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4180A - 분할된 제거 라이너를 갖춘 신장 제거식 접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분할된 제거 라이너를 갖춘 신장 제거식 접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4180A
KR20020034180A KR1020027002352A KR20027002352A KR20020034180A KR 20020034180 A KR20020034180 A KR 20020034180A KR 1020027002352 A KR1020027002352 A KR 1020027002352A KR 20027002352 A KR20027002352 A KR 20027002352A KR 20020034180 A KR20020034180 A KR 20020034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iner
tape
adhesive surface
stret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2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리스제임스엘.
요한슨로날드씨.
Original Assignee
캐롤린 에이. 베이츠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롤린 에이. 베이츠,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filed Critical 캐롤린 에이. 베이츠
Publication of KR20020034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418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3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release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tape or sheet losing adhesive strength when being stretched, e.g. stretch adhe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06Roll or coi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8Longitudinally sectional layer of three or more sections
    • Y10T428/183Next to unitary sheet of equal or greater extent
    • Y10T428/187Continuous sectional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9Sheets or webs edge spliced or joined
    • Y10T428/192Sheets or webs coplan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19Fold at ed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19Fold at edge
    • Y10T428/24215Acute or reverse fold of exterior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19Fold at edge
    • Y10T428/24215Acute or reverse fold of exterior component
    • Y10T428/24231At opposed marginal ed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777Edge fe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신장 제거식 접착 테이프 제품은 긴 길이의 신장 제거식 접착 테이프 및 일정 길이의 테이프로부터 절단된 테이프의 수동으로 결합 가능한 당김 탭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접착부 상에 정렬된 분할된 라이너를 포함한다. 라이너의 각각의 세그먼트는 테이프로부터 하나씩 제거될 수 있다. 분할된 라이너는 접착 테이프가 임의의 길이로 만들어지게 하고 롤을 형성하도록 그 자체에 감겨질 수 있게 하고, 사용자가 스트립의 최종 사용 용도에 따라 선택된 길이를 가지는 스트립으로 절단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사용자가 기판으로부터 테이프를 신장시켜 제거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파단되어 당겨질 수 있는 스트립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수동으로 결합 가능한 비접착성 당김 탭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분할된 제거 라이너를 갖춘 신장 제거식 접착 테이프{STRETCH RELEASING ADHESIVE TAPE WITH SEGMENTED RELEASE LINER}
신장 제거식 접착 테이프는 강한 접착력과 깨끗한 제거 기능 및 표면 훼손 방지를 결합시킨 고성능의 감압성 접착제의 새로운 종류를 나타낸다. 이러한 신장 제거식 접착 테이프는 다양한 조립, 결합, 부착 및 장착 용도에서 실용적이다.
테이프 스트립을 신장시킴으로써 표면으로부터 깨끗이 제거될 수 있는 접착 테이프 스트립은 종래 특허 기술에서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코프만(Korpman)의 미국 특허 제4,024,312호는 접착 층으로 층을 이루는 고신장 및 탄성의 기재막을 포함하는 높은 순응성의 접착 테이프를 개시한다. 기재막은 적어도 약 200% 신장에서 파단되는 길이 방향의 연장이 가능하다. 테이프는 쉽게 신장 가능하여 표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에서 테이프를 길이 방향으로 신장시킴으로써 표면으로부터 제거된다. 독일 특허 제33 31 016호는 열가소성 고무 및 점착성 수지에 기초한 고탄성, 낮은 연성의 접착 막을 개시하고, 접착 접합부는 접착 접합부의 평면 방향으로 접착 막을 신장시킴으로써 파단될 수 있다.
본 발명과 동일한 양수인에게 양도된, 크렉켈 등(Kreckel et al)의 미국 특허 제5,516,581호는 감압식 접착제의 층으로 코팅된 고신장이고 실질적으로 비탄성인 기재를 가지는 제거 가능한 접착 테이프를 개시한다. 접착 테이프는 기판 표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테이프를 신장시킴으로써 기판의 훼손 없이 기판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테이프 기재는 적어도 약 2,500psi에서 약 72,500psi인 영 탄성 계수, 약 150%에서 약 1200%까지의 신장에서 파단되는 길이 방향의 연신률 및 신장되어 제거된 후에 약 50% 미만의 탄성 회복률을 가진다. PCT 국제 공개 번호 제WO 95/06691호는 고분자 포움 층을 포함하는 기재 및 하나 이상의 기재 표면으로 코팅된 감압식 접착제 층으로 구성된 제거 가능한 포움 접착 테이프를 개시한다. 기재의 포움 층은 약 30에서 약 1000 mils까지의 두께를 가지고, 기재는 약 2,400psi 미만인 영 탄성 계수, 약 50%에서 약 1200%까지의 신장에서 파단되는 길이 방향의 연신률을 갖는다.
상용의 신장 제거식 접착 테이프는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 소재의 미테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쳐링 캄파니(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에 의해 코맨드(COMMAND)라는 상표명으로 판매되는 제품 및 독일 함부르크 소재의 바이어스도르프 아게(Beiersdorf AG)에 의해 파워-스트립(POWER-STRIP)이라는 상표명으로 판매되는 제품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품은 제거 중에 스트립의 신장을 용이하게 하는 비접착성 당김 탭을 포함하는 스트립의 한쪽 단부를 갖춘 분리된 스트립으로서 현재 제조된다. 스트립의 접착 표면은 제거 라이너에 의해 부가적으로 보호된다.
다양한 길이의 다중 스트립으로 절단될 수 있는 분리된 길이를 가지는 스트립, 또는 다양한 길이의 스트립으로 최종 사용 용도에 따라 절단될 수 있는 롤 형태의 신장 제거식 접착 테이프 혹은 비한정 길이의 긴 스트립이 특정 용도로서 바람직하다. 선택된 길이로 절단될 수 있는 긴 길이의 신장 제거식 테이프를 제공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은 제거 시에 기판으로부터 스트립을 신장시키기 위한 파지 영역으로서 작용하도록, 보통 절단 스트립의 단부에 있는, 절단 스트립 상의 특정 위치에 비접착성 당김 탭을 제공하는 기능이다.
