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9116B1 - 뮤직박스의 음성 녹음/재생장치 및 그 녹음/재생방법 - Google Patents

뮤직박스의 음성 녹음/재생장치 및 그 녹음/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9116B1
KR100299116B1 KR1019990030973A KR19990030973A KR100299116B1 KR 100299116 B1 KR100299116 B1 KR 100299116B1 KR 1019990030973 A KR1019990030973 A KR 1019990030973A KR 19990030973 A KR19990030973 A KR 19990030973A KR 100299116 B1 KR100299116 B1 KR 100299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music
sound
recording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0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1552A (ko
Inventor
이강원
Original Assignee
이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원 filed Critical 이강원
Priority to KR1019990030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9116B1/ko
Publication of KR20010011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1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9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91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18Selecting circuits
    • G10H1/26Selecting circuits for automatically producing a series of ton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6Jewel box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7/00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 H03G7/007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of digital or coded signa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351Environmental parameters, e.g. temperature, ambient light, atmospheric pressure, humidity, used as input for musical purpos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05Device type or category
    • G10H2230/015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or palmtop computing devices used for musical purposes, e.g. portable music players, tablet computers, e-readers or smart phones in which mobile telephony functions need not be us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 G11B2020/10555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wherein the frequency, the amplitude, or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audio signal is taken into account
    • G11B2020/10574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wherein the frequency, the amplitude, or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audio signal is taken into account volume or amplitu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뮤직박스에 본인의 음성으로 축하 메시지나 인사말 등을 녹음하였다가 CD음질수준의 뮤직(배경음악)과 함께 재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뮤직박스의 기능을 다양화하여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도록 한 뮤직박스의 음성 녹음/재생장치 및 그 녹음/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녹음의 개시 및 종료를 조작하는 녹음조작수단;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입력수단; 그 내부에 미리 특정의 뮤직 사운드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녹음조작수단의 조작에 따라 상기 음성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음성을 더 저장하는 음원처리수단; 상기 음원처리수단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동작표시수단; 음성/뮤직 사운드의 음량 및 그 출력유무를 조절하는 볼륨조절수단; 뮤직박스 내부에 배치되어 덮개의 개방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감지하는 빛감지수단; 음성의 출력유무를 선택하는 음성선택수단; 상기 볼륨조절수단의 조절상태에 따라 음성/뮤직 사운드의 음량 및 그 출력유무를 설정하며, 상기 빛감지수단의 감지 결과를 입력받고, 상기 음성선택수단의 선택에 따라 음성 및 뮤직 사운드를 동시에 또는 각각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음원처리수단을 제어하는 마이컴; 및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음원처리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또는 뮤직 사운드를 외부로 출력시키는 음성/뮤직 사운드 출력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뮤직박스의 음성 녹음/재생장치 및 그 녹음/재생방법{Sounds recording and regeneration device for music box and the method of its recording and regeneration}
