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6939A - 무선 기지국 장치 및 무선 기능 정지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기지국 장치 및 무선 기능 정지 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6939A
KR20020026939A KR1020027000081A KR20027000081A KR20020026939A KR 20020026939 A KR20020026939 A KR 20020026939A KR 1020027000081 A KR1020027000081 A KR 1020027000081A KR 20027000081 A KR20027000081 A KR 20027000081A KR 20020026939 A KR20020026939 A KR 20020026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unit
antenna
base st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0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시 쯔지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20020026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693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91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sectors, i.e. sector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하나의 무선부에 장해가 발생해도 하나의 섹터의 수신 기능이 정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무선 기지국 장치의 제공 및 무선 기능을 정지시키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동체 통신 무선 기지국에 있어서, 해당 기지국은 다른 섹터의 안테나와 연결된 수신부를 구비하는 무선부를 복수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기지국 장치 및 무선 기능 정지 방지 방법{RADIO BASE STATION AND METHOD OF PREVENTING FAILURE OF RADIO FUNCTION}
종래의 무선 기지국 장치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는, 3개로 섹터화된 서비스 영역을 커버할 수 있는 수신 다이버시티 기능을 갖는 종래의 기지국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무선 기지국 장치는 제1 섹터에 지향성을 갖는 제1 다이버시티 안테나부(1)와, 제2 섹터에 지향성을 갖는 제2 다이버시티 안테나부(2)와, 제3 섹터에 지향성을 갖는 제3 다이버시티 안테나부(3)와, 제1 무선부(4), 제2 무선부(5), 제3 무선부(6), 및 기저 대역 처리부(7), 유선 인터페이스부(8), 제어부(9), 무선 전환부(10), 예비 무선부(21)로 구성된다. 제1부터 제3 각 다이버시티 안테나부는 각각 송수신 안테나(11)와, 수신 안테나(12)와, 안테나 공용기(13)로 구성된다. 제1부터 제3 각 무선부는 각각 송신부(14), 제1 수신부(16), 제2 수신부(17)로 구성된다. 예비 무선부(31)는 송신부(14), 제1 수신부(16), 제2 수신부(17)로 구성된다.
무선 전환부(10)는, 장치의 정상 동작 시에 제1 다이버시티 안테나(1)와 제1무선부(4)를 접속하고, 제2 다이버시티 안테나(2)와 제2 무선부(5)를 접속하고, 제3 다이버시티 안테나(3)와 제3 무선부(6)를 접속한다.
상기 어느 한 무선부가 장해가 된 경우, 제어부(9)는 장해 발생 신호(20)를 검출하고, 무선 전환 신호(23)를 무선 전환부(10)에 출력한다. 동시에 무선부(9)는 장해 정보(22)를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7)에 출력한다. 무선 전환부(10)에 제어부(9)로부터의 무선 전환 신호(23)가 입력되면, 무선 전환부(10)는 다이버시티 안테나와 장해가 된 무선부와의 접속을 분리하고, 해당 다이버시티 안테나와 예비계 무선부(21)를 접속하도록 전환한다.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7)에 장해 정보(22)가 입력되면,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7)는 무선부(4)로 송신 기저 대역 신호를 송출하고, 예비계 무선부(21)와 접속하도록 전환한다.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7)는, 또한 무선부(4)로부터 출력되는 수신 기저 대역 신호를 무효로 하고, 대신에 예비계 무선부(21)로부터의 수신 기저 대역 신호를 유효로 한다.
그러나, 종래의 무선 기지국의 구성에서는 이하와 같은 과제가 발생한다. 무선 기능을 분산화하지 않고 집약하면, 무선 기능부에 장해가 있을 때 무선 기능이 정지되는 영향이 커진다. 이 때문에 무선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예비계 기능이 필요해지며, 소형이고 경제적인 장치를 구성할 수 없다.
