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4285A - 다시마 배합 청국장 캡슐, 환 및 정제 - Google Patents

다시마 배합 청국장 캡슐, 환 및 정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4285A
KR20020024285A KR1020020009818A KR20020009818A KR20020024285A KR 20020024285 A KR20020024285 A KR 20020024285A KR 1020020009818 A KR1020020009818 A KR 1020020009818A KR 20020009818 A KR20020009818 A KR 20020009818A KR 20020024285 A KR20020024285 A KR 20020024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kelp
cheonggukjang
mixture
caps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9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구
Original Assignee
이봉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구 filed Critical 이봉구
Priority to KR1020020009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4285A/ko
Publication of KR20020024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428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30Removing undesirable substances, e.g. bitter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A23L33/21Addition of substantially indigestible substances, e.g. dietary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슐, 환(丸) 또는 정제(tablet) 형태로 제조된 청국장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건조 청국장 분말에 건조 다시마 분말을 혼합하여 된 다시마 배합 청국장 캡슐, 환 및 정제에 관한 것이다.본 발명에 따른 다시마 배합 청국장 캡슐, 환 또는 정제는 청국장 분말과 다시마 분말을 질량비 50:50 내지 70:30으로 혼합한 후 캡슐에 투입하거나, 환 또는 정제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염장이 필요 없고, 청국장 특유의 이취(냄새)를 없앨 수 있을 뿐만아니라, 다이어트 효과가 큰 다시마 배합 청국장 캡슐, 환 및 정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시마 배합 청국장 캡슐, 환 및 정제{GRINDED FERMENTED SOYBEANS ARRANGED WITH SEA TANGLE WHICH FORMED IN CAPSULE,PILL OR TABLET}
본 발명은 캡슐, 환(丸) 또는 정제(tablet) 형태로 제조된 청국장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건조 청국장 분말에 건조 다시마 분말을 혼합하여 된 다시마 배합 청국장 캡슐, 환 및 정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국장은 대두를 세척, 증숙 및 발효 과정을 거쳐 만들어 지며, 발효 과정에서는 주로 바실러스 섭틸리스균(bacillus subtilis, 볏짚등에 붙어 야생하는 야생 고초균의 일종임)등 바실러스속 균주를 사용하여 고온(30도 내지 45도)에서 자연 발효시킨다. 발효과정 중에 고초균이 생산하는 효소에 의해서 그 특유의 맛과 냄새를 내는 동시에, 대두의 당질과 단백질에서 유래된 레반형 프룩탄(lavan form fructan)과 폴리글루타메이트 (polyglutamate)의 혼합물질인 점질물을 다량 생성할 뿐 만 아니라, 이소플라본(isoflavone), 피트산 (phytic acid), 사포닌(saponin), 트립신 저해제(trypsin inhibitor), 토코페롤 (tocopherol), 불포화지방산, 식이섬유, 올리고당, γ-글루타밀트랜스펩티다제(γ-glutamyltranspeptidase, γ-GTP) 등의 각종 생리활성물질, 항산화물질, 및 혈전용해 효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고혈압 등의 심·혈관계질환과 항돌연변이성, 항산화성 등 암질환의 예방, 및 치료, 혈전용해, 소화촉진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저칼로리, 고단백 식품으로 칼로리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 단백질의 집중적인 공급원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각광 받고 있다.
종래, 이러한 청국장의 보관의 편의성, 섭취의 편의성 및 영양소 보존을 위해 청국장을 분말화 한 후, 이를 환(丸) 또는 정제(tablet)로 제조하거나 캡슐화하는 시도가 다수 있어 왔다. 이들 시도가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9-0065689호, 특1999-0070171호 및 특2001-0069787호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1999-0065689호 발명은 청국장의 발효균주로 종래의 바실러스균주 대신에 유산균을 이용하는점에 특징이 있고, 발효된 청국장을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캡슐이나 타블렛으로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하고 있으나, 상기 특199-0065689호 발명은 청국장을 장기 보관을 위해 염분을 별도 투입하여야 하고, 발효과정에서 생성된 특유의 냄새(냄새의 원인이 되는 물질은 대두 내의 지질 과산화효소인 리포옥시겐아제에 의하여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짐)를 그대로 함유하고 있어 복용시 불쾌감을 줄 뿐만 아니라, 특히 다이어트 식품으로 이용하기에는 수용 및 불용성 식이섬유가 모자라고, 미네랄도 불충분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 특1999-0070171호 발명은 바실러스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후 자연 건조시켜 전체량의 50%는 분말형태로, 나머지 50%중 30%는 메주콩의 2/3 크기 및 1/3크기로 분쇄하고, 20%는 메주알 그대로 하는 제1공정, 상기 제1공정의 메주알을 세척한 후 건조하여 100도씨 고온에서 볶은 후 전체량의 2/3은 분말상태로, 나머지 1/3은 메주콩의 2/3크기 및 1/3크기로 분쇄하는 제2공정, 및 상기 제1공정 및 제2공정에서 분쇄된 메주콩에 적당량의 염분을 투입함과 아울러 고르게 배합하여 포장 단위량씩 배분하여 포장하는 제3공정을 포함하는 분말 가루 청국장 제조방법을 제안하나, 이 방법 역시 상술한 1999-0065689호 발명의 문제점을 그대로 안고 있다.
