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2767A - 승객 및/또는 화물 수용을 위해 지정된 선체를 가진 상선 - Google Patents

승객 및/또는 화물 수용을 위해 지정된 선체를 가진 상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2767A
KR20020042767A KR1020017016570A KR20017016570A KR20020042767A KR 20020042767 A KR20020042767 A KR 20020042767A KR 1020017016570 A KR1020017016570 A KR 1020017016570A KR 20017016570 A KR20017016570 A KR 20017016570A KR 20020042767 A KR20020042767 A KR 20020042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hip
key
propeller
merch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6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7965B1 (ko
Inventor
한스 반마메렌
페터 안데르젠
볼프강 쟈드키
한네스 슐체호른
Original Assignee
칼 하인쯔 호르닝어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하인쯔 호르닝어,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칼 하인쯔 호르닝어
Publication of KR20020042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2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7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79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B63B1/04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the underpart of which being partly provided with channels or the like, e.g. catamaran 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0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 B63H1/1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propulsiv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22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non-mechanical gearing
    • B63H23/24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non-mechanical gear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6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in recesses; with stationary water-guiding elements; Means to prevent fouling of the propeller, e.g. guards, cages 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08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 B63H5/1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of coaxial type, e.g. of counter-rotative ty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revention Of Electric Corrosion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Toy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승객 및/또는 화물 수용을 위해 지정된 선체를 가진 상선
승객 및/또는 화물 수용을 위해 지정된 선체를 가진 상선에는, 추진 유닛으로서 하나 이상의 회전식 키 프로펠러가 장착되며, 바람직하게 박스 모양의 연결 유닛 내에 있는 상기 키 프로펠러는 선체의 후미에 배치되며, 또한 키 프로펠러의 조종을 위한 필수 부품들이 선체 내에 위치하며, 상기 키 프로펠러에는 하나의 전기 프로펠러 모터가 구비되는 가운데, 키 프로펠러의 제어를 위한 기계 부품 및 키 프로펠러의 전기 모터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전자 부품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기능 모듈에 통합되며, 상기 기능 모듈은, 특히 표준형 컨테이너의 형태로서, 그 생산지에서 기능성이 완벽하게 테스트되어 선급 협회로부터 인수될 수 있도록 제조되고, 컨테이너 바닥의 구조로 인하여 선박이 제작되는 어떤 지역에서든지 조립이 가능한, 운송용 컨테이너로서 형성된다.

Description

승객 및/또는 화물 수용을 위해 지정된 선체를 가진 상선{MERCHANT NAVY VESSEL COMPRISING A HULL THAT IS PROVIDED FOR ACCOMMODATING GOODS AND/OR PEOPLE}
전술한 내용과 일치하는 선박은 독일 실용 신안품 G 69 37 931.3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문서에서는 하나의 키 프로펠러-추진 유닛이 소개되는데, 이 키 프로펠러-추진 유닛은 소위 베이스 박스라고 하는 곳에 배치되며, 선체 내에는 이 유닛을 위한 전자 부품 및 기계 부품이 존재하여야 한다. 그 밖에 DE 34 26 333 C2에서는, 상기 문서와 관련하여, 프로펠러 축이 있는 선박 추진 장치용으로서 교체형 모터-기어 모듈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공지된 모터-기어 모듈은 상부로부터 선체 안으로 설치가 가능하며 선체와 결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승객 및/또는 화물 수용을 위해 지정된 선체 및 바람직하게는 추진 유닛으로서 하나 이상의 회전식 키 프로펠러를 가진 상선에 관한 것이며, 박스 모양의 연결 유닛 내에 있는 상기 추진 유닛은 선체의 후미에 배치되며, 또한 키 프로펠러의 조종을 위한 필수 부품들이 선체 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은 예컨대 도면에 의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의해서, 종속항에 의해서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세부 사항들이 추측될 수 있다.
도 1은 선박 추진시스템에 있어서 기능성 컨테이너를 단면으로 도시한 원리도이며;
도 2는 후미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 전자 키 프로펠러가 있는, 선박의후미를 단면으로 도시한 원리도이며;
도 3은 도 2에 따른 선박의 후미를 단면으로 도시한 원리도이며;
도 4는 선박 운항 설비에 대한 기능 모듈을 포함하고 있는 컨테이너를 도시한 원리도이며; 그리고
도 5는 도 3과 상응하여 기능 모듈을 포함하고 있는 컨테이너를 나타내는 또 다른 실시예를 단면으로 도시한 원리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 알려진 추진-기능 모듈 작동 방식을 능가하여, 전체선박 추진 설비 및 경우에 따라서는 선박 제어 설비에 있어 비용면에서 아주 저렴하게 구현되는, 키 프로펠러를 가진 선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선의 경우에 이제까지는 전기 부품 및 전자기계 부품이 개별적으로 조립 장소, 즉 조선소로 보내지는 것이 통상적이었다. 전자 부품 및 전자기계 부품은 : 발전기, 모터, 변압기, 고압 개폐장치, 변환기 설비, 재 냉각장비, 배선, 제어 부스 등이다. 상기 부품은 다양한 제작자들이 선급 협회의 공사 감리하에서 제작한다. 이어서 각각의 배송지에 따라 육상용 또는 해상용으로 포장된다. 개별 화물은 물류 운송되어 수취된다. 이 전자 부품 및 전자기계 구성 부품은 조선소 직원들에 의해서 배 안으로 운반되고, 이에 적합하게 제공된 베이스 위에 놓여지고 고정된다. 그런 다음 각각의 구성 부품은 전문가에 의해서 케이블이 연결되고 접속된다. 이 부품의 케이블화는 시스템 공급자에 의해서 점검되어 시스템이 작동되도록 한다. 시험 가동 및 조선소에서의 성능 시험 동안에 상기 시스템들이 점검되며 선급 협회 및 최종 수취자에게 인수된다. 상기와 같은 공지된 기존 방식은, 예컨대 조선소가 극동지역에 위치하고 부품은 유럽에서 제작되는 경우라면, 매우 높은 비용을 유발한다. 이와 같은 고비용은 또한 디젤 발전식 선박과 같은 특수 선박에 있어서는 더욱 빈번하게 발생된다. 더욱이 시스템 공급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먼 거리의 이들의 출장으로 인해 비싼 인건비를 유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점점 세계시장 점유율이 확대되고 있는 회전식 키 프로펠러를 가진 특수 선박에 있어서 인건비 및 운송비를 절감할 수 있는 모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 경우에 무엇보다 공급된 부품에 대한 기능 안전도가 상승되어야 하는데, 즉 "신흥 시장"에 배치된, 특히 최신의 디젤 발전식 선박에 대해 알지 못하는 사람에 의해서 부품들의 접속이 잘못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
