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2667A - 안질환 예방 및 치료제 - Google Patents

안질환 예방 및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2667A
KR20020042667A KR1020027002991A KR20027002991A KR20020042667A KR 20020042667 A KR20020042667 A KR 20020042667A KR 1020027002991 A KR1020027002991 A KR 1020027002991A KR 20027002991 A KR20027002991 A KR 20027002991A KR 20020042667 A KR20020042667 A KR 20020042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ent
eye
corneal
compound
therapeutic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2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까히로아끼
가와바따가즈히또
도꾸시게히데끼
Original Assignee
우에노 도시오
오노 야꾸힝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쇼지
센주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에노 도시오, 오노 야꾸힝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쇼지, 센주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에노 도시오
Publication of KR20020042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266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3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aromatic ring attached to a carboxyl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with compounds having aromatic groups, e.g. dipivefrine, ibopa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I 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들의 수화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안질환, 특히 안염증 및 각막 궤양에 대한 예방 및 치료제를 제공한다.
[화학식 I]

Description

안질환 예방 및 치료제{PREVENTIVE AND THERAPEUTIC AGENTS FOR EYE DISEASES}
JP-B 5-81586 호 및 JP-A 5-194366 호 (EP-A 539223 호에 대응) 는 하기 화학식 I 로 표시되는 화합물(하기에서, 화학식 I 의 화합물로 언급됨) 및 그의 염 또는 수화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는 인간의 호중구 유래 엘라스타제 억제 작용을 가지며, 폐기종,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및 류머티즘성 관절염과 같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효하다.
한편, 안과학 영역에서도 백혈구 및 그들의 엘라스타제와 관련된 각종 질환이 포함된다. 예로서, 안(眼) 감염증, 각막외상, 각막궤양 및 포도막염이 언급될 수 있다. 안 감염에서, 백혈구의 세포 침윤은 안 내에 농양을일으킨다[Invest. Ophthalmol. Vis. Sci., 40, 385~391 (1999)]. 알칼리성 외상(부식)은 알칼리성 부식 초기단계에서 백혈구가 각막 간질 세포(stromal cell) 내에 침윤되도록 하는 각막 외상의 하나로, 2주 내지 3주 후 백혈구 엘라스타제 활성의 상승이 관찰된다[Ophthalmic. Res., 29, 154~160 (1997)]. 각막 궤양의 경우에도, 각막창상 또는 각막박리는 백혈구가 각막 간질 내로 침윤되어 엘라스타제 또는 콜라겐과 같은 단백분해효소의 방출 또는 분비가 일어나도록 한다 [Klin. Monatsbl. Augenheilkd, 188, 593~595 (1986)]. 포도막염, 특히 베체트 병(Behcet's disease) 은 혈장 백혈구 엘라스타제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Clin. Chim. Acta 236: 129~134 (1995), Acta, Ophthalmol. Scand. 75:287~289 (1997), J.Reumatol. 25: 326~328 (1998)]. 백혈구 또는 그의 엘라스타제는 상기 언급된 안질환에 연루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엘라스타제 억제제 투여의 실질적인 효과는 보고되지 않았다.
JP-A- 5-221872 (EP-A 519354 에 대응) 및 JP-A 6-509232 (EP-A 596118) 에는 인간 백혈구 엘라스타제 억제 작용을 갖는 미생물 유래의 물질이 일반적으로 각막 상처 조직 형성 또는 섬유아세포 증식 [안 고화 (화상, 기계적 또는 화학적 손상, 각결막염) 등] 에 대한 예방 및 치료제로서 유용하다고 기재되어 있으나, 그 효과를 입증하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투여하지는 않았으며, 이는 화학식 I 의 화합물과 전혀 상이하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화학식 I 의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안질환용예방 및 치료제를 개발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기타 목적들 및 장점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백혈구(호중구) 유래의 엘라스타제(elastase) 억제 작용을 갖는, 안질환 예방 및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N-[o-(p-피발로일옥시벤젠술포닐아미노)벤조일]글리신 일나트륨염 4수화물 (이하에서 화합물 A 로서 언급됨) 점안제의, 내독소(endotoxin)로 유도된 각막염에 대한 효과(각막 혼탁에 대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각 기호는 평균 ±표준편차 (n=4) 를 나타낸다. 대조군과의 통계적 유의차는 p<0.05 로 분석하였다 (윌콕슨 검증(Wilcoxon test), 단측검증).
도 2 는 화합물 A 점안제의, 내독소로 유도된 각막염에 대한 효과(각막 궤양에 대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각 기호는 평균 ±표준편차 (n=4) 를 나타낸다. 대조군과의 통계적 유의차는 p<0.05 로 분석하였다 (윌콕슨 검증, 단측검증).
도 3 은 화합물 A 점안제의, 내독소로 유도된 각막염에 대한 효과(혈관신생에 대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각 기호는 평균 ±표준편차 (n=4) 를 나타낸다.
도 4 는 상기 화합물 A 점안제의, 시도한지 15 일 후에 내독소로 유도된 각막염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다. 각 컬럼은 평균 ±표준편차 (n=4) 를 나타낸다. 대조군과의 통계적 유의차는 p<0.05 로 분석하였다 (윌콕슨 검증, 단측검증).
도 5 는 화합물 A 점안제의, 알칼리 부식 각막염에 대한 효과(각막 혼탁에대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각 기호는 평균 ±표준편차 (n=4) 를 나타낸다.
도 6 은 화합물 A 점안제의, 알칼리 부식 각막염에 대한 효과(각막 궤양에 대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각 기호는 평균 ±표준편차 (n=4) 를 나타낸다. 대조군과의 통계적 유의차는 p<0.05 로 분석하였다 (윌콕슨 검증, 단측검증).
도 7 은 화합물 A 점안제의 알칼리 부식 각막염에 대한 효과(혈관신생에 대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각 기호는 평균 ±표준편차 (n=4) 를 나타낸다.
도 8 은 화합물 A 점안제의 미생물 접종 직후의 녹농균성 각막 궤양에 대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각 기호는 평균 ±표준편차 (n=6) 를 나타낸다. 대조군과의 통계적 유의차는 p<0.05 로 분석하였다 (윌콕슨 검증, 단측검증).
