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0152A - 알람기능(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 해제하는기능)의 설정시 취침 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지털 녹음기의기능을 가진 알람시계 - Google Patents

알람기능(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 해제하는기능)의 설정시 취침 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지털 녹음기의기능을 가진 알람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0152A
KR20020020152A KR1020000053374A KR20000053374A KR20020020152A KR 20020020152 A KR20020020152 A KR 20020020152A KR 1020000053374 A KR1020000053374 A KR 1020000053374A KR 20000053374 A KR20000053374 A KR 20000053374A KR 20020020152 A KR20020020152 A KR 20020020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function
message
tim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3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해중
Original Assignee
문해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해중 filed Critical 문해중
Priority to KR1020000053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0152A/ko
Publication of KR20020020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015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3/0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 G04G13/02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e.g. alarm clocks
    • G04G13/021Detail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6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using vo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아침저녁으로 다르게 녹음된 메시지를 들을 수 있도록 한 알람기능(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 해제하는 기능)의 설정시 취침 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지털 녹음기 (Digital Recorder)의 기능을 가진 알람시계 (Alarm)에 관한 것이다. 이는 소형의 디지털 녹음기 (Digital Recorder)에 예약시간 설정 및 알람 (Alarm)기능을 부여함으로서 자신, 또는 타인의 목소리 또는 음악으로 녹음한 내용을 예약해 놓은 시간에 또는 알람기능의 선택시 (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알람기능선택 스위치를 조정할 때) 외부로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기기는 한 개의 기기에 여러 가지의 메시지 또는 음악을 녹음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기기의 사용자에게 정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녹음된 메시지의 내용이 영구 보존될 수 있도록 하는 선택 기능을 부여하여, 선물용이나, 업체의 광고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부여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알람기능(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 해제하는 기능)의 설정시 취침 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지털 녹음기의 기능을 가진 알람시계 {Digital Voice Alarm with Evening and Morning Call Message Function}
본 발명은 알람기능(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 해제하는 기능)의 설정시 취침 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지털 녹음기 (Digital Recorder)의 기능을 가진 알람시계 (Alarm)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녹음기에 디지털 시계가 가지고 있는 알람기능을 부여하고, 또한 일반 알람시계의 기능에 취침 메시지 출력 기능을 부가하여 알람기능의 선택시 (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하는 알람기능선택 스위치를 조정할 때) 기 녹음해 둔 취침 메시지를 출력해 주며,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된 시간이 되면, 미리 녹음해 둔 음성 메시지가 (사용자 정의 음성 (Voice), 음악등) 알람 메시지로 출력되어 설정된 시간이 되었음을 상기시켜주는 알람기능 (정해진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 해제하는 기능)의 설정시 취침 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지털 녹음기 (Digital Recorder)의 기능을 가진 알람시계 (Alarm)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녹음기는 음성신호를 음성녹음 테이프나 콤팩트디스크 (CD) 등에 저장하여 원하는 시점에 정해진 재생기기를 통하여 일정한 메시지를 들을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에 진보된 기기가 디지털 녹음기이다. 이는 음성신호를 메모리 반도체에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화 하여 재생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디지털 녹음기는 녹음 및 재생의 목적 외에 활용도가 적었다. 종래의 알람시계의 경우에는 제품 출하 시 설정된 내용(음악 또는 소리)이 출력됨으로서 알람의 역할을 할 수 있었기 때문에, 멜로디 또는 출력 메시지를 선택할 수 있는 폭이 좁았다.
