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4767A - 철도차량 - Google Patents

철도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4767A
KR20020024767A KR1020010019827A KR20010019827A KR20020024767A KR 20020024767 A KR20020024767 A KR 20020024767A KR 1020010019827 A KR1020010019827 A KR 1020010019827A KR 20010019827 A KR20010019827 A KR 20010019827A KR 20020024767 A KR20020024767 A KR 20020024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bogie
vehicle
height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9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바타미치오
다카이히데오
이와사키가츠유키
히가키히로시
니시가이토다카오미
고다겐지로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도무
Publication of KR20020024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476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02Arrangements permitting limited transverse relative movements between vehicle underframe or bolster and bogie; Connections between underframes and bogies
    • B61F5/22Guiding of the vehicle underframes with respect to the bogies
    • B61F5/24Means for damping or minimising the canting, skewing, pitching, or plunging movements of the under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02Arrangements permitting limited transverse relative movements between vehicle underframe or bolster and bogie; Connections between underframes and bogies
    • B61F5/22Guiding of the vehicle underframes with respect to the bog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02Arrangements permitting limited transverse relative movements between vehicle underframe or bolster and bogie; Connections between underframes and bogies
    • B61F5/22Guiding of the vehicle underframes with respect to the bogies
    • B61F5/24Means for damping or minimising the canting, skewing, pitching, or plunging movements of the underframes
    • B61F5/245Means for damping or minimising the canting, skewing, pitching, or plunging movements of the underframes by active damping, i.e. with means to vary the damping characteristics in accordance with track or vehicle induced reactions, especially in high speed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차체(8)는 공기 스프링(5)을 통해 보기 프레임(4)상에 지지된다. 상기 차체 (8)의 너비 방향을 따라, 상기 보기 프레임(4)에 토션바(11)가 제공된다. 상기 토션바(11)의 양단부에서, 레버(13 및 13)를 통해 상기 차체(8)의 내측면을 향하여 경사진 링크(15 및 15)가 제공된다. 따라서, 차체의 양단부의 회전변위가 제한되지만 동일한 위상을 갖는 상하 변위는 제한되지 않는다. 차체(8)에 작용하는 초과 원심 가속도의 발생으로 링크기구에 의한 차체 경사가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경량화 및 저비용 구조가 달성될 수 있다. 경량화 구조를 갖고 차내의 좌우 방향에서 승차감이 좋고 페일 - 세이프 특성이 높은 경사 장치가 얻어질 수 있다. 경량화 구조를 갖고 차내의 좌우 승차감이 좋고 페일 - 세이프 특성이 높은 경사 장치가 얻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철도차량{RAILWAY ROLLING STOCK}
본 발명은 철도차량에 관한 것이고 철도차량의 곡선로 주행시 승차감을 개선시키도록 차체를 경사지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도차량의 차체 경사장치로서 일본국 특개평 제 6 - 56034 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토션바를 사용하는 것이 있다. 상기 차체 경사 장치는 차체의 좌우 방향으로 제공되는 제 1 토션바, 그것의 양 단부상에 각각 제공되는 제 2 토션바, 제 1 토션바의 각 단부와 제 2 토션바의 일단을 각각 연결하는 엑추에이터 및 제 2토션바의 타단과 차체를 연결시키는 로드를 포함한다. 엑추에이터는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설치된다. 엑추에이터의 신장 및 수축에 의해, 로드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고 따라서 차체가 경사진다.
철도차량에서 상술된 차체 경사 구조에 따르면 차체의 중심(重心)이 곡선로의 내측으로 이동되고 곡선로의 외측의 차륜에 가해지는 힘의 증가가 방지될 수 있고 안전성이 달성될 수 있다.
철도차량의 차체 경사 구성과 관련된 다른 선행 기술로 보기의 너비 방향을 따라 제공된 보기 프레임상에 토션바가 설치되고, 상기 토션바의 양단부에 있는 레버와 링크를 통해서 상기 토션바가 차체에 연결된다. 링크는 보기와 차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경사져 있지 않다. 이러한 차체 경사 구성은 차체의 롤링 현상을 억제하는데 사용된다.
