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1238A - 유아용 시트벨트 앵커 캡 어셈블리의 슬라이딩식 캡 구조 - Google Patents

유아용 시트벨트 앵커 캡 어셈블리의 슬라이딩식 캡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1238A
KR20020051238A KR1020000080832A KR20000080832A KR20020051238A KR 20020051238 A KR20020051238 A KR 20020051238A KR 1020000080832 A KR1020000080832 A KR 1020000080832A KR 20000080832 A KR20000080832 A KR 20000080832A KR 20020051238 A KR20020051238 A KR 20020051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anchor
seat belt
cap assembly
hi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0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4026B1 (ko
Inventor
황영은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2000-0080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4026B1/ko
Publication of KR20020051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1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4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40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60R22/105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2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vehicl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시트벨트 앵커 캡 어셈블리의 캡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앵커 캡 어셈블리는 프론트 시트의 뒤쪽 플로어 패널에 장착되어 시트벨트를 앵커에 체결하여 전방으로 감아 올려 버클에 체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바, 상기 앵커 캡 어셈블리의 캡의 오목 힌지부에 탄성을 가진 클립 형상이 형성되어 캡 체결시에 부드럽게 탄성 체결될 수 있도록 하고, 탑승자의 발에 밟혔을시에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오목 힌지부가 경사면을 갖도록 함으로써, 상기 캡이 손으로 부드럽게 개폐가 가능하고, 파손 우려가 없어 편의성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아용 시트벨트 앵커 캡 어셈블리의 캡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유아용 시트벨트 앵커 캡 어셈블리의 슬라이딩식 캡 구조{Sliding cap-structure of seatbelt anchor-cap assembly for child}
본 발명은 유아용 시트벨트 앵커 캡 어셈블리의 캡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앵커 캡 어셈블리는 프론트 시트의 뒤쪽 플로어 패널에 장착되어 시트벨트를 앵커에 체결하여 전방으로 감아 올려 버클에 체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바, 상기 앵커 캡 어셈블리의 캡의 오목 힌지부에 탄성을 가진 클립 형상이 형성되어 캡 체결시에 부드럽게 탄성 체결될 수 있도록 하고, 탑승자의 발에 밟혔을시에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오목 힌지부가 경사면을 갖도록 함으로써, 상기 캡이 손으로 부드럽게 개폐가 가능하고, 파손 우려가 없어 편의성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아용 시트벨트 앵커 캡 어셈블리의 캡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내부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의 편안한 승차감을 위해 다수개의 시트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시트는 탑승자의 편안한 자세를 위한 세퍼레이트 시트와 여러명의 승객들이 한꺼번에 착석할 수 있는 벤치 시트로 구분된다.
상기 세퍼레이트 시트는 주로 자동차의 운전석 및 조수석에 설치되며 벤치 시트는 운전석과 조수석 후방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시트에는 차량의 주행시 전복되거나 충돌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안전벨트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자나 탑승자는 차내에 설치된 시트에 착석한 후에, 그 시트에 장착된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주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안전벨트에 의해 주행도중 추돌 등이 발생했을 경우, 승객은 시트에서 튕겨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치명적인 신체의 상해를 예방할 수 있다.
하지만 안전벨트는 통상적으로 성인의 체형에 맞게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체형이 작은 유아에게는 잘 맞지 않아 보호 기능을 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유아용 시트를 마련하여 기존의 시트에 장착하고, 유아를 착석시킨후에 유아용 시트벨트를 체결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유아용 시트벨트는 앵커 캡 어셈블리의 앵커에 체결하여 전방으로 감아 올려 버클에 체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앵커 캡 어셈블리의 캡은 프론트 시트의 뒤쪽 플로어 패널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탑승자의 발에 밟혔을시에 상기 캡의 파손이 발생하고, 캡의 개폐시에 손으로 열지 못하여 공구를 이용하여 열게 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상기 앵커 캡 어셈블리의 캡의 오목 힌지부에 탄성을 가진 클립 형상이 형성되어 캡 체결시에 부드럽게 탄성 체결될 수 있도록 하고, 탑승자의 발에 밟혔을시에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오목 힌지부가 경사면을 갖도록 함으로써, 상기 캡이 손으로 부드럽게 개폐가 가능하고, 파손 우려가 없어 편의성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아용 시트벨트 앵커 캡 어셈블리의 캡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다.