본 발명에 의해 안출된 알람기능(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 해제하는 기능)의 설정시 취침 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지털 녹음기 (Digital Recorder)의 기능을 가진 알람시계 (Alarm)는 기존의 제품 출하시 설정된 내용 (음악 또는 소리) 의 획일성을 벗어나,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을 녹음하여 놓으면 설정된 시간에 그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기기이다. 또한 기기의 알람기능의 선택 시 (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하는 알람기능선택 스위치를 조정할 때) 에, 알람기능을 설정하는 시간과 관계없이 알람기능 설정과 동시에 기 녹음되었던 메시지 또는 음악이 취침 메시지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다수의 메시지를 활용한 알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종래의 디지털 녹음기에, 알람기능이 부과되어 있는 디지털 시계를 내장하여 현재시간 표시는 물론, 디지털 녹음기의 기능을 알람시계와 접합시켜 이를 다양화하여 실생활에 응용하고, 알람기능의 선택시 (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하는 알람기능선택 스위치를 조정할 때) 자동적으로 취침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한 것 뿐 아니라,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둔 시간이 되면, 기기에 녹음해 둔 메시지 또는 음악이 출력되어 설정된 시간이 되었음을 알려주도록 하여 알람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알람기능(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 해제하는 기능)의 설정시 취침 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지털 녹음기 (Digital Recorder)의 기능을 가진 알람시계 (Alarm)의 발명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음성 또는 음악 메시지를 음성녹음 칩 (Voice Chip)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음성녹음 칩의 저장부를 알람 메시지 녹음 블럭 (Block)과 취침 메시지 녹음 블럭으로 구분하여 녹음되도록 함으로서 중앙처리부 (CPU)에서 알람메시지와 취침 메시지를 구분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알람기능의 선택 (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하는 알람기능선택 스위치를 조정할 때)시 출력되는 취침메시지의 경우 사용자가 기기에 녹음한 내용이 출력되도록 하였다. 또한, 설정된 시간이 되었을 때 출력되는 알람 메시지의 경우 사용자가 기기에 녹음해 둔 메시지 또는 음악이 일정시간 지속적으로 반복 출력되어 아침 기상시간이나 별도의 설정된 시간을 알려주도록 하며, 필요시에는 "삐"소리 등의 전자음 또는 음악과 교대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서 시간이 되었음을 알려주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알람 메시지와 취침 메시지를 구분하여 녹음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 음성녹음 칩 (Voice Chip)의 메시지녹음 블럭은 일반적으로 자유로이 녹음되어 있는 내용을 지우고 다시 재녹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필요시 특정 버튼을 조작할 경우 녹음된 내용이 영구적으로 삭제할 수 없도록 하는 관리기능이 작동되도록 함으로서 선물용이나 업체 홍보용으로 메시지를 녹음했을 경우 등 필요에 따라 녹음되어 있는 메시지가 영구 보존될 수 있도록 하였다.
제 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알람기능(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 해제하는 기능)의 설정시 취침 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지털 녹음기 (Digital Recorder)의 기능을 가진 알람시계 (Alarm)를 설명하기 위한 기기 구성의 블럭도 (Block Diagram).
제 2도는 사용자가 원하는 메시지 또는 음악을 취침메시지 또는 알람 메시지로 녹음하고자 할 때, 이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의 흐름을 보여주는 순서도 (Flow Chart)
제 3도는 사용자가 원하는 메시지 또는 음악을 취침 메시지 또는 알람 메시지로 녹음한 후에 녹음되어 있는 내용을 확인하고 이를 영구 보존하고자 할 때, 이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의 흐름을 보여주는 순서도(Flow Chart : 제 4도의 A 부분으로 이어짐).
제 4도는 3도의 프로그램 흐름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메시지 또는 음악을 취침 메시지 또는 알람 메시지로 녹음한 후에 녹음되어 있는 내용을 확인하고 이를 영구 보존하고자 할 때, 이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의 흐름을 보여주는 순서도(FlowChart, 제 3도의 A 부분에서 이어짐)
제 5도는 사용자가 알람기능의 선택 시 (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하는 알람기능선택 스위치를 조정할 때) 취침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의 흐름을 보여주는 순서도(Flow Chart).
제 6도는 사용자가 알람기능의 선택 (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하는 알람기능선택 스위치를 조정)해둔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이 되면 알람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의 흐름을 보여주는 순서도(Flow Chart).