도 9 는 미생물 접종 후 하루 및 그 이후에 녹농균성 각막 궤양에 대한 화합물 A 및 로메플록사신(lomefloxacin) 의 점안 투여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각 기호는 평균 ±표준편차 (n=5~6) 를 나타낸다. 대조군과의 통계적 유의차는 *p<0.05 및 **p<0.01 로 분석하였다 (스틸 검증(Steel test), 단측검증).
발명의 개요
본 발명자들은 화학식 I 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수화물이 각종 안질환에 대한 현저한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학식 I 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적합한 염 또는 수화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안질환 특히 안염증 질환 및 각막 궤양에 대한 예방 및 치료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안질환에 대한 치료가 요구되는 포유류에 상기 언급된 유효 성분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안질환 예방 및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유효 성분을 안질환 예방 및 치료제의 제조시 사용하는 용도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유효 성분의 수성 현탁액 형태인 점안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예방 및 치료제는 바람직하게는 점안제 또는 안연고와 같이 국소 투여를 위한 투약 형태로, 이는 안 감염 (예로서, 각막 헤르페스, 세균성 각막염, 세균성 결막염, 진균성 각막염, 가시아메바성 각막염, 감염성 안내염, 감염성 각막 궤양 등), 각막 외상, 흉터성(cicatricial) 각결막염 질환 (예로서, 알칼리 부식 각결막염, 스티븐스-존슨(Stevens-Johnson) 증후군, 안 유천포창(ophthalmic pemphigoid) 등), 각막 궤양 (예로서, 무렌(Mooren's) 궤양, 만성 류마티즘성 관절염 또는 콜라겐 질환에 수반되는 각막 궤양, 테리엔(Terrien's) 변연 변성(margine degeneration), 카타르성 각막 궤양, 감염성 각막 궤양 등), 비타민 A 결핍으로 유도된 각막 연화증, 회저성 각막염, 신경마비성 각막염, 당뇨성 각막증, 건성 각결막염, 콘택트 렌즈로 유도된 각결막염,춘분(vernal) 결막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포도막염, 베체트 증후군, 백내장 수술 후 염증 및 위익상편과 같은 각종 안과 질환, 특히 각결막염성 염증 질환 (예로서, 각막 헤르페스, 세균성 각막염, 세균성 결막염, 진균성 각막염, 가시아메바성 각막염, 각막 외상, 알칼리 부식 각결막염, 각막 궤양, 비타민 A 결핍으로 유도된 각막 연화증, 회저성 각막염, 신경마비성 각막염, 당뇨성 각막증, 건성 각결막염, 콘택트 렌즈로 유도된 각결막염, 춘분 결막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등) 에 유용하다. 또한, 각막 궤양 (상기 기재된 각종 궤양 및 그와 다르게 유도된 궤양들을 포함), 특히 감염성 각막 궤양을 예방 및 치료하는데도 유용하다.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 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적합한 염은 JP-B 5-81586 호에 기재되어 알려진 화합물이며, 상기문헌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p-피발로일옥시벤젠술포닐 클로라이드를 아미드화한 후, 공지된 방법으로 염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생성된 화합물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수화물로 전환될 수도 있다.
화학식 I 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적합한 염은 예로서 염산염, 브롬화수소염, 요오드화수소염, 황산염, 인산염 및 질산염과 같은 무기염, 아세테이트, 락테이트, 타르타레이트, 벤조에이트, 시트레이트, 메탄술포네이트, 에탄술포네이트, 벤젠술포네이트, 톨루엔술포네이트, 이세티오네이트, 글루쿠로네이트 및 글루코네이트와 같은 유기염, 알칼리 금속염(나트륨염, 칼륨염 등), 알칼리 토금속염(칼슘염, 마그네슘염 등), 암모늄염, 약학적으로 적합한 아민염(테트라메틸암모늄염, 트리에틸아민염, 메틸아민염, 디메틸아민염, 시클로펜틸아민염, 벤질아민염, 페네틸아민염, 피페리딘염, 모노에탄올아민염, 디에탄올아민염,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염, 리신염, 아르기닌염, N-메틸-D-글루카민염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효 성분으로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화학식 I 의 화합물의 나트륨염 4수화물, 즉 하기 화학식 I-A 로 표시되는 N-[o-(p-피발로일옥시벤젠술포닐아미노)벤조일]글리신 일나트륨염 4수화물 (EP-A 539223 호에 대응하는 JP-A 5-194366 호의 실시예 3 에 기재됨)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질환 예방 및 치료제는, 그의 백혈구 유래 엘라스타제 억제 작용에 근거하여, 안 감염증 (예로서, 각막 헤르페스, 세균성 각막염, 세균성 결막염, 진균성 각막염, 가시아메바성 각막염, 감염성 안내염, 감염성 각막 궤양 등), 각막 외상, 흉터성 각결막염 질환 (예로서, 알칼리 부식 각결막염, 스티븐슨-존슨 증후군, 안 유천포창 등), 각막 궤양 (예로서, 무렌 궤양, 만성 류마티즘성 관절염 또는 콜라겐 질환에 수반되는 각막 궤양, 테리엔(Terrien's) 변연 변성(margine degeneration), 카타르성 각막 궤양, 감염성 각막 궤양 등), 비타민 A 결핍 유래 각막 연화증, 회저성 각막염, 신경마비성 각막염, 당뇨성 각막증, 건성 각결막염, 콘택트 렌즈로 유도된 각결막염, 춘분(vernal) 결막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포도막염, 베체트 증후군, 백내장 수술 후 염증 및 위익상편과 같은 각종안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며, 특히 각결막염성 염증 질환 (예로서, 각막 헤르페스, 세균성 각막염, 세균성 결막염, 진균성 각막염, 가시아메바성 각막염, 각막 외상, 알칼리 부식 각결막염, 각막 궤양, 비타민 A 결핍으로 유도된 각막 연화증, 회저성 각막염, 신경마비성 각막염, 당뇨성 각막증, 건성 각결막염, 콘택트 렌즈로 유도된 각결막염, 춘분 결막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등) 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다. 각막 궤양 (상기 기재된 각종 각막 궤양 및 그와 다르게 유도된 것들을 포함), 특히 감염성 각막 궤양의 예방 및 치료에도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안질환 예방 및 치료제는 그 자체가 공지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와 혼합하고, 그 자체가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정제, 캡슐, 과립, 주사용액, 점안제 및 안연고와 같은 각종 경구 또는 비경구 투약 형태로 의약 또는 수의용 약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특히 국소 투약 형태, 바람직하게는 점안제 또는 안연고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안제에는 예로서 수성 점안제, 수성 현탁액 점안제, 점조성 점안제 및 가용화된 점안제와 같은 수성 제형 뿐만 아니라 비수성 점안제 및 비수성 현탁액 점안제와 같은 비수성 점안제가 있으며, 수성 제형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수성 현탁액 점안제이다.