상기 목적은, 키 프로펠러가 하나의 전기 프로펠러 모터를 구비하는 가운데, 키 프로펠러의 제어를 위한 기계 부품 및 키 프로펠러의 전기 모터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전자 부품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기능 모듈에 통합되며, 상기 기능 모듈은 특히 표준형 컨테이너의 형태로서, 그 제작 장소에서 기능성이 완벽하게 테스트되어 선급 협회로부터 인수될 수 있도록 제조되고, 컨테이너 바닥의 구조로 인하여 선박이 제작되는 어떤 지역에서든지 조립이 가능한, 운송용 컨테이너로서 형성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술적인 해결책을 통해서 공지된 선행 기술에 비해 선박 제조시 상당한 비용이 - 10% 이상 산출됨 - 절감된다. 그 밖에 선박 추진 설비에 대한 기능 안전도 역시 향상되는데, 그것은 개별적인 추진 부품이 전문가의 방식으로 조립되고 서로 결합되기 때문이다. 또한 수리 역시 간편해지는데, 그것은 공급된 부품이 분류별로 생산지에서 제공된 방식으로 선박 내에 조립되기 때문이다. 계획했던 상태와 실제 상태 사이의 오차가 더이상 나타나지 않음으로써, 상당히 향상된 수리 신뢰도 및 원격 진단에 대한 개선된 가능성이 생겨난다. 바람직하게는 각 컨테이너마다 원격 진단 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원격 진단 유닛 또는 이와 유사한 유닛은 바람직하게 컨테이너 또는 키 프로펠러 내에 있는 기능- 부품에 대한 일상 점검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선사 센터에 의해서 이미 모든 선박의 점검에도 사용되고 있는 국제 해사 위성 기구(INMARSAT)-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형성에서는 운송용 컨테이너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한 측면부 및 덮개부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분리 가능한 측면부 및 덮개부를 구비함으로써, 선박 추진 설비로의 접근이 용이해지며 또한 개별 부품의 유효성이 기존의 공개된 제작 방식에 적합하도록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성에서는 기능 모듈이 선박 내의 베이스 위에 설치되어 선박과 고정 결합된다. 이 기능 모듈이 선박과 고정 결합될 때는 용접 또는 나사로 고정 결합된다. 그래서 선박과 기능 모듈의 결합이 비용면에서 상당히 저렴하게 이루어진다. 전투함에 있어서도 예컨대 DE 34 24 067 C2의 해결책이 공지되어 있는데, 전투함의 경우 포격에 대한 안전성 향상을 위하여 각각의 대포에는, 예컨대 대포 기능을 위한 필수 전자 장비가 구비된, 각각의 유닛 컨테이너가 제공된다. 그러나 상기 컨테이너는 진동 소자를 통해서 탄력적으로 매달리게 되며, 그렇지 않으면 편차가 있도록 계획된다. 상기 컨테이너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그 목적에 관련한 지침을 주지 못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성에서는 기능 모듈에 접속 준비된 유압식 유출 라인 및 유압식 공급 라인, 냉각수 유출 라인 및 냉각수 공급 라인뿐만 아니라, 특수 공법의 고압선, 제어 케이블 및 신호 케이블이 구비된다. 위와 같은 형성은 각 기능성 컨테이너가 각기 부여된 요구 조건들을 완수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컨테이너가 계속 운반되어짐에도 불구하고, 상기 컨테이너 내에 조립된 부품은 최종 조립 후에 각기 부여된 모든 요구 조건들을 완수한다. 이것은 특히 냉각 및 유압적으로 일어나는 운동의 생성, 예컨대 전자 키 프로펠러의 회전 운동에 효력을 발휘한다.그러므로 상기 기능성 컨테이너는 전자식일 뿐만 아니라 기계식 및 유압식으로도 완벽한 기능이 갖춰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성에서는 바람직하게 선박 운항 설비에 3개 이상의 기능 모듈이 구비되며, 이 기능 모듈은 3개의 시스템 구성요소: 에너지 발전 설비, 에너지 분배 설비 그리고 선박-프로펠러 드라이브를 포함한다. 다른 모든 기능 모듈과 마찬가지로 조선소에서 이미 완전하게 조립되어 운반된 상기 선박-프로펠러 드라이브는 예외적으로 오직 표준형-컨테이너에만 적합하다. 전자 프로펠러가 견고한 외벽를 구비하고 있고 그 밖에도 전자 프로펠러를 둘러싸고 있는 물에 대하여 완전하게 캡슐화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정도의 포장은 초기 조립 계획이 소홀히 되지 않는 한 생략될 수 있다. 그러므로 초기에 완벽하게 완성된 기능 유닛을 포함하며 더 이상의 추가 포장을 필요로 하지 않는 토탈 모듈 시스템이 구성된다.
각기 모듈에는 바람직하게 인공위성 자동위치 측정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수신기 및 위치 송신기가 제공된다. 그러므로 송달중에 있는 모듈의 정확한 경로추적이 가능하다. 위험물용 컨테이너나 유해한 화물을 적재한 컨테이너에 대하여 위와 상응하는 기술들이 공지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도난 방지를 위해서 상기 인공위성 자동위치 측정 시스템-수신기 및 위치 송신기에는 에너지 공급 장치가 컨테이너 내부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안테나 설비는 컨테이너 외벽에 위치한다. 송신기, 수신기 및 안테나 등은 해체가 가능하여, 목적이 달성된 후에는 재사용을 위해 회송된다. 이와 같이 송달시에 전체적인 감시가 이루어지는 기능성 컨테이너가 사용됨으로써 기존 송달에서보다 상당히 향상된 송달에 대한 안전성이 보장된다. 여기서는 흔히 일어나는 일로써 조선소에서든, 운반 도중이든, 부품의 도난을 말한다.
선박 내의 조립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기능 모듈에 있어서는, 상기 기능 모듈이 후미에 배치되고, 키 프로펠러에 최대한 가깝게 위치한다. 그러므로 바람직하게 전기 라인 및 유압 라인이 짧아지며, 회전식 전자 키 프로펠러의 특별한 장점이 되는 바; 선박의 내부공간이 최대한 활용될 수 있고, 특수한 방식으로 유지될 수 있다. 각각의 기능성 컨테이너가 예컨대 키 프로펠러 유닛의 조립 영역에 인접한 영역에 근접하여 배치된다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성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컨테이너 내에 디젤 발전기 세트가 구비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디젤 발전기 세트는 선두 또는 사이드 탱크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선박 내에 선박의 수평에 특히 바람직한 디젤 발전기 설비의 배치가 가능하다. 컨테이너의 외부면에 대하여 상기 디젤 발전기 세트를 가능한 한 완전히 캡슐화하는 것은 특히 바람직하다.
안전성을 이유로 이중코일 시스템을 가진 전자 키 프로펠러가 형성되거나 또는 처음부터 선박당 2개의 키 프로펠러가 장치된다. 어떠한 경우든지 필수 전자 부품, 유압 부품 그리고 그 밖의 부품의 수용을 위한 2개의 기능성 컨테이너가 존재한다면 특히 바람직하다.
앞서 묘사한, 2개의 키 프로펠러가 장착된 선박에 있어서, 각 키 프로펠러마다 하나씩의 컨테이너가 할당되며, 상기 컨테이너 내에는 키 프로펠러에 할당된 선박 운항 설비에 대한 기능 모듈이 배치된다면 본 발명의 목적에 합당하다. 상기컨테이너 중 하나에서 어떠한 서비스 조치, 점검 조치 또는 수리 조치가 취해지는 한, 다른 한 컨테이너는, 그리고 이와 함께 다른 컨테이너에 할당된 선박 프로펠러 역시, 어떠한 경우에도 손상받지 않고 유지된다. 수송 및 선박 운항 설비에 대한 기능 모듈을 가진 컨테이너의 취급을 간소화하기 위해서 상기 컨테이너가 40'피트 컨테이너 또는 12m 길이의 표준형 컨테이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에 합당하게 좌현의 키 프로펠러에 할당된 기능 모듈을 가진 컨테이너는 좌현을 향하여 배치되고, 우현의 키 프로펠러에 할당된 기능 모듈을 가진 컨테이너는 선박종축의 우현을 향하여 배치된다.
선박 내부의 무게에 대한 분포에 있어서, 상기 양 키 프로펠러에 할당된 기능 모듈을 가진 컨테이너가 선박종축과 관련하여 서로 대칭을 이루며 배치된다면 바람직한데, 왜냐하면 서로 무게면에서 균형을 이루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 우현 컨테이너 및 좌현 컨테이너는 동일한 기능 모듈을 가지고 있다. 바람직하게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우현 컨테이너에 포함된 기능 모듈은 그 기능 및 제작 방식에 있어서 동일한, 좌현 컨테이너에 포함된 기능 모듈과 선박종축과 관련하여 대칭을 이루며 배치된다.
