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0179A - 면광원 반사부재용 백색필름 - Google Patents

면광원 반사부재용 백색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0179A
KR20020060179A KR1020027003251A KR20027003251A KR20020060179A KR 20020060179 A KR20020060179 A KR 20020060179A KR 1020027003251 A KR1020027003251 A KR 1020027003251A KR 20027003251 A KR20027003251 A KR 20027003251A KR 20020060179 A KR20020060179 A KR 20020060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ite film
light source
film
surface light
member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3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1599B1 (ko
Inventor
미무라다카시
다나카요시오
오와타리히사시
Original Assignee
히라이 가쯔히꼬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라이 가쯔히꼬,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라이 가쯔히꼬
Publication of KR20020060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0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1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15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8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orienting, stretching or shrinking, e.g. film blow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5Manufacturing aspects; Material aspe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54Inorganic substan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 G02B6/0043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3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stitching and discrete fastener[s], coating or bo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1Plural void-containing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6Void-containing component contains also a solid fiber or solid part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7With nonvoid component of specified composition
    • Y10T428/249991Synthetic resin or natural rub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7With nonvoid component of specified composition
    • Y10T428/249991Synthetic resin or natural rubbers
    • Y10T428/249992Linear or thermoplas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1In terms of molecular thickness or light wave leng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3Coating layer not in excess of 5 mils thick or equival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내부에 기포를 함유하는 백색필름의 적어도 한쪽면에 광안정제를 함유하는 도포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면광원 반사부재용 백색필름은 장시간 사용에 있어서도 휘도의 경시적 저하가 적고 고화질의 화상을 장기간에 걸쳐서 유지 할 수 있으므로, 액정화면용의 에지라이트, 직하형라이트의 면광원의 반사판, 반사기에 사용되는 부재에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면광원 반사부재용 백색필름{WHITE FILM FOR SURFACE LIGHT SOURCE REFLECTING MEMBERS}
액정화면의 조명용 기재로 하고, 도광판의 에지로부터 냉음극선관을 조명광원으로 하는 이른바 에지라이트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일본특허공개 소63-62104호 공보). 이 조명방식에 있어서, 보다 광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냉음극선관의 주위에 반사기가 설치되고, 또는 도광판으로부터 확산되는 광을 액정화면측에 효율적으로 반사시키기 위해서 도광판의 아래에는 반사판이 설치되고 있다. 이들에 의해 냉음극선관으로부터의 광손실을 줄이고, 액정화면을 밝게 하는 기능을 부여하고 있다. 또, 최근 액정 텔레비젼과 같은 대화면용에는 에지라이트방식으로는 화면의 고휘도화를 바라 볼 수 없기 때문에, 직하형라이트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이 방식은 액정화면의 하부에 냉음극선관을 병렬로 설치하는 것으로서, 반사판의 위에는 평행하게 냉음극선관이 진열되어있다. 반사판은 평면형상으로 있고, 냉음극선관의 부분을 반원홈 형상에 성형한 것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액정화면용의 면광원에 사용되는 반사기나 반사판(면광원 반사부재라 총칭한다.)에는 높은 반사기능이 요구되고, 종래 백색염료, 백색안료를 첨가한 필름이거나 내부에 미세한 기포를 함유시킨 필름이 단독으로, 또는 이들의 필름과 금속판, 플라스틱판 등을 붙인 것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내부에 미세한 기포를 함유시킨 필름을 사용한 경우에는 휘도의 향상 효과나 균일성에 우수한 것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내부에 미세한 기포를 함유한 필름은 일본특허공개 평6-322153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평7-118433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다.
최근 액정화면을 사용한 용도는 눈부시게 확대되었고, 종래의 노트북 이외에 거치형의 PC, 액정 텔레비젼, 휴대전화의 디스플레이, 각종 게임기 등에 널리 채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용도확대에 대하여, 화면의 고휘도화, 고정세화가 요망되고 있고, 조명광원도 고출력화나 광원램프수의 증가 등의 개량이 꾀해지고 있다. 또한, 액정 텔레비젼과 같은 대화면으로 장시간 사용 등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보다 높은 휘도와 내구성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직하형의 광원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직접 닿는 것으로 되고, 보다 고도의 반사판의 내구성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필름을 사용한 반사기나 반사판에서는 장시간 사용하면 필름의 열화에 수반하는 황변이 발생하고, 반사특성을 저하시키고, 나아가서는 화면의 휘도를 저하시킨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고, 장시간 사용에 있어서도 휘도의 경시적 저하가 적고, 고화질의 화상을 장기에 있어서 유지할 수 있는 면광원 반사용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면광원 반사 부재용에 사용되는 백색필름의 개량에 관하고, 더욱 상세하게는 액정화면용의 에지라이트 및 직하형라이트의 면광원의 반사판, 및 반사기에 사용되는 부재이고, 장기간 사용하여도 휘도의 저하가 적은 백색필름에 관한 것이다.
제 1도는 본 발명에 이러한 면광원의 휘도를 측정하기 위해서의 장치구조의 개략을 나타내는 장치 총단면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내부에 기포를 함유하는 백색필름의 적어도 한쪽면에 광안정제를 함유하는 도포층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반사부재용 백색필름을 그 골자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백색필름은 열가소성 플라스틱필름에 유기, 무기의 염료, 미립자 등을 첨가한 것;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성분에 상기 수지성분과는 비상용성의 수지, 및/또는 유기 또는 무기의 입자를 혼합하여 용융압출한 후, 적어도 1방향으로 연신하고, 내부에 미세한 기포를 형성시킨 것; 발포성 입자를 첨가하여, 용융압출하는 것에 의해서, 발포시킨 것; 탄산가스 등의 기체를 주입하여 압출발포시킨 것 등, 외관상 백색성을 보유하는 것이면, 특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의 용도에 있어서는 보다 반사율이 향상하고, 휘도가 향상하는 것으로서,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성분에 상기 수지성분과는 비상용성의 수지, 및/또는 유기 또는 무기의 입자를 혼합하여 용융압출시킨 후, 적어도 1방향으로 연신하고, 내부에 미세한 기포를 형성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부에 미세한 기포를 형성시킨 필름의 한쪽 이상의 방향에 유기 또는 무기의 미립자를 첨가한 열가소성 수지를 같이 압출하는등의 방법에 의해서, 적층 또한 연신하여, 표층부에 내층부 보다도 미세한 기포를 형성시킨 복합필름이 특히 바람직하다.