수성 점안제는 완충제 (예로서, 포스페이트 완충제, 보레이트 완충제, 시트레이트 완충제, 타르타레이트 완충제, 아세테이트 완충제, 아미노산, 나트륨 아세테이트, 나트륨 시트레이트 등), 등장화제 (예로서, 소르비톨, 글루코오즈 및 만니톨과 같은 당류, 글리세린, 농축 글리세린,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다가 알코올류), 보존제 또는 방부제 (예로서,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벤제토늄 클로라이드, 메틸 p-옥시벤조에이트 또는 에틸 p-옥시벤조에이트와 같은 p-옥시벤조에이트, 벤질 알코올, 페네틸 알코올, 소르브산 또는 그의 염, 티메로살(thimerosal), 클로로부탄올 등), 용해 보조제 또는 안정화제 (예로서, 시클로덱스트린 및 그의 유도체, 폴리비닐 피롤리돈과 같은 수용성 중합체, 폴리소르베이트 80 (Tween 80) 과 같은 계면활성제), pH 조정제 (예로서, 염산, 아세트산, 인산,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암모늄 등), 증점제 (예로서,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즈,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즈, 메틸 셀룰로오즈,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즈,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즈 및 그의 염들), 킬레이트화제 (예로서, 나트륨 에데테이트, 나트륨 시트레이트, 축합 인산나트륨)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혼입되는 각종 첨가제들을 함유할 수 있다.
수성 현탁액 형태의 점안제는 상기 열거된 첨가제들 외에도, 현탁제 (예로서, 폴리비닐 피롤리돈,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분산제 (예로서, 티록사폴(tyloxapol) 및 폴리소르베이트 80 과 같은 계면활성제, 나트륨 알기네이트와 같은 이온성 중합체)도 함유하여, 점안제가 더 균일한 미립자물이고, 충분히 분산된 수성 현탁액이 되도록 보장할 수 있다.
점안제가 수성 현탁액 형태로 제조되는 경우, pH 조정제를 사용하여 제형을 산성 pH (pH 4 내지 5.5) 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pH 조정제는 염산이다.
수성 현탁액 형태의 점안제는, 바람직하게는 완충제로서 나트륨 시트레이트또는 나트륨 아세테이트, 등장화제로서 농축 글리세린 및/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및 현탁제로서 폴리비닐 피롤리돈을 함유한다. 바람직한 분산제는 계면활성제 및/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이다. 이러한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티록사폴 또는 폴리소르베이트 80 이다.
안연고는 정제 라놀린, 바셀린, 플라스티베이스(plastibase), 액체 파라핀,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과 같이 그 자체가 공지된 연고 기재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방 및 치료제는 안질환으로 고통받거나 또는 고통받을 수 있는 포유류(예로서, 인간, 토끼, 개, 고양이, 소, 말, 원숭이)에게 투여될 수 있다. 투여 경로 및 투여량은 증상, 대상의 연령 및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성인에게 투여하는 경우, 유리 형태로서 화학식 I 의 화합물을 약 0.001 내지 5 (w/v) %,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3 (w/v) % 의 농도로 함유하는 수성 점안제로서, 바람직하게는 하루에 1 내지 8 회 투여하되, 1 회 투여시 한 방울 내지 수 방울을 투여한다.
안연고로서 투여하는 경우, 투여량은 유리 형태로서의 화학식 I 의 화합물 약 0.001 내지 5 (w/v) %,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3 (w/v) % 이고, 바람직하게는 증상에 따라 적절하게 하루 1 회 내지 4 회 투여한다.
의도된 사용 목적에 불리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면, 본 발명의 예방 및 치료제는 기타 적절한 약학적으로 유효한 물질들을 함유하거나 또는 이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예로서 스테로이드성 소염제 (덱사메타손, 프레드니솔론 등),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디클로페낙 나트륨, 프라노프로펜 등), 항알레르기제 (트라닐라스트(tranilast), 케토티펜 푸마레이트, 나트륨 크로모글리케이트 등), 항히스타민제 (디펜히드라민 히드로클로라이드 등), 녹내장 치료제 (필로카르핀 히드로클로라이드, 피소스티그민 살리실레이트, 티몰올, 이소프로필우노프로스톤 등), 항생제 (젠타마이신 술페이트, 프라디오마이신 술페이트, 토브라마이신, 술베니실린, 세프메녹심, 에리트로마이신, 콜리스틴, 옥시테트라시클린, 폴리믹신 B(polymyxin B), 클로람페니콜, 미크로노마이신, 디베카신, 시소마이신 등), 항세균제 (술파메티졸, 술파메톡사졸, 오블록사신, 노르플록사신, 로메플록사신 히드로클로라이드, 에녹사신, 사이프로플록사신 히드로클로라이드, 시녹사신, 스파르플록사신, 토수플록사신 토실레이트, 날리딕스산, 피페미드산 삼수화물, 피페미드산, 플레록사신, 레보플록사신 등), 및 항바이러스제 (이독수리딘(idoxuridine), 아시클로버 등), 및 항진균제 (피마리신, 플루코나졸, 미코나졸, 암포테리신 B, 플루시토신, 이트라코나졸 등) 이 있다.
본 발명의 예방 및 치료제는 특히 안 감염으로 유도된 염증 또는 각막 궤양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거된 항생제, 항세균제, 항바이러스제 및 항진균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과 함께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 항생제, 항세균제, 항바이러스제 및 항진균제 중 임의의 것이 본 발명의 예방 및 치료제와 단일 제형으로 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개별적으로 점안 투여될 수 있다. 개별적으로 점안 투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예방 및 치료제는 임의의 항생제, 항세균제, 항바이러스제 및 항진균제와 동시에, 또는 일정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점안 투여될 수 있다. 동시에 점안 투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예방 및 치료제, 및 항생제, 항세균제, 항바이러스제 및 항진균제 중 어느 하나를 먼저 점안 투여한 후, 바람직하게는 일정 시간 후에 다른 물질을 점안 투여하여 미리 점안 투여된 물질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한다. 상기 열거된 임의의 항생제, 항세균제, 항바이러스제 및 항진균제는 경구 제형 또는 정맥 제형으로 전신투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험 및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되지만, 이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시험예 1
화합물 A 의 안 감염 질환에 대한 효과를 하기 기재한 것과 같이 시험하였다.
