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9074B1 - 난용성약물함유시스템 - Google Patents

난용성약물함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9074B1
KR100289074B1 KR1019980003044A KR19980003044A KR100289074B1 KR 100289074 B1 KR100289074 B1 KR 100289074B1 KR 1019980003044 A KR1019980003044 A KR 1019980003044A KR 19980003044 A KR19980003044 A KR 19980003044A KR 100289074 B1 KR100289074 B1 KR 100289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block copolymer
poorly soluble
block
paclita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3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9033A (ko
Inventor
이은미
김성철
장은옥
김동욱
서민효
배철민
Original Assignee
김윤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 주식회사 삼양사 filed Critical 김윤
Priority to KR1019980003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9074B1/ko
Publication of KR19990069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9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9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90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16Wall or shell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Abstract

본 발명은 생분해성 소수성 고분자로서 폴리락티드, 폴리글리콜리드, 폴리락티드글리콜리드,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언하이드라이드, 폴리하이드록시 부티르산, 폴리오르토에스터, 폴리실록산 및 이들의 모노머로부터 제조된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와, 친수성 고분자로서 폴리알킬렌글리콜 아민으로 구성된 양친성 생분해성 블록 공중합체로부터 형성된 코어-쉘(core-shell) 형 약물전달체에 적어도 하나의 난용성 약물을 함유시켜 효과적인 약물의 체내 전달이 이루어지는 약물전달체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난용성 약물을 전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약물 전달체는 양친성 블록 공중합체의 생분해성 소수성 고분자 및 친수성 고분자가 아미드 결합으로 연결되므로 양친성 블록 공중합체 및 이로부터 형성된 미셀의 안정성이 높고, 코어-쉘 형 약물전달체 내부로의 난용성 약물 봉입률 및 안정성이 높으며, 보다 안정한 소수성 내부가 형성되므로써 난용성 약물의 용해도가 현저히 증가되고, 지속적인 약물 방출로 난용성 약물의 효과적인 체내 전달이 이루어져 비경구 또는 경구적으로 약물의 약리효과를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는 안정한 약물전달 시스템이다.

Description

난용성 약물 함유 시스템{DRUG DELIVERY SYSTEMS AS HYDROPHOBIC DRUG CARRIERS}
본 발명은 양친성 생분해성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코어-쉘(core-shell)형 약물전달체에 적어도 하나의 난용성 약물을 함유시켜 효과적인 약물의 체내 전달이 이루어지는 약물전달체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난용성 약물을 전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친수성 부분과 소수성 부분이 아미드 결합(amide linkage)으로 연결된 안정한 양친성 생분해성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코어-쉘(core-shell) 형 약물 전달체에 물에 난용성인 약물을 물리적으로 함유시켜 약물의 봉입률을 높이고 안정성을 증대시켜 지속적으로 약물을 방출하게 함으로써 약리 효과를 현저히 향상시킨 코어-쉘(core-shell) 형 약물전달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비경구(예를 들면 주사제) 또는 경구적으로 난용성 약물을 전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약물 전달체는 공중합체 사이에 분자간 수소 결합(intermolecular hydrogen bonding)이 이루어짐으로써 보다 안정한 코어-쉘(core-shell) 형 약물 전달체를 형성한다.
생체이용률(bioavailability)은 투여 후 목적하는 부위에서 이용되는 약물의 정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물에 용해성이 낮은 약물(poorly water soluble drug)인 경우 생체이용률(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시)에 큰 영향을 미쳐 약제학적 조성물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상당히 큰 문제로 지적되고 있고, 적절한 치료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부작용이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비경구(예를 들면 주사제) 투여의 경우 독성이 강한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여 투여하고, 경구 투여의 경우 많은 용량을 투여하여 치료효과를 발현시키는 단점을 나타낸다. 물에 난용성인 약물, 즉 물에 대한 용해도가 10 mg/ml 이하의 약물은 비경구(예를 들면 주사제) 투여를 목적으로 할 때 투여 제형 개발이 어렵고, 경구 투여인 경우 투여 후 전신 순환으로 이행하기 전에위장관 내에서 제거되어 배설되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 효과를 발현하기가 어렵다. 게다가 물에 난용성인 약물을 인체 내에 보다 쉽게 투여하기 위해 물에 용해가 쉬운 프로드럭(prodrug)의 형태로 변화시킨 기술이 응용되기도 한다.
파클리탁셀은 디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diterpenoid alkaloid)계로서 여러 종류의 암에 대하여, 특히 말기의 유방암과 난소암에 대하여 탁월한 항암효과를 가지고 있다(The Chemistry and Pharmacology of Taxol and its Derivatives,p 103, Edited by Vittorio Farina, Elsevier Press). 또한, 크고 접합된 환구조와 그의 활성에 꼭 필요한 긴 측쇄로 이루어진 복잡한 디테르페노이드(diterpenoid) 구조를 가진 물질로서 탁산(taxane) 골격 구조와 측쇄의 소수성 부분이 파클리탁셀의 전체적 난용성을 결정하고 있다.
파클리탁셀의 물에 대한 용해도는 0.7-30㎍/ml 정도의 낮은 용해도를 가지므로 인체 내에 투여시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현재 상품화된 파클리탁셀 제형은 탁솔(Taxol)R이라는 상품명으로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사에서 판매되고 있고 파클리탁셀을 가용화하기 위한 용해보조제로서 크레모포아R(CremophorR)와 무수 에탄올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용해보조제는 파클리탁셀을 용해시키는 정도는 좋으나 용해보조제에 의한 부작용으로 인체에 심각한 알러지 반응이 나타나기 때문에 이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부신피질호르몬제 또는 항히스타민제 등을 사전에 투여 받아야 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점적 주사에 사용되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 점적주사 백(bag) 또는 셋트는 가소제인 DEHP[di-2-(ethylhexyl) phthalate]를 유출시키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고, 제제 자체의 독성 때문에 투여시간이 길어 환자 순응도가 낮으며, 투여중 침전 생성 때문에 정맥 투여 셋트에 필터(0.22㎛)를 장착해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파클리탁셀의 물에 대한 난용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기존 파클리탁셀 제형의 부작용을 경감시키기 위해 새로운 용해보조제를 이용한 용해성, 안정성 및 투여방법 등이 개선된 효과적인 파클리탁셀 제제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이데베논(idebenone)은 강력한 뇌(腦)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 호흡활성 부활작용을 갖는(Okamoto et al.,Chem. Pharm. Bull.(Tokyo),30, 2797-2819(1982)) 뇌대사 및 정신증상 개선제로서 일본 다케다사에서 개발된 약물이다. 이 약물은 물에 대해 난용성(물에 대한 용해도 1ug/ml 이하)인 성질로 인해 경구제로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으나 경구 투여시 생체이용률이 매우 낮아 적절한 치료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난용성 약물의 생체이용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폴리에틸렌글리콜 6000, 폴리비닐피롤리돈(PVP)등을 이용한 공침물(solid-dispersion)을 제조하여 약물의 용해도를 증가시켰고, 이런 공침물을 환제로 투여하여 생체이용률을 향상시켰다는 보고가 있다(Gu, S. J. et al.,Yao Hsueh Hsueh Pao,24(11), 859-864(1989); Gu, S. J. et al.,Acta. Pharm. Sinica., 25(3), 214-219(1990)).
