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0051A - 자동차의 가속페달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가속페달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0051A
KR20020040051A KR1020000069962A KR20000069962A KR20020040051A KR 20020040051 A KR20020040051 A KR 20020040051A KR 1020000069962 A KR1020000069962 A KR 1020000069962A KR 20000069962 A KR20000069962 A KR 20000069962A KR 20020040051 A KR20020040051 A KR 20020040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bracket
accelerator pedal
dash panel
fixed
fixed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9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균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20000069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0051A/ko
Publication of KR20020040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005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32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with means to prevent inju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53L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가속페달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대쉬패널(1)에 결합된 고정링크브라켓트(3)와, 이 고정링크브라켓트(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링크브라켓트(4)와, 이 회전링크브라켓트(4)에 결합된 가속페달(5)과, 상기 고정링크브라켓트(3)와 회전링크브라켓트(4)를 연결하는 리턴스프링(6)과, 상기 회전링크브라켓트(4)에 연결된 가속케이블(7)과, 상기 대쉬패널(1)에 접합되는 고정봉(11)과 이 고정봉(11)과 면착되면서 조립볼트(11a)에 의해 결합되도록 된 연결봉(12) 및 이 연결봉(12)의 일단과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면서 타단이 상기 고정링크브라켓트(3)에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충격흡수봉(13)으로 구성되면서 전방충돌사고 발생시 실내쪽으로 밀려들어오는 충격력을 감쇄시켜 운전자의 부상을 최소화시키도록 된 댐퍼수단(10)으로 이루어져, 전방충돌사고시 가속페달(5)에 의한 운전자의 부상이 최소화되면서 운전자의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가속페달조립체{ACCELERATOR PEDAL ASSEMBLY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가속페달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방충돌사고 발생시 운전자의 부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가속페달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속페달조립체(accelerator pedal assembly)는 운전석의 하부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조작으로 인해 드로틀밸브를 개폐시킴으로써 혼합기를 엔진으로 공급하도록 된 장치로서, 그 일반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쉬패널(1)의 소정부위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접합된 대쉬패널마운팅브라켓트(2)와, 이 대쉬패널마운팅브라켓트(2)와 다수개의 결합볼트(2a)를 매개로 단단히 결합되는 고정링크브라켓트(3)와, 이 고정링크브라켓트(3)의 소정부위와 중첩되면서 중첩부위를 관통하는 결합축(3a)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링크브라켓트(4)와, 이 회전링크브라켓트(4)에 일단이 고정되도록 결합되면서 타단이 운전석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운전자의 발에 의해 조작되는 가속페달(5)과, 상기 고정링크브라켓트(3)와 회전링크브라켓트(4)에 양단이 결합되도록 설치되어 가속페달(5)의 조작으로 회동된 회전링크브라켓트(4)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된 리턴스프링(6)과, 상기 회전링크브라켓트(4)의 상단소정부위에 일단이 연결되면서 타단이 도시되지 않은 드로틀밸브와 연결되어 가속페달(5)의 작동으로 드로틀밸브를 개폐시키도록 된 가속케이블(7)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대쉬패널마운팅브라켓트(2)와 고정링크브라켓트(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과 하단의 좌우부에 각각 고정되는 4개의 결합볼트(2a)에 의해서로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가속페달(5)을 발로 밟아 조작하게 되면, 이 가속페달(5)과 연결된 회전링크브라켓트(4)가 결합축(3a)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되고, 상기 회전링크브라켓트(4)가 회전됨에 따라 가속케이블(7)이 당겨지면서 드로틀밸브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속페달조립체는 정면충돌사고 발생시 충격력을 흡수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운전자가 심한 부상을 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주행중 정면충돌사고가 발생되면 그 충격력에 의해 대쉬패널(1)이 실내쪽으로 밀려들어오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대쉬패널(1)과 순차적으로 결합된 고정브라켓트(3) 및 회전링크브라켓트(4)와 가속페달(5)도 충격력에 의해 실내쪽으로 