선박 내부의 우현 컨테이너에 있는 기능 모듈의 배치가 선박의 종 중심축과 관련하여 동일 선박 내부의 좌현 컨테이너에 있는 기능 모듈의 배치와는 반대로 되어 있을 때,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선박의 후미 영역에 특히 바람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각 키 프로펠러마다 할당된 컨테이너에 있어서 선박종축을 향하고 있는 종벽의 외측에 각각 접근이 용이한 검사용 기어가 형성된다. 상기 검사용 기어에 의해서 조립 작업, 점검 작업, 서비스 작업 그리고 수리 작업시에 기능 모듈로의 접근이 훨씬 간편하게 된다. 또한 각 키 프로펠러마다 할당된 컨테이너에 있어서 선박종축을 향하고 있는 각각의 종벽에 제공된 검사용 기어가 하나의 교차 기어에 의해 연결 가능함으로써 각 컨테이너에 포함된 선박 운항 설비에 대한 기능 모듈에 대한 점검이 계속해서 간소화되며, 이것은 동일한 기능 모듈이 동일한 점검 작업 및 서비스 작업을 받아야 할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각 검사용 기어를 연결하는 교차 기어가 각각의 컨테이너의 키 프로펠러를 향하고 있는 전방 벽 가까이에 배치된다면, 각 컨테이너의 관찰 및/또는 점검 및 수리를 위해 후속 처리되는 운항 설비 및 키 프로펠러의 설치에 이용될 수 있다.
각 키 프로펠러에 할당된 각 컨테이너에 있어서 선박종축을 향하고 있는 종벽에 하나의 문이 구비되어 상기 문을 통해서 컨테이너 내부에 있는 검사용 기어에 접근이 용이해 질 경우, 컨테이너 내부에 배치된 각각의 기능 모듈로의 접근이 계속해서 간편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에 합당하게, 각 키 프로펠러에 할당된 각 컨테이너마다 변압기 설비, 변환기 설비, 조정유닛 및 제어유닛, 배전부 및 변환기 냉각설비가 배치될 수 있다.
각 컨테이너의 변압기 설비에 1개 내지는 3개의 접속된 변환 변압기가 구비된다면 바람직한 형성이 입증된다.
각각의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 설비가 분리되어 하나의 횡벽으로 나누어진 챔버 내에 또는 분리되어 옆에 위치한 컨테이너 내에 배치된다면, 안전성에 있어서 바람직한 형성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변압기 설비를 수용하는 챔버는 컨테이너의 키 프로펠러와 멀리 떨어진 전방 벽과 횡벽 사이에 배치되어야 하는데, 그것은 배전부와 키 프로펠러의 전기 모터 사이가 멀리 떨어지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키 프로펠러에 할당된 컨테이너에 대한 변압기 설비용 케이블 삽입은 상부로부터는 지붕 벽에, 하부로부터는 바닥 벽에 또는 키 프로펠러를 외면하고 있는 컨테이너의 전방 벽에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케이블의 삽입이 각 컨테이너에 있어서 키 프로펠러를 외면하고 있는 전방 벽의, 선박종축을 외면하고 있는 모서리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가운데 본 발명에 따른 타당성이 입증된다.
키 프로펠러에 할당된 각 컨테이너에 있는 변압기 설비의 변환 변압기가 환기 시설에 의하여 냉각되는 것은 변환 변압기의 안전한 작동을 위해서 바람직하며 이것은 또한 특별히 요구된 프로파일의 경우에는 필수적이다.
바람직하게 환기 시설의 냉각작용에 대한 점검을 위해서 냉각기류에 유동 모니터 및 온도 모니터가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변환 변압기에 할당된 환기 시설의 일부 기류가 그 밖의 컨테이너의 환기에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오염된 공기가 컨테이너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환기 시설에 하나의 통기회로가 구비되는데, 본 발명의 목적에 합당하게 상기 통기회로 내에 배치된 공기 냉각기에 의해서 통기 회로내에서 조장된 기류에 대한 낮은 온도가 보장된다.
상기 공기 냉각기는 예컨대 컨테이너의 바닥 벽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또는 컨테이너의 내부에, 즉 키 프로펠러를 외면하고 있는 상기 컨테이너의 전방 벽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특별히 변환 변압기에 대한 냉각이 높히 요구될 경우에는 상기 변압기 설비의 변환 변압기에 있는 코일마다 하나의 냉각공기 유입 개구가 할당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 이 냉각공기 유입 개구는 냉각공기 하부로부터 자신에게 할당된 변환 변압기의 코일 방향을 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변환 변압기에는 공기유도 플레이트가 구비되어 냉각기류를 코일 면의 중앙으로 유도한다.
그 대신에 상기 변압기 설비의 변환 변압기에 대한 냉각은 하나의 수냉장치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이 수냉장치가 상대적으로 차가운 물을 가지고 냉각을 할 수 있는 경우에는 변환 변압기의 크기를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상기와 같은 냉각장치 및 이 냉각장치의 냉수기는 키 프로펠러를 외면하고 있는 컨테이너의 전방 벽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조립, 점검, 서비스 및 수리용으로 상기 변압기 설비의 변환 변압기마다 하나씩 해치가 할당되며, 이 해치는 선박종축을 향하고 있는 컨테이너의 종벽 내에 형성된다. 이렇게 되면 변환 변압기는 컨테이너 종벽의 외측에 있는 검사용 기어로부터 접근하기가 용이해진다.
상기 키 프로펠러에 할당된 컨테이너마다, 선박종축을 향하고 있는 내부면에, 횡벽으로부터 키 프로펠러 측면의 컨테이너 전방 벽 방향으로, 변환기 설비, 조정유닛 및 제어유닛, 그리고 컨테이너 측면의 검사용 기어와 변환기 냉각설비 사이의 간격이 연속적으로 배치된다면, 컨테이너 내부에 있어서 최적의 기능 모듈의 배치가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선박종축을 외면하고 있는 컨테이너의 종벽과 이것과 마주 놓여 있는 변환기 냉각설비의 외벽 사이에 컨테이너의 배전부가 배치된다.
컨테이너 내에 배치된 배전부와 컨테이너에 할당된 키 프로펠러의 전기 모터 사이의 접속 케이블은, 바람직하게 키 프로펠러 측면의 컨테이너 전방 벽에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케이블 개구에 의해서 유도된다.
본 발명의 목적에 타당하게 상기 케이블 개구는 각 컨테이너에 있어서 선박종축을 외면하고 있는 키 프로펠러 측면의 전방 벽 모서리의 상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키 프로펠러마다 할당된 각 컨테이너의 변환기 설비는, 접속된 다수의 밸브모듈이 구비된 사이클로컨버어터(cycloconverter)로서 형성된다.
상기 키 프로펠러에 할당된 컨테이너의 변환기 냉각설비가 수냉장치로서 형성되는 경우에 변환기 설비의 냉각은 특히 바람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조립, 점검, 서비스 및 수리용으로 상기 사이클로컨버어터에는 선박종축을 향하고 있는 컨테이너의 종벽에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서비스 개구가 할당된다. 변환기 설비의 사이클로컨버어터는 이제, 선박종축을 향하고 있는 컨테이너의 종벽에 또는 이것의 외측에 제공된 검사용 기어로부터 거리낌없이 이용할수 있다.
바람직하게 선박 운항 설비의 그 밖의 또는 3번째 선박 운항 설비에 대한 기능 모듈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내에 저압 개폐장치 및 이에 부속하는 운항 설비의 회전 변환기가 배치된다.
여기에 맞게 그 밖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그 밖의 또는 4번째 선박 운항 설비에 대한 기능 모듈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내에 중압 개폐장치 및 이에 부속하는 운항 설비의 회전 변환기가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키 프로펠러마다 할당된 컨테이너에 있는 변환기 설비는 특히 12-펄스로 이루어진 사이클로컨버어터 동력장치로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상기 사이클로컨버어터 동력장치의 입력 전압은 약 3AC900V이다.
