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1320A - 안과용 의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안과용 의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1320A
KR20020021320A KR1020010052585A KR20010052585A KR20020021320A KR 20020021320 A KR20020021320 A KR 20020021320A KR 1020010052585 A KR1020010052585 A KR 1020010052585A KR 20010052585 A KR20010052585 A KR 20010052585A KR 20020021320 A KR20020021320 A KR 20020021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rmaceutical composition
trehalose
ophthalmic
ophthalmic pharmaceutical
syndr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2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6124B1 (ko
Inventor
마츠오도시히코
구리모토마사시
야마우치히로시
Original Assignee
도시오 미야께
가부시끼가이샤 하야시바라 세이부쓰 가가꾸 겐꾸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오 미야께, 가부시끼가이샤 하야시바라 세이부쓰 가가꾸 겐꾸조 filed Critical 도시오 미야께
Publication of KR20020021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1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6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61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16Disaccharides, e.g. lactose, lact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14Decongestants or antiallergics

Abstract

유효성분으로서의 트레할로오스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함유시킨 안과용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 의약 조성물은 쇠그렌 증후군 (Sjoegren syndrome)에서의 안과의 임상적 증상과 징후에 대한 안전하고도 장기간 연속투여가 가능한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이다.

Description

안과용 의약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OPHTHALMIC USE}
본 발명은 안과분야에서의 치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쇠그렌 증후군 (Sjoegren syndrome)에서의 안과의 임상적 증상과 징후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안과용 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쇠그렌 증후군은 빈번하게 진단되는 질환중의 하나이며, 특히 노년기에서 자주 발견되고 있는데, 노령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이러한 질환을 가진 환자들의 수가 더욱 더 증가한다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그 특징으로서는 쇠그렌 증후군은 임파구가 누선(淚腺) 및 타액선(唾液腺) 속으로 침입하여 분비세포(adenocyte)를 파괴함에 따라 발현되는데, 주로 안구 건조와 구강 건조가 주징(主徵)이다. 쇠그렌 증후군은 특발성 질환 등의 일종인데, 대다수가 자기면역 질환으로 추측하고 있고 그 판정기준은 이미 확립되어 있다. 쇠그렌 증후군의 안과에서의 임상적 증상은, 예컨대, 이물감(foreign body sensation), 작열감 및 가려움이다. 현재 주로 이용되고 있는 쇠그렌 증후군 치료법으로서는 인공눈물 투여 및 보호안경 착용에 의해 눈이 건조해 지지 않도록 하는 등의 대증요법이다. 이들 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증상이 개선되지 않으면 수술 및 스테로이드와 면역 억제제의 병용 등의 기타의 대증요법에 의해 주로 치료하게 되는데, 이들 요법은 입원, 의사의 조언 혹은 치료기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환자의 정상적인 사회생활을 제한하게 된다. 안과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통상적인 안과용 액제는 휴대하기가 편리하고 사용하기가 용이하므로 쇠그렌 증후군에 있어서 안과의 임상적인 증상과 징후 치료를 위한 히알루론산 나트륨을 함유한 안과용 액제가 근래에 시판되고 있으나, 이 증후군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데 만족할만한 안과용 의약 조성물이 아직까지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쇠그렌 증후군에 있어서 안과의 임상적인 증상과 징후에 대하여 만족스러운 치료 및/또는 예방효과를 가지며, 유리한 유용성과 안전성을 가진 안과용 의약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고, 더욱 상세하게는 안과용 액제, 연고제 및 세안약(eyewash)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자들은 쇠그렌 증후군에 있어서 안과의 임상적인 증상과 징후에 대하여 만족스러운 치료 및/또는 예방효과를 가지며, 비교적 장기간 사용했을 경우에도 안정성을 가진 물질을 검색한 결과, 뜻밖에도, 식품이나 화장품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트레할로오스가 비교적 장기간 투여한 후에도 어떠한 부작용이 없이 쇠그렌 증후군에 있어서 안과의 임상적인 증상과 징후에 대하여 현저한 치료 및/또는 예방효과를 발휘함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트레할로오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과용 의약 조성물에 의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것이다.