또한, 장해 시의 무선 기능 정지를 방지하기 위해 무선 기능부를 분산화하면, 기능 분할 손해가 생긴다. 이 때문에 소형이며 경제적인 장치를 구성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부 기능의 집약화를 도모함과 함께, 다이버시티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예비계가 불필요하고 또한 소형이고 경제적인 무선 기지국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발명의 개시>
청구항 1에 기재된 무선 기지국 장치는 이동체 통신 무선 기지국으로서, 다른 섹터의 안테나에 연결된 수신부를 구비하는 무선부를 복수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무선 기지국 장치는 상기 무선 기지국이, 상기 복수의 무선부의 장해 정보를 검출하는 제어부와, 그 제어부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상기 무선부의 고장 무선부를 특정하여 그 무선부 내의 수신부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정지시키는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무선 기지국 장치는, 상기 무선부에 복수의 송신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무선 기지국 장치는, 상기 다른 섹터의 안테나와, 그 안테나와 연결되는 수신부는 안테나 공용기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무선 기지국 장치는, 상기 안테나 공용기를 통해 접속되는 안테나와 상기 수신부가 분배기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무선 기지국 장치는, 상기 송신부가 혼합기 및 안테나 공용기를 통해 안테나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무선 기지국 장치는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를 복수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무선 기능 정지 방지 방법은, 복수의 섹터 중 하나를 커버하는 기능 유닛으로부터의 장해 발생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한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로 통지하는 단계와, 통지된 신호에 의해 장해가 발생한 상기 기능 유닛 내의 수신부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무효로 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무선 기능 정지 방지 방법은, 복수의 섹터 중 하나를 커버하는 멀티 캐리어의 기능 유닛으로부터의 장해 발생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한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에 통지하는 단계와, 통지된 신호에 의해 장해가 발생한 상기 기능 유닛 내의 수신부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무효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동체 통신 무선 기지국 장치 및 무선 기능 정지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종래의 기지국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기능 정지 방지 방법의 흐름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은, 이동체 통신 무선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예비용 안테나, 기지국장치 사이의 배선 및 전용 예비 무선부를 구비하지 않고, 무선 기능이 정지하지 않은 장치를 실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지국 장치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무선부 내의 2계통의 수신부를 각각 다른 섹터의 안테나와 접속함으로써, 상기 무선부가 장해가 된 경우에도 동일 섹터 내에서의 수신 기능이 정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지국 장치는 장해가 된 수신부와 예비 수신부를 전환하기위한 전환 기능부 및 예비 수신부를 필요로 하지 않은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본 발명의 무선 기지국 장치에서는 무선부 내의 수신부는 각각 다른 섹터의 안테나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예비를 위한 무선부 및 배선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무선부의 장해 발생 시에도 동일한 섹터 내의 수신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무선 기지국 장치의 무선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부는 3개로 섹터화된 서비스 영역을 커버할 수 있는 수신 다이버시티 기능을 갖고 있다. 또 제1 실시예에서는 섹터 수를 3으로 하여 설명하지만, 이 섹터 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이 섹터 수는 복수이면 되며, 3으로 제한받지 않는다.
본 발명의 무선 기지국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섹터에 지향성을 갖는 제1 다이버시티 안테나부(1)와, 제2 섹터에 지향성을 갖는 제2 다이버시티 안테나부(2)와, 제3 섹터에 지향성을 갖는 제3 안테나부(3)와, 제1 무선부(4)와,제2 무선부(5)와, 제3 무선부(6)와, 더 바람직하게는 기저 대역 처리부(7)와, 유선 인터페이스부(8)와, 제어부(9)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다이버시티 안테나부(1), 제2 다이버시티 안테나부(2) 및 제3 다이버시티 안테나부(3)(이하, 단순히 「안테나부」라고 함.)의 구성은 동일하기 때문에, 제1 안테나부(1)에 대해서만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다른 안테나부는 제1 안테나부와 마찬가지이다.
제1 다이버시티 안테나부(1)는 송수신 안테나(11)와, 수신 안테나(12)와, 안테나 공용기(13)로 구성된다. 제1 안테나부(1)는 제1 섹터 방향에 지향성을 갖는다. 제1 안테나부의 송수신 안테나(11)는 안테나 공용기(13)에 접속되고, 섹터(1) 내에 존재하는 도시하지 않은 이동기와 송수신을 행한다.