필름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용융압출에 의해서 필름을 형성하여 얻은 것이면 특히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한 예로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페닐렌술피드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치수안정성이나 기계적 특성이 양호한 것으로 가시광선영역에 있어서 흡수가 거의 없다는 점에서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라 약칭한다),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이하, PEN이라 약칭한다),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1, 4-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물론, 이들의 폴리에스테르는 호모폴리머이어도 좋고, 코폴리머이어도 좋으나, 바람직하게는 호모폴리머이다. 코폴리머인 경우, 디카르복실산, 지방족디카르복실산, 지환족디카르복실산, 탄소수 2∼15의 디올성분을 들 수 있고, 이들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이소프탈산, 아디핀산, 세바신산, 프탈산, 슬폰산 염기 함유 이소프탈산, 및 이들의 에스테르형성성 화합물,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분자량400∼2만의 폴리알킬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폴리에스테르 중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각종 첨가물, 예를 들면 내열안정제, 내산화안정제, 유기의 활제, 유기, 무기의 미립자, 내광제, 대전방지제, 핵제, 커플링제 등이 첨가되어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로서, 폴리에스테르를 백색필름기재로 한 것에 관해서 상술한다. 기재로 하여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고, 백색화 하는 것에는 각종의 백색염료, 백색안료를 첨가하는 방법, 상기한 내부에 미세한 기포를 함유시키는 방법 등이 있지만,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발현하기에는 내부에 미세한 기포를 함유 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미세한 기포를 함유시키는 방법으로서는 (1)발포제를 함유시켜 압출시나 제막시의 열에 의해서 발포 또는 화학적 분해에 의해 발포시키는 방법, (2)압출시 또는 압출 후에 탄산가스 등의 기체 또는 기화가능한 물질을 첨가하여, 발포시키는 방법, (3)폴리에스테르와 비상용성의 열가소성 수지를 첨가하여 용융압출 후, 1축 또는 2축으로 연신시키는 방법, (4)유기 또는 무기의 미립자를 첨가하여 용융압출 후, 1축 또는 2축으로 연신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미세한 기포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반사계면을 증가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점에서 상기(3) 또는 (4)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에 의해서 얻은 기포의 크기(두께방향의 단면적 사이즈)는 0.5㎛2∼50㎛2, 바람직하게는 1㎛2∼30㎛2의 것이 휘도 향상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기포의 단면형상은 원형상, 타원형상의 어느 것이어도 좋지만, 특히 필름상면으로부터 하면에 이를때 까지의 사이의 전체의 면내에 있어서 1개이상의 기포가 존재하고 있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즉, 반사판으로 한 경우에 광원으로부터 발사되는 광이 필름 표면으로부터 입사하지만, 이 입사광이 내부의 기포에 의해서 전부 반사되는것이 가장 바람직한 형태이다. 실제로는 필름 내부를 통과하는 광도 있고, 이 부분은 손실로 되지만, 이들을 커버하기 위해서는 입사광측(광원측)과는 반사면의 필름면측에 알루미늄, 은 등의 금속증착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내부에 미세한 기포를 함유시킨 필름의 광손실을 감소하는 의미로서, 상기 기포함유 폴리에스테르필름의 표면에 유기 또는 무기의 미립자에 의한 미세기포를 함유시킨 층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표면층은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유기 또는 무기의 미립자를 함유시키고, 상기 내부 기포 함유 필름의 제조시에 함께 압출하여 복합화한 후, 적어도 1방향으로 연신하는 것에 의해서 얻어진다. 또, 표면부의 기포는 내층부의 기포보다도 적은 편이 휘도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비율(표층부의 기포의 크기/내층부의 기포의 크기)은 특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05∼0.8, 보다 바람직게는 0.07∼0.7, 가장 바람직하게는 0.1∼0.6이다. 기포의 크기는 첨가하는 입자의 사이즈에 의해서 컨트롤할 수 있다.
여기서, 기포를 형성하기 위해서 첨가되는 폴리에스테르수지와 비상용성의 수지 및 내층부, 표층부에 첨가되는 유기 또는 무기의 미립자에 관해서 설명한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비상용성의 수지(이하, 비상용성수지라 생략한다)란, 폴리에스테르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이고, 또한 폴리에스테르 중에 입자형상으로 분산하여 얻은 것이다. 일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탄, 폴리메틸펜탄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수지, 폴리페닐렌술피드 수지, 불소수지 등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 중합체이어도 공중합체이어도 좋고, 2종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특히, 폴리에스테르와 임계표면장력차가 크고, 연신 후의 열처리에 의해서 변형하기 어려운 수지가 바람직하고,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서도 폴리메틸펜텐이 특히 바람직하다. 비상용성 수지의 백색필름 중의 함유량은 특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제조시의 찢어짐, 비상용성 수지를 핵으로 한 기포형성에 의한 휘도를 고려하여 선정하면 좋고, 통상은 3∼35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30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25중량%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3중량%미만에서는 휘도 향상 효과가 적고, 35중량%를 넘을 경우에는 제막시에 필름 찢어짐이 발생하기 쉽다.
내층부 및/또는 표층부에 첨가하는 무기 미립자로서는 그 자체를 핵으로 하여 기포를 형성하여 얻은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탄산아연, 산화티탄(아나타제형, 루틸형), 산화아연, 황산바륨, 황화아연, 염기성 탄산연, 운모티탄, 산화안티몬, 산화마그네슘, 인산칼륨, 실리카, 알루미나, 운모, 탈크, 카올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400∼700nm의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 흡수가 적은 탄산칼슘, 황산바륨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가시광 영역에서 흡수가 있으면 휘도가 저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유기 미립자의 경우에는 용융압출에 의해서 용융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교스티렌, 가교아크릴 등의 가교미립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 유기 미립자는 중공형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미립자는 단독으로도 2종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상기 미립자의 입자경은 특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통상 0.05∼15㎛, 바람직하게는 0.1∼10㎛, 더욱 바람직하게는 0.3∼5㎛인 것이 바람직하다. 0.05㎛미만에서는 기포형성성이 불충분하고, 반대로 15㎛를 넘는 경우에는 표면이 필요이상으로 조면화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표층부에 미립자를 함유시키고, 내층부에 비상용 수지를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그 미립자를 핵으로 한 기포경은 내층부에 형성되는 기포경 보다도 적은 편이 휘도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립자의 백색필름 중의 함유량은 1∼30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25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20중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1중량%미만에서는 휘도 향상 효과가 적고, 반대로 30중량%를 넘는 경우에는 제막시에 필름 찢어짐이 발생하기 쉽다.
