부터 출력된 승산 결과와 승산기(1203)로부터 출력된 승산 결과를 가산하고, 가산 결과를 합성한 영상 데이터로서 선택부(114)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7의 영상 생성 장치는 영상 데이터와 그래픽 데이터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합성함으로써 표시 화상의 표현력을 향상할 수 있다.
예컨대, 합성부(1200)를 이용함으로써 영상 데이터의 임의의 위치에 그래픽 데이터를 투과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 8)
도 13은 실시예 8에 따른 통신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의 통신 장치는 주로 안테나(1301)와, RF부(1302)와, 베이스 밴드 신호 처리부(1303)와, 음성 코덱부(1304)와, 리시버(1305)와, 마이크(1306)와, MPEG-4 디코더부(1307)와, LCD 패널 모듈(1308)과, MPU(101)로 구성된다.
도 13에서, 안테나(1301)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RF부(1302)에 수신 신호로서 출력하고, RF부(1302)로부터 출력된 송신 신호를 송신한다.
RF부(1302)는 안테나(1301)로부터 출력된 수신 신호를 베이스 밴드 주파수로 다운컨버팅하여 베이스 밴드 신호 처리부(1303)로 출력하고, 베이스 밴드 신호 처리부(1303)로부터 출력된 송신 신호를 무선 주파수에 업컨버팅하여 안테나(1301)로 출력한다.
베이스 밴드 신호 처리부(1303)는 RF부(1302)로부터 출력된 수신 신호를 복조하여 MPU(101)로 출력하고, MPU(101)로부터 출력된 송신 신호를 변조하여 RF부(1302)로 출력한다.
MPU(101)는 베이스 밴드 신호 처리부(1303)로부터 출력된 수신 신호가 음성 부호화 데이터인 경우, 음성 부호화 데이터를 음성 코덱부(1304)로 출력하고, 수신 신호가 영상 부호화 데이터인 경우,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MPEG-4 디코더부(1307)로 출력한다. 또한, MPU(101)는 음성 코덱부(1304)로부터 출력된 음성 부호화 신호를 송신 신호로서 베이스 밴드 신호 처리부(1303)로 출력한다.
음성 코덱부(1304)는 MPU(101)로부터 출력된 음성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여 얻어진 음성 신호를 리시버(1305)로 출력하고, 마이크(1306)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를 부호화하여 얻어진 음성 부호화 신호를 MPU(101)로 출력한다.
리시버(1305)는 음성 코덱부(1304)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서 출력한다.
마이크(1306)는 음성을 입력하여 음성 신호로서 음성 코덱부(1304)로 출력한다.
MPEG-4 디코더부(1307)는 MPU(101)로부터 출력된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영상 동기 신호와 함께 LCD 패널 모듈(1308)로 출력한다.
LCD 패널 모듈(1308)은 복호한 영상 데이터의 동화상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 8에 따른 통신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신 신호는 안테나(1301), RF부(1302) 및 베이스 밴드 신호 처리부(1303)를거쳐서 MPU(101)로 출력된다.
수신된 신호가 영상 부호화 데이터인 경우, MPU(101)는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MPEG-4 디코더부(1307)로 출력하여, MPEG-4 디코더부(1307)에서 영상 부호화 데이터가 복호되어 영상 데이터가 생성되고, 영상 동기 신호와 같이 LCD 패널 모듈(1308)로 출력되어, LCD 패널 모듈(1308)에서 영상 데이터의 동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수신된 신호가 음성 부호화 데이터인 경우, MPU(101)는 음성 부호화 데이터를 음성 코덱부(1304)로 출력하고, 음성 코덱부(1304)에서 음성 부호화 데이터로부터 음성 신호가 생성되어 리시버(1305)로 출력된다. 또한, 마이크(1306)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는 음성 코덱부(1304)에서 부호화되어 베이스 밴드 신호 처리부(1303), RF부(1302), 안테나(1301)를 통해서 송신된다.
본 실시예 8에 따른 통신 장치는, 영상 데이터의 동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경우, MPU(101)는 MPEG-4 디코더부(1307)를 통해서 LCD 패널 모듈(1308)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LCD 패널 모듈(1308)에 그래픽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MPEG-4 디코더부(1307) 내부의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는 부분의 전원 공급을 정지하는 것으로, 휴대 전화기의 소비 전력을 삭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8의 통신 장치에 의하면, 영상 표시 장치에 외부로부터의 신호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와 제어 커맨드를 공통의 신호선으로 전송함으로써, 신호선을 삭감할 수 있어 통신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8의 통신 장치에 의하면, 영상 데이터와 그래픽 데이터를 가중 가산하여 표시함으로써 표현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8의 통신 장치에 의하면, 영상 데이터 생성의 부분의 전원 공급을 정지함으로써,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 소비 전력을 감소할 수 있다.