PCT 국제 공개 번호 제WO 98/06658호는 긴 길이의 종래의 일면 접착 테이프의 단부에 비접착식 당김 탭 또는 "그리퍼(gripper)"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길이 절단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길이 절단 장치는 긴 길이의 테이프를, 현재 그리퍼를 포함하여, 임의의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퍼는 테이프이 단부를 그 자체에 되접음으로써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길이 절단 장치는 양면 접착 테이프에 비접착성 당김 탭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사용될 수 없다.
따라서, 임의의 선택된 길이를 가지는 분리된 스트립으로 절단될 수 있는 긴 길이의 신장 제거식 접착 테이프를 제공함으로써, 각각의 스트립이 기판으로부터 접착 테이프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어 당겨질 수 있는 신장 제거탭으로서 작용하도록 특정 위치에서 비접착성 당김 탭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물체를 표면에 제거 가능하게 접착식으로 접합하기 위한 신장 제거식 접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테이프에 대한 최종 사용 용도에 따라 선택된 길이로 절단될 수 있는 비한정 길이의 연장된 스트립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 일면 또는 양면의 신장 제거식 접착 테이프 제품에 관한 것이고, 테이프를 신장시켜 제거하기 위한 당김 탭은 분리된 라이너를 사용하여 테이프를 따라 임의의 위치에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장 제거식 접착 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2는 당김 탭을 형성하도록 제거되고 테이프의 접착 표면을 노출시키는 라이너의 선택된 부분을 갖춘 신장 제거식 제품의 사시도이다.
도3은 테이프의 한쪽에 천공 라이너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4는 테이프의 양쪽에 천공 라이너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5는 선택된 라이너 세그먼트가 해당 접착 표면을 노출시키고 당김 탭을 형성하도록 테이프의 대향하는 접착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후의 도4의 신장 제거식 테이프 제품의 사시도이다.
도6a는 롤 형태로 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6b는 도6a의 롤로부터 절단된 분리된 스트립의 사시도이다.
도6c는 라이너 세그먼트가 당김 탭을 형성하도록 테이프의 한 단부에서 테이프 상에 되접혀진 후의 도6b의 스트립의 사시도이다.
도6d는 선택된 라이너 세그먼트가 테이프의 접착 표면을 노출시키도록 테이프로부터 제거된 후의 도6c의 스트립의 사시도이다.
도6e는 도6d의 테이프로부터 제거된 후의 연결된 라이너 세그먼트의 사시도이다.
도7a는 롤 형태의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7b는 도7a의 롤로부터 절단된 분리된 스트립의 사시도이다.
도7c는 라이너 세그먼트가 당김 탭을 형성하도록 테이프의 한 단부에서 테이프 상에 되접혀진 후의 도7b의 스트립의 사시도이다.
도7d는 선택된 라이너 세그먼트가 테이프의 제2 접착 표면을 노출시키도록 테이프로부터 제거된 후의 도7c의 스트립의 사시도이다.
도7e는 도7d의 테이프로부터 제거된 후의 연결된 라이너 세그먼트의 사시도이다.
도8a 내지 도8c는 라이너가 제거되기 전의 접착 테이프 제품, 테이프의 접착 표면을 노출시키도록 제거된 라이너를 갖춘 접착 테이프 제품 및 테이프로부터 제거된 후의 라이너를 각기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9a 및 도9b는 접착 테이프에 차등의 강도로 접착할 수 있는 제거 라이너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긴 길이의 신장 제거식 접착 테이프 및 긴 길이의 테이프로부터 절단된 테이프의 분리된 스트립 상의 선택된 위치에서 수동으로 결합 가능한 당김 탭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접착부 상에 배열된 분할된 라이너를 포함하는 신장 제거식 접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접착 테이프 제품은 평편한 스트립이거나 롤을 형성하도록 그 자체에 감겨질 수 있다. 분할된 라이너는 접착 테이프가 롤 형태로 감겨질 수 있는 긴 길이로 만들어질 수 있게 하고, 사용자가 스트립에 대한 최종 사용 용도에 따라 긴 길이로부터 분리된 스트립을 절단할 수 있게 하며, 사용자가 스트립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해당 기판으로부터 테이프를 신장시켜 제거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고 당겨질 수 있는 비접착성 당김 탭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용이한 사용을 위해서, 당김 탭은 접착 스트립의 단부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구체적으로, 신장 제거식 접착 테이프 제품은 제1 및 제2의 대향하여 대면하는 주요 표면과 제1 및 제2 주요 표면 중 적어도 하나가 접착성인 제1 및 제2 단부를 가지는 긴 길이의 신장 제거식 테이프와, 하나 이상의 접착 표면 상에 배열된 제1 분할 라이너를 포함한다. 양호한 신장 제거식 접착 테이프로는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 소재의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쳐링 캄파니로부터 상표명이 코맨드인 제품이 입수 가능하다. 라이너는 실리콘이 코팅된 종이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 분할된 라이너는 접착 표면 또는 접착 테이프의 표면을 따라 배열된 분리되고, 개별적으로 제거 가능하며, 정렬된 세그먼트로부터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분할된 라이너는 라이너를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세그먼트로 나누는 하나 이상의 끊어지기 쉬운 연결부를 포함하는 단일 라이너이다. 끊어지기 쉬운 연결부는 천공을 형성하도록 라이너에 구멍을 뚫음으로써, 또는 다른 주지의 기술에 의해 라이너 내의 슬릿을 절단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부는 파단되고 인접하는 세그먼트 사이에 놓여진다. 또한, 끊어지기 쉬운 연결부는 라이너에 취약선을 제공함으로써 라이너 내에 물리적인 불연속를 생성하지 않고 예를 들면, 스코링, 노칭, 크리싱(creasing)에 의해 형성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취약선을 따라 용이하게 라이너를 찢을 수 있다.