이와 같은 기포를 함유한 백색필름의 기포함유율의 목적으로 하는 비중은 0.1이상 1.3미만의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비중이 0.1미만의 경우에는 필름으로서의 기계적 강도가 불충분하여, 꺽이기 쉽고 취급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1.3을 넘는 경우에는 기포의 함유율이 떨어지고 반사율이 저하하여 휘도가 불충분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또, 필름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한 경우에는 비중의 하한은 0.4가 바람직하다. 비중이 0.4미만의 경우에는 기포의 함유율이 지나치게 높아서 제막시의 찢어짐이 자주 발생하기 쉽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가 있다.
면광원 반사부재란, 상술한 바와같이 광반사를 위하여 면광원에 조립되는 판형상재이고, 구체적으로는 액정화면용의 에지라이트의 반사판, 직하형 라이트의 면광원의 반사판 및 냉음극선관의 주위의 반사기 등을 의미하는 것이고, 이 면광원 반사부재에 이용되는 경우, 화면의 색조의 점에서 반사판은 백색도가 높아지는 편이 바람직하고, 또, 노란끼 보다 푸르스름한 빛깔의 쪽이 바람직하다. 이 점을 고려하여 백색필름 중에 형광증백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형광증백제로서는 시판의 것을 적당 사용하면 좋고, 예를 들면, 유비텍(치바가이기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OB-1(이스트만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TOB(스미또모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케이콜"(니폰소다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가야라이트"(니폰가야코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류코프아" EGM(구라이안트쟈반 가부시키가이샤 제품)등을 사용 할 수 있다. 형광증백제의 백색 필름 중의 함유량은 0.005∼1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7∼0.7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1∼0.5중량%의 범위내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0.005중량%미만에서는 그 효과가 적고, 1중량%를 넘는 경우에는 반대로 노란끼를 띠는 것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백색필름이 복합필름의 경우에는 형광증백제는 표층부에 첨가하는 것이지만, 보다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백색필름이 적어도 한쪽면에 광안정제를 함유하여 도포층을 형성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광안정제로서는 힌더드아민계, 살리실산계,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트리아진계, 벤조에이트, 옥살산아닐리드계 등의 유기계의 광안정제 또는 졸-겔 등의 무기계의 광안정제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광안정제의 구체예를 이하에 나타내지만, 물론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힌더드아민계: 비스(2, 2, 6, 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숙신산디메틸·1-(2-히드록시에틸)-4-히드록시-2, 2, 6, 6-테트라메틸피페리딘 중축합물,
살리실산: p-t-부틸페닐살리실레이트, p-옥틸페닐살리실레이트
벤조페논계: 2, 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5-술포벤조페논, 2, 2'-4, 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 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 2'-디히드록시-4, 4'-디메톡시벤조페논, 비스(2-메톡시-4-히드록시-5-벤조일페닐)메탄,
벤조트리아졸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 -5'-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 5'-디-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 5'-디·t-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옥틸페놀)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 5'-디·t-아밀페닐)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1, 1, 3, 3-테트라메틸부틸)-6-(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 2-(2'히드록시-5'-메타알크릴옥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3", 4", 5", 6"-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드메틸)-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아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타크릴옥시에틸페닐)-2H -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t-부틸-5'-아크릴로일에틸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에틸-2-시아노-3, 3'-디페닐아크릴레이트
상기 이외: 니켈비스(옥틸페닐)술피드, [2,2'-티오비스(4-t-옥틸페놀레이토) -n-부틸아민니켈, 니켈컴플렉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인산모노에틸레이트, 니켈·디부틸디티오카르바메이트, 2-4-디-t-부틸페닐-3',5'-디·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 4-디·t-부틸페닐-3', 5'-디·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에톡시-2'-에틸옥살릭엑시드비스아닐리드, 2-(4, 6-디페닐-1, 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구체예 중 힌더드아민계,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의 어느 하나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는 이들을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포층의 형성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도포상 중의 광안정제에 대하여 적절히 다른 수지성분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지성분 및 광안정제를 각각 용해하여 얻은 유기용매, 물, 2종이상의 유기용매의 혼합액 또는 유기용매/물혼합액에 수지성분과 광안정제를 용해 또는 분산시켜 도액상태로 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형태이다. 즉, 수지성분과 광안정제를 미리 각각에 유기용매, 물, 유기용매 혼합액 또는 유기용매/물혼합액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것을 임의로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또, 미리 광안정제성분과 수지성분의 공중합체를 그대로 도포재로로서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즉, 상기 공중합체를 유기용매, 물, 2종이상의 유기용매의 혼합액 또는 유기용매/물혼합액에 용해시킨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혼합 또는 공중합하는 수지성분은 특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그 일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메타크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염화비닐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초산비닐 수지, 불소계 수지 등 이다. 이들의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또는 2종이상의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로 된 것을 사용해도 좋다.
