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6615A - 침피복수단을 갖는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 - Google Patents

침피복수단을 갖는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6615A
KR20020026615A KR1020027002914A KR20027002914A KR20020026615A KR 20020026615 A KR20020026615 A KR 20020026615A KR 1020027002914 A KR1020027002914 A KR 1020027002914A KR 20027002914 A KR20027002914 A KR 20027002914A KR 20020026615 A KR20020026615 A KR 20020026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hub
reduced diameter
submerged
diamet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2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4744B1 (ko
Inventor
미찌우에데쯔또시
후지이쇼이찌
도이다까시
오까모또다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ublication of KR20020026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6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7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12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 A61M25/0637Butterfly or winged devices, e.g. for facilitating handling or for attachment to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12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 A61M25/0631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having means for fully covering the needle after its withdrawal, e.g. needle being withdrawn inside the handle or a cover being advanced over the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수액이나 수혈, 체외혈액순환 등의 처리시에 사용되는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의 피복수단에 대해 특징을 갖는 것으로서, 천자용 침관 (206), 침관의 기단부를 지지하는 허브 (208), 및 허브가 슬라이드에 의해 변위가 가능하며, 또한 허브의 전체가 그 내강에 수용가능한 중공의 침수납부재로 이루어지고, (1) 사용후, 보다 안전하며 용이하게 주사침을 수용할 수 있을 것, (2) 구조가 간단하여 취급이 용이하고, 제조가 용이하여 비용이 염가일 것, (3) 안전하게 폐기처리할 수 있을 것, 의 3 개의 조건을 적어도 만족시키는 오천자 방지수단을 형성한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

Description

침피복수단을 갖는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WINGED INJECTION NEEDLE HAVING NEEDLE COVERING MEANS}
(1) 종래, 의료시설에서 주사침, 천자침 등의 오천자(誤穿刺)에 의한 오염ㆍ감염이 문제가 되어, 특히 최근에는 간염이나 에이즈 등이 사회적으로 널리 문제시 되어 왔기 때문에, 오천자 등의 우발적인 사고를 적극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주목되고 있다. 그러나, 의료시설에서는 의료비의 삭감도 뒤따르고 있기 때문에, 오염ㆍ감염의 방지 수단이나 방법은 생각처럼 진전되지 않는다.
과거에도 사용후에 주사침이나 천자침을 수용할 때, 오천자를 잘 야기시키지 않는 커버나 수단이 다양하게 고안되어 왔다. 그 중에는,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뿐만 아니라 단순한 주사침을 안전하게 덮는 커버도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수액이나 수혈, 체외혈액순환 등의 처리시에 많이 사용되는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의 피복수단에 대해 개시한다.
(2) 사용후에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을 안전하게 수용하는 수단에 대해 개시된 공지 기술은 다수 있지만, 구성이 간이한 것을 중심으로 예시한다.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은, 주사침과, 그것을 고착한 침기(針基)와, 침기에 접속된 도관(導管)으로 이루어져 있고, 오천자 방지수단의 대부부은 사용후에 오천자를 방지하기 위해, 주사침과 침기가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 공지된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을 크게 분류하면, 날개가 주사침 또는 침기에 장착된 것과, 날개가 커버에 장착된 것의 2 개로 나눠진다.
(a) 전자로서는, 일본 특허공보 평6-786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206195호, 일본 특허공보 평4-3602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261665호, 일본 실용신안공보 평5-22182호 등이 있다.
(b) 후자로서는, 일본 특허공보 평6-7861호 (양쪽의 형이 개시되어 있음), 특허 제2535342호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개시된 오천자 방지수단은 조작성, 안전성, 간이한 구조, 비용저감, 사용후의 위생적인 폐기 등의 종합적 관점에서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일본 특허공보 평6-7861호에 개시된 날개가 프로텍터에 형성된 날개가 부착된 침은 구조가 단순하고, 다른 오천자 방지기구와 비교하여 이점이 큰 것이다. 그러나, 이 오천자 방지기구에서도 이하에 기재하는 바와 같은 몇가지 결점을 갖기때문에 개선이 시도되어 왔다.
즉, 상기 예에서는 침의 노출위치 또는 수납위치에서 확실하게 위치를 규제하기 때문에, 허브 및 프로텍터의 양쪽에 볼록부와 오목부를 형성해야 하고, 그 위치맞춤, 치수조정에 연구를 필요로 하였다. 또, 천자침의 사용시 및 수납시에 용이하며 확실하게 걸기 위해서는, 허브 외면 또는 프로텍터 내강 전체에 걸어맞춤수단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렇게 하면 구조가 복잡해져 제조비용도 상승하였다. 또한 천자시 및 수납시에 침허브가 프로텍터내에서 용이하게 이동하지 않도록 강하게 끼워맞춤구조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프로텍터를 슬라이드이동할 때에 원할하게 이동하기 어렵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 일본 특허공보 평6-7861호 등에 개시된 종래의 대부분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은, 사용후에 주사침을 폐기할 때에 침이나 튜브에 남아 있는 약액이나 혈액이 누출되어 취급자의 손이 오염될 우려가 있었다. 즉, 안전하게 폐기처리를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1) 사용후, 보다 안전하며 용이하게 주사침을 수용할 수 있을 것,
(2) 구조가 간단하여 취급이 용이하고, 제조가 용이하여 비용이 염가일 것,
(3) 안전하게 폐기처리할 수 있을 것
의 3 개의 조건을 적어도 만족시키는 오천자 방지수단을 형성한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천자(穿刺)용 침관과, 이 침관의 기단부를 지지하는 구체(球體) 허브와, 상기 허브가 슬라이드에 의해 그 내강(內腔)에 변위가 가능하고, 또한 이 변위에 의해 상기 천자용 침관과 허브의 전체가 그 내강에 수납이 가능한 중공의 침수납부재, 이 중공의 침수납부재의 좌우 외면에 돌출하여 형성된 한쌍의 가요성의 날개, 및 상기 허브에 결합된 도관을 적어도 구비한 침피복수단을 갖는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제 1 타입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의 1 실시양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1a 는 침수납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1b 는 침 및 허브를 별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도 1a 와 도 1b 를 실제로 사용하는 양태로 결합시킨 것의 사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도 2 의 사용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상기 각 도면의 침 및 허브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제 1 타입의 침수납부재의 다른 실시양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 은 제 1 타입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의 다른 실시양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 은 도 6 의 침축방향으로 수직인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 은 제 2 타입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의 침관과 허브를 침수납부재에 수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도 8 의 침관과 허브를 침수납부재에 수납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 은 허브 형상의 축에 수직인 면의 단면도이다.