제 7도는 사용자가 녹음되어 있는 메시지를 영구 보존하고자 할 때, 음성 녹음 칩 (Voice Chip)의 메시지블럭을 보여주는 블럭도.
상기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에서 중앙제어부 (CPU)와 디지털 녹음 및 재생부 (Digital Recorder and Play Device), 디스플레이부 (LCD, Digitron Display Panel), 시간 제어부 (Timer Control), 입력부, 출력부, 기능을 선택하는 버튼블럭 등으로 이루어진 알람기능(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 해제하는 기능)의 설정시 취침 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지털 녹음기 (Digital Recorder)의 기능을 가진 알람시계 (Alarm)에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알람기능의 선택시 (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하는 알람기능선택 스위치를 조정할 때) 취침 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지털 녹음기 (Digital Recorder)의 기능을 가진 알람시계 (Alarm)를 설명하기 위한 기기 구성의 블럭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의한 알람기능의 선택시 (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하는 알람기능선택 스위치를 조정할 때) 취침 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지털 녹음기 (Digital Recorder)의 기능을 가진 알람시계 (Alarm)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앙제어부 (CPU, 5)는 버튼블럭 (Button Control, 1) 및 시간제어부 (Timer Control, 11), 디지털 음성 녹음 및 재생부 (Digital Voice Record/Play Device, 4) 등에서 들어온 신호(Signal) 를 받아 음성녹음 재생, 영구보존 기능, LCD 화면 제어 등 기기가 적정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즉, 기기의 작동을 위해 프로그램 되어있는 순서대로 실행에 옮기도록 명령 및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 중앙제어부 (CPU) 는 녹음 및 재생, 벨 버튼 등의 신호를 입력하는 버튼블럭 (Button Control, 1) 에서 입력된 신호를 프로그램에서 감지하여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버튼제어블럭 (Interrupt Control Block, 6), 디스플레이 판에 현재시간, 예약시간, 알람(Alarm)표시, 녹음되어 있는 블럭을 나타내기 위한 신호를 제어하는 LCD 디스플레이 제어블럭 (LCD Display Control Block, 8), 음성 녹음 및 재생부(Digital Record and Play Device, Voice IC, 4)부에 메시지의 녹음 시에는 녹음에 필요한 프로토콜 (Protocol)신호를 보내주고, 재생 및 지움 시에는 각기 필요한 프로토콜을 보내주어 음성녹음 칩 (Voice Device)이 구동하도록 하는 In/Out 제어블럭 (In/Out Control Block, 9), 기기의 작동에 필요한 모든 기능이 프로그램 (Program)되어있어 필요한 프로그램을 메모리 블럭(Memory block, 7)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음성 녹음 및 재생부 (Digital Record and Play Device, 4)는 디지털화 된 저장하고자 하는 메시지 내용을 블럭단위로 구분하여 녹음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음성칩 (Digital Voice Chip)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녹음 시에는 녹음버튼을 누르면 중앙처리장치(CPU)에서 녹음 준비를 하고, 준비된 사항을 디지털 녹음부로 보내 녹음대기를 한다 (중앙처리 장치는 음성녹음 칩의 녹음에 필요한 시간정보 등의 필요한 Timing을 만들어 준다). 이때, 입력부의 마이크를 통해 들어온 음성을 중앙처리장치 (CPU)에서는 알람 버튼의 작동 여부를 확인하여 알람 메시지 녹음과 취침 메시지 녹음을 구분해 디지털 녹음부의 해당 블럭을 찾아 저장한다. 알람기능을 설정하면 (알람기능 설정 버튼을 조작하면) 중앙처리장치 (CPU)에서는 디지털 녹음부에 재생준비를 시킴과 동시에 취침 메시지가 녹음되어 있는 블럭을 찾아 디지털 녹음부에 전달하고, 그 블럭의 음성정보 또는 음악이 스피커를 통하여 재생된다. 설정된 알람시간이 되면, 중앙처리장치(CPU)에서는 디지털 녹음부에 재생준비를 시킴과 동시에 알람 메시지가 녹음되어 있는 블럭을 찾아 디지털 녹음부에 전달하고, 그 블럭의 음성정보가 스피커를 통하여 재생된다.
디스플레이부 (LCD or Digitron Display Panel, 10)는 중앙처리장치(CPU)의 액정표시 제어블럭 (LCD Display Control Block, 8)에서 입력되는 알람(Alarm)기능 표시 출력신호 등의 각종 정보와, 시간제어부 (Timer Control, 11)에서 입력되는 시간출력신호, 등을 받아 액정표시장치 (LCD or Digitron)로 원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신호를 보내 원하는 내용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시간제어부 (Timer Control, 11)는 디스플레이부에 현재시간 및 예약된 시간을 나타내도록 신호를 주는 기능과 중앙제어부에 각종 시간 관련 정보를 주는 기능을 한다.
버튼블럭 (Button Control, 1)는 중앙처리장치에 기기의 각종 버튼에서 입력되는 정보를 알리는 신호를 보내, 각종 선택된 기능을 제어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입력부 (Microphone, 3)는 녹음하고자 하는 음성메시지를 마이크를 통해 디지털 녹음부로 입력한다.
출력부 (Speaker, 2)에서는 녹음되어있는 음성메시지를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전송한다.