도 1a, 1b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시트벨트 앵커 캡 어셈블리의 캡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작동도
도 2는 종래의 유아용 시트벨트 앵커 캡 어셈블리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앵커 캡 어셈블리11 : 몸체
12 : 캡13 : 앵커
14 : 걸림단15 : 걸림턱
16 : 볼록 힌지부17 : 오목 힌지부
18 : 돌출부
이하,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앵커 캡 어셈블리(10)의 몸체(11)에 캡(12)이 힌지 고정되어 개/폐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11) 내부에 시트벨트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앵커(13)가 볼트 고정되어 있는 앵커 캡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캡(12)의 선단부에는 캡(12)을 몸체(11)의 걸림단(14)에 구속시킬 수 있도록 걸림턱(15)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캡(12)의 후단부의 양측에는 볼록 힌지부(16)가 형성되어 있고, 그 볼록 힌지부(16)는 캡(12)의 오목 힌지부(17)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바, 상기 오목 힌지부(17)는 상기 캡(12)의 걸림턱(15)이 몸체(11)의 걸림단(14)에 부드럽게 밀어 끼움식으로 탄성 체결될 수 있도록 밑면이 'ㄷ'자 형상으로 절개되고, 그 끝단의 돌출부(18)는 탄성력을 가진 볼록한 클립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오목 힌지부(17)는 캡(12)이 발에 밟혔을시에 상기 캡(12)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1b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시트벨트 앵커 캡 어셈블리의 캡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작동도
여기서 도면부호 10은 앵커 캡 어셈블리를 나타낸다.
상기 앵커 캡 어셈블리(10)는 유아용 시트벨트를 유아에게 착용시에 상기 시트벨트를 체결하는 기능을 하는 어셈블리이다.
상기 앵커 캡 어셈블리(10)는 일반적인 수납 구조로 형성되며, 상/하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프론트 시트의 뒤쪽 플로어 패널(미도시)의 홈에 안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상기 앵커 캡 어셈블리(10)의 몸체(11)에 캡(12)이 힌지 고정되어 개/폐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11) 내부에 시트벨트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앵커(13)가 볼트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캡(12)의 선단부에는 캡(12)을 몸체(11)의 걸림단(14)에 구속시킬 수 있도록 걸림턱(1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캡(12)의 후단부의 양측에는 볼록 힌지부(16)가 형성되어 있고, 그 볼록 힌지부(16)는 캡(12)의 오목 힌지부(17)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바, 상기 오목 힌지부(17)는 상기 캡(12)의 걸림턱(15)이 몸체(11)의 걸림단(14)에 부드럽게 탄성 체결될 수 있도록 오목 힌지부(17)의 밑면이 'ㄷ'자 형상으로 절개되고, 그 끝단의 돌출부(18)는 탄성력을 가진 볼록한 클립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캡(12)이 슬라이드 이동되어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오목 힌지부(17)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캡(12)이 닫힌 상태에서 발에 밟혔을시에 파손이나 백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오목 힌지부(17)가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유아용 시트벨트를 앵커(13)에 체결하기 위해 캡(12)을 손으로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캡(12)을 개폐한다.
이때, 볼록 힌지부(16)는 오목 힌지부(17)의 밑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고, 캡(12)의 걸림턱(15)이 몸체(11)의 걸림단(14)에서 해제되면 캡(12)을 회전시켜 개폐한다.
다시 상기 캡(12)의 걸림턱(15)을 걸림단(14)에 구속시키기 위해 캡(12)을 밀어 걸림단(14)에 구속시킨다.