도 11 은 각 날개를 상방향으로 접고, 각 날개에 형성한 슬릿에 의해 침수납부재를 감싸서 각 날개 (201, 201) 를 멈추게 하는 조작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2 는 실시양태 3 에 나타내는 액흘림 방지기구로서 침수납부재의 후단부에 슬릿을 갖는 날개가 부착된 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은 도 12 의 침수납부재의 이 표면에 도관을 잡아당길 때에 사용하는 손가락걸기부 (217) 를 형성하고, 침수납부재의 후단부에 액고정슬릿 (216) 에 튜브를 끼워 붙혀 액흘림을 방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는 상기 슬릿과는 별개 타입의 액흘림방지부재를 형성한 본 발명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이다. 또한, 도 14 에서는 날개 이외는 본 발명의 다른 구성요건은 생략한다.
도 15 는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의 허브와 튜브의 조립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5a 는 상기 (1) 의 경우의 것이며, 도 15b 는 상기 (2) 의 경우의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도 8 과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양태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은 천자용 침관 (206), 이 침관의 기단부를 지지하는 허브 (208), 상기 허브 (208) 가슬라이드함으로써 상기 천자용 침관 (206) 과 허브 (208) 전체가 그 내강 (209) 에 수납이 가능한 중공의 침수납부재 (2), 이 중공의 침수납부재의 좌우 외면에 돌출하여 형성된 한쌍의 가요성의 날개 (201) 및 상기 허브 (208) 에 가요성 튜브 (205) 를 구비한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으로서, 중공의 침수납부재의 내강 (209) 에는 상기 허브 (8) 의 상부 전체에 상보적으로 대응 (실질적으로 합치) 하는 형상으로 외경 방향으로 팽창돌출한 팽창돌출부 (202, 204) 가 축소직경부 (203) 를 통하여 형성된 것이다 (제 2 타입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
상기 가요성 튜브 (205) 및/또는 중공의 침수납부재 (2) 에는 가요성 튜브 (205) 로부터의 액흘림을 방지하는 부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액흘림을 방지하는 부재로서는, 특히 도 14a ∼ 도 14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흘림을 방지하는 부재가 바람직하다.
상기 침수납부재 (2) 또는 이 침수납부재 (2) 와 일체화하여 형성되는 가요성의 날개 (201) 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류,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수납부재의 재료는 허브를 팽창돌출부에 수납한 경우에, 허브를 수납부재 내강중에서 알맞은 강도로 파지할 수 있고, 게다가 허브를 수납부재내에서 (축소직경부를 통과하여) 이동하는 경우에, 알맞은 슬라이드성을 갖도록 가요성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허브 (208) 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상기 가요성의 수납부재에 의해 알맞은 강도로 파지되며 또한 이동할 수 있도록 비교적 경질의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나 경질염화비닐수지 등이 허브의 소재로 들 수 있는데, 본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이들 재료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상기 제 1 타입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과 동일하게 사용전의 천자용 침관은 보호커버로 보호되어 있어도 된다.
도 10 (허브축에 수직인 면에 의한 단면도)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양태의 침의 허브축은 상측면 (213) 이 축방향으로 활형상, 양측면이 직선 형상, 하측면은 축방향으로 평탄형상 또는 (낮은) 활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측의 활형상은 축방향을 향해 최대 직경에 형성된 중간부와 그보다 순차적으로 축소직경으로 형성된 양측부를 구비한 축방향으로 활형상의 곡면형상을 형성한 것으로, 허브 (208) 가 상기 중공의 침수납부재의 내강 (209) 에서의 걸기에 바람직하고, 또 양측면의 직선형상의 절단은 허브를 프로텍터내에서 회전하기 어렵게 하여 주사침을 일정한 방향으로 규제하는 데에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공의 침수납부재의 외표면 하측은 피부에 접촉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평탄 또는 곡률이 작은 편이 바람직하므로, 허브 (208) 의 하측면도 평탄 또는 곡률이 작은 활형상이 바람직하다. 또, 하측면이 평탄 또는 곡률이 작은 활형상의 허브 (208) 는 중공의 침수납부재의 내강의 축소직경부 (203) 에서의 이동성 (슬라이딩성) 이 우수하다.
또, 상기 허브 (208) 의 낮은 부분이 활형상인 경우, 이 허브가 침수납부재의 내강내에서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활형상부에 흔들림방지부재, 예컨대 도 10 에 나타내는 흔들림방지 레일 (222) 을 허브축 방향에 형성해도 된다.
상기 중공의 침수납부재의 축소직경부 (203) 를 통하여 상기 침수납부재의선단부와 후단부에 팽창돌출부 (202, 204) 를 형성함으로써, 허브축의 걸기가 확실해지고, 침수납시에는 침부의 재돌출의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고, 침노출시에는 천자중의 바람직하지 않은 침후퇴를 방지할 수 있다.