이러한 파클리탁셀 및 이데베논을 포함한 난용성 약물을 가용화하고 투여경로가 경구인 경우 용출률 향상을 통한 생체이용률(bioavailability)을 향상시키고,비경구인 경우(예를 들면 주사제) 장시간 동안 유효 혈중 농도를 유지시켜 치료 효과를 극대화시키고 약물의 부작용을 최소화시키는 새로운 투여 경로 및 제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로서 최근 콜로이드계(분산계)를 이용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는 초미립자 약물전달 시스템(submicronic particulate drug delivery system)은 정맥투여를 위한 흥미로운 대체기법으로 대두되고 있다. 더욱 최근에는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한 극소립자 시스템(nanoparticle system) 및 고분자 미셀 시스템(polymeric micelle system)이 정맥투여에 의해 투여된 약물의 체내분포를 변경하여 부작용을 경감시키고, 효능이 향상된 유용한 기술이라고 보고되고 있다(Kazunori Kataoka et al.,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24, 119-132(1993); Masayuki Yokoyama,Critical Reviews in Therapeutic Drug Carrier Systems,9(3,4), 213-248(1992); 및 Glen S. Kwon et al.,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21, 107-116(1996)). 이러한 시스템은 목표로 하는 기관, 조직 또는 세포에 약물의 방출을 조절하면서 약물의 표적화가 가능하다. 실질적으로 이러한 분산계(colloidal system)는 체액(예를 들면, 혈액)과의 적합성이 우수하고, 난용성 약물의 가용화 능력 및 약물의 생체내이용률(bioavailability)을 향상시킨다고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보고된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한 극소립자 시스템은 단핵세포 식세포성 시스템(mononuclear phagocyte system, MPS)에 의해 혈액순환으로부터 약물을 함유한 채 빠르게 소실되므로 난용성 약물을 함유한 이러한 시스템의 사용에 제한이 따른다. 이러한 극소립자 시스템은 정맥투여 후 수분 이내에 간, 폐,비장, 골수 등의 대식세포에 의해 빠르게 소실된다. 따라서 이러한 MPS에 의한 소실을 피할 수 있고, 난용성 약물의 가용화 능력이 우수하며, 생체적용 후 치료부위에서 지속적으로 약물을 방출시킬 수 있는 제형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최근 친수성 부분과 소수성 부분으로 구성된 블록 공중합체에 약물을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블록 공중합체 미셀을 제조하는 방법이 일본 특허 제 116,082/89 호에 공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블록 공중합체 미셀은 물에 난용성의 약물을 투여할 수 있는 우수한 수단임에도 불구하고, 약물을 공중합체에 화학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 기능기를 도입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가공성이 현저하게 떨어져 적합한 제형을 만들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유럽 특허출원 공개 제 0 583 955 A2 호에서는 친수성 부분(A)으로 폴리에틸렌옥시드를 사용하고 소수성 부분(B)으로는 폴리(β-벤질 L-아스파테이트), 폴리(γ-벤질 L-글루타메이트), 폴리(β-치환된 아스파테이트), 폴리(γ-치환된 글루타메이트), 폴리(L-류신), 폴리(L-발린), 폴리(L-페닐알라닌) 등을 사용한 AB 형의 이중 블록 공중합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 블록 공중합체는 소수성 부분으로 폴리아미노산류를 사용하므로 높은 항암활성을 나타내기는 하지만 제조 시간이 길고 반응액에 유기 용매를 사용해야 하는 등의 단점이 있을 뿐 아니라, 생체에 적용시 면역 반응을 유발할 가능성이 존재하며 생체내 효소에 의해서 분해되기 때문에 약물 방출을 조절하기가 어려워 실제로 생체내 사용시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일본 특허 제 206,815/94 호에서는 친수성 부분(A)으로는 폴리에틸렌옥시드를 사용하고 소수성 부분(B)으로는 폴리아미노산류에 소수성기를 결합시킨 것(예: 폴리에틸렌옥시드-폴리(β-벤질 L-아스파테이트))을 사용한 AB형 2중 블록 공중합체를 합성하였으며 이로부터 형성된 블록 공중합체 미셀의 내핵에 물에 난용성 약물인 아드리아마이신(adriamycin), 인도메타신(indomethacin) 등을 물리적으로 봉입한 약물 전달체를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사용된 소수성기는 반응기가 있어 합성이 복잡하며 생분해성이기는 하지만 생체적합성이 뛰어나지 않다.
이러한 양친성 생분해성 블록 공중합체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기존의 단점을 극복하고 난용성 약물을 봉입하여 안정하고 효능이 증강된 최적의 코어-쉘(core-shell)형 약물 전달 시스템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 중 하나로 안정한 고분자 미셀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해 생분해성과 생체적합성이 뛰어난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약물을 안정하게 봉입하려는 시스템으로서 유럽 특허출원 공개 제 0 552 802 A2 호에서는 친수성 부분으로 폴리에틸렌옥시드를 사용하고, 소수성 부분으로는 연속상인 수용액상에서 가교 결합(crosslinking)될 수 있는 생분해성 고분자를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고정된 미셀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였다. 즉, 고분자 미셀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소수성 부분인 내핵을 가교결합에 의해 화학적으로 고정함으로써 미셀을 화학적으로 안정화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연속상인 물에서 내핵을 구성하는 고분자가 가교 결합을 통해 안정한 구조를 이루기 위해서는 AB 또는 ABA형의 2중 또는 3중 블록 공중합체의 소수성 부분에 가교결합 물질(crosslinker)을 도입하여야 하는 제조상의 어려움이 있으며, 이들 가교결합 물질들은 인체에 적용한 예가 없어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자들이 출원한 바 있는 WO 97/10849에서는 이러한 가교결합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물리적으로 공중합체의 조성을 조절하여 양친성 생분해성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난용성 약물을 봉입하고 안정성을 향상시킨 시스템을 개시하였다. 이 시스템에서는 새로운 용해보조제 역할을 하는 양친성 생분해성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한 분산계를 이용하여 물에 난용성인 파클리탁셀을 물리적으로 봉입시켜 약물의 용해성을 높이고 약리 효과를 향상시킨 약물전달체 조성물 및 그것에 약물을 봉입하는 방법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WO 97/10849 에서 사용한 블록 공중합체의 친수성 부분과 소수성 부분의 연결 부위는 에스테르 결합(ester linkage)이므로 이 결합은 수상에서 존재할 때 가수분해에 의해 불안정하게 되므로 약물전달체가 불안정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파클리탁셀 및 이데베논을 포함하는 난용성 약물에 적합한 제형을 개발하기 위해 독성이 적은 양친성 생분해성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안정성 문제를 해결하고 파클리탁셀을 포함한 난용성 약물의 봉입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검토한 결과, 양친성 생분해성 블록 공중합체의 친수성 부분과 소수성 부분 사이의 에스테르 결합을 수상에서 보다 안정한 아미드 결합[Advanced Organic Chemistry3rd ed., Jerry March, p339;Thermodynam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 Academic press, New York, 1967; J. A. Kerr,Chem. Rev.,66, 465(1966)]으로 대체함으로써 수상에서 보다 안정하고 효과적인 약물전달체인 블록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이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제조한 코어-쉘(core-shell) 형 약물전달체를 이용하는 경우 파클리탁셀을 비롯한 난용성 약물의 안정성과 봉입률이 향상되었으며 지속적으로 약물을 방출하였고 약리 효과가 현저히 향상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파클리탁셀을 포함한 난용성 약물을 충분히 가용화할 수 있고 약리효과가 개선된 약물전달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클리탁셀을 포함한 난용성 약물 특히 불안정한 약물을 상기 약물전달체내로 봉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약물전달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약물전달체 조성물을 환자에게 비경구 또는 경구적으로 투여함으로써 파클리탁셀을 포함한 난용성 약물을 환자에게 전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생분해성 소수성 고분자와 친수성 고분자로서 폴리알킬렌글리콜 아민으로 구성된 양친성 생분해성 블록 공중합체로부터 형성된 코어-쉘(core-shell) 형 약물전달체의 모식도를 나타낸 그림이고,
도 2는 폴리에틸렌글리콜-아미드-폴리락티드 이중 블록 공중합체의1H-핵자기 공명 스펙트로스코피(1H-NMR)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은 폴리에틸렌글리콜-아미드-폴리락티드 이중 블록 공중합체의 2차원 코지 핵자기 공명 스펙트로스코피(2D COSY-NMR)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폴리에틸렌글리콜-아미드-폴리락티드 이중 블록 공중합체의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는 폴리에틸렌글리콜-아미드-폴리락티드 이중 블록 공중합체로 제조된 미셀전달체의 직경 분포 상태를 동적 광산란법(dynamic light scattering method)에 의해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폴리에틸렌글리콜-아미드-폴리락티드 이중 블록 공중합체의 미셀 형성률에 대한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gel filtration chromatography)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은 폴리에틸렌글리콜-아미드-폴리락티드 이중 블록 공중합체의 종류와 용매 증발법에 의해 봉입된 파클리탁셀 양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은 폴리에틸렌글리콜-아미드-폴리락티드 이중 블록 공중합체의 종류와 매트릭스 형성법에 의해 봉입된 파클리탁셀 양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9a 내지 9d는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락티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아미드-폴리락티드 이중 블록 공중합체의 초기 분자량 분포 및 이들을 1개월 동안 방치한 후의 분자량 분포를 각각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한 그래프이고,
도 10은 파클리탁셀이 함유된 폴리에틸렌글리콜-아미드-폴리락티드 이중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미셀 약물전달체의 용출 변화를 pH 7.4 인산염 완충용액에서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1은 이데베논이 함유된 폴리에틸렌글리콜-아미드-폴리락티드 이중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미셀 약물전달체의 용출 변화를 각각 정제수, 인공위액(pH 1.2) 및 인공장액(pH 6.8)에서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생분해성 소수성 고분자로서 폴리락티드, 폴리글리콜리드, 폴리락티드글리콜리드,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언하이드라이드, 폴리하이드록시 부티르산, 폴리오르토에스터, 폴리실록산 및 이들의 모노머로부터 제조된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와, 친수성 고분자로서폴리알킬렌글리콜 아민으로 구성된 블록 공중합체로부터 형성된 코어-쉘(core-shell) 형 약물전달체에 적어도 하나의 난용성 약물이 함유된 안정한 약물전달체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약물전달체는 기존의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락티드(PEG-PLA)와 같은 블록 공중합체의 친수성 블록과 소수성 블록의 결합을 가수분해에 의해 분해되기 쉬운 에스테르 결합으로부터 아미드 결합으로 대체함으로써 다음과 같이 개선된 양친성 생분해성 코어-쉘(core-shell)형 약물전달체이다.
