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4878A - 자동차용 선 바이저의 유지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선 바이저의 유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4878A
KR20020034878A KR1020010066048A KR20010066048A KR20020034878A KR 20020034878 A KR20020034878 A KR 20020034878A KR 1020010066048 A KR1020010066048 A KR 1020010066048A KR 20010066048 A KR20010066048 A KR 20010066048A KR 20020034878 A KR20020034878 A KR 20020034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circumferential wall
locking
pressing member
sun vi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6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1736B1 (ko
Inventor
야마모토야스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20034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4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1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17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B60J3/023Additional support bracket releasably holding the sun vis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0/00Flexible or portable closure, partition, or panel
    • Y10S160/03Auto visors and glare sh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Spring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과제) 조립 작업성의 저하 및 부품수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안정한 유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차용 선 바이저의 유지구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선 바이저 본체의 연결축부를 훅부(7)의 내측에 수용할 때에 출몰가능한 걸림부(8)로 걸도록 한 유지구에 있어서, 훅부(7)를 구비한 합성수지제의 본체부(9)에 걸림부를 일체로 형성함과 아울러, 걸림부의 이면측에 이것을 돌출방향으로 탄지하는 금속제의 스프링부재(10)를 설치한다. 특히, 스프링부재(10)는 코일 스프링이고, 걸림부의 이면측에 형성된 스프링 수용부(15)의 둘레벽 내부에 끼워맞춰지는 누름부재(16)를 형성하되, 이 누름부재에는 스프링 수용부의 둘레벽에 걸어맞춰지는 탄성걸림편(17)이 형성되고, 누름부재 및 걸림부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는 스프링부재의 중심부에 끼워지는 돌기(18,19)가 형성된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선 바이저의 유지구{SUN VISOR SUPPORT DEVICE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일단측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선 바이저 본체의 타단측을 착탈가능하게 유지하는 자동차용 선 바이저의 유지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선 바이저에 있어서는 프런트 윈도우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르는 초기위치에서 햇빛방향에 대응하여 사이드 윈도우측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선 바이저 본체의 일단측이 지지됨과 아울러, 초기위치에서 선 바이저 본체가 안정하게 지지되도록 선 바이저 본체의 타단측을 착탈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구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종래의 유지구로서는, 선 바이저 본체의 타단측에 형성된 연결축부를 훅부의 내측에 수용할 때에 출몰가능한 걸림편으로 걸어서 유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걸림편을 합성수지제의 본체부에 일체로 형성하여 이 걸림편이 자체의 탄성변형에 의해서 출몰되도록 한 구성이 알려져 있다(일본국 특공소61-19449호 공보 참조). 또, 훅부의 내측에 수용된 연결축부를 걸어서 유지하는 걸림부재의 이면측에 금속제의 스프링부재를 설치하여 걸림부재를 돌출방향으로 탄지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일본국 특개평7-285335호 공보 참조).
상기 합성수지제의 본체부에 걸림편을 일체로 형성한 구성에서는 부품수가 적어지게 되는 이점 외에 외관이 양호하게 됨과 아울러 연결축부를 손상시키지 않는 이점이 얻어지는 반면, 차실내의 온도변화에 의해서 합성수지재의 스프링 특성이 변화하여 유지력이 약해지게 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또, 연결축부의 유지가 불완전하기 때문에 걸림편이 크게 휘어진 상태로 장기간 방치하게 되면, 영구변형에 의해서 유지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일이 있다.
