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6530A - 차량의 롤링 감소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롤링 감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6530A
KR20020056530A KR1020000085894A KR20000085894A KR20020056530A KR 20020056530 A KR20020056530 A KR 20020056530A KR 1020000085894 A KR1020000085894 A KR 1020000085894A KR 20000085894 A KR20000085894 A KR 20000085894A KR 20020056530 A KR20020056530 A KR 20020056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frame
leaf spring
coupled
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5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8227B1 (ko
Inventor
김상윤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2000-0085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8227B1/ko
Publication of KR20020056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6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8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82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1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torsion-bar springs only
    • B60G11/181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torsion-bar springs only arranged in a plan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1Mounting of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9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45Rolling frame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랑의 롤링 감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좌우바퀴측에는 프레임과 액슬의 사이에 각각 판스프링이 결합된 차량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26)의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힌지 브라켓트(34)에 핀결합되고, 상기 판스프링(26)의 타단부는 상기 좌우바퀴측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로드(36)의 양단에 결합되되, 상기 로드의 양단에는 물림부(36a)가 형성되고, 상기 판스프링(26)의 타단부에는 상기 물림부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턱부(28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판 스프링의 이동을 제한하여 간단히 롤링을 감소시킬 수 있어, 복잡한 스테빌라이져 시스템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비가 절감되고 구조가 간단해진다.