각기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다수의 개별 라이너, 또는 하나 이상의 끊어지기 쉬운 연결부 혹은 개별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취약선을 포함하는 단일의 라이너로부터 분리된 세그먼트를 형성함으로써, 남아있는 라이너 세그먼트가 해당 접착 표면을 노출시키도록 테이프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동시에 선택된 라이너 세그먼트는 나머지로부터 분리되고 당김 탭을 형성하도록 접착 테이프 상에 남겨질 수 있다. 분할된 라이너가 끊어지기 쉬운 연결부 또는 취약선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일련의 상호 연결된 세그먼트를 갖춘 라이너를 형성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접착 테이프로부터 제거되는 일련의 연결된 라이너 세그먼트는 동시에 제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주요 표면이 모두 접착성이라면, 분할된 라이너는 양 표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다르게는, 테이프 보다 대략 2배의 폭을 가지는 하나의 제거 라이너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라이너는 테이프가 그 자체에 묶여짐이 없이 롤에 감겨지고 또한 당김 탭을 형성하도록 대향하는 주요 표면 상에 접혀질 수 있게 한다. 라이너는 보통 테이프 접착 표면과 접촉하는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약한 접착 표면부와, 테이프 상에 되접혀지고 강한 접착 접합부를 형성함으로써 접착 테이프로부터 쉽게 떨어지지 않는 당김 탭을 형성할 수 있는 보통 테이프를 벗어나 연장하는 강한 접착 표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약한 접착 표면부 및 강한 접착 표면부를 갖춘 표면과 대향하는 라이너 표면은 제거 가능한 표면부 및 당김 탭으로 형성되는 라이너 부분을 파지하는 것을 도와주기 위해 고무계열 또는 섬유조직 표면을 갖춘 고마찰 표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라이너는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날개부 및 인접하는 날개부 사이에 끊어지기 쉬운 연결부를 형성하는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연결부가 라이너의 중앙부를 형성함으로써, 정렬된 날개부 쌍은 연결된 중앙부로부터 대향하는 방향의 바깥쪽을 향해 연장하여 당김 탭을 형성하도록 테이프 상에 되접혀 질 수 있다.
유사한 도면 부호가 전체에 걸쳐 유사한 구성부를 나타내도록 사용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먼저 도1에 있어서, 연장된 신장 제거식 접착 테이프(4) 및 신장 제거식 접착 테이프(4)의 접착성 제1 주요 표면(8)을 덮도록 배열된 다수의 개별의 라이너(6a 내지 6e)를 포함하는 신장 제거식 접착 테이프 제품(2)이 도시된다. 분리된 스트립으로 도시되었지만, 신장 제거식 테이프 제품(2)은 선택된 길이의 다중 스트립이 최종 사용 용도에 따라 절단될 수 있는 비한정 길이를 가지는 긴 스트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착 테이프 제품(2)은 롤을 형성하도록 그 자체에 감겨질 수 있다.
신장 제거식 접착 테이프(4)는 접착성 제1 주요 표면(8), 대향하는 비접착성 제2 주요 표면(10) 및 제1(12) 및 제2 단부(14)를 포함한다. 신장 제거식 접착 테이프(4)는 기판에 강하게 접착되고 이어서 신장시킴으로써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임의의 감압식 접착 테이프일 수 있다. 이러한 감압식 접착 테이프는 탄성 기재, 고신장이고 실질적으로 비탄성의 기재를 포함하거나, 고체인 탄성의 감압식 접착제로 형성된 테이프일 수 있다. 적절한 신장 제거식 테이프가 미국 특허 제4,024,312호(코프만), 독일 특허 제33 33 016호, 미국 특허 제5,516,581호(크렉켈 등) 및 PCT 국제 공개 번호 제WO 95/06691호[브리에스(Bries) 등]에 기재된다. 또한, 신장 제거식 접착 테이프는 PCT 국제 공개 번호 제WO 98/21285호에 기재된 층과 같은 분할 가능한 층, 또는 PCT 국제 공개 번호 제WO 99/31193호에 기재된 층과 같은 재고정이 가능한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라이너(6a 내지 6e)는 임의의 종래의 용이하게 제거 가능한 라이너일 수 있다. 전형적인 라이너는 실리콘, 플루오르 화합물 또는 다른 약한 표면 에너지에 기초한 해제 물질과 같은 해제 작용제로 코팅된, 예를 들면, 종이 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고분자 막으로 형성된 기재를 포함한다. 양호한 라이너는 실리콘 코팅의 종이이다. 라이너에는 선, 상표 표시부, 또는 다른 정보가 인쇄될 수 있다.
테이프(4)가 제1 표면(8) 및 제2 표면(10)이 모두 처음부터 접착성이도록 천연적으로 끈적끈적한 조성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2 표면(10)은 적절한 필름, 종이, 분말, 포움 또는 잉크로 코팅하는 것과 같은 종래의 처리를 사용하여 비접착성이 될 수 있다. 반면에, 테이프가 이어서 접착제로 코팅되어지는 비접착성 기재로 형성되는 경우에, 제2 표면은 표면을 단순히 접착제로 코팅하지 않음으로써 간단하게 비접착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부에 따라, 각 라이너(6a 내지 6e)는 접착성 제1 주요표면(8)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각각의 라이너가 개별적으로 제거되게 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선택된 라이너가 당김 탭을 형성하도록 접착 테이프 상에 남겨질 수 있는 반면에, 선택된 라이너는 접착 표면의 대응하는 부분을 노출시키도록 제거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 프로세스 중에 테이프를 신장시키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비접착성 당김 탭(15)을 형성함으로써 부착되어 있던 물체 또는 기판으로부터 테이프를 제거하도록 라이너 세그먼트(6a)가 라이너 제1 단부(12)에 인접하는 접착 표면(8)에 잔류하는 반면에, 라이너(6b 내지 6e)는 테이프(4)가 물체, 기판, 표면, 또는 기타 등등(도시 생략)에 부착되게 하도록 접착성 제1 주요 표면(8)의 선택된 부분을 노출시키기 위해 제거된다.
