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5569A - 수난용성 약물의 서방성 제형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난용성 약물의 서방성 제형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5569A
KR20020045569A KR1020010077044A KR20010077044A KR20020045569A KR 20020045569 A KR20020045569 A KR 20020045569A KR 1020010077044 A KR1020010077044 A KR 1020010077044A KR 20010077044 A KR20010077044 A KR 20010077044A KR 20020045569 A KR20020045569 A KR 20020045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olyethylene glycol
drug
poorly water
liquid poly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7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6101B1 (ko
Inventor
서민효
이일웅
이상준
김재홍
Original Assignee
김윤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 주식회사 삼양사 filed Critical 김윤
Publication of KR20020045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5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1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4Solid, semi-solid or solidifying implants, which are implanted or injected in body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61K9/1075Microemulsions or submicron emulsions; Preconcentrates or solids thereof; Micelles, e.g. made of phospholipids or block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친성 이중블록 공중합체; 수난용성 약물;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 및, 액상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체용 서방성 제형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체내의 특정 부위에 주입하였을 때 임플란트를 형성하고, 약물 및 약물을 함유한 고분자 미셀이 서서히 방출되어 임플란트 부위 및 순환 혈액내에서 약물이 일정 농도로 장기간 유지되므로 약효 발현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수난용성 약물의 서방성 제형 조성물{Sustained delivery composition for poorly water soluble drugs}
본 발명은 약물 전달체용 서방성 제형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필요한 약물을 효율적으로 투여하여 약물의 부작용을 줄이고 효능 및 효과를극대화하기 위한 약물송달 시스템(Drug Delivery System)에 관한 연구가 다양한 약물 및 방법에 대하여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약물전달체로서 고분자를 이용하여 약물의 방출속도를 제어하는 기술이 여러 연구자들에 의하여 시도되고 있다.
대부분의 약물은 투여후 일정한 혈중농도를 유지하여야 약효를 발현할 수 있으며, 특히 혈중 반감기가 짧은 약물의 경우에는 유효 혈중농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빈번히 투여해야 하는데, 이러한 약물이 제제로부터 서서히 방출되어 약효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한 제형이 서방성 제형이다.
한편, 물에 대한 용해도가 작은 약물의 가용화는 약제학에서 매우 중요한 분야로서, 수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는데, 수난용성인 약물을 가용화하기 위하여,
ⅰ) 에탄올과 같은 친수성 유기용매와 물을 혼합하여 약물을 용해시키는 혼합용매법;
ⅱ) 약물을 물에 용해되는 염의 형태로 개량하는 방법;
ⅲ) 약물을 다른 물질과 결합시켜 가용성 복합체를 형성하는 방법;
ⅳ) 약물 분자에 친수성기를 도입하는 방법;
ⅴ) 계면활성제를 가하여 약물을 수용액중에 미셀화하는 방법; 및,
ⅵ) 에멀젼(emulsion), 리포좀(liposome) 또는 나노파티클(nanoparticles)과 같은 형태로 수중에 분산시키는 방법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참조문헌: S. Sweetana, et. al., "Solubility Principles and Practices for Parenteral Drug Dosage Form Development", PDA J. Pharm. Sci. & Tech. 60(1996), 330-342].
미국특허 제5,543,158호에는 친수성 블록과 소수성 블록으로 구성된 친수성 양친성 블록 공중합체로서, 친수성 부분이 폴리에틸렌글리콜이고 소수성 부분이 폴리락타이드와 폴리글리콜라이드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나노파티클에 약물을 봉입한 제형이 개시되었다. 상기 특허에 따르면, 친수성 외핵이 생체내에서 망상내피세포계에 의한 약물의 포획을 최소화하여 장기간의 체순환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나노파티클은 제조과정중에 약물 및 고분자를 용해시키기 위하여 인체에 유해한 유기용매를 사용하여야 하며, 혈관에 주사하는 제형이기 때문에 수일 이내에 혈액내에서 약물이 모두 사라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혈관에 주사하지 않고 체내의 특정 부위에 직접 이식하는 임플란트(implant) 제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미국특허 제5,869,079호에는 수난용성 약물인 덱사메타손, 락트산과 글리콜산(glycolic acid)의 공중합체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로 구성된 임플란트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미국특허 제6,004,573호에는 소수성인 락타이드(lactide)와 글리콜라이드(glycolide)의 공중합체 블록(PLGA)과 친수성인 폴리에틸렌글리콜 블록(PEG)으로 구성된 삼중블록 공중합체(PLGA-PEG-PLGA triblock copolymer)가 수난용성 약물의 임플란트 제형으로 효과적임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임플란트 제형은 수난용성 약물의 체액에서의 용해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유효한 혈중농도를 달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체내의 특정 부위에 주입하였을 때 임플란트를 형성할 수있는 약물 전달체용 서방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체내의 특정 부위에 주입하였을 때 임플란트를 형성하고, 형성된 임플란트로부터 약물 및 약물을 함유한 고분자 미셀이 체내에서 서서히 방출되도록 하는 약물 전달체용 서방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체내에 주입되어 임플란트를 형성하여 약물이 방출되는 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약물방출 시험(in vitro)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파클리탁셀-함유 조성물의 인간 난소암에 대한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파클리탁셀-함유 조성물의 인간 전립선암에 대한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ⅰ) 양친성 이중블록 공중합체;
ⅱ) 수난용성 약물;
ⅲ)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 및,
ⅳ) 액상 폴리에틸렌글리콜:
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체용 서방성 제형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양친성 이중블록 공중합체는 액상 폴리에틸렌글리콜내에서 고분자 미셀을 형성하고 수난용성 약물을 미셀 내부에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은 액상 폴리에틸렌글리콜내에서 매트릭스를 형성하여 체내에 주입되었을 때 임플란트를 형성한다. 약물 및 약물을 함유한 고분자 미셀은 상기 임플란트로부터 장시간에 걸쳐 서서히 방출되며, 그후 고분자는 인체에 무해한 물질로 분해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양친성 이중블록 공중합체는 친수성 액상 폴리에틸렌글리콜 매질내에서 코어-쉘 구조를 형성한다. 친수성 블록만이 폴리에틸렌글리콜 매질과 친화성을 가지므로, 폴리에틸렌글리콜 매질내에서 소수성 생분해성 고분자블록은 내부 코어를 차지하고 친수성 폴리에틸렌글리콜 블록은 외부 쉘을 형성한다. 상기 액상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수용해도를 증가시키는 분산매로 작용하고 상기 양친성 블록 공중합체는 체액 또는 수용액내에서 미셀구조를 형성한다. 수난용성 약물이 첨가되면, 약물은 내부 소수성 코어에 함유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제는 내부에 약물을 함유한 미셀을 형성하여 체내 또는 수용성 매질내에서 수난용성 약물을 효과적으로 가용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된 생분해성 고분자는 액상 폴리에틸렌글리콜내에서 매트릭스를 형성하여 소수성 약물 및 소수성 약물을 함유한 고분자 미셀이 임플란트 부위로부터 체내로 서서히 방출되도록 한다.