이때, 상기 오목 힌지부(17)에 탄성을 가진 클립 형상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캡(12) 체결시에 부드럽게 탄성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캡(12)이 닫힌 상태에서 발에 밟혔을시에 오목 힌지부(17)가 경사면을 갖고 있으므로 파손이나 백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시트벨트 앵커 캡 어셈블리의 캡 구조는 캡의 개폐시, 부드럽게 개폐가 가능하고, 파손이 방지되어 캡의 성능을 향상시키며,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직접 상기 캡을 개폐할 수 있어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앵커 캡 어셈블리(10)의 몸체(11)에 캡(12)이 힌지 고정되어 개/폐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11) 내부에 시트벨트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앵커(13)가 볼트 고정되어 있는 앵커 캡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캡(12)의 선단부에는 캡(12)을 몸체(11)의 걸림단(14)에 구속시킬 수 있도록 걸림턱(15)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캡(12)의 후단부의 양측에는 볼록 힌지부(16)가 형성되어 있고, 그 볼록 힌지부(16)는 캡(12)의 오목 힌지부(17)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바, 상기 오목 힌지부(17)는 상기 캡(12)의 걸림턱(15)이 몸체(11)의 걸림단(14)에 부드럽게 밀어 끼움식으로 탄성 체결될 수 있도록 밑면이 'ㄷ'자 형상으로 절개되고, 그 끝단의 돌출부(18)는 탄성력을 가진 볼록한 클립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벨트 앵커 캡 어셈블리의 캡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힌지부(17)는 캡(12)이 발에 밟혔을시에 상기 캡(12)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벨트 앵커 캡 어셈블리의 캡 구조.
KR10-2000-0080832A 2000-12-22 2000-12-22 유아용 시트벨트 앵커 캡 어셈블리의 슬라이딩식 캡 구조 KR100384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832A KR100384026B1 (ko) 2000-12-22 2000-12-22 유아용 시트벨트 앵커 캡 어셈블리의 슬라이딩식 캡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832A KR100384026B1 (ko) 2000-12-22 2000-12-22 유아용 시트벨트 앵커 캡 어셈블리의 슬라이딩식 캡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1238A true KR20020051238A (ko) 2002-06-28
KR100384026B1 KR100384026B1 (ko) 2003-05-14

Family

ID=27685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0832A KR100384026B1 (ko) 2000-12-22 2000-12-22 유아용 시트벨트 앵커 캡 어셈블리의 슬라이딩식 캡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40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360A (ko) * 2001-07-20 2003-01-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유아용 시트의 로워 앵커 바 구조
US7758096B2 (en) 2006-11-15 2010-07-20 Suzuki Motor Corporation Child seat anchor apparatus and partition trim
CN104071047A (zh) * 2013-03-26 2014-10-01 标致雪铁龙(中国)汽车贸易有限公司 一种用于儿童座椅的顶部锚固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360A (ko) * 2001-07-20 2003-01-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유아용 시트의 로워 앵커 바 구조
US7758096B2 (en) 2006-11-15 2010-07-20 Suzuki Motor Corporation Child seat anchor apparatus and partition trim
DE102007056110B4 (de) * 2006-11-15 2012-12-13 Suzuki Motor Corp. Kindersitz-Verankerungsvorrichtung und Trennwandverkleidung
CN104071047A (zh) * 2013-03-26 2014-10-01 标致雪铁龙(中国)汽车贸易有限公司 一种用于儿童座椅的顶部锚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4026B1 (ko) 2003-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040079A (ja) シートベルトガイド
JPH0142858B2 (ko)
KR100384026B1 (ko) 유아용 시트벨트 앵커 캡 어셈블리의 슬라이딩식 캡 구조
GB2301016A (en) Rear seat belt arrangement
WO2004045924A1 (en) A safety arrangement for a vehicle
KR100235489B1 (ko) 컨버터블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이드
KR200160617Y1 (ko) 자동차도어의 쇄정구조
JPH0740446Y2 (ja) フロントシート用ベルトガイドの支持構造
KR0132314Y1 (ko) 자동차의 이중 로킹해제형 시트 벨트
KR100410722B1 (ko)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드 트랙
KR0166523B1 (ko) 쿠션이 장착된 어린이 보호용 암레스트
KR100195033B1 (ko) 자동차의 리어시트용 안전벨트
KR100774624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훅
KR0122145Y1 (ko) 자동차의 안전벨트 버클고정장치
KR0134562Y1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
KR100471317B1 (ko) 유아용 리어 시트
JP2001180344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KR920005587Y1 (ko) 자동 안동벨트 장치용 계지구
KR0135993B1 (ko) 자동절첩이 가능한 트렁크 룸 분할 칸막이 장치
KR19990016238A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이동장치
KR19990024390U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텅플레이트
KR100205892B1 (ko) 승용차 뒷좌석 록킹기구
JPS5634545A (en) Seat-belt device for automobile
KR970015175A (ko) 자동차, 특히 승용차의 뒷좌석 구조물
KR19980044020A (ko) 자동차 시트벨트용 버클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