단, 상기 팽창돌출부의 수는 2 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2 개 이상의 복수개를 형성해도 된다. 또, 팽창돌출부의 형상은 이 팽창돌출부와 팽창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축소직경부와 함께 허브축의 걸기와 이동의 양면에서 기능할 수 있는 형상이면 특별히 그 형상은 제한되지 않고, 허브축의 걸기기능을 고려하면 상기 허브축의 상면의 형상에 상호보완적으로 합치 (대응) 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이 허브축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그 전체를 수납할 수 있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한쌍의 가요성의 각 날개 (201, 201) 는 침수납부재 (C) 를 환자 피부위에 고정ㆍ지지하기 쉽도록 충분한 가요성과 길이를 갖고 있다. 단, 상기 각 날개의 가요성과 길이는 통상 사용되고 있는 날개의 가요성과 길이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각 날개의 침수납부재의 근방 부분 (210) 은 그 두께가 다른 날개 부분의 두께와 비교하여 얇은 두께로, 이로 인해 날개를 파지하여 구부리기 쉬워진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제 1 은, 천자용 침관 (A) 과, 이 침관의 기단부를 지지하는 구체허브 (B) 와, 상기 허브 (B) 가 슬라이드에 의해 그 내강에 변위가 가능하며, 또한 이 변위에 의해 상기 천자용 침관과 허브 전체가 그 내강에 수납이 가능한 중공의 침수납부재 (C), 이 중공의 침수납부재 (C) 의 좌우 외면에 돌출하여 형성된 한쌍의 가요성의 날개 (D) 및 상기 허브 (B) 에 접합한 도관 (E) 을 적어도 구비한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으로서, 상기 허브 (B) 는 그 침축방향의 단면에서 최대확대직경(最擴徑)으로 형성된 중간부와 그보다 축소직경(縮徑)으로 형성된 양측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침수납부재 (C) 의 외면에 가요성의 날개가 형성되고, 침수납부재의 적어도 내강이 가요성을 지니고 있고, 또한 침수납부재 (C) 의 내강에서, 확대직경부와 축소직경부가 교대로 형성된 확대축소단위가 적어도 2 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에 있다 (이하, 이 타입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을 제 1 타입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이라고도 함).
본 발명의 제 2 는 상기 허브 (B) 의 침축방향의 단면이 거의 타원형상인 상기 제 1 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3 은, 상기 침수납부재 (C) 에는 축소직경부가 3 개소, 확대직경부가 2 개소 형성된 상기 제 1 ∼ 2 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4 는, 상기 3 개의 축소직경부 중, 중간 축소직경부의 내경이 상기 허브의 타원형상 단면의 짧은 직경 최장(最長)부보다 작은 상기 제 3 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5 는, 상기 3 개의 축소직경부 중, 중간 축소직경부의 내경이 선단측 축소직경부 및 기단측 축소직경부의 각 내경보다 큰 상기 제 3 ∼ 4 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6 은, 기단측 축소직경부의 내경이 중간 축소직경부보다 작고, 선단측 축소직경부보다 큰 것인 상기 제 3 ∼ 5 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7 은, 상기 2 개의 확대직경부 중, 선단측 확대직경부의 최대 내경이 기단측 확대직경부의 최대 내경보다 작은 상기 제 1 ∼ 6 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8 은, 상기 선단측 확대직경부의 외면에 날개가 형성된 상기 제 1 ∼ 6 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9 는, 상기 중간 축소직경부에 복귀정지수단이 형성된 상기 제 3 ∼ 8 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10 은, 천자용 침관 (a) 과, 이 침관의 기단부를 지지하는 허브 (b) 와, 상기 허브 (b) 가 슬라이드에 의해 그 내강에 변위가 가능하며, 또한 이 변위에 의해 상기 천자용 침관과 허브의 전체가 그 내강에 수납이 가능한 중공의 침수납부재 (c), 이 중공의 침수납부재 (b) 의 좌우 외면에 돌출하여 형성된 한쌍의 가요성의 날개 (d) 및 상기 허브 (b) 에 접합된 도관 (e) 을 적어도 구비한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으로서, 중공의 침수납부재 (c) 에는 상기 허브 (b) 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납할 수 있는 외경방향으로 팽창돌출한 적어도 2 개 이상의 팽창돌출부 (f) 가 축소직경부를 통하여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에 있다 (이하, 이 타입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을 제 2 타입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이라고도 함)
본 발명의 제 11 은 중공의 침수납부재 (c) 의 내강의 축소직경부의 형상과 허브 (b) 의 형상이, 상기 허브 (b) 가 슬라이드에 의해 중공의 침수납부재 (c) 의 내강에 변위가 가능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 10 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12 는 중공의 침수납부재 (c) 가 가요성 재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 10 또는 11 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13 은 허브 (b) 가, 그 상부는 축방향을 향해 최대 직경으로 형성된 중간부 (가) 와 그보다 순차적으로 축소직경으로 형성된 양측부 (나) 를 구비한 축방향으로 활형상의 곡면형상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 10 ∼ 12 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14 는 허브 (b) 의 중간부가 상기 팽창돌출부에 수납되었을 때에, 이 허브의 중간부가 상기 축소직경부에 수납되었을 때보다, 그 위치를 이동시키는 데에 보다 큰 힘이 필요로 하는 구조인 상기 제 10 ∼ 13 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15 는 허브 (b) 의 양측면은, 직선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 10 ∼ 14 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16 은 2 개의 팽창돌출부 (f) 가 중공의 침수납부재 (c) 의 선단부 근방과 말단부 근방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 10 ∼ 15 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17 은 팽창돌출부 (f) 가 상기 허브 (b) 의 상부 전체를 실질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 10 ∼ 16 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18 은 한쌍의 가요성의 날개와 침수납부재가, 가요성 수지로 일체적으로 성형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 1 ∼ 17 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19 는 한쌍의 가요성의 날개는, 상방향으로 접을 수 있어 침수납부재를 덮는 데에 충분한 가요성과 길이를 갖고, 또한 침수납부재를 덮은 후에 서로 멈춤이 가능한 멈춤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 1 ∼ 18 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0 은 침수납부재의 후단부에 액흘림 방지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 1 ∼ 19 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1 은 액흘림 방지기구가 침수납부재의 후단부에 형성된 슬릿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 20 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2 는 액흘림 방지기구가 침수납부재의 후단부에 별도로 형성된 도관을 끼워 붙이기가 가능한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 20 또는 21 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3 은 도관을 끼워 붙이기가 가능한 부재가, 침수납부재로부터돌기된 돌기물에 도관을 끼워 붙이기가 가능한 슬릿을 형성한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 22 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4 는 도관을 끼워 붙이기가 가능한 부재가, 침수납부재의 후단부의 측부에 형성되고, 또한 침수납부재의 전단부를 향해 상기 슬릿이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 23 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5 는 도관에 액흘림 방지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 1 ∼ 24 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6 은 상기 허브 (b) 의 양측부에 이 허브 (b) 의 침수납부재의 내강내에서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 11 ∼ 25 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7 은 손가락걸기부를 침수납부재의 외면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 1 ∼ 26 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에 있다.