안테나 공용기(13)는, 제1 무선부(4) 내의 송신부(14) 및 수신부(16)에 접속되어 있다. 안테나 공용기(13)는 송수신 안테나(11)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분리하고, 송신부(14)로부터의 무선 송신 신호를 송수신 안테나(11)에 출력한다. 제1 안테나부의 수신 안테나(12)는 제3 수신부(6)의 수신부(17)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안테나부의 수신 안테나(12)는 무선 수신 신호를 출력한다. 제1 무선부(4), 제2 무선부(5) 및 제3 무선부(6)의 구성에 대해서는 모두 동일하므로, 이하 제1 무선부(4)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 밖의 무선부에 대해서는, 제1 무선부(4)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 이들의 동작 등에 대해서도 제1 무선부(4)와 마찬가지이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안테나의 각 섹터에 대한 지향성은 상기된 바와 상이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무선부(4)는 송신부(14)와, 수신부(16)와, 수신부(17)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1 무선부(4)는 송신부(14), 수신부(16) 및 수신부(17)로 이루어지는 기능 유닛을 구성하고 있다. 무선부(4) 내의 송신부(14)는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7)의 출력 신호를 입력하고, 제1 섹터 내의 이동기에 대한 송신 기저 대역 신호를 무선 송신 신호로 변환하며, 제1 안테나부의 안테나 공용기(13)에 출력한다. 무선부(4) 내의 수신부(16) 및 수신부(17)의 기능은 동일하다. 무선부(4) 내의 수신부(16)는 안테나부(1)로부터의 무선 수신 신호를 입력하여, A/D 변환된 수신 기저 대역 신호를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7)로 출력한다. 무선부(4) 내의 수신부(17)는, 안테나부(2)로부터의 무선 수신 신호를 입력하여, A/D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7)로 출력한다.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7)는 무선부(4), 무선부(5) 및 무선부(6) 내의 수신부(16) 및 수신부(17)로부터 수신 기저 대역 신호를 입력하고, 수신 데이터를 유선 인터페이스부(8)로 출력한다.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7)는 유선 인터페이스부(8)로부터의 송신 데이터를 입력하고, 각 섹터 내에 존재하는 이동기에 송신 기저 대역 신호를 무선부(4), 무선부(5) 및 무선부(6) 내의 송신부(14)로 출력한다. 유선 인터페이스부(8)는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7)와 도시하지 않은 상위 장치에 접속된다.
또한 제어부(9)는 각 기능 유닛(무선부)과 접속되고, 각 무선부의 장해 정보를 검출하여, 검출한 장해 정보를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7)에 출력한다. 즉, 이 제1 실시예에서는 각 무선부(4, 5, 6…)는 하나의 기능 유닛을 구성하고, 하나의무선부 단위로 장해 검출 및 기능 유닛의 교환을 행할 수 있다.
이상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도 1의 송수신 안테나, 수신 안테나의 구조, 공용기의 성능, 수신부의 구성, 기저 대역 처리부의 처리 회로, 제어부 구성은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의 무선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다른 방식인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에서는 상기된 안테나 공용기를 대신하여 안테나 전환기를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제1 섹터의 수신 데이터(31) 및 제2 섹터의 수신 데이터(32)에 관한 수신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 무선부의 송신부 및 제3 섹터의 수신 데이터(33)에 관한 동작의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제1 무선부(4) 및 제3 무선부(6)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안테나부에서 수신된 무선 수신 신호 a 및 무선 수신 신호 b는 제1 무선부(4) 내의 수신부(16) 및 제3 무선부(6) 내의 수신부(17)에서 무선 수신 신호로부터 각각 수신 기저 대역 신호 c 및 수신 기저 대역 신호 e로 변환된다.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7)는 제1 무선부 내의 수신부(16) 및 제3 무선부 내의 수신부(17)로부터 출력된 수신 기저 대역 신호 c 및 수신 기저 대역 신호 e를 역확산, 다이버시티 합성한다. 그 후,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7)는 제1 섹터의 수신 데이터 g를 유선 인터페이스부(8)로 출력한다. 유선 인터페이스부(8)에서는 제1 섹터의 수신 데이터(31), 제2 섹터의 수신 데이터(32), 및 제3 섹터의 수신 데이터(33)를 유선 데이터로 변환하고, 도시하지 않은 상위 장치로 출력한다.
이어서, 제1 무선부(4)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의 본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도 6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부(9)는 무선부(4)의 장해 발생 신호(20)를 검출한다(단계 S1). 장해 발생 신호(20)가 검출된 경우, 장해 정보(21)가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7)에 통지되고(단계 S2),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대기한다. 이 장해 발생 신호(20)는 예를 들면, 무선부(4) 내에서 주파수 변환에 이용되는 신시사이저부의 동기가 어긋난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장해가 발생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신호로서 사용할 수 있다.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7)에서는 장해 정보(21)에 기초하여, 무선부(4) 내의 수신부(16)로부터의 수신 기저 대역 신호 c 및 수신부(17)로부터의 수신 기저 대역 신호 d를 무효로 한다. 동시에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7)는 장해가 발생하지 않은 제3 무선부(6) 내의 수신부(17)로부터의 기저 대역 신호 e만을 역확산하고, 복조하여 제1 섹터의 수신 데이터(31)를 출력한다(단계 S3). 또한,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7)는 제2 무선부(5) 내의 수신부(16)로부터의 기저 대역 신호 f만을 역확산하고, 복조하여 제2 섹터의 수신 데이터(32)를 출력한다(단계 S4).