예컨대, MPU(101)와 LCD 패널 모듈(1308)을 직접 접속하는 일 없이, MPU(101)로부터 LCD 패널 모듈(1308)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LCD 패널 모듈(1308)로의 영상 데이터의 공급과 제어 커맨드의 공급을 공통의 신호선을 이용함으로써, 신호선을 삭감할 수 있게 하고, 통신 장치의 기판 설계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통신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실시예 9)
도 14는 실시예 9에 따른 통신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단, 도 13과 공통된 구성에 대해서는 도 13과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의 통신 장치는 주로 안테나(1301)와, RF부(1302)와, 베이스 밴드 신호 처리부(1303)와, 음성 코덱부(1304)와, 리시버(1305)와, 마이크(1306)와, LCD 패널 모듈(1308)과, MPU(101)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 9에 따른 통신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신 신호는 안테나(1301), RF부(1302) 및 베이스 밴드 신호 처리부(1303)를거쳐서 MPU(101)로 출력된다.
MPU(101)는 수신 신호를 음성 코덱부(1304)로 출력하고, 음성 코덱부(1304)에서 수신 신호로부터 음성 신호가 생성되어 리시버(1305)로 출력된다. 또한, 마이크(1306)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는 음성 코덱부(1304)에서 부호화되어, 베이스 밴드 신호 처리부(1303), RF부(1302), 안테나(1301)를 통해서 송신된다.
또한, MPU(101)는 LCD 패널 모듈(1308)을 제어할 수 있고, 예컨대, LCD 패널 모듈(1308)에 대하여 그래픽 표시 등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LCD 패널 모듈(1308)로 이루어지는 영상 표시 장치(120)를 MPU(101)의 시스템 버스에 직접 접속하여 MPU(101)로부터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실시예 8과 실시예 9의 통신 장치는, 영상 데이터의 동화상 표시의 유무 등 기능이 다른 개개의 휴대 전화기에 대하여 공통의 LCD 패널 모듈(1308)로 이루어지는 영상 표시 장치(120)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품종마다 개별 LCD 패널 모듈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비용 삭감에 기여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9의 통신 장치는 MPU를 영상 표시 장치에 접속하여 제어 및 영상 데이터의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영상 장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휴대 전화기, 휴대 화상 전화기, 컴퓨터 기능을 구비하는 통신 단말기 등의 이동국 장치, 또는 유선 회선으로 접속되는 거치형 전화기나 화상 전화기, 또한 텔레비전 수상기, 컴퓨터 및 컴퓨터 기능을 갖는 정보 단말 장치 등에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표시 장치에 외부로부터의 신호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와 제어 커맨드를 공통의 신호선으로 전송함으로써, 신호선을 삭감할 수 있어, 전자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영상 데이터를 기억하여, 장치 내부에서 발생시킨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여 동작하지 않는 장치 부분의 전원 공급을 정지하고, 외부로부터 영상 데이터와 동기 신호가 입력된 경우,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와 동기 신호를 선택하여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소비 전력이 적고 회로 규모가 작으며, 범용성이 높은 구성으로, 미리 기억한 영상 데이터의 화상 표시와, 외부로부터의 화상 표시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2000년 9월 20일 출원한 일본 특허 공개 평성 2000-285792호에 근거하는 것이다. 이 내용을 본 명세서에 포함시켜 놓는다.
본 발명은 영상 장치 및 영상을 표시하는 통신 장치에 이용하기에 바람직하다.

Claims (24)

  1. 동기 신호를 공급하는 동기 신호 발생 수단과, 상기 동기 신호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동기 신호 중 한쪽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
    을 구비하는 영상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선택 수단은 외부로부터 동기 신호가 공급된 경우, 해당 동기 신호를 선택하는 영상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영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영상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표시 수단은, 외부로부터 영상 데이터가 공급된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고, 외부로부터 영상 데이터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영상 기억 수단에 기억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영상 기억 수단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타이밍 이외의 기간에, 상기 영상 기억 수단에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타이밍을 설정하고, 상기 타이밍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상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기록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영상 표시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영상 기억 수단은 영상 데이터의 판독과 기록을 동시에 행하는 영상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와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식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식별 신호를 이용하여 공통의 신호선에 의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 및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을 구비하며, 표시 수단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와 제어 신호의 인수를 송신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인수 식별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인수 식별 신호를 이용하여 공통의 신호선에 의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 및 제어 신호의 인수를 포함하는 신호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을 구비하며, 표시 수단은 상기 제어 신호 및 상기 제어 신호의 인수에 따라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 장치.