트레할로오스는 두개의 글루코오스 분자가 이들의 환원성 잔기에서 함께 결합해서 된 이당(二糖)인데, α,α-트레할로오스, α,β-트레할로오스 및 β,β-트레할로오스의 세가지의 광학 이성체를 가지고 있다. 이하, 이들을 "트레할로오스"라 한다. 자연계에서는 트레할로오스가 박테리아계, 식물계 및 동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식품분야에 있어서 트레할로오스는 비교적 낮은 감미도, 전분의 변성방지 및 동결/건조시의 단백질의 변성방지 등의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그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화장품 분야에 있어서 트레할로오스는 그 보습능이 양호하기 때문에 그 용도가 널리 확산되고 있으며, 트레할로오스의 경구투여 및 피부도포시의 안정성이 이미 확인되어 있다. 그러나 트레할로오스의 생리학적 기능에 대해서는 골다공증의 개선과 혈청 지방산의 대사조절에 대해서만 알려져 있는 반면, 안과학 분야에서는 트레할로오스가 눈수술시에 손상을 받기 쉬운 각막내피 및 각막상피의 세포를 보호하는 작용이 있다고만 보고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1997-235,233호 공보).
상기한 바와 같이 트레할로오스 자체는 공지 화합물이지만, 트레할로오스가 쇠그렌 증후군에 있어서 안과의 임상적인 증상과 징후에 대하여 양호한 치료 및/또는 예방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을 본 발명에서 처음으로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트레할로오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쇠그렌 증후군에 있어서 안과의 임상적인 증상과 징후를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 안과용 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트레할로오스에는 세가지 광학 이성체, 즉 α,α-트레할로오스, α,β-트레할로오스 및 β,β-트레할로오스가 존재하는데, 이들은 모두가 쇠그렌 증후군에 있어서 안과의 임상적인 증상과 징후에 대하여 유효한 치료 및/또는 예방효과를 발휘하므로, 이들 이성체중의 한가지 이상을 본 발명에서 임의로 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과용 의약 조성물에 있어서, 이들 트레할로오스가 유효량의 트레할로오스를 함유하는 것이면 트레할로오스의 각각의 광학 이성체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혹은 이들의 병용방법과 제조방법과는 관계없이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트레할로오스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한, 그 제조방법과 유래와는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 α,α-트레할로오스의 제조방법의 예로서는 일본국의 특허공개 제1995-143,876호, 제1995-213,283호, 제1995-322,883호, 제1995-298,880호, 제1996-66,187호, 제1996-66,188호, 제1996-336,388호 및 제1996-84,586호 등의 공보에 개시된 효소법을 포함하는데, 이들 방법에서는 비환원성 당질생성 효소 및 트레할로오스 유리효소를 전분 가수분해물에다 작용시켜 α,α-트레할로오스를 생성시키고 있다. 이렇게 하여 수득한 트레할로오스는 합성법으로 제조한 것들에 비해 유해한 불순물에 의한 오염 가능성이 거의 없고 경제적인 이점으로 인해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효소법으로 제조된 시판의 트레할로오스의 예로서는 일본국의 Hayashibara shoji사에서 시판하고 있는 건조 고형분 기준으로 트레할로오스 함량 98%의 트레할로오스인 "TREHA " 및 Hayashibara Biochemical Laboratories사에서 시판하고 있는 건조 고형분 기준으로 트레할로오스 함량 99% 이상의 시약급 트레할로오스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트레할로오스는 상기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나, 상기한 트레할로오스 제품들을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α,β-트레할로오스는, 예컨대, 일본국의 특허공개 제1992-179,490호 공보에 개시된 방법, 즉 효소를 전분 가수분해물과 락토오스의 혼합물에 작용시키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β,β-트레할로오스는 화학 합성법에 의해 용이하게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트레할로오스는, 쇠그렌 증후군에 있어서 안과의 임상적인 증상과 징후에 대하여 트레할로오스가 발휘하는 치료 및/또는 예방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것이면, 이들이 반드시 분리된 형태이어야 할 필요가 없고 트레할로오스 제조시에 생성되는 트레할로오스와 기타 당질의 혼합형태이어도 좋다. 