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9386A - 차량의 스윙 아암식 현가(懸架)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스윙 아암식 현가(懸架)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9386A
KR20020019386A KR1020010049927A KR20010049927A KR20020019386A KR 20020019386 A KR20020019386 A KR 20020019386A KR 1020010049927 A KR1020010049927 A KR 1020010049927A KR 20010049927 A KR20010049927 A KR 20010049927A KR 20020019386 A KR20020019386 A KR 20020019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arm
cushion unit
attached
vehicl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9771B1 (ko
Inventor
고고가즈히코
Original Assignee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모토 노부히코
Publication of KR20020019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9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9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97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62K25/06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telescopic fork, e.g. including auxiliary rocking arms
    • B62K25/10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telescopic fork, e.g. including auxiliary rocking arms for rear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62K25/28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pivoted chain-stay
    • B62K25/283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pivoted chain-stay for cycles without a pedal crank, e.g. motor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62K25/28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pivoted chain-stay
    • B62K25/286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pivoted chain-stay the shock absorber being connected to the chain-stay via a linkage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xle Suspensions And Sidecars For Cycl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파워 유닛(16)에 설치한 피벗 축(31)에 스윙 아암(32)의 일단을 스윙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 스윙 아암(32)의 다른 단에 후륜을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와 같은 스윙 아암(32)에 쿠션 유닛(34)의 상단을 부착하고, 이 쿠션 유닛(34)의 하단을 링크 기구(37)를 통해 피벗 축(31)보다 아래 위치인 파워 유닛 스윙 축(55)에서 파워 유닛(16)에 연결했다.
시트 프레임 등의 차체 프레임에 쿠션 유닛의 상단을 부착하지 않아도 되고, 차체 프레임에, 전장품 등의 비품을 집중하여 배치할 수 없게 되어, 차량의 운동 성능을 높이고, 차량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차량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 차체 프레임의 설계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스윙 아암식 현가(懸架) 장치{Swing arm type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운동 성능을 높이는 동시에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또 차량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차체 프레임의 설계 자유도를 증가시키는 데에 적합한 차량의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9는 종래의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를 구비한 차량의 설명도로, 차량(100)의 차체 프레임(101)의 하부에 엔진 및 변속기로 이루어진 파워 유닛(102)을 부착하고, 이들의 차체 프레임(101) 및 파워 유닛(102)의 후부에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103)를 배치한 상태를 도시한다.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103)는, 파워 유닛(102)의 후부에 스윙 아암(104)을 스윙 가능하게 부착하고, 스윙 아암(104)의 후단에 후륜(105)을 부착하고, 차체 프레임(101)의 후부에 쿠션 유닛(106)의 일단을 부착하고, 쿠션 유닛(106)의 다른 단에, 스윙 아암(104)에 부착한 제1 링크 부재(107)를 연결하고, 제1 링크 부재(107)에 파워 유닛(102)에 부착한 제2 링크 부재(108)를 연결한 것이다. 또, 111은 차체 프레임(101)의 전단에 부착한 헤드 파이프, 112는 헤드 파이프(111)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한 프론트포크, 113은 전륜이다.
도 10은 종래의 차체 프레임의 평면도이고, 차체 프레임(101)은 헤드 파이프(111)가 좌우 한 쌍의 메인 프레임(115, 115)을 뒷쪽으로 연장하고, 이들 메인 프레임(115, 115)의 각 후단에 크로스 빔(116)을 걸쳐서, 이 크로스 빔(116)에 쿠션 유닛(106)(도 9 참조)의 상단을 부착하는 부착부(117)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 기술에서는, 크로스 빔(116)의 위치는 차체 중심 근방의 공간에 있어, 배터리나 각종 전장품 등의 비품을 배치하는 데에는 적합한 장소이기 때문에, 크로스 빔(116)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비품은 다른 장소에 분산시켜 배치하지 않으면 안되어, 중량이 분산해 버린다. 또, 비품이 분산되면, 비품을 차량(100)에 조립할 때에 이동하면서 작업을 행해야만 되므로, 생산성이 저하한다. 또, 차량(100)이 대형으로 되거나, 차체 프레임(101)의 형상이 한정되는 경우도 있다.