첫째, 블록 공중합체의 친수성 부분과 소수성 부분의 아미드 결합은 가수분해에 대해 안정하므로 수상 및 분말상태에서 양친성 블록 공중합체 자체의 안정성이 높다.
둘째, 코어-쉘(core-shell) 형 약물 전달체 시스템을 이루는 각각의 친수성 블록-아미드-소수성 블록 공중합체들은 보다 안정한 코어-쉘(core-shell) 형 전달체를 형성하는데 이는 각각의 양친성 블록 공중합체 사이에 다음의 화학식 1과 같은 분자간 수소 결합(N-H……N)이 이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셋째, 코어-쉘(core-shell) 형 약물전달체의 소수성 내부에 봉입되어 있는 난용성 약물의 안정성이 효과적으로 증대되는데 이는 수소 결합에 의해 보다 안정한 코어-쉘(core-shell) 형 전달체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넷째, 난용성 약물의 봉입량이 증대되어 난용성 약물의 용해도가 현저히 향상되는데 이는 생성된 코어-쉘(core-shell) 형 전달체가 보다 안정한 소수성 내부를 형성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양친성 생분해성 약물 전달체는 분자 사슬 내의 아미드 결합과 분자 사슬 간의 수소 결합으로 인하여 보다 더 안정한 코어-쉘(core-shell) 형 약물 전달체를 형성하므로써 난용성 약물의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키고, 또한 난용성 약물의 가용화 정도를 현저히 증가시키며 지속적으로 약물을 방출하여 약물의 약리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구 또는 비경구적(예를 들면 주사제)으로 적용 가능한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코어-쉘(core-shell) 형 약물 전달체는 양친성 생분해성 블록 공중합체의 소수성 부분과 친수성 부분의 분자량을 조절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블록 공중합체의 소수성 블록과 난용성 약물 간의 상호 연관된 작용에 의해 난용성 약물의 봉입량, 안정성 및 용해성이 결정된다.
특히, 본 발명의 코어-쉘(core-shell) 형 약물전달체인 블록 공중합체 미셀 시스템은 수상에서 블록 공중합체의 소수성 부분은 미셀시스템의 내부를 형성하고, 친수성 부분은 표면에 위치하여 난용성 약물의 용해도를 현저히 증가시키므로써 난용성 약물을 체내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경구 및 비경구 적용(예를 들면 주사제)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코어-쉘(core-shell) 형 약물 전달체는 수상 및 분말상태에서 안정하게 존재하고, 충분한 양의 난용성 약물을 가용화할 수 있으며, 난용성 약물의 인체내 투여량 및 투여 시간을 감소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약물전달체 조성물은 비경구적(예를 들면 주사제)으로 투여된 경우 난용성 약물이 독성이 낮은 블록공중합체와 함께 안정한 수용액으로 투여되므로 부작용을 줄이면서 치료효과를 증대시킨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파클리탁셀 조성물은 기존 파클리탁셀 주사제의 경우 사용이 불가능한 가소화된 PVC 용기와 주사기 셋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 파클리탁셀 주사제에 사용한 정맥투여 튜브에 장착된 필터의 사용이 불필요하고, 중증의 과민 반응과 같은 독성이 현저하게 감소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약물 전달체 조성물은 경구투여된 경우 소화관내에서 생리학적 용액에 의해 쉽게 용해된 후 흡수되므로 난용성 약물의 생체이용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물전달체는 생분해성 고분자로부터 제조된 양친성 생분해성 코어-쉘(core-shell) 형 전달체를 이용하기 때문에 생체내에서 단순 가수분해 또는 가수분해 효소에 의해 독성이 없는 작은 분자로 분해되어 체내의 대사 과정에 참여하거나 바로 신장을 통하여 체외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생체 적합성이 우수하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에 대해 서술하면 본 발명에서는 생분해성 소수성 고분자로서 폴리락티드, 폴리글리콜리드, 폴리락티드글리콜리드,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언하이드라이드, 폴리하이드록시 부티르산, 폴리오르토에스터, 폴리실록산 및 이들의 모노머로부터 제조된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와 친수성 고분자로서 폴리알킬렌글리콜 아민으로 구성된 블록 공중합체로부터 형성된 코어-쉘(core-shell) 형 전달체를 형성함으로써 난용성 약물의 봉입률을 현저히 증가시키고 난용성 약물을 체내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보다 안정화된 코어-쉘(core-shell) 형 전달체내에 봉입된 약물을 지속적으로 방출하여 우수한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수용액 및 소화관 내의 생리학적 용액에 의해 친수성 고분자가 블록 공중합체의 외핵을 이루고 소수성 고분자가 내핵을 이루어 코어-쉘(core-shell) 형 전달체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코어-쉘(core-shell) 형 전달체의 내핵에 난용성 약물이 봉입되어 용해도의 향상을 통하여 치료효과가 발현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친수성 부분과 소수성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공중합체에 있어서, 친수성 부분으로는 폴리알킬렌글리콜 아민,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아민(poly(ethylene glycol) amine, 이하 PEG-NH2라 칭함)이 사용될 수 있다. 폴리에틸렌글리콜 아민 블록은 다음의 화학식 2 및 3과 같이 에틸렌옥시 단위가 서로 연결된 구조를 하고 있으며 한쪽 혹은 양쪽 말단에 아미노기가 존재한다.
R1O-[-CH2-CH2-O-]m-(CH2)a-NH2
여기에서, a 는 1 내지 20 의 정수이며, R1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이상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그룹이고, m은 1,250이하의 정수이다.
NH2-(CH2)aO-[-CH2-CH2-O-]m-(CH2)a-NH2
여기에서, a 는 1 내지 20 의 정수이고, m은 1,250이하의 정수이다.
한개 단위의 옥시그룹은 인접한 에틸렌옥시 단위의 에틸렌 그룹과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폴리알킬렌글리콜 아민의 분자량은 중량 평균 분자량으로서 500-55,000, 바람직하게는 1,000-20,000이다.
한편, 소수성 부분인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락티드(PLA), 폴리글리콜리드(PGA), 폴리락티드글리콜리드(PLGA),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언하이드라이드(polyanhydride), 폴리하이드록시 부티르산(poly(hydroxybutyric acid)), 폴리오르토에스터(polyorthoesters), 폴리실록산(polysiloxanes) 및 이들의 모노머로부터 제조된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생분해성 고분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락티드, 폴리글리콜리드, 폴리락티드글리콜리드, 폴리카프로락톤 및 이들의 모노머로부터 제조된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것으로 이들은 하기 화학식 4 및 5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생분해성 고분자의 분자량은 중량 평균 분자량으로서 300-50,000, 바람직하게는 1,000-20,000이다.
이들 소수성 부분은 친수성 부분인 폴리알킬렌글리콜 아민에 한 개 이상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R2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H3이고, n1과 n2는 각각 350이하의 정수이다.
-[-CO(CH2)5O-] l -H
여기에서,l은 450이하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 아민 친수성 부분(B)과 폴리락티드 소수성 부분(A)으로 구성된 이중 또는 삼중 양친성 블록 공중합체(AB 또는 ABA 형)는 하기 화학식 6 및 7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에서, R1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이상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그룹,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 그룹이고, a는 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의 정수이며, m은 1,250이하의 정수이고, n1은 700이하의 정수이며, n2는 350이하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약물 전달체에 사용되는 양친성 생분해성 블록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 아민 친수성 부분과 폴리락티드 소수성 부분으로 구성된 블록 공중합체의 분자 구조(화학식 6 및 7)에서 보듯이 친수성 부분과 소수성 부분의 연결이 아미드 결합으로 되어 있으므로 기존의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락티드(PEG-PLA)로 구성된 블록 공중합체(화학식 8)의 에스테르 결합과 비교할 때 수상에서 더욱 안정하다.
화학식 6
여기에서, 각 기호의 의미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여기에서, a 는 1 내지 20의 정수이고, R1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이상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그룹이며, m은 1,250이하의 정수이고, n1은 700이하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한 태양으로 코어-쉘(core-shell) 형 약물전달체 중 제조 및 보관이 용이하고, 적용시 수성 용매에 쉽게 재분산되는 형태를 가진 블록 공중합체 미셀 시스템이 있다.