도3은 단일 천공 라이너(16)가 도1의 다수의 라이너(16a 내지 16e)를 대체하는 본 발명의 변경예를 도시한다. 라이너(16)는 라이너(16)를 각각 천공선을 따라 인접하는 세그먼트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고 접착 표면(8)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세그먼트(16a 내지 16e)로 나누는 등록된 천공선(18a 내지 18e)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끊어지기 쉽거나 용이하게 파단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호 연결된 라이너 세그먼트(16b 내지 16e)를 접착 표면(8)으로부터 먼저 벗겨내고 라이너 세그먼트(16a)를 천공선(18a)을 따라 라이너 세그먼트(16b)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라이너 세그먼트(16b 내지 16e)가 접착 테이프(4)로부터 제거될 때,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당김 탭(15)을 가지는 테이프 스트립이 생성된다. 도1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분리된 라이너 보다 단일 천공 라이너 사용의 장점은어떤 라이너 세그먼트가 테이프로부터 제거될 것인가의 여부와 어떤 라이너 및 라이너들이 테이프 상에 남겨지고 당김 탭으로서 작용할 것인가의 여부가 결정된 후에 일련의 연결된 라이너가 단일 단계에서 동시에 제거되게 함으로써 단일 천공 라이너는 접착 테이프 제품의 사용을 간단하게 한다. 다르게는, 끊어지기 쉬운 연결부는 스코링, 노칭, 크리싱에 의하거나, 달리 선택된 간격에서 라이너의 용이한 분리를 제공하도록 라이너 내에 취약선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3의 접착 테이프 제품의 사용에 있어서, 접착 표면(8)을 노출시키기 위해 라인 세그먼트(16b 내지 16e)는 제2 단부(14)에서 시작하여 접착 표면(8)으로부터 먼저 벗겨진다. 연결된 라이너 세그먼트(16b 내지 16e)는 천공부(18a)를 따라 찢음으로써 라이너 세그먼트(16a)로부터 분리되고, 이에 따라서 연결된 라이너 세그먼트(16b 내지 16e)는 접착 표면(8)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세그먼트(16a)는 비접착 당김 탭(15)으로 작용하도록 제1 단부(12)에 인접하는 접착 표면(8) 상에 남겨진다. 이어서 접착 스트립은 테이프의 비접착성 제2 표면(10)에 강한 압력을 가함으로써 물체 또는 기판에 부착될 수 있다.
도4 및 도5는 제2 표면이 접착성이고 제2 표면(10)을 덮는 라이너 세그먼트(20a 내지 20e)를 포함하는 제2 천공 제거 라이너(20)가 제공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2의 제품과 유사한 신장 제거식 접착 테이프 제품(2)을 도시한다. 대칭의 당김 탭(15)을 형성하기 위해서, 라이너 세그먼트(16a 내지 16e)는 라이너 세그먼트(20a 내지 20e)에 정렬된다. 도4 및 도5의 접착 테이프 제품은 테이프가 기판에 접합한 후에 라이너 세그먼트(20b 내지 20d)가 접착성 제2 표면(10)으로부터제거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1 및 도3의 제품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된다. 도4는 각기 표면(8, 10) 상에 위치한 천공 라이너(16, 20)의 사용 전의 접착 테이프 제품을 도시하고, 도5는 접착 표면(8, 10)을 노출시키도록 선택된 라이너 세그먼트(16b 내지 16e 및 20b 내지 20d)가 제거된 후의 접착 제품(2)을 도시한다. 반면에 정렬된 라이너 세그먼트(16a, 20a)는 당김 탭(15)을 형성하도록 제1 단부(12)에 인접한 접착 테이프(4)의 대향하는 표면에 부착된 채로 잔류한다. 또한, 제1 및 제2 접착 표면이 다른 시간에 각각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라이너 세그먼트(20e)는 제2 단부(14)에 인접하는 제2 접착 표면(10)에 부착된 채로 남겨진다. 각각의 표면으로부터 제1 및 제2 접착 표면을 떼어내는 시간 제어는 PCT 국제 공개 번호 제WO 97/07172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스냅 백(snap back) 및 캐타펄팅(catapulting)을 최소화하는 작용을 한다.
도6a 내지 도6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122) 형태로 감겨진 신장 제거식 테이프 제품(102)을 도시한다. 접착 테이프 제품(102)은 라이너(124)에 의해 덮혀진 제2 접착 표면(110) 및 제1 접착 표면(108)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라이너(124)는 그 자체에 감겨질 때 접착 테이프 제품이 묶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신장이 가능하거나 연장이 가능하여서, 롤의 형성을 용이하게 한다. 도6e에서 가장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너(124)는 라이너(124) 내로 절단하여 들어가는 횡단 슬릿(128a 내지 128c)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라이너 세그먼트(124a 내지 124c)를 포함한다. 또한 라이너 세그먼트(124a 내지 124c)는 천공 또는 다른 끊어지기 쉬운 연결부에 의해 형성되거나, 각각의 라인 세그먼트는 도1을 참조하여설명된 바와 같은 분리 라이너일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슬릿(128a 내지 128c)은 라이너(124)의 제1 측면 에지(130)로부터 라이너(124)의 제2 측면 에지(132)를 향해 연장한다. 슬릿은 제2 측면 에지(132)로부터 이격됨으로써, 라이너(124)의 제2 측면 에지(132)를 형성하면서 이를 따라 연장하는 연속 종방향 연장의 끊어지기 쉬운 연결부(124f)를 형성한다. 라이너(124)는 당김 탭을 형성하도록 한 개 이상의 라이너 세그먼트(126a 내지 126c)가 접착 테이프의 제1 접착 표면(108) 상에 되접혀지게 되도록 접착 테이프(104)의 폭에 대해 대략 2배의 폭을 가진다. 또한 라이너(124)는 세그먼트(124a 내지 124c)를 보호하고 당김 탭을 형성하도록 제1 접착 표면(108) 상에 접혀지기 전에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자체 상에 되접혀질 수 있다.
접착 테이프 제품(102)의 사용에 있어서, 분리된 길이(126)는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끊어지기 쉬운 연결부를 따라 롤(122)로부터 절단된 제1 절단부이다. 이어서 인접하는 라이너 세그먼트(124a, 124b) 사이의 끊어지기 쉬운 연결부(136)는 당김 탭(115)을 형성하도록 테이프의 제1 단부(112)에 인접하는 라이너 세그먼트(124a)가 테이프의 제1 접착 표면(108) 상에 되접혀질 수 있도록 파단된다. 이어서 제1 접착 표면(108)은 제2 표면(110)에 부착된 채로 남아있는 연결된 라이너 세그먼트(124b, 124c)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물체 또는 기판에 부착될 수 있다. 일단 강하게 접합된 경우에, 도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착 표면(110)을 노출시키기 위해 남아 있는 상호 연결된 라이너 세그먼트는 제거될 수 있어서 물체는 거기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 테이프(104)의 제1 접착 표면(108) 상에 되접힐 수 있는 라이너(124)를 제공함으로써, 도6a 내지 도6e에 도시된 실시예는 당김 탭(115)을 형성하도록 접착 테이프(104)의 한쪽 측면에 배열되는 단일의 제거 라이너만을 요하게 된다. 또한 라이너(124)는 테이프가 롤에 감겨질 때 그리고 감겨진 이후에도 접착 테이프가 그 자체에 접합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고, 제1 접착 표면(108)은 라이너(124)에 인접하여 배열됨으로써 라이너(124)에 의해 제2 접착 표면(110)으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제1 접착 표면(108) 및 제2 접착 표면(110)은 접촉하게 되지 않고 서로 부착될 수 없다. 롤(122)이 풀려짐에 따라, 라이너(124)는 제1 접착 표면(108)으로부터 제거되고 제2 접착 표면(110)에 부착된 채로 잔류한다.