한편, 상기 금속제의 스프링부재를 설치한 구성에서는 스프링 특성이 온도변화에 좌우되지 않고 또한 계속적인 하중에 의한 영구변형도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안정한 유지력이 얻어지는 반면, 스프링부재를 본체부에 확실하게 걸어 붙이기 위해서 누름부재를 나사고정하는 등 구조가 복잡해지는 경향이 있어, 조립 작업성이 나빠짐과 아울러 부품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은 조립 작업성의 저하 및 부품수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안정한 유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차용 선 바이저의 유지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유지구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유지구가 적용된 자동차용 선 바이저의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유지구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유지구의 분해/조립 상황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유지구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유지구의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나타낸 유지구의 분해/조립 상황을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유지구4 - 선 바이저 본체
5 - 연결축부7 - 훅부
8 - 걸림부9 - 본체부
10 - 스프링부재15 - 스프링 수용부
16 - 누름부재17 - 탄성걸림편
18,19 - 돌기30 - 유지구
31 - 스프링부재32 - 기단부
33 - 판스프링부34 - 탄성걸림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일단측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선 바이저 본체(4)의 타단측에 형성된 연결축부(5)를 착탈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연결축부를 훅부(7)의 내측에 수용할 때에 출몰가능한 걸림부(8)로 걸도록 한 유지구에 있어서, 훅부를 구비한 합성수지제의 본체부(9)에 걸림부를 일체로 형성함과 아울러, 걸림부의 이면측에 이것을 돌출방향으로 탄지하는 금속제의 스프링부재(10)를 설치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질적으로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스프링부재의 탄지력에 의해서 연결축부를 걸어서 유지하기 때문에 안정한 유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걸림부가 본체부에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조립 작업성의 저하 및 부품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 자체도 탄성변형에 의해서 탄지력을 발생하지만, 이 탄지력의 온도변화 등에 의한 변동이 유지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걸림부의 탄지력을 작게 설정하면 된다.
특히, 상기 스프링부재(10)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걸림부의 이면측에 형성된 스프링 수용부(15)의 둘레벽 내부에 끼워맞춰지는 누름부재(16)를 형성하되, 상기 누름부재에는 스프링 수용부의 둘레벽에 걸어맞춰지는 탄성걸림편(17)을 형성하고, 누름부재 및 걸림부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는 각각 스프링부재의 중심부에 끼워지는 돌기(18,19)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누름부재를 스프링 수용부의 둘레벽 내로 압입하는 간단한 조작만에 의해서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 작업성이 양호하게 된다. 또, 누름부재가 스프링 수용부의 둘레벽에 확실하게 고정되고, 또한 돌기에 의해서 스프링부재의 어긋남이 규제되기 때문에, 스프링부재가 요동되는 일이 없어 안정한 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상기 스프링부재(31)는 금속제 판재의 절곡성형에 의해서 얻어지며, 상기 걸림부(8)의 이면측에 형성된 스프링 수용부(15)의 둘레벽 내부에 끼워맞춰지는 기단부(32)와 이 기단부에서 연이어 돌출되게 형성되어 걸림부의 이면에 맞닿는 판스프링부(33)로 이루어지고, 기단부에는 스프링 수용부의 둘레벽에 걸어맞춰지는 탄성걸림편(34)을 형성한 구성으로 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스프링부재를 스프링 수용부의 둘레벽 내로 압입하는 간단한 조작만에 의해서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 작업성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기단부가 스프링 수용부의 둘레벽에 확실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스프링부재가 요동되는 일이 없어 안정한 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용 선 바이저의 유지구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유지구(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래킷(2)에 의해서 일단측의 지지축부(3)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선 바이저 본체(4)의 타단측에 형성된 연결축부(5)를 착탈가능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유지구(1)는 연결축부(5)를 훅부(7)의 내측에 수용할 때에 출몰가능한 걸림부(8)로 걸도록 되어 있으며, 이 걸림부(8)는 훅부(7)를 구비한 합성수지제의 본체부(9)에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걸림부(8)의 이면측에는 이것을 돌출방향으로 탄지하는 금속제의 스프링부재(10)가 설치되어 있다.
걸림부(8)는 본체부(9)의 외벽에 형성된 구멍(11)의 가장자리에서 훅부(7)를 향해서 연이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산형상의 단면을 이루는 선단부(12)가 탄성변형에 의해서 본체부(9)의 외면에 대해서 출몰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상기 선단부(12)가 몰입됨으로써 연결축부(5)가 훅부(7)에 수용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선단부(12)가 돌출됨으로써 연결축부(5)의 훅부(7)에서의 빠짐이 저지된다.(도 3 참조)
훅부(7)는 연결축부(5)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해서 그 내주면이 대략 원호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9)에는 차체측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나사가 끼워지는 부착구멍(13)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음 아울러, 이면측에는 차체측에 형성된 걸림구멍에 끼워맞춰지는 어긋남 방지용 돌기(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들은 합성수지재에 의한 일체 성형에 의해서 얻어진다.