도 2는 알람기능(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 해제하는 기능)의 설정시 취침 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지털 녹음기 (Digital Recorder)의 기능을 가진 알람시계 (Alarm)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메시지 또는 음악을 취침메시지 또는 알람 메시지로 녹음하고자 할 때, 이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의 흐름을 보여주는 순서도 (Flow Chart)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알람기능(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 해제하는 기능)의 설정시 취침 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지털 녹음기 (Digital Recorder)의 기능을 가진 알람시계 (Alarm)에서의 취침메시지 또는 알람메시지 녹음 방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사용자가 기기를 작동시켜 (21) 원하는 메시지 또는 음악을 알람 메시지 또는 취침 메시지로 녹음하고자 하면, 중앙처리 장치는 녹음버튼이 작동되었음을 확인하고 (22) 작동되었으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고, 녹음버튼이 작동되지 않았으면 녹음기능을 종료한다 (32). 녹음 버튼이 작동되면 중앙처리 장치 (CPU)는 알람버튼(Alarm Button)의 작동 여부를 확인하여 (23), 작동이 되었을 경우 알람메시지 블럭 녹음 기능을 실행한다 (24). 중앙처리 장치는 알람메시지 블럭에의 녹음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확인 (알람메시지 블럭에 메시지 영구보존 Flag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 확인) 하고 (24) 불가능 할 경우 "삐, 삐" 소리 등의 경보 음 (40)으로 녹음이 불가능함을 알리고 작업을 종료한다 (41). 알람메시지 블럭에 녹음이 가능한 경우 "삐 ~~~" 소리와 함께 (25) 알람 메시지 블럭에 녹음을 시작한다 (26). 알람버튼 작동 확인단계 (23)에서, 2초 이상 (33)알람버튼이 작동되지 않았을 경우, 중앙처리장치는 취침메시지 블럭 녹음으로 전환하여 (34) 취침 메시지 블럭에의 녹음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확인 (취침메시지 블럭에 메시지 영구보존 Flag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 확인) 하고 (35), 불가능 할 경우 "삐삐, 삐삐" 소리 등의 경보 음으로 녹음이 불가능함을 알리고 (39) 작업을 종료한다 (40). 취침메시지 블럭에 녹음이 가능한 경우 "삐삐~~~~" 소리와 함께 (36) 취침 메시지 블럭에 녹음을 시작한다 (37). 알람메시지 블럭 또는 취침 메시지 블럭의 녹음이 진행되고 있는 경우 (27), 중앙처리장치 (CPU)는 녹음되고 있는 메시지가 메시지 블럭에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28) 시간이 초과되었을 경우 녹음을 마치고 (29) "삐~~"등의 소리와 함께 녹음 기능의 종료를 알리고 (30) 녹음기능을 종료한다 (31). 정해진 시간의 초과 여부 확인단계 (28) 에서, 녹음되고 있는 메시지가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지 않았을 경우 중앙처리장치 (CPU)는 재생버튼의 작동 여부를 확인하여 (38), 재생버튼이 조작되지 않았을 경우 지속적으로 녹음을 진행하고 (27), 재생버튼 (녹음기능의 작동 중 에서의 재생버튼은 멈춤버튼의 기능을 한다.)이 작동되었을 경우 녹음을 마치고 (29) "삐~~"등의 소리와 함께 녹음 기능의 종료를 알리고 (30) 녹음기능을 종료한다 (31).
도 3은 알람기능(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 해제하는 기능)의 설정시 취침 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지털 녹음기 (Digital Recorder)의 기능을 가진 알람시계 (Alarm)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메시지 또는 음악을 취침 메시지 또는 알람 메시지로 녹음한 후에 녹음되어 있는 내용을 확인하고 이를 영구 보존하고자 할 때, 이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의 흐름을 보여주는 순서도(Flow Chart : 제 4도의 A 부분으로 이어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알람기능(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 해제하는 기능)의 설정시 취침 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지털 녹음기 (Digital Recorder)의 기능을 가진 알람시계 (Alarm)에서의 사용자가 원하는 메시지 또는 음악을 취침 메시지 또는 알람 메시지로 녹음한 후에 녹음되어 있는 내용을 확인하고 이를 영구 보존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사용자가 기기를 작동시켜 (51) 녹음되어 있는 내용을 확인하고자 하면, 중앙처리장치는 재생버튼이 작동되었는지를 확인하고 (52) 작동되었으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고, 재생커튼이 작동되지 않았으면 종료한다 (59). 재생버튼이 작동된 것이 확인되면 중앙처리장치 (CPU)는 알람버튼의 조작여부를 확인하여 (53) 알람버튼이 작동되었을 경우 알람메시지 블럭을 찾아 (54) 출력부 (Speaker)를 통해 녹음되어 있는 내용을 재생한다 (55). 알람버튼 작동 확인단계에서 (53), 2초이상 알람버튼이 작동되지 않았을 경우(60), 중앙처리장치는 취침메시지 블럭을 찾아 (61) 출력부 (Speaker)를 통해 녹음되어 있는 내용을 재생한다(55). 알람메시지 블럭 또는 취침메시지 블럭에 녹음되어 있는 내용의 출력이 진행되고 있는 경우, 중앙처리장치 (CPU)는 메시지 블럭에 설정된 (녹음된) 시간을 초과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56) 시간이 초과되었을 경우 재생을 마치고 (57) 메시지 재생기능을 종료한다 (58). 설정된 시간 내에 메시지가 재생되고 있을 경우, 중앙처리장치 (CPU)는 녹음버튼이 작동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62). 녹음버튼이 작동되었을 경우, 도 4의 A로 이어진다. 녹음버튼이 작동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62), 녹음버튼이 작동되지 않았을 경우 재생버튼이 작동되었는지를 확인하여 (63), 재생버튼 (메시지 재생 중에서의 재생버튼은 멈춤버튼의 기능을 한다.)이 조작되지 않았을 경우 지속적으로 재생을 진행하고 (55), 재생버튼이 작동되었을 경우 재생을 종료하고 (64), 메시지 재생기능을 종료한다.