상기의 수지제분 중 아크릴 수지 또는 메타크릴 수지를 선택하여 사용하는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아크릴 수지 또는 메타크릴 수지에 광안정제 성분을 공중합 한 것을 도포층에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공중합 하는 경우에는 광안정제 모노머 성분에 대하여 아크릴모노머 성분 또는 메타크릴모노머 성분을 공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안정제 모노머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벤조트리아졸계 반응성 모노머, 힌더드아민계 반응성 모노머, 벤조페논계 반응성 모노머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벤조트리아졸계 모노머로서는 기체골격에 벤조트리아졸을 보유하고, 또한 불포화결합을 보유하는 모노머이면 좋고, 특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예컨대, 2-(2'-히드록시-5-아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타크릴옥시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t-부틸-5'-아크릴로일에틸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동일하게 힌더드아민계 반응성 모노머, 벤조페논계 반응성 모노머로서는 기체골격에 각각 간섭아민, 벤조페논을 보유하고, 또한 불포화결합을 보유하는 모노머이면 좋다. 힌더드아민계 반응성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비스(2, 2, 6, 6-테트라메틸-4-피페리딜-5-아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세바케이트, 숙신산디메틸·1-(2-히드록시에틸)-4-히드록시-2, 2, 6, 6-테트라메틸-5-아크릴옥시에틸페닐피페리딘 중축합물, 비스(2, 2, 6, 6-테트라메틸-4-피페리딜-5-메타크릴옥시에틸페닐)세바케이트, 숙신산디메틸·1-(2히드록시에틸)-4-히드록시-2, 2, 6, 6-테트라메틸-5-메타크릴옥시에틸페닐피페리딘 중축합물, 비스(2, 2, 6, 6-테트라메틸-4-피페리딜-5-아크릴로일에틸페닐)세바케이트, 숙신산디메틸·1-(2-히드록시에틸)-4-히드록시-2, 2, 6, 6-테트라메틸-5-아크릴로일에틸페닐피페리딘 중축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벤조페논계 반응성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2-히드록시-4-메톡시-5-아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벤조페논, 2, 2'-4, 4'-테트라히드록시-5-아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벤조페논, 2, 2'-디히드록시-4-메톡시-5-아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벤조페논, 2, 2'-디히드록시-4, 4'-디메톡시-5-아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5-메타크릴옥시에틸페닐벤조페논, 2, 2'-4, 4'-테트라히드록시-5-메타크릴옥시에틸페닐벤조페논, 2, 2'-디히드록시-4-메톡시-5-아크릴로일에틸페닐벤조페논, 2, 2'-디히드록시-4, 4'-디메톡시-5-아크릴로일에틸페닐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광안정제모노머 성분과 공중합되는 아클릴모노머 성분 또는 메타크릴모노머 성분, 또는 그 올리고머 성분으로서는 알킬아크릴레이트, 알킬메타크릴레이트(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2-에틸헥실기, 라우릴기, 스테아릴기, 시클로헥실기 등), 및 가교성 관능기를 보유하는 모노머, 예컨대, 카르복실기, 메틸올기, 산무수물기, 술폰산기, 아미드기, 메틸올화 된 아미드기, 아미노기, 알코올화 된 아미노기, 수산기, 에폭시기 등을 보유하는 모노머를 예시할 수 있다. 또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부틸비닐에테르, 말레인산, 이타콘산 및 그 디알킬에스테르, 메틸비닐케톤, 염화비닐, 염화비닐덴, 초산비닐, 비닐피리딘, 비닐피롤리딘, 비닐기를 보유하는 알콕시실란, 불포화폴리에스테르 등과 공중합체로 하여도 좋다.
이들의 광안정제 모노머 성분과 공중합하는 모노머류의 공중합비율은 특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각각의 1종 또는 2종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공중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광안정제 모노머 성분의 비율이 10중량%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중량%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35중량%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광안정제 모노머 성분의 단독중합체이어도 좋다. 이들의 중합체의 분자량은 특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통상 5,000이상, 바람직하게는 10,000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0이상인 것이 도포층의 강인성의 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이들의 중합체는 유기용매, 물 또는 유기용매/물혼합액에 용해 또는 분산된 상태로 사용된다. 이들 이외에도 시판의 하이브리드계 광안정제 폴리머, 예컨대, 유더블(니폰 쇼쿠바이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등도 사용할 수 있다.
광안정제를 함유하는 도포층의 박두께는 특히 한정하지는 않지만, 0.5∼15㎛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7㎛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막두께가 0.5㎛미만의 경우에는 도포층의 내구성이 부족하고, 반대로 15㎛를 넘는 경우에는 휘도가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의 광안정제를 함유하는 도포층은 기재의 백색필름 상에 직접 형성되어 도 좋지만, 접착성이 부족할 경우에는 기재필름의 코로나방전처리나 초벌 도포처리 등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벌 도포는 백색필름 제조공정내에 형성하는 방법(인라인코팅법)이어도 좋고, 또, 백색필름을 제조 후, 별도 도포하여 형성하는 방법(오프라인코팅법)이어도 좋다. 초벌 도포처리에 적용하는 재료는 특히 한정하지는 않고, 적당 선택되면 좋으나, 바람직한 것으로서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메타크릴 수지, 및 각종 커플링제 등을 적용할 수 있다.