제1 실시예에서는, 섹터 수를 3으로 하여 설명하였다. 이 섹터 수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이면 되고, 이러한 복수인 다이버시티 기능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장치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제2 수신부는 다른 섹터에 대하여 송수신 기능을 갖는 다른 안테나부 내의 안테나와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서는 제1 섹터의 제2 수신부(17)는 제2 섹터에서의 안테나부의 안테나(12)와 연결되어 있다.또한, 상기 「다른」 안테나부의 안테나는 복수인 안테나부 중 어떤 안테나를 이용하든 상관없다.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기능 유닛(무선부) 내의 제2 수신부와 상기 다른 안테나부 내의 안테나와의 연결은, 단 하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도 1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제1 무선부(도 1에서 말하는 가장 좌측의 블록) 내의 제2 수신부는 제2 안테나부의 안테나(12) 혹은 제3 안테나부의 안테나(12)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 조합이 결정되면, 제2 무선부(도 1에서 말하는 한가운데의 블록)의 제2 수신부는 제1 안테나부의 안테나(12)와의 조합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장치에서는 섹터 수는 복수이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복수의 섹터를 갖는 기지국 장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수신부는 다른 어느 하나의 안테나부 내의 안테나와 일의적으로 선택되어 연결된다. 또, 이하에 나타나는 제2∼제4 실시예에서도 제2 수신부, 제2 송신부 등과 연결되는 안테나부 내의 안테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멀티 캐리어 방식을 무선 기지국 장치에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멀티 캐리어 방식을 적용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기지국 장치의 구성을 도 2에 나타낸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안테나군을 이용하고, 섹터 수에 대해서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특별히 제한받지 않는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서는 각 안테나부와, 대응하는 각 무선부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안테나부는 상기한 바와 같이 송수신 안테나(11)와, 수신 안테나(12)와, 안테나 공용기(13)로 구성된다. 제1 안테나부(1)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며, 제1 섹터 방향에 지향성을 갖는 제1 안테나부의 송신 안테나(11)는 안테나 공용기(13)에 접속되며, 상기 마찬가지로 이동기와 송수신을 행한다.
제2 실시예에서는 각 섹터의 안테나 공용기(13)는 각각 합성기(100)를 통해 제1 무선부(4) 내의 송신부(14)와 접속되어 있다. 각 섹터의 안테나 공용기(13)는 제1 분배기(110)를 통해 제1 수신부(16)와 접속되어 있다. 각 섹터의 안테나 공용기(13)는 송수신 안테나(11)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분리한다. 안테나 공용기(13) 내의 송수신 안테나(11)는 송신부(14)로부터의 무선 송신 신호를 출력한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다른 안테나부(제2 섹터)의 수신 안테나(12)는 제2 분배기(111)을 통해 제1 무선부(4) 내의 제2 수신부(17)에 접속되어 있다. 수신 안테나(12)는 무선 수신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합성기(100), 제1 분배기(110) 및 제2 분배기(11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무선부(기능 유닛)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제2 실시예에서, 상기한 것 외에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제1 무선부(4), 제2 무선부(5) 및 제3 무선부(6)의 구성에 대해서도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이 때문에, 다른 부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 제2 실시예에서는 멀티 캐리어 수를 2인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멀티 캐리어 수를 3 이상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합성기(100), 제1 분배기(110) 및 제2 분배기(111)의 수를 적절하게 증가시키거나, 혹은 3파 합성기, 3파 분배기 등의 3파 이상의 멀티 합성기, 분배기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서도 섹터 수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한받지 않으며, 적절하게 선택 가능하다. 또한, 제1 무선부 등에서 장해가 발생한 경우의 응답 및 대처 등은 상기 제1 실시예의 항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서는 송신 다이버시티 기능을 갖는 장치의 송신계에 대하여 연구가 더 이루어지고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 기지국 장치의 구성을 도 3에 나타낸다. 제3 실시예에서, 제1 무선부(4), 제2 무선부(5) 및 제3 무선부(6)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각 무선부는, 제1 송신부(14)와, 제2 송신부(18)와, 제1 수신부(15)와, 제2 수신부(16)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안테나부(1), 제2 안테나부(2) 및 제3 안테나부(3)는 상기 마찬가지로 동일한 구성이다. 단, 각 안테나부의 두개의 송수신 안테나(11 및 12)는 두개의 안테나 공용기(13)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구성된 제1 무선부(4)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제어부(9)는 무선부(4)의 장해 발생 신호(20)를 검출하고, 장해 정보(22)를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7)에 통지한다. 수신 데이터에 관한 동작은 도 1 및 도 6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제어부(9)는 제1 무선부(4) 내의 제1 송신부(14) 및 제2 송신부(18)에 출력하는 각 송신 기저 대역 신호를 무효로한다. 따라서, 제1 섹터의 송신 데이터(41)는 제2 무선부(5) 내의 제2 송신부(18)에서 무선 송신 신호로 변환된 후, 제1 안테나부 내의 안테나 공용기를 통해 안테나(12)에 출력된다.