상기 양친성 이중블록 공중합체는 친수성 폴리에틸렌글리콜 블록과 소수성 생분해성 고분자 블록으로 구성되는 블록 공중합체로서, 수용액 또는 저분자량의 액상 폴리에틸렌글리콜 매질내에서 고분자 미셀을 형성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글리콜 매질은 양친성 이중블록 공중합체의 분산을 촉진시키고 고분자 미셀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양친성 이중블록 공중합체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3∼70 중량%, 바람직하게는, 5∼50 중량%이다.
상기 친수성 폴리에틸렌글리콜 블록으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알콕시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모노아실옥시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가 사용될 수 있고, 소수성 생분해성 고분자 블록으로는 폴리락타이드, 폴리카프로락톤, 락타이드와 글라이콜라이드의 공중합체, 락타이드와 카프로락톤의 공중합체, 락타이드와 파라디옥사논의 공중합체, 폴리오르소에스터, 폴리안하이드라이드, 폴리포스파진, 폴리아미노산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락타이드, 폴리카프로락톤, 락타이드와 글라이콜라이드의 공중합체, 락타이드와 카프로락톤의 공중합체 또는 락타이드와 파라디옥사논의 공중합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양친성 이중블록 공중합체중 친수성 폴리에틸렌글리콜 블록의 함량은 양친성 이중블록 공중합체에 대하여 30∼80 중량%, 바람직하게는 40∼70 중량%이다.
상기 친수성 폴리에틸렌글리콜 블록 및 소수성 생분해성 고분자 블록의 분자량은 각각 500∼20,000 달톤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15,000 달톤이다.
양친성 이중블록 공중합체는 D,L-락타이드, 글리콜라이드, ε-카프로락톤 또는 파라디옥사논 등과 같은 락톤류의 헤테로고리형 에스테르 화합물을 모노알콕시폴리에틸렌글리콜(예: mPEG) 또는 모노아실옥시폴리에틸렌글리콜 존재하에서 스태너스 옥토에이트(SnOct2)를 촉매로 사용하여 80∼130 ℃의 온도에서 중합하여 합성한다[참조문헌: E. Piskin et al., Novel PDLA/PEG copolymer micelles as drug carriers, J. of Biomater. Sci. Polymer Edn. 7 (4) (1996) 359-373].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체내 주입시 임플란트를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난용성 약물은 양친성 이중블록 공중합체가 형성하는 고분자 미셀에 함유되고, 이어서 상기 고분자 미셀은 생분해성 고분자 매트릭스 및 액상 폴리에틸렌글리콜중에 함유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난용성 약물은 상기 양친성 이중블록 공중합체가 형성하는 고분자 미셀에 봉입되어 있다가 체내에 주입되었을 때 고분자 미셀에서 서서히 방출되므로, 체내에서 일정 농도로 장기간 유지된다.
사용가능한 수난용성 약물은 수용해도가 10 ㎎/㎖ 이하인 어떠한 약물이라도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들어, 항암제, 항균제, 스테로이드류, 소염진통제, 성호르몬, 면역억제제, 항바이러스제, 마취제, 항구토제 또는 항히스타민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파클리탁셀, 도세탁셀, 독소루비신, 시스플레틴, 카보플래틴, 5-FU, 에토포시드, 캄토테신 등의 항암제; 테스토스테론, 에스트로젠, 에스트라다이올 등의 성호르몬;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 하이드로코티손, 덱사메타손, 프레드니솔론, 베타메타손 등의 스테로이드 유도체; 사이클로스포린; 또는 프로스타글란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수난용성 약물의 함량은 상기 양친성 이중블록 공중합체에 대하여 0.1∼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30 중량%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상 폴리에틸렌글리콜내에서 매트릭스를 형성하여 약물을 함유하는 상기 고분자 미셀 및 약물의 방출속도를 제어한다. 사용가능한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로는 체내에서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인체에 무해한 물질로 분해되어 체외로 배출되는 생체적합성 물질로서, 저분자량의 액상 폴리에틸렌글리콜에 용해되거나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는 고분자 물질을 사용하며, 예를들어, 폴리락타이드, 폴리카프로락톤, 락타이드와 글리콜라이드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5∼8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70 중량%이며, 이의 분자량은 500∼50,000 달톤, 바람직하게는, 1,000∼30,000 달톤이다.