광안정제를 함유하는 도포층은 임의의 방법으로 도포할 수 있다. 예컨대, 그라비어코오터, 롤코오터, 스핀코오터, 리버스코오터, 바코오터, 스크린코오터, 브래드코오터, 에어나이프코오더, 침지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도포 후에 도포층을 경화하는 경우, 그 경화방법은 공지의 방법을 취할 수 있다. 예컨대, 열경화, 또는 자외선, 전자선, 방사선 등의 활성선을 사용하는 방법,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방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이 때, 가교제 등의 경화제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포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기재의 백색필름제조시에 도포(인라인코팅)하여도 좋고, 결정 배향완료 후의 백색필름 상에 도포(오프라인코팅)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백색필름은 광안정제를 함유하는 도포층을 형성한 면으로부터 측정한 400∼700nm의 파장에 있어서 평균 방사율이 85%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7%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반사율이 85%미만의 경우에는 적용하는 액정디스플레이에 관해서는 휘도가 부족할 경우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광안정제를 함유하는 도포층을 형성한 면으로부터 측정한 광택도가 6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0%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광택도가 60%보다 높은 경우에는 액정디스플레이에 적용할 때에 보는 각도에 따라서 휘도가 저하 하거나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광안정제를 함유하는 도포층 중에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 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각종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참가제로서는 예컨대, 유기 및/또는 무기의 미립자, 형광증가제, 가교제, 내열안정제, 내산화안정제, 유기의 활제, 대전방지제, 핵제, 커플링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도포층 중에 유기 및/또는 무기의 미립자를 첨가하는 것은 도포층을 형성한 면의 광택도를 상기의 범위내로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것이다. 이와 같은 무기 미립자로서는 실리카, 알루미나, 산화티탄(아나타제형, 루틸형), 산화아연, 황산바륨, 탄산칼슘, 제올라이트, 카올린, 탈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유기 미립자로서는 가교스티렌, 가교아크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유기 및/또는 무기의 미립자의 입자경은 0.05∼15㎛가 바람직하고, 0.1∼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0.05㎛미만에서는 광택도 저감의 효과가 불충분하고, 반대로 15㎛를 넘는 경우에는 표면이 필요이상으로 조면화되거나, 입자의 탈락이 일어나기 쉽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그 함유량은 0.5∼50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40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30중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0.5중량%미만의 경우, 광택도 저감의 효과가 적고, 반대로 50중량%보다 많은 경우에는 도포가 곤란하게 되기 쉬운 것 외에, 표면이 필요이상으로 조면화되거나, 입자의 탈락이 일어나기 쉽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도포층 중에 형광증백제를 첨가하는 것은 백색도나 빛깔이 향상하고 보다 바람직한 것이다. 형광증백제로서는 상술의 백색필름에 첨가하는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도포층 중의 형광증백제의 함유랑은 0.01∼2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1.5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5∼1중량%의 범위내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0.01중량%미만에서는 그 효과가 적고, 2중량%를 넘는 경우에는 반대로 노란끼를 띨 수 있거나, 또는 내구성이 저하하기 쉽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백색필름의 두께는 10∼500㎛가 바람직하고, 20∼300㎛가 보다 바람직하다. 두께가 10㎛미만의 경우, 반사율 또는 백색도, 빛깔이 낮은 레벨인 것 이 외에 취급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500㎛보다 두꺼운 경우, 면광원반사부재로서 액정디스플레이 등에 사용된 경우, 중량이 무겁게 되기 쉽고, 또는 높은 비용으로 되기 쉽다. 또, 백색필름이 복합필름인 경우, 그 표층부/내층부의 비율은 1/30∼1/3이 바람직하고, 1/20∼1/4가 보다 바람직하다. 표층부/내층부/표층부의 3층 복합필름의 경우, 상기 비율은 양표층부의 합계/내표층부로 나타낸다.
다음에, 본 발명의 면광원 반사부재용 백색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해서, 그 일예를 설명하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압출기 A와 압출기 B를 구비한 복합제막장치에 있어서, 압출 후 A에는 건조한 PET칩 85중량부와 폴리메틸펜탄 15중량부와 분자량이 약 40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1중량부를 혼합한 재료를 공급한다. 압출기 B에는 PET 90중량부와 평균입자계 약 1㎛의 탄산칼륨 10중량부와 형광증백제 0.03중량부를 혼합한 재료를 공급한다. 즉, 압출 후, A, B에 공급하는 원료의 각 성분은 사전에 펠레타이즈 등의 방법으로 혼합하고 있어도 좋다. 압출기 A, B를 280∼300℃에서 가열하여 용융압출한다. 이 때에 압출 기 A의 원료가 내층, 압출기 B의 원료가 양표면에 적층되는 바와 같이복합화한다. 압출된 시트를 표면온도 10∼60℃의 냉각 드럼상에서 고화시킨다. 이 때, 균일한 시트를 얻기 위해서, 정전기를 인가하여 드럼에 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고화시킨 시트를 70∼120℃에서 가열시킨 롤 군에 도입하고, 길이방향으로 약 2∼5배연신하여, 20∼40℃의 롤 군에서 냉각한다. 또, 연속적으로 필름의 단부를 클립으로 고정하여, 텐터 내로 도입하고, 90∼120℃에서 예열한 후, 축 방향으로 3∼6배 연신한다. 잇따른 연속적으로 180∼230℃에서 가열시킨 졸에 도입하고, 약 3∼20초간 열처리를 수행하여 그 후 40℃이하로 냉각하여 백색필름을 얻는다. 얻어진 백색필름의 한쪽의 면에 자외선 흡수능을 보유하는 화합물, 광안정제, 수지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한 도액을 도포하여 건조한다.
이와 같이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면광원 반사부재용 백색필름은 초기휘도에서 우수하며, 또한 장기사용에 있어서도 열화가 적고, 액정화면의 휘도를 유지할 수 있다.
[특성의 측정방법 및 평가방법]
(1)평균기포량
필름의 단면을 투과형 전자현미경 HU-12형(히타치 가부시키가이샤 제품)을 사용하여, 3000∼20만배로 관찰하고, 그 단면사진의 시야내의 기포부분을 마킹하여, 하이비젼 화상해석 처리장치PIAS-IV(PIAS 가부시키가이샤 제품)를 사용하여, 화상처리를 수행하고, 100개의 기포에 관해서 정원으로 환산했을 때의 평균기포경을 구하여, 그 평균치를 산출하였다.
(2)비중
필름을 50mm×60mm의 크기로 커트하여 얻은 시료샘플을 고정밀도 전자비중계SD-120L(미라지 트래이드 가부시키가이샤 제품)를 사용하여, JISK-7112의 A법(수중치환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또, 측정조건은 온도 23℃, 상대습도 65%에서 행하였다.
(3)광택도
디지탈 변각 광택도계 UGV-5B(수가 테스트 인스트루먼트 가부시키가이샤 제픔)를 이용하여, 백색 폴리에스테르층 (A)측으로부터 JIS Z-8741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또, 측정조건은 입사각=60°, 수광각=60°로 하였다.
(4)평균반사율
분광식 색차계 SE-2000형(니폰 덴쇼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품)을 사용하여, JIS Z-8722에 준하여 400∼700nm의 범위의 분광반사율을 10nm간격으로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평균반사율로 하였다.