일본국 특개평 6 - 56034 에 따르면 곡선로의 외측의 차륜에 가해지는 힘이 증가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안전성이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세 개의 토션바와 두 개의 엑추에이터 및 토션바와 엑추에이터를 연결하는 링크를 설치할 필요가 있고 이러한 구성은 복잡하고 고가인 구조로 된다.
또한, 엑추에이터에 의해 차체가 경사지므로 이러한 제어 시스템의 이상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조를 갖는 차체 경사 장치가 얻어질 수 있는 철도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경량구조를 갖는 차체 경사 장치가 얻어질 수 있는 철도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좌우 승차감이 좋은 차체 경사 장치가 얻어질 수 있는 철도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페일 - 세이프(fail - safe) 특성이 높은 차체 경사 장치가 달성될 수 있는 철도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은, 토션바가 보기의 너비 방향을 따라 보기 또는 차체에 설치되고, 토션바의 양단부에 각각의 레버가 제공되고, 토션바가 설치되지 않은 차체및 보기와 각 레버의 단부는 링크로 연결되고 한쪽 링크와 레버 사이의 연결점으로부터 다른쪽 링크와 레버 사이의 연결점까지의 제 1 거리는 상기 한쪽 링크의 타단과 차체 또는 보기 사이의 연결점으로부터 다른쪽 링크의 타단과 차체 또는 보기 사이의 연결점까지의 제 2 거리보다 더 길며, 상기 제 1 거리는 상기 보기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거리는 상기 차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초과 원심 가속도의 작용에 의해 자유 진자를 얻을 수 있고, 페일 - 세이프 특성이 높은 차체 경사장치가 얻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차체 경사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주요 부분에 대한 정면도,
도 3은 도 2에서 차체가 경사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도 2의 우측면도,
도 5는 도 4의 V - V 단면도,
도 6은 도 4의 VI - VI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차체 경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차체 경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챠량의 차체 경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차체 경사 장치에 대한 제 1 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로 설명될 것이다. 도 6은 좌반부만을 도시하며 우반부를 생략한다. 차륜(1)을 갖는 바퀴축(2)은 축 스프링 부재(3)를 통해 보기 프레임(4)에 고정된다. 차체(8)의 하부면은 보기 프레임(4)상에 장착된 공기 스프링 부재(5)를 통해 지지된다. 상기 차체(8)의 하부면에 중심핀이 제공되며 상기 중심핀은 견인 장치를 통하여 보기 프레임(4)에 연결된다. 각각의 보기(7)에는 다음 구조물이 설치된다.
토션바(11)는 보기(7)의 너비 방향(주행 방향의 직각 방향)을 따라 보기 프레임(4)의 상부 근처에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토션바(11)의 양단부는 베어링 부재(12)를 통해 보기 프레임(4)에 설치된다. 베어링 부재(12)는 고무 시트등을 통해 보기 프레임(4)에 고정된다. 베어링 부재(12)는 스러스트 베어링 부재이다. 토션바(11)의 양단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레버(13 및 13)가 배치된다. 토션바(11)와 레버(13)는 인벌류트 기어 형상 기구를 통해 연결된다. 레버(13 및 13)와 링크(15 및 15)는 핀을 통해 연결된다. 링크(15 및 15)의 타단부와 브래킷(17 및 17)의 하부면은 핀을 통해 연결된다.
토션바(11)의 일단의 레버(13)와 링크(15)사이의 연결점으로부터 토션 바(11)의 타단의 레버(13)와 링크(15)사이의 연결점까지의 거리(L1)는 한쪽 링크(15)와 차체(8)의 브래킷(17)사이의 연결점으로부터 다른쪽 링크(15)와 차체 (8)의 브래킷(17) 사이의 연결점까지의 거리(L2)보다 더 크다. 즉, 링크(15 및 15)는 차체(8)의 내부쪽에 설치된다. 상기 링크(15)는 수평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을 이루어 경사지도록 설치된다. 각도(θ)는 대략 50 °내지 80 °가 된다. 바람직하게는, 각도(θ)는 60 °이다.