물론, 안과용 액제를 직접 안점막에 적용하기 때문에 발열물질 등의 불순물을 활성탄,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및 멤브레인 여과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쇠그렌 증후군에 있어서 이물감, 작열감 및 가려움 등의 안과의 임상적인 증상을 가진 환자에게 투여했을 경우, 본 발명의 안과용 의약 조성물은 상기한 증상들을 개선하며, 무증후성 기간 도중에 증상의 초기 및 회복의 부조화를 가진 환자에게 투여했을 경우, 이러한 증상의 발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과용 의약 조성물을 세안약, 안과용 액제 혹은 안과용 연고제 등의 형태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과용 의약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사용하여 소망의 배합에 맞도록 유효량의 트레할로오스와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안과용 액제와 세안약에 사용되는 담체로서는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중의 한가지, 통상적으로 정제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안과용 의약 조성물을 미리 액제형태로 제조하거나 동결건조법 등을 사용하여 고형제제로 하고, 사용시에는 고형제제를 정제수 및 생리 식염수 등의 용매중에 용해한 후에 사용한다. 이러한 고형제제의 예로서는 정제, 입제 및 산제가 있다. 안과용 의약 조성물을 연고제의 형태로 제조하고자 할 경우에는 안과용의 와셀린 및 프로페토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안과용 의약 조성물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멤브레인 여과, 오토클레이브 등을 사용하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멸균한 다음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안과용 의약 조성물중에서의 트레할로오스의 함량은, 안점막 및 쇠그렌 증후군에 있어서 안과의 임상적인 증상과 징후에 대한 치료 및/또는 예방효과의 관점에서 통상적으로 최종농도가 적어도 0.01 중량%가 되도록 혹은 약 0.01 ∼ 약 30 중량%의 범위내, 바람직하게는 0.5 ∼ 20 중량%의 범위내, 가장 바람직하게는 2 ∼ 10 중량%의 범위내로 설정한다. 상기한 트레할로오스의 농도는 액상의 세안약 및 안과용 액제에 대해서는 체적당 중량% (w/v)로 나타낸 농도이거나, 혹은 안과용 고형 연고제에 대해서는 중량당 중량% (w/w)로 나타낸 농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안과용 의약 조성물은 안점막과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이 조성물의 pH를 안전성을 고려하여 중성 pH 부근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pH 6.5 ∼ 7.5로 설정해야 한다. 그리고 이 조성물의 삼투압을 약 0.5 ∼ 4.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1.5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안과용 의약 조성물의 pH와 삼투압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조절할 수 있다.
당질중에서 트레할로오스는 아미노 함유 비타민류 및 펩티드와 공존시켰을 경우에도 극히 안정하게 그 특성을 유지하고, 실질적으로 아미노 카르보닐 반응을 일으키지 않으며, 혹은 이들을 안정화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안과용 의약 조성물은, 트레할로오스 이외의 기타의 당질, 전해질류, 아미노산류, 비타민류, 리피드류, 의약용 첨가제 및 의약 등의 1종의 첨가성분 혹은 그 이상의 첨가성분들과 적절히 병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과용 의약 조성물에 사용되는 트레할로오스 이외의 기타의 첨가성분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글루코오스 및 말토오스 등의 당질; 만니톨 및 소르비톨 등의 당알코올류; 염화 나트륨, 인산수소 나트륨, 염화 칼륨, 황산 마그네슘 및 염화 칼슘 등의 전해질류; 글리신 및 알라닌 등의 아미노산류; 염산 티아민,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 피리독신 염산염, 니코틴아미드, 폴산, 바이오틴, 비타민 A, L-아스코르브산, 및 α-글리코실-L-아스코르브산 등의 비타민류와 이들의 유도체를 들 수 있는데, 이들 모두를 적절히 병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안과용 액제 형태의 안과용 의약 조성물의 경우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서의 트레할로오스와, 글루코오스 및 프룩토오스 등의 단당류, 말토오스 등의 이당류 및 말토트리오스 이상의 올리고당류로부터 선택되는 기타 당질 1종 이상을 병용함으로써 쇠그렌 증후군에 있어서 안과의 임상적인 증상과 징후에 대한 만족스러운 치료 및/또는 예방효과를 보다 안정하게 발휘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트레할로오스 이외의 기타 당질(들)의 비는 무수형태의 트레할로오스의 0.0001 ∼ 10배, 바람직하게는 0.001 ∼ 5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 2배이다. 