(5)면광원의 휘도
도 1에 나타난 장체에 준하여, 두께 2mm의 아크릴제 투명도광판 14에 망점인쇄 15를 실시한 것을 준비하여, 상기 아크릴제 투명도광판의 망점인쇄측에 반사판11로 하여 필름샘플을 세트하고, 반사측에 확산판 13으로 하여 반투명시트를 적층하였다. 다음에, 투명도광판 14의 한쪽의 단면으로부터 냉음극제선관 16으로 하여 6W의 형광관을 설치하고, 그 형광관 주위를 도 1과 같이 반사기-12로 커버하였다. 형광관을 점등하여, 확산판 13측으로부터 디지탈광도계 J16과 휘도측정용 프로브 J6503(테크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제품)을 사용하여 휘도(cd/m2)을 측정하였다. 또, 상기 측정은 광도계에 설치한 휘도측정용 프로브의 수광자부분을 확산판 13에 수직으로 압축하여 붙여 측정하였다. 휘도는 면내를 균일하게 9분할한 9점에 대해서 3회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나타내었다.
(6)내구성 시험 후의 평균반사율, 휘도
자외선 열화촉진 시험기 아이슈퍼UV테스터-SUV-W131(아이와사키 일렉트릭 가부시가이샤 제품)을 사용하여, 하기의 조건으로 강제 자외선 조사 시험을 수행하였다.
「자외선 조사 조건」
조도 : 100mW/cm2, 온도 : 60℃, 상대습도 : 50%RH, 조사시간 : 8시간
조사 후의 샘플에 관해서 상기 (4), (5)의 방법에 준하여 평균반사율 및 휘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본 발명을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이용하여 설명하지만, 특히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압출기 A와 압출기 B를 보유하는 복합제막장치에 하기 조성의 원료를 공급하였다.
압출기 A : 180℃에서 4시간 진공건조한 PET칩 90중량부, 폴리메틸펜텐 10중량부, 및 분자량 40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1중량부.
압출기 B : 평균입경 1㎛의 황산바륨 15중량%를 함유한 PET칩을 180℃에서 4시간 진공건조한 것 100중량부 및 형광증백제(OB-1:이스트만가부시키가이샤 제품)를 1중량%함유한 PET마스터칩을 180℃ 4시간 진공건조 한 것 3중량부.
압출기 A, B로부터 각각의 원료를 290℃에서 용융압출하여, 압출기 A의 용융원료가 내층에, 압출기 B의 용융원료가 양표면층으로 되도록 합류시킨 T자형 다이로부터 시트 형상으로 압출된다. 복합필름의 막두께 구성비는 B/A/B(5/90/5)이었다. 이 시트를 표면온도 20℃의 경면 냉각 드럼상에 캐스트하여 미연신 시트로 하였다. 이 시트를 90℃에서 가열시킨 롤군에서 예열하고, 95℃에서 길이방향으로 3.5배 연신하였다. 이 1축연신시트의 한쪽면에 공기 중에서 코로나 방전처리를 행하고, 폴리우레탄 에멀젼액(AP-40:다이니폰 잉크 가부시키가이샤 제품)을 건조 후의 막두께에 0.3㎛로 되도록 도포하였다. 그 후, 시트단부를 클립으로 고정하여 105℃에서 가열시킨 텐터내로 도입하고, 도포층의 수분을 제거하였다. 그 후 연속적으로 110℃의 분위기 중에서 폭방향으로 3.5배연신 하였다. 또한 연속적으로 215℃의 분위기 중에서 8초간의 열처리를 수행하고, 총두께 188㎛의 백색기재 필름을 얻었다.
이 백색기재 필름의 폴리우레탄 도포층면에 광안정제를 함유하는 도포층으로 하여 "유더블" UV6010(니폰 쇼쿠바이 가부시키가이샤 제품)을 건조 후의 두께가 5㎛로 되도록 도포하였다. 건조는 150℃, 2분간의 조건으로 열풍건조하였다. 이렇게하여 얻은 면광원 반사부재용 백색필름은 표1에 나타내고, 내구테스트에 있어서 황변하기 어렵고, 평군반사율, 휘도의 저하가 적은 것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얻은 백색기재 필름을 그대로 면광원판사부재용 백색필름으로 하여 평가를 한 결과, 초기휘도에서는 우수하였지만, 내구성이 불충분하고, 뚜렷하게 노란끼가 증대하여 평균반사율, 휘도의 저하가 현저한 것이었다.
[실시예2∼5]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백색기재필름을 얻었다. 이 백색기재필름의 폴리우레탄 도포층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광안정제를 함유하여 도포층을 건조 후의 두께가 1㎛(실시예 2), 3㎛(실시예 3), 7㎛(실시예 4), 10㎛(실시예 5)로 되도록 도포하였다. 실시예 1에 비교하여 두께층이 얇을 경우(실시예 2, 3)에는 약간 내구성이 저하하고, 도포막이 두께우면(실시예 4, 5)초기의 휘도가 약간 저하하는 경향이 있지만, 모두 비교예 1에 비하여 우위이었다.
[실시예6]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백색기재필름을 얻었다. 이 백색기재필름의 폴리우레탄 도포층면에 하기 조성의 도액을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광안정제를 함유하는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면광원 반사부재용 필름은 표1에 나타내고, 내구테스트에 있어서 황변하기 어렵고 평균반사율, 휘도의 저하가 적은 것 이었다.
(도포층형성도액)
"유더블" UV714 : 10.0g
(40%용액, 니폰 쇼쿠바이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스미듈" N3200 : 0.5g
(경화제, 스미또모 베이어 우레탄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초산에틸/톨루엔(중량비=1/1) : : 12.0g
[실시예 7,8,9]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백색 기재필름을 얻었다. 이 백색 기재필름의 폴리우레탄 도포층면에 실시예 1의 도액 20.0g에 대하여 무기 미립자로서 실리카 분말(후지 실리카 가부시키사이샤 제품 "사이로포빅")을 각각 0.13g(함유량으로 하여 고형분비로 3중량%), 0.21g(동일, 5중량%), 0.3g(동일, 7중량%)교반하면서, 첨가한 것 이외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광안정제를 함유하는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은 면광원 반사부재용 백색필름은 표 1에 나타내고, 평균반사율, 휘도에서 우수하며, 또, 내구테스트에 있어서도 황변하기 어렵고, 평균반사율, 휘도의 저하가 적은 것이었다.