밀려들어오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가속페달(5)이 실내쪽으로 밀려들어오면서 운전자의 발목이나 정강이 부분을 타격함으로서 운전자의 다리가 심하게 부상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방충돌사고 발생시 실내쪽으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감쇄시키도록 된 댐퍼수단을 가속페달조립체에 설치하여, 전방충돌사고시 가속페달에 의해 운전자의 다리가 부상당하는 것을 최소화시켜 운전자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리어현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대쉬패널에 결합된 고정링크브라켓트와, 이 고정링크브라켓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링크브라켓트와, 이 회전링크브라켓트에 결합된 가속페달과, 상기 고정링크브라켓트와 회전링크브라켓트를 연결하는 리턴스프링과, 상기 회전링크브라켓트에 연결된 가속케이블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가속페달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대쉬패널과 고정링크브라켓트사이에는 전방충돌사고 발생시 실내쪽으로 밀려들어오는 충격력을 감쇄시켜 운전자의 부상을 최소화시키도록 된 댐퍼수단이 상기 대쉬패널과 고정링크브라켓트에 연결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가속페달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2는 종래의 결합구조에 따라 고정링크브라켓트와 대쉬패널마운팅브라켓트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속페달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구조에 따라 고정링크브라켓트와 대쉬패널마운팅브라켓트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대쉬패널 2 - 대쉬패널마운팅브라켓트
3 - 고정링크브라켓트 4 - 회전링크브라켓트
5 - 가속페달 6 - 리턴스프링
7 - 가속케이블 10 - 댐퍼수단
11 - 고정봉 11a - 조립볼트
12 - 연결봉 13 - 충격흡수봉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속페달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로서, 종래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속페달조립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쉬패널(1)의 소정부위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접합된 대쉬패널마운팅브라켓트(2)와, 이 대쉬패널마운팅브라켓트(2)와 다수개의 결합볼트(2a)를 매개로 단단히 결합되는 고정링크브라켓트(3)와, 이 고정링크브라켓트(3)의 소정부위와 중첩되면서 중첩부위를 관통하는 결합축(3a)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링크브라켓트(4)와, 이 회전링크브라켓트(4)에 일단이 고정되도록 결합되면서 타단이 운전석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운전자의 발에 의해 조작되는 가속페달(5)과, 상기 고정링크브라켓트(3)와 회전링크브라켓트(4)에 양단이 결합되도록 설치되어 가속페달(5)의 조작으로 회동된 회전링크브라켓트(4)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된 리턴스프링(6)과, 상기 회전링크브라켓트(4)의 상단소정부위에 일단이 연결되면서 타단이 도시되지 않은 드로틀밸브와 연결되어 가속페달(5)의 작동으로 드로틀밸브를 개폐시키도록 된 가속케이블(7)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대쉬패널(1)과 고정링크브라켓트(3)사이에는, 전방충돌사고 발생시 실내쪽으로 밀려들어오는 충격력을 감쇄시켜 운전자의 부상을 최소화시키도록 된 댐퍼수단(10)이 상기 대쉬패널(1)과 고정링크브라켓트(3)에 양단이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댐퍼수단(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면은 개구되고 반대쪽면은 밀폐되면서 개구된 일측이 상기 대쉬패널(1)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접합되는 고정봉(11)과, 이 고정봉(11)의 밀폐면과 면착되면서 조립볼트(11a)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연결봉(12)과, 이 연결봉(12)의 일단이 안쪽으로 삽입되면서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됨은 물론 타단이 상기 고정링크브라켓트(3)의 하부측 소정부위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충격흡수봉(13)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대쉬패널마운팅브라켓트(2)와 고정링크브라켓트(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중첩되게 위치된 상태에서 좌측상단과 우측하단 또는 우측상단과 좌측하단에 각각 고정되는 2개의 결합볼트(2a)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상기 대쉬패널마운팅브라켓트(2)와 고정링크브라켓트(3)의 결합구조가 도 2를 참조로 전술한 종래의 결합구조보다 상기 결합볼트(2a)의 수는 감소되었지만, 상기 대쉬패널마운팅브라켓트(2)와 고정링크브라켓트(3)의 결합력은 본 발명에 따른 댐퍼수단(10)에 의해 종래와 동일한 결합력을 유지하거나 또는 그 이상의 결합력을 구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가속페달(5)을 발로 밟아 조작하게 되면, 이 가속페달(5)고 연결된 회전링크브라켓트(4)가 결합축(3a)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되고, 상기 회전링크브라켓트(4)가 회전됨에 따라 가속케이블(7)이 당겨지면서 드로틀밸브를 작동시키게 된다.
한편, 주행중 정면충돌사고가 발생되면 그 충격력에 의해 주행중 정면충돌사고 발생되면 그 충격력에 의해 대쉬패널(1)이 실내쪽으로 밀려들어오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대쉬패널(1)과 순차적으로 결합된 고정브라켓트(3) 및 회전링크브라켓트(4)와 가속페달(5)도 충격력에 의해 실내쪽으로 밀려들어오게 된다.