또, 생산 라인에서 차량(100)을 조립하는 경우, 차체 프레임(101)의 후부에 쿠션 유닛(106)의 일단을 부착하고, 쿠션 유닛(106)의 다른 단을 제1·제2 링크 부재(107, 108)를 통해 스윙 아암(104) 및 파워 유닛(102)에 연결한 차량(100)에서는, 서브 라인에서, 미리 스윙 아암(104)에 쿠션 유닛(106), 제1·제2 링크 부재(107, 108) 및 후륜(105)을 조립한 서브 어셈블리에 작게 조립하고, 이 서브 어셈블리를 메인 라인에서 차체측인 차체 프레임(101) 및 파워 유닛(102)에 부착한다. 이 경우, 서브 어셈블리의 스윙 아암(104), 쿠션 유닛(106) 및 제2 링크 부재(108)의 각각의 단부를 차체 프레임(101) 및 파워 유닛(102)에 부착하게 되는데, 스윙 아암(104)에 대해 쿠션 유닛(106) 및 제2 링크 부재(108)의 단부가 위치결정되지 않고, 서브 어셈블리는 반송이 용이하지 않고, 또 파워 유닛(102)으로의 부착시에는 취급이 어렵게 되어, 부착이 번거롭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 중심부에 비품을 집중시키도록 하여, 차량의 운동 성능을 높이는 동시에,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또 차량의 소형화를 도모하여, 차체 프레임의 설계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또 생산 라인에서 작게 조립한 서브 어셈블리의 반송이 용이하여, 서브 어셈블리를 차체측에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는 차량의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제1 실시형태)를 구비한 차량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제1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제1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하는 제1 작용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제1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하는 제2 작용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제1 실시형태)에서의 후륜 차축의 변위량과 쿠션 유닛의 스트로크량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제2 실시형태)의 주요부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제3 실시형태)의 주요부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제4 실시형태)의 주요부 측면도,
도 9는 종래의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를 구비한 차량의 설명도,
도 10은 종래의 차체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량(자동 이륜차) 16 : 차체측(파워 유닛)
30, 60, 70, 80 :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31 : 피벗 축 32 : 스윙 아암
33 : 차륜(후륜) 34 : 쿠션 유닛
51, 62, 73 : 제1 링크 부재(제1 링크)
53, 63, 74 : 제2 링크 부재(제2 링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은, 차체측에 설치한 피벗 축에 스윙 아암의 일단을 스윙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 스윙 아암의 다른 단에 차륜을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와 같은 스윙 아암에 쿠션 유닛의 상단을 부착하고, 이 쿠션 유닛의 하단을 피벗 축보다 아래 위치에서 차체측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는, 시트 프레임 등의 차체 프레임에, 쿠션 유닛의 상단을 부착했다. 이에 대해, 청구항 1에서는 쿠션 유닛의 상단을 스윙 아암에 부착하도록 했다. 그 결과, 차체 프레임에 크로스 파이프를 설치하거나, 쿠션 유닛의 상단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차체 프레임에 전장품 등의 비품을 집중하여 배치할 수 있게 되어, 오프 로드 사양이나 레이스 사양의 차량의 운동 성능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차량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비품의 집중화에 의해 차량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 차체 프레임의 설계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청구항 2는, 차체측에 설치한 피벗 축에 스윙 아암의 일단을 스윙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 스윙 아암의 다른 단에 차륜을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와 같은 스윙 아암에 쿠션 유닛의 일단을 부착하고, 이 쿠션 유닛의 다른 단을 스윙 아암에 연결한 제1 링크 부재에 부착하는 동시에, 이 제1 링크 부재를 차체측에 연결한 제2 링크 부재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생산 라인에서 차량을 조립하는 경우, 서브 라인에서 스윙 아암에 쿠션 유닛, 제1·제2 링크 부재 및 후륜을 부착하여 서브 어셈블리로서 작게 조립하면, 쿠션 유닛의 양단을 스윙 아암에 대해 위치 결정할 수 있어, 메인 라인에서 차체측에 서브 어셈블리를 부착하는 경우에, 스윙 아암 및 제2 링크 부재의 단부를 차체측에 부착하기만 하면 되므로, 종래의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에 비교하여, 서브 어셈블리는 반송시나 부착시에 취급하기 쉬워지게 되고, 서브 어셈블리의 반송이 용이하고, 부착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 도면은 부호의 방향에서 본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스윙 아암식 현가장치(제1 실시형태)를 구비한 차량의 측면도이고, 자동 이륜차(10)는 메인 프레임(11)과 이 메인 프레임(11)의 전단부에 설치한 헤드 파이프(12)에 프론프 포크(13) 및 전륜(14)을 조타(操舵) 가능하게 부착하고, 프론트 포크(13)의 상부에 핸들(15)을 부착하고, 메인 프레임(11)의 하부에 엔진 및 가속기로 이루어진 차체측으로서의 파워 유닛(16)을 부착하고, 이 파워 유닛(16)의 후부에 본 발명의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30)를 부착하고, 메인 프레임(11)의 상부에 연료 탱크(17)를 부착하고, 이 연료 탱크(17)의 뒷쪽에 시트(18, 21)를 배치한 차량이다. 또, 22는 카울링, 23, 24는 메인 프레임(11)의 후부에서 뒷쪽으로 경사져 윗쪽으로 연장한 시트 프레임 및 서브 프레임, 25는 후륜 차축이다.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30)는, 파워 유닛(16)의 후부에 피벗 축(31)을 설치하고, 이 피벗 축(31)에 스윙 아암(32)의 전단을 스윙가능하게 부착하고, 이 스윙 아암(32)의 후단에 차륜으로서의 후륜(33)을 부착하고, 스윙 아암(32)의 피벗 축(31) 근방에, 후륜(33) 및 스윙 아암(32)을 통해 차체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 유닛(34)의 상단을 부착하고, 쿠션 유닛(34)의 하단을 파워 유닛(32)의 하부에 링크 기구(뒤에서 상세히 서술한다)를 통해 부착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제1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스윙 아암(32)은 상부에 쿠션 유닛(34)을 부착하기 위한 상부 브래킷(36)을 설치하고, 하부에 링크 기구(37)를 부착하기 위한 하부 브래킷(38)을 설치한 것이다.