상기 특2001-0069787호 발명은 발효시킨 대두를 직사광선 항에서 5~10일 동안 건조시킴으로써 청국장 특유의 불쾌취를 제거한 후 환으로 성형하는 청국장 환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발효된 대두를 직사광선에 건조시키는 것만으로는 청국장의 냄새를 충분히 제거할 수 없는 점은 자명하여 그 효과가 의문인 발명이다.
다시마는 한해성(寒海性)의 다년생(多年生) 해조류로서, 불용성 식이섬유, 수용성 식이섬유소인 알긴산 뿐만 아니라, 요오드, 브롬, 칼륨, 나트륨, 칼슘, 망간, 동, 비소, 코발, 붕소, 철등 50여종의 미네랄을 함유한 고분자 점액용 다당류이다. 상기 알긴산은 물을 흡수하여 200∼300배로 불어나므로 알약붕괴 촉진제, 직물공업, 화장품, 식료품등을 만드는 데 활동될 뿐만 아니라, 각종 약리 작용이 있어 특히 항균작용, 위벽 청소를 위한 흡착제 및 중화제로도 쓰이며, 혈액의 순환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어 혈액순환촉진제로도 이용된다. 특히 알긴산은 섭취 후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하는데 이는 사람에게 포만감을 주기때문에 다이어트 식품을 제조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다사마에는 50여종의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어 영양의 균형을 유지 해주며 변비, 라력(갑상선), 골다공증, 비만, 피부미용, 알레르기 체질, 등에도 좋은 효과를 보이고, 숙변의 중성지방산 물질을 용해하고 분해하는 성분인 리파제 효소제의 전구 물질도 다량 함유되어 있어 숙변 제거에 상당한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다시마는 세척 후에도 어느 정도의 염분을 함유하고 있어, 건조 후 분말화한 경우에도 장기간 보관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알긴산의 강력한 흡수 및 중화 작용으로 상당한 정도의 이취(냄새) 제거 효과가 있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은 별도의 염장이 필요 없고, 청국장 특유의 이취(냄새)를 없앨 수 있을 뿐만아니라, 다이어트 효과가 큰 다시마 배합 청국장 캡슐, 환 및 정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시마 배합 청국장 환 및 캡슐의 제조 단계를 도시한 공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시마 배합 청국장 캡슐은 청국장 분말과 다시마 분말을 질량비 50:50 내지 70:30으로 혼합한 후 캡슐에 투입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시마 배합 청국장 환은 청국장 분말과 다시마 분말을 질량비 50:50 내지 70:30의 비율로 혼합한 후 환(丸)의 형상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시마 배합 청국장 정제는 청국장 분말과 다시마 분말을 질량비 50:50 내지 70:30의 비율로 혼합한 후 정제(tablet) 형상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시마 배합 청국장 캡슐, 환 및 정제에는 청국장 및 다시마 혼합 분말에 가시오가피 분말 또는 차전초 분말 가운데 선택되어진 약초(藥草) 분말을 더 첨가하되, 혼합 분말 대 약초 분말의 질량비가 90:10내외가 되게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시마 배합 청국장 캡슐, 환 및 정제를 바람직한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시마 배합 청국장 환 및 캡슐의 제조 단계를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청국장 분말을 만들기 위한 공정은 일반적인 청국장 제조 공정인 대두의 세척 및 불림 공정(110), 증숙(120) 및 발효 공정(130)을 포함한다.
이러한 공정을 거치는 동안 뿐 만 아니라, 이후 건조(140), 분쇄(150) 및 믹싱(300)에서도 염분을 별도로 첨가하지 않는데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다시마 속에 함유된 천연 염분을 이용하기 때문이다.