본 발명의 약물전달체에 사용되는 블록 공중합체는 개환 중합 방법을 이용하여 합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친수성 부분(B)이 폴리에틸렌글리콜-아민(PEG-NH2)이고 소수성 부분(A)이 폴리락티드(PLA)로 구성된 AB형의 이중 블록 공중합체는 폴리락티드와 개시제로서 한쪽 말단에는 메톡시 그룹이 존재하고 다른 한쪽 말단에는 아민 그룹이 존재하는 모노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아민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ABA 형의 삼중 블록 공중합체는 폴리락티드와 개시제로서 양쪽 말단에 아민 그룹이 존재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민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친수성 및 소수성 부분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는 수성 용매중에서 소수성 부분이 내핵을 이루고 친수성 부분이 용매에 접하는 미셀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블록 공중합체의 친수성 부분에 대한 소수성 부분의 중량비를 0.1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5, 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로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물에 대한 용해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써 블록 공중합체 미셀에 난용성 약물을 봉입할 수 있다.
이러한 블록 공중합체 미셀의 소수성 부분 내핵에 물리적으로 봉입될 수 있는 난용성 약물은 마취제(analgesics), 소염진통제(anti-inflammatory agents), 살충제(anthelmintics), 항부정맥약(anti-arrhythmic agents), 페니실린(penicillins)을 포함하는 항생제(antibiotics), 항응고제(anticoagulants), 항우울제(antidepressants),당뇨병치료제(antidiabetic agents), 항간질제(antiepileptics), 항히스타민제(antihistamines), 항고혈압약(antihypertensive agents), 항암제(antineoplastic agents), 면역억제제(immunosuppressants), 갑상선치료제(antithyroid agents), 항바이러스제(antiviral agents), 진정제(anxiolytic sedatives), 수렴제(astringents), 항무스카린약(antimuscarinic agents), 항진균제(antifungal agents), 항결핵약(antimycobacterial agents), 베타-아드레날린수용체 차단약(beta-adrenoreceptor blocking agents), 심장수축제(cardiac inotropic agents), 조영제(contrasting agents), 코르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s), 진단약(diagnostic agents), 진단조영제(diagnostic imaging agents), 이뇨제(diuretics), 항파킨슨 치료제인 도파민 작용약(dopaminergics), 지혈제(hemostatics), 면역질환제(immunological agents), 지방조절제(lipid regulating agents), 근이완제(muscle relaxants), 기침억제제(cough suppressants), 부교감신경흥분제(parasympathomimetics), 부갑상선 calcitonin (parathyroid calcitonin),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s), 방사선제(radio-pharmaceuticals), 스테로이드(steroid)를 포함하는 성호르몬제(sex hormones), 항알러지약(anti-allergic agents), 흥분제(stimulants), 식욕억제제(anoretics), 교감신경흥분제(sympathomimetics), 갑상선약(thyroid agents), 혈관확장약(vasodilators), 영양물질(nutritional agents), 잔틴(xanthines) 및 인체내에 투여될 때 생리학적으로 활성을 나타내는 펩타이드(peptides),단백질(proteins), 탄수화물(carbohydrates), 핵산(nucleic acids), 지질(lipids), 다당류(polysaccharides)와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된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에서 진단약(diagnostic agent)으로서는 초음파 조영제(ultrasound contrast agent), 방사선 조영제(radiocontrast agent) 또는 자기 조영제(magnetic contrast agent)가 이용될 수 있고, 영양물질(nutritional agents)로서는 아미노산, 당류, 단백질, 탄수화물, 지질 용해 비타민 또는 이들의 조합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물전달체에 봉입될 수 있는 생리학적으로 활성인 난용성 약물로서는, 예를 들면, 파클리탁셀(paclitaxel), 파클리탁셀 유도체, 탁소티어(taxotere), 아드리아마이신(adriamycin), 테니포사이드(teniposide), 에토포사이드(etoposide), 다우노마이신(daunomycin),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미토마이신 C(mitomycin C), 카르무스틴(carmustine), 부설판(busulfan), 닥티노마이신(dactinomycin), 로무스틴(lomustine), 메게스트롤 아세테이트(megestrol acetate), 멜파란(melphalan), 마이토잔트론(mitoxantrone), 인도메타신(indomethacin), 에토도락(etodolac), 이부프로펜(ibuprofen), 캠포데신(camptothecin), 토포테칸(topotecan), 아스피린(aspirin), 이부프로펜(ibuprofen), 피록시캄(piroxicam), 시메티딘(cimetidine), 에스트로겐(estrogen),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코티손(cortisone), 하이드로코티손(hydrocortisone), 디플로라손(diflorasone), 페네스테린(phenesterine),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 미토탄(mitotane), 비사딘(visadine), 할로니트로소레아류(halonitrosoureas), 앤트로사이클린류(anthrocyclines), 엘립티신(ellipticine), 디아제팜(diazepam), 오메프라졸(omeprazole), 메톡시플루오란(methoxyfluorane), 이소플루오란(isofluorane), 엔플루오란(enfluorane), 할로탄(halothane), 벤조카인(benzocaine), 단트롤린(dantrolene), 바르비투레이트(barbiturates), 사이클로스포린 A(cyclosporin A), 아자티오프린(azathioprine), 암포테리신 B(amphotericin B), 나이스타틴(nystatin),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e), 비페닐 디메칠 디카르복실레이트(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e(DDB)), 이데베논(idebenone), 피포슬판(piposulfan), 다나졸(danazole), 헤모글로빈(hemoglobin) 및 그의 유도체 등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파클리탁셀(paclitaxel), 암포테리신 B(amphotericin B), 캠포데신(camptothecin), 비페닐 디메칠 디카르복실레이트(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e(DDB)), 이데베논(idebenone), 피포슬판(piposulfan), 다나졸(danazole), 사이클로스포린 A(cyclosporin A), 탁소티어(taxotere), 아드리아마이신(adriamycin), 테니포사이드(teniposide), 에토포사이드(etoposide),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e), 아자치오프린(azathioprine), 나이스타틴(nystatin), 헤모글로빈(hemoglobin) 및 그의 유도체, 토포테칸(topotekan), 오메프라졸(omeprazole) 및 에토도락(etodolac)이 본 발명의 약물 전달체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블록 공중합체 미셀에 상기와 같은 난용성 약물을 물리적으로 봉입시키기 위해서는 교반, 가열, 초음파 조사, 유화법(emulsion method)을 이용한 용매증발법, 매트릭스 형성 및 유기 용매를 이용한 투석법 등의 방법을 단독으로 또는 병행하여 사용한다.
(1) 교반법
블록 공중합체의 수성 용액에 약물을 넣고 3 내지 24 시간 동안 교반하여 약물이 봉입된 미셀을 얻는다.
(2) 가열법
블록 공중합체의 수성 용액에 약물을 첨가한 혼액을 40 내지 120℃에서 5분 내지 2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상온으로 냉각시키면서 교반하여 약물이 봉입된 미셀을 얻는다.
(3) 초음파 조사
블록 공중합체의 수성 용액에 약물을 첨가한 혼액을 1 내지 250W에서 10초 내지 1시간 동안 초음파 조사한 후 상온에서 교반하여 약물이 봉입된 미셀을 얻는다.
(4) 용매증발법
약물을 적절한 유기용매에 녹인 후, 블록 공중합체의 수성용액에 첨가하고, 유기 용매를 서서히 증발시켜 약물이 봉입된 미셀을 얻는다.
(5) 매트릭스 형성법
약물과 블록 공중합체를 적절한 유기 용매에 녹이고, 유기용매를 질소기류하에서 60℃, 2시간 동안 휘발시킨 후 생성된 약물-고분자 매트릭스에 수성용액을 첨가하여 약물이 봉입된 미셀을 얻는다.
(5) 투석법
약물을 적절한 유기용매에 녹이고, 여기에 블록 공중합체를 가하고 교반한 후 완충액에 대하여 투석하고 다시 물에 대하여 재 투석하여 약물이 봉입된 미셀을 얻는다.