스프링부재(10)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걸림부(8)의 이면측에 형성된 스프링 수용부(15)의 둘레벽 내부에 끼워맞춰지는 누름부재(16)를 형성하되 이 누름부재(16)에는 스프링 수용부(15)의 둘레벽에 걸어맞춰지는 탄성걸림편(17)이 형성되고, 누름부재(16)와 걸림부(8)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는 각각 스프링부재(10)의 중심부에 끼워지는 돌기(18,19)가 형성되어 있다.
누름부재(16)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상의 단면을 이루는 스프링 수용부(15)의 둘레벽 내면에 외면이 밀접하게 맞닿도록 사각형상의 단면을이루는 둘레벽(21)과 바닥부(22)에 의해서 상자형상을 이루며, 둘레벽(21)의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각각 탄성걸림편(17)이 형성됨과 아울러 돌기(18)가 둘레벽(21)의 개구부에서 일부 돌출되는 형태로 바닥부(22)에 형성되어 있다. 이 누름부재(16)는 가요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에 의한 일체 성형에 의해서 얻을 수 있다.
탄성걸림편(17)은 둘레벽(21)의 외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링 수용부(15)의 둘레벽에 형성된 걸림구멍(23)의 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춰짐으로써 누름부재(16)가 본체부(9)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즉, 탄성걸림편(17)은 둘레벽(21)을 잘라내되 그 가장자리부에서 바닥부(22)측으로 연이어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바닥부(22)측이 높게 되는 경사형상으로 외면이 형성되며, 이것에 의해서 누름부재(16)가 스프링 수용부(15)의 둘레벽 내에 원활하게 끼워맞춰지며 또한 빠짐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용 선 바이저의 유지구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유지구(30)에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본체부(9)에 스프링부재(31)가 장착되며, 이 스프링부재(31)는 금속제 판재의 절곡성형에 의해서 얻어지며, 걸림부(8)의 이면측에 형성된 스프링 수용부(15)의 둘레벽 내부에 끼워맞춰지는 기단부(32)와 이 기단부(32)에서 연이어 돌출되게 형성되어 걸림부(8)의 이면에 맞닿는 판스프링부(33)로 이루어지며, 기단부(32)에 스프링 수용부(15)의 둘레벽에 걸어맞춰지는 탄성걸림편(34)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부재(31)의 기단부(32)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상의 단면을 이루는 스프링 수용부(15)의 둘레벽 내면에 외면이 밀접하게 맞닿도록 대략'ㄷ'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기단부(32)의 서로 대향하는 측벽부분에 각각 탄성걸림편(34)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걸림편(34)은 기단부(32)의 외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링 수용부(15)의 둘레벽에 형성된 걸림구멍(23)의 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스프링부재(31)가 본체부(9)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즉, 탄성걸림편(34)은 기단부(32)의 측벽을 잘라내되 그 가장자리부에서 이면측으로 연이어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외측으로 절곡되어 경사형상으로 형성되며, 이것에 의해서 스프링부재(31)가 스프링 수용부(15)의 둘레벽 내에 원활하게 끼워맞춰지며 또한 빠짐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걸림부를 탄지하는 금속제의 스프링부재에 의해서 안정한 유지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 합성수지제의 본체부에 걸림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조의 복잡화를 억제하고, 또한 탄성걸림편을 구비한 누름부재로 코일 스프링을 걸어 지지하는 구성이나 탄성걸림편을 구비한 기단부에서 판스프링부를 연이어 돌출시킨 구성으로 함으로써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부품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Claims (3)

  1. 일단측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선 바이저 본체의 타단측에 형성된 연결축부를 착탈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연결축부를 훅부의 내측에 수용할 때에 출몰가능한 걸림부로 걸도록 한 유지구에 있어서,
    상기 훅부를 구비한 합성수지제의 본체부에 상기 걸림부를 일체로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걸림부의 이면측에 이것을 돌출방향으로 탄지하는 금속제의 스프링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 바이저의 유지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걸림부의 이면측에 형성된 스프링 수용부의 둘레벽 내부에 끼워맞춰지는 누름부재를 형성하되, 상기 누름부재에는 상기 스프링 수용부의 둘레벽에 걸어맞춰지는 탄성걸림편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재 및 상기 걸림부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는 각각 상기 스프링부재의 중심부에 끼워지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 바이저의 유지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는 금속제 판재의 절곡성형에 의해서 얻어지며,
    상기 걸림부의 이면측에 형성된 스프링 수용부의 둘레벽 내부에 끼워맞춰지는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에서 연이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의 이면에 맞닿는 판스프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단부에는 상기 스프링 수용부의 둘레벽에 걸어맞춰지는 탄성걸림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 바이저의 유지구.