Description

차량의 롤링 감소장치{apparatus for reducing a rolling of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롤링 감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론트 서스펜션과 리어 서스펜션은 차체의 중량을 지지하며, 도로면에서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여 차체와 화물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보호하며, 타이어에서 전달되는 불규칙한 진동을 감소시켜 안정된 주행이 되도록 한다. 이러한 프론트 서스펜션과 리어 서스펜션에는 롤링을 감소시키기 위한 스테빌라이져가 결합되어 있다.
도1은 종래 스테빌라이져가 결합된 리어 서스펜션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양 바퀴를 연결하는 리어 액슬(2)에는 뒤차축(4)이 연결되어 있고, 프레임(6)의 하측에는 리어 스프링 브라켓(8)(10)을 매개로 판스프링(12)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리어 액슬(2)과 프레임(6)과 사이에는 주행중에 상기 판스프링(12)이 받는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고유진동을 흡수하여 진동을 신속히 감쇠하여 승차감을 좋게 하는 쇽 업소버(14)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차량의 선회시에 생기는 원심력에 의해 차체의 기울기가 증대하게 되는데, 이로 인한 롤링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리어 액슬(2)과 프레임(6) 사이에는 스테빌라이져(16)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판스프링(12)의 일측은 링크(18)에 의해 상기 리어 스프링 브라켓(10)에 힌지결합되어 있다. 상기 판스프링(12)의 일측은 슬라이딩되게 결합되어 있는 구조도 개시되어 있다. 차량의 선회시에는 상기 양바퀴측에 결합된 판스프링의 길이에 차이가 생겨 롤링 현상의 원인이 된다.
상기 스테빌라이져(16)의 양단은 상기 리어 액슬(2)에 결합되고 그 양단부에 소정거리 떨어진 곳에서 브라켓(19) 및 죠인트 암(20)을 매개로 상기 프레임(6)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스테빌라이져(16)는 좌우바퀴가 동시에 상하작동하는 경우(바운싱: bouncing)에는 작용하지 않지만, 차량이 선회하여 좌우바퀴가 반대방향으로 상하작동하는 경우(롤링 : rolling)에는 스테빌라이져(16)가 비틀려서 그때 발생하는 스프링력에 의해 자체의 기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스테빌라이져(16)를 채용하여 차량의 롤링을 방지하는 구조는 별도의 스테빌라이져 시스템을 구성하여 차량의 롤링을 방지하므로, 부품수가 많고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판 스프링의 이동을 제한하여 간단히 롤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차량의 롤링 감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 스테빌라이저가 결합된 리어 서스펜션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롤링 감소장치를 나타내는 입면도,
도3은 도2에서 화살표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4는 차량의 선회시의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 프레임 24 : 액슬
26 : 판스프링 28 : 메인스프링
28a : 걸림턱부 30 : 헬프스프링
34 : 힌지 브라켓트 36 : 로드
36a : 물림부 40 : 구속부재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롤링 감소장치는, 차량의 좌우바퀴측에는 프레임과 액슬의 사이에 각각 판스프링이 결합된 차량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힌지 브라켓트에 핀결합되고, 상기 판스프링의 타단부는 상기 좌우바퀴측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로드의 양단에 결합되되, 상기 로드의 양단에는 물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판스프링의 타단부에는 상기 물림부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스프링의 타단부에는 상기 걸림턱이 상기 물림부에서 이탈되지 않게 구속하는 구속부재가 결합되어 있다. 이 구속부재는 판스프링의 걸림턱의 반대측면에서 판스프링을 누르는 원통형의 로울러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림부와 걸림턱은 기어 잇빨로 되어 있거나, 스플라인 잇빨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좌우바퀴측에는 프레임(22)과 액슬(24) 사이에 판스프링(26)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판스프링(26)은, 메인스프링(28)(main spring)과, 이 메인스프링(28)의 상측에 결합된 헬프스프링(30)(help spring)으로 나누어져 있다. 상기 판스프링(26)은 상기 메인스프링(28)만으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상기 메인 스프링(28)과 헬프 스프링(30)은 U볼트(32)에 의해 상기 액슬(24)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메인 스프링(28)의 일단은 상기 프레임(22)에 고정된 힌지 브라켓트(34)에 핀결합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메인 스프링(28)의 타단부는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차량의 좌우바퀴측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로드(36)의 양단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22)에는 상기 로드(36)가 끼워져 결합되는 브라켓(38)가 고정되어 있다. 이 브라켓(38)의 하측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플랜지(38a)(38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 플랜지(38a)(38b)에는 후술하는 로드의 물림부가 끼워지도록 물림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물림구멍이 형성된 부위는 그 강성을 높이도록 두껍게 되어 있다.
상기 로드(36)의 양단(일단은 도시안됨)에는 물림부(36a)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스프링(28)의 타단부에는 상기 물림부(36a)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턱부(28a)가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 플랜지(38a)(38b)사이에는 상기 메인 스프링(28)의 걸림턱부(28a)가 상기 물림부(36a)에서 떨어지지 않게 하도록 걸림턱부(28a)를 누르는 구속부재(4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구속부재(40)는 원통형의 로울러로 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부(28a)는 상기 메인스프링의 판두께보다 두껍게 되어 있고, 상기 로드(36)의 물림부(36a)는 로드(36)의 직경보다 크게 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부(28a)와 물림부(36a)는 기어 잇빨로 되어 있으나, 스플라인 잇빨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걸림턱부(28a)는 랙형상이고, 상기 물림부(36a)는 피니언 형상이다. 상기 물림부(36a)는 상기 플랜지의 물림구멍에 끼워져 로드가 회전하지 않게 견고히 결합된다.
상기 로드(36)는 사각로드, 오각로드 등 다양한 형태의 로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롤링 감소장치에서, 도4에 도시한바와 같이, 차량(V)이 오른쪽으로 선회하면, 액슬의 오른쪽 단부(RH)는 하측으로 내려오고, 액슬의 왼쪽 단부(LH)는 상측으로 올라가게 되어, 그 원심력에 의해 왼쪽의 판스프링은 펴지므로 길어 질려고 하고 오른쪽의 판스프링은 짧아 질려고 하는데, 판 스프링(메인스프링)의 일단부가 로드(36)의 물림부에 물려 있으므로, 스프링이 길이방향으로 유동하지 않게 되어, 차량의 롤링현상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롤링 감소장치에 의하면, 판 스프링의 이동을 제한하여 간단히 롤링을 감소시킬 수 있어, 복잡한 스테빌라이져 시스템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비가 절감되고 구조가 간단해진다.