  8.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와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식별 신호 및 제어 신호와 영상 데이터를 공통의 신호선을 이용하여 시분할로 영상 표시 장치에 송신하는 신호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영상 생성 장치로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는 상기 식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식별 신호를 이용해서 공통의 신호선에 의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 및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동기 신호를 공급하는 동기 신호 발생 수단과, 상기 동기 신호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동기 신호 중 한쪽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영상 생성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를 기억하여, 신호 송신 수단의 요구에 따라 기억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기억 수단을 구비하는 영상 생성 장치.
  10.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와 제어 신호의 인수를 송신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인수 식별 신호 및 제어 신호와 제어 신호의 인수를 공통의 신호선을 이용하여 시분할로 영상 표시 장치에 송신하는 신호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영상 생성 장치로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는 동기 신호를 공급하는 동기 신호 발생 수단과, 상기 동기 신호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동기 신호 중 한쪽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와 상기 제어 신호의 인수를 송신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인수 식별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인수 식별 신호를 이용하여 공통의 신호선에 의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 및 제어 신호의 인수를 포함하는 신호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을 구비하며, 표시 수단은 상기 제어 신호 및 상기 제어 신호의 인수에 따라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생성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 및 제어 신호의 인수를 기억하여, 신호 송신 수단의 요구에 따라 기억한 제어 신호 및 제어 신호의 인수를 출력하는 신호 기억 수단을 구비하는 영상 생성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신호 송신 수단이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고 있는 기간을 나타내는 외부로부터 참조할 수 있는 플래그를 기억하는 플래그 기억 수단을 구비하는 영상 생성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신호 송신 수단이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고 있는 기간에 외부의 처리 장치에 제어 신호를 요구하는 요구 신호를 송신하는 인터럽트 요구 수단을 구비하는 영상 생성 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된 부호화 영상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 수단과, 상기 복호한 영상 데이터의 출력 타이밍을 나타내는 영상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동기 신호 생성 수단을 구비하는 영상 생성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복호된 영상 데이터와 외부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화상 선택 수단을 구비하고, 신호 송신 수단은 영상 표시 장치에 상기 선택된 영상 데이터 또는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며,
    상기 영상 표시 장치는 동기 신호를 공급하는 동기 신호 발생 수단과, 상기 동기 신호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동기 신호 중 한쪽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영상 생성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고,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화상 선택 수단으로 출력하는 화상 기억 수단을 구비하는 영상 생성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복호된 영상 데이터와 외부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각각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하고, 가중치 부여한 영상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를 가산하여 합성하는 화상 합성 수단을 구비하며, 합성한 영상 데이터를 청구항 1에 기재된 영상 표시 장치로 출력하는 영상 생성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고,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화상 합성 수단으로 출력하는 화상 기억 수단을 구비하는 영상 생성 장치.
  19. 제 14 항에 있어서,
    복호 수단 및 영상 동기 신호 생성 수단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여, 상기 복호 수단 및 상기 영상 동기 신호 생성 수단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 전력 공급을 정지하는 전원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영상 생성 장치.
  20. 영상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영상 장치로서,
    상기 표시 장치는 동기 신호를 공급하는 동기 신호 발생 수단과, 상기 동기 신호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동기 신호 중 한쪽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영상 장치.
  21. 영상 생성 장치를 구비하는 영상 장치로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는 상기 식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식별 신호를 이용해서 공통의 신호선에 의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 및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동기 신호를 공급하는 동기 신호 발생 수단과, 상기 동기 신호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동기 신호 중 한쪽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영상 장치.
  22. 영상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로서,
    상기 표시 장치는 동기 신호를 공급하는 동기 신호 발생 수단과, 상기 동기 신호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동기 신호 중 한쪽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통신 장치.
  23. 영상 생성 장치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로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는 상기 식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식별 신호를 이용해서 공통의 신호선에 의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 및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동기 신호를 공급하는 동기 신호 발생 수단과, 상기 동기 신호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동기 신호 중 한쪽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통신 장치.
  24. 동기 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동기 신호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동기 신호 중 한쪽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 방법.