투석법, 용매증발법 및 매트릭스 형성법에서 약물을 녹이는 유기용매로는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시드(DMSO),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디옥산, 클로로포름, n-헥산, 톨루엔, 디클로로메탄,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아세토니트릴, 아세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난용성 약물이 봉입된 블록 공중합체 용액을 여과한 후 동결건조 전후에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서 부형제, 안정화제, pH 조정제, 항산화제, 보존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사용하여 동결건조함으로써 난용성 약물이봉입된 블록 공중합체 고체 파우더를 제조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제(예를 들면 주사제)의 형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약물 전달체 조성물을 환자에게 비경구 또는 경구적으로 투여함으로써 파클리탁셀을 포함한 난용성 약물을 환자에게 전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친성 생분해성 블록 공중합체는 난용성 약물이 물리적인 방법을 통해 효과적으로 그의 내핵에 봉입되는 안정한 블록 공중합체 미셀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블록 공중합체 미셀 시스템은 약물 자체의 높은 소수성으로 인해 물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낮아 생체내에 투여하기 어려운 약물들을 수용성으로 만들어 줌으로써 약물 단독에 비해 낮은 독성의 범위로 약리 효과를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의 수용성 고분자화 약물에 비해 낮은 투여량으로도 동등한 약리 효과를 나타내는 비경구(예를 들면 주사제) 또는 경구용 의약품 제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블록 공중합체 미셀은 약물을 화학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기능기를 도입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다양한 난용성 약물을 양친성 생분해성 공중합체 미셀을 이용하여 봉입시켜 가용화 시킨 후 치료시스템에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폴리에틸렌글리콜-아미드-폴리락티드 이중 블록 공중합체의 합성
2g의 모노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아민(분자량 2,000)을 120℃에서 2시간 동안 감압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여기에 촉매로서 2.0mg의 옥탄산 제 1 주석(stannous octoate)을 가한 후 100℃에서 20 내지 30분간 감압(압력: < 30mtorr)하고, 반응물에 2.0g의 D,L-락티드를 가하고 130℃에서 13시간 동안 중합하였다. 생성된 블록 공중합체를 10㎖의 클로로포름을 가해 녹인 다음 계속 교반하면서 과량의 디에틸에테르를 소량씩 적가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수회 세척한 후 30℃에서 하루 동안 감압 건조하여 모노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아미드-폴리락티드 이중 블록 공중합체(이하 mPEG-NH-PLA, Di-A로 칭함) 3.3g을 얻었다(수율 82.5%, 손실량 포함).
제조된 블록 공중합체의 특성은 하기 표 1 에 나타내었으며, 6.5ppm 근처에서 아미드 결합(-NH-)이 존재함을 보여주는 1차원 핵자기공명(NMR) 및 2 차원 코지 핵자기공명(2D COSY-NMR) 스펙트로스코피(기기: Bruker사 DRX300, 용매: CDCl3)의 결과를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또한, 제조된 블록 공중합체의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 기기: Waters사 GPC 150C, 칼럼: Styragel HR1, HR3 및 HR4 연결, 유속: 1 ml/분, 폴리스타이렌 표준품을 기준물질로 사용함)에 의한 상대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를 도 4에 나타내었다.
공중합체 조성(NMR) 미셀의 입자크기(nm)a Mnb Mwb Mw/Mn
Di-A mPEG2,000-NH-PLA1,800 21.0±3.4 5,822 7,256 1.25
Tri-A PLA1,800-NH-PEG3,400-NH-PLA1,800 25±1.3 8,764 9,871 1.13
a동적 광산란법(dynamic light scattering)b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Mw: 중량평균분자량 Mn: 수평균분자량
제조예 2: 폴리에틸렌글리콜-아미드-폴리락티드 이중 블록 공중합체의 합성
제조예 1 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기 표 2에 기재된 각 성분을 사용하여 여러 이중 블록 공중합체들을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이중 블록 공중합체들의 제조량 및 수율은 다음과 같다.
블록 공중합체의 종류 반응물의 양 공중합체의 수득량(수율)(g(%))
mPEG(g) D,L-락티드(g) 옥탄산제 1 주석(mg)
mPEG2,000-NH-PLA1,000 2 1.1 1.1 2.35(75.8)
mPEG2,000-NH-PLA1,500 2 1.7 1.7 2.66(71.9)
mPEG2,000-NH-PLA2,000 2 2.2 2.2 3.11(74.0)
mPEG2,000-NH-PLA2,300 2 2.5 2.5 3.5(77.8)
mPEG2,000-NH-PLA3,500 2 4.0 4.0 4.01(66.8)
mPEG5,000-NH-PLA1,000 2 0.5 0.5 1.80(72.0)
mPEG5,000-NH-PLA2,100 2 1.0 1.0 2.27(75.7)
mPEG10,000-NH-PLA1,500 2 0.4 0.4 1.63(67.9)
제조예 3: 폴리락티드-아미드-폴리에틸렌글리콜-아미드-폴리락티드 삼중 블록 공중합체의 합성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민(분자량 3,400) 2g, D,L-락티드 2.35g, 옥탄산 제1주석 2.35mg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폴리락티드-아미드-폴리에틸렌글리콜-아미드-폴리락티드 삼중 블록 공중합체(이하 PLA-NH-PEG-NH-PLA, Tri-A로 칭함) 3.15g을 얻었다(수율 72.4%, 손실량 포함). 제조된 블록 공중합체의 특성은 상기 표 1 에 나타나 있다.
제조예 4: 블록 공중합체 미셀의 제조 및 특성
제조예 1 및 3에서 합성한 Di-A 및 Tri-A 블록 공중합체를 정제수에 0.01 내지 5%(w/v)의 농도로 용해하였다. 폴리에틸렌글리콜-아미드-폴리락티드 이중 블록 공중합체(Di-A)로부터 형성된 미셀의 직경 분포 상태를 동적 광산란(DLS; 기기: Photal사 DLS7000)에 의해 측정한 결과 단분산으로 좁은 분포 범위를 나타내었고(도 5), 이 공중합체 Di-A의 미셀 형성 여부를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GFC; 기기: HP 1100 series, 칼럼: Asahipak GS 520H, 유속: 1 ml/분))에 의해 확인하였다(도 6). Di-A 및 Tri-A로부터 형성된 미셀의 입자 크기는 상기 표 1 에 나타내었다.
한편, 폴리에틸렌글리콜-아미드-폴리락티드(Di-A) 이중 블록 공중합체 미셀과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락티드 이중 블록 공중합체 미셀의 수상에서의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해 정제수에 각 공중합체를 녹인 후 분자량 변화 여부를 GPC 에 의해 측정하였다. 이 때 GPC 측정에 사용한 용매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이었으며 사용한 컬럼은 스티라겔(Styragel) HR 2, 500A 1개와 스티라겔 HR3 및 103 2개를 연결하여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9a 내지 도9d에 나타내었으며, 도 9a는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락티드(mPEG2,000-PLA1,800)의 초기 분자량 분포를 나타낸 것이며, 도 9b는 도 9a의 블록 공중합체를 수상에서 1개월 동안 방치한 후 측정한 분자량 분포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그래프에서 알 수 있듯이 1개월 후에는 블록 공중합체가 분해되어 분자량이 작은 쪽으로 새로운 피크가 생겼다. 그러나 폴리에틸렌글리콜-아미드-폴리락티드(mPEG2,000-NH-PLA1,800)의 경우는 초기 분자량 분포(도 9c)와 비교하여 수상에서 1개월 후(도 9d)에도 큰 변화 없이 안정하게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파클리탁셀이 봉입된 블록 공중합체 미셀의 제조
(1) 교반법에 의한 봉입
제조예 1 에서 제조한 양친성 블록 공중합체 Di-A 300mg을 10㎖의 정제수에 녹이고 여기에 물에 난용성인 항암제 파클리탁셀 50mg을 첨가한 후 4시간 동안 교반하여 여과한 후 파클리탁셀이 봉입된 투명한 블록 공중합체 미셀 용액을 제조하였다.
(2) 가열에 의한 봉입
제조예 1 에서 제조된 양친성 블록 공중합체 Di-A 300mg을 정제수 10㎖에 넣어 녹이고 여기에 파클리탁셀 50mg을 첨가한 혼합액을 70℃에서 1시간 동안 마그네틱바로 교반하면서 가열한 후 냉각시키면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여과한 후 파클리탁셀이 봉입된 투명한 블록 공중합체 미셀 용액을 제조하였다.
(3) 초음파 조사에 의한 봉입
제조예 1 에서 제조된 블록 공중합체 Di-A 300mg을 정제수 10㎖에 넣어 녹이고 여기에 파클리탁셀 50mg을 첨가한 혼합액에 30초 동안 초음파를 조사한 후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여과하여 파클리탁셀이 봉입된 투명한 블록 공중합체 미셀 용액을 제조하였다.
(4) 용매증발법에 의한 봉입
파클리탁셀 50mg을 5㎖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별도로 제조예 1 에서 제조한 블록 공중합체 Di-A 300mg을 정제수에 녹인 후, 상기 파클리탁셀 용액을 공중합체 용액에 천천히 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여 디클로로메탄을 휘발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여과하여 파클리탁셀이 봉입된 투명한 블록 공중합체 미셀 용액을 제조하였다.