더욱이 종래의 안약제제에 사용되는 아래에 나온 첨가제, 즉, 메틸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소듐 데히드로아세테이트, 및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등의 보존제, 붕사 (붕산 나트륨), 붕산 및 탄산수소 나트륨 등의 완충제, 메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 황산 콘드로이틴, 폴리비닐 알코올, 및 풀룰란 등의 점성 부여제, 폴리소르베이트 80 등의 가용화제, 및 에데트산 나트륨 및 아황산 수소 나트륨 등의 안정화제 중의 1종 이상을,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안과용 의약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과용 의약 조성물에 있어서 메틸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소듐 데히드로아세테이트, 및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등의 상기 보존제는 어떤 환자들에 있어서는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도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안과용 의약 조성물이 안과용 연고제 형태인 경우에는 안과용 연고제에 대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 예컨대, 안과용의 백색 와셀린 및 플라스티베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안과용 연고제에 사용되는 첨가제로서는 유동 파라핀을 포함한다. 필요한 경우, 본 발명의 안과용 의약 조성물을 메틸프레드니솔론 등의 스테로이드 호르몬, 테트라사이클린 등의 소염제, 페닐실린 G 등의 살균제, 사이클로스포린 등의 면역 억제제, 및 면역 조절제, 진통제, 자가혈청 및 히아루론산 등의 의약과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과용 의약 조성물의 투여량을 환자의 증상 및 징후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안과용 액제로 하여 사용할 경우, 본 발명의 안과용 의약 조성물을 환자에게 1회당 1 ∼ 4 방울 (약 0.025 ∼ 약 0.1 ml)의 투여량으로 하여 1일당 1 ∼ 10회 투여한다. 세안약으로 하여 사용할 경우, 본 발명의 안과용 의약 조성물을 환자의 눈 주위의 안면선에 근접하여 투여할 수 있는 전용용기속에 세안약을 약 5 ml 주입하고, 이 용기를 안면선에 갖다 데고 목을 뒤로 젖혀 얼굴을 위로 보게하여 눈을 몇번 깜빡거려 환자의 눈이 이 조성물과 접촉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하여 1일당 1 ∼ 6회의 투여량으로 하여 통상적으로 사용하거나, 혹은 세척병을 사용하여 1회당 세안약 약 1 ∼ 약 5 ml를 1일당 1 ∼ 5회의 투여량으로 하여 사용한다.
아래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안과용 액제
100 ml 중에서
α,α-트레할로오스 3.5 g염화 나트륨 0.4 g염화 칼륨 0.15 g인산 2수소 나트륨 0.2 g붕사 0.15 g멸균 정제수 나머지
계 100 ml
상기한 각 첨가성분을 통상의 방법으로 안과용 액제로서의 멸균 제제 (pH 7.3)를 제조한다.
실시예 2: 안과용 액제
100 ml 중에서
α,α-트레할로오스 3.7 g염화 나트륨 0.4 gD-글루코오스 0.04 g멸균 정제수 나머지
계 100 ml
상기한 각 첨가성분을 통상의 방법으로 안과용 액제로서의 멸균 제제 (pH 7.2)를 제조한다.
실시예 3: 안과용 액제
100 ml 중에서
α,α-트레할로오스 7.0 gD-글루코오스 0.04 g멸균 정제수 나머지
계 100 ml
상기한 각 첨가성분을 통상의 방법으로 안과용 액제로서의 멸균 제제 (pH 7.3)를 제조한다.
실시예 4: 안과용 액제
100 ml 중에서
α,β-트레할로오스 0.5 g염화 나트륨 0.6 g염화 칼륨 0.15 g인산 2수소 나트륨 0.2 g붕사 0.15 g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0.005 g멸균 정제수 나머지
계 100 ml
상기한 각 첨가성분을 통상의 방법으로 안과용 액제로서의 멸균 제제 (pH 7.0)를 제조한다.
실시예 5: 세안약
100 ml 중에서
α,α-트레할로오스 0.1 g염화 나트륨 0.4 g
염화 칼륨 0.05 g염화 칼슘 0.01 g황산 마그네슘 0.01 g시트르산 나트륨 0.05 g탄산수소 나트륨 0.2 g말토오스 0.15 g1 N 염산 나머지멸균 정제수 나머지
계 100 ml
상기한 각 첨가성분을 통상의 방법으로 세안약으로서의 멸균 제제 (pH 7.2)를 제조한다.
실시예 6: 안과용 연고제
100 g 중에서
α,α-트레할로오스 3.5 g유동 파라핀 5.0 g안과용 백색 와셀린 나머지
계 100 g
상기한 각 첨가성분을 통상의 방법으로 안과용 연고제로서의 멸균 제제를 제조한다.