차체(8)가 경사질 때, 각 링크(15 및 15)에 대한 각각의 각도(θ)가 변화한다. 이에 따라서, 레버(13)가 회전하도록 링크(15)가 형성되고, 링크(15)의 회전 방향과 레버(13)의 회전방향은 실질적으로 직각이 된다. 상기 이유로 링크(15)는 고무 부시 부재 또는 구면 베어링 부재를 통해 레버(13)에 연결된다. 또한, 링크 (15)와 차체(8)는 구면 베어링 부재에 의해 연결된다.
차체(8)의 하부면에, 스토퍼(21)가 아래로 매달려있다. 상기 스토퍼(21)에 대향하도록, 보기쪽에 있는 스토퍼(22 및 22)가 보기 프레임(4)으로부터 상측부로 돌출된다. 스토퍼(22)는 양쪽(너비 방향으로 차체(8)의 양쪽)에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스토퍼(21)와 스토퍼(22 및 22)사이에는 소정 공간이 생성된다.
또한, 스토퍼(21)와 스토퍼(22 및 22)로서는 이미 제공된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차체(8)로부터 중심핀등의 연결부재가 아래로 매달려있다. 연결부재의 하단과 보기 프레임(4)은 주행 방향을 따르는 링크에 연결된다. 상기 중심핀은 스토퍼 (21)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차체(6)가 경사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링크(15 및 15)의 연장선의 교점(P)은 차체(6) 경사의 중심이다. 경사시 링크(15 및 15)의 연장선은 교점(P)에 배치되지 않는다. 차체(6)의 중심은 교점(P)을 통과한다. 차체(6)의 중심(重心, G)은 교점 (P)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술된 구성에 있어서 차량이 직선구간을 주행하는 경우는 도 2에 나타난 상태로 도시될 것이다. 보기(7)의 상하 운동에 대하여, 링크(15 및 15)의 경사각(θ)의 변화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러한 이유로, 토션바(11)가 회전할 수 있고, 상기 토션바(11)에 비틀림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보기(7)의 상하 운동은 허용될 수 있다. 즉, 공기 스프링(5)이 작동할 수 있다. 그 결과, 차체의 양단부에서 동일한 위상의 상하 변위는 제한되지 않지만 차체의 양단부에서의 로울링 변위는 제한된다.
곡선로 주행시 차체의 경사 동작이 설명될 것이다. 곡선부에서, 경사각(CO)이 제공된다. 경사각(CO), 곡률 반경, 및 주행 속도에 따라 초과 원심 가속도가 결정된다. 이 때, 곡선로에서 주행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초과 원심 가속도도 증가하므로 좌우 방향으로의 가속도가 승객에게 발생하여, 좌우 방향에서 승차감이 나빠질 것이다. 좌우 방향에서의 보통의 가속도는 좌우 방향의 정상 가속도의 대략 기준 값인 0.08 g 가 된다.
차체가 경사각(CO), 곡률 반경 및 주행 속도에 의해 결정되는 균형 속도이상으로 주행할 때,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초과 원심 가속도에 의해, 차체(8)가 곡선로의 외측으로 이동한다. 차체(8)의 중심 위치는 점 A 로부터 점 A'로 이동한다. 차체의 중심(重心)은 점 G 로부터 점 G'로 이동한다. 차체(8)의 이동은 스토퍼 (21 및 22)와의 접촉에 의해 정지한다. 링크(15 및 15)에 의해 차체(8)가 경사진다. 내측에서 링크(15)의 경사각(θ)은 θ1이 되고, 외측에서의 링크(15)의 경사각은 θ2가 된다. 차체(8)의 경사각은 θ3가 된다. 차체(8)가 너비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경사지므로 원활한 경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된 구성에 의해서, 보기(7)의 상하 운동이 허용될 수 있고 초과 원심 가속도에 의해, 차체(8)의 경사가 허용할 수 있다. 또한, 구성부재는 토션바(11), 베어링 부재(12 및 12), 레버(13 및 13), 및 링크(15 및 15)이다. 차체를 경사지게하는 엑추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경사 장치의 구성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구성은 경량구조 및 저비용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곡선로에 응답하여 차체를 경사시킬 수 있고 초과 원심 가속도에 대응하여 경사 동작이 수행되기 때문에 높은 페일 - 세이프 특성을 갖는 경사 장치가 얻어질 수 있다.
