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4696B1 - 차량용 서스펜션 하드 포인트 변경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서스펜션 하드 포인트 변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4696B1
KR100774696B1 KR1020060089073A KR20060089073A KR100774696B1 KR 100774696 B1 KR100774696 B1 KR 100774696B1 KR 1020060089073 A KR1020060089073 A KR 1020060089073A KR 20060089073 A KR20060089073 A KR 20060089073A KR 100774696 B1 KR100774696 B1 KR 100774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spring
spring bracket
hard poin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9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태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9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46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4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4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1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60G11/12Links, pins, or bus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8Leaf springs
    • F16F1/182Leaf springs with inter-engaging portions between leaves or between leaves and mountings, e.g. ridges, notches, ripp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1Mounting of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ring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서스펜션 하드 포인트 변경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 판스프링 서스펜션 시스템에서 스프링의 장착 위치(Hard Point)에 의해서 차량의 동적 특성이 결정되는 점을 감안하여 스프링의 장착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서스펜션 하드 포인트 변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측단 및 외측단을 갖는 스프링 브라켓과; 상기 스프링 브라켓의 내측단 및 외측단에 형성되는 수직의 장방향 홀과; 상기 스프링 브라켓의 내측단 및 외측단 사이에 그 일측단이 내재되는 판스프링과; 상기 스프링 브라켓의 장방향 홀을 통해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판스프링의 체결홀을 지나며 장착되는 핀과; 상기 스프링 브라켓의 외측단에 형성된 장방향 홀로 돌출되어 있는 핀의 외끝단이 삽입되도록 나선형 홀이 형성된 핀고정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서스펜션 하드 포인트 변경 구조를 제공한다.
서스펜션, 하드 포인트, 가변 구조, 판스프링, 스프링 브라켓