제 1 타입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
상기 제 1 타입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에 관한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하면, 상기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은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금속제의 천자침의 기단부 (천자부와 반대측의 부분) 가, 구체 허브에 지지ㆍ고착되고, 또한 허브의 기단부 (침을 장착한 선단부의 반대측) 는 연결부를 통하여 가요성 튜브와 연결되어 있다. 구체 허브라고 정의하는 것은, 침축방향의 단면에서 최대 확대직경으로 형성된 허브중간부와 그보다 축소직경으로 형성된 허브 양측부분을 갖고, 최대 확대직경의 허브중간부와 축소직경한 허브 양측부가 매끄러운 곡선으로 연속되어 있으면 된다. 허브 전체가 구체로 되어 있어도 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허브단부의 어느 하나가 방형 (각형) 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 허브는 그 외표면을 중공의 침수납부재 내강에 맞춰 슬라이드함으로써, 그 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침수납부재는 침을 노출ㆍ수납하는 측의 선단측과 도관을 삽입통과하는 측의 기단측을 갖고,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해 (선단측) 축소직경부, (선단측) 확대직경부, (중간) 축소직경부, (기단측) 확대직경부, (기단측) 축소직경부와 같은 상태로, 확대직경부와 축소직경부가 교대로 형성된 확대축소단위가 적어도 2 개 이상 형성된다. 예컨대, 축소직경부가 3 개소, 확대직경부가 2 개소 형성된 것을 들 수 있다.
침수납부재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도 1 과 같은 표주박형의 침수납부재 (2) 를 들 수 있다. 단, 도 1 에 나타내는 침수납부재 (2) 는 전체가 표주박형으로 되어 있지만, 반드시 전체가 표주박형일 필요는 없고, 내강만 축소직경부 →확대직경부 →축소직경부 →확대직경부 →축소직경부와 같이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확대축소단위란, 확대직경부와 축소직경부가 연속된 유닛이라는 의미로 어느 쪽이 앞이든 뒤든 상관없다. 또, 침수납부재는 적어도 그 내강이 가요성이고, 상기 구체 허브에 가압되었을 때에 외측으로 확대되도록 휘어질 수 있다. 또한, 가압이 해제되면, 허브내강은 원래의 모양으로 복원된다. 또, 침수납부재의 외면에는 플렉시블한 2 장의 날개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타입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
본 발명의 제 2 타입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은, 천자용 침관 (a) 과, 이 침관의 기단부를 지지하는 허브 (b) 와, 상기 허브가 슬라이드에 의해 그 내강에 변위이동이 가능하며, 또한 이 변위에 의해 상기 천자용 침관과 허브의 전체가 그 내강에 수납이 가능한 중공의 침수납부재 (c), 이 중공의 침수납부재 (c) 의 좌우 외면에 돌출하여 형성된 한쌍의 가요성의 날개 (d) 및 상기 허브 (b) 에 도관 (e) 을 적어도 구비한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으로서, 중공의 침수납부재 (c) 의 내강에는 상기 허브 (b) 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납할 수 있는 외경방향으로 팽창돌출한 적어도 2 개 이상의 팽창돌출부 (F) 가 축소직경부를 통하여 침노출길이를 두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에 관한 것이다.
상기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의 침수납부재 (c) 의 내강의 축소직경부의 형상과 허브 (b) 의 형상은, 상기 허브 (b) 가 슬라이드에 의해 중공의 침수납부재 (c) 의 내강에 변위가능한 형상이고, 또 상기 중공의 침수납부재 (c) 는 가요성 재료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허브 (b) 는 그 상부는 축방향을 향해 최대 직경으로 형성된 중간부와 그보다 순차적으로 축소직경으로 형성된 양측부를 구비한 축방향으로 활형상의 곡면형상을 형성한 것, 또 그 양측면은 직선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본 발명에서 채용하는 허브형상은 슬라이드에 의해 중공의 침수납부재 (c) 의 내강에 변위이동이 가능하며, 또한 중공의 침수납부재 (c) 의 내강에는 상기 허브 (b) 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납한 상태로 지지ㆍ고정할 수 있는 것이면 상기와 같은 허브형상의 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중공의 침수납부재 (c) 는 2 개의 팽창돌출부가 그 선단부 근방과 말단부 근방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지만, 팽창돌출부 (f) 의 형성위치는 반드시 그 선단부 근방과 말단부 근방에 한정되지 않고, 팽창돌출부 (f) 끼리가 축소직경부를 통하여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상기 팽창돌출부 (f) 의 형상은 상기 허브 (b) 의 상부 전체를 실질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형상인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을 보다 충분히 달성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만, 상기 허브 (b) 의 일부를 수납할 수 있는 형상이라도 지장없다.
또, 상기 축소직경부란, 팽창돌출부보다 직경이 작으며, 또한 도관을 통하여 상기 허브 (b) 에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허브 (b) 를 중공의 침수납부재 (c) 내를 슬라이드시킬 수 있는 크기의 직경의 것을 가리키는데, 허브 (b) 의 슬라이드의 용이성을 고려하면 일정한 직경의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쌍의 가요성의 날개 (d) 와 침수납부재 (c) 는 가요성 수지로 일체적으로 성형하여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고, 또 상기 한쌍의 가요성의 날개 (d) 는 상방향으로 접을 수 있어 침수납부재를 덮는 데에 충분한 가요성과 길이를 갖고, 또한 침수납부재를 덮은 후에 서로 멈춤이 가능한 멈춤부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허브 (b) 의 양측부에 이 허브 (b) 의 침수납부재 내강내에서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부재를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은 부재로서는, 예컨대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허브 (b) 의 양측부 하부에 침수납부재 (c) 의 축방향으로 흔들림대책 레일 (222) 을 형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타입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의 허브와 튜브의 조립법에는 예컨대, 하기에 나타내는 3 가지 방법이 있고, 그로 인해 상기 허브의 형상에는 약간의 구성의 차이가 발생한다.
① 허브 내강으로의 튜브의 삽입, ② 허브 단부 외면에 튜브의 장착, ③ 튜브에 침을 끼워넣어 녹여 붙이고, 또한 이 튜브에 재갈형상의 허브를 끼워넣는다.