초과 원심 가속도가 없어지면, 경사시 좌우 공기 스프링(5 및 5)에 주어진 비틀림등이 없어지므로, 복원력이 얻어질 수 있고, 차체(8)는 경사상태로부터 원활하게 복원될 수 있다.
차체가 곡선로를 주행할 때, 공기 스프링(5 및 5)의 높이를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높이 조정밸브를 사용하여 공기 스프링(5 및 5)의 높이를 조정하는 높이 조정기능은 정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 7에 나타난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 7에서, 상술된 실시예에 나타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와 상술된 실시예 사이의 차이는, 엑추에이터(30 및 30)가 링크(15 및 15)의 중간에 설치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링크(15)는 자유롭게 신장 및 수축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곡선로의 내측에 배치된 엑추에이터(30)의 로드를 후퇴시키도록 형성되고 외측에 배치된 엑추에이터(30)는 돌출된다. 그 결과, 곡선로의 내측에 배치된 링크 (15)의 길이는 짧아지고, 곡선로의 외측에 배치된 링크(15)의 길이는 길어진다.
상기 구성에 따라서, 미리 기억된 곡선 정보(곡률 반경, 경사각(CO)등)와 주행 속도를 기초로 연산된 경사 목표값이나, 보기(7)와 차체(8) 사이의 좌우 변위 또는 차체 바닥면과 보기 프레임(4)에 설치된 실측 좌우 진동 가속도 및 경사각을 사용하여, 엑추에이터(30 및 30)가 신장 및 수축된다. 따라서, 이동량이 극히 적을 때 조차 차체는 원활히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예견제어가 실시될 수 있다.
제어 장치의 오동작에 의해, 역경사 명령이 출력되고 차체(8)가 역방향으로 경사지면, 차체가 링크(15)등에 의한 자연 경사에 거스르기 때문에 역방향으로의 경사를 수행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페일 세이프 특성이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엑추에이터(30 및 30)와 제어장치의 고장으로 인해서 엑추에이터(30 및 30)가 신장 및 수축되지 않을 때, 도 1의 실시예와 같이 되기 때문에 차체(8)는 초과 원심 가속도에 따라 경사질 수 있다.
엑추에이터(30)의 신축량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검출값이 피드백되어 제어량이 되도록한 후, 경사 동작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엑추에이터(30)로서, 모터와 볼스크루, 및 공기 압력 시스템과 유압 시스템 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
경사각(CO)이 가정된 주행 속도보다 더 작을 때, 엑추에이터(30 및 30)가 역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도 8에 나타난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 8에서, 도 1에 도시된 상술된 실시예에 나타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와 상술된 실시예 사이의 차이는 공기 스프링(5)의 내부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장치(40L 및 40R)가 설치된다는 점이다. 도 7에 나타난 상술된 실시예의 제어장치와 유사한 제어장치(40L 및 40R)를 갖는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미리 기억된 곡선 정보(곡률 반경, 경사각(CO)등)와 주행 속도를 기초로 연산된 경사 목표값, 보기 (7)와 차체(8) 사이의 좌우 변위 또는 차체 바닥면과 보기 프레임(4)에 설치된 실측 좌우 진동 가속도 및 경사각을 사용하여 공기 스프링(5 및 5)이 신축된다.
상술된 구조에 있어서 공기 스프링(5)을 제어하는 제어장치(40L 및 40R)에 의해, 링크(15)등에 의한 경사작용과 공기 스프링(5)의 신축이 동시에 작동할 수 있어 차체(8)의 경사동작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다.