(5) 매트릭스 형성에 의한 봉입
파클리탁셀 50mg과 블록 공중합체 Di-A 300mg을 아세토니트릴 5ml에 녹이고 질소 분위기에서 60℃, 2시간 동안 용매를 휘발시켜 생성된 고분자-약물 매트릭스에 정제수 10ml를 가하여 40℃ 인큐베이터에서 2 내지 24시간 교반하여 여과한 후파클리탁셀이 봉입된 투명한 블록 공중합체 미셀 용액을 제조하였다.
(6) 투석법에 의한 봉입
5mg의 파클리탁셀을 5㎖의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에 용해시킨 용액에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양친성 블록 공중합체 Di-A 50mg을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 용액을 0.1M 인산염 완충액(pH 7.4)에 대해 5시간 동안 투석막(차단 분자량(molecular weight cutoff, MWCO) : 12,000)을 이용하여 투석한 후, 물을 사용하여 5 내지 24시간 동안 투석하여 여과한 후 파클리탁셀이 봉입된 투명한 블록 공중합체 미셀 용액을 제조하였다.
도 7은 제조예 1 및 2에서 합성한 여러 가지 양친성 이중 블록 공중합체에 용매증발법에 의해 봉입된 파클리탁셀의 양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mPEG2,000-NH- PLA1,000(A), mPEG2,000-NH-PLA1,800(B), mPEG2,000-NH-PLA2,300(C), mPEG5,000-NH-PLA1,000(D), mPEG5,000-NH-PLA2,100(E), mPEG10,000-NH- PLA1,500(F)에 대해 블록 공중합체의 농도를 50mg/ml로 하여 수성 용액에서 미셀을 제조하여 약물의 봉입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8은 제조예 1 및 2 의 방법으로 합성한 여러 가지 양친성 이중 블록 공중합체를 용매증발법에 의해 양호한 봉입량을 나타내는 분자량 분획을 선정하여 매트릭스 형성법에 의해 파클리탁셀의 봉입의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mPEG2,000-NH-PLA1,000(A), mPEG2,000-NH- PLA1,500(B), mPEG2,000-NH-PLA1,800(C), mPEG2,000-NH-PLA2,000(D), mPEG2,000-NH-PLA2,300(E), mPEG2,000-NH-PLA3,500(F)에 대해 블록 공중합체의 농도를 50mg/ml로 하여 수성 용액에서 미셀을 제조하여 약물의 봉입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7 및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블록 공중합체의 분자량이 mPEG2,000-NH-PLA(2,000±500)인 경우 가장 높은 봉입량을 나타내었으며, 블록 공중합체의 농도를 높이면 약물 봉입량이 증가하였고 블록 공중합체의 농도와 약물 농도를 조절하여 고분자 농도의 최대 35%까지 약물을 봉입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파클리탁셀의 물에 대한 용해도는 0.7 내지 30㎍/ml 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블록 공중합체 미셀에 파클리탁셀이 일반적인 용해도보다 약 1,000배 내지 40,000배 정도로 가용화되었으며, 양친성 블록 공중합체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파클리탁셀의 봉입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7) 블록 공중합체 미셀의 동결건조 및 재분산
실시예 1의 (1) ∼ (6)에서 제조한 양친성 블록 공중합체 미셀 용액을 동결건조한 후 여기에 정제수를 넣어 재 분산시켰을 때 투명한 미셀 약물 전달체 용액이 얻어졌다.
실시예 2: 파클리탁셀이 봉입된 블록 공중합체 미셀의 독성 시험
생후 5-6 주된 체중 약 30±10 g의 웅성 마우스 8마리를 4마리씩 두 개의 군으로 나누고, 파클리탁셀을 함유하는폴리에틸렌글리콜-아미드-폴리락티드(mPEG2,000-NH-PLA1,800) 블록 공중합체 미셀 제제(이하, paclitaxel-PM 이라 칭함)와 현재 시판되고 있는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사의 탁솔R(TaxolR) 주사제를 정해진 투여량으로 각각 하나의 군에게 24시간마다 15 ㎖/㎏의 투여 부피로 마우스 꼬리 정맥을 통하여 5일 동안 정맥투여한 후 LD50을 측정하였다. 사용된 제제의 조성은 하기 표 3과 같다.
투여제제의 조성
Paclitaxel-PM 탁솔R주사제
파클리탁셀 30mgmPEG2000-NH-PLA1800 180mg식염수 적량 파클리탁셀 30mg크레모포어(Cremophor ELR(BASF)) 2,635mg에탄올 1,980mg
각 제제의 1일 투여량 및 30일간 웅성마우스의 사망 유무를 관찰한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파클리탁셀이 함유된 블록 공중합체 미셀(paclitaxel-PM) 및 탁솔R주사제의 독성시험 결과
Paclitaxel-PM 사망수(사망일) 생존수(생존일) 생존율(%) LD50(mg/kg)
1일 투여량 (qd×5) (mg/kg) 동물수(n)
1006030비히클(889mg/kg) 4444 4(7)1(7)00 03(>30)4(>30)4 075100100 62.5
탁솔R 사망수(사망일) 생존수(생존일) 생존율(%) LD50(mg/kg)
1일 투여량 (qd×5)(mg/kg) 동물수(n)
20.013.09.06.04.0 44444 4(0)2(0), 2(2)2(5)1(2)0 002(>30)3(>30)4(>30) 005075100 9.75
표 4의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블록 공중합체 미셀 제제(paclitaxel-PM) 에 사용한 블록 공중합체(mPEG2,000-NH-PLA1,800)는 독성이 거의 없음을 알 수 있었으며 탁솔R주사제는 파클리탁셀이 봉입된 블록 공중합체 미셀 제제에 비해 6.4배 이상의 높은 독성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탁솔R주사제의 용해 보조제로 사용되는 크레모포아 ELR(BASF)에 기인하는 독성으로 판단된다. 또한본 실험에서 나타난 LD50는 탁솔R주사제에 비해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파클리탁셀이 봉입된 블록 공중합체 미셀 제제는 기존 탁솔R주사제에 비해 안전성이 향상된 제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 시 예 3: 파클리탁셀이 봉입된 블록 공중합체 미셀의 방출 실험
파클리탁셀이 봉입된 블록 공중합체 미셀의 용출률을 측정하기 위해 대한약전 제 2 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용출시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파클리탁셀을 함유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아미드-폴리락티드(mPEG2,000-NH-PLA1,800) 블록 공중합체 미셀 제제(paclitaxel-PM)와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사(BMS)의 탁솔R주사제(30 mg/5ml)를 1,000 ml의 용출액(인산염 완충액, pH 7.4)에 가하여 균일하게 용해시켰다. 차단 분자량이(molecular weight cutoff, MWCO) 12,000인 투석막(dialysis membrane)을 실험 전에 약 30분간 담구어서 상태를 안정화시킨 후 지지대에 고정하고 충분한 용적의 용출액과 패들(paddle)의 회전으로서 싱크 상태(sink condition)를 유지하였으며, 패들의 회전속도는 100rpm, 온도는 37±0.5℃로 유지하였다.
실험을 시작한지 0, 1, 2, 4, 8, 12, 24, 48, 72, 96, 120, 144, 168, 192, 216 시간에 투석막 안으로 여과된 용출액을 1ml씩 취하고, 37±0.5℃로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한 인산염 완충액(pH 7.4)을 동량 가하여 보충하였다. 각 시간별로 취한 시료는 동량의 아세토니트릴로 희석하고 HPLC로 정량하여 용출률을 계산하였으며, 216시간 동안의 용출률 변화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이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파클리탁셀을 함유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아미드-폴리락티드(mPEG2,000-NH-PLA1,800) 블록 공중합체 미셀 제제가 같은 용량의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사(BMS)의 탁솔R주사제보다 파클리탁셀을 오랜 시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방출하였으므로, 주사제로 투여할 때 부작용, 투여시간, 투여방법 및 치료효과가 향상된 투여제제로서 유효함을 예측할 수 있다.
실시예 4: 사이클로스포린 A가 봉입된 블록 공중합체 미셀의 제조
(1) 용매증발법에 의한 봉입
사이클로스포린 A 5mg을 1㎖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별도로 제조예 1에서 제조한 Di-A 양친성 이중 블록 공중합체 50mg을 5㎖의 정제수에 용해시켰다. 상기 사이클로스포린 A 용액을 공중합체 용액에 천천히 가하고 이 혼합 용액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여 디클로로메탄을 제거한 후 생성된 용액을 여과하여 사이클로스포린 A가 함유된 투명한 블록 공중합체 미셀을 제조하였다.