이 사이클로컨버어터 동력장치를 표준형 컨테이너 내에 배치하기 위하여, 라인 측면의 접속 패널은 사용되지 않고, 사이클로컨버어터의 사이리스터(thyristor)모듈로된 하나의 라인 측면의 도체 바아(conductor bars)가 형성되어 변환 변압기의 동력 케이블이 직접 접속 가능하게 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목적에 합당하다.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필수 변류기 및 과전압 방지유닛은 사이리스터 모듈후면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변환 변압기의 한 면과 변환기 설비의 다른 한 면 사이에서 동력 케이블의 절연 전압은 약 4 kV 또는 3 x 1.633 kV이다.
바람직하게 변환 변압기의 한 면과 변환기 설비의 다른 한 면 사이에 동력케이블을 올바르게 위치시키고 배치하기 위해서 하나의 케이블 판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이 케이블 판은 컨테이너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데, 변환 변압기로부터 동력 케이블이 위쪽으로 케이블 판에까지 유도되고, 동력 케이블의 공급이 위쪽에서부터 변환기 설비의 사이리스터 모듈에까지 이르게 된다. 그 대신에 케이블 판은 컨테이너의 하부 영역 또는 측면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판이 컨테이너의 상부 영역에서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케이블 판이, 컨테이너에 수용되어져야 할 기능 모듈이 방해받지 않고 설치되도록, 컨테이너의 상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컨테이너 내부의 안 높이를 최대한 크게 형성하기 위해서, 양 키 프로펠러에 할당된 각 컨테이너에 케이블로 인한 와이어 커버(wire cover)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 키 프로펠러에 할당된 각 컨테이너 내부에 기능 모듈이 안전하게 설치되기 위해서는 컨테이너마다 크로스바아(crossbar)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크로스바아는 변환기 설비, 조정유닛 및 제어유닛, 배전부 그리고 변환기 냉각설비를 위한 대들보로서 형성된다. 크로스바아는 배전부뿐만 아니라 변환기 냉각설비 또한 고정시킬 수 있다.
변환 변압기를 단단하고 안전하게 설치하기 위해서는 주철이 바람직하며, 이 주철은 컨테이너의 기본 프레임 또는 외부 프레임과 직접 용접될 수 있을 만큼 각각 연장된다.
선박 운항 설비에 대한 기능 모듈을 수용하고 있는 컨테이너의 운반 및 취급을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컨테이너는 반드시 컨테이너 크레인에 의해서만 운반될 수 있도록 컨테이너의 기본 프레임이 제작되고 걸개가 장착되어야 한다.
선박 운항 설비의 구성 부품을 형성하는 기능 모듈을 컨테이너 내부에서 간편하게 조립하기 위해서는 선박 운항 설비에 대한 기능 모듈을 수용하는 각 컨테이너의 종벽, 전방 벽 그리고 지붕 벽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일체형은 판금된 박스 모양으로 초기 조립 공정에서는 컨테이너의 바닥 벽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조립 공정이 끝난 후에는 다시 컨테이너의 바닥 벽위로 설치될 수 있다.
선박 운항 설비에 대한 기능 모듈을 수용하는 컨테이너가 그 전체 길이에 있어서 가운데가 아래로 쳐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컨테이너가 배치되어야 할 선박 위치에 세로방향으로 컨테이너 적재지점 또는 적재용 지지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제공되어야 하며, 바람직하게 인접한 적재지점 또는 적재용 지지대 사이의 간격은 최대 3m 가 되어야 한다.
도 1에서 (1)은 선박 추진 시스템의 수용을 위한 컨테이너를 표시하는 것이며, 특히 회전식 전자 키 프로펠러를 위한 기능성 컨테이너를 표시한다. 컨테이너(1) 내부로 공기 유입관(2)이 통하며, 컨테이너 외부로 공기 유출관(3)이 통한다. 바람직하게 하나의 칸막이(4)에 의하여 선박 추진 시스템의 다른 부품들이 분리되고, 컨테이너의 한 면에 담수 냉각기(6)가 구비된 변환 변압기(5)가 위치하는데, 이 냉각기(6)는 담수의 상수관(7)을 통해서 담수를 공급받으며, 이 담수는 배수관(8)에 의하여 냉각기 및 기능성 컨테이너로부터 배출된다.
기능성 컨테이너(1)는 가장 필수적인 부품으로 파워-컨버어터(11), 특히 변환 변압기와 마찬가지로 담수 수냉장치(10)가 구비된 사이클로컨버어터를 포함하며, 자세하게 도시되지 않았지만 수냉장치(10)는 도관을 통하여 냉각수를 공급받는다. 파워-컨버어터와 인접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파워-컨버어터와 직접 연결되어, 파워-컨버어터의 조정기 및 제어기(12)가 위치하고, 예컨대 컨테이너 내에 있는 그 밖의 부품을 위한 조정기 및 제어기(13)가 위치하고, 그리고 예컨대 선박의 고유부품을 위한 조정기 및 제어기(14)가 위치하는데, 다시 말해서 전자 키 프로펠러의 회전을 위한 유압 펌프(15)는 특별하지 않게 상기 기능성 컨테이너의 바닥 가까이에 배치된다. 그 밖에 기능성 컨테이너는 또한 배전부(9)를 포함한다.
상기 기능성 컨테이너 내부로 예컨대, 선박 중압 개폐장치의 동력 케이블(22), 선박 저압 개폐장치의 보조 에너지 전달용 케이블(23)이 유도되며, 바람직하게는 버스 케이블(bus cable)을 가진 양방향 기능의 신호 케이블(25) 및 선박 저압배전용 비상 배전반 케이블(24)이 유도된다. 키 프로펠러의 기능 모듈(16)로부터 보조에너지 배전 케이블(18,19) 및 버스 케이블을 가진 양방향 기능의 신호 케이블이 에너지가 공급되어야하는 선박내 각각의 부품에 유도된다. 그 밖에 상기 기능 모듈(1)은 예컨대 키 프로펠러의 회전(방위)운동을 위한 유압식 양방향 케이블(21)을 포함한다.
기능 모듈(1)에 있는 각각의 부품에 있어서 상기에 설명된 것이 전부가 아니며, 상기 기능 모듈은 도시된 부품이외에도 중요하지는 않지만 그 밖에 기타 부품들을 포함한다.
상기 도시된 유입관 및 배출관은 선박 시스템의 경계면을 형성한다. 공기 배출 및 공기 유입은 선박의 공조기에 의해서 배출 또는 유입되며, 경우에 따라서 담수는 선박의 담수 수냉 시스템에 의하여 배출된다. 이에 상응하여 선박내 상응한 시스템 부품과 결합되어 있는 그 밖의 모든 유입관 및 유출관 역시 위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전체적으로, 단지 나사연결 또는 플러그연결을 통해서만 이와 상응하는 선박시스템 부품과 연결되는, 하나의 기능 모듈이 생겨나게 된다. 상기 모듈은 그 자체로 완벽하게 기능의 수행이 가능하다. 테스트를 위해서는 이에 상응하는 배전 케이블이 생산지에 마련되는데, 대개 이 적합한 배전 케이블은 제작시설(공장, 조선소)에 이미 있다.
도 2에 따른 선박의 단면-측면도에서는 회전식 키 프로펠러(28)를 가진 선체(26)가 도시된다. 상기 선박 자체는 2개의 스크류로 추진된다. 2개 스크류 추진과 마찬가지로 1개의 스크류로도 또한 추진가능하며, 선택적으로 당김식-프로펠러 또는 압력식 프로펠러 추진, 또는 이중 프로펠러 추진이 상기 선박에 선택될 수 있다. 선박의 흘수선(吃水線)은 (27)로서 도시되는데, 도면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회전식 키 프로펠러(28)가 선박(26)으로 이행되는 지점이 바람직하게 상기 흘수선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 회전식 키 프로펠러(26)는 선체 내에 베이스 플레이트(29)에 있는 박스모양의 노치 상부면에 조립된다. 도식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29)의 돌파구에 슬립-링 접합부(slip-ring joint)가 도시되며, 이 슬립-링 접합부를 통하여 키 프로펠러(28)내의 전기 모터를 위한 추진에너지가 전달된다. 키 프로펠러(28)의 회전수(방위)-운동은 마찬가지로 도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유압 모터(31)를 통해서 발생한다. 베이스 플레이트(29)의 상부에는 자유로운 공간(33)이 있어서 경우에 따라서는 그 밖에 기타 추진용 부품등이 배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9)는 예컨대 용접에 의하여 프레임(32)과 직접 결합됨으로써, 박스모양의 돌파구(37)내에서 키 프로펠러(28)가 아주 간단하게 조립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컨테이너(34)는 회전식 키 프로펠러(28)와 평면으로 그 바로 옆 선체의 후미에 위치함으로써, 짧은 케이블들이 생겨나도록 한다. (35)는 예컨대 이 컨테이너(34)로의 통로로서 이용될 수 있는 빈공간을 나타내며, (36)은 예컨대 선박을 최적으로 균형 잡을 수 있기 위한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를 나타낸다.