상기 조립법 ① 의 경우에는, 허브를 크게 할 필요가 없는 등의 이점이 있고, 또 조립법 ② 의 경우에는 접착제로 인한 유로의 막힘이 없거나, 또는 튜브의 두께에 의한 침천자 각도로의 영향이 적은 등의 이점이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타입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 모두, 하기와 같은 액흘림 방지기구, 손가락걸기부 등을 형성해도 된다.
액흘림 방지기구로서는, 침수납부재의 후단부에 형성된 슬릿을 들 수 있다. 또한, 액흘림 방지기구로서는, 상기 슬릿 대신에 또는 상기 슬릿과 함께 가요성 튜브에 액흘림 방지기구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액흘림 방지기구로서는, 침수납부재의 후단부에 별도로 형성된 도관을 끼워 붙이기가 가능한 부재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부재로서, 도관을 끼워 붙이기가 가능한 개구부를 갖는 부재를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액흘림 방지기구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도 14 의 (a) ∼ (c) 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도관을 끼워 붙이기가 가능한 부재가 침수납부재의 후단부의 측부에 형성되며, 또한 도관을 끼워 붙이는 개구부가 침수납부재의 전단부를 향해 개구된 것이, 도관을 액흘림 방지기구에 걸기 쉽고, 높은 액흘림방지를 나타내므로 바람직하다.
손가락걸기부는 침이나 침허브부를 도관을 잡아당김으로써 침수납부재에 수납할 때에, 상기 잡아당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형성하는 것으로서, 침수납부재의 외면에 돌기형상물로 형성된다
예컨대, 도 14 에 나타내는 도면부호 219, 220 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타입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 모두, 침수납부재를 투명한 것으로 함으로써, 침 및 침허브부를 침수납부재에 수납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 효과는 침 및/또는 침허브부를 착색시킴으로써 한층 더 확인할 수 있다.
이하, 타입 1 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의 실시양태를 설명한다.
도 1,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 (1) 은 침수납부재 (2) 와, 그 선단부에 주사침 (3) 과 그 기단부에 도관 (4) 을 연결한 구체 허브 (5) 를 갖는다. 허브 (5) 는 럭비공형상으로,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침축방향의 단면은 타원형상이다. 그로 인해, 날개가 부착된 침수납부재 (2) 내에서 허브 (5) 의 이동을 원할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럭비공형상의 허브는 하나의 예이며, 이 외에도 적용이 가능한 실시양태를 들 수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허브 (5) 는 침축방향의 타원형상 단면의 짧은 직경에서 최대 확대직경 (Rmax) 이 되는 중간부의 허브 최대 확대직경부 (51) 와 그보다 축소직경으로 형성된 허브 양측부 (52, 53) 를 갖는 것이다. 이 양측부란, 최대 확대직경부 (51) 의 양측에 위치하는 굴곡면적으로 축소직경된 개소의 것으로, 반드시 허브 단부가 아니어도 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침수납부재 (2) 의 일례에서 2 개의 확대직경부 (21, 22) 와 3 개의 축소직경부 (23, 24, 25) 를 갖는 표주박형의 중공부재의 것을 들 수 있다. 본 예에서는 전체가 표주박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내강만이 이와 같은 형상을 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2 개의 확대직경부 중 어느 하나에 허브를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고, 또한 각 확대직경부간을 구체 허브가 원할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 침수납부재 (2) 는 환자에게 천자할 때에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그 외면에 날개 (26) 가 형성되고, 도관 (4) 을 삽입통과하기 위해, 수납부재 (2) 의 기단측에 도관 삽입통과구 (27)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침관 (3) 을 수납부재 (2) 로부터 노출시키거나, 수납시키는 선단측에는, (사용전에 침을 피복보호함) 침커버 (28) 를 장착할 수 있도록 침커버 장착부 (29) 가 형성되어 있다. 침커버 장착부는 허브 (5) 선단에 형성해도 된다.
본 실시양태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침이 부착된 허브 (5) 가 수납부재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지 않도록 구체 허브의 형상이나 치수, 확대직경부나 축소직경부의 형상이나 치수를 연구한 것을 들 수 있다. 예컨대, 도 1 과 같은 표주박형의 수납부재 (2) 의 경우, 허브 (5) 가 중간 축소직경부 (24) 를 통과하여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중간 축소직경부 (24) 의 내경이 허브의 최대 확대직경부 (21) 보다 지나치게 작으면, 허브 (5) 가 중간 축소직경부 (24) 를 통과하기 어렵거나, 수납부재내에서의 허브의 이동이 곤란해진다. 그러나, 중간 축소직경부 (24) 의 내경이 허브의 최대 확대직경부 (21) 보다 크면, 허브 (5) 가 수납부재내를 자유롭게이동하여, 어느 한 확대직경부 (21, 22) 에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천자시나 수납시에 침을 지지할 수 없어 사용하기 어려워진다.
한편, 허브의 구체 부분이 선단측 축소직경부 (23) 를 통과해서는 안되기 때문에, 선단측 축소직경부 (23) 는 침관 (3) 이 통과할 수 있을 만큼의 내경이 있으면 된다. 따라서, 선단측 축소직경부 (23) 의 내경은 중간 축소직경부 (24) 의 그보다 작은 편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5). 기단측 축소직경부 (25) 는 제조시 또는 사용후에 기단측 축소직경부 (25) 를 통과하여 허브 (5) 의 구체 부분을 삽입하거나, 빼내는 경우도 고려되기 때문에, 선단측 축소직경부 (23) 의 내경보다 큰 편이 바람직하다. 단, 제조시는 제외하고, 기단측 축소직경부 (25) 를 통과하여 허브 (5) 를 이동시키는 케이스 (폐기시에 침수납부재 (2) 로부터 침 및 허브를 빼내어 분리하는 경우 등) 는 그다지 많지 않기 때문에, 기단측 축소직경부 (25) 는 중간 축소직경부 (24) 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작은 편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중간 축소직경부 (24) 의 내경은 선단측 축소직경부 (23) 및 기단측 축소직경부 (25) 의 내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단측 축소직경부 (25) 의 내경이 중간 축소직경부 (24) 의 그보다 작고, 또 기단측 축소직경부 (25) 의 내경이 선단측 축소직경부 (23) 의 그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허브 (5) 를 수납부재 (2) 에 확실하게 지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상기 2 개의 확대직경부 (21, 22) 중, 선단측 확대직경부 (21) 의 최대 내경이 기단측 확대직경부 (22) 의 최대 내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8). 그 이유는 침천자시에는 침관 (3) 이 흔들거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침인입시에 허브가 배치되는 기단측 확대직경부 (22) 보다, 천자시에 허브 (5) 가 배치되는 선단측 확대직경부 (21) 의 최대 내경이 작은 편이 보다 확실하게 지지되기 때문이다.