상기된 제3 실시예에서는 송신 다이버시티 기능을 갖는 기지국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하고 있으므로, 동일한 기능 유닛 내의 하나의 무선부가 장해가 된 경우에도 1 섹터 내의 수신 기능뿐만 아니라, 송신 기능도 유지할 수 있다고 하는 새로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구성에서, 안테나 공용기는 안테나 스위치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안테나 공용기는 2 브렌치 다이버시티를 사용함으로써, 2 섹터 이상의 장치 구성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4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 실시예에서는 제3 실시예에 대하여, 그 송신계에 관하여 더 연구하고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 기지국 장치의 구성을 도 4에 나타낸다. 제4 실시예에서, 제1 무선부(4), 제2 무선부(5) 및 제3 무선부(6)는 상기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즉, 각 무선부는 제1 송신부(14)와, 제2 송신부(18)와, 제1 수신부(15)와, 제2 수신부(16)로 구성된다. 또한 제1 안테나부(1), 제2 안테나부(2) 및 제3 안테나부(3)는 상기 제3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각 안테나부의 두개의 송수신 안테나(11, 12)는 각각이 안테나 공용기(13)와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단, 이하의 점에서 제3 실시예와 달리 구성되어 있다.
즉, 제4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안테나부의 두개의 송수신 안테나(11, 12)는 각각이 안테나 공용기(13)와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지만, 안테나 공용기와, 그것에 연결되는 각 무선부 내의 송신부 또는 수신부는 혼합기 또는 분배기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상기 마찬가지로, 제1∼제3 안테나부 및 제1∼제3 무선부의 구성은 상기 제3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 안테나부 및 제1 무선부에 대해서만 상설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안테나부는 안테나(11) 및 안테나(12)와, 각 안테나에 연결되는 안테나 공용기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안테나부 내의 안테나(11)는 안테나 공용기를 통해 제1 무선부 내의 제1 송신부와 제1 수신부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멀티 캐리어 FDD 방식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제1 안테나부 내의 안테나(11)는 안테나 공용기를 통하고, 제1 무선부 내의 상기 제1 송신부와, 제1 혼합기(100)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제1 안테나부 내의 안테나(11)로부터 안테나 공용기를 통해 제1 무선부 내의 제1 수신부가 연결되는 전단(前段)에 제1 분배기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혼합기(100) 및 상기 제1 분배기(110)는 멀티 캐리어의 수에 대응하여 복수의 제1 무선부(4, 4'…)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무선부(4, 4'…)는 각각 제1∼제N(N은 2 이상의 정수)의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7, 7'…)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4 실시예에서는 멀티 캐리어 수에 따라 무선부수 및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수가 결정되게 되지만, 그외에 대해서는 상기 제3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상기한 구성의 제4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멀티 캐리어의 하나인 제1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와 연결된 제1 무선부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제어부(9)는 무선부(4)의 장해 발생 신호(20)를 검출하고, 장해 정보(22)를 제1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7)에 통지한다. 제어부(9)는 제1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7)와 연결되어 있는 무선부(4) 내의 제1 및 제2 송신부(18)로 출력하는 각 송신 기저 대역 신호를 무효로 한다. 따라서, 제1 섹터의 송신 데이터(41)는 제1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2 무선부(5) 내의 제2 송신부(18)에서 무선 송신 신호로 변환된 후, 제2 합성기(101) 및 제1 안테나부 내의 안테나 공용기(13)를 통해 안테나(12)에 출력된다.