약물 및 약물을 함유한 고분자 미셀이 방출되는 속도는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의 종류, 분자량 및 함량에 의해 조절할 수 있는데, 이는 고분자의 종류에 따라 분해속도가 다르며 분자량 및 함량 등에 의해 매트릭스의 점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분산매로 사용되는 액상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양친성 이중블록 공중합체의 친수성 부위와 높은 친화력을 갖는다. 액상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5∼8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60 중량%이다. 이의 분자량은 100∼3,000 달톤, 바람직하게는, 200∼2,000 달톤이다. 또한, 액상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약 40 ℃ 이하의 녹는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폴리에틸렌글리콜"은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액상 폴리에틸렌글리콜"은 50 ℃의 온도에서 액체 상태로 존재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액상 폴리에틸렌글리콜은 바람직하게는 50 ℃에서 액상인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알킬 유도체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알릴 유도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인체에 무해한 물질로 분해되어 체외로 배출되는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사용하므로, 구성 성분의 함량에 따라 약물의 방출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주사기나 카데타를 이용하여 본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체내의 특정 부위에 주입한 경우, 임플란트를 형성하고 약물 및 약물을 함유한 고분자 미셀이 서서히 방출되어, 임플란트 부위 및 순환 혈액내에서 약물이 일정 농도로 장기간 유지되므로 약효 발현이 우수하다. 특히, 하기 실시예 19(약물방출시험)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양친성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지 않은 조성물(비교예 1)은 약물이 수용액으로 거의 방출되지 않고, 생분해성 고분자 매트릭스를 사용하지 않은 조성물(비교예 2)은 약물이 24 시간이내에 수용액중으로 모두 방출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구성 성분의 함량을 조절하여 약물 및 약물을 함유한 고분자 미셀의 방출을 제어함으로써 약물이 일정 농도로 장기간 유지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먼저 양친성 이중블록 공중합체, 수난용성 약물 및 액상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혼합한후 교반하여 수난용성 약물이 봉입된 고분자 미셀 조성물(조성물 A)을 제조한다. 이때, 교반온도는 40∼80 ℃가 적합하고, 교반시간은 30∼60 분이 적합하다. 한편,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을 액상 폴리에틸렌글리콜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조성물(조성물 B)을 제조한다. 이후, 조성물 A와 조성물 B를 혼합하여 교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방성 제형의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교반온도는 40∼80 ℃가 적합하고, 교반시간은 1∼2 시간이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일반적인 주사기 또는 카데타를 사용하여 인체의 특정 부위에 주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되는 고분자는 미국 식품의약청(FDA)으로부터 생체내 사용이 허가된 물질이므로 안전하고, 가수분해 산물이 체외로 쉽게 배설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제조예 및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방법 및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양친성 이중블록 공중합체의 제조
제조예 1: mPEG-PLA(분자량 2,000-1,800)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mPEG, 분자량=2,000) 25 g과 에틸아세트산에서 재결정화한 D,L-락타이드 25 g을 페달젓게가 장치된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가하고, 스태너스 옥토에이트(SnOct2) 0.25 g을 톨루엔 5 ㎖에 녹여서 가한 다음, 반응용기를 120 ℃ 기름중탕에서 가열하면서 과량의 톨루엔을 증류하였다. 계속해서 감압(25 mmHg)하에서 6 시간 반응시킨후, 생성물을 클로로포름에 녹이고 이 용액을 차가운 디에틸 에테르(4 ℃)에 천천히 가하여 고분자를 석출시켰다. 상기 고분자 석출과정을 두 번 반복하여 고분자를 정제한후, 진공오븐(0.1 mmHg)에서 24 시간 건조하였다. 제조된 공중합체(mPEG-PLA(폴리락타이드))의 분자량을 핵자기공명(NMR) 분광법으로 확인하였다.
제조예 2: mPEG-PLA(분자량 3,400-2,500)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mPEG, 분자량=3,400) 25 g, D,L-락타이드 20 g 및 스태너스 옥토에이트 0.20 g을 사용하여,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공중합체(mPEG-PLA)를 제조하고, 분자량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3: mPEG-PLA(분자량 5,000-4,000)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mPEG, 분자량=5,000) 25 g, D,L-락타이드 22 g 및 스태너스 옥토에이트 0.22 g을 사용하여,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공중합체(mPEG-PLA)를 제조하고, 분자량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4: mPEG-PLA(분자량 8,000-6,000)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mPEG, 분자량=8,000) 25 g, D,L-락타이드 20 g 및 스태너스 옥토에이트 0.20 g을 사용하여,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공중합체(mPEG-PLA)를 제조하고, 분자량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5: mPEG-PCL(분자량 5,000-4,000)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mPEG, 분자량=5,000) 25 g, ε-카프로락톤 20 g 및 스태너스 옥토에이트 0.20 g을 사용하여,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공중합체(mPEG-PCL)를 제조하고, 분자량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6: mPEG-PLGA(분자량 5,000-4,000, LA/GA=7/3)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mPEG, 분자량=5,000) 25 g, D,L-락타이드 15 g, 글리콜라이드 7 g 및 스태너스 옥토에이트 0.22 g을 사용하여,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공중합체(mPEG-PLGA)를 제조하고, 분자량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7: mPEG-PLDO(분자량 5,000-4,000, LA/DO=7/3)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mPEG, 분자량=5,000) 25 g, D,L-락타이드 15 g, 1-파라디옥사논 7 g 및 스태너스 옥토에이트 0.22 g을 사용하여,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공중합체(mPEG-PLDO)를 제조하고, 분자량을 확인하였다.
방출속도를 제어하는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조
제조예 8: PLA(분자량 4,000)
젖산 30 g을 페달젓게가 장치된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가하고, 산화안티몬(Sb2O3) 0.15 g을 가한 다음, 증류관을 장치하고 천천히 승온하여 160 ℃에서 10 시간동안 반응시켰다. 계속하여 감압(25 mmHg)하에서 6 시간 반응시킨후, 생성물을 클로로포름에 녹이고 이 용액을 차가운 디에틸 에테르(4 ℃)에 천천히 가하여 고분자를 석출시켰다. 상기 고분자 석출과정을 두 번 반복하여 고분자를 정제한후, 진공오븐(0.1 mmHg)에서 24 시간 건조하였다. 제조된 고분자(PLA)의 분자량을 핵자기공명(NMR) 분광법으로 확인하였다.
제조예 9: PLGA(분자량 4,000, LA/GA=7/3)
젖산 21 g 및 글리콜산 9 g을 사용하여, 제조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분자(PLGA)를 제조하고, 분자량을 확인하였다.