안 감염에서 종종 검출되는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녹농균) 유래의 내독소를 사용하여 토끼 각막염 모델 및 토끼 각막 알칼리 부식 모델에서, 점안제로서 투여되는 경우의 화합물 A 의 효과를 시험하였다.
재료 및 방법
(1) 동물
FUKUZAKI 토끼 사육 협회로부터 구입한 체중 약 2 내지 2.5 kg 의 수컷 일본 알비노 토끼를 사용하였다. 각 동물을 온도 24 ±4 ℃ 및 습도 55 ±15 % 에서 사육하였다.
(2) 시험 물질
제형 기재 (0.1 % NaH2PO4, 0.1% 폴리소르베이트 80 및 0.9% NaCl, pH 5.0)에화합물 A 를 현탁함으로써 제조한 0.1 % 의 화합물 A 점안제로서, 화합물 A 를 제공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서 0.1% 베타메타손 점안제(Rinderon™용액, Sionogi 사)를 사용하였다. 대조군에는, 제형 기재를 제공하였다.
(3) 방법
1) 내독소로 유도된 각막염에 대한 효과
각 체중이 2 내지 2.5 kg 인 16 마리의 수컷 일본 알비노 토끼를 사용하였다. 토끼를 각각 4 마리의 동물로 이루어진 4 개 군으로 나누어, 5% 케타민 히드로클로라이드 및 2% 의 자일라진 히드로클로라이드의 동일 부피 혼합물 1 ㎖/kg 각각을 근육내 투여함으로써 전신 마취시켰다. 생리식염수 중의 슈도모나스 아우레기노사 유래 내독소의 1% 용액 각 10 ㎕ 를 각 토끼의 각막 간질 내에 주입하였다. 내독소 주입 후 매 5 일마다, 30 일 동안 슬릿 램프(slit lamp) 를 사용하여 눈의 전방부를 관찰하고, 각막 혼탁, 각막 궤양 및 혈관신생을 검사하여 표 1 에 나타낸 기준에 따라 채점평가하였다. 각 시험 물질은 내독소 주입 직후 점안 투여를 개시하였고, 이후 2 시간 마다 20 ㎕ 부피를 매일 4 회 투여하였다.
2) 알칼리 부식 각막염에 대한 효과
각 체중이 2 내지 2.5 kg 인 16 마리의 수컷 일본 알비노 토끼를 사용하였다. 토끼를 각각 4 마리의 동물로 이루어진 4 개 군으로 나누어, 5% 케타민 히드로클로라이드 및 2% 의 자일라진 히드로클로라이드의 동일 부피 혼합물 1㎖/kg 각각을 근육내 투여함으로써 전신 마취시키고, 또한 옥시부프로카인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점안 투여함으로써 국소 마취시켰다. 2 N NaOH 에 침지시켰던 지름 10mm 의 여과지를 토끼의 오른쪽 각막 중앙과 1 분 동안 접촉시켜 알칼리 부식을 형성한 후, 눈을 즉시 10 ㎖ 이상의 생리식염수로 세정시켰다. 알칼리 부식 5 일 후 매 5 일 마다, 30 일째까지 슬릿 램프를 사용하여 각막 궤양 및 혈관신생의 심도를 관찰하고, 표 1 에 나타낸 기준에 따라 채점평가하였다. 각 시험 물질은 알칼리 부식 직후 점안 투여를 개시하였고, 이후 2 시간 마다 20 ㎕ 부피를 일일 4 회 투여하였다.
[표 1]
토끼 각막 채점평가 기준
*각막 혼탁주 1)
A) 정도
0: 혼탁 없음
1: 경도의(mild) 혼탁이 있으나 전방 쳄버(anterior chamber) 식별가능
2: 홍채의 세부를 식별하기 어려움
3: 전방 쳄버에 투명도가 거의 없음
B) 상기에 해당하는 각막 영역의 크기
1: 전체의 1/3 이하
2: 전체의 1/3 초과 2/3 미만
3: 전체의 2/3 이상
* 각막 궤양
0: 각막 궤양 없음
1: 각막 표면에서 전방 쳄버 내면쪽으로 심도가 1/3 미만인 궤양
2: 각막 표면에서 전방 쳄버 내면쪽으로 심도가 1/3 이상 2/3 미만인 궤양
3: 각막 표면에서 전방 쳄버 내면쪽으로 심도가 2/3 이상인 궤양
4: 각막 천공
* 혈관신생주 1)
A) 길이
0: 각막 내 혈관신생 없음
1: 각막 가장자리에서 중심으로 1/3 미만 신장
2: 각막 가장자리에서 중심으로 2/3 미만 신장
3: 각막 가장자리에서 중심으로 2/3 이상 신장
B) 영역
0.5: 각막 주변 1/3 미만
1: 각막 주변 1/3 이상 2/3 미만
2: 각막 주변 2/3 이상
주 1) 각각 A 평가치 ×B 평가치
결과 및 고찰
1) 내독소 유래 각막염에 대한 효과
도 1 내지 도 3 은 내독소 주입 후 5 일에서 30 일의 기간 동안 각막염 증상의 변화를 나타낸다. 대조군에서, 각 증상은 15 일째 최대였으며, 그 후 증상이 거의 사라진 30 일째까지 점진적인 회복이 관찰되었다. 대조군과 비교시,화합물 A 점안 투여 군에서 모든 평가 항목, 즉 각막 혼탁, 각막 궤양 및 혈관신생에 대한 억제 효과가 관찰되었다. 양성 대조군으로서 사용된 0.1% 베타메타손 포스페이트 점안 투여 군에서는, 관찰 기간 동안 각막염의 발병이 거의 완전히 억제되었다. 도 4 는, 각 증상이 최정점에 도달하는 15 일째의 각 군의 총 채점평가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대조군과 비교시 화합물 A 점안 투여군의 % 억제가 59.4% 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상기 기재된 결과에 기초하여, 화합물 A 점안제가 안 감염 동안 각막염의 각종 증상에 대해 유효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양성대조군으로서 여기 사용된 베타메타손 포스페이트는 매우 강한 항염증 작용을 나타내었으나, 임상의 안 감염에 있어서 스테로이드제를 사용한 장기 치료는 감염 악화와 같은 부작용 면에서, 사용이 종종 제한된다.