도 4는 알람기능(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 해제하는 기능)의 설정시 취침 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지털 녹음기 (Digital Recorder)의 기능을 가진 알람시계 (Alarm)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메시지 또는 음악을 취침 메시지 또는 알람 메시지로 녹음한 후에 녹음되어 있는 내용을 확인하고 이를 영구 보존하고자 할 때, 이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의 흐름을 보여주는 순서도(Flow Chart : 제 3도의 A 부분에서 이어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알람기능(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 해제하는 기능)의 설정시 취침 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지털 녹음기 (Digital Recorder)의 기능을 가진 알람시계 (Alarm)에서의 사용자가 원하는 메시지 또는 음악을 취침 메시지 또는 알람 메시지로 녹음한 후에 녹음되어 있는 내용을 확인하고 이를 영구 보존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중앙처리장치 (CPU)가 녹음버튼이 작동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도 3, 62), 녹음버튼이 작동되었을 경우 (A단계에서 연결됨, 121) 메시지의 재생을 종료하고 (122) 재생되고 있던 메시지가 취침메시지 인지를 확인하여 (123), 취침메시지 블럭 내용의 재생 시에는 중앙처리 장치가 Y=0블럭을 선택하여 (124), Y=0 블럭의 내용을 재생하고 (Y=0, X=0~N, 125), 해당 블럭에 EOM (End Of Message) 플래그 (Flag)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126) 해당블럭 (Y=0, X=0~N) 내에 EOM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영구 메시지 보존 기능이 설정되어 있음을 인지하여 취침메시지블럭을 녹음 불가능으로 분류한 후 (135), "삐"등의 경보 음을 출력하여 녹음 불가능 (영구 메시지 보존 기능이 설정되어 있음) 을 알리고 (136) 종료한다 (137). 해당블럭 (Y=0, X=0~N)에 EOM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중앙처리장치는 Y=0 블럭 (도 6, 음성녹음 칩 블럭도 참조)에 녹음신호를 송출하고 (127), X의 어드레스 (Address)를 1씩 증가시켜 (128) Y=0, X=N/2가 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녹음을 진행한다 (134). Y=0, X=N/2가 되었는지의 확인단계에서 (129), X=N/2 블럭까지 녹음이 완료되면, 중앙처리장치는 녹음신호를 종료하고 음성녹음 칩에 EOM (End Of Message) 플래그를 설정할 수 있도록 신호를 보낸다(130), 음성녹음 칩은 Y=0, X=N/2 블럭에 EOM (End Of Message) 플래그를 설정하고 (131) "삐" 소리 등의 확인 음을 출력한 후 (132) 녹음 기능을 종료한다 (133). Y=0 블럭에 설정된 EOM 플래그는, 중앙처리장치 (CPU)에서 해당메시지 녹음블럭에 영구보존 기능이 설정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녹음버튼이 작동되었을 경우 (121) 메시지의 재생을 종료하고 (122) 재생되고 있던 메시지가 취침메시지 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123), 취침메시지 블럭 내용의 재생 이 아닐 경우, 재생되고 있던 메시지가 알람메시지 인지를 확인하여 (138), 알람메시지의 재생도 아닐 경우 에러 (Error)로 간주하고 영구보존 설정기능을 종료한다 (139). 재생되고 있던 메시지가 알람메시지 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138), 알람메시지 블럭 내용의 재생 시에는 중앙처리 장치가 Y=T+1블럭을 선택하여 (140), Y=T+1 블럭의 내용을 재생하고 (Y=T+1, X=0~N, 141), 해당 블럭에 EOM (End Of Message) 플래그 (Flag)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142) 해당블럭 (Y=T+1, X=0~N) 내에 EOM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영구 메시지 보존 기능이 설정되어 있음을 인지하여 알람메시지블럭을 녹음 불가능으로 분류한 후 (135), "삐"등의 경보 음을 출력하여 녹음 불가능 (영구 메시지 보존 기능이 설정되어 있음) 을 알리고 (136) 종료한다 (137). 해당블럭 (Y=T+1, X=0~N)에 EOM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중앙처리장치는 Y=T+1 블럭 (도 6, 음성녹음 칩 블럭도 참조)에 녹음신호를 송출하고 (143), X의 어드레스 (Address)를 1씩 증가시켜 (144) Y=T+1, X=N/2가 될 때까지(145) 지속적으로 녹음을 진행한다 (150). Y=T+1, X=N/2가 되었는지의 확인단계에서 (145), X=N/2 블럭까지 녹음이 완료되면, 중앙처리장치는 녹음신호를 종료하고 음성녹음 칩에 EOM (End Of Message) 플래그를 설정할 수 있도록 신호를 보낸다(146), 음성녹음 칩은 Y=T+1, X=N/2 블럭에 EOM (End Of Message) 플래그를 설정하고 (147) "삐" 소리 등의 확인 음을 출력한 후 (148) 녹음 기능을 종료한다 (149). Y=T+1 블럭에 설정된 EOM 플래그는, 중앙처리장치 (CPU)에서 해당메시지 녹음블럭에 영구보존 기능이 설정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도 5는 사용자가 알람기능의 선택 시 (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하는 알람기능선택 스위치를 조정할 때) 취침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의 흐름을 보여주는 순서도(Flow Chart)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취침 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지털 녹음기 (Digital Recorder)의 기능을 가진 알람시계 (Alarm)에서 사용자가 알람기능의 선택 시 (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하는 알람기능선택 스위치를 조정할 때) 취침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사용자가 기기를 작동시켜 (81) 알람기능을 선택하고자 하면, 중앙처리장치는 알람버튼이 작동되었는지를 확인하고 (82) 작동되었으면 다음단계로 넘어가고, 알람버튼이 작동되지 않았으면 종료한다 (93). 