도 3에서는 선체(47)내에 있는, 예컨대 (42,43,44,45,46) 및 대각선으로 표시되는 그 밖의 밸러스트 탱크와 같은 마당들이 도시된다. 이것 역시 예컨대 카-훼리(car-ferry)에서와 마찬가지로 선창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시된 예에서 선박의 후미에는 2개의 회전식 키 프로펠러(38,39)가 배치되고, 추진용 기능 모듈로서 각각 컨테이너(40,41)가 있으며, 상기 컨테이너는 회전식 키 프로펠러의 조정기 및 제어기를 포함한다. 도면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선박 내에서 컨테이너 형태로 기능 모듈과 전자 키 프로펠러를 결합시킴으로써, 귀중한 선창이 손실되지 않는다. 기존에 이 선창의 부피는, 특히 선두에 배치되어 있는 및 경우에 따라서 밸러스트 탱크에 배치되어 있는 디젤 발전기 세트와 결합하는 경우에는 활용이 불가능했다.
도 4에서는 2개의 컨테이너 또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키 프로펠러(28)가 각각 할당된 기능성 컨테이너(48,49)가 도시된다. 도 4의 위쪽에 있는 컨테이너(48)에는 좌현의 키 프로펠러(28)가 할당되며, 반면에 도 4의 아래쪽에 있는 컨테이너(49)에는 우현의 키 프로펠러(28)가 할당된다. 도 4에 있어서 선박의 운항방향은 운항방향 화살표(50)가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윗쪽에 있는 컨테이너(48)에는 좌현 키 프로펠러(28)에 할당된 선박 운항 설비에 대한 기능 모듈이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도 4의 아래쪽에 있는 컨테이너(49)에는 우현 키 프로펠러(28)에 할당된 선박 운항 설비에 대한 기능 모듈이 배치된다.
상기 양 컨테이너(48,49)는 각각 40'피트 컨테이너 또는 12m 길이의 표준형 컨테이너로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선박종축은 어느 정도 운항방향 화살표(50)방향으로 진행된다.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컨테이너(48,49)의 세로방향이 평행으로 선박종축으로 진행되는 가운데, 상기 양 컨테이너(48,49)는 상호 대칭적으로 선박종축의 양면에 배치된다.
상기 양 컨테이너(48,49)의 내부로 동종의, 기능면에서 서로 동일한 선박 운항 설비에 대한 기능 모듈이 각각 수용되는데, 도 4의 윗쪽에 있는 컨테이너(48)에 수용되는 기능 모듈은 좌현의 키 프로펠러(28)에 상응하여 할당되고, 도 4의 아래쪽에 있는 컨테이너(49)에 수용되는 기능 모듈은 우현의 키 프로펠러(28)에 상응하여 할당된다.
우현 컨테이너(49)에 포함된 기능 모듈은 선박종축과 관련하여 좌현 컨테이너(48)에 포함된, 기능 및 제조방식면에서 동일한, 기능 모듈과 대칭을 이루며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우현 키 프로펠러(28)에 할당된 컨테이너(49)의 기능 모듈의 배치는 이 컨테이너(49)의 종 중심축과 관련하여 이 컨테이너(49) 내부에서, 컨테이너(49)의 종 중심축과 관련하여 이 컨테이너(48) 내부에서 좌현 키 프로펠러(28)에 할당된 컨테이너(48)에 있는 기능 모듈의 배치와 거꾸로 되어 있다.
윗쪽의 컨테이너(48) 및 아래쪽의 컨테이너(49)가 기능이나 작용면에서 서로 동일하기 때문에, 이제부터는 오로지 아래쪽 컨테이너(49)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며, 아래쪽 컨테이너(49)에 관련한 전체적인 실시 및 설명은 또한 도 4의 윗쪽에 있는 컨테이너(48)에도 똑같이 해당되는 것이다.
선박종축을 향하고 있는 아래쪽 컨테이너(49)의 종벽(51)에는 이 컨테이너(49) 전체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검사용 기어(52)가 제공된다. 이 컨테이너(49)에 할당된 검사용 기어(52)는 컨테이너(48,49)의 키 프로펠러 측면의 전방 벽(53)에 제공된 교차 기어(54)를 거쳐서, 이 컨테이너(49)의 검사용 기어(52)와 동일한, 도 4의 윗쪽 컨테이너(48)에 있는 검사용 기어와 결합되어 있다.
교차 기어(54) 가까이 에서 선박종축을 향하고 있는 이 컨테이너(49)의 종벽(51)에 하나의 문(55)이 구비되는데, 이 문을 관통하여 이 컨테이너(49)의 종벽(51)에 연장되어 있는 검사용 기어(52)와 컨테이너(49) 내부에 제공된 검사용 기어(56)와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선박 운항 설비에 대한 기능 모듈로서 컨테이너(49) 내부에 - 마찬가지로 윗쪽의 컨테이너(48) 내부에 - 변압기 설비(57), 변환기 설비(58), 조정유닛 및 제어유닛(59), 배전부(60) 그리고 변환기 냉각설비(61)가 배치된다.
변압기 설비(57)는 분리되어 있는 챔버(62)에 배치되는데, 이 챔버(62)는 키 프로펠러의 먼쪽에 있는 전방 벽(63)및, 컨테이너(49)에 있어서 선박종축을 향하고 있는 종벽(51)과 선박종축을 외면하고 있는 종벽(64)사이에서 직각으로 연장된 횡벽(65)으로 인하여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변압기 설비(57)가 3개의 변환 변압기(66,67,68)를 구비하며, 이 3개의 변환 변압기는 챔버(62)내에서 연속적으로 컨테이너(49)의 세로방향으로 배치된다.
변압기 설비(57)의 변환 변압기(66,67,68)용 케이블 삽입은 키 프로펠러의 먼쪽에 있는 전방 벽(63)에 형성되는데, 특히 키 프로펠러 먼쪽 전방 벽(63)의 선박종축을 외면하고 있는 모서리 하부 영역에 형성된다.
변압기 설비(57)의 변환 변압기(66,67,68)는 환기 시설(69)에 의하여 냉각되는데, 도 5에서는 이 환기 시설(69)이 단지 특수 실시예의 형태로 도시된다. 또한 이 환기 시설(69)의 일부 기류가 컨테이너(49) 내부에서 챔버(62) 외부에 있는 그 밖의 설비들을 냉각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이 환기 시설(69)이 하나의 통기 회로(70)를 구비하며,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이 통기 회로 내에 공기 냉각기(71)가 배치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 공기 냉각기는 컨테이너(49)의 바닥 벽(72)에 위치하며, 특히 키 프로펠러의 먼쪽에 있는 전방 벽(63) 가까이에 위치한다.
그 대신에 이 공기 냉각기를 키 프로펠러와 먼쪽에 있는 컨테이너(49)의 전방 벽(63) 속안에 배치할 수도 있는데, 다시 말해서 컨테이너(49)의 내부에 또는 컨테이너에 있는 챔버(62) 내부에 배치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서는 각 변환 변압기(66,67,68)의 코일마다 냉각공기 공급개구가 할당되며, 이 냉각공기 공급개구를 통해서 냉각공기가 아래로부터 각 코일로 향하게 된다. 여기서 냉각 공기 유입개구의 지름은 해당 코일의 지름과거의 일치하는데, 적어도 변압기 코어 플레이트(core plate)의 지름은 냉각 공기 유입개구의 지름과 같아야 한다.