실험
(가) 방법
쇠그렌 증후군에 있어서 안과의 임상적인 증상과 징후에 대하여 트레할로오스가 미치는 치료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쇠그렌 증후군으로 진단되고, 눈에서 이물감, 작열감 및 가려움 등의 임상적 증상을 호소하는 22세 내지 65세 (평균연령 45세)의 환자 남녀 각 10명씩에 대하여 치료실험을 하였다. 이 실험에서 일본국의 Hayashibara Biochemical Laboratories사에서 시판하고 있는 순도 99% 이상의 시약급의 α,α-트레할로오스를 최종 농도가 3.5% (w/v) 내지 7.5% (w/v)가 되도록 생리 식염수에 용해하고, 0.22 ㎛ 멤브레인 필터로써 여과하여 박테리아를 제거하였다. 이어서 통상의 방법으로 발열물질을 제거하여 시험용 제제로 하였다. 대조로서 α,α-트레할로오스를 용해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마찬가지의 제제를 제조하였다. 3.5% (w/v) α,α-트레할로오스 용액을 남녀 환자 각 5명의 한쪽눈에 투여하는 한편, 나머지 눈에는 대조로서의 생리 식염수를 투여하였다. 1회당 투여량을 2 내지 3 방울 (약 0.05 ∼ 약 0.075 ml)로 하여 하루에 4회 (기상시, 낮, 저녁 및 취침전) 투여를 하고, 1주간 투여를 하였다. 이 실험 전후에 각 환자들에게 물어보아 눈에서의 이물감, 작열감 및 가려움의 각 증상을 구분하였다. 7.5% (w/v) α,α-트레할로오스 용액을 사용하여 나머지 남녀 환자 각 5명에 대해 마찬가지의 실험을 하였다.
(나) 결과
α,α-트레할로오스의 농도가 각 상이한 α,α-트레할로오스 용액을 각각 투여한 환자들에 있어서 시험에 참여한 환자의 자각증상에 대한 유의(有意)한 치료효과를 관찰하였다. 즉, α,α-트레할로오스 용액을 투여한 환자 10명중의 9명은 이물감, 작열감 및 가려움 등의 눈의 모든 증상이 개선되었거나 경감되었다. 이 실험을 종료한 후에도 치료효과는 수일 동안 계속되었다. 실질적인 징후로서 플루오레세인(fluorescein)및 로오즈 벤갈(rose bengal)로 염색된 각막 및 결막 미란은 10명의 환자 모두에 있어서 감소되었고, 10명중 9명에 있어서는 눈물막 파괴 시간이 개선되었다. 대조에 있어서, 투여 직후에는 각 환자의 안과 증상 및 징후가 일단 일시적으로 경감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그 다음의 투여전에 재발하였으며, 이들 환자의 자각증상의 개선은 관찰되지 않았다. 더욱이 대조 환자에 있어서는 실질적인 징후의 개선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고, 실험종료후에는 실험전과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임상적인 증상과 징후를 그대로 나타내었다. 실험 도중 및 종료후에는 20명 전부가 α,α-트레할로오스 용액을 투여한 눈에서 안질환의 임상적인 증상 및 징후의 추가발생이 전혀 없었을 뿐만 아니라 부작용 등으로 진단된 기타의 증상이나 징후가 없었다.
본 발명의 안과용 의약 조성물은 쇠그렌 증후군에 있어서 안과의 임상적인 증상과 징후를 현저하게 개선하는 효과를 발휘하므로 상기한 증후군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트레할로오스 그 자체는 안전하고 안정한 당질이기 때문에 이 당질을 부작용을 유발할 우려가 없이 비교적 장기간 동안 반복하여 투여할 수가 있다.

Claims (18)

  1. 유효성분으로서의 트레할로오스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함유시킨, 쇠그렌 증후군에 있어서 안과의 임상적인 증상과 징후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안과용 의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쇠그렌 증후군에 있어서 안과의 임상적인 증상은 이물감, 작열감 및 가려움으로 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이고, 쇠그렌 증후군에 있어서 안과의 임상적인 징후는 플루오레세인 및 로오즈 벤갈로 염색된 각막 및 결막 미란과 눈물막 파괴 시간으로 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인 안과용 의약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안과용 액제인 안과용 의약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안과용 연고제인 안과용 의약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세안약인 안과용 의약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성분을 추가로 함유하는 안과용 의약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성분이 트레할로오스 이외의 기타의 당질, 전해질류, 아미노산류, 비타민류, 리피드류, 의약용 첨가제 및 의약인 안과용 의약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에 대하여 트레할로오스를 적어도 0.01 중량% 함유하는 안과용 의약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보존제를 함유하지 않는 안과용 의약 조성물.