이와 같이, 제4 실시예에서는 송신 다이버시티 기능을 갖는 기지국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하고 있으므로, 하나의 캐리어 중 하나의 무선부가 장해가 된 경우에도 1 섹터 내의 수신 기능뿐만 아니라, 송신 기능도 유지할 수 있다는 새로운 효과를 더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하에 기재하는 효과, 즉 산업 상 이용 가능성이 있다.
첫째, 다이버시티 수신에는 두개의 수신부가 필요한 것을 이용하고, 두개의 수신부가 하나의 무선부 내에 구비된 경우라도, 하나의 무선부 내의 각각의 수신부를 다른 섹터의 안테나에 접속함으로써, 하나의 무선부에 장해가 발생해도 하나의 섹터의 수신 기능이 정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둘째, 무선부의 장해에 대비하여, 예비 무선부 및 현사용계 및 예비계의 전환 기능 및 이들 기능부의 접속을 위해 고주파 케이블 배선을 불필요하게 되어, 무선부의 용장 구성을 간소하게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셋째, 섹터 안테나와 수신부 사이에 전환 기능 혹은 신호 분기 기능을 삽입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수신부의 감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넷째, 단말의 송신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단말의 전지 구동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9)

  1. 수신 다이버시티 기능을 갖는 이동체 통신 무선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다른 섹터의 안테나와 연결된 수신부를 구비하는 무선부를 복수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상기 복수의 무선부의 장해 정보를 검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상기 무선부의 고장 무선부를 특정하여 상기 무선부 내의 수신부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정지시키는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부는 복수의 송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섹터의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와 연결되는 수신부는 안테나 공용기를 통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공용기를 통해 접속되는 안테나와 상기 수신부는 분배기를 통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혼합기 및 안테나 공용기를 통해 안테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를 복수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
  8. 수신 다이버시티 기능을 갖는 이동체 통신 무선 기지국에 있어서 통신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의 무선 기능 정지 방지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섹터 중 하나를 커버하는 기능 유닛으로부터의 장해 발생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상기 장해 발생 신호에 기초하여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에 장해 발생 통지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장해 발생 통지 신호에 의해 장해가 발생한 상기 기능 유닛 내의 수신부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무효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능 정지 방지 방법.
  9. 수신 다이버시티 기능을 갖는 이동체 통신 무선 기지국에 있어서 통신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의 무선 기능 정지 방지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섹터 중 하나를 커버하는 멀티 캐리어의 기능 유닛으로부터의 장해 발생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한 상기 장해 발생 신호에 기초하여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에 장해 발생 통지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와,
    장해 발생 통지 신호에 의해 장해가 발생한 상기 기능 유닛 내의 수신부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무효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능 정지 방지 방법.
KR1020027000081A 1999-07-05 2000-07-05 무선 기지국 장치 및 무선 기능 정지 방지 방법 KR200200269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103499A JP3736211B2 (ja) 1999-07-05 1999-07-05 無線基地局装置および無線機能停止防止方法
JPJP-P-1999-00191034 1999-07-05
PCT/JP2000/004459 WO2001003331A1 (fr) 1999-07-05 2000-07-05 Station de base radio et procede de prevention de defaillance de fonction radi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6939A true KR20020026939A (ko) 2002-04-12

Family

ID=16267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0081A KR20020026939A (ko) 1999-07-05 2000-07-05 무선 기지국 장치 및 무선 기능 정지 방지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199816A4 (ko)
JP (1) JP3736211B2 (ko)
KR (1) KR20020026939A (ko)
CN (1) CN1154257C (ko)
AU (1) AU5847700A (ko)
BR (1) BR0012358A (ko)
WO (1) WO200100333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831B1 (ko) * 2005-06-01 2007-04-09 주식회사 아이너스기술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한 실시간 검사 안내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24744A1 (en) 2000-08-18 2002-07-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apparatu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4703070B2 (ja) * 2001-09-28 2011-06-15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無線通信装置