KR10-2002-7006330A 2000-09-20 2001-09-17 영상 생성 장치 및 통신 장치 KR1004417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85792A JP2002091411A (ja) 2000-09-20 2000-09-20 映像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
JPJP-P-2000-00285792 2000-09-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746A true KR20020060746A (ko) 2002-07-18
KR100441703B1 KR100441703B1 (ko) 2004-07-27

Family

ID=18769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6330A KR100441703B1 (ko) 2000-09-20 2001-09-17 영상 생성 장치 및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020171659A1 (ko)
EP (1) EP1320085A1 (ko)
JP (1) JP2002091411A (ko)
KR (1) KR100441703B1 (ko)
CN (2) CN1393009A (ko)
AU (1) AU2001290227A1 (ko)
WO (1) WO20020256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7817B2 (en) * 2001-08-02 2008-03-25 Given Imaging Ltd. Polarized in vivo imaging device, system and method
JP2004233844A (ja) * 2003-01-31 2004-08-19 Toshiba Corp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05107123A (ja) * 2003-09-30 2005-04-21 Toshiba Corp 電子機器
KR100775219B1 (ko) * 2006-03-10 2007-11-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인터페이스 방법
WO2009013829A1 (ja) * 2007-07-26 2009-01-29 Pioneer Corporation 表示システム、表示方法、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TWI404037B (zh) * 2009-07-02 2013-08-01 Himax Tech Ltd 影像顯示器與源極驅動器、及其中信號同步方法
US8823721B2 (en) * 2009-12-30 2014-09-02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aligning frame data
US8941592B2 (en) * 2010-09-24 2015-01-27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to control display activity
TWI546752B (zh) * 2014-05-01 2016-08-21 Labau Technology Corp Endpoint sales system and its screen displa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4935999A (zh) * 2015-06-02 2015-09-23 浪潮集团有限公司 一种应用于osd菜单的vga信号的选择切换模块及方法
CN105562566B (zh) * 2016-02-23 2018-06-05 嘉兴泰恩弹簧有限公司 全自动蛇形簧成形流水线
WO2019176046A1 (ja) 2018-03-15 2019-09-19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装置、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JP7322366B2 (ja) * 2018-09-11 2023-08-08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画像受信装置、画像送受信システム及び画像受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0180A (ja) * 1982-04-30 1983-11-07 Nec Home Electronics Ltd 文字放送受信機
JPH0213084A (ja) * 1988-06-30 1990-01-17 Tamura Electric Works Ltd 画像表示装置
US20020171650A1 (en) * 1992-10-16 2002-11-21 Mobile Information Systems, Inc. Apparatus for graphical fleet management
JPH08114781A (ja) * 1994-10-17 1996-05-07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H08195944A (ja) * 1994-11-18 1996-07-30 Casio Comput Co Ltd テレビ電話装置
JPH0954569A (ja) * 1995-08-15 1997-02-25 Toshiba Corp 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画像表示方法
JP3087635B2 (ja) * 1995-12-11 2000-09-11 日本電気株式会社 画像同期制御表示装置
JPH09326968A (ja) * 1996-06-05 1997-12-16 Ekushingu:Kk 映像出力端末装置
JP3505038B2 (ja) * 1996-06-21 2004-03-08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2935354B2 (ja) * 1997-01-21 1999-08-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ィスプレ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1290227A1 (en) 2002-04-02
WO2002025625A1 (fr) 2002-03-28
JP2002091411A (ja) 2002-03-27
US20020171659A1 (en) 2002-11-21
EP1320085A1 (en) 2003-06-18
KR100441703B1 (ko) 2004-07-27
CN1532803A (zh) 2004-09-29
US20050162414A1 (en) 2005-07-28
CN1393009A (zh) 2003-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62414A1 (en) Image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JP4902197B2 (ja) 移動端末における画面表示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US6897882B1 (en) Visual output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 proper image orientation
US20050200695A1 (en) Transceiver system, transmitter and receive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2449229B (zh) 一种音画同步处理方法及显示设备
JP2008197600A (ja) 半導体集積回路及びデータ処理システム
CN110187858B (zh) 图像显示方法及系统
JP6811607B2 (ja)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US9508311B2 (en) Display apparatus, connectable external peripheral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US8001289B2 (en) Digital audio/video apparatus and method that can perform additional operations
JP4153835B2 (ja) 映像生成装置
EP3687184A1 (en)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JP2003233366A (ja) 表示合成回路及び携帯用電子機器
KR20010092768A (ko) 표시 장치와 영상 생성 장치 및 이들을 구비한 통신 장치, 및 표시 방법과 영상 생성 방법
US20080062319A1 (en) Television system and video processing method
KR100457899B1 (ko) 복호 장치, 표시 장치, 전자 장치, 무선 통신 단말 장치및 복호 방법
US20090131176A1 (en) Game processing device
US20020050969A1 (en) Display controller for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US20060020892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video data receiver
JP2005070678A (ja) 画像信号処理回路及び携帯端末装置
KR100295766B1 (ko) 휴대통신 단말기에서의 칼라 그래픽 액정표시부 인터페이스장치
KR100477632B1 (ko) 컴퓨터에서의 영상신호 처리장치
JP2003101901A (ja) Ram内蔵ドライバicを有する表示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781575B2 (ja) 復号装置、電子装置及び無線通信端末装置
CN117768701A (zh) 显示方法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