알람버튼이 작동된 것이 확인되면, 중앙처리장치 (CPU)는 알람버튼 전에 녹음버튼이 작동되었는지를 확인하고 (83) 작동되었으면 알람메시지 녹음 기능으로 실행한다 (94, 도2 참조), 녹음버튼이 작동되어 있지 않았으면, 중앙처리장치는 알람버튼 전에 재생버튼이 작동되었는지를 확인하고 (84) 작동되었으면 알람메시지 재생기능으로 실행하고 (95, 도3 참조) 재생버튼이 작동되지 않았으면 다음단계로 넘어간다. 알람버튼 이전에 녹음버튼 또는 재생버튼이 실행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경우, 알람기능 선택모드를 진행시켜 중앙처리장치는 알람플래그 (Alarm Flag : 알람기능이 설정되었음을 중앙처리장치에서관리하는 기능, Alarm Flag = 0 이면 알람기능 해제상태, Alarm Flag = 1 이면 알람기능 설정상태를 의미한다.)가 1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85) 1이 아닐 경우 (0일 경우) 알람플래그를 1로 설정하고 (86) 취침메시지 블럭을 찾아 (87) 출력부를 통해 해당 메시지 블럭의 내용을 재생한다 (88). 알람플래그의 설정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85)에서 이미 알람플래그가 1로 설정되어 있으면, 중앙처리장치 (CPU)는 알람플래그를 0으로 설정하여 (96) 알람기능을 해제시키고 알람기능 선택을 종료한다 (97). 취침메시지의 재생단계에서 (89), 중앙처리장치는 해당 블럭내의 메시지 재생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고 (90), 취침 메시지의 재생이 완료되었으면 취침메시지의 재생을 종료하고 (91) 알람기능 선택을 종료 (Alarm Flag = 0)한다 (92). 취침메시지의 재생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90), 재생이 완료되지 않았을 경우 중앙처리장치 (CPU)는 재생버튼이 작동되어 취침메시지 출력기능을 멈추도록 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98), 재생버튼이 작동되었을 경우 취침메시지 재생기능을 종료하고 (99), 알람기능 선택을 종료 (Alarm Flag = 0)하고 (100) 재생버튼이 작동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취침 메시지블럭에 정해진 시간동안 출력을 계속한다.
도 6는 사용자가 알람기능의 선택 (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하는 알람기능선택 스위치를 조정)해둔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이 되면 알람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의 흐름을 보여주는 순서도(Flow Chart)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사용자가 알람기능의 선택 (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하는 알람기능선택 스위치를 조정)해둔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이 되면 알람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중앙처리장치 (CPU)는 (101) 기기의 알람플래그 (Alarm Flag)가 1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 (102)하여 (Alarm Flag : 알람기능이 설정되었음을 중앙처리장치에서 관리하는 기능, Alarm Flag = 0 이면 알람기능 해제상태, Alarm Flag = 1 이면 알람기능 설정상태를 의미한다.) 알람플래그가 0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종료하고 (108), 알람플래그가 1로 설정되어 있으면, 현재시간과 알람 예약시간이 같은지를 확인하여 (103), 현재시간과 설정된 시간이 다르면 종료하고 (109), 현재시간과 설정된 시간이 같으면 알람메시지 출력기능을 진행한다. 중앙처리장치 (CPU)는 알람메시지 블럭을 찾아 녹음된 내용을 재생하고 (104) 알람메시지의 재생단계 (105)에서, 중앙처리장치는 해당 블럭내의 메시지 재생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고 (106), 알람메시지의 재생이 완료되었으면 "삐리리~"등의 알람음을 순차적으로 재생한다 (107). 알람메시지의 재생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106), 재생이 완료되지 않았을 경우 중앙처리장치에서는 알람버튼이 작동되어 알람메시지 출력기능을 멈추도록 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110), 알람버튼이 작동되었을 경우 알람메시지 재생기능을 종료하고 (111) 알람플래그를 0으로 설정하여 알람기능 설정을 해제한 후(112), 알람메시지 출력기능을 종료하고 (113), 알람메시지의 출력시간이 설정된 시간 (예:2분)이 경과하였는지를 확인하여 (114)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알람메시지 재생기능을 종료하고 (111) 알람플래그를 0으로 설정하여 알람기능 설정을 해제한 후, 알람메시지 출력기능을 종료한다 (113).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의 확인단계 (114) 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알람메시지 및 "삐리리~"등의 알람음을 순차적으로 정해진 시간만큼 출력을 계속한다 (105).