약물 함유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파클리탁셀을 함유하는 조성물
페달젓게가 장치된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양친성 이중블록 공중합체(mPEG-PLA) 90 mg, 수난용성 약물로서 파클리탁셀 10 mg 및 액상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분자량 300) 100 mg을 혼합한후 60 ℃에서 30 분동안 교반하였다(조성물 A).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매트릭스 역할을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로서 폴리락타이드(PLA, 분자량 4,000) 100 mg을 동일한 폴리에틸렌글리콜 100 mg에 녹인 용액(조성물 B)을 제조하였다. 조성물 A와 B를 혼합하여 60 ℃에서 1 시간동안 교반하여 점성이 있는 투명한 액상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18: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난용성 약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및 2: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을 사용하여, 수난용성 약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비교예 양친성 블록공중합체 약물 PEG 고분자 매트릭스*
실시예 1 mPEG-PLA(MW 2,000-1,800)90 ㎎ 파클리탁셀10 ㎎ PEG(MW 300) 200 ㎎ PLA 100 ㎎
실시예 2 mPEG-PLA(MW 2,000-1,800)90 ㎎ 파클리탁셀10 ㎎ PEG(MW 300) 300 ㎎ PLA 100 ㎎
실시예 3 mPEG-PLA(MW 2,000-1,800)90 ㎎ 파클리탁셀10 ㎎ PEG(MW 600) 400 ㎎ PLA 300 ㎎
실시예 4 mPEG-PLA(MW 2,000-1,800)90 ㎎ 파클리탁셀10 ㎎ PEG(MW 600) 400 ㎎ PLA 600 ㎎
실시예 5 mPEG-PLA(MW 3,400-2,500)90 ㎎ 파클리탁셀10 ㎎ PEG(MW 300) 400 ㎎ PLA 300 ㎎
실시예 6 mPEG-PLA(MW 3,400-2,500)90 ㎎ 파클리탁셀10 ㎎ PEG(MW 300) 400 ㎎ PLA 600 ㎎
실시예 7 mPEG-PLA(MW 3,400-2,500)90 ㎎ 파클리탁셀10 ㎎ PEG(MW 300) 400 ㎎ PLA 900 ㎎
실시예 8 mPEG-PLA(MW 3,400-2,500)90 ㎎ 파클리탁셀10 ㎎ PEG(MW 300) 400 ㎎ PLA 1,200 ㎎
실시예 9 mPEG-PLA(MW 3,400-2,500)90 ㎎ 파클리탁셀10 ㎎ PEG(MW 300) 600 ㎎ PLA 1,200 ㎎
실시예 10 mPEG-PLA(MW 3,400-2,500)90 ㎎ 파클리탁셀10 ㎎ PEG(MW 600) 400 ㎎ PLA 600 ㎎
실시예 11 mPEG-PLA(MW 3,400-2,500)90 ㎎ 파클리탁셀10 ㎎ PEG(MW 800) 400 ㎎ PLA 600 ㎎
실시예 12 mPEG-PLA(MW 3,400-2,500)95 ㎎ 파클리탁셀5 ㎎ PEG(MW 300) 400 ㎎ PLGA 600 ㎎
실시예 13 mPEG-PLA(MW 3,400-2,500)90 ㎎ 인도메타신10 ㎎ PEG(MW 300) 400 ㎎ PLA 600 ㎎
실시예 14 mPEG-PLA(MW 3,400-2,500)90 ㎎ 인도메타신10 ㎎ PEG(MW 300) 400 ㎎ PLA 900 ㎎
실시예 15 mPEG-PLA(MW 5,000-4,000)80 ㎎ 인도메타신20 ㎎ PEG(MW 800) 400 ㎎ PLA 900 ㎎
실시예 16 mPEG-PCL(MW 5,000-4,000)80 ㎎ 인도메타신20 ㎎ PEG(MW 300) 400 ㎎ PLA 900 ㎎
실시예 17 mPEG-PLGA(MW 5,000-4,000, LA/GA=7/3) 90 ㎎ 사이클로스포린A10 ㎎ PEG(MW 300) 400 ㎎ PLA 600 ㎎
실시예 18 mPEG-PLDO(MW 5,000-4,000, LA/DO=7/3) 95 ㎎ 파클리탁셀5 ㎎ PEG(MW 300) 400 ㎎ PLGA 300 ㎎
비교예 1 - 파클리탁셀10 ㎎ PEG(MW 600) 400 ㎎ PLA 300 ㎎
비교예 2 mPEG-PLA(MW 2,000-1,800)90 ㎎ 파클리탁셀10 ㎎ PEG(MW 600) 400 ㎎ -
* PLA: poly(lactic acid)(MW 4,000); PLGA: poly(lactic-co-glycolic acid)(MW 4,000, LA/GA=7/3)
실시예 19: 약물방출시험
실시예 1∼18, 및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한 각각의 조성물 500 ㎎을 뚜껑이 있는 시험관에 가한후, 생리식염수 15 ㎖을 가하였다. 조성물이 바닥에서 고상으로 만들어지면, 37 ℃ 챔버로 옮긴후 정해진 시간마다 생리식염수를 완전히 교환하였다. 이 때, 약물이 방출된 수용액을 원심분리한후, 상층액으로부터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약물을 추출하였다. 이 용액을 건조하고 아세토니트릴과 물의 40% 혼합액으로 다시 녹인후, HPLC를 사용하여 약물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실시예 누적 방출량(%)
0 일 1 일 2 일 3 일 5 일 7 일 10 일
1 0 33 40 54 65 72 85
2 0 36 47 57 68 76 90
3 0 31 40 51 62 70 82
4 0 23 33 45 53 65 70
5 0 25 36 45 57 68 78
6 0 21 35 42 48 57 65
7 0 18 28 37 42 49 53
8 0 17 24 33 38 42 45
9 0 18 30 40 45 53 57
10 0 21 31 42 47 57 62
11 0 20 31 40 47 55 60
12 0 23 34 46 51 62 69
13 0 23 33 45 55 65 71
14 0 17 31 38 47 53 58
15 0 17 25 33 38 45 50
16 0 18 28 35 43 49 55
17 0 19 30 38 47 53 57
18 0 18 31 38 49 55 60
비교예 1 0 2 2 3 3 3 4
비교예 2 0 100 - - - - -
표 2 및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성성분의 함량에 따라 약물의 방출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반면, 양친성 이중블록 공중합체를포함하지 않은 조성물(비교예 1)은 약물이 수용액중으로 거의 방출되지 않으며, 생분해성 고분자 매트릭스를 사용하지 않은 조성물(비교예 2)은 약물이 24 시간이내에 수용액중으로 방출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0: 난소암에 대한 효과