  10. 쇠그렌 증후군에 있어서 안과의 임상적인 증상과 징후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유효성분으로서의 트레할로오스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함유하는 안과용 의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쇠그렌 증후군에 있어서 안과의 임상적인 증상과 징후의 치료 및/또는 예방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쇠그렌 증후군에 있어서 안과의 임상적인 증상은 이물감, 작열감 및 가려움으로 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이고, 쇠그렌 증후군에 있어서 안과의 임상적인 징후는 플루오레세인 및 로오즈 벤갈로 염색된 각막 및 결막 미란과 눈물막 파괴 시간으로 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인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과용 의약 조성물이 안과용 액제인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과용 의약 조성물이 연고제인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과용 의약 조성물이 세안약인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과용 의약 조성물이 1종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성분을 함유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성분이 트레할로오스 이외의 기타의 당질, 전해질류, 아미노산류, 비타민류, 리피드류, 의약용 첨가제 및 의약인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과용 의약 조성물은 조성물에 대하여 트레할로오스를 적어도 0.01 중량% 함유하는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과용 의약 조성물은 보존제를 함유하지 않는 방법.
KR1020010052585A 2000-09-14 2001-08-29 안과용 의약 조성물 KR1007761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80023 2000-09-14
JP2000280023 2000-09-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1320A true KR20020021320A (ko) 2002-03-20
KR100776124B1 KR100776124B1 (ko) 2007-11-15

Family

ID=18764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2585A KR100776124B1 (ko) 2000-09-14 2001-08-29 안과용 의약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6555526B2 (ko)
EP (2) EP1192947B1 (ko)
KR (1) KR100776124B1 (ko)
AU (1) AU781975B2 (ko)
CA (1) CA2355814C (ko)
DE (2) DE60138495D1 (ko)
TW (1) TWI29135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412B1 (ko) * 2014-10-17 2016-01-21 주식회사 휴온스 사이클로스포린 및 트레할로스를 포함하는 안과용 조성물
WO2018124694A1 (ko) * 2016-12-29 2018-07-05 주식회사 휴온스 지속성 점안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65030A1 (en) * 2001-11-20 2005-03-24 Kabushiki Kaisha Hayashibara Seibutsu Kagaku Kenkyujo Reduction inhibitory agent for active oxygen eliminating activity
JP4397142B2 (ja) * 2001-11-20 2010-01-13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活性酸素消去能低減抑制剤
JP2005518453A (ja) * 2002-02-25 2005-06-23 ディフュージョン・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エルエルシー 二極性トランスカロテノイド塩およびそれらの使用
US7759506B2 (en) 2002-02-25 2010-07-20 Diffusion Pharmaceuticals Llc Bipolar trans carotenoid salts and their uses
JP2005008596A (ja) * 2003-06-20 2005-01-13 Kobayashi Pharmaceut Co Ltd 眼科用組成物
US20050059583A1 (en) 2003-09-15 2005-03-17 Allergan, Inc. Methods of providing therapeutic effects using cyclosporin components
US8569367B2 (en) 2004-11-16 2013-10-29 Allergan, Inc. Ophthalmi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eyes
KR20070104912A (ko) * 2005-02-17 2007-10-29 센주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안과용 고형 외용약제
AU2006229688B2 (en) 2005-02-24 2012-07-26 Diffusion Pharmaceuticals Llc Trans carotenoids, their synthesis, formulation and uses
US8288348B2 (en) * 2005-07-13 2012-10-16 Allergan, Inc. Cyclosporin compositions
WO2007047242A2 (en) * 2005-10-14 2007-04-26 Soll David B Ophthalmic surgical irrigating solutions containing hyaluronidase
US20070207116A1 (en) * 2006-03-01 2007-09-06 Brown David C Antioxidant compositions for the eye
US9539202B2 (en) * 2006-04-28 2017-01-10 Universidad Complutense De Madrid Formulation of liposomal vesicles in aqueous solutions with lachrymal film characteristics
JP4668875B2 (ja) * 2006-09-20 2011-04-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番組録画再生装置、番組再生位置制御方法及び番組情報提供装置