도 7은 사용자가 녹음되어 있는 메시지를 영구 보존하고자 할 때, 음성 녹음 칩 (Voice Chip)의 메시지블럭을 보여주는 블럭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사용자가 녹음되어 있는 메시지를 영구 보존하고자 할 때, 음성 녹음 칩 (Voice Chip)의 메시지 블럭의 상태에 대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음성녹음 칩 (Voice Chip)의 음성녹음이 가능한 메시지 블럭은 X축과 Y축으로 구분되며 각각 X축 0 ~ N 만큼, Y축 0 ~ n만큼의 메시지 녹음블럭안에 음성메시지가 녹음되도록 한다.
이 음성녹음이 가능한 메시지 블럭을 C 구역과 D 구역으로 나누어, C구역 (Y = 0~T, X = 0 ~ N) 에 취침 메시지를 녹음할 경우, Y=0 (X= 0 ~N)블럭은 취침메시지의 영구보존 확인을 위한 블럭으로 설정한다. 취침 메시지블럭 (C)에 메시지를 녹음하고자 할 경우, 취침메시지는 Y=1 (X=0)블럭에서 녹음이 시작되어 Y=T (X=N) 블럭 내에서 녹음기능이 실행된다. Y=0 (X=0~N)블럭은 취침메시지를 영구보존 하기 위하여 기기를 작동시킬 경우 Y=0 (X= N/2)지점에 EOM (End Of Message) 플래그 (Flag)를 설정하여, 취침메시지 블럭에 더 이상 녹음 및 재녹음을 할 수 없도록 중앙처리장치 (CPU)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D구역 (Y = T+1 ~ n, X = 0 ~ N) 에 알람 메시지를 녹음할 경우, 알람메시지는 Y=T+1(X= 0 ~N)블럭은 알람 메시지의 영구보존 확인을 위한 블럭으로 설정한다. 알람 메시지블럭 (D)에 메시지를 녹음하고자 할 경우, 알람메시지는 Y=T+2 (X=0)블럭에서 녹음이 시작되어 Y=n (X=N) 블럭 내에서 녹음기능이 실행된다. Y=T+1 (X=0~N)블럭은 알람메시지를 영구보존 하기 위하여 기기를 작동시킬 경우 Y=T+1 (X= N/2)지점에 EOM (End Of Message) 플래그 (Flag)를 설정하여, 알람메시지 블럭에 더 이상 녹음 및 재녹음을 할 수 없도록 중앙처리장치 (CPU)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알람기능의 선택시 (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하는 알람기능선택 스위치를 조정할 때) 취침 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지털 녹음기 (Digital Recorder)의 기능을 가진 알람시계 (Alarm)는, 기존의 디지털 녹음기의 기능에 시간 예약 알람기능을 첨가하여 디지털 녹음기의 기능을 디지털 알람시계로 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취침 메시지와 알람 메시지를 구분하여 녹음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하여, 알람기능의 선택 (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하는 알람기능선택 스위치를 조정할 때)시 알람기능을 설정하는 시간과 상관없이 별도로 녹음한 취침 메시지를 출력하게 하고, 설정된 알람 시간에는 알람 메시지로 녹음한 내용을 출력하게 한다. 이때, 취침메시지와 알람메시지를 자신, 혹은 타인의 목소리 또는 원하는 음악등으로 녹음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정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음성 또는 음악 메시지를 음성녹음 칩 (Voice Chip)에 저장할 때, 한개의 음성녹음 칩을 이용할 경우, 음성녹음 칩의 저장부를 알람 메시지 녹음 블럭 (Block)과 취침 메시지 녹음 블럭으로 구분하여 녹음되도록 함으로서 녹음 및 재생 시에 메시지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고, 필요시 특정 버튼을 조작할 경우 녹음된 내용이 영구적으로 삭제할 수 없도록 하는 관리기능이 작동되도록 함으로서 선물용이나 업체 홍보용으로 메시지를 녹음했을 경우 등 필요에 따라 녹음되어 있는 메시지가 영구 보존될 수 있도록 하였다.

Claims (6)

  1. 알람기능(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 해제하는 기능)의 설정시 취침 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지털 녹음기 (Digital Recorder)의 기능을 가진 알람시계 (Alarm)에서, 여러 가지 신호를 제어하여 기기를 동작하게 하는 중앙제어부 (CPU)와 디지털화 된 메시지를 저장하는 디지털 녹음 및 재생부 (Digital Recorder and Play Device), 신호를 시각화하는 디스플레이부 (LCD or Digitron Display Panel), 각종 시간 관련 정보를 보내주는 시간제어부 (Timer control), 음성메시지를 녹음하기 위한 입력부 (Microphone), 녹음되어있는 메시지를 재생하기 위한 출력부 (Speaker), 기능을 선택하는 버튼블럭 (Button Control Block) 등으로 이루어진알람기능(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 해제하는 기능)의 설정시 취침 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지털 녹음기 (Digital Recorder)의 기능을 가진 알람시계 (Alarm).