암컷 누드 마우스(Balb/c 5∼6 주령, 19∼21 g)의 오른쪽 옆구리에 12 게이지 트로이카를 사용하여 인간 난소암의 조각(SKOV-3, 3∼4 ㎜)을 이종간 이식하여 항암효능 실험에 이용할 동물을 준비하였다. 이식된 암조직의 용적이 300∼500 ㎣에 도달했을 때,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멸균조건에서 0.22 ㎛ 필터를 이용하여 멸균한후, 26 게이지 주사기 바늘을 사용하여 암조직에 직접 투여(intratumoral, it)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현재 시판되고 있는 파클리탁셀의 정맥내 투여 제형(intravenous, iv)으로서, 파클리탁셀 6 ㎎과 CremophorREL 527 ㎎을 에탄올/물(1:1, v/v)에 녹여서 1 ㎖이 되도록 제조한 용액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실시예 1)은 20 ㎎/㎏이 되도록 1 회 투여하고(0 일), 시판제품의 제형은 꼬리정맥을 통해서 0, 1 및 2 일에 각각 20 ㎎/㎏의 용량으로 3 회 투여하였다. 투여후 암조직의 장축과 단축의 길이를 5 일 간격으로 측정하였으며, 암조직의 용적은 π/6×((L+W)/2)3(여기서, W는 장축의 길이이고, L은 단축의 길이이다)의 공식에 의해 계산되었다. 투여한 제형의 조성은 표 3과 같았고, 투여시 암조직의 용적에 대한 투여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용적의 비(상대용적)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조성 투여방법 투여용량 마리수
대조군 - 무처리 - 6
비히클(vehicle) 약물을 함유하지 않은실시예 1의 조성물 암조직내(it) - 6
시판제형(iv) 시판제형의 조성물 정맥내(iv) 20 ㎎/㎏×3 회 6
시험군(it) 실시예 1의 조성물 암조직내(it) 20 ㎎/㎏ 6
실시예 21: 전립선암에 대한 효과
수컷 누드 마우스(Balb/c 5∼6 주령, 19∼21 g)의 오른쪽 옆구리에 인간 전립선암의 조각(PC-3, 3∼4 ㎜)을 이식한후, 실시예 20과 동일한 방법으로 항암효능 실험을 행하였다. 투여한 제형의 조성은 표 4와 같았고, 투여시 암조직의 용적에 대한 투여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용적의 비(상대용적)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조성 투여방법 투여용량 마리수
대조군 - 무처리 - 6
비히클(vehicle) 약물을 함유하지 않은실시예 1의 조성물 암조직내(it) - 6
시판제형(iv) 시판제형의 조성물 정맥내(iv) 20 ㎎/㎏×3 회 6
시험군(it) 실시예 1의 조성물 암조직내(it) 60 ㎎/㎏ 6
도 4 및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파클리탁셀을 함유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존 제형에 비하여 우수한 항암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체내의 특정 부위에 주입하였을 때 임플란트를 형성하고, 약물 및 약물을 함유한 고분자 미셀이 서서히 방출되어, 임플란트 부위 및 순환 혈액내에서 약물이 일정한 농도로 장기간 유지되므로, 약효 발현이 우수하다.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나 그 제조과정에 있어서 인체에 유해한 유기용매를 전혀 사용하지 않으며, 사용되는 고분자들도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인체에 무해한 물질로 분해되어 체외로 배출되므로 안전하다.

Claims (16)

  1. ⅰ) 양친성 이중블록 공중합체;
    ⅱ) 수난용성 약물;
    ⅲ)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 및,
    ⅳ) 액상 폴리에틸렌글리콜:
    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체용 서방성 제형의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체내 주입시 임플란트를 형성하고, 상기 양친성 이중블록 공중합체는 액상 폴리에틸렌글리콜내에서 고분자 미셀을 형성하여 수난용성 약물을 함유하고,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은 액상 폴리에틸렌글리콜내에서 매트릭스를 형성하여 약물-함유 미셀을 함유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친성 이중블록 공중합체가 친수성 폴리에틸렌글리콜 블록 및 소수성 생분해성 고분자 블록으로 구성되는 블록 공중합체인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폴리에틸렌글리콜 블록이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알콕시폴리에틸렌글리콜 및 모노아실옥시폴리에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이고, 상기 소수성 생분해성 고분자 블록은 폴리락타이드, 폴리카프로락톤, 락타이드와 글라이콜라이드의 공중합체, 락타이드와 카프로락톤의 공중합체, 락타이드와 파라디옥사논의 공중합체, 폴리오르소에스터, 폴리안하이드라이드, 폴리아미노산 및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폴리에틸렌글리콜 블록 및 상기 소수성 생분해성 고분자 블록의 분자량이 각각 500∼20,000 달톤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친성 이중블록 공중합체의 함량이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3∼70 중량%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난용성 약물은 물에 대한 용해도가 10 mg/㎖ 이하인 항암제, 항균제, 스테로이드류, 소염진통제, 성호르몬, 면역억제제, 항바이러스제, 마취제, 항구토제 또는 항히스타민제인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난용성 약물이 파클리탁셀, 도세탁셀, 독소루비신, 시스플레틴, 카보플래틴, 5-FU, 에토포시드, 캄토테신, 테스토스테론, 에스트로젠, 에스트라다이올,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 하이드로코티손, 덱사메타손, 프레드니솔론, 베타메타손, 사이클로스포린 및 프로스타글란딘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난용성 약물의 함량이 양친성 이중블록 공중합체에 대하여 0.1∼50 중량%인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이 폴리락타이드, 폴리카프로락톤, 락타이드와 글리콜라이드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의 함량이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5∼80 중량%인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의 분자량이 500∼50,000 달톤인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함량이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5∼80 중량%인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분자량이 100∼3,000 달톤인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폴리에틸렌글리콜이 액상 폴리에틸렌글리콜, 액상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알킬 유도체 및 액상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알릴 유도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인 조성물.