같은 이유로 허브 (5) 를 선단측 확대직경부 (21) 에 배치했을 때에, 선단측 확대직경부 (21) 와 허브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선단측 확대직경부 (21) 와 구체 허브 (5) 의 형상이 유사한 것이 바람직하다. 전체적인 형상을 유사하게 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양자가 맞닿는 부분이나 그 근방을 유사하게 하는 등, 부분적으로 형상을 유사하게 해도 된다. 또, 맞닿는 부분의 치수를 실질적으로 동일해지도록 설계함으로써, 허브를 확대직경부에 지지할 수도 있다. 예컨대, 선단측 확대직경부 (21) 의 최대 내경을, 허브의 최대 확대직경부 (Rmax) 와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함으로써, 허브 (5) 가 확대직경부 (21) 에 밀접하여 수납부재내에 확실하게 지지된다.
날개를 형성하는 침수납부재의 부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천자부와 파지하는 부위 (날개) 가 가까운 쪽이 시술하기 쉽기 때문에, 선단측 확대직경부 (21) 의 외면에 날개 (26) 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단, 수납부재내에 수납된 침을 잘못하여 재사용하지 않도록 복귀정지수단을 형성해도 된다. 예컨대,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역지밸브 (6) 를 중간 축소직경부 (24) 또는 그 근방에 형성하면, 기단측 확대직경부 (22) 에 수용된 허브 (5) 는 선단측 확대직경부 (21) 로 복귀할 수 없게 된다.
수납부재내에 수납된 침관으로부터 혈액 등이 떨어지지 않도록, 선단측 축소직경부 (23) 에 폐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컨대, 가압에 의해 선단측 축소직경부 (23) 의 내면끼리를 걸어맞춤 (걸기) 하여 폐색할 수 있는 구조로 해도 되고, 침커버 장착부 (29) 를 절곡하여 걸 수 있는 구조로 해도 된다.
침수납부재 내강에서의 허브 (5) 의 자유로운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허브의 침축에 수직인 단면을 타원형상 또는 편평 원형상이 되도록 형성하고, 침수납부재 내강의 침축에 수직인 단면을 마찬가지로, 타원형상 또는 편평 원형상이 되도록 형성해도 된다. 도 7 에 그 개략을 나타낸다. 도 7 에서는 허브 및 침수납부재가 세로길이의 타원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이들을 90 도로 회전하여 가로길이의 타원으로 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침의 날면을 날개의 형성위치에 맞춰 방향규제할 수 있어, 허브를 수납부재 (2) 내에서 이동시킨 경우라도 날면이 날개의 위치에 대해 어긋나는 경우가 없다.
다음에 본 발명의 상기 제 1 타입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의 하나의 실시예에 대해 그 사용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미사용의 상태에서는, 본 예의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에는 침커버 (28) 가 장착되어 있다 (도 2). 환자에게 주사침을 천자하기 직전에 침커버를 떼내고, 손가락으로 날개 (26) 를 잡아 침관 (3) 을 환부에 천자한다. 이 때, 주사침이 빠지지 않도록, 날개를 점착테이프로 환부에 고정해도 된다. 용도 종료후, 시술자는 날개 (5) 또는 침수납부재 (2) 를 움직이지 않도록 한쪽 손으로 누르면서, 나머지 손으로 도관 (4) 을 후방 (천자부위와는 반대측) 으로 잡아당긴다. 그러면, 침수납부재 (2) 의 내강에서 침 및허브만이 이동하고, 허브 (5) 가 선단측 확대직경부 (21) 로부터 기단측 확대직경부 (22) 로 수용된다 (도 3). 그에 따라, 침관 (3) 은 천자부로부터 빠진다. 이 때, 시술자의 손으로 수납부재와 함께 천자부도 누르고 있기 때문에 출혈은 적다.
천자부로부터의 침의 빼냄을 상기 이외의 방법으로 실시해도 된다. 예컨대, 날개를 잡아 침수납부재 (2) 와, 침 및 허브를 함께 빼낸 후, 침을 수납부재 내강에 수납해도 된다. 상기 방법으로, 침수납부재내로 노출시키지 않고 수납된 침 및 허브는, 또한 침수납부재 (2) 를 파지한 상태에서 도관 (4) 을 잡아당겨 침수납부재로부터 침 (허브) 을 빼냄으로써 양자를 각각 폐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1) 주사침을 사용후, 보다 안전하며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을 것,
(2) 구조가 간단하여 취급이 용이하고, 제조가 용이하여 비용이 염가일 것,
(3) 안전하게 폐기처리할 수 있을 것
의 3 개의 조건을 적어도 만족시키는 오천자 방지수단을 형성한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이 제공된다.