도7a 내지 도7e는 신장 제거식 테이프(204) 및 라이너(224)를 포함하는 테이프(222) 롤을 도시한다. 도6a 내지 도6e의 것과 기능적으로 유사한 도7a 내지 도7e의 구성부는 200으로부터 증가되는 유사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어진다. 라이너(224)는 라이너의 대향하는 측면부(224x, 224y)가 테이프(204)의 각각의 측면을 벗어나 바깥쪽으로 연장하도록 테이프(204) 상의 중심으로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라이너(224)는 그 자체에 감겨질 때 접착 테이프 제품이 묶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신장이 가능하거나 연장이 가능하여서, 롤의 형성을 용이하게 한다. 도7e에 가장 명백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너(224)는 다수의 횡단 슬릿(228a, 228b, 228c)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라이너 세그먼트(224a, 224b, 224c) 및, 슬릿(228a, 228b, 228c)의 단부와 라이너(224)의 제1(230) 및 제2(232) 측면 에지 사이에서 라이너(224)의 각 측면을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연속의 연결부(224f,224g)을 포함한다. 연결부(224f, 224g)는 인접하는 라이너 세그먼트 사이에서 끊어지기 쉬운 연결부로서 작용한다. 도7의 접착 테이프를 사용함에 있어서, 분리된 길이를 가지는 테이프의 스트립(226)은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끊어지기 쉬운 연결부를 따라 롤(222)로부터 절단된 제1 절단부이다. 보통 접착 테이프(204)를 벗어나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스트립(226)의 제1 단부(212)에 인접하는 라이너 세그먼트(224a)의 측면부는 도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김 탭(215)을 형성하도록 테이프(204) 상에 되접혀진다. 이어서 노출된 제1 접착 표면(208)은 기판에 부착되고 테이프와 테이프가 사용되는 기판 사이의 더 완전하고 효과적인 접합을 생성하도록 강한 압력이 라이너(224)에 가해진다. 이어서 남아있는 라이너 세그먼트(224b, 224c)는 도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착 표면(210)을 노출시키도록 제거되어서 물체 또는 기타 등등이 거기에 부착될 수 있다.
도8a 내지 도8c는 접착 테이프(304) 및 대체 라이너(324)를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 제품(302)을 도시한다. 도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너는 테이프의 대향하는 외부 측면 에지로부터 안쪽으로 연장하는 이격된 한 쌍의 정렬된 횡단 슬릿(328a, 328b; 328c, 328d; 328e, 328f)을 포함함으로써,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속의 연결 중앙부(324h) 및 연결부(324h)로부터 대향하는 방향으로 바깥쪽을 향해 연장하는 날개부(324a', 324a", 324b', 324b", 324c', 324c")를 각기 가지는 다수의 라이너 세그먼트(324a, 324b, 324c)를 형성한다. 연결부(324h)는 라이너의 선택된 부분이 제거됨으로써 해당 접착 표면을 노출시키게 되도록 인접하는 라이너 세그먼트 사이에서 쉽게 파단될 수 있다. 그러나, 도8의 날개부에 있어서, 도7의라이너는 두 개의 끊어지기 쉬운 연결부가 파단될 필요가 있는 반면에 하나의 끊어지기 쉬운 연결부만이 인접하는 라인 세그먼트를 분리시키도록 파단된다.
도9a 및 도9b의 접착 테이프 제품이 라이너(324)의 중앙을 따라 위치한 제1 종방향 연장의 약한 접착 표면부(340)와, 접착 테이프(304)에 차등의 접착 강도를 제공하도록 약한 접착 표면부(340)로부터 대향하는 방향으로 바깥쪽을 향해 연장하는 한 쌍의 종방향 연장의 강한 접착 표면부(342, 344)를 가지는 라이너(324)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9a 및 도9b는 도8a 내지 도8c에 도시된 접착 테이프 제품과 유사한 접착 테이프 제품(302)을 도시한다. 약한 접착 중앙 표면부(340)는 보통 제1 접착 표면(308)과 접촉하고 선택된 라이너 세그먼트가 접착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제1 접착 표면(308)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약한 강도의 접합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약한 접착 표면부는 라이너(324)가 접착 테이프(304)와 강한 접착 접합을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용하는 실리콘 처리가 된 종이일 수 있다. 강한 접착 표면부(342, 344)는 보통 도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의 측면 에지를 벗어나 연장하고, 접착 테이프 제2 접착 표면(310) 상에 되접힐 때에 당김 탭을 형성하도록 작용한다. 그러나, 강한 접착 표면부(342, 344)는 약한 접착 표면부(340)와 접착 테이프(304) 사이에 형성되는 접착성 접합 보다 더 강한 테이프 제2 접착 표면(310)과의 접착성 접합을 형성할 수 있다. 접혀진 부분과 테이프 사이의 강한 강도의 접착은 접혀진 라이너 부분이 테이프로부터 떨어지기 쉽기 때문에, 당김 탭을 형성한 후에 효과적이다. 라이너의 접혀진 강한 접착 표면과 테이프 사이에 형성되는 강한 접착 접합은 접합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면, 강한 접착 표면은 실리콘 처리가 되지 않은 종이일 수 있다. 또한, 약한 접착 표면부(340) 및 강한 접착 표면부(342, 344)와 대향하는 표면은 테이프가 롤에 감겨질 때 제2 접착 표면(310)과 접촉하는 약한 접착 표면부(340)와 전체적으로 대향하는 제거부 및 신장 제거 중에 당김 탭을 파지하는 것을 도와주도록 강한 접착 표면부(342, 344)와 전체적으로 대향하는 고마찰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고마찰 표면은 고무계열의 표면, 섬유 조직의 표면, 또는 다르게는 종래의 주지의 고마찰 표면일 수 있다.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있어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개념 내에서 일어날 수 있는 것이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출원 내에 설명된 구조물이 아닌, 청구 범위의 용어 및 그 상당 어구에 의해 설명된 구조물에 의해 한정되어야만 한다.