  16. ⅰ) 액상 폴리에틸렌글리콜, 양친성 이중블록 공중합체 및 수난용성 약물을 혼합하여 고분자 미셀 폴리에틸렌글리콜 액체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ⅱ)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을 액상 폴리에틸렌글리콜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생분해성 고분자 액체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ⅲ) 단계 ⅰ) 및 ⅱ)의 액체 조성물을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15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1-0077044A 2000-12-07 2001-12-06 수난용성 약물의 서방성 제형 조성물 KR1004461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4098 2000-12-07
KR20000074098 2000-1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5569A true KR20020045569A (ko) 2002-06-19
KR100446101B1 KR100446101B1 (ko) 2004-08-30

Family

ID=19702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7044A KR100446101B1 (ko) 2000-12-07 2001-12-06 수난용성 약물의 서방성 제형 조성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153520B2 (ko)
EP (1) EP1339389B1 (ko)
JP (1) JP2004514734A (ko)
KR (1) KR100446101B1 (ko)
CN (1) CN1234416C (ko)
AT (1) ATE405251T1 (ko)
AU (2) AU2273302A (ko)
CA (1) CA2430481C (ko)
DE (1) DE60135486D1 (ko)
WO (1) WO200204568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91150A3 (en) * 2007-12-31 2009-10-22 Samyang Corporation Highly pure amphiphilic copolymer comprising hydrophobic block from alpha-hydroxy acid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20190122004A (ko) * 2018-04-19 2019-10-2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암제 봉입 마이셀 제제 조성물
WO2022045823A1 (ko) * 2020-08-31 2022-03-03 주식회사 바임 생분해성 고분자 분산체,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피부 개선용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42194A1 (en) * 2000-05-11 2005-02-24 A.P. Pharma, Inc. Semi-solid delivery vehicl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N1325046C (zh) * 2001-08-31 2007-07-11 麦吉尔大学 可生物降解的多聚纳米微囊及其应用
CA2463172C (en) * 2001-10-18 2009-08-18 Samyang Corporation Polymeric micelle composition with improved stability
US7649023B2 (en) 2002-06-11 2010-01-19 Novartis Ag Biodegradable block copolymeric compositions for drug delivery
US20040001889A1 (en) 2002-06-25 2004-01-01 Guohua Chen Short duration depot formulations
WO2004011054A2 (en) 2002-07-31 2004-02-05 Alza Corporation Injectable multimodal polymer depot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US8986737B2 (en) 2002-09-05 2015-03-24 Wm. Marsh Rice University Antibiotic microspheres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osteomyelitis and enhancement of bone regrowth
CA2497973C (en) * 2002-09-05 2012-11-06 Catherine G. Ambrose Antibiotic microspheres for treatment of infections and osteomyelitis
DE60319727T2 (de) * 2002-10-21 2009-03-12 L'oreal Verfahren zum auflösen lipophiler verbindungen, und kosmetische zusammensetzung.
AU2004241830B9 (en) * 2003-05-26 2010-04-22 Hiroshi Maeda Antitumor agen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CN101862455A (zh) 2003-06-26 2010-10-20 普西维达公司 原位胶凝的药物递送系统
AR047552A1 (es) 2003-06-26 2006-01-25 Control Delivery Sys Inc Sistemas de suministro de farmacos de liberacion sostenida biodegradables
JP4939936B2 (ja) * 2003-06-27 2012-05-30 株式會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 生理活性成分を含有する自己集合性高分子ナノ粒子の製造方法、及び得られた自己集合性高分子ナノ粒子を含有する外用剤組成物
WO2005000258A1 (en) * 2003-06-27 2005-01-06 Amorepacific Corporation Self-assembled polymeric nanoparticles containing physiologically active ingredients and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the nanoparticles
KR101054728B1 (ko) 2004-06-16 2011-08-05 (주)아모레퍼시픽 난용성 발모 및 육모 생리활성 물질인 사이클로스포린을포함하는 나노입자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967113B1 (ko) 2003-12-03 2010-07-05 (주)아모레퍼시픽 코엔자임 q10을 함유한 자기회합성 고분자 나노입자 및이를 함유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50064075A (ko) * 2003-12-23 2005-06-29 주식회사 삼양사 이트라코나졸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GB0412866D0 (en) * 2004-06-09 2004-07-14 Novartis Ag Organic compounds
US8980300B2 (en) 2004-08-05 2015-03-17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Plasticizers for coating compositions
US20060034889A1 (en) * 2004-08-16 2006-02-16 Macromed, Inc. Biodegradable diblock copolymers having reverse thermal gelation properti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A2585754C (en) 2004-11-02 2014-12-23 Tel-Aviv University Future Technology Development L.P. Formulations of water insoluble or poorly water soluble drugs in lipidated glycosaminoglycan particles and their use for diagnostics and therapy
EP2348096A3 (en) * 2005-01-04 2011-11-09 Intezyne Technologies Inc. Synthesis of hybrid block copolymers and uses thereof
JP2007023023A (ja) * 2005-06-15 2007-02-01 Kanagawa Acad Of Sci & Technol 組織接着性薬剤放出ゲル形成用組成物
EP2063970A1 (en) * 2006-09-19 2009-06-03 FUJIFILM Manufacturing Europe B.V. Preparation of fine particles
JP2010504318A (ja) * 2006-09-22 2010-02-12 ラボファーム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pH標的化薬剤送達の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KR100946275B1 (ko) * 2006-09-26 2010-03-08 주식회사 삼양사 수 난용성 캄토테신 유도체의 미세 나노입자 및 그의제조방법
US20090004243A1 (en) 2007-06-29 2009-01-01 Pacetti Stephen D Biodegradable triblock copolymers for implantable devices
GB0714223D0 (en) * 2007-07-20 2007-08-29 Fujifilm Mfg Europe Bv Preparation of fine particles
GB0720716D0 (en) * 2007-10-23 2007-12-05 York Pharma Plc Novel formulation
US8642062B2 (en) * 2007-10-31 2014-02-04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Implantable device having a slow dissolving polymer