[비교예2]
압출기 A의 내용을 보유하는 단층제막장치에 있어서, 평균 입자경 0.15㎛의 아나타제형 산화티탄 10중량%를 함유한 PET팁을 충분하게 진공건조하여 압출기에 공급하고, 290℃에서 시트 형상으로 용융압출하여, 20℃의 냉각 드럼상에 캐스트하여 미연신 시트를 작성하였다. 이 시트를 실시예 1의 방법으로 길이방향, 축방향으로 연신, 열처리를 실시하여, 두께 188㎛의 백색기재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 상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광안정제를 함유하는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필름은 표 1에 나타내고, 내부에 대부분 기포를 함유하고 있지 않고, 초기의 반사율, 휘도가 불충분하였다.
본 발명의 면광원 반사부재용 백색필름은 광원에 의한 경시적 열화가 적고, 액정디스플레이의 화질, 밝기를 장기간에 걸쳐 보유할 수 있으므로, 액정화면용의 에지라이트 및 직하형라이트의 면광원의 반사판, 및 반사기에 사용되는 부재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2)

  1. 내부에 기포를 함유하는 백색필름의 적어도 한쪽면에 광안정제를 함유하는 도포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반사부재용 백색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도포층이 아크릴수지 또는 메타크릴수지에 광안정제 성분을 공중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반사부재용 백색필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광안정제가 힌더드아민계,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중 어느 하나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반사부재용 백색필름.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포층을 형성한 면으로부터 측정한 400∼700nm의 파장에 있어서의 평균반사율이 85%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반사부재용 백색필름.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포층을 형성한 면으로부터 측정한 광택도가 6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반사부재용 백색필름.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백색필름이 폴리에스테르를 주된 구성성분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반사부재용 백색필름.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의 기포가 폴리에스테르수지와 폴리에스테르 수지와는 비상용성의 수지 및/또는 유기 또는 무기의 미립자와의 혼합물을 용융압출하여, 적어도 한방향으로 연신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반사부재용 백색필름.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백색필름이 복합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반사부재용 백색필름.
  9. 제 8항에 있어서, 백색필름의 복합층이 무기 미립자를 함유하고, 또한 무기 미립자를 핵으로 하여 형성된 기포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반사부재용 백색필름.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백색필름이 표층부 및 내층부 모두 기포를 보유하는 복합필름으로서, 기포의 단면평균직경이 표층부의 쪽이 내층부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반사부재용 백색필름.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포층이 유기 및/또는 무기의 미립자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반사부재용 백색필름.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포층 및/또는 백색필름이 형광증백제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반사부재용 백색필름.
KR1020027003251A 2000-07-12 2001-07-10 면광원 반사부재용 백색필름 KR1006115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10759 2000-07-12
JPJP-P-2000-00210759 2000-07-1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7128A Division KR20060053016A (ko) 2000-07-12 2001-07-10 면광원 반사부재용 백색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179A true KR20020060179A (ko) 2002-07-16
KR100611599B1 KR100611599B1 (ko) 2006-08-11

Family

ID=1870697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7128A KR20060053016A (ko) 2000-07-12 2001-07-10 면광원 반사부재용 백색필름
KR1020027003251A KR100611599B1 (ko) 2000-07-12 2001-07-10 면광원 반사부재용 백색필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7128A KR20060053016A (ko) 2000-07-12 2001-07-10 면광원 반사부재용 백색필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285327B2 (ko)
EP (2) EP1302788B1 (ko)
KR (2) KR20060053016A (ko)
DE (1) DE60108250T2 (ko)
TW (1) TW527507B (ko)
WO (1) WO20020049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22190B2 (en) 2006-11-24 2014-05-13 Alphavision Co., Ltd. Refl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24571A4 (en) 2001-08-06 2008-10-29 Yupo Corp LIGHT REFLECTOR
KR20030040060A (ko) * 2001-11-16 2003-05-22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광 반사재료 및 이를 이용한 광원장치
AU2003255151A1 (en) * 2002-07-24 2004-02-23 Yupo Corporation Light-reflecting article
JP2007512578A (ja) * 2003-11-21 2007-05-17 イーストマン コダック カンパニー 高反射性光学フィルム
US7273640B2 (en) 2003-11-21 2007-09-25 Rohm And Haas Denmark Finance A/S Highly reflective optical element
CN1329748C (zh) * 2003-12-22 2007-08-01 长兴化学工业股份有限公司 反射膜
CN100388012C (zh) * 2003-12-22 2008-05-14 长兴化学工业股份有限公司 光学膜及其用途
CN1938614B (zh) * 2004-03-30 2010-05-05 旭化成电子材料株式会社 反射板及其制备方法
CA2562807A1 (en) * 2004-04-12 2005-10-27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Light reflecting plate
US20050276073A1 (en) * 2004-05-28 2005-12-15 Eastman Kodak Company Diffusive reflector films for enhanced liquid crystal display efficiency
US20050266215A1 (en) * 2004-05-28 2005-12-01 Eastman Kodak Company Curl and thickness control for white reflector film
KR101123479B1 (ko) * 2004-05-31 2012-03-28 가부시키가이샤 유포 코포레숀 광반사체 및 그것을 사용한 면광원장치
TW200615110A (en) * 2004-09-14 2006-05-16 Furukawa Electric Co Ltd Thermoplastic resin foam
US7087351B2 (en) * 2004-09-29 2006-08-08 Eastman Kodak Company Antistatic layer for electrically modulated display
KR101400067B1 (ko) * 2004-11-12 2014-05-28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백색필름 및 이를 사용한 백라이트
WO2006064907A1 (ja) * 2004-12-17 2006-06-22 Yupo Corporation 光反射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
TWI419918B (zh) * 2006-06-08 2013-12-21 Furukawa Electric Co Ltd Thermoplastic resin foam
US9046638B2 (en) * 2006-06-23 2015-06-02 Toray Industries, Inc. White reflection film
TW200827763A (en) * 2006-12-25 2008-07-01 Eternal Chemical Co Ltd Scratch-resistant optical film
WO2008093623A1 (ja) * 2007-01-31 2008-08-07 Toray Industries, Inc. 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反射シート
US20100104883A1 (en) * 2007-03-29 2010-04-29 Mitsubishi Plastics, Inc. Aliphatic polyester series resin composition, aliphatic polyester series film, reflective film and reflective plate