본 발명은 뮤직박스(Music Box)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뮤직 사운드가 재생되는 뮤직박스에 본인의 음성으로 축하 메시지나 인사말 등을 녹음하였다가 CD음질수준의 뮤직 사운드(배경음악)와 함께 재생할 수 있도록 한 뮤직박스의 음성 녹음/재생장치 및 그 녹음/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멜로디함은 주로 여성들의 장신구 및 보석 등을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선물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멜로디함의 구성을 대략적으로 살펴보면, 장신구 및 보석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를 개폐하는 덮개가 구비되며, 또한 상기 덮개를 열었을 때 아름다운 선율의 멜로디가 재생되도록 그 내부에 전기적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멜로디함은, 단순히 그 내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특정의 단음인 멜로디만을 재생하기 때문에 그 기능이 매우 단조롭다. 즉, 예로서 선물을 하는 사람이 축하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할 경우에는 그 내용을 편지나 메모 등을 이용하여 글로써 전달할 수밖에 없으므로,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뮤직박스에 본인의 음성으로 축하 메시지나 인사말 등을 녹음하였다가 뮤직 사운드와 함께 재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뮤직박스의 기능을 다양화하여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도록 한 뮤직박스의 음성 녹음/재생장치 및 그 녹음/재생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 따른 뮤직박스의 음성 녹음/재생장치를 나타낸 상세 회로도,
도 2는 도 1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뮤직박스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뮤직박스 음성 녹음/재생방법을 나타낸 제어 순서도,
도 4는 도 3의 음성 및 뮤직 사운드 재생방법을 보여주는 타임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마이컴, 20 - 빛감지수단,
30 - 볼륨조절수단, 40 - 음성선택수단,
50 - 음성/뮤직 사운드 출력수단, 60 - 녹음조작수단,
70 - 동작표시수단, 80 - 음원처리수단,
90 - 음성입력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뮤직박스의 음성 녹음/재생장치의 특징은, 녹음의 개시 및 종료를 조작하는 녹음조작수단;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입력수단; 그 내부에 미리 특정의 뮤직 사운드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녹음조작수단의 조작에 따라 상기 음성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음성을 더 저장하는 음원처리수단; 상기 음원처리수단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동작표시수단; 음성/뮤직 사운드의 음량 및 그 출력유무를 조절하는 볼륨조절수단; 뮤직박스 내부에 배치되어 덮개의 개방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감지하는 빛감지수단; 음성의 출력유무를 선택하는 음성선택수단; 상기 볼륨조절수단의 조절상태에 따라 음성/뮤직 사운드의 음량 및 그 출력유무를 설정하며, 상기 빛감지수단의 감지 결과를 입력받고, 상기 음성선택수단의 선택에 따라 음성 및 뮤직 사운드를 동시에 또는 각각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음원처리수단을 제어하는 마이컴; 및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음원처리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또는 사운드를 외부로 출력시키는 음성/뮤직 사운드 출력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이컴은 음성과 뮤직 사운드가 동시에 재생되는 상태에서, 음성이 출력되는 시간에는 사운드의 음량을 미리 설정된 레벨 이하로 낮추도록 제어한다. 상기 음원처리수단은 DSP칩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뮤직박스의 음성 녹음/재생방법의 특징은, 볼륨스위치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여, 1회 입력되었을 경우 음량을 대로, 2회 입력되었을 경우 음량을 중으로, 3회 입력되었을 경우 음량을 소로, 4회 입력되었을 경우 오프로 설정하는 단계; 녹음스위치가 온되었을 경우 음성녹음을 수행하는 단계; 및 빛이 감지되었을 경우 음성 또는 뮤직 사운드를 재생하되, 음성선택스위치가 온되어 있을 경우에는 음성과 뮤직 사운드를 동시에 재생하고, 상기 음성선택스위치가 오프되어 있을 경우에는 배경음악인 뮤직 사운드만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음성과 뮤직 사운드를 동시에 재생하는 상태에서, 음성이 1회 재생된 후에는 뮤직 사운드만을 반복 재생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음성과 뮤직 사운드를 동시에 재생하는 상태에서, 음성이 출력되는 시간에는 사운드의 음량을 미리 설정된 레벨 이하로 낮추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뮤직박스의 음성 녹음/재생장치 및 그 녹음/재생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따른 뮤직박스의 음성 녹음/재생장치를 나타낸 상세 회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뮤직박스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마이컴(10)과, 빛감지수단(20)과, 볼륨조절수단(30)과, 음성선택수단(40)과, 음성/뮤직 사운드 출력수단(50)과, 녹음조작수단(60)과, 동작표시수단(70)과, 음원처리수단(80)과, 그리고 음성입력수단(9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녹음조작수단(60)은 녹음의 개시 및 종료를 조작하기 위하여 녹음조작스위치(SW3)가 마련되며, 음성입력수단(90)은 사람의 음성을 입력받도록 마이크(MIC)가 마련된다.
또한, 음원처리수단(80)은 그 내부에 미리 특정의 뮤직 사운드를 저장하고있으며, 상기 녹음조작수단(6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음성입력수단(90)을 통하여 입력된 음성을 더 저장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음원처리수단(80)은 통상의 DSP(Digital Signal Processing)칩이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작표시수단(70)은 발광다이오드(LED)를 이용하여 상기 음원처리수단(80)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고, 볼륨조절수단(30)은 볼륨스위치(SW1)로써 음성/뮤직 사운드의 음량 및 그 출력유무를 조절한다.
빛감지수단(20)은 뮤직박스(1) 내부에 배치되어 덮개(2)의 개방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감지하는 포토트랜지스터(PT1)를 포함하며, 음성선택수단(40)은 선택스위치(SW2)를 통하여 음성의 출력유무를 선택한다.