또한 환기 시설에 의한 냉각 대신에 수냉장치가 제공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수냉장치는 챔버(62)내에, 특히 키 프로펠러의 먼쪽에 있는 전방 벽(63) 가까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선박종축을 향하고 있는 컨테이너(49)의 종벽(51) 내에 챔버(62)의 영역에는 조립 또는 수리목적으로 이용되는 3개의 해치가 제공되며, 이 해치는 각 변환 변압기(66,67,68)마다 하나씩 할당된다. 이 해치에 의해서 상기 변환 변압기(66,67,68)는 선박종축을 향하고 있는 종벽(51)의 외측에 있는 검사용 기어(52)로부터의 접촉이 가능해짐으로써, 이곳에서 점검 및 수리와 같은 소정의 조립작업이 실행될 수 있다.
변압기 설비(57)을 외면하고 있는 횡벽(65)의 측면에는 변환기 설비(58)가 배치되며, 이 변환기 설비의 한 면은 선박종축을 향하고 있는 컨테이너(49)의 종벽의 내부면이다. 경우에 따라서 변환기 설비(58) 옆에 위치하고 있는 조정유닛 및 제어유닛(59)의 한 면은 선박종축을 향하고 있는 컨테이너(49)의 종벽(51)의 내부면이다.
선박종축을 향하고 있는 컨테이너(49)의 종벽(51)과 키 프로펠러 측면의 전방 벽(53)으로 형성된 모서리에는 변환기 냉각설비(61)가 위치한다. 이 변환기 냉각설비(61)와 조정유닛 및 제어유닛(59) 사이에 공간(73)이 있어서, 이 사이공간을 통해서 문(55)과 컨테이너 내부의 검사용 기어(56)간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키 프로펠러 측면의 전방 벽(53) 및 선박종축을 외면하고 있는 컨테이너(49)의 종벽(64)에 의하여 형성된 모서리에는 배전부(60)가 배치된다. 도 4 및 도 5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컨테이너(49)에 배치된 배전부(60)와 컨테이너(49)에 할당된 우현 키 프로펠러(28)의 전기 모터 사이의 접속 케이블을 위한 하나의 케이블 개구가 컨테이너(49)의 키 프로펠러 측면의 전방 벽(53)에, 특히 선박종축을 외면하고 있는 전방 벽의 모서리 상부 영역에 배치된다.
변환기 설비(58)는, 선박에 있어 그 밖의 고유 목적용으로도 제공되는 사이클로컨버어터(74,75)를 가지고 있다.
변환기 설비(58)의 변환기 냉각설비(61)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냉장치로서 형성된다.
그 밖에 변환기 설비(58)는 모터 측면의 접속 패널(76)을 구비한다.
도 4 및 도 5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선박종축을 향하고 있는 컨테이너(49)의 종벽(51)에 있는 사이클로컨버어터(74,75)의 영역에는 해치가 제공되는데, 이 해치들은 - 변환 변압기(66,67,68)에 할당된 해치와 비교하여 - 조립, 서비스, 점검, 수리목적에 이용된다.
그 밖에, 상기 컨테이너(49)의 규격 및 그 유용성과 관련하여 동일한 종류의 컨테이너들은 선박 운항 설비에 대한 기능 모듈의 수용을 위해 형성될 수 있으며 제공될 수 있다. 그러므로 예컨대 위와 같은, 40'피트 표준형 컨테이너로서 형성된 컨테이너에 저압 개폐장치 및 이에 부속하는 운항 설비의 회전 변환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위와 같은 컨테이너에 중압 개폐장치 및 이에 부속하는운항 설비의 회전 변환기가 배치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위와 같은 컨테이너를 위한 적합한 적재 지점 또는 적재 표면이 선박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컨테이너(48 또는 49)에 수용되는 변환기 설비(58)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12-펄스로 이루어진 사이클로컨버어터 동력장치로서 형성된다. 이 12-펄스로 이루어진 사이클로컨버어터 동력장치(58)의 입력 전압은 약 3AC900V이다.
도 4에 도시된 컨테이너(48,49), 즉 앞서 기술한 기능 모듈의 수용에 충분할 만큼 공간 확보가 가능한 40'피트-표준형 컨테이너로 형성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이 12-펄스로 이루어진 사이클로컨버어터 동력장치(58)에는 라인 측면의 접속 패널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반대로 이 12-펄스로 이루어진 사이클로컨버어터 동력장치(58)의 사이리스터 모듈로된 하나의 라인 측면의 도체 바아가 형성됨으로써, 변환 변압기(66,67,68)의 동력 케이블이 직접 접속될 수 있게 된다.
그 밖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이 12-펄스로 이루어진 사이클로컨버어터 동력장치(58)의 사이리스터 모듈 후면 영역에는 변류기 및 과전압 방지유닛이 배치된다.
변환 변압기(66,67,68)의 한 면과 변환기 설비 또는 12-펄스로 이루어진 사이클로컨버어터 동력장치(58)의 다른 한 면 사이에서 동력 케이블의 절연 전압은,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4 kV이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변환 변압기(66,67,68)의 한 면과 변환기 설비 또는 12-펄스로 이루어진 사이클로컨버어터 동력장치(58)의 다른 한 면 사이의 동력 케이블은 컨테이너(49)의 상부 영역에 있는 하나의 케이블 판에 배치된다.이와 상응하여 동력 케이블은 변환 변압기(66,67,68)로부터 윗쪽으로 케이블 판에 까지 유도되고, 케이블 판으로부터는 변환기 설비 또는 12-펄스로 이루어진 사이클로컨버어터 동력장치(58)의 사이리스터 모듈에까지 아래쪽으로 유도된다.
컨테이너(49) 내부에 케이블 판을 배치하는 것과 관련하여 실현 가능한 해결책은, 이 케이블 판을 컨테이너(49)의 상부 영역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하는 것이다. 대안적으로 이 케이블 판이 컨테이너(49)의 상부 영역에 배치됨으로써, 컨테이너(49) 내에 수용되어져야 할 기능 모듈, 예컨대 변압기 설비(57), 변환기 설비(58), 조정유닛 및 제어유닛(59), 배전부(60) 및 변환기 냉각설비(61) 또한 그 밖의 기능 모듈 등이 방해받지 않고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각 컨테이너(48,49)는 케이블로 인한 와이어 커버(wire cover)가 생기지 않고 형성된다.
각 컨테이너(48 또는 49)의 기본 프레임에는 크로스바아(crossbar)가 구비되는데, 이 크로스바아는 변환기 설비(58), 조정유닛 및 제어유닛(59), 배전부(60) 그리고 변환기 냉각설비(61)를 위한 대들보로서 형성되며,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이 크로스바아가 배전부(60) 및 변환기 냉각설비(61)용으로 제공된다.
변압기 설비(57)의 변환 변압기(66,67,68)에는 주철이 구비되며, 이 주철은 컨테이너(49)의 기본 프레임 또는 외부 프레임과 용접될 수 있을 만큼 연장된다.
컨테이너(48,49)의 기본 프레임 및 경우에 따라서는 그 밖의, 선박 운항 설비에 대한 기능 모듈을 수용하는 컨테이너에는 걸개, 크레인 고리, 걸쇠 등과 같은 것들이 제공되며 이와 같은 컨테이너가 제작됨으로써, 운항 설비에 대한 기능 모듈을 수용하는 모든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크레인에 의해서 운반 가능하게 된다.