EP2148227B1 (en) * 2007-05-08 2015-09-23 Toray Industries, Inc. White reflective film
KR101147013B1 (ko) * 2007-09-28 2012-05-17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백색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면광원
US8950920B2 (en) * 2008-07-24 2015-02-10 Yupo Corporation Light reflector, and planar light source device and illuminating device using the light reflector
CN102227818A (zh) * 2008-11-28 2011-10-26 东丽株式会社 太阳能电池用背面密封片材用膜
CN102246318B (zh) * 2008-12-12 2015-06-17 东丽株式会社 太阳能电池背面密封材料用膜、太阳能电池背面密封材料及太阳能电池组件
WO2011040398A1 (ja) * 2009-09-29 2011-04-07 東洋紡績株式会社 太陽電池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WO2011068067A1 (ja) * 2009-12-03 2013-04-18 東レ株式会社 太陽電池裏面封止シート用フィルム
US8284476B2 (en) * 2009-12-11 2012-10-09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Backlight utilizing desiccant light turning array
DE102010001359A1 (de) * 2010-01-29 2011-08-04 Zumtobel Lighting Gmbh Anordnung zur Lichtbeeinflussung mit einem Lichtleitelement und einem Reflektorelement
MY158250A (en) * 2010-02-26 2016-09-30 Toray Industries White film and surface light source using same
MY167538A (en) * 2011-03-29 2018-09-05 Toray Industries White reflective film for edge-light type backlight, and liquid crystal display backlight using same
TW201243380A (en) * 2011-04-29 2012-11-01 Entire Technology Co Ltd Optical reflective film and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CN103018804B (zh) * 2012-12-28 2016-01-20 合肥乐凯科技产业有限公司 一种反射膜
KR102110998B1 (ko) * 2013-05-27 2020-05-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3345088B (zh) * 2013-07-04 2017-02-08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直下式液晶模组和液晶显示装置
CN105334565B (zh) * 2015-11-24 2018-10-3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光学网点的制备方法、背光模组以及液晶显示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7053A (en) * 1981-04-23 1982-10-30 Adeka Argus Chem Co Ltd Synthetic resin composition
JPS6362104A (ja) 1986-09-01 1988-03-18 株式会社明拓システム 電飾用光源装置
US5124378A (en) * 1987-09-21 1992-06-23 Ciba-Geigy Corporation Stabilization of ambient cured coatings
US4927891A (en) * 1988-11-23 1990-05-22 Pennwalt Corporation Polymer bound light stabilizer coating resins
JPH02202504A (ja) * 1989-01-31 1990-08-10 Kyowa Gas Chem Ind Co Ltd 耐熱乳半色メタクリル樹脂及びその製造方法
DE69219371T3 (de) * 1991-01-22 2003-04-17 Toray Industries Reflektor für flächenartige Lichtquelle
JP3296021B2 (ja) 1993-05-14 2002-06-24 東洋紡績株式会社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622860B2 (ja) 1993-10-27 2005-02-23 東洋紡績株式会社 配送伝票用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TW344032B (en) * 1995-01-27 1998-11-01 Mitsui Toatsu Chemicals Light reflective sheet and light reflector using it
JPH10130568A (ja) * 1996-10-29 1998-05-19 Toray Ind Inc 耐候性アクリル樹脂組成物
US5872165A (en) * 1996-12-18 1999-02-16 Basf Corporation Coati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reducing ultraviolet light degradation
JPH11130744A (ja) * 1997-10-29 1999-05-18 Menicon Co Ltd 架橋性化合物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光学材料
WO2000002964A1 (fr) * 1998-07-10 2000-01-20 Otsuka Chemical Co., Ltd. Composition, materiaux de revetement et articles moules resistants aux intemperies
EP1424571A4 (en) * 2001-08-06 2008-10-29 Yupo Corp LIGHT REFL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22190B2 (en) 2006-11-24 2014-05-13 Alphavision Co., Ltd. Refl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10837A3 (en) 2005-03-16
EP1510837A2 (en) 2005-03-02
US20070014982A1 (en) 2007-01-18
EP1302788A1 (en) 2003-04-16
EP1302788B1 (en) 2005-01-05
US20030068466A1 (en) 2003-04-10
US7285327B2 (en) 2007-10-23
KR20060053016A (ko) 2006-05-19
US8486519B2 (en) 2013-07-16
EP1302788A4 (en) 2003-06-04
KR100611599B1 (ko) 2006-08-11
TW527507B (en) 2003-04-11
WO2002004996A1 (fr) 2002-01-17
DE60108250T2 (de) 2005-05-25
DE60108250D1 (de) 2005-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1599B1 (ko) 면광원 반사부재용 백색필름
JP3870731B2 (ja) 面光源反射部材用白色フィルム
JP4548430B2 (ja) 反射板用白色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TWI449967B (zh) 光反射板用白色聚酯薄膜
US20100285302A1 (en) White laminated polyester film for reflecting sheet
JP5023471B2 (ja) 光反射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用バックライト装置
JP5082606B2 (ja) 反射シート用白色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TWI445760B (zh) 白色聚酯薄膜及使用它之面光源
JP5115083B2 (ja) 液晶ディスプレイ反射板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3937994B2 (ja) 直下型バックライト用光反射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用直下型バックライト装置
JP2002040214A (ja) 面光源反射板用白色フィルム
JP2003139926A (ja) 光反射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用バックライト装置
JP2003160682A (ja) 光反射フィルム
JP4547783B2 (ja) 面光源反射板用白色フィルム
KR20090022940A (ko) 반사판용 백색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02098808A (ja) 面光源反射部材用白色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7140542A (ja) 光反射フィルムとそれを用いた面光源
JP4872501B2 (ja) 面光源反射部材用白色フィルム
JP2004219437A (ja) 光反射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
JP2009237435A (ja) 光反射性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用バックライト装置
JP2001228313A (ja) 面光源反射部材用白色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TWI477396B (zh) 反射片用白色積層聚酯膜
US20130222932A1 (en) White laminated polyester film for reflecting sheet
JP2001226501A (ja) 面光源反射部材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060120124A (ko) 디스플레이에서 사용하기 위한 보이드화된 폴리에스터의높은 반사성의 광학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