따라서, 감염 악화의 위험이 적은 것으로 기대되는 화합물 A 점안제는 안감염에 대한 유망한 물질로서 제공될 수 있다.
2) 알칼리 부식 각막염에 대한 효과
도 5 내지 7 은 각막 알칼리 노출 후 5 일에서 30 일의 기간 동안 각막염 증상의 변화를 나타낸다. 대조군에서, 증상은 각막 알칼리 노출 후 20 내지 25 일째 최대였다. 화합물 A 점안 투여 군에서, 각막 궤양에 대한 현저한 억제 효과가 20 일째에 관찰되었으나, 혈관신생 또는 각막 혼탁에 대한 효과는 인식되지 않았다. 양성대조군으로서 사용된 0.1 % 베타메타손 포스페이트 점안 군에서는, 15 일째에 혈관신생에 대한 현저한 억제 효과가 관찰되었다.
시험예 2
재료 및 방법
(1) 동물
KITAYAMA LABES CO., LTD 로부터 구입한 체중 약 2 kg 의 수컷 일본 알비노 토끼를 사용하였다. 각 동물을 온도 23 ±3 ℃ 및 습도 55 ±10 % 에서 사육하였다.
(2) 시험 물질
제형 기재 (0.1 % 나트륨 아세테이트, 0.1 % 폴리소르베이트 80 및 0.9 % NaCl, pH 5.0)에 화합물 A 를 현탁함으로써 제조한 1.0 % 의 화합물 A 점안제로서, 화합물 A 를 제공하였다. 0.3% 로메플록사신 (LFLX) 히드로클로라이드를 항세균제로서 사용하고, 생리학적 식염수를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3) 방법
1) 순막(nictitating membrane) 의 절제
국소 마취를 위해 0.4% 의 옥시부프로카인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점안 투여한 후, 순막을 절제하였다.
2) 접종
사용된 원인 미생물은 임상적으로 분리한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 균주 No. ho-134 였다. 토끼를 5% 케타민 히드로클로라이드 및 2% 의 자일라진 히드로클로라이드 (동일 부피 혼합물) 로 전신 마취시킨 후, 30G 바늘이 장착된 100 ㎕ 마이크로주사기를 사용하여, 3.9 ×104CFU/㎖ 세포 현탁액 (1.17 ×103CFU/각막) 30㎕ 을 토끼의 한쪽 각막 간질 내에 접종하였다.
3) 점안 투여
각막 간질 내에 세포 현탁액이 주입되고, 접종이 성공적으로 수행된 동물들을, [1] 생리학적 식염수 점안 투여군 (대조군, n=6), [2] 접종 직후 치료를 개시한 군으로서 1.0 % 화합물 A 점안 투여군 (화합물 A 군, n=6), [3] 1.0 % 화합물 A 점안 투여군 (화합물 A 후투여군, n=5), [4] 0.3% LFLX 점안 투여군(LFLX 군, n=6), 및 [5] 접종 1일 후 (각막 궤양이 시작된 후) 치료를 개시한 군으로서 1.0% 화합물 A 점안 투여-0.3% LFLX 점안 투여 조합군 (화합물 A-LFLX 조합군, n=6) 중 하나의 군으로 분류하고, 각 물질 50 ㎕ 를 접종 직후 또는 접종 1일 후 (각막 궤양이 시작된 후) 하루 4 회 투여하였다. 화합물 A-LFLX 조합군에서, 0.3% LFLX 점안제를 점안 투여한지 약 10 분 후에 1.0 % 화합물 A 점안제를 점안 투여하였다.
4) 감염 증상의 관찰
각 동물을 접종 후 매 24 시간마다 각막 궤양에 대해 시험하고, 토끼 각막 영역 채점평가 기준에 따라 채점평가하여 표 2 에 나타내었다 (Barletta J.P. 등, Invest Ophthalmol Vis Sic 37:20~28, 1996).
[표 2]
토끼 각막 영역 채점평가 기준
* 각막 궤양
0: 각막 궤양 없음
1: 전체 각막의 1/4 미만의 궤양
2: 전체 각막의 1/4 이상 1/2 미만의 궤양
3: 전체 각막의 1/2 이상 3/4 미만의 궤양
4: 전체 각막의 3/4 이상 궤양
결과 및 고찰
1) 녹농균성 각막 궤양에 대한 효과 - 접종 직후 개시한 점안 투여 효과
접종 직후 개시한 점안 투여 결과를 도 8 에 나타내었다. 각막 궤양은 대조군(생리학적 식염수)에서 서서히 악화되어 접종 후 5 일에는 광범위하게 각막궤양이 일어났다. 반면에, 화합물 A 군에서는 접종 후 3 일에 각막 궤양이 억제되기 시작하였으며, 이는 통계적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도 8).
2) 녹농균성 각막 궤양에 대한 효과 - 접종 후 1 일에 시작된 점안 투여 효과
접종한 지 1일 후 점안 투여를 시작한 화합물 A 후투여군에서, 각막 궤양 형성은 접종한지 3 일 후 억제되기 시작하였다. LFLX 군은 대조군과 유사한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각막 궤양 형성의 억제는 인지되지 않았다 (도 9). 화합물 A-LFLX 조합군에서, 각막 궤양 형성은 접종한 지 3일 후에 강하게 억제되기 시작하였으며, 이는 통계적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도 9).
상기 관찰된 결과들에 기초하여, 엘라스타제 억제제로서 화합물 A 는 세균 감염에 의해 유도된 각막 궤양에 대해 유효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항세균제와 엘라스타제 억제제의 조합물은 각 물질이 단독으로 사용된 경우보다 세균 감염의 각막 궤양에 대한 효과도 보다 뛰어난 것으로 입증되었다.
실시예 1
하기 조성을 사용하여 수성 점안제를 제조하였다.
성분양
화합물 A0.1 g
염화나트륨0.9 g
나트륨 아세테이트0.1 g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0.005 g
염산적정량
수산화나트륨적정량
멸균 정제수전량을 100㎖ 로 하는 양(pH 6.0)
약 80 ㎖ 정제수에, 화합물 A, 염화나트륨, 나트륨 아세테이트 및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를 용해시켰다. 염산 및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상기 용액의 pH를 6.0 으로 조정하였다. 멸균 정제수를 첨가하여 전체 부피를 100 ㎖ 로 하여, 수성 점안제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하기 조성을 사용하여 점안제를 수성 현탁액으로서 제조하였다.