이때, 상기 대쉬패널(1)에 결합된 댐퍼수단(10)의 고정봉(11) 및 연결봉(12)은 실내로 전달되는 충격력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L의 방향으로 이동되게 되고, 상기 연결봉(12)은 충격흡수봉(13)의 안쪽으로 강제 삽입되면서 마찰력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로인해 상기 실내로 전달되는 충격력은 상기 댐퍼수단(10)에 의해 어느정도 감쇄된 다음, 상기 가속페달(5)로 전달되어 운전자의 다리가 심하게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운전자가 상기 가속페달(5)을 밟고 있는 상태에서 충돌사고가 발생되면, 운전자가 가속페달(5)을 밟고 있는 힘이 회전링크브라켓트(4)와 고정링크브라켓트(3)를 통해 댐퍼수단(10)의 충격흡수봉(13)으로 전달되게 되고, 상기 충격흡수봉(13)은 운전자가 밟로 지탱하는 힘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M과 같이 연결봉(12)을 안쪽으로 삽입시키면서 대쉬패널(1)쪽으로 이동되어 실내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어느 정도 감쇄시킬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운전자가 심한 충격력을 그대로 전달받는 것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봉과 연결봉 및 충격흡수봉으로 이루어진 댐퍼수단의 양단이 대쉬패널과 가속페달조립체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져, 전방충돌사고시 가속페달에 의한 운전자의 부상이 최소화되면서 운전자의 안정성이 향상되어 상품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대쉬패널에 결합된 고정링크브라켓트와, 이 고정링크브라켓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링크브라켓트와, 이 회전링크브라켓트에 결합된 가속페달과, 상기 고정링크브라켓트와 회전링크브라켓트를 연결하는 리턴스프링과, 상기 회전링크브라켓트에 연결된 가속케이블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가속페달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대쉬패널과 고정링크브라켓트사이에는 전방충돌사고 발생시 실내쪽으로 밀려들어오는 충격력을 감쇄시켜 운전자의 부상을 최소화시키도록 된 댐퍼수단이 상기 대쉬패널과 고정링크브라켓트에 연결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가속페달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수단이, 밀폐된 일면을 구비하면서 상기 대쉬패널에 접합되는 고정봉과, 이 고정봉과 면착되면서 조립볼트에 의해 결합되도록 된 연결봉과, 이 연결봉의 일단과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면서 타단이 상기 고정링크브라켓트에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충격흡수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가속페달조립체.
KR1020000069962A 2000-11-23 2000-11-23 자동차의 가속페달조립체 KR200200400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9962A KR20020040051A (ko) 2000-11-23 2000-11-23 자동차의 가속페달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9962A KR20020040051A (ko) 2000-11-23 2000-11-23 자동차의 가속페달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051A true KR20020040051A (ko) 2002-05-30

Family

ID=19700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9962A KR20020040051A (ko) 2000-11-23 2000-11-23 자동차의 가속페달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005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6082A (ja) * 1991-04-15 1992-11-06 Namco Ltd ドライビングシミュレータのブレーキ構造
KR19980039880A (ko) * 1996-11-28 1998-08-17 양재신 다단 완충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페달 스톱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6082A (ja) * 1991-04-15 1992-11-06 Namco Ltd ドライビングシミュレータのブレーキ構造
KR19980039880A (ko) * 1996-11-28 1998-08-17 양재신 다단 완충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페달 스톱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6616B1 (ko) 브레이크 페달의 완충장치
JPH0747227Y2 (ja) 自動車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KR100401836B1 (ko) 차량의 가속페달장치
KR20110062110A (ko) 차량의 전방 차체구조
KR20020040051A (ko) 자동차의 가속페달조립체
KR100401830B1 (ko) 자동차의 가속페달조립체
JP2677651B2 (ja) 自動車のニープロテクター構造
KR101428228B1 (ko) 운전자 보호용 페달장치
JP3899809B2 (ja) ステアリングのモータ保持構造
KR100380358B1 (ko) 자동차용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KR100461379B1 (ko) 자동차의 페달
KR100461808B1 (ko) 자동차의 페달 어셈블리
KR100194714B1 (ko)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 구조
KR0120074Y1 (ko) 자동차용 페달의 장착구조
KR100314535B1 (ko) 자동차의 전방 충돌 에너지 분산장치
KR0139057Y1 (ko) 자동차용 도어의 측면 충격 흡수 구조
KR100376451B1 (ko) 자동차용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KR200245207Y1 (ko) 자동차용크로스멤버의마운팅부쉬구조
KR100341900B1 (ko) 자동차용 액셀케이블 소음저감기
KR200145816Y1 (ko) 자동차의 도어 보강구조
KR100263834B1 (ko) 에어백용조향컬럼장착장치
KR100202096B1 (ko)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용 임팩트바
KR20000013551U (ko) 서브프레임과 사이드 멤버의 장착구조
KR20040052044A (ko) 차량의 페달 설치구조
KR20040102908A (ko) 자동차의 페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