Claims (28)

  1. 천자용 침관 (A) 과, 이 침관의 기단부를 지지하는 구체 허브 (B) 와, 상기 허브 (B) 가 슬라이드에 의해 그 내강에 변위가 가능하며, 또한 이 변위에 의해 상기 천자용 침관과 허브 전체가 그 내강에 수납이 가능한 중공의 침수납부재 (C), 이 중공의 침수납부재 (C) 의 좌우 외면에 돌출하여 형성된 한쌍의 가요성의 날개 (D) 및 상기 허브 (B) 에 도관 (E) 을 적어도 구비한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으로서, 상기 허브 (B) 는 그 침축방향의 단면에서, 최대 확대직경으로 형성된 중간부와 그보다 축소직경으로 형성된 양측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침수납부재 (C) 의 외면에 가요성의 날개가 형성되고, 침수납부재의 적어도 내강이 가요성을 지니고 있고, 또한 침수납부재 (C) 의 내강에서, 확대직경부와 축소직경부가 교대로 형성된 확대축소단위가 적어도 2 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B) 의 침축방향의 단면이 거의 타원형상인,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납부재 (C) 에는 축소직경부가 3 개소, 확대직경부가 2 개소 형성된,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
  4. 제 3 항에 있어서, 중간 축소직경부의 내경이 상기 허브의 타원형상 단면의짧은 직경 최장부보다 작은,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중간 축소직경부의 내경이 선단측 축소직경부의 내경보다 큰,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중간 축소직경부의 내경이 선단측 축소직경부 및 기단측 축소직경부의 각 내경보다 큰,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
  7. 제 3, 4,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기단측 축소직경부의 내경이 중간 축소직경부보다 작고, 선단측 축소직경부보다 큰 것인,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
  8. 제 1, 2, 3, 4, 5,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확대직경부 중, 선단측 확대직경부의 최대 내경이 기단측 확대직경부의 최대 내경보다 작은,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
  9. 제 1, 2, 3, 4, 5, 6,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측 확대직경부의 외면에 날개가 형성된,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
  10. 제 3, 4, 5, 6, 7,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축소직경부에 복귀정지수단이 형성된,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
  11. 천자용 침관 (a) 과, 이 침관의 기단부를 지지하는 구체 허브 (b) 와, 상기 허브 (b) 가 슬라이드에 의해 그 내강에 변위가 가능하며, 또한 이 변위에 의해 상기 천자용 침관과 허브 전체가 그 내강에 수납이 가능한 중공의 침수납부재 (c), 이 중공의 침수납부재 (b) 의 좌우 외면에 돌출하여 형성된 한쌍의 가요성의 날개 (d) 및 상기 허브 (b) 에 접합된 도관 (e) 을 적어도 구비한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으로서, 중공의 침수납부재 (c) 에는 상기 허브 (b) 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납할 수 있는 외경방향으로 팽창돌출한 적어도 2 개 이상의 팽창돌출부 (f) 가 축소직경부를 통하여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
  12. 제 11 항에 있어서, 중공의 침수납부재 (c) 의 내강의 축소직경부의 형상과 허브 (b) 의 형상이, 상기 허브 (b) 가 슬라이드에 의해 중공의 침수납부재 (c) 의 내강에 변위가 가능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중공의 침수납부재 (c) 가 가요성 재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
  14. 제 11,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허브 (b) 가 그 상부는 축방향을 향해 최대 직경으로 형성된 중간부 (가) 와 그보다 순차적으로 축소직경으로 형성된 양측부 (나) 를 구비한 축방향으로 활형상의 곡면형상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
  15. 제 11, 12,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허브 (b) 의 중간부가 상기 팽창돌출부에 수납되었을 때에, 이 허브의 중간부가 상기 축소직경부에 수납되었을 때보다, 그 위치를 이동시키는 데에 보다 큰 힘이 필요로 하는 구조인,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
  16. 제 11, 12, 13,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허브 (b) 의 양측면이 직선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
  17. 제 11, 12, 13, 14,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2 개의 팽창돌출부 (f) 가 중공의 침수납부재 (c) 의 선단부 근방과 말단부 근방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
  18. 제 11, 12, 13, 14, 15,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팽창돌출부 (f) 가 상기 허브 (b) 의 상부 전체를 실질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
  19. 제 1 항 ∼ 제 18 항에 있어서, 한쌍의 가요성의 날개와 침수납부재가, 가요성 수지로 일체적으로 성형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
  20. 제 1 항 ∼ 제 19 항에 있어서, 한쌍의 가요성의 날개는, 상방향으로 접을 수 있어 침수납부재를 덮는 데에 충분한 가요성과 길이를 갖고, 또한 침수납부재를 덮은 후에 서로 멈춤이 가능한 멈춤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
  21. 제 1 항 ∼ 제 20 항에 있어서, 침수납부재의 후단부에 액흘림 방지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
  22. 제 21 항에 있어서, 액흘림 방지기구가 침수납부재의 후단부에 형성된 슬릿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
  23.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액흘림 방지기구가 침수납부재의 후단부에 별도로 형성된 도관을 끼워 붙이기가 가능한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
  24. 제 23 항에 있어서, 도관을 끼워 붙이기가 가능한 부재가, 도관을 끼워 붙이기가 가능한 개구부를 갖는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
  25. 제 24 항에 있어서, 도관을 끼워 붙이기가 가능한 부재가, 침수납부재의 후단부의 측부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개구부가 침수납부재의 전단부를 향해 상기 슬릿이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
  26. 제 1 항 ∼ 제 25 항에 있어서, 도관에 액흘림 방지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
  27. 제 11 항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b) 의 양측부에 이 허브 (b) 의 침수납부재 내강내에서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
  28. 제 1 항 ∼ 제 27 항에 있어서, 손가락걸기부를 침수납부재의 외면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
KR1020027002914A 1999-09-27 2000-09-27 침피복수단을 갖는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 KR1007147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284599 1999-09-27
JPJP-P-1999-00272845 1999-09-27
JP2000077314 2000-03-17
JPJP-P-2000-00077314 2000-03-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6615A true KR20020026615A (ko) 2002-04-11
KR100714744B1 KR100714744B1 (ko) 2007-05-07

Family

ID=26550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2914A KR100714744B1 (ko) 1999-09-27 2000-09-27 침피복수단을 갖는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048718B1 (ko)
EP (1) EP1226840B1 (ko)
JP (1) JP4411817B2 (ko)
KR (1) KR100714744B1 (ko)
CN (1) CN1173749C (ko)
AU (1) AU778019B2 (ko)
CA (1) CA2384546C (ko)
DE (1) DE60032925T2 (ko)
WO (1) WO20010230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6991A (ja) 2001-10-10 2003-04-22 Jms Co Ltd 誤穿刺防止用の翼付きシールドを有する医療用針装置
FR2906476B1 (fr) * 2006-09-30 2009-12-18 Biofront Dispositif d'injection a aiguille, pourvu d'un dispositif de condamnation automatique d'aiguille.