성분양
화합물 A1.0 g
염화나트륨0.9 g
나트륨 아세테이트0.1 g
폴리소르베이트 800.2 g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0.005 g
염산적정량
수산화나트륨적정량
멸균 정제수전량을 100㎖ 로 하는 양 (pH 5.0)
약 80 ㎖ 정제수에, 염화나트륨, 나트륨 아세테이트, 폴리소르베이트 80 및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를 용해시켰다. 염산 및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상기 용액의 pH를 5.0 으로 조정한 후, 화합물 A 를 첨가하고 균질기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현탁하였다. 멸균 정제수를 첨가하여 전체 부피를 100 ㎖ 로 하여, 수성 현탁액으로서 점안제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3
하기 조성을 사용하여 점안제를 수성 현탁액으로서 제조하였다.
성분양
화합물 A0.5 g
농축 글리세린2.6 g
나트륨 아세테이트0.1 g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즈0.2 g
메틸 p-옥시벤조에이트0.03 g
프로필 p-옥시벤조에이트0.02 g
염산적정량
수산화나트륨적정량
멸균 정제수전량을 100㎖ 로 하는 양 (pH 5.0)
약 80 ㎖ 정제수를 가온하고, 메틸 p-옥시벤조에이트 및 프로필 p-옥시벤조에이트를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즈를 분산시킨 후, 용해를 위해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이 용액에, 농축 글리세린 및 나트륨 아세테이트를 첨가한 후, 염산 및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pH 를 5.0 으로 조정하였다. 이 용액에, 화합물 A 를 첨가하고, 균질기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현탁시켰다. 멸균 정제수를 첨가하여 전체 부피를 100 ㎖ 로 하여, 수성 현탁액으로서 점안제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4
하기 조성물을 사용하여 안연고를 제조하였다.
성분양
화합물 A2.0 g
액체 파라핀2.0 g
백색 바셀린전량을 100 g 으로 하는 양
액체 파라핀 및 백색 바셀린을 가열하여 미리 멸균시켰다. 그 후, 화합물 A 를 액체 파라핀과 완전히 혼합한 후, 백색 바셀린과 반죽하여, 안연고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5
하기 조성을 사용하여 점안제를 수성 현탁액으로서 제조하였다.
성분양
화합물 A1.0 g
나트륨 시트레이트0.1 g
농축 글리세린1.2 g
메틸 p-옥시벤조에이트0.026 g
프로필 p-옥시벤조에이트0.014 g
프로필렌 글리콜1.0 g
폴리비닐 피롤리돈 (K-25)0.5 g
나트륨 알기네이트0.2 g
염산적정량
멸균 정제수전량을 100㎖ 로 하는 양 (pH 5.0)
약 80 ㎖ 정제수에, 나트륨 시트레이트, 농축 글리세린, 메틸 p-옥시벤조에이트, 프로필 p-옥시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및 폴리비닐 피롤리돈을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화합물 A 를 용해시키고, 용액을 0.22 ㎛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고, 염산으로 pH 를 5.0 으로 조정하여, 화합물 A 의 미세 결정(2 내지 3 ㎛)을 침전시켰다. 나트륨 알기네이트를 용해시키고, 정제수를 첨가하여 전체 부피를 100 ㎖ 로 하여, 수성 현탁액으로서 점안제를 수득하였다.
60 ℃ 에서 4 주 동안 저장한 후, 상기 수성 현탁액 점안제는 화합물 A 를 101.7% 함유하였으며, 응집 없이 재분산 성능이 양호하였다.
실시예 6
하기 조성을 사용하여 점안제를 수성 현탁액으로서 제조하였다.
성분양
화합물 A1.0 g
나트륨 시트레이트0.1 g
농축 글리세린1.2 g
메틸 p-옥시벤조에이트0.026 g
프로필 p-옥시벤조에이트0.014 g
프로필렌 글리콜1.0 g
폴리비닐 피롤리돈 (K-25)0.5 g
나트륨 알기네이트0.2 g
티록사폴0.1 g
염산적정량
멸균 정제수전량을 100㎖ 로 하는 양 (pH 5.0)
약 80 ㎖ 정제수에, 나트륨 시트레이트, 농축 글리세린, 메틸 p-옥시벤조에이트, 프로필 p-옥시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및 폴리비닐 피롤리돈을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화합물 A 를 용해시키고, 용액을 0.22 ㎛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고, 염산으로 pH 를 5.0 으로 조정하여, 화합물 A 의 미세 결정(2 내지 3 ㎛)을 침전시켰다. 나트륨 알기네이트 및 티록사폴을 용해시키고, 정제수를 첨가하여 전체 부피를 100 ㎖ 로 하여, 수성 현탁액으로서 점안제를 수득하였다.
60 ℃ 에서 2 주 동안 저장한 후, 상기 수성 현탁액 점안제는 화합물 A 를102.5% 함유하였으며, 응집 없이 재분산 성능이 양호하였다.
실시예 7
하기 조성을 사용하여 점안제를 수성 현탁액으로서 제조하였다.
성분양
화합물 A1.0 g
나트륨 시트레이트0.1 g
농축 글리세린1.2 g
메틸 p-옥시벤조에이트0.026 g
프로필 p-옥시벤조에이트0.014 g
폴리비닐 피롤리돈 (K-25)0.5 g
나트륨 알기네이트0.2 g
티록사폴0.1 g
염산적정량
멸균 정제수전량을 100㎖ 로 하는 양 (pH 5.0)
약 80 ㎖ 정제수에, 나트륨 시트레이트, 농축 글리세린, 메틸 p-옥시벤조에이트, 프로필 p-옥시벤조에이트 및 폴리비닐 피롤리돈을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화합물 A 를 용해시키고, 용액을 0.22 ㎛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고, 염산으로 pH 를 5.0 으로 조정하여, 화합물 A 의 미세 결정(2 내지 3 ㎛)을 침전시켰다. 나트륨 알기네이트 및 티록사폴을 용해시키고, 정제수를 첨가하여 전체 부피를 100 ㎖ 로 하여, 수성 현탁액으로서 점안제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8
하기 조성을 사용하여 점안제를 수성 현탁액으로서 제조하였다.