제어장치(40R 및 40L)의 오동작에 의해, 역경사 명령이 출력되고 차체(8)를 역방향으로 경사시키는 경우, 차체가 링크(15)등에 의해 자연 경사에 거스르기 때문에 역방향으로 경사를 수행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페일 세이프 특성이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공기 스프링(5 및 5)의 신축량 또는 내부 압력등이 검출되고, 검출값이 피드백되면, 양호한 경사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차체 경사시 높이 조정밸브에 의한 공기 스프링(5 및 5)의 높이 조정 기능이 정지되면 공기 스프링(5 및 5)에 공기의 공급 및 배출에 의한 높이 조정을행할 필요가 없고 양호한 경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경사각(CO)이 가정된 주행 속도보다 더 작을 때, 공기 스프링(5 및 5)이 역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 9에 나타난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 9에서는 도 1에 나타난 상술된 실시예에 도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가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와 도 1에 나타난 상술된 실시예 사이의 차이는 스토퍼(21)와 보기 프레임 (4)사이에 차체(8)의 너비 방향으로 신축하는 엑추에이터(50)와 엑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51)가 설치된다는 점이다. 도 7에 나타난 상술된 실시예의 제어 장치와 유사한 제어장치(51)를 갖는 상기 구성에 따르면, 미리 저장된 곡선 정보(곡률 반경, 경사각(CO)등)와 주행 속도를 기초로 연산된 경사 목표값이나, 보기(7)와 차체(8) 사이의 좌우 변위 또는 차체 바닥면과 보기 프레임(4)에 설치된 실측 좌우 진동 가속도 및 경사각을 사용하여 엑추에이터(50)가 신축될 수 있다.
상술된 구성에 있어서, 링크(15)에 의한 경사동작을 더욱 돕는 제어가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완화 곡선로등의 짧은 곡선로의 저크 가속도(각가속도)를 감소시키는 예견제어 시스템(경사명령을 곡선로의 바로앞에서 줌)이 수행될 수 있다.
경사각(CO)이 가정된 주행 속도보다 작을 때, 엑추에이터(50)가 역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설명 및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 기재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기술 분야에 속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범위에 미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링크와 토션바의 조합에 의해 경량 구조 경사기구로 승객의 좌우 승차감이 확보될 수 있고 또한 페일 - 세이프 특성이 높은 경사장치가 얻어질 수 있다.

Claims (11)

  1. 토션바가 보기의 너비 방향을 따라 상기 보기 또는 차체에 설치되고,
    상기 토션바의 양단부에 각각의 레버가 제공되고,
    상기 토션바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기 차체 및 상기 보기와 상기 각각의 레버의 단부가 링크로 연결되고,
    상기 한쪽 링크와 상기 레버 사이의 연결점으로부터 다른쪽 링크와 상기 레버 사이의 연결점까지의 제 1 거리가, 상기 한쪽 링크의 타단과 상기 차체 또는 보기 사이의 연결점으로부터 다른쪽 링크의 타단과 상기 차체 또는 상기 보기 사이의 연결점까지의 제 2 거리보다 더 길고,
    상기 제 1 거리는 상기 보기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거리는 상기 차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바가 상기 보기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와 상기 보기 사이에 상기 차체가 상기 보기에 대하여 상기 너비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4. 제 1항에 있어서,
    철도차량이 곡선로에서 균형속도보다 더 큰 속도로 주행할 때 상기 차체를 경사지게하는 구동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구동장치에서, 상기 곡선로의 내측에서의 상기 보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차체까지의 높이는 직선로에서의 상기 보기로부터 상기 차체까지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곡선로의 외측에서의 상기 보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차체까지의 높이를 높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철도차량이 곡선로에서 균형속도보다 낮은 속도로 주행할 때,
    상기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곡선로의 상기 내측에서의 상기 보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차체까지의 상기 높이는 직선로에서의 상기 보기로부터 상기 차체까지의 높이보다 더 높고, 상기 곡선로의 상기 외측에서의 상기 보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차체까지의 높이를 낮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는 상기 구동장치의 신축량을 피드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기와 상기 차체 사이에, 각각의 공기 스프링이 상기 너비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철도차량이 상기 균형속도보다 더 높은 속도로 주행할 때, 높이 조정 밸브에 의한 상기 공기 스프링의 높이 조정 기능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로서 상기 링크의 각각에 그 길이를 바꾸는 엑추에이터가 각각 제공되고,