마이컴(10)은 상기 볼륨조절수단(30)의 조절상태에 따라 음성/뮤직 사운드의 음량 및 그 출력유무를 설정하며, 상기 빛감지수단(20)의 감지 결과를 입력받고, 상기 음성선택수단(40)의 선택에 따라 음성 및 뮤직 사운드를 동시에 또는 각각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음원처리수단(80)을 제어한다. 여기서, 마이컴(10)은 음성과 사운드가 동시에 재생되는 상태에서, 음성이 출력되는 시간에는 뮤직 사운드의 음량을 미리 설정된 레벨 이하로 낮추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성/뮤직 사운드 출력수단(50)은 스피커(SP)와 다이오드(D1) 및 트랜지스터(Q1)를 이용하여 상기 마이컴(1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음원처리수단(80)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또는 뮤직 사운드를 외부로 출력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각부에 직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또는 아답터가 구비될 수 있으나, 이러한구성요소는 통상적인 것이므로 여기서 그 세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뮤직박스의 음성 녹음/재생방법을 나타낸 제어 순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음성 및 뮤직 사운드 재생방법을 더욱 상세히 나타낸 타임차트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르면, 뮤직박스(1)로부터 재생되는 음량의 크기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볼륨스위치(SW1)를 조작하면, 마이컴(10)은 이 볼륨스위치(10)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여, 1회 입력되었을 경우 음량을 대(大)로, 2회 입력되었을 경우 음량을 중(中)으로, 3회 입력되었을 경우 음량을 소(小)로, 4회 입력되었을 경우 오프(OFF)로 설정한다(S10~S17).
한편, 사용자가 녹음을 하기 위하여 녹음스위치(SW3)가 온되었을 경우에는 음성녹음을 수행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녹음스위치(SW3)를 눌러 음원처리수단(80)에 녹음 개시를 알리고, 본인의 음성으로 축하 메시지나 인사말을 하면 이 음성은 마이크(MIC)를 통하여 상기 음원처리수단(80)의 DSP에 즉시 저장하여 녹음작업이 완료된다(S18~S19).
이후, 상기 뮤직박스(1)의 덮개(2)를 개방시켜 상기 뮤직박스(1) 내부에 빛이 조사되면, 그 내부에 설치된 포토트랜지스터(PT1)에 빛이 감지된다. 따라서, 마이컴(10)은 이와 같이 포토트랜지스터(PT1)에 빛이 감지되었을 경우에 음성 또는 CD음질수준의 뮤직 사운드를 재생한다. 이때, 마이컴(10)은 먼저 음성선택스위치(SW2)가 온되어있는가를 판단하여 온되어 있을 경우에는 음성과 뮤직 사운드를 동시에 재생하고, 상기 음성선택스위치(SW2)가 오프되어 있을 경우에는 뮤직 사운드만을 재생한다(S20~S22). 상기 음성선택스위치(SW2)는 사용자가 임의로 언제든지 온 또는 오프상태로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마이컴(10)은 상기 음성선택스위치(SW2)가 온되어 있어 음성과 뮤직 사운드를 동시에 재생하는 상태에서, 음성이 1회 재생된 후에는 뮤직 사운드만을 반복 재생하도록 한다(S23~S25).
또한, 상기 음성과 뮤직 사운드를 동시에 재생하는 상태에서, 음성이 출력되는 시간에는 사운드 음량을 미리 설정된 레벨 이하로 낮추도록 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뮤직 사운드는 하이(HIGH)레벨로 출력되다가 음성이 출력되는 동안에는 그 출력을 로우(LOW)레벨로 낮추어 작은 소리의 배경음악이 연주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뮤직박스의 음성 녹음/재생장치 및 그 녹음/재생방법에 의하면, 뮤직박스에 본인의 음성으로 축하 메시지나 인사말 등을 녹음하였다가 뮤직 사운드와 함께 재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편하게 메시지나 인사말을 전달할 수 있음과 아울러, 뮤직박스의 기능을 다양화하여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므로, 뮤직박스의 부가가치를 더욱 상승시키는 등의 다양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6)

  1. 녹음의 개시 및 종료를 조작하는 녹음조작수단;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입력수단; 그 내부에 CD음질수준의 뮤직 사운드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녹음조작수단의 조작에 따라 상기 음성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음성을 더 저장하는 음원처리수단; 상기 음원처리수단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동작표시수단; 음성/뮤직 사운드의 음량 및 그 출력유무를 조절하는 볼륨조절수단; 뮤직박스 내부에 배치되어 덮개의 개방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감지하는 빛감지수단; 음성의 출력유무를 선택하는 음성선택수단; 상기 볼륨조절수단의 조절상태에 따라 음성/뮤직 사운드의 음량 및 그 출력유무를 설정하며, 상기 빛감지수단의 감지 결과를 입력받고, 상기 음성선택수단의 선택에 따라 음성 및 뮤직 사운드를 동시에 또는 각각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음원처리수단을 제어하는 마이컴; 및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음원처리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또는 사운드를 외부로 출력시키는 음성/뮤직 사운드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뮤직박스의 음성 녹음/재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음성과 뮤직 사운드가 동시에 재생되는 상태에서, 음성이 출력되는 시간에는 뮤직 사운드의 음량을 미리 설정된 레벨 이하로 낮추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뮤직박스의 음성 녹음/재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처리수단은 DSP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뮤직박스의 음성 녹음/재생장치.