  2. 제 1항에 있어서 설정된 시간에 사용자가 취침 메시지로 녹음한 음성 또는 음악이 알람기능의 선택 (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하는 알람기능선택 스위치를 조정할 때)시 기능을 설정하는 시간과 관계없이 녹음된 내용이 취침 메시지로 출력되는알람기능(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 해제하는 기능)의 설정시 취침 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지털 녹음기 (Digital Recorder)의 기능을 가진알람시계 (Alarm).
  3. 제 1항에 있어서, 설정된 시간이 되면, 사용자가 기기에 녹음해 둔 메시지 또는 음악이 일정시간 지속적으로 반복 출력되어 아침 기상시간이나 별도의 설정된 시간을 알려주도록 하며, 필요시에는 "삐" 소리 등의 전자음과 교대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서 시간이 되었음을 알려주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알람기능(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 해제하는 기능)의 설정시 취침 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지털 녹음기 (Digital Recorder)의 기능을 가진 알람시계 (Alarm).
  4. 제 1항에 있어서 기 녹음된 내용이 있을 경우, 예약 등의 설정된 시간과 상관없이 수시로 저장되어 있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재생이 가능한알람기능 (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 해제하는 기능)의 설정시 취침 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지털 녹음기 (Digital Recorder)의 기능을 가진 알람시계 (Alarm).
  5. 제 1항에 있어서 한개의 버튼 조작만으로 알람기능의 설정과 취침메시지 출력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하는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한개의 중앙처리장치 (CPU)를 이용한 프로그램 상의 조절로 전원이 차단되었을 경우에도 음성녹음칩 (Voice Chip)에 녹음된 내용이 지워지지 않고 영구보존될 수 있도록 하는방법.
KR1020000053374A 2000-09-08 2000-09-08 알람기능(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 해제하는기능)의 설정시 취침 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지털 녹음기의기능을 가진 알람시계 KR200200201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374A KR20020020152A (ko) 2000-09-08 2000-09-08 알람기능(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 해제하는기능)의 설정시 취침 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지털 녹음기의기능을 가진 알람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374A KR20020020152A (ko) 2000-09-08 2000-09-08 알람기능(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 해제하는기능)의 설정시 취침 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지털 녹음기의기능을 가진 알람시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0152A true KR20020020152A (ko) 2002-03-14

Family

ID=19688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3374A KR20020020152A (ko) 2000-09-08 2000-09-08 알람기능(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 해제하는기능)의 설정시 취침 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지털 녹음기의기능을 가진 알람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01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94566A (en) * 2002-10-23 2004-04-28 Terry James Almond Alarm clock with voice record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94566A (en) * 2002-10-23 2004-04-28 Terry James Almond Alarm clock with voice recor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5536A (en) Device for playing recorded audio at a selected time
KR200197269Y1 (ko) 알람기능(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해제하는기능)의 설정시 취침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지털녹음기의 기능을 가진 알람시계
KR20020020152A (ko) 알람기능(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 해제하는기능)의 설정시 취침 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지털 녹음기의기능을 가진 알람시계
US6998961B2 (en) Alarm clock with voice message input
JP3764940B2 (ja) 音声記録再生装置、音声記録再生方法、及び音声記録再生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7385129B2 (en) Music reproducing system
JPH08313656A (ja) 随時報知録音設定式時計装置
GB2296346A (en) Alarm clock
JPS6122399A (ja) 録音再生方式
JPH0125354Y2 (ko)
KR960002152B1 (ko)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예약/반복재생 방법 및 그 장치
JP4963529B2 (ja) データ再生装置
JPS6289100A (ja) 音声発生装置
KR200348712Y1 (ko) 음악 자동 재생 장치
JP2002184159A (ja) ディジタル式記録再生装置
JP2000259185A (ja) 記録再生装置
JPS63257998A (ja) 電子伝言装置
KR960007961Y1 (ko) 어학 연습용 시계 장치
JP2671281B2 (ja) 装飾時計の装飾体駆動制御方法
JP2003068018A (ja) 信号入出力装置
JP2556741Y2 (ja) プレーヤ装置
JP2001344878A (ja) 再生装置
JP2501053Y2 (ja) 音響機器
KR100299116B1 (ko) 뮤직박스의 음성 녹음/재생장치 및 그 녹음/재생방법
KR20010003894A (ko) 스케줄 관리와 메모기능 및 포인터 기능을 가진 디지털 녹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