    상기 곡선로의 상기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엑추에이터의 길이를 짧게하고, 상기 곡선로의 상기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엑추에이터의 길이를 길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기와 상기 차체 사이에 상기 너비방향으로 각각의 공기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공기 스프링이고,
    상기 철도차량이 균형속도보다 더 높은 속도로 상기 곡선로를 주행할 때,
    상기 곡선로의 상기 내측에 위치된 상기 공기 스프링의 높이가 상기 곡선로의 상기 외측에 위치된 상기 공기 스프링의 높이보다 더 작은 제어장치가 제공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로서 상기 보기와 상기 차체사이에서 상기 차체를 상기 너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엑추에이터가 제공되고,
    상기 철도차량이 상기 곡선로에서 균형속도보다 더 큰 속도로 주행할 때, 상기 엑추에이터는 상기 엑추에이터와 상기 차체사이의 상기 연결점을 상기 곡선로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하방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중심핀과 상기 보기가 링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차체의 너비방향으로 상기 중심핀의 양측의 상기 보기에 상기 중심핀과 접촉하는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KR1020010019827A 2000-09-26 2001-04-13 철도차량 KR200200247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97056 2000-09-26
JP2000297056A JP2002104183A (ja) 2000-09-26 2000-09-26 鉄道車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4767A true KR20020024767A (ko) 2002-04-01

Family

ID=18779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9827A KR20020024767A (ko) 2000-09-26 2001-04-13 철도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20035947A1 (ko)
EP (1) EP1190925A1 (ko)
JP (1) JP2002104183A (ko)
KR (1) KR20020024767A (ko)
CN (1) CN1345673A (ko)
AU (1) AU33416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444B1 (ko) * 2012-03-23 2014-03-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차체와 대차간 선회각 연동 철도차량용 조향 및 틸팅대차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1227739B2 (en) 2000-04-20 2005-09-29 Masonite Corporation Reverse molded panel
DE10316497A1 (de) * 2003-04-09 2005-01-05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Fahrwerk für ein Schienenfahrzeug mit verbesserter Querfederung
AU2003203695A1 (en) * 2003-04-15 2004-11-04 Downer Edi Limited Bogie
JP4799039B2 (ja) * 2005-04-20 2011-10-19 北海道旅客鉄道株式会社 鉄道車両の車体傾斜装置
EP2226232B1 (en) * 2009-03-06 2012-05-02 Construcciones Y Auxiliar de Ferrocarriles, S.A. Controlled pneumatic tilting system in railway vehicles
EP2226233B1 (en) * 2009-03-06 2017-05-31 Construcciones Y Auxiliar de Ferrocarriles, S.A. Tilt control system for railway vehicles
WO2010113045A2 (de) 2009-03-30 2010-10-07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Fahrzeug mit wankkompensation
DE102009014866A1 (de) * 2009-03-30 2010-10-28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Fahrzeug mit Wankkompensation
WO2011004742A1 (ja) 2009-07-07 2011-01-13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移動体用空気ばね、および移動体用台車
DE202009015735U1 (de) * 2009-09-15 2010-04-22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Schienenfahrzeug mit querweicher Anbindung des Wagenkastens am Fahrwerk
DE102009041110A1 (de) 2009-09-15 2011-03-24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Aktuator mit Mehrfachwirkung
GB2475325A (en) * 2009-11-16 2011-05-18 Bombardier Transp Gmbh Torsion bar assembly and method, particularly for rail vehicle anti-roll bar
US8667900B2 (en) * 2010-10-15 2014-03-11 Nippon Sharyo, Ltd. Vehicle body tilting device and vehicle body tilting method for rail vehicle
AU2011366354A1 (en) * 2011-04-28 2013-08-15 Nippon Sharyo, Ltd. Railway vehicle body tilting system