WO2009064442A1 (en) 2007-11-13 2009-05-22 Brookwood Pharmaceuticals, Inc. Viscous terpolymers as drug delivery platform
US9801818B2 (en) 2007-12-31 2017-10-31 Samyang Biopharmaceuticals Corporation Method for stabilizing amphiphilic block copolymer micelle composition containing poorly water-soluble drug
KR101024742B1 (ko) * 2007-12-31 2011-03-24 주식회사 삼양사 탁산 함유 양친성 블록 공중합체 미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1909601B (zh) * 2008-01-18 2013-06-26 陶氏环球技术公司 使用甲氧基聚乙二醇增强难溶性活性剂的水溶解度的方法
CN101932311B (zh) 2008-02-22 2014-07-16 东丽株式会社 微粒及其药物组合物
US8858995B2 (en) * 2008-03-10 2014-10-14 University Of Louisville Research Foundation,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ontrolled delivery of phytochemical agents
EP2103313A1 (en) * 2008-03-19 2009-09-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for the synthesis of hollow spheres
TWI388591B (zh) * 2008-03-28 2013-03-11 Ind Tech Res Inst 溫度敏感性材料
US8916188B2 (en) 2008-04-18 2014-12-23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Block copolymer comprising at least one polyester block and a poly (ethylene glycol) block
US8613951B2 (en) 2008-06-16 2013-12-24 Bind Therapeutics, Inc. Therapeutic polymeric nanoparticles with mTor inhibitor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WO2010005725A2 (en) 2008-06-16 2010-01-14 Bind Biosciences, Inc. Therapeutic polymeric nanoparticles comprising vinca alkaloid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JP2012501965A (ja) 2008-06-16 2012-01-26 バインド バイオサイエンシ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薬剤を装填したポリマーナノ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と使用方法
PT2323623T (pt) 2008-08-12 2016-11-04 Novartis Ag Composições farmacêuticas
EP2172189A1 (en) * 2008-10-01 2010-04-07 Novartis AG Pharmaceutical Compositions
JP2010065067A (ja) * 2008-09-08 2010-03-25 Tokyo Univ Of Agriculture & Technology 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ゲル
CA2738766A1 (en) * 2008-09-25 2010-04-01 Invivo Therapeutics Corporation Spinal cord injury, inflammation, and immune-disease: local controlled release of therapeutic agents
EP2370064A4 (en) * 2008-12-11 2012-09-19 A P Pharma Inc METHOD FOR INCREASING THE STABILITY OF POLYORTHOESTERS AND THEIR FORMULATIONS
TWI372057B (en) * 2008-12-11 2012-09-11 Dev Center Biotechnology Sustained release implant for granisetron
WO2010075072A2 (en) 2008-12-15 2010-07-01 Bind Biosciences Long circulating nanoparticles for sustained release of therapeutic agents
US8951546B2 (en) 2008-12-23 2015-02-10 Surmodics Pharmaceuticals, Inc. Flexible implantable composites and implants comprising same
US20100158978A1 (en) * 2008-12-23 2010-06-24 Peter Markland Bioactive spray coat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es thereof
US9415197B2 (en) 2008-12-23 2016-08-16 Surmodics, Inc. Implantable suction cup composites and implants comprising same
US9480643B2 (en) * 2008-12-23 2016-11-01 Surmodics Pharmaceuticals, Inc. Implantable composites and implants comprising same
US8974808B2 (en) 2008-12-23 2015-03-10 Surmodics, Inc. Elastic implantable composites and implants comprising same
EP2201935B1 (en) * 2008-12-26 2020-07-08 Samyang Biopharmaceuticals Corporation Polymeric micelle composition containing a poorly soluble drug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 same
TWI374903B (en) * 2008-12-31 2012-10-21 Ind Tech Res Inst Biodegradable copolymer hydrogel materials
US20100203150A1 (en) * 2009-02-06 2010-08-12 National Tsing Hua University Novel amphiphilic copolymers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WO2010114768A1 (en) * 2009-03-30 2010-10-07 Cerulean Pharma Inc. Polymer-epothilone conjugates, particles,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of use
CA2756072A1 (en) * 2009-03-30 2010-10-14 Cerulean Pharma Inc. Polymer-agent conjugates, particles,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of use
CA2940931C (en) 2009-10-01 2019-04-30 Adare Pharmaceuticals, Inc. Orally administered corticosteroid compositions
EP2509634B1 (en) 2009-12-11 2019-03-06 Pfizer Inc Stable formulations for lyophilizing therapeutic particles
JP5965844B2 (ja) * 2009-12-15 2016-08-10 バインド セラピューティ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高いガラス転移温度または高分子量のコポリマーを有する治療用ポリマーナノ粒子組成物
US20110237686A1 (en) 2010-03-26 2011-09-29 Cerulean Pharma Inc Formulations and methods of use
UA111162C2 (uk) 2010-08-04 2016-04-11 Флекшен Терап'Ютікс, Інк. Ін'єкційна композиція ацетоніду триамцинолону для лікування болю
WO2012030819A1 (en) 2010-08-30 2012-03-08 Surmodics Pharmaceuticals, Inc. Terpolymers as pressure-sensitive adhesives
PT2658525T (pt) 2010-12-29 2017-11-30 Medincell Composições biodegradáveis de entrega de fármaco
WO2012177825A1 (en) 2011-06-21 2012-12-27 Bvw Holding Ag Medical device comprising boswellic acid
WO2013148682A1 (en) * 2012-03-26 2013-10-03 University Of Louisville Research Foundation,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ontrolled delivery of phytochemical agents
CU24287B1 (es) * 2012-06-27 2017-12-08 Medincell Suministro de fármaco biodegradable para las composiciones hidrofóbicas
ES2732377T3 (es) 2012-09-17 2019-11-22 Pfizer Procedimiento de preparación de nanopartículas terapéuticas
US20150104520A1 (en) * 2013-04-05 2015-04-16 Vuong Trieu Nanoparticle Formulations in Biomarker Detection