KR10-2001-0066048A 2000-11-01 2001-10-25 자동차용 선 바이저의 유지구 KR1004117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34627A JP4465099B2 (ja) 2000-11-01 2000-11-01 自動車用サンバイザの保持具
JPJP-P-2000-00334627 2000-11-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878A true KR20020034878A (ko) 2002-05-09
KR100411736B1 KR100411736B1 (ko) 2003-12-18

Family

ID=18810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6048A KR100411736B1 (ko) 2000-11-01 2001-10-25 자동차용 선 바이저의 유지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465099B2 (ko)
KR (1) KR100411736B1 (ko)
TW (1) TW5793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9793B2 (en) 2015-02-04 2018-12-11 Stephen Hoel Adjustable support apparatus for a surgery table
US9700476B2 (en) * 2015-02-06 2017-07-11 Mizuho Orthopedic Systems, Inc. Patient platform connection device
CN104723848B (zh) * 2015-03-12 2017-03-08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遮阳板的挂钩总成
CN115071381A (zh) * 2021-03-15 2022-09-20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用于接收轴杆的钩
US11858321B1 (en) * 2022-06-09 2024-01-02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sunvis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137632A (ja) 2002-05-14
TW579341B (en) 2004-03-11
JP4465099B2 (ja) 2010-05-19
KR100411736B1 (ko) 200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36875B2 (ja) 装着用クリップ
JP3628945B2 (ja) サンバイザーホルダー
GB2088543A (en) Mounting for securing a component in a recess
KR100411736B1 (ko) 자동차용 선 바이저의 유지구
JPH0992011A (ja) 車両用灯具
JP3875515B2 (ja) バルブソケット
KR20010003917A (ko) 자동차용 클립
GB2217827A (en) Light structure
JP2003095017A (ja) 車両用ランプのレンズ取付構造
JP4074182B2 (ja) 電球ソケット
JP3738467B2 (ja) スイッチ
JPH07267052A (ja) 自動車用の覆いつき窓拭きワイパー
JP3733757B2 (ja) ミラーハウジングのカバー取付構造
JP2001158244A (ja) リッドホルダ構造
JP2007063904A (ja) ロック機構
KR20010058909A (ko) 자동차용 와이퍼 블레이드 장착구조
JP2553734Y2 (ja) コード用差込プラグ
JP2875171B2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
KR200198251Y1 (ko) 자동차의 프론트 필라트림의 변형방지구조
KR0131782Y1 (ko) 자동차용 공기 청정기의 케이스 고정클립
KR200144096Y1 (ko) 자동차 사이드마크의 조립구조
JP2001055043A (ja) 自動車用ドアアームレストにおけるパワーウインドフィニッシャ取付け構造
JPS5855045Y2 (ja) 合成樹脂製ホイルカバ−の取付構造
JPH0945126A (ja) 天井埋込型ランプケース
JPH0660543U (ja) 車両用後写鏡のミラーハウジ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