JP4850978B1 (ja) * 2011-05-09 2012-01-11 ピー・エス・シー株式会社 車体傾斜装置及び車体傾斜装置に用いられる二層三方弁
CN103547501B (zh) * 2011-06-23 2015-07-15 三菱电机株式会社 列车运行控制系统
CN102358317B (zh) * 2011-09-14 2013-12-11 南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轻轨车辆及其铰接式转向架
DE102012105310A1 (de) * 2012-06-19 2013-12-19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Fahrzeug mit einer Federeinrichtung mit vorgebbarer Querfedercharakteristik
AT513549B1 (de) * 2012-07-09 2014-07-15 Siemens Ag Oesterreich Schienenfahrzeug mit Wankstabilisator
AT514029B1 (de) * 2013-01-22 2015-05-15 Siemens Ag Oesterreich Schienenfahrzeug mit Neigetechnik
ITMI20130609A1 (it) * 2013-04-12 2014-10-13 Rolic Internat S A R L Carrello per impianti di trasporto a fune e impianto di trasporto a fune comprendente tale carrello
ES2929441T3 (es) 2013-08-28 2022-11-29 Bombardier Transp Gmbh Vehículo que tiene compensación de efecto de viento lateral
ES2768258T3 (es) 2013-08-28 2020-06-22 Bombardier Transp Gmbh Vehículo que tiene compensación del efecto de viento lateral
DE102015205531B3 (de) * 2015-03-26 2016-07-21 Siemens Aktiengesellschaft Wiegendrehgestell für ein Schienenfahrzeug und Schienenfahrzeug
CN106184268B (zh) * 2016-07-26 2018-09-25 西南交通大学 一种主动控制抗侧滚方法
US10427697B2 (en) * 2017-07-04 2019-10-01 Nordco Inc. Rail pressure adjustment assembly and system for rail vehicles
CN109094597B (zh) * 2018-07-16 2019-09-27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地铁车辆空气弹簧供风系统、控制方法和地铁车辆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24191A (de) * 1970-01-26 1972-06-15 Knorr Bremse Gmbh Neigungssteuereinrichtung für Fahrzeuge, insbesondere für mit Luftfederungen ausgerüstete Schienenfahrzeuge
DE4311521C1 (de) * 1993-04-07 1994-04-21 Talbot Waggonfab Wankstütze für Schienenfahrzeuge
DE4343998A1 (de) * 1993-12-22 1995-07-20 Josef Nusser Vorrichtung für Schienenfahrzeuge zur Neigungsregulierung des Wagenkastens
DE4410970C1 (de) * 1994-03-29 1995-07-20 Talbot Waggonfab Wankstütze für Schienenfahrzeuge mit einer Querneigeeinrichtung
DE19500212A1 (de) * 1995-01-05 1996-08-29 Nusser Josef Vorrichtung für Schienenfahrzeu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444B1 (ko) * 2012-03-23 2014-03-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차체와 대차간 선회각 연동 철도차량용 조향 및 틸팅대차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45673A (zh) 2002-04-24
EP1190925A1 (en) 2002-03-27
AU3341601A (en) 2002-03-28
JP2002104183A (ja) 2002-04-10
US20020035947A1 (en) 200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24767A (ko) 철도차량
JP6086973B2 (ja) 軌道式車両、および、その車体傾斜制御方法
KR101252979B1 (ko) 궤도계 차량용 대차
KR101324854B1 (ko) 궤도계 차량용 대차
US3711113A (en) 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
US2853956A (en) Monobeam systems and apparatus
US8418628B2 (en) Low floor vehicle
JP2002316641A (ja) 鉄道車両の車体傾斜制御装置
JP3193469B2 (ja) 鉄道車両用車体傾斜装置
JP5057704B2 (ja) 鉄道車両
JPH0356939B2 (ko)
JP2004262438A (ja) 鉄道車両用空気ばね高さ調整機構
JP3747776B2 (ja) 産業車両用アクスル支持構造
FI91140B (fi) Mekaaninen ohjauslaite kiskoajoneuvoissa
JP2002211393A (ja) 車体傾斜装置
JP4799039B2 (ja) 鉄道車両の車体傾斜装置
JP4392511B2 (ja) 鉄道車両用空気ばね高さ調整機構及び空気ばね高さ調整機構の制御方法
JPH08142862A (ja) 鉄道車両用台車
NL1008415C2 (nl) Vervoersysteem.
JPH06270806A (ja) 鉄道車両の車体傾斜制御装置
JP3040802B2 (ja) 鉄道車両用車体傾斜装置付台車
JP2003002193A (ja) 鉄道車両
JPH0834346A (ja) 鉄道車両用車体傾斜装置付台車
JP2004123053A (ja) 鉄道車両の車体傾斜制御方法
JP2003072543A (ja) 鉄道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