컨테이너(48,49)의 종벽(51,64), 전방 벽(53,63) 및 지붕 벽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와 상응하여 이 일체형은 판금된 박스 모양으로서 컨테이너(48,49) 내에 기능 모듈이 조립될 때에는 컨테이너(48,49)의 바닥 벽(7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조립후에는 다시 바닥 벽(72)위로 설치될 수 있다.
선박 내에 상기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위치 형성에 있어서 주의해야할 점은, 상기 선정된 위치에, 컨테이너(48,49)의 세로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적재지점 또는 적재용 지지대가 제공되어야 하며, 이 적재지점 또는 적재용 지지대 사이의 간격이 최대 3m 가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Claims (34)

  1. 승객 및/또는 화물 수용을 위한 지정된 선체를 가지며, 추진 유닛으로서 선체의 후미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식 키 프로펠러를 가지며, 상기 키 프로펠러의 조종을 위한 필수 부품들이 선체 내에 위치하는 상선에 있어서,
    상기 키 프로펠러에는 하나의 전기 프로펠러 모터가 구비되며, 키 프로펠러의 제어를 위한 기계 부품 및 키 프로펠러의 전기 모터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전자 부품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기능 모듈에 통합되며, 상기 기능 모듈은 특히 표준형 컨테이너인 운송용 컨테이너의 형태로서, 그 생산지에서 기능성이 완벽하게 테스트되고 선급 협회로부터 인수될 수 있도록 제조되며,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로 인하여 선박이 제작되는 어떤 지역에서든지 조립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선.
  2. 제 1 항에 있어서,
    운송용 컨테이너로서 형성된 상기 기능 모듈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한 측면부 및 덮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선.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모듈은 선박내 베이스 상에 설치가능하며 선박과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선.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모듈은 외부로 유도되는, 접속 준비된 동력 케이블, 제어 케이블 및 신호 케이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선.
  5.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모듈은 접속 준비된 유압식 유출 라인 및 유압식 공급 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선.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모듈은 접속 준비된 냉각수 유출 라인 및 냉각수 공급 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선.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은 예컨대 에너지 발전 설비, 에너지 분배 설비 그리고 선박-프로펠러 드라이브와 같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컨테이너 유닛으로 형성되는 3개 이상의 기능 모듈을 가지고 있는 선박 운항 설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전자 키 프로펠러를 가진 상선.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모듈은 후미에 배치되며, 특히 회전식 전자 키 프로펠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선.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뱃머리에 또는 선두 또는 사이드 박스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디젤 발전기 세트를 컨테이너 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선.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2개 또는 다수의 키 프로펠러에 있어서 각각의 키 프로펠러마다 제어 모듈이 하나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선.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키 프로펠러마다 프로펠러 모터의 코일 시스템을 위한 2개의 기능 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선.
  12. 승객 및/또는 화물 수용을 위한 선체를 가지며, 추진 유닛으로서 하나 이상의 회전식 키 프로펠러를 가지며, 상기 회전식 키 프로펠러는 연결 유닛에 의하여 선체와 결합되며, 또한 키 프로펠러의 제어를 위한 기계 부품 및 키 프로펠러의 전기 모터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전자 부품이 선체 내에 배치되는,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따른 상선에 있어서,
    상기 키 프로펠러는 접속 준비된, 단일 부분 또는 여러 부분으로 이루어진 드라이브 모듈로서 형성되며, 상기 드라이브 모듈은 선체 내에 배치된 베이스에 나사로 조여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키 프로펠러는 컨테이너 내에 설치되어 접속 준비된 기능 모듈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선.
  13. 제 1 항 또는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원격진단 및/또는 원격전송 장비, 특히 인공위성 기술을 통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기능 모듈을 구비하며,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인공위성 자동 위치 측정 시스템에 의한 위치설정 센서인 전자장비가 컨테이너 내부에/또는 컨테이너에 장착되며, 또한 예컨대 국제 해사 위성 기구에 의한, 추적된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장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선.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키 프로펠러(28)마다 컨테이너(48,49)가 하나씩 할당되며, 상기 컨테이너 내에는 키 프로펠러(28)에 할당된, 선박 운항 설비에 대한 기능 모듈(57,58,59,60,61)이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선박 운항 설비에 대한 기능 모듈을 수용하는 컨테이너가 40'피트 표준형 컨테이너 또는 12m 표준형 컨테이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키 프로펠러(28)를 가진 상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키 프로펠러(28)에 할당된 기능 모듈(57,58,59,60,61)을 포함하는 각 컨테이너(48,49)가 선박종축과 관련하여 상호 대칭적으로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우현 컨테이너(49) 및 좌현 컨테이너(48)가 동일한 기능 모듈(57,58,59,60,61)을 포함하며, 우현 컨테이너(49)에 포함된 기능 모듈(57,58,59,60,61)은 선박종축과 관련하여 좌현 컨테이너(48)에 포함된, 그 기능이나 제조방식면에서 동일한 기능 모듈(57,58,59,60,61)과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선.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키 프로펠러(28)에 할당된 컨테이너(48,49)마다 선박종축을 향하고 있는 종벽(51)의 외측에 접근이 용이한 검사용 기어(52)가 각각 배치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검사용 기어(52)는 하나의 교차 기어(54)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선.
  17.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키 프로펠러(28)에 할당된 컨테이너(48,49)마다 선박종축을 향하고 있는 종벽(51)에 하나의 문(55)이 구비되며, 상기 문을 통해서 컨테이너(48,49) 내부에 있는 검사용 기어(56)에 접근이 용이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선.
  18. 제 16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키 프로펠러(28)에 할당된 컨테이너(48,49)마다 변압기 설비(57),변환기 설비(58), 조정유닛 및 제어유닛(59), 배전부(60) 및 변환기 냉각설비(61)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선.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컨테이너(48,49)의 변압기 설비(57)마다 1개 내지는 3개의 접속된 변환 변압기(66,67,68)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선.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컨테이너(48,49)마다 변압기 설비(57)가 하나의 횡벽(65)으로 나누어진 별도의 챔버(62) 내에 또는 분리되어 옆에 위치한 컨테이너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선.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48,49)마다 변압기 설비(57)를 수용하는 챔버(62)는 컨테이너(48,49)의 키 프로펠러와 멀리 떨어진 전방 벽(63)과 횡벽(65)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선.
  22. 제 18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 프로펠러(28)에 할당된 각 컨테이너(48,49)에 있는 변압기 설비(57)의 변환 변압기(66,67,68)가 하나의 환기 시설(69)에 의하여 냉각될 수 있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상선.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시설(69)에는 하나의 통기회로(70)가 구비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통기 회로 내에는 하나의 공기 냉각기(71)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선.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냉각기는 키 프로펠러(28)로부터 다른 쪽을 향하고 있는 컨테이너(48,49)의 전방 벽(63)의 내부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선.
  25. 제 22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변압기(66,67,68)에는 냉각기류를 코일 면의 중앙으로 유도하는 공기유도 플레이트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선.
  26. 제 18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 프로펠러(28)에 할당된 각 컨테이너(48,49)에 있는 변압기 설비(57)의 변환 변압기(66,67,68)는 하나의 수냉장치에 의해서 냉각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냉각장치의 냉수기는 상기 냉수기에 할당된 키 프로펠러(28)로부터 다른 쪽을 향하고 있는 컨테이너(48,49)의 전방 벽(63)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선.
  27. 제 18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 설비(57)의 변환 변압기(66,67,68)마다 하나씩 해치가 할당되며, 상기 해치는 선박종축을 향하고 있는 컨테이너(48,49)의 종벽(51)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선.
  28. 제 20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 프로펠러(28)에 할당된 컨테이너(48,49)마다, 선박종축을 향하고 있는 컨테이너(48,49)의 종벽(51)의 내부면에, 횡벽(65)으로부터 키 프로펠러 측면의 컨테이너(48,49)의 전방 벽(53) 방향으로, 변환기 설비(58), 조정유닛 및 제어유닛(59), 그리고 컨테이너 측면의 검사용 기어(56)와 변환기 냉각설비(61) 사이의 간격이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선.