CN101687757A (zh) * 2007-04-13 2010-03-31 扩散药品有限公司 双极性反式类胡萝卜素作为预治疗及其在周围血管疾病的治疗中的应用
CA2703946A1 (en) * 2007-10-31 2009-05-07 Diffusion Pharmaceuticals Llc A new class of therapeutics that enhance small molecule diffusion
EP2389069A1 (en) * 2009-01-20 2011-11-30 Advanced Vision Research,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infections
AU2010263245A1 (en) 2009-06-22 2012-01-19 Diffusion Pharmaceuticals Llc Diffusion enhancing compounds and their use alone or with thrombolytics
CA2801292C (en) 2010-06-02 2019-01-22 Diffusion Pharmaceuticals Llc Oral formulations of bipolar trans carotenoids
US8957048B2 (en) 2011-10-06 2015-02-17 Allergan, Inc.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dry eye
KR102017922B1 (ko) 2011-12-07 2019-09-03 알러간, 인코포레이티드 염-민감성 유액 시스템을 사용한 사람 눈물막으로의 효율적인 지질 전달 방법
US9907826B2 (en) 2011-12-07 2018-03-06 Allergan, Inc. Efficient lipid delivery to human tear film using a salt-sensitive emulsion system
US9901648B2 (en) 2012-01-27 2018-02-2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tabilization of biomolecules using sugar polymers
WO2014081969A1 (en) * 2012-11-21 2014-05-30 University Of Louisville Research Foundation,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ducing oxidative damage
KR20160009617A (ko) 2013-05-07 2016-01-26 바이오 블라스트 파마 리미티드 트레할로스의 비경구 투여에 의한 단백질 응집 근병증 및 신경퇴행성 질환의 치료
US9084720B2 (en) 2013-05-07 2015-07-21 BioBlast Pharma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oculopharyngeal muscular dystrophy
US9180208B2 (en) * 2013-09-25 2015-11-10 i SONIC Medical Corporation Composition and methods for enhancing surface reflectance
US10350232B1 (en) * 2013-11-04 2019-07-16 Peter D. Jaillet Medicinal drops
UA121399C2 (uk) 2014-11-25 2020-05-25 Аллерган, Інк. Стабілізовані композиції для офтальмологічного застосування, які містять омега-3-кислоти
US11406591B2 (en) 2015-02-09 2022-08-09 University Of Louisville Research Foundation, Inc. Ophthalmi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ducing oxidative damage to an eye lens
JP7032320B2 (ja) 2016-03-24 2022-03-08 ディフュージョン・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エルエルシー 癌を処置するための、化学療法及び放射線療法を伴う二極性トランスカロテノイドの使用
US20220378698A1 (en) 2019-07-12 2022-12-01 Pharmathen S.A. Preservative fre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ophthalmic administration containing cyclosporine
GR1010012B (el) 2020-05-12 2021-05-27 Φαρματεν Α.Β.Ε.Ε. Φαρμακευτικο σκευασμα ελευθερο συντηρητικου για οφθαλμικη χορηγηση περιεχον κυκλοσπορινη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2094B2 (ja) 1990-11-15 2000-08-28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ネオトレハロースの製造方法とその用途
DE69325700T2 (de) 1992-12-28 1999-12-30 Hayashibara Biochem Lab Nichtreduzierendes saccharidbildendes Enzym, und dessen Herstellung und Verwendungen
JP3418423B2 (ja) * 1993-03-03 2003-06-23 久光製薬株式会社 経粘膜投与用薬剤組成物
JP3559585B2 (ja) 1993-06-03 2004-09-02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トレハロース遊離酵素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JP3557272B2 (ja) 1994-02-23 2004-08-25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組換え型酵素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US5871993A (en) 1994-02-23 1999-02-16 Kabushiki Kaisha Hayashibara Seibutsu Kagaku Kenkyujo DNA encoding enzyme, recombinant DNA and enzyme, transformant, and their preparations and uses
KR100374449B1 (ko) 1994-03-07 2003-09-06 가부시끼가이샤 하야시바라 세이부쓰 가가꾸 겐꾸조 효소를인코우드하는디엔에이(dna),재조합디엔에이(dna)와효소,형질전환체및이들의제조방법과용도