CN100340068C (zh) 2002-04-22 2007-09-26 Ipr许可公司 多输入多输出无线通信方法及具有无线前端部件的收发机
CN100382459C (zh) * 2004-04-20 2008-04-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射频信号接收单元和方法
WO2008020486A1 (en) * 2006-08-18 2008-02-21 Fujitsu Limited Base station apparatus and reception/processing method in that apparatus
KR20080045837A (ko) * 2006-11-21 2008-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기지국 시스템에서 이중화 지원장치 및 방법
JP5040998B2 (ja) * 2007-05-31 2012-10-03 富士通株式会社 無線基地局装置および無線基地局装置内のリンク断救済方法
US20090253462A1 (en) * 2008-04-02 2009-10-08 Capece Christopher J Scaleable base station architecture
CN102548051A (zh) 2008-10-27 2012-07-04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系统、设备和方法
JP5391057B2 (ja) * 2009-12-28 2014-01-15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装置共用装置
JP5121863B2 (ja) * 2010-03-01 2013-01-16 株式会社東芝 無線基地局装置
EP2552173A1 (en) * 2011-07-29 2013-01-30 Vodafone Holding GmbH Mobile communication method und system comprising network and antenna sharing and hierarchical sectorization
WO2017107141A1 (zh) * 2015-12-24 2017-06-29 海能达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基站及数据收发方法
CN105554915A (zh) * 2015-12-24 2016-05-04 海能达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基站及数据收发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3118A (ja) * 1984-09-04 1986-04-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ダイバ−シチ受信装置
JPS6429131A (en) * 1987-07-24 1989-01-31 Nippon Telegraph & Telephone Transmission/reception antenna sharing system
JPH01117605A (ja) * 1987-10-29 1989-05-10 Hitachi Ltd 電気車制御装置
JPH05218722A (ja) * 1991-03-15 1993-08-27 Toshiba Corp アレイアンテナ装置
GB2271246B (en) * 1992-10-03 1997-02-12 Motorola Ltd Sectorized cellular radio base station antenna
JP3134814B2 (ja) * 1997-06-26 2001-02-13 日本電気株式会社 ダイバシティ受信方式
JP2994315B2 (ja) * 1997-10-29 1999-12-27 日本電気移動通信株式会社 通信ゾーン救済方式
JPH11215013A (ja) * 1998-01-23 1999-08-06 Toshiba Corp ディジタルマイクロ波無線通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831B1 (ko) * 2005-06-01 2007-04-09 주식회사 아이너스기술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한 실시간 검사 안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4257C (zh) 2004-06-16
JP2001024569A (ja) 2001-01-26
JP3736211B2 (ja) 2006-01-18
WO2001003331A1 (fr) 2001-01-11
EP1199816A4 (en) 2006-07-19
BR0012358A (pt) 2002-07-23
EP1199816A1 (en) 2002-04-24
CN1372726A (zh) 2002-10-02
AU5847700A (en) 2001-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26939A (ko) 무선 기지국 장치 및 무선 기능 정지 방지 방법
PL164583B1 (pl) Sposób i stacja dupleksowej lacznosci telefonicznej PL PL PL PL PL PL PL PL PL
EP0350007A2 (en) Diversity antenna communication system
US6690916B1 (en) Radio network for radio communication in an enclosed environment and a repeater for such a radio network
US7948948B2 (en) Base band processing module N+M backup method based on switching and device thereof
JPH0354928A (ja) チャネル選択方式
JP2994315B2 (ja) 通信ゾーン救済方式
US706904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uplication structure of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H1127181A (ja) 予備回線への切替方式
JP2560617B2 (ja) ホットスタンバイ送受信システム
JP2004007103A (ja) 基地局及び中継方法
KR100440447B1 (ko) 송신 다이버시티 기능을 이용한 선택적 송신 이중화 장치
JP3506903B2 (ja) 無線システム
KR100842574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송신단의 랙 장치
JP2682514B2 (ja) 受信ホットスタンバイ方式
JP2770501B2 (ja) Mca無線通信装置
JP3934566B2 (ja) 無線基地局システム
JP2757700B2 (ja) 状態監視システム
JP2001102969A (ja) 無線基地局二重化回路
JPH0884100A (ja) 衛星通信システム
EP1077575A1 (en) Routing redundancy method in a point to multipoint radio system for an access terminal
JPH06152517A (ja) 光通信システム
JPS6367933A (ja) 船舶用ロ−カルエリアネツトワ−ク
JP2001189701A (ja) アンテナ障害判定装置及びアンテナ障害判定方法
JPS5822889B2 (ja) ダイバ−シチ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