  29. 제 18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 프로펠러에 할당된 컨테이너(48,49)의 변환기 냉각설비(61)가 수냉장치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선.
  30. 제 18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 설비(58)의 사이클로컨버어터(74,75)에는 선박종축을 향하고 있는 컨테이너(48,49)의 종벽(51)에 형성된 하나의 서비스 개구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선.
  31. 제 18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 설비(58)의 사이클로컨버어터 동력장치(58)의 사이리스터 모듈로된 하나의 라인 측면의 도체 바아가 형성되어 상기 변환 변압기(66,67,68)의 동력 케이블이 직접 접속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선.
  32. 제 18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케이블을 위하여 변환 변압기(66,67,68)의 한 면과 변환기 설비(58)의 다른 한 면 사이에 하나의 케이블 판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선.
  33. 제 18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 키 프로펠러(28)에 할당된 각 컨테이너(48,49)마다 하나의 크로스바아(crossbar)가 구비되며, 상기 크로스바아는 변환기 설비(58), 조정유닛 및 제어유닛(59), 배전부(60) 그리고 변환기 냉각설비(61)를 위한 대들보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선.
  34. 제 14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 운항 설비에 대한 기능 모듈을 수용하는 컨테이너(48,49)마다 컨테이너(48,49)의 세로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적재지점 또는 적재용 지지대가 할당되며, 바람직하게는 인접한 적재지점 또는 적재용 지지대 사이의 간격이 최대 3m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선.
KR1020017016570A 1999-06-24 2000-06-19 승객 및/또는 화물 수용을 위해 지정된 선체를 가진 상선 KR1006879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CT/DE99/01842 1999-06-24
DE9901842 1999-06-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767A true KR20020042767A (ko) 2002-06-07
KR100687965B1 KR100687965B1 (ko) 2007-02-27

Family

ID=6918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6570A KR100687965B1 (ko) 1999-06-24 2000-06-19 승객 및/또는 화물 수용을 위해 지정된 선체를 가진 상선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645016B1 (ko)
EP (1) EP1189807B1 (ko)
KR (1) KR100687965B1 (ko)
CN (1) CN1170730C (ko)
AT (1) ATE253491T1 (ko)
AU (1) AU6425200A (ko)
DE (1) DE50004343D1 (ko)
ES (1) ES2209940T3 (ko)
NO (1) NO20016318L (ko)
WO (1) WO20010004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71589T1 (de) * 2000-09-21 2010-07-15 Abb Schweiz Ag Konfiguration eines leitsystems einer elektrischen schaltanlage
JP2002324037A (ja) 2001-04-24 2002-11-08 Fujitsu Ltd 連携表示プログラム
WO2004028899A1 (de) * 2002-09-20 2004-04-08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s schiffs-antriebssystem
FI115763B (fi) * 2003-01-30 2005-07-15 Aker Finnyards Oy Laivan ohjaus- ja propulsiojärjestely
WO2008079829A2 (en) * 2006-12-22 2008-07-03 Duncan Scot M Optimized control system for cooling systems
KR200447766Y1 (ko) 2007-11-23 2010-02-19 에스티엑스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엔진과 콘트롤 룸 장치 사이의 통신방식 연결 장치
EP2259964B1 (en) * 2008-04-08 2015-07-08 Rolls-Royce Aktiebolag A method of providing a ship with a large diameter screw propeller and a ship having a large diameter screw propeller
US8474892B1 (en) 2012-06-13 2013-07-02 Pinnacle Companies, Inc. Lifting apparatus and method
US8534480B1 (en) 2012-06-13 2013-09-17 Pinnacle Companies, Inc. Tank segment connection apparatus
US8801041B2 (en) 2012-07-30 2014-08-12 Pinnacle Companies, Inc. Fluid storage container and method
US9439316B2 (en) 2014-04-03 2016-09-06 General Electric Company Submersible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s of assembly thereof
FR3052741B1 (fr) * 2016-06-17 2019-07-12 Ge Energy Power Conversion Technology Limited Ensemble de propulsion pour vehicule marin, comprenant une unite de propulsion, un palier de gouverne et des moyens de fixation
US11073296B2 (en) 2018-03-09 2021-07-27 Scot Matthew Duncan High efficiency dehumidification system (HED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37931U (de) 1969-09-25 1970-04-23 Hans Boost Trier Schiffswerft Motorisch getriebenes wasserfahrzeug mit einem oder mehreren ruderpropellern
DE2929203A1 (de) * 1979-07-19 1981-06-04 Ing.(grad.) Alois 2000 Hamburg Philipp Schiffsbetriebseinheiten in baulichen abmessungen von containern nach iso - normung
US4476798A (en) * 1982-08-17 1984-10-16 Consolidated Olympic Corporation Integrated multiple purpose universal ship hull and replacement module system
DE3424067A1 (de) 1984-06-29 1986-01-09 Blohm + Voss Ag, 2000 Hamburg Kampfschiff mit funktionseinheitsanlagen
DE3426333A1 (de) 1984-07-17 1986-01-30 Blohm + Voss Ag, 2000 Hamburg Antriebsaggregat fuer schiffe
US5259332A (en) * 1990-08-06 1993-11-09 Ishikawajima-Harima Ju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for forming modules and method for arrangement thereof
DE4100467C2 (de) * 1991-01-09 1994-09-15 Blohm Voss Ag Schiff mit einem Schiffssicherungsmodul
US5417597A (en) * 1994-04-28 1995-05-2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Vessel with machinery modules outside watertight hull
EP1012037B1 (en) * 1997-10-23 2002-05-29 IHC Gusto Engineering B.V. Vessel comprising a retractable thruster
FI107042B (fi) * 1998-09-14 2001-05-31 Abb Azipod Oy Propulsioyksikön kääntämin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89807A1 (de) 2002-03-27
AU6425200A (en) 2001-01-31
NO20016318D0 (no) 2001-12-21
NO20016318L (no) 2002-01-15
KR100687965B1 (ko) 2007-02-27
CN1170730C (zh) 2004-10-13
US6645016B1 (en) 2003-11-11
ES2209940T3 (es) 2004-07-01
DE50004343D1 (de) 2003-12-11
ATE253491T1 (de) 2003-11-15
EP1189807B1 (de) 2003-11-05
CN1382088A (zh) 2002-11-27
WO2001000484A1 (de) 2001-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7965B1 (ko) 승객 및/또는 화물 수용을 위해 지정된 선체를 가진 상선
KR101123875B1 (ko) 선박 상부구조물 및 그 배열 방법
CN103140415B (zh) 电动马达更换
WO2020074367A1 (en) Optimized tanker
KR101838778B1 (ko) 부유식 환적 플랫폼
JP2006224956A (ja) 船舶
US6240867B1 (en) Distributed machinery structure for ships
US11077923B2 (en) Watercraf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watercraft
CN204056242U (zh) 一种应用液化天然气燃料的港作拖轮
CN209096995U (zh) 一种用于小型船舶的动力驱动系统
RU2507107C1 (ru) Модульная атомная подводная лодка
RU2000101159A (ru) Плавучая атомная электростанция
KR20150120635A (ko) 컨테이너선용 전원 공급 장치
CN215826931U (zh) 可适于浅水域运输船
US2360261A (en) Shipping and ship construction
CN116238636A (zh) 一种可灵活组装的无人艇平台
RU2506198C1 (ru) Атомная подводная лодка
JP2019014404A (ja) 洋上浮体構造物およびその推進システム
TW438700B (en) Ship of merchant marine with a hull which is specified to accept goods and/or persons
RU2154590C2 (ru) Кормовая оконечность судна
Spink Design of Ships for the Transport of Spent Nuclear Fuels
Walsh et al. RFA A rgus-the conversion of a ro-ro/container vessel to an aviation training ship
Hornhaver STANDARD FLEX Distributed Architecture Combat System
Liou Conversion of EX T‐AGOS 14
Newman et al. Electrical design considerations in modern commercial submersib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