US8323251B2 (en) * 2008-01-14 2012-12-04 Fenwal, Inc. Phlebotomy needle assembly and frangible cover
US20090187153A1 (en) * 2008-01-14 2009-07-23 West Richard L Winged needle assembly and frangible cover
WO2009137609A2 (en) * 2008-05-06 2009-11-12 Cellutions, Inc. Apparatus and systems for treating a human tissue condition
CA2990646C (en) 2009-02-06 2021-10-05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Disposable pen needle with re-use prevention features
US20100298825A1 (en) * 2009-05-08 2010-11-25 Cellutions, Inc. Treatment System With A Pulse Forming Network For Achieving Plasma In Tissue
IT1398669B1 (it) 2009-11-03 2013-03-08 Rizzo Set di infusione con ago retrattile
SI2515774T1 (sl) 2009-12-23 2014-06-30 Alcon Research, Ltd. Oftalmološka kanila troakarja z ventilom
US8343106B2 (en) 2009-12-23 2013-01-01 Alcon Research, Ltd. Ophthalmic valved trocar vent
CN102430167B (zh) * 2011-09-27 2013-03-06 王洁民 一种环保型一次性安全输液器
CN104474629A (zh) * 2014-12-05 2015-04-01 无锡快邦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伤口消毒针
US11529080B2 (en) * 2019-04-22 2022-12-20 The Monarch Company Llc Blood collection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5230A (en) * 1968-07-25 1971-07-27 Abbott Lab Intravenous catheter placement unit with tubular guide sheath
US4198973A (en) 1978-03-14 1980-04-22 Johnson & Johnson Intravenous catheter assembly with fluid flow restriction capability
JPS5714840Y2 (ko) * 1979-08-20 1982-03-27
US4627841A (en) 1986-02-18 1986-12-09 Dorr Robert T Infusion needle
JPH01170249A (ja) 1987-12-25 1989-07-05 Toshiba Corp 送受信速度変換方式
JPH067861B2 (ja) 1988-02-18 1994-02-02 テルモ株式会社 翼付医療用針
US5085639A (en) * 1988-03-01 1992-02-04 Ryan Medical, Inc. Safety winged needle medical devices
JP2673682B2 (ja) 1988-03-03 1997-11-05 テルモ株式会社 翼付医療用針
JPH0522182Y2 (ko) * 1988-05-23 1993-06-07
US4888001A (en) * 1988-06-01 1989-12-19 Schoenberg Stephen J Cover for a disposable hypodermic needle
DE68925911T2 (de) 1988-09-30 1996-09-26 David S Utterberg Geschützte Nadeleinheit
US5266072A (en) 1988-09-30 1993-11-30 Utterberg David S Guarded winged needle assembly
GB2237201B (en) * 1989-09-28 1993-10-13 Ricardo Adrian Brizuela Protecting device for guide tubes usable with blood and serum bags
JPH0436026A (ja) 1990-05-22 1992-02-06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H04180772A (ja) * 1990-11-15 1992-06-26 Masataka Saito 医療用針
AU1328292A (en) 1991-01-14 1992-08-17 Precision Dynamics Corporation Cannula guard
JP3084384B2 (ja) 1991-01-17 2000-09-04 統一 石川 翼付針
JPH067442A (ja) 1992-06-23 1994-01-18 Kazumasa Takemori 翼状針
JP2672062B2 (ja) 1993-01-20 1997-11-05 ベクトン・ディッ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 静脈注射若しくは採血アセンブリ
JP3198492B2 (ja) 1993-06-18 2001-08-13 ニプロ株式会社 翼付留置針
AUPM520694A0 (en) * 1994-04-20 1994-05-12 Noble House Group Pty Ltd Protective sheath
DE19738558A1 (de) * 1997-09-03 1999-03-04 Liu Wen Neng Multifunktionales Sicherheits-Infusionsset mit zurückziehbarer Injektionsnad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3749C (zh) 2004-11-03
CN1376076A (zh) 2002-10-23
AU7445000A (en) 2001-04-30
JP4411817B2 (ja) 2010-02-10
WO2001023021A1 (fr) 2001-04-05
CA2384546A1 (en) 2001-04-05
EP1226840A4 (en) 2004-09-01
DE60032925T2 (de) 2007-10-25
AU778019B2 (en) 2004-11-11
EP1226840A1 (en) 2002-07-31
US7048718B1 (en) 2006-05-23
EP1226840B1 (en) 2007-01-10
KR100714744B1 (ko) 2007-05-07
CA2384546C (en) 2007-12-11
DE60032925D1 (de) 200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4744B1 (ko) 침피복수단을 갖는 날개가 부착된 주사침
ES2224915T3 (es) Pinza elástica como protección de la punta de la aguja para un catéter IV de seguridad
US8303543B2 (en) Bloodless catheter and needle shielding catheter insertion apparatus
JP5594520B2 (ja) 留置針装置
EP1974765B1 (en) Indwelling needle assembly and protector
KR100998126B1 (ko) 의료용 바늘 장치
BR112019022075A2 (pt) sistemas e métodos de cateter intravenoso
US20110213307A1 (en) Needle tip protector and indwelling needle assembly
WO2014162377A1 (ja) カテーテル組立体
ES2260708T3 (es) Union de friccion controlada para accesorio luer conico.
US20170151419A1 (en) Needle devices with bistable structure and related methods
WO2001008731A1 (en) A dividable introducer catheter and positive-lock needle guard combination
JPH05503658A (ja) 十分に安全な囲撓手段を備えた使い捨て医療用針組立体とカテーテル設置組立体
JP2002282360A (ja) 針組み立て品
US7144388B2 (en) Selectively passive shieldable medical needle device
JP3835882B2 (ja) 留置針組立体
JPH0775671A (ja) 翼付留置針
KR20060007012A (ko) 날개가 부착된 실드를 갖는 의료용 침 장치
US5968016A (en) Retractable hypodermic needle for disposable tubing guide
JP3576765B2 (ja) 留置針組立体
JP4844259B2 (ja) 針組立体の製造方法
JP3744985B2 (ja) カテーテル導入用穿刺針
SE534071C2 (sv) Införingsanordningsmedel
JP2003033435A (ja) 針組立体
WO2004050149A1 (ja) 翼付留置針用プロテ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