성분양
화합물 A1.0 g
나트륨 시트레이트0.1 g
농축 글리세린1.2 g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0.005 g
폴리비닐 피롤리돈 (K-25)0.5 g
나트륨 알기네이트0.2 g
티록사폴0.1 g
염산적정량
멸균 정제수전량을 100㎖ 로 하는 양 (pH 5.0)
약 80 ㎖ 정제수에, 나트륨 시트레이트, 농축 글리세린 및 폴리비닐 피롤리돈을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화합물 A 를 용해시키고, 용액을 0.22 ㎛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고, 염산으로 pH 를 5.0 으로 조정하여, 화합물 A 의 미세 결정(2 내지 3 ㎛)을 침전시켰다. 나트륨 알기네이트 및 티록사폴을 용해시키고,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를 용해시켰다. 정제수를 첨가하여 총 부피를 100 ㎖ 로 하여, 수성 현탁액으로서 점안제를 수득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안질환, 특히 안염증질환 및 각막 궤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의약 또는 수의용 약제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3)

  1. 화학식 I 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수화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안질환 예방 및 치료제:
    [화학식 I]
    .
  2. 제 1 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이 N-[o-(p-피발로일옥시벤젠술포닐아미노)벤조일]글리신 일나트륨염 4수화물인 예방 및 치료제.
  3. 제 1 항에 있어서, 국소 투여를 위한 투약 형태인 예방 및 치료제.
  4. 제 3 항에 있어서, 점안제인 예방 및 치료제.
  5. 제 4 항에 있어서, 수성 현탁액 형태의 점안제인 예방 및 치료제.
  6. 제 3 항에 있어서, 안연고인 예방 및 치료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안염증질환 예방 및 치료용인 예방 및 치료제.
  8. 제 7 항에 있어서, 각결막의 염증질환 예방 및 치료용인 예방 및 치료제.
  9. 제 1 항에 있어서, 각막 궤양의 예방 및 치료용인 예방 및 치료제.
  10. 제 9 항에 있어서, 감염성 각막 궤양의 예방 및 치료용인 예방 및 치료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에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생제, 항세균제, 항바이러스제 및 항진균제 중 하나 이상과 함께 사용되는 예방 및 치료제.
  12. 유효량의 화학식 I 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수화물을 안질환에 대한 치료가 필요한 포유류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안질환 예방 및 치료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N-[o-(p-피발로일옥시벤젠술포닐아미노)벤조일]글리신 일나트륨염 4수화물이 투여되는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안질환이 안염증질환인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안염증질환이 각결막의 염증질환인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안질환이 각막 궤양인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각막 궤양이 감염성 각막 궤양인 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항생제, 항세균제, 항바이러스제 및 항진균제 중 하나 이상과 함께 사용되는 방법.
  19. 화학식 I 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수화물의, 안질환용 예방 및 치료제 제조에서의 용도.
  20. 제 19 항에 있어서, N-[o-(p-피발로일옥시벤젠술포닐아미노)벤조일]글리신 일나트륨염 4수화물이 사용되는 용도.
  21. 제 19 항에 있어서, 안질환이 안염증질환인 용도.
  22. 제 21 항에 있어서, 안질환이 각결막의 염증질환인 용도.
  23. 제 19 항에 있어서, 안질환이 각막 궤양인 용도.
  24. 제 23 항에 있어서, 각막 궤양이 감염성 각막 궤양인 용도.
  25. 제 19 항에 있어서, 항생제, 항세균제, 항바이러스제 및 항진균제 중 하나 이상과 함께 사용되는 용도.
  26. 하나 이상의 pH 조정제를 사용하여 pH 를 4 내지 5.5 로 조정한 화학식 I 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수화물의 수성 현탁액 형태의 점안제.
  27. 제 26 항에 있어서, pH 조정제가 염산, 또는 수산화나트륨과 조합한 염산인 수성 현탁액 형태의 점안제.
  28. 제 26 항에 있어서, 완충제, 등장화제, 현탁제 및 분산제를 함유하는 수성 현탁액 형태의 점안제.
  29. 제 28 항에 있어서, 완충제가 나트륨 시트레이트 또는 나트륨 아세테이트인 수성 현탁액 형태의 점안제.
  30. 제 28 항에 있어서, 등장화제가 농축 글리세린 및/또는 프로필렌 글리콜인수성 현탁액 형태의 점안제.
  31. 제 28 항에 있어서, 현탁제가 폴리비닐 피롤리돈인 수성 현탁액 형태의 점안제.
  32. 제 28 항에 있어서, 분산제가 계면활성제 및/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인 수성 현탁액 형태의 점안제.
  33. 제 32 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가 티록사폴(tyloxapol) 또는 폴리소르베이트 80 인 수성 현탁액 형태의 점안제.