Description

차량용 서스펜션 하드 포인트 변경 구조{Structure for adjusting hard point of suspens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하드 포인트 변경 구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하드 포인트 변경 구조로서, 작동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3은 기존의 차량용 서스펜션 하드 포인트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판스프링 12 : 스프링 브라켓
14 : 내측단 16 : 외측단
18 : 장방향 홀 20 : 핀
22 : 핀고정체 24 : 나선형 홀
26 : 체결단
본 발명은 차량용 서스펜션 하드 포인트 변경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 판스프링 서스펜션 시스템에서 스프링의 장착 위치(Hard Point)에 의해서 차량의 동적 특성이 결정되는 점을 감안하여 스프링의 장착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서스펜션 하드 포인트 변경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서, 차량용 서스펜션(현가장치)는 쇽업소버(댐퍼), 스프링, 서스펜션암이 주요 구성 요소이며, 주요 기능은 노면에서 일어나는 충격이 차체나 탑승자에게 직접 전해지지 않게 충격을 흡수하는 것과 타이어를 노면에 확실하게 접지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서스펜션 장치는 탑승자의 승차감과 차량의 조종성 및 안정성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되며, 가장 일반적인 것은 스트럿 방식이고, 그 밖에 더블 위시본 방식과 멀티식이 있다.
보통 금속판과 쇽업소버로 충격을 흡수하는데, 쇽업소버는 흡수 특성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전자제어 서스펜션이 개발되어 쓰이고 있고, 금속판 대신 공기판을 이용하는 전자제어 에어서스펜션도 쓰인다.
이러한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중 멀티 판스프링 서스펜션 시스템에서 스프링의 장착 위치(Hard Point)에 의해서 차량의 동적 특성이 결정된다.
이러한 하드 포인트(Hard Point)는 차량 설계시 고정되어 양산이 되면 영구 적으로 변하지 않아, 초기 차량의 동적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즉, 첨부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10)의 일측단이 스프링 브라켓(12)에 영구적으로 고정되어, 결국 스프링의 장착 위치(Hard Point)는 가변될 수 없으며, 그에 따라 차량의 동적 성능이 그대로 유지될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스프링 브라켓의 핀 삽입부를 수직의 장방향 홀을 뚫어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제작하고, 핀을 고정시켜줄 수 있는 부품 60°회전하면서 핀의 위치를 상하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켜 줄 수 있도록 나선형 커브 형태로 구비하여, 멀티 판스프링 서스펜션 시스템에서 스프링의 장착 위치(Hard Point)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서스펜션 하드 포인트 변경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측단 및 외측단을 갖는 스프링 브라켓과; 상기 스프링 브라켓의 내측단 및 외측단에 형성되는 수직의 장방향 홀과; 상기 스프링 브라켓의 내측단 및 외측단 사이에 그 일측단이 내재되는 판스프링과; 상기 스프링 브라켓의 장방향 홀을 통해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판스프링의 체결홀을 지나며 장착되는 핀과; 상기 스프링 브라켓의 외측단에 형성된 장방향 홀로 돌 출되어 있는 핀의 외끝단이 삽입되도록 나선형 홀이 형성된 핀고정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서스펜션 하드 포인트 변경 구조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스프링 브라켓의 외측단의 장방향 홀 위쪽 및 아래쪽 위치에는 상기 핀고정체의 상부 및 하부단이 끼워지는 체결단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핀고정체는 육각형으로 형성되어 60°로 각회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하드 포인트 변경 구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멀티 판스프링 서스펜션 시스템에서 스프링의 장착 위치(Hard Point)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멀티 판스프링(10)의 일측단은 내측단(14) 및 외측단(16)을 갖는 스프링 브라켓(12)에 고정되는 바, 이 고정 위치를 상하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향상된 서스펜션 튜닝을 제공할 수 있고, 스프링 캔트(Cant) 각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캐스터(Caster) 각을 균일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차량 성능의 변화 없이 부품의 오차를 시스템 자체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상기 스프링 브라켓(12)의 내측단(14) 및 외측단(16)을 이루어진 역"U자 형 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그 내측단(14) 및 외측단(16)에 수직의 장방향 홀(18)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 브라켓(12)의 내측단(14) 및 외측단(16) 사이에 상기 판스프링(10)의 일끝단이 내재되는 바, 이 판스프링(10)의 끝단은 원형으로 말아져 그 중심은 체결홀(미도시됨)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 브라켓(12)의 장방향 홀(18)을 통해 핀(20)이 삽입되는 바, 이 핀(20)은 상기 판스프링(10)의 체결홀을 지나며 관통 체결되며, 이에 상기 핀(20)에 의한 판스프링(10)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 브라켓(12)의 외측단(16)에 형성된 장방향 홀(18)로 상기 핀(20)의 외끝단 일부가 돌출되는 바, 이 돌출된 부분에 핀고정체(22)가 장착되어, 핀(20)과 판스프링(10)의 장착 위치를 상하로 가변시키게 된다.
상기 핀고정체(22)는 육각형의 판체 모양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그 중앙 부분에는 상기 핀(20)의 외끝단이 삽입되도록 나선형 홀(24)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스프링 브라켓(12)의 외측단(16)의 장방향 홀(18) 위쪽 및 아래쪽 위치에는 상기 핀고정체(22)의 상부 및 하부단이 끼워지도록 수직 절곡된 형상의 체결단(26)이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핀고정체(22)의 나선형 홀(24)에 상기 핀(20)의 외끝단이 삽입되는 동시에 핀고정체(22)의 상부 및 하부단이 체결단(26)에 끼워져 일단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차량용 서스펜션 하드 포 인트 가변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하드 포인트 변경 구조로서, 작동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먼저, 상기 핀(20)과 판스프링(10)의 중립 위치는 도 2의 (c)도면과 같으며, 핀이 핀고정체(22)의 나선형 홀(24)의 중간 부분에 위치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중립상태에서 상기 핀고정체(22)를 시계방향으로 60°각회전시키면 도 2의 (b)도면과 같이 상기 스프링 브라켓(12)의 외측단(16)에 형성된 장방향 홀(18)을 따라 상기 핀(20)이 5mm 상승하고, 동시에 판스프링(10)의 위치도 5mm 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핀고정체(22)를 시계방향으로 더 60°각회전시키면 도 2의 (a)도면과 같이 상기 스프링 브라켓(12)의 외측단(16)에 형성된 장방향 홀(18)을 따라 상기 핀(20)이 10mm 상승하고, 동시에 판스프링(10)의 위치도 10mm 상승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한 중립상태에서 상기 핀고정체(22)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60°각회전시키면 도 2의 (d)도면과 같이 상기 스프링 브라켓(12)의 외측단(16)에 형성된 장방향 홀(18)을 따라 상기 핀(20)이 5mm 하강하고, 동시에 판스프링(10)의 위치도 5mm 하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핀고정체(22)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더 60°각회전시키면 도 2의 (e)도면과 같이 상기 스프링 브라켓(12)의 외측단(16)에 형성된 장방향 홀(18)을 따라 상기 핀(20)이 10mm 하강하고, 동시에 판스프링(10)의 위치도 10mm 하강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하드 포인트 변경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1) 차량의 개발단계에서 스프링이나 SHK ABS만을 튜닝하여 차량 최적 성능을 결정하나 하드 포인트(Hard Point)를 브라켓 변경 없이 쉽게 변경 가능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서스펜션 튜닝이 가능하고, 그에 따라 우수한 차량 성능을 결정할 수 있으며, 신규 스프링 브라켓의 개발이 필요가 없으므로 개발비 및 개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2) 스프링 브라켓 또는 스프링 제작상의 오차로 인하여 차량의 성능이 차량마다 조금식 달라질 수 있는 바, 한가지 예로 멀티 판스프링 차량에서 차량의 캐스터각이 스프링 캔트(cant) 각과 캐스터 쉼(caster shim)에 의해서 결정되는데 스프링에서 고른 품질을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차량마다 캐스터(Caster) 각이 조금씩 달라지게 된다. 본 발명의 하드포인트 가변구조는 스프링 캔트(Cant) 각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캐스터(Caster) 각을 균일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차량 성능의 변화 없이 부품의 오차를 시스템 자체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Claims (3)