상기 세척 및 불림 공정(110)은 미지근한 물로 약 12시간 내외의 시간 동안담궈 대두에 수분이 흡수되게 하는 단계이다.
상기 증숙 공정(120)은 불린 대두를 90°C 내외의 증열로 팽화시키는 단계로, 2~3시간 지속한다.
상기 발효 공정(130)에서는 증숙된 대두는 발효실에 안치하고 바실러스균주을 투입한 후, 약 40°C내외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2~3일간(48시간 내지 72시간)정도를 발효시킨다.
상기 건조 공정(140)은 상기 발효 공정(130)을 거쳐 발효된 대두는 45°C 내지 60°C를 유지하면서 건조시켜 수분을 일정 비율(질량비 20%)이하로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건조 공정(140)에서 얻은 대두를 분쇄(150)하여 청국장 분말을 얻게 된다.
다시 도1을 참조하면, 다시마 분말은 천연 상태의 다시마를 세척(210), 건조(220) 및 분쇄(230)하는 공정을 거침으로써 얻어 진다.
상기 세척 공정(210)은 다시마를 깨끗한 물에 일정시간 우려낸 후3~4회 정도 깨끗이 씻어내는 단계이다. 우려내는 시간은 청국장 분말 및 다시마 분말의 혼합 분말에 대하여 별도의 염장 처리를 하지 않음을 고려 하여 지나치게 길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어느 정도의 염분이 다시마에 남아 있을 정도로 우려낸 후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건조 공정(220)에서는 세척된 다시마를 그늘에 건조시킨 후 태양 건조로 마무리 한다.
삭기 분쇄 공정에서는(230)은 바삭마른 다시마를 분쇄기로 미세한 분말로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진 청국장 분말 및 다시마 분말을 혼합기에 의하여 혼합한 후(300), 캡슐 포장기 , 제환기 또는 제정기에 의하여 캡슐 포장하거나, 환 또는 정제로 성형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다시마 배합 청국장 캡슐, 환 및 정제를 얻게 되는 것이다. 이때 청국장 분말 및 다시마의 혼합 비율은 질량비로 50:50 내지 70:30으로 혼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정도의 질량비를 유지해야 청국장의 냄새를 충분히 제거할 수 있고, 다이어트 식품으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기 때문이다.
다시 도1을 참조하면, 복용자의 거부감을 없앨 수 있는 향기를 제공하고, 정장 작용을 강화하기 위하여 상기 청국장 및 다시마 혼합 분말에는 가시오가피 분말 또는 차전초 분말 가운데 선택되어진 약초(藥草) 분말을 더 첨가할 수 있다. 이때 혼합 비율은 청국장 분말과 다시마 분말의 혼합 분말 대 약초 분말의 질량비가 90:10내외가 되게 첨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염장이 필요 없고, 청국장 특유의 이취(냄새)를 없앨 수 있을 뿐만아니라, 다이어트 효과가 큰 다시마 배합 청국장 캡슐, 환 및 정제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청국장 분말과 다시마 분말을 질량비 50:50 내지 70:30으로 혼합한 후 캡슐에 투입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마 배합 청국장 캡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국장 및 다시마 혼합 분말에 가시오가피 분말 또는 차전초 분말 가운데 선택되어진 약초(藥草) 분말을 더 첨가하되, 혼합 분말 대 약초 분말의 질량비가 90:10내외가 되게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마 배합 청국장 캡슐.
  3. 청국장 분말과 다시마 분말을 질량비 50:50 내지 70:30의 비율로 혼합한 후 환(丸)의 형상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다시마 배합 청국장 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청국장 및 다시마 혼합 분말에 가시오가피 분말 또는 차전초 분말 가운데 선택되어진 약초(藥草) 분말을 더 첨가하되, 혼합 분말 대 약초 분말의 질량비가 90:10내외가 되게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마 배합 청국장 환.
  5. 청국장 분말과 다시마 분말을 질량비 50:50 내지 70:30의 비율로 혼합한 후 정제(tablet) 형상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마 배합 청국장 정제.
  6. 제5항에 있어서,
    청국장 및 다시마 혼합 분말에 가시오가피 분말 또는 차전초 분말 가운데 선택되어진 약초(藥草) 분말을 더 첨가하되, 혼합 분말 대 약초 분말의 질량비가 90:10내외가 되게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마 배합 청국장 정제.