Claims (13)

  1. 일정 길이의 신장 제거식 접착 테이프 및 일정 길이의 테이프로부터 절단된 분리된 스트립 상의 선택된 위치에서 수동으로 결합 가능한 당김 탭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라이너를 포함하는 신장 제거식 접착 테이프 제품에 있어서,
    (a) 제1 및 제2의 대향으로 대면하는 주요 표면을 가지며, 적어도 상기 제1 표면은 접착성인 긴 길이의 신장 제거식 테이프와,
    (b) 상기 제1 접착 표면 상에 배열된 제1 라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너는 상기 제1 접착 표면의 선택된 부분을 노출시키도록 상기 라이너를 인접하는 세그먼트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상기 제1 접착 표면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세그먼트로 나누는 하나 이상의 끊어지기 쉬운 연결부를 포함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가 기판으로부터 테이프를 신장시켜 제거하는 중에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당김 탭의 역할을 하도록 상기 제1 접착 표면에 부착된 채로 남아있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길이의 테이프는 롤을 형성하도록 그 자체에 감겨짐으로써, 상기 제2 접착 표면이 상기 라이너에 인접하여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끊어지기 쉬운 연결부는 상기 라이너 내의 천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표면 각각이 접착성이고, 상기 제1 천공 라이너에 대향하는 상기 제2 접착 표면상에 배열된 제2 천공 라이너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라이너의 천공이 전체적으로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표면 각각이 접착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끊어지기 쉬운 연결부는 상기 라이너를 통해 부분적으로 절단하는 횡단 슬릿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상기 테이프 폭의 두 배의 폭을 가짐으로써, 상기 제1 라이너가 상기 제1 접착 표면에 대향하는 상기 제2 표면상에 접혀지도록 하여 상기 당김 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상기 테이프 제1 접착 표면에 접촉하는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약한 접착 표면부와, 상기 테이프 제1 접착 표면을 벗어나 상기 약한 접착 표면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강한 접착 표면부를 가지는 제1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강한 접착 표면부는 상기 수동으로 결합 가능한 당김 탭을 형성하도록 상기 테이프 제2 표면과 접촉하여 접혀질 수 있으며, 상기 강한 접착 표면부는 상기 약한 접착 표면부 보다 상기 테이프와 더 강한 접착 접합부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날개부 및 상기 날개부를 연결하는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속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라이너의 선택된 부분이 해당 접착 표면을 노출시키기 위해서 제거될 수 있도록 인접하는 날개부 사이에서 쉽게 파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1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속의 연결부는 상기 라이너의 측면 에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1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속의 연결부는 상기 라이너의 중앙부를 형성하고, 상기 라이너는 상기 라이너의 대향하는 측면 에지로부터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속의 연결부를 향하여 안쪽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정렬된 횡단으로 이격된 슬릿을 내장함으로써, 상기 연속의 연결부로부터 대향하는 방향으로 바깥쪽을 향해 연장하는 날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12. 일정 길이의 신장 제거식 접착 테이프 및 일정 길이의 테이프로부터 절단된분리된 스트립 상의 선택된 위치에서 수동으로 결합 가능한 당김 탭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라이너를 포함하는 신장 제거식 접착 테이프 제품에 있어서,
    (a) 제1 및 제2의 대향으로 대면하는 주요 표면을 가지며, 적어도 상기 제1 표면은 접착성인 연장된 길이의 신장 제거식 테이프와,
    (b) 상기 제1 접착 표면 상에 배열된 라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너는 상기 제1 접착 표면의 선택된 부분을 노출시키도록 개별의 라이너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등록된 천공부를 가짐으로써, 상기 제거 라이너의 선택된 세그먼트가 상기 제1 접착 표면으로 제거될 수 있고, 또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가 기판으로부터 테이프를 신장시켜 제거하는 중에 사용자에 의해 파단될 수 있는 당김 탭의 역할을 하도록 상기 제1 접착 표면에 부착된 채로 남아있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13. 일정 길이의 신장 제거식 접착 테이프 및 일정 길이의 테이프로부터 절단된 분리된 스트립 상의 선택된 위치에서 수동으로 결합 가능한 당김 탭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다수의 라이너를 포함하는 신장 제거식 접착 테이프 제품에 있어서,
    (a) 제1 및 제2의 대향으로 대면하는 주요 표면을 가지며, 적어도 상기 제1 주요 표면은 접착성인 연장된 길이의 신장 제거식 테이프와,
    (b) 상기 제1 접착 표면 상에 배열된 다수의 라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너 각각은 상기 제1 접착 표면의 선택된 부분을 노출시키도록 상기제1 접착 표면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거 가능하여, 하나 이상의 라이너가 기판으로부터 테이프를 신장 제거하는 중에 사용자에 의해 파단될 수 있는 당김 탭의 역할을 하도록 상기 제1 접착 표면에 부착된 채로 남아있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KR1020027002352A 1999-08-24 2000-08-08 분할된 제거 라이너를 갖춘 신장 제거식 접착 테이프 KR200200341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382,177 US6641910B1 (en) 1999-08-24 1999-08-24 Stretch releasing adhesive tape with segmented release liner
US09/382,177 1999-08-24
PCT/US2000/021590 WO2001014489A1 (en) 1999-08-24 2000-08-08 Stretch releasing adhesive tape with segmented release l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180A true KR20020034180A (ko) 2002-05-08

Family

ID=23507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2352A KR20020034180A (ko) 1999-08-24 2000-08-08 분할된 제거 라이너를 갖춘 신장 제거식 접착 테이프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641910B1 (ko)
EP (1) EP1206501B1 (ko)
JP (1) JP2003507563A (ko)
KR (1) KR20020034180A (ko)
CN (1) CN1183216C (ko)
AU (1) AU6895500A (ko)
BR (1) BR0013525A (ko)
CA (1) CA2381242A1 (ko)
DE (1) DE60009922T2 (ko)
MX (1) MXPA02001848A (ko)