(2) 매트릭스 형성에 의한 봉입
사이클로스포린 A 5mg과 블록 공중합체 Di-A 200mg을 아세토니트릴 5ml에 녹이고 질소 분위기에서 60℃, 2시간동안 용매를 휘발시켜 생성된 고분자-약물 매트릭스에 정제수 10ml를 가하고 40℃ 인큐베이터에서 2 내지 24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여 사이클로스포린 A가 봉입된 투명한 블록 공중합체 미셀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아드리아마이신이 봉입된 블록 공중합체 미셀의 제조
(1) 용매증발법에 의한 봉입
아드리아마이신 2mg을 1㎖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별도로 제조예 1에서 제조한 Di-A 양친성 이중 블록 공중합체 150mg을 5㎖의 정제수에 용해시켰다. 상기 아드리아마이신 용액을 공중합체 용액에 천천히 가하고 이 혼합 용액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여 디클로로메탄을 제거한 후 생성된 용액을 여과하여 아드리아마이신이 함유된 투명한 블록 공중합체 미셀을 제조하였다.
(2) 매트릭스 형성에 의한 봉입
아드리아마이신 2mg과 블록 공중합체 Di-A 150mg을 아세토니트릴 5ml에 녹이고 질소 분위기에서 60℃, 2시간 동안 용매를 휘발시켜 생성된 고분자-약물 매트릭스에 정제수 1ml를 가하고 40℃ 인큐베이터에서 2 내지 24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여 아드리아마이신이 봉입된 투명한 블록 공중합체 미셀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암포테리신 B가 봉입된 블록 공중합체 미셀의 제조
(1) 용매증발법에 의한 봉입
암포테리신 B 5mg을 1㎖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별도로 제조예 1에서 제조한 Di-A 양친성 이중 블록 공중합체 150mg을 5㎖의 정제수에 용해시켰다. 상기 암포테리신 B 용액을 공중합체 용액에 천천히 가하고 이 혼합 용액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여 디클로로메탄을 제거한 후 생성된 용액을 여과하여 암포테리신 B가 함유된 투명한 블록 공중합체 미셀을 제조하였다.
(2) 매트릭스 형성에 의한 봉입
암포테리신 B 5mg과 블록 공중합체 Di-A 200mg을 아세토니트릴 5ml에 녹이고 질소 분위기에서 60℃, 2시간 동안 용매를 휘발시켜 생성된 고분자-약물 매트릭스에 정제수 1ml를 가하고 40℃ 인큐베이터에서 2 내지 24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여 암포테리신 B가 봉입된 투명한 블록 공중합체 미셀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이데베논이 봉입된 블록 공중합체 미셀의 제조
(1) 용매증발법에 의한 봉입
이데베논 10mg을 1㎖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별도로 제조예 1에서 제조한 Di-A 양친성 이중 블록 공중합체 150mg을 5㎖의 정제수에 용해시켰다. 상기이데베논 용액을 공중합체 용액에 천천히 가하고 이 혼합 용액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여 디클로로메탄을 제거한 후 생성된 용액을 여과하여 이데베논이 봉입된 투명한 블록 공중합체 미셀을 제조하였다.
(2) 매트릭스 형성에 의한 봉입
이데베논 10mg과 블록 공중합체 Di-A 200mg을 아세토니트릴 5ml에 녹이고 질소 분위기에서 60℃, 2시간 동안 용매를 휘발시켜 생성된 고분자-약물 매트릭스에 정제수 1ml를 가하고 40℃ 인큐베이터에서 2 내지 24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여 이데베논이 봉입된 투명한 블록 공중합체 미셀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 시 예 8: 이데베논이 봉입된 블록 공중합체 미셀의 방출 실험
이데베논이 봉입된 블록 공중합체 미셀의 용출률을 측정하기 위해 대한약전 제 2 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용출시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7에서 제조된 이데베논 10mg 함유 블록 공중합체 미셀(idebenon-PM)을 1,000 ml의 용출액(정제수)에 가하여 균일하게 용해시켰다. 차단분자량(molecular weight cutoff, MWCO)가 12,000인 투석막(dialysis membrane)을 실험 전에 약 30분간 담구어서 상태를 안정화시킨 후 지지대에 고정하고 충분한 용적의 용출액과 패들(paddle)의 회전으로서 싱크 상태(sink condition)를 유지하였으며, 패들의 회전속도는 100rpm, 온도는 37±0.5℃로 유지하였다.
실험을 시작한지 0, 1, 2, 4, 8, 12, 24, 48, 72, 96, 120, 144, 168, 192, 216 시간에 투석막 안으로 여과된 용출액을 1ml씩 취하고, 37±0.5℃로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한 정제수를 동량 가하여 보충하였다. 각 시간별로 취해진 시료는 동량의 메탄올로 희석한 후 HPLC로 정량하여 용출율을 계산하였다.
실시예 7에서 제조된 이데베논 10mg 함유 블록 공중합체 미셀의 pH에 대한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용출액으로서 인공 위액(pH 1.2)과 인공장액(pH 6.8)을 사용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 용출실험을 하였다. 또한 상기 실험과의 비교를 위하여 현재 국내에서 발매되고 있는 한일약품(주)의 케다논(KedanonR) 정제를 대조약으로 하여 동일하게 실험하였다.
216시간 동안의 용출률 변화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은 각각 정제수, 인공 위액(pH 1.2)및 인공장액(pH 6.8)에서의 이데베논 함유 블록 공중합체 미셀과 케다논 정제의 시간에 따른 용출률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데베논을 함유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아미드-폴리락티드(mPEG2000-NH-PLA1800) 블록 공중합체 미셀 제제는 같은 용량의 이데베논 제제(KedanonR정제)보다 용출률이 향상되었고, 오랜 시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방출하므로, 경구제로서 투여할 때 용출률 향상으로 인해 생체이용률(bioavailability)이 향상된 투여제제로서 유용함을 예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친수성 부분과 소수성 부분이 아미드 결합으로 연결된 양친성 생분해성 블록 공중합체 미셀에 물에 난용성인 약물을 교반, 가열, 초음파 조사, 용매증발, 매트릭스 형성, 투석 등의 물리적인 방법으로 봉입시켜 제조된 약물 전달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난용성 약물의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키고, 또한 난용성 약물의 가용화 정도를 현저히 증가시키며 지속적으로 약물을 방출하여 약물의 약리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구 또는 비경구(예를 들면 주사제)적으로 약물의 효과적인 체내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약물 전달체는 양친성 블록 공중합체의 생분해성 소수성 고분자 및 친수성 고분자가 아미드 결합으로 연결되므로 양친성 블록 공중합체 및 이로부터 형성된 미셀의 안정성이 높고, 코어-쉘 형 약물전달체 내부로의 난용성 약물 봉입률 및 안정성이 높으며, 보다 안정한 소수성 내부가 형성되므로써 난용성 약물의 용해도가 현저히 증가되고, 지속적인 약물 방출로 난용성 약물의 효과적인 체내 전달이 이루어져 비경구 또는 경구적으로 약물의 약리효과를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는 안정한 약물전달 시스템이다

Claims (6)

  1. (1)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20,000인, 폴리락티드, 폴리글리콜리드, 폴리락티드글리콜리드,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언하이드라이드, 폴리하이드록시 부티르산, 폴리오르토에스터, 폴리실록산 및 이들의 모노머로부터 제조된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생분해성 소수성 고분자와,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20,000인 친수성 고분자인 폴리알킬렌글리콜 아민으로 구성되고, 상기 친수성 고분자에 대한 상기 생분해성 소수성 고분자의 중량비가 0.1 내지 25인 양친성 블록 공중합체로부터 형성된 코어-쉘(core-shell) 형 약물전달체; 및
    (2) 상기 코어-쉘형 약물전달체에 물리적으로 봉입된 적어도 하나의 난용성 약물
    로 이루어지며, 수용액 환경에서 상기 난용성 약물을 가용화하여 효과적인 약물의 체내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약물전달체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가 생분해성 소수성 고분자(A 블록) 및 친수성 고분자(B 블록)로 구성된 AB 이중블록(diblock) 또는 ABA 삼중블록(triblock) 공중합체이고, 여기서 A블록과 B블록은 아미드 결합(amide linkage)으로 연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전달체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 아민이 폴리에틸렌글리콜 아민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전달체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소수성 고분자가 폴리락티드, 폴리글리콜리드, 폴리락티드글리콜리드, 폴리카프로락톤 및 이들의 유도체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난용성 약물이 파클리탁셀(paclitaxel), 암포테리신 B(amphotericin B), 캠포데신(camptothecin), 비페닐 디메칠 디카르복실레이트(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e(DDB)), 이데베논(idebenone), 피포슬판(piposulfan), 다나졸(danazole), 사이클로스포린 A(cyclosporin A), 탁소티어(taxotere), 아드리아마이신(adriamycin), 테니포사이드(teniposide), 에토포사이드(etoposide),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e), 아자치오프린(azathioprine), 나이스타틴(nystatin), 헤모글로빈(hemoglobin) 및 그의 유도체, 토포테칸(topotekan), 에토도락(etodolac) 및 오메프라졸(omeprazole)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전달체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소수성 고분자가 폴리락티드이고, 상기 친수성 고분자가 폴리에틸렌글리콜 아민이며, 상기 난용성 약물이 파클리탁셀(paclitaxel), 암포테리신 B(amphotericin B), 캠포데신(camptothecin), 비페닐 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e(DDB)), 이데베논(idebenone), 피포슬판(piposulfan), 다나졸(danazole), 사이클로스포린 A(cyclosporin A), 탁소티어(taxotere), 아드리아마이신(adriamycin), 테니포사이드(teniposide), 에토포사이드(etoposide),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e), 아자치오프린(azathioprine), 나이스타틴(nystatin), 헤모글로빈(hemoglobin) 및 그의 유도체, 토포테칸(topotekan), 에토도락(etodolac) 및 오메프라졸(omeprazole)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전달체 조성물.