WO2015034678A2 (en) 2013-09-06 2015-03-12 Aptalis Pharmatech, Inc. Corticosteroid containing orally disintegrating tablet compositions for eosinophilic esophagitis
CN104758256B (zh) * 2014-02-14 2016-05-04 苏州海特比奥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多西他赛纳米聚合物胶束冻干制剂及其制备方法
BR112016021130A2 (pt) 2014-03-14 2017-08-15 Pfizer Nanopartículas terapêuticas, composição farmacêutica compreendendo as referidas nanopartículas, processo para a preparação e uso das mesmas
WO2016205652A1 (en) * 2015-06-18 2016-12-22 Acuitybio Corporation Implantable drug delivery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PT3377041T (pt) 2015-11-16 2023-12-15 Maria Pereira Da Cruz Alves Garcia Método para morcelação e/ou direcionamento de princípios farmaceuticamente ativos ao tecido sinovial
TWI777515B (zh) 2016-08-18 2022-09-11 美商愛戴爾製藥股份有限公司 治療嗜伊紅性食道炎之方法
CN106727306A (zh) * 2016-12-12 2017-05-31 温州医科大学 一种高载药量曲安奈德胶束的制备方法
CN107596380B (zh) * 2017-09-03 2020-09-11 河南师范大学 基于聚乙二醇-聚碳酸酯的还原敏感性喜树碱前药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1146215A1 (en) 2020-01-13 2021-07-22 Durect Corporation Sustained release drug delivery systems with reduced impurities and related methods
CN114903904B (zh) * 2021-02-08 2024-02-09 宜昌人福药业有限责任公司 瑞马唑仑药用盐和阿片样物质的注射用药物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80682B (en) * 1980-07-30 1984-03-28 Ciba Geigy Ag Antiherpetically active lipstick
CA2050067C (en) * 1990-08-30 2000-05-30 Yasushi Morita Controlled drug release composition
US5543158A (en) * 1993-07-23 1996-08-0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Biodegradable injectable nanoparticles
JPH08176016A (ja) * 1994-12-19 1996-07-09 Univ Miami 生分解可能で注射可能な薬物運搬ポリマー
US5869079A (en) 1995-06-02 1999-02-09 Oculex Pharmaceuticals, Inc. Formulation for controlled release of drugs by combining hydrophilic and hydrophobic agents
US5702717A (en) * 1995-10-25 1997-12-30 Macromed, Inc. Thermosensitive biodegradable polymers based on poly(ether-ester)block copolymers
US6004573A (en) 1997-10-03 1999-12-21 Macromed, Inc. Biodegradable low molecular weight triblock poly(lactide-co-glycolide) polyethylene glycol copolymers having reverse thermal gelation properties
US20020164374A1 (en) * 1997-10-29 2002-11-07 John Jackson Polymeric systems for drug delivery and uses thereof
KR100289074B1 (ko) * 1998-02-04 2001-07-12 김윤 난용성약물함유시스템
US7128927B1 (en) * 1998-04-14 2006-10-31 Qlt Usa, Inc. Emulsions for in-situ delivery systems
KR100274842B1 (ko) * 1998-10-01 2001-03-02 김효근 미립구를 이용한 레티노익산의 서방형 약물방출 시스템
KR100360827B1 (ko) * 1999-08-14 2002-11-18 주식회사 삼양사 난용성 약물을 가용화하기 위한 고분자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US7550157B2 (en) * 2000-05-12 2009-06-23 Samyang Corporatio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polymeric micelle via phase separation of block copolymer
US7217770B2 (en) * 2000-05-17 2007-05-15 Samyang Corporation Stable polymeric micelle-type drug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91150A3 (en) * 2007-12-31 2009-10-22 Samyang Corporation Highly pure amphiphilic copolymer comprising hydrophobic block from alpha-hydroxy acid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U2008347720B2 (en) * 2007-12-31 2011-07-28 Samyang Holdings Corporation Highly pure amphiphilic copolymer comprising hydrophobic block from alpha-hydroxy acid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U2008347720C1 (en) * 2007-12-31 2012-01-19 Samyang Holdings Corporation Highly pure amphiphilic copolymer comprising hydrophobic block from alpha-hydroxy acid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RU2459840C2 (ru) * 2007-12-31 2012-08-27 Самъянг Корпорейшн АМФИФИЛЬНЫЙ СОПОЛИМЕР ВЫСОКОЙ ЧИСТОТЫ, СОДЕРЖАЩИЙ ГИДРОФОБНЫЙ БЛОК ИЗ α-ГИДРОКСИКИСЛОТЫ,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US8853351B2 (en) 2007-12-31 2014-10-07 Samyang Biopharmaceuticals Corporation Highly pure amphiphilic copolymer comprising hydrophobic block from alpha-hydroxy acid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20190122004A (ko) * 2018-04-19 2019-10-2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암제 봉입 마이셀 제제 조성물
WO2022045823A1 (ko) * 2020-08-31 2022-03-03 주식회사 바임 생분해성 고분자 분산체,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피부 개선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39389A1 (en) 2003-09-03
CN1477952A (zh) 2004-02-25
EP1339389A4 (en) 2007-08-08
ATE405251T1 (de) 2008-09-15
CA2430481A1 (en) 2002-06-13
EP1339389B1 (en) 2008-08-20
WO2002045689A1 (en) 2002-06-13
CA2430481C (en) 2008-07-22
DE60135486D1 (de) 2008-10-02
AU2273302A (en) 2002-06-18
US7153520B2 (en) 2006-12-26
JP2004514734A (ja) 2004-05-20
KR100446101B1 (ko) 2004-08-30
CN1234416C (zh) 2006-01-04
AU2002222733B2 (en) 2006-03-30
US20040037885A1 (en) 200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6101B1 (ko) 수난용성 약물의 서방성 제형 조성물
AU2002222733A1 (en) Compositions for sustained delivery of hydrophobic drug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100421451B1 (ko) 안정한 고분자 미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Burt et al. Development of copolymers of poly (D, L-lactide) and methoxypolyethylene glycol as micellar carriers of paclitaxel
JP5121790B2 (ja) 薬剤送達のための生物分解性ブロックコポリマー組成物
KR100360827B1 (ko) 난용성 약물을 가용화하기 위한 고분자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US7875677B2 (en) Micellar drug delivery systems for hydrophobic drugs
AU2001262756A1 (en) Stable polymeric micelle-type drug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