WO (1) WO200101448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190B1 (ko) * 2007-06-28 2015-03-1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제거가능 접착 테이프 및 당김 탭 필름과, 키트
KR101531429B1 (ko) * 2007-06-28 2015-06-24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절첩가능 당김 탭을 갖는 제거가능 접착 테이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9728A1 (de) * 1996-11-30 1998-06-18 Beiersdorf Ag Klebeband
DE10160323B4 (de) * 2001-12-08 2021-02-11 Wolf-Dietrich Zander Parallel gewickelte Rolle aus bahnförmigen ein- oder beidseitig klebenden Materialien
US7063887B2 (en) 2002-02-04 2006-06-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retch releasable foams, articles including same and method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US20050115585A1 (en) * 2002-03-19 2005-06-02 Schramel Johannes P. Cleaning method for a disc-shaped data carrier
US6866928B2 (en) 2002-04-08 2005-03-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leanly removable tapes and method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FR2839494B1 (fr) * 2002-05-07 2004-06-18 Rehau Sa Procede automatise de pose et de confection de languettes de prehension, pellicule de protection et profile extrude comportant des languettes de ce type
US20030232210A1 (en) * 2002-06-18 2003-12-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nk-receptive foam article
US7055914B1 (en) * 2002-07-15 2006-06-06 Hennessy Industries, Inc. Vehicle wheel balance weights
AU2003268502A1 (en) 2002-09-12 2004-04-30 Goody Products, Inc. Method and device for using styling tape for body and hair accessorizing
US8302806B1 (en) * 2002-09-23 2012-11-06 Gibbar James M Drink vessel holder
US7028958B2 (en) 2002-11-01 2006-04-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retch releasing adhesive article with shape retaining member
US6925765B2 (en) * 2002-12-27 2005-08-09 Johns Manville Facing and faced insulation assembly
US7931771B2 (en) 2003-04-02 2011-04-26 Panasonic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plasma display device
US7820282B2 (en) * 2003-04-10 2010-10-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oam security substrate
US7655296B2 (en) 2003-04-10 2010-02-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nk-receptive foam article
SG110108A1 (en) * 2003-09-24 2005-04-28 Nitto Denko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joining adhesive tape
US7599420B2 (en) * 2004-07-30 2009-10-06 Rearden, Llc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input distributed output wireless communications
US20060275573A1 (en) * 2005-06-07 2006-12-07 Stickysheets Unlimited, Llc Pet hair remover
JP4994663B2 (ja) * 2005-12-28 2012-08-08 大豊工業株式会社 ホイールバランスウェイト
CN101062542A (zh) * 2006-04-28 2007-10-31 匹喜产品国际有限公司 铁基合金夹式车轮配重的制造方法和过程
US7506450B2 (en) 2006-06-30 2009-03-24 The Stanley Works Adhesive mount for a leveling device and a leveling device
CA2662783C (en) * 2006-09-06 2014-11-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all mountable wire grid organizer system with removable accessories
NZ575470A (en) 2006-09-06 2012-03-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 Horizontally mounted shelf assembly attachable to the wall using stretch releasing adhesive strip
US7931160B2 (en) * 2006-09-06 2011-04-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Vertically mounted shelf assembly and accessories therefor
CN101511233B (zh) * 2006-09-06 2011-01-26 3M创新有限公司 具有矩形框架和可拆卸式托盘的壁挂式搁架系统
US7892384B2 (en) * 2007-06-28 2011-02-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movable adhesive tape and pull tab, and method of forming
US20090047460A1 (en) * 2007-08-14 2009-02-19 3L-Ludvigsen A/S Adhesive dispensing product
JP5199641B2 (ja) * 2007-10-19 2013-05-15 日昌株式会社 エンブレム用粘着体、その製造方法、エンブレム貼付治具および貼付用エンブレム
US7980286B2 (en) * 2007-12-18 2011-07-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evice for applying a protruding tab to double-sided adhesive tape, and method of using
TW200844342A (en) * 2008-03-07 2008-11-16 Huang Meng Feng Hook configuration
US20090243370A1 (en) * 2008-03-31 2009-10-01 Hennessy Industries, Inc. Wheel weight
JP2010202843A (ja) * 2009-03-06 2010-09-16 Nitto Denko Corp 両面粘着テープおよびその貼付方法、剥離ライナー
CN101880511B (zh) * 2009-05-08 2015-08-26 尼托母斯股份有限公司 可剥离的粘接带
KR101039337B1 (ko) 2009-10-27 2011-06-08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제조용 양면 접착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인쇄회로기판 제조방법
US9640958B2 (en) 2010-04-14 2017-05-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movable adhesive backed ducts for cabling and a removal method
US8722166B2 (en) * 2010-04-19 2014-05-13 Protecto Wrap Company Emergency extrication tape
CH703299A1 (de) * 2010-06-07 2011-12-15 Pataco Ag Ind Und Unterhaltungselektronik Sicherungsvorrichtung für Objekte.