  6. (1)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20,000인, 폴리락티드, 폴리글리콜리드, 폴리락티드글리콜리드,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언하이드라이드, 폴리하이드록시 부티르산, 폴리오르토에스터, 폴리실록산 및 이들의 모노머로부터 제조된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생분해성 소수성 고분자와,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20,000인 친수성 고분자인 폴리알킬렌글리콜 아민으로 구성되고, 상기 친수성 고분자에 대한 상기 생분해성 소수성 고분자의 중량비가 0.1 내지 25인 양친성 블록 공중합체를 수성 용매 또는 유기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공중합체 용액 또는 분산체로서 코어-쉘(core-shell) 형 약물전달체를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블록 공중합체 용액 또는 분산체에 난용성 약물을 봉입하기 위해 교반법, 가열법, 초음파 조사법, 용매증발법, 매트릭스 형성법, 투석법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상기 공중합체로 된 코어-쉘(core-shell) 형 약물전달체에 상기 난용성 약물을 물리적으로 봉입시키는단계; 및
    (3) 상기 난용성 약물이 봉입된 블록 공중합체 용액을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난용성 약물이 봉입된 블록 공중합체 고체 파우더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 1 항의 블록 공중합체 약물전달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19980003044A 1998-02-04 1998-02-04 난용성약물함유시스템 KR100289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3044A KR100289074B1 (ko) 1998-02-04 1998-02-04 난용성약물함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3044A KR100289074B1 (ko) 1998-02-04 1998-02-04 난용성약물함유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9033A KR19990069033A (ko) 1999-09-06
KR100289074B1 true KR100289074B1 (ko) 2001-07-12

Family

ID=37517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3044A KR100289074B1 (ko) 1998-02-04 1998-02-04 난용성약물함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907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0827B1 (ko) * 1999-08-14 2002-11-18 주식회사 삼양사 난용성 약물을 가용화하기 위한 고분자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16242B1 (ko) * 1999-12-22 2004-01-31 주식회사 삼양사 약물전달체용 생분해성 블록 공중합체의 액체 조성물 및이의 제조방법
KR100957125B1 (ko) 2008-01-14 2010-05-11 한국과학기술원 생체 고분자와 난용성 물질의 접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121614A (ko) * 2018-04-18 2019-10-28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암포테리신 b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용 나노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101B1 (ko) * 2000-12-07 2004-08-30 주식회사 삼양사 수난용성 약물의 서방성 제형 조성물
KR100492805B1 (ko) * 2001-10-18 2005-06-07 주식회사 삼양사 안정성이 향상된 고분자 미셀 조성물
KR100531269B1 (ko) * 2001-12-04 2005-11-28 주식회사 삼양사 수용액에서 안정한 미셀 또는 나노 파티클을 형성하는고분자 조성물
KR100502840B1 (ko) * 2002-09-04 2005-07-21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약물 담지능력이 우수한 블록 공중합체 미셀 조성물
KR100560069B1 (ko) * 2002-11-29 2006-03-13 주식회사 태평양 생분해성 양친성 블록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54728B1 (ko) * 2004-06-16 2011-08-05 (주)아모레퍼시픽 난용성 발모 및 육모 생리활성 물질인 사이클로스포린을포함하는 나노입자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967113B1 (ko) * 2003-12-03 2010-07-05 (주)아모레퍼시픽 코엔자임 q10을 함유한 자기회합성 고분자 나노입자 및이를 함유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05000258A1 (en) * 2003-06-27 2005-01-06 Amorepacific Corporation Self-assembled polymeric nanoparticles containing physiologically active ingredients and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the nanoparticles
KR101054731B1 (ko) * 2004-06-16 2011-08-05 (주)아모레퍼시픽 난용성 발모 및 육모 생리활성 물질인 피나스테라이드를포함하는 나노입자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967114B1 (ko) * 2003-12-16 2010-07-05 (주)아모레퍼시픽 폴리카프로락톤에 기반한 양친성 고분자를 이용한 에멀전타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160980B1 (ko) 2010-08-10 2012-06-29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실록산-폴리락타이드 블록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ES2865055T3 (es) 2017-06-22 2021-10-14 Snbioscience Inc Partícula y composición farmacéutica que comprenden un compuesto de camptotecina insoluble con estructura de núcleo-cubierta doble y método para fabricar las mismas
KR102141487B1 (ko) * 2018-02-08 2020-08-05 최만재 인장강도와 유연성이 개선된 생분해성 수술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0827B1 (ko) * 1999-08-14 2002-11-18 주식회사 삼양사 난용성 약물을 가용화하기 위한 고분자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16242B1 (ko) * 1999-12-22 2004-01-31 주식회사 삼양사 약물전달체용 생분해성 블록 공중합체의 액체 조성물 및이의 제조방법
KR100957125B1 (ko) 2008-01-14 2010-05-11 한국과학기술원 생체 고분자와 난용성 물질의 접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121614A (ko) * 2018-04-18 2019-10-28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암포테리신 b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용 나노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051549B1 (ko) 2018-04-18 2019-12-03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암포테리신 b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용 나노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9033A (ko) 199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 et al. Polymeric nanomedicines for poorly soluble drugs in oral delivery systems: An update
KR100289074B1 (ko) 난용성약물함유시스템
Zheng et al. Improving breast cancer therapy using doxorubicin loaded solid lipid nanoparticles: Synthesis of a novel arginine-glycine-aspartic tripeptide conjugated, pH sensitive lipid and evaluation of the nanomedicine in vitro and in vivo
US6322805B1 (en) Biodegradable polymeric micelle-type drug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Hou et al. Phytosomes loaded with mitomycin C–soybean phosphatidylcholine complex developed for drug delivery
JP4537641B2 (ja) 安定な高分子ミセル形態の薬物組成物
Gothwal et al. Polymeric micelles: recent advancements in the delivery of anticancer drugs
Kwon Polymeric micelles for delivery of poorly water-soluble compounds
JP4049588B2 (ja) ブロック共重合体の相分離による高分子ミセルの製造方法
KR100360827B1 (ko) 난용성 약물을 가용화하기 위한 고분자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Wee Gan et al. Nanomedicine: enhancement of chemotherapeutical efficacy of docetaxel by using a biodegradable nanoparticle formulation
JP2015034172A (ja) タキサン含有両親媒性ブロック共重合体ミセル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1088688A1 (zh) 以氨基酸为稳定剂的聚合物胶束载药系统
KR101180558B1 (ko) 암의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수행하는 항암제
KR20100076862A (ko) 난용성 약물을 함유한 고분자 미셀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5853403B (zh) 一种紫杉醇棕榈酸酯脂质体及其制备方法
KR100502840B1 (ko) 약물 담지능력이 우수한 블록 공중합체 미셀 조성물
JP2011105792A (ja) ブロックコポリマー、ブロックコポリマー−金属錯体複合体、及びそれを用いた中空構造体キャリア
Zhu et al. Enhanced tumor targeting and antitumor efficacy via hydroxycamptothecin-encapsulated folate-modified N-succinyl-N′-octyl chitosan micelles
Ye et al. Improved paclitaxel delivery with PEG-b-PLA/zein nanoparticles prepared via flash nanoprecipitation
CN107126425A (zh) 一种丹参酮iiapeg‑plga‑peg纳米粒及其制备方法
JP6625972B2 (ja) 薬物送達用の自己集積ブラシブロックコポリマーナノ粒子
Xu et al. The design and synthesis of redox-responsive oridonin polymeric prodrug micelle formulation for effective gastric cancer therapy
WO2017084522A1 (zh) 一种新型抗癌药物纳米制剂及其制备方法
KR20200122255A (ko) 폴리 아크릴산 그래프트 다면체 올리고머 실세스퀴옥산을 이용한 pH 민감성 약물전달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