JP3559609B2 (ja) 1994-03-07 2004-09-02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組換え型酵素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JP3557277B2 (ja) 1994-06-25 2004-08-25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耐熱性トレハロース遊離酵素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AU695080B2 (en) 1994-06-24 1998-08-06 Kabushiki Kaisha Hayashibara Seibutsu Kagaku Kenkyujo Thermostable non-reducing saccharide-forming enzyme, its production and uses
JP3557287B2 (ja) 1994-06-24 2004-08-25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耐熱性非還元性糖質生成酵素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JP3557289B2 (ja) 1994-07-21 2004-08-25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非還元性糖質からトレハロースを遊離する組換え型耐熱性酵素
JP3557288B2 (ja) 1994-07-21 2004-08-25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還元性澱粉糖から末端にトレハロース構造を有する非還元性糖質を生成する組換え型耐熱性酵素
JP4033510B2 (ja) * 1995-12-27 2008-01-16 ロート製薬株式会社 トレハロースを含有する眼科用医薬組成物
WO1997024129A1 (en) * 1995-12-27 1997-07-10 Rohto Pharmaceutical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rehalose
JPH09227385A (ja) * 1996-02-29 1997-09-02 Ofutekusu:Kk 眼手術用補助剤
JPH1072376A (ja) * 1996-09-02 1998-03-17 Ofutekusu:Kk ヒアルロン酸含有点眼水溶液
JP4203159B2 (ja) * 1997-12-09 2008-12-24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神経機能調節剤
AU2001253137A1 (en) * 2000-04-04 2001-10-15 Amarillo Biosciences, Inc.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moting oral health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412B1 (ko) * 2014-10-17 2016-01-21 주식회사 휴온스 사이클로스포린 및 트레할로스를 포함하는 안과용 조성물
WO2016060532A1 (ko) * 2014-10-17 2016-04-21 주식회사 휴온스 사이클로스포린 및 트레할로스를 포함하는 안과용 조성물
US10039803B2 (en) 2014-10-17 2018-08-07 Huons Co., Ltd. Ophthalmic composition comprising cyclosporine and trehalose
RU2700927C2 (ru) * 2014-10-17 2019-09-24 Хуонс Ко., Лтд. Офтальмолог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циклоспорин и трегалозу
WO2018124694A1 (ko) * 2016-12-29 2018-07-05 주식회사 휴온스 지속성 점안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86931A1 (en) 2003-10-02
US7732425B2 (en) 2010-06-08
DE60118859T2 (de) 2006-11-23
EP1649860A1 (en) 2006-04-26
CA2355814C (en) 2010-06-29
US6555526B2 (en) 2003-04-29
KR100776124B1 (ko) 2007-11-15
DE60118859D1 (de) 2006-05-24
CA2355814A1 (en) 2002-03-14
DE60138495D1 (de) 2009-06-04
TWI291350B (en) 2007-12-21
EP1192947A1 (en) 2002-04-03
EP1649860B1 (en) 2009-04-22
US20020055486A1 (en) 2002-05-09
AU6545301A (en) 2002-03-21
EP1192947B1 (en) 2006-04-19
AU781975B2 (en) 200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6124B1 (ko) 안과용 의약 조성물
JP5118633B2 (ja) 医療用デバイスおよび医薬製剤において有用な粘膜付着性キシログルカン含有製剤
KR100889170B1 (ko) 안구 건조의 치료에 있어서 리멕솔론의 용도
JP2769253B2 (ja) 水性液剤
CN101534794A (zh) 用于递送眼科用药物的凝胶
JPS62501002A (ja) 高い眼圧の防止法、緑内障の処置及び高眼圧の処置
JP2013121984A (ja) 点眼剤
JPS60184013A (ja) 点眼剤
AU785285B2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and preventing posterior segment ophthalmic disorders
JP2003206241A (ja) 眼科用剤
EP0140998A1 (en) Ophthalmic preparations
EP1408929B1 (en) Ophthalmic composition containing n-acetylcysteine for the treatment of dry-eye syndrom
JP4718160B2 (ja) 眼科用組成物
JP2787131B2 (ja) 水性懸濁液剤
JPH06271478A (ja) ドライアイ治療剤
JPWO2018074421A1 (ja) 眼科用剤及び眼科用薬
JP4982643B2 (ja) 眼科用医薬組成物
HU221592B (hu) Eljárás száraz szem helyi kezelésére alkalmas, hatóanyagként karbakol-kloridot tartalmazó gyógyszerkészítmény előállítására
WO1993023032A1 (en) Remedy for cataract and production thereof
IE54426B1 (en) Therapeutic composition based inosine monophosphate for the treatment of eye accommodation disorders
RU2720993C2 (ru) Пирролидон-карбоновая кислота (рса) для офтальмологического применения
JP4695315B2 (ja) 点眼剤
CN111437252B (zh) 一种含有灯盏细辛提取物的眼用制剂、制备方法及应用
RU2120263C1 (ru) Способ консервативного лечения ожогов глаз
WO2003011305A1 (en) Composition of glycosaminoglycan and a peroxide for the treatment of dry ey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