US20120261048A1 (en) * 2011-04-18 2012-10-18 Jason Carolla Vinyl graphics installation
AU2012202196B2 (en) * 2011-04-26 2016-08-18 Nitto Denko Corporation Stretch Adhesive Bandage
DK2599845T3 (en) * 2011-12-02 2014-11-24 Oticon As Double-sided adhesive foil
FR2983770B1 (fr) * 2011-12-12 2016-04-01 Gergonne Sas Article adhesif, ruban et ensemble comprenant un tel article adhesif et procede de demontage d'un objet fixe sur un substrat par l'intermediaire d'un tel article adhesif
ES2668197T3 (es) 2012-11-05 2018-05-17 Kathe A. Sackler Cinta enmascaradora de pintor perforada
US8889240B2 (en) 2012-12-28 2014-11-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retch release article
US9574312B2 (en) * 2013-02-21 2017-02-21 EML Products Inc. Sleeves for sign posts
US8915045B2 (en) * 2013-02-21 2014-12-23 EML Products Inc. Sleeves for sign posts
EP3030100A4 (en) * 2013-08-07 2017-04-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ardrobe tape and method of using same
US9333706B2 (en) 2013-09-04 2016-05-10 Apple Inc. Pull tab design for stretch release adhesive
USD783840S1 (en) * 2014-05-09 2017-04-11 Cenorin, Llc Moisture shield with release liner
US11246740B2 (en) 2016-03-11 2022-02-15 Coloplast A/S Adhesive wafer with release liner
GB2553096B (en) * 2016-08-18 2022-02-16 Welland Medical Ltd Flange extender having removal tab
DE102016119520A1 (de) * 2016-10-13 2018-04-19 Aytec Automation Gmbh Verfahren zur Herrichtung von Strangmaterial für die Verarbeitung von Dichtungen
US10221883B2 (en) 2017-04-07 2019-03-05 Artskills, Inc. Apparatus for supporting articles
CA3065159A1 (en) * 2017-06-02 2018-12-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seal
US11254093B2 (en) * 2019-02-12 2022-02-22 Samsung Display Co., Ltd. Lin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GB201909356D0 (en) * 2019-06-28 2019-08-14 Preston Technical Ltd Adhesive tape roll
US11718459B1 (en) * 2019-09-03 2023-08-08 TredWear LLC Flat interlocking wrap for complex shapes
US20220363508A1 (en) * 2019-10-07 2022-11-17 H.B. Fuller Company Spindle free tape article and method
JP2022074877A (ja) * 2020-11-05 2022-05-18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及び両面粘着テープ
JP6938750B1 (ja) * 2020-12-14 2021-09-22 照子 坂口 鼻腔拡張具
ES2943207A1 (es) * 2021-12-09 2023-06-09 Diaz Gamez Valeriano Cinta adhesiva de facil desprendimiento
CN115584215B (zh) * 2022-10-31 2023-08-04 江阴通利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返工双面泡棉胶带、返工方法和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63343A (en) * 1970-05-11 1972-05-16 By Buk Co Composit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structure and process of making the same
GB1422364A (en) 1973-06-11 1976-01-28 Shu Lien Liou Adhesive tape
US4024312A (en) * 1976-06-23 1977-05-17 Johnson & Johns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having extensible and elastic backing composed of a block copolymer
DE2909276A1 (de) 1979-03-09 1980-09-18 Cohausz Helge B Selbstklebeband
DE3331016A1 (de) 1983-04-06 1984-10-11 Beiersdorf Ag, 2000 Hamburg Klebfolie fuer wiederloesbare klebbindungen
US5044776A (en) * 1990-04-27 1991-09-03 Morgan Adhesives Company Resealable closure system
US5516581A (en) 1990-12-20 1996-05-1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movable adhesive tape
DE4222849C2 (de) 1992-07-11 2000-02-10 Beiersdorf Ag Verwendung eines Streifens einer Klebefolie für wiederlösbare Verklebung
US5747131A (en) 1993-01-19 1998-05-0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rocess for bundling and/or fixing articles by use of an extensible plastic tape
US5318658A (en) * 1993-04-30 1994-06-07 Prototype Equipment Corporation Taping machine
WO1995006691A1 (en) 1993-08-31 1995-03-0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movable foam adhesive tape
US5580413A (en) * 1993-10-01 1996-12-03 J. R. Automation Technologies, Inc. Taping apparatus and method and article manufacturing therewith
US5509694A (en) * 1994-09-16 1996-04-23 The Standard Register Company Tri-fold label or business form
WO1997007172A1 (en) 1995-08-11 1997-02-2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movable adhesive tape with controlled sequential release
DE19631964A1 (de) 1996-08-08 1998-02-12 Beiersdorf Ag Ablängvorrichtung
US6004642A (en) 1996-11-08 1999-12-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nternally separable tape laminate
DE19721169A1 (de) 1997-05-21 1998-11-26 Stefan Singer Klebestreifen
US6972141B1 (en) 1997-12-12 2005-12-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movable adhesive tape laminate and separable fastener
US6238760B1 (en) * 1999-02-24 2001-05-29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ull tab labels for match mounting a tire with a ri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190B1 (ko) * 2007-06-28 2015-03-1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제거가능 접착 테이프 및 당김 탭 필름과, 키트
KR101531429B1 (ko) * 2007-06-28 2015-06-24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절첩가능 당김 탭을 갖는 제거가능 접착 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81242A1 (en) 2001-03-01
EP1206501A1 (en) 2002-05-22
CN1370210A (zh) 2002-09-18
EP1206501B1 (en) 2004-04-14
JP2003507563A (ja) 2003-02-25
CN1183216C (zh) 2005-01-05
MXPA02001848A (es) 2002-10-23
US6641910B1 (en) 2003-11-04
DE60009922D1 (de) 2004-05-19
BR0013525A (pt) 2002-04-30
DE60009922T2 (de) 2005-04-07
AU6895500A (en) 2001-03-19
WO2001014489A1 (en) 2001-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34180A (ko) 분할된 제거 라이너를 갖춘 신장 제거식 접착 테이프
US6541089B1 (en) Stretch releasing adhesive tape with integral pull tab
JP3553960B2 (ja) 添えつぎテープ、添えつぎ方法及び添えつぎテープを使用した添えつぎ
JP5386054B2 (ja) 異なる接着特性を有する延伸剥離式接着テープ
JP2521412B2 (ja) シ―ト組
AU2008270965B2 (en) Removable adhesive tape with foldable pull tab
JPH05117607A (ja) ロール状にエンドレスに巻かれた複合積層接着テープ及びその積層接着テープロールの製造方法
JPH11510846A (ja) 調節された連続剥離を含む剥離可能接着テープ
EP0257752A2 (en) Composite prelaminated tapes for diaper closures
US20080041524A1 (en) Adhesive tape device
JP5255871B2 (ja) 剥離可能な粘着テープ
JPH09111196A (ja) 両面粘着材
JPH08109355A (ja) 接着テープ構造体
JPH0762307A (ja) 剥離紙付粘着テープ
JP3712710B2 (ja) ゴム製両面粘着テープ
JPS6348381A (ja) 自着性テ−プ
JPH0934366A (ja) 粘着ラベル
JPH0572948U (ja) 粘着テープ
JP2002060706A (ja) 接着テープ
JP2002069393A (ja) 固定用テ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