  4. 볼륨스위치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여, 1회 입력되었을 경우 음량을 대로, 2회 입력되었을 경우 음량을 중으로, 3회 입력되었을 경우 음량을 소로, 4회 입력되었을 경우 오프로 설정하는 단계;
    녹음스위치가 온되었을 경우 음성녹음을 수행하는 단계; 및
    빛이 감지되었을 경우 음성 또는 뮤직 사운드를 재생하되, 음성선택스위치가 온되어 있을 경우에는 음성과 뮤직 사운드를 동시에 재생하고, 상기 음성선택스위치가 오프되어 있을 경우에는 뮤직 사운드만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뮤직박스의 음성 녹음/재생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과 뮤직 사운드를 동시에 재생하는 상태에서, 음성이 1회 재생된 후에는 뮤직 사운드만을 반복 재생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뮤직박스의 음성 녹음/재생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과 뮤직 사운드를 동시에 재생하는 상태에서, 음성이 출력되는 시간에는 뮤직 사운드의 음량을 미리 설정된 레벨 이하로 낮추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뮤직박스의 음성 녹음/재생방법.
KR1019990030973A 1999-07-29 1999-07-29 뮤직박스의 음성 녹음/재생장치 및 그 녹음/재생방법 KR100299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973A KR100299116B1 (ko) 1999-07-29 1999-07-29 뮤직박스의 음성 녹음/재생장치 및 그 녹음/재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973A KR100299116B1 (ko) 1999-07-29 1999-07-29 뮤직박스의 음성 녹음/재생장치 및 그 녹음/재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552A KR20010011552A (ko) 2001-02-15
KR100299116B1 true KR100299116B1 (ko) 2001-09-29

Family

ID=19605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0973A KR100299116B1 (ko) 1999-07-29 1999-07-29 뮤직박스의 음성 녹음/재생장치 및 그 녹음/재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911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552A (ko)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004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variable music notation
KR100299116B1 (ko) 뮤직박스의 음성 녹음/재생장치 및 그 녹음/재생방법
KR200167122Y1 (ko) 뮤직박스의사운드출력및음성녹음/재생장치
US7120266B2 (en) Pendent audio player
KR200292880Y1 (ko) 육성 녹음 재생 보석함
JP2006259474A (ja) カラオケ装置
JP2909898B1 (ja) 視聴冊子
KR200224631Y1 (ko) 화장품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음성 녹음및 재생장치
JPH10124074A (ja) 楽音発生装置
KR200197269Y1 (ko) 알람기능(정해진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해제하는기능)의 설정시 취침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지털녹음기의 기능을 가진 알람시계
KR200385199Y1 (ko) 엠피3 파일 재생 장치
KR200275697Y1 (ko) 메시지 녹음 및 재생 기능을 갖는 시계
KR0111829Y1 (ko) 자동편곡 기능과 음이온 발생기가 부착된 가요반주기
KR100561315B1 (ko) 노래반주기의 장르별 최적음역 자동설정장치 및 방법
KR200320568Y1 (ko) 알람 시계
JPH0728607Y2 (ja) 歌唱装置
KR20020042795A (ko) 금연 문구를 육성 녹음 재생한 담배 케이스
KR200177168Y1 (ko) 음성기억 카드
JPH04311998A (ja) カラオケのピッチ制御システム
JP4075126B2 (ja) 記録再生装置
KR200286273Y1 (ko) 육성 녹음 재생한 담배 케이스
JP3146905B2 (ja) 半導体録音機
KR100449337B1 (ko) 육성 녹음 재생 보석함
KR20000073402A (ko) 엠펙 데이터 재생기능을 갖는 노래반주장치 및 그 재생방법
KR20010044104A (ko) 화장품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음성 녹음및 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