KR1020020009818A 2002-02-25 2002-02-25 다시마 배합 청국장 캡슐, 환 및 정제 KR200200242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818A KR20020024285A (ko) 2002-02-25 2002-02-25 다시마 배합 청국장 캡슐, 환 및 정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818A KR20020024285A (ko) 2002-02-25 2002-02-25 다시마 배합 청국장 캡슐, 환 및 정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4285A true KR20020024285A (ko) 2002-03-29

Family

ID=19719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818A KR20020024285A (ko) 2002-02-25 2002-02-25 다시마 배합 청국장 캡슐, 환 및 정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428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612B1 (ko) * 2004-07-26 2004-12-16 서분례 청국장 환(丸)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07910A (ko) * 2004-07-22 2006-01-26 유송상 청국장 과립, 그 제조방법 및 청국장 과립에 바실러스서브틸리스균을 포자 형태로 살아있도록 유지시키는 방법
KR20060102806A (ko) * 2005-03-25 2006-09-28 조규숙 건강보조식품 환
KR100722361B1 (ko) * 2006-01-04 2007-05-29 무안군 백련을 이용한 청국장환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787A (ko) * 2001-05-11 2001-07-25 김권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
KR20010079226A (ko) * 2001-06-25 2001-08-22 주삼종 콩류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제조방법
KR20020023745A (ko) * 2001-12-14 2002-03-29 조성현 청국장환의 제조방법
KR20030008398A (ko) * 2001-07-18 2003-01-29 전금자 분말 청국장의 제조 방법
KR20030023918A (ko) * 2001-09-14 2003-03-26 김춘수 청국장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787A (ko) * 2001-05-11 2001-07-25 김권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
KR20010079226A (ko) * 2001-06-25 2001-08-22 주삼종 콩류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제조방법
KR20030008398A (ko) * 2001-07-18 2003-01-29 전금자 분말 청국장의 제조 방법
KR20030023918A (ko) * 2001-09-14 2003-03-26 김춘수 청국장의 제조방법
KR20020023745A (ko) * 2001-12-14 2002-03-29 조성현 청국장환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7910A (ko) * 2004-07-22 2006-01-26 유송상 청국장 과립, 그 제조방법 및 청국장 과립에 바실러스서브틸리스균을 포자 형태로 살아있도록 유지시키는 방법
KR100461612B1 (ko) * 2004-07-26 2004-12-16 서분례 청국장 환(丸)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02806A (ko) * 2005-03-25 2006-09-28 조규숙 건강보조식품 환
KR100722361B1 (ko) * 2006-01-04 2007-05-29 무안군 백련을 이용한 청국장환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11437B (zh) 纳豆制备工艺及含纳豆提取物的保健食品
CN101904353A (zh) 黑豆小肽、黑米、黑芝麻养生奶及其制备工艺
CN104431014A (zh) 一种苦荞绿茶及其加工工艺
KR101814170B1 (ko) 초석잠을 포함한 건강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16837A (ko) 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용 조성물
CN106923130A (zh) 含西红花的固体饮料、其制备方法及应用
CN106551310A (zh) 一种百合莲子葛粉糕的制作方法
KR20020024285A (ko) 다시마 배합 청국장 캡슐, 환 및 정제
KR100711807B1 (ko) 장어 건강식품의 제조 방법
CN105685815A (zh) 一种藕粉挂面及其加工方法
KR102248555B1 (ko) 감귤류 진피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발효식품의 제조 방법 및 그 기능성 발효식품
KR20170054594A (ko) 뽕잎분말이 함유된 청국장의 제조방법
KR20140118237A (ko) 청국장 및 그 제조방법
KR100639792B1 (ko) 오갈피 추출물이 함유된 청국장, 그 제조 방법 및 제조장치
CN1062275A (zh) 绿豆衣茶制作方法
CN1426810A (zh) 以赤杨树为原料的宿醉解除剂及其制造方法
KR100519064B1 (ko) 서리태를 원료로 한 기능성건강식품의 제조방법 및 상기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건강식품
KR101731420B1 (ko) 천연 가루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1724901B1 (ko) 모링가 잎이 첨가된 화장료 조성물
KR102455954B1 (ko) 솔잎을 이용한 청국장 제조방법
KR102428173B1 (ko)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
KR101228075B1 (ko) 하수오 청국장의 제조방법
CN1921773B (zh) 枇杷籽茶
CN107684072A (zh) 一种缓解回奶疼痛、补血降燥麦芽淡豆豉制剂的制备方法
KR20220168724A (ko) 발효된 콩 및 바실러스균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