KR1020027002991A 1999-09-06 2000-09-05 안질환 예방 및 치료제 KR200200426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153899 1999-09-06
JPJP-P-1999-00251538 1999-09-06
PCT/JP2000/006014 WO2001017527A1 (fr) 1999-09-06 2000-09-05 Agents destines a la prevention et a au traitement des maladies des yeux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667A true KR20020042667A (ko) 2002-06-05

Family

ID=17224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2991A KR20020042667A (ko) 1999-09-06 2000-09-05 안질환 예방 및 치료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6624193B1 (ko)
EP (1) EP1213018A4 (ko)
JP (1) JP4682495B2 (ko)
KR (1) KR20020042667A (ko)
CN (1) CN1387436A (ko)
AU (1) AU6870800A (ko)
BR (1) BR0013793A (ko)
CA (1) CA2383971A1 (ko)
HU (1) HUP0202745A2 (ko)
MX (1) MXPA02002452A (ko)
NO (1) NO20021094L (ko)
NZ (1) NZ517556A (ko)
WO (1) WO2001017527A1 (ko)
ZA (1) ZA20020181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076B1 (ko) * 2000-06-29 2007-06-08 오노 야꾸힝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N-[o-(p-피발로일옥시벤젠술포닐아미노)벤조일]글리신·모노나트륨염·4수화물 함유 용액 및 제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00835B2 (ja) * 2000-08-25 2012-08-15 千寿製薬株式会社 水性懸濁液剤
US7315848B2 (en) * 2001-12-12 2008-01-01 Aaron Pearse Web snippets capture,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and method
US8129431B2 (en) 2003-01-21 2012-03-06 Senju Pharmaceutical Co., Ltd. Aqueous liquid preparation containing 2-amino-3-(4-bromobenzoyl)phenylacetic acid
CN1738610A (zh) * 2003-01-22 2006-02-22 日绊株式会社 眼疾治疗用经皮吸收型制剂、其使用及眼疾治疗药向眼局部组织的转移方法
US8748402B2 (en) 2004-06-07 2014-06-10 Bausch & Lomb Pharma Holdings Corp. Ophthalmic formulations and uses thereof
US8372814B2 (en) * 2004-06-07 2013-02-12 Ista Pharmaceuticals, Inc. Ophthalmic formulations and uses thereof
US20070208058A1 (en) * 2004-10-25 2007-09-06 Bryant Roy W St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CN101123948A (zh) * 2005-02-17 2008-02-13 千寿制药株式会社 眼科用固体外用药剂
HUE033597T2 (hu) 2006-09-29 2017-12-28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Eljárás allergia elleni szert tartalmazó szemészeti eszköz oxidációjának megelõzésére
CN101674807B (zh) * 2007-05-04 2013-03-20 博士伦公司 用于缓解、改善、治疗或预防干眼症的组合物及其制备和使用方法
KR20100016285A (ko) * 2007-05-07 2010-02-12 보오슈 앤드 롬 인코포레이팃드 안구건조 상태를 감소, 개선,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및 사용 방법
US8300252B2 (en) * 2008-06-18 2012-10-30 Livescribe, Inc. Managing objects with varying and repeated printed positioning information
TW201023912A (en) * 2008-12-05 2010-07-01 Alcon Res Ltd Pharmaceutical suspension
US8912236B2 (en) * 2009-03-03 2014-12-16 Alcon Research,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delivery of receptor tyrosine kinase inhibiting (RTKi) compounds to the eye
AU2010221438C1 (en) * 2009-03-03 2015-01-29 Alcon Research,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delivery of receptor tyrosine kinase inhibiting (RTKi) compounds to the eye
KR20210132205A (ko) 2013-03-14 2021-11-03 팬옵티카, 인크. 눈의 후안부로의 약물 전달을 위한 안구용 제제
KR102606948B1 (ko) * 2015-06-16 2023-11-27 롱-쭌 우 안구 건조증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
JP2020525416A (ja) * 2017-06-29 2020-08-27 アドヴァイテ エルエルシー. 眼表面障害の治療及び診断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0253A (ja) * 1988-06-13 1991-01-29 Ono Pharmaceut Co Ltd ピバル酸 p―置換フェニルエステル誘導体、それら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ら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エラスターゼ阻害剤
CA1340191C (en) 1988-06-13 1998-12-15 Katsuhiro Imaki Derivatives of p-substituted phenyl ester of pivalic acid
EP0396709A4 (en) * 1988-10-27 1991-05-22 University Of Kentucky Research Foundation Human leukocyte elastase inhibitors and methods of producing and using same
DK0519354T3 (da) 1991-06-18 1998-01-12 Fujisawa Pharmaceutical Co Profylaktisk/terapeutisk præparat indeholdende WS7622A til forebyggelse eller behandling af dissemineret intravaskulær koagulation, kronisk luftvejsinfektionssygdom eller kronisk bronkitis
GB9115811D0 (en) 1991-07-22 1991-09-04 Fujisawa Pharmaceutical Co Fr901451 substance,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and use thereof
EP0539223A1 (en) * 1991-10-25 1993-04-28 Ono Pharmaceutical Co., Ltd. Glycine derivative monosodium salt tetrahydrate having an inhibitory effect on elastase
JPH05194366A (ja) * 1991-10-25 1993-08-03 Ono Pharmaceut Co Ltd グリシン誘導体・モノナトリウム塩・4水和物、その製造方法、それを含有する薬剤および該誘導体の中間体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076B1 (ko) * 2000-06-29 2007-06-08 오노 야꾸힝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N-[o-(p-피발로일옥시벤젠술포닐아미노)벤조일]글리신·모노나트륨염·4수화물 함유 용액 및 제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PA02002452A (es) 2004-09-10
BR0013793A (pt) 2002-05-14
JP4682495B2 (ja) 2011-05-11
WO2001017527A9 (en) 2001-06-21
NO20021094L (no) 2002-05-06
EP1213018A1 (en) 2002-06-12
HUP0202745A2 (hu) 2003-01-28
NZ517556A (en) 2003-08-29
CA2383971A1 (en) 2001-03-15
US6624193B1 (en) 2003-09-23
ZA200201819B (en) 2003-05-28
NO20021094D0 (no) 2002-03-05
WO2001017527A1 (fr) 2001-03-15
AU6870800A (en) 2001-04-10
EP1213018A4 (en) 2004-04-14
CN1387436A (zh) 2002-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42667A (ko) 안질환 예방 및 치료제
US7875271B2 (en) Ophthalmic composition comprising xanthan gum and glucose
EP1679074B1 (en) Therapeutic agent for keratoconjunctive disorder
CA1225033A (en) Opthalmic anti-inflammatory agents
KR101286883B1 (ko) 각결막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제
WO1993024121A1 (en) Remedy for glaucoma
JP2023153841A (ja) 細胞外ヒストンによって媒介される病理を処置及び予防するための化合物
US6403598B1 (en) Ophthalmic composition
AU752950B2 (en) Remedies for corneal epithelium disturbance
US5288759A (en) Use of certain sulfamoyl-substituted phenethylamine derivatives to reverse drug-induced mydriasis
JPH0748262A (ja) 外眼部投与用組成物
EP1876175B1 (en) Therapeutic agent for corneal disease
Gemensky et al. Mineralized corneal sequestrum in a cat
JPH0611704B2 (ja) 角膜疾患治療用点眼剤
JP5087233B2 (ja) 角結膜障害の予防または治療剤
RU2423127C2 (ru) Терапев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против роговично-конъюнктивального нарушения
US6248759B1 (en) Method for treatment of light-injured retinal degeneration disease
US20020077358A1 (en) Use of hydroperoxyeicosatetraenoic acid derivatives following refractive surgery
EP0885612A1 (en) Pirenoxine for the topical treatment of inflammatory conditions
JP2001089366A (ja) 角膜混濁抑制剤
JP2008024699A (ja) フマル酸誘導体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角結膜障害の予防または治療剤
CZ20002770A3 (cs) Oční prostředky
JPH08104630A (ja) 眼炎症及び/又は創傷の予防及び治療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