Claims (3)

  1. 차량의 좌우바퀴측에는 프레임과 액슬의 사이에 각각 판스프링이 결합된 차량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힌지 브라켓트에 핀결합되고, 상기 판스프링의 타단부는 상기 좌우바퀴측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로드의 양단에 결합되되,
    상기 로드의 양단에는 물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판스프링의 타단부에는 상기 물림부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롤링 감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의 타단부에는 상기 걸림턱이 상기 물림부에서 이탈되지 않게 구속하는 구속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을 하는 차량의 롤링 감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림부와 걸림턱부는 기어 잇빨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롤링 감소장치.
KR10-2000-0085894A 2000-12-29 2000-12-29 차량의 롤링 감소장치 KR100398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894A KR100398227B1 (ko) 2000-12-29 2000-12-29 차량의 롤링 감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894A KR100398227B1 (ko) 2000-12-29 2000-12-29 차량의 롤링 감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6530A true KR20020056530A (ko) 2002-07-10
KR100398227B1 KR100398227B1 (ko) 2003-09-19

Family

ID=27689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5894A KR100398227B1 (ko) 2000-12-29 2000-12-29 차량의 롤링 감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82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696B1 (ko) * 2006-09-14 2007-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서스펜션 하드 포인트 변경 구조
KR100828763B1 (ko) * 2006-09-14 2008-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의 보조 스프링 고정 브라켓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2690A (en) * 1981-04-22 1983-11-01 Kelsey-Hayes Co. Suspension system
JPH028607U (ko) * 1988-06-30 1990-01-19
JPH06206414A (ja) * 1991-03-04 1994-07-26 Hino Motors Ltd リーフ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217591B1 (ko) * 1995-12-29 1999-09-01 정몽규 가변형 보조 리프 스프링을 구비한 차량의 리어 현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696B1 (ko) * 2006-09-14 2007-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서스펜션 하드 포인트 변경 구조
KR100828763B1 (ko) * 2006-09-14 2008-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의 보조 스프링 고정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8227B1 (ko) 200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6160B2 (en) Rear frame rail that incorporates leaf spring clearance zone
KR100398227B1 (ko) 차량의 롤링 감소장치
US20020180170A1 (en) Shock controlled ladder bar system
KR100353941B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
KR100369041B1 (ko) 버스의 리어현가장치
KR200143939Y1 (ko) 쇽 업소버용 범퍼고무의 지지구조
KR0137690Y1 (ko)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
KR100475913B1 (ko) 상용차의 리프스프링과 스태빌라이저 장착구조
KR0140746Y1 (ko) 자동차의 판스 프링형 현가장치
KR100309151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0139695Y1 (ko) 상부 컨트롤 아암의 리바운드 범퍼
KR100410847B1 (ko) 자동차용 트레일링 아암 고정 브래킷의 고정구조
KR100831495B1 (ko)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져바의 구조
KR19980024176U (ko) 자동차의 멀티 링크 서스펜션
KR19990043216A (ko) 판 스프링과 에어 스프링이 적용된 버스의 현가장치
KR19990028511U (ko) 자동차의 서스펜션 링크 취부용 브라케트
KR19980054132A (ko)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JPH05310146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取付部構造
JPH0526761U (ja) キヤブサスペンシヨンの構造
KR19980038315U (ko) 현가장치의 스트러트와 너클 체결구조
KR19980038268U (ko) 현가장치의 스트러트와 너클 체결구조
KR19990048362A (ko) 차량의 차축식 현가장치
KR19990029628U (ko) 어퍼 아암바와 캠버심 및 어퍼 콘트롤 아암 브라켓의 결합구조
KR19980068833A (ko) 강성을 향상시킨 서스펜션 링크
KR20030083264A (ko) 차량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