  1. 내측단 및 외측단을 갖는 스프링 브라켓과;
    상기 스프링 브라켓의 내측단 및 외측단에 형성되는 수직의 장방향 홀과;
    상기 스프링 브라켓의 내측단 및 외측단 사이에 그 일측단이 내재되는 판스프링과;
    상기 스프링 브라켓의 장방향 홀을 통해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판스프링의 체결홀을 지나며 장착되는 핀과;
    상기 스프링 브라켓의 외측단에 형성된 장방향 홀로 돌출되어 있는 핀의 외끝단이 삽입되도록 나선형 홀이 형성된 핀고정체;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서스펜션 하드 포인트 변경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브라켓의 외측단의 장방향 홀 위쪽 및 아래쪽 위치에는 상기 핀고정체의 상부 및 하부단이 끼워지는 체결단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서스펜션 하드 포인트 변경 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핀고정체는 육각형으로 형성되어 60 °로 각회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서스펜션 하드 포인트 변경 구조.
KR1020060089073A 2006-09-14 2006-09-14 차량용 서스펜션 하드 포인트 변경 구조 KR100774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073A KR100774696B1 (ko) 2006-09-14 2006-09-14 차량용 서스펜션 하드 포인트 변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073A KR100774696B1 (ko) 2006-09-14 2006-09-14 차량용 서스펜션 하드 포인트 변경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4696B1 true KR100774696B1 (ko) 2007-11-08

Family

ID=39061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9073A KR100774696B1 (ko) 2006-09-14 2006-09-14 차량용 서스펜션 하드 포인트 변경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469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6530A (ko) * 2000-12-29 2002-07-10 이계안 차량의 롤링 감소장치
KR20030073839A (ko) * 2002-03-13 2003-09-19 박지순 전기 전자식 디지털 도어록
KR20040001660A (ko) * 2002-06-28 2004-0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현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6530A (ko) * 2000-12-29 2002-07-10 이계안 차량의 롤링 감소장치
KR20030073839A (ko) * 2002-03-13 2003-09-19 박지순 전기 전자식 디지털 도어록
KR20040001660A (ko) * 2002-06-28 2004-0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현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31119A1 (en) Spring sheet structure of hydraulic shock absorber
US20090288923A1 (en) Bump stopper for suspension system
KR101072325B1 (ko)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로어 암 장착유닛
US10639952B2 (en) Vehicle suspension
US10214068B2 (en) Chassis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9579946B2 (en) Trailing arm bush for coupled torsion beam axle
US6997468B2 (en) Control rod suspension with outboard shock
KR100774696B1 (ko) 차량용 서스펜션 하드 포인트 변경 구조
US7090233B2 (en) Spindle bracket for rear suspension
US9517676B2 (en) Method and device for stabilizing a vehicle against rolling movements
KR20060008402A (ko)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US20180100556A1 (en) Load compensating spring isolator
US10933919B2 (en) Shock absorber mount
CN108202570B (zh) 用于车辆的车轮的车轮悬挂装置
KR20100035876A (ko) 자동차용 마운팅 부시
CN215552409U (zh) 车辆的悬架减振结构和车辆
KR20090020337A (ko) 코일스프링 설치용 스프링하단시트
KR102614124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시트가 구비된 쇽업소버
KR100398336B1 (ko) 차량용 리어 액슬 구조
KR100452287B1 (ko) 차량 현가장치용 콘트롤아암
KR20070032591A (ko) 리프 스프링 장치
KR20090036358A (ko) 공기 현가장치의 스프링 상수 조절 구조
KR200493790Y1 (ko) 업소버 고정용 마운트를 그대로 활용하는 suv차량용 쇼크 업소버 결합 장치
KR100410929B1 (ko)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저 장착 구조
KR100857648B1 (ko) 자동차 범프스토퍼용 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