쿠션 유닛(34)은, 실린더부(41)와, 이 실린더부(41)에 이동 가능하게 수납한 도시하지 않은 피스톤에 부착한 피스톤 로드(42)와, 이 피스톤 로드(42)의 단부에 설치한 하단 부착부(43)와, 실린더부(41) 및 하단 부착부(43) 각각의 사이에 개재시킨 현가 스프링(44)으로 이루어지고, 실린더부(41)의 단부에 설치한 상단 부착부(46)를 스윙 아암(32)의 상부 브래킷(36)에 스윙 가능하게 부착하고, 하단 부착부(43)를 링크 기구(37)에 부착한 것이다. 또, 47은 상부 스윙축이다.
링크 기구(37)는 스윙 아암(32)의 하부 브래킷(38)에 스윙 가능하게 부착한 측면에서 보아 삼각 형상의 제1 링크(51)와, 이 제1 링크(51)에 일단을 스윙 가능하게 부착하는 동시에, 파워 유닛(32)의 하부에 설치한 링크 부착부(52)에 스윙 가능하게 부착한 제2 링크(53)로 이루어진다. 또, 55는 파워 유닛측 스윙축이다.
제1 링크(51)는, 스윙 아암(32)의 하부 브래킷(38)과 제1축(56)에서 연결하고, 제2 링크(52)와 제2축(57)에서 연결하여, 쿠션 유닛(34)의 하단 부착부(43)와 제3축(58)에서 각각 스윙 가능하게 연결한 것이다.
파워 유닛 스윙축(55)은 피벗 축(31)보다도 아래 쪽에 위치하는 축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30)의 작용을 다음에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제1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하는 제1 작용도이다.
도 1에서, 예컨대 자동 이륜차(10)가 노면의 볼록부를 타고 넘어, 차체측(메인 프레임(11)이나 파워 유닛(16))에 대해 후륜(33)이 윗쪽으로 이동한 경우, 도 3에서 스윙 아암(32)은 점선으로 나타낸 위치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까지 피벗 축(31)을 중심으로 화살표 ①과 같이 윗쪽으로 스윙하고, 이에 따라 제1 링크(51)가 제1축(56)을 중심으로 화살표 ②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스윙하고, 이에 따라 제3축(58)에 부착한 하단 부착부(43)가 화살표 ③과 같이 상승한다.
따라서, 쿠션 유닛(34)은 수축하면서 감쇠력이 발생하여, 충격을 흡수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제1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하는 제2 작용도이고, 스윙 아암(32)의 후륜 차축(25)의 상하 방향의 이동량과, 쿠션 유닛(34)의 스토로크량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 도면 중 큰 ◎ 표시는 후륜 차축(25), 작은 ◎ 표시는 상부 스윙축(47) 및 제3축(58)을 나타낸다.
후륜 차축(25)이 ◎ 표시로 나타낸 위치, 즉 운전자가 자동 이륜차에 승차한 상태이고, 또 정차하여(차체에 가감속시의 힘을 작용시키지 않고) 바로 세웠을 때의 위치(「승차(1G) 상태 위치」라고도 한다. 이 위치를, 이하 「승차 중립 위치」라고 기록한다. 이것은 스윙 아암(32), 후륜(33)(도1 참조)의 승차 중립 위치이기도 하다)에 있는 경우에, 링크 기구(37)(도2 참조)와 쿠션 유닛(34)(도2 참조)의 연결축이 되는 제3축(58)은 ◎ 표시로 나타낸 위치에 있다.
이 때의 쿠션 유닛(34)의 전체 길이(상부 스윙축(47)의 축심(47a)과 제3축(58)의 축심(58a)과의 거리. 이하 같음)를 La로 하고, 쿠션 유닛(34)을 최대 연장했을 때의 전체 길이를 Le로 하면, 승차 중립 위치에서의 쿠션 유닛(34)의 스트로크량은 Sa가 된다.(즉, Sa = Le - La)
먼저, 스윙 아암(32)이 승차 중립 위치에서 쿠션 유닛(34)(도2 참조)의 연장쪽으로 스윙(아래쪽으로 스윙)한 경우에는, 스윙 아암(32), 스윙 아암(32)의 상부 브래킷(36), 쿠션 유닛(34)의 하단 부착부(43), 제3축(58), 후륜 차축(25)은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가 되고, 이 때의 후륜 차축(25)에서의 쿠션 유닛(34)의 연장측으로의 이동량(후륜 차축(25)의 축심(25a)의 이동량)을 Da로 한다. 이 때, 쿠션 유닛(34)의 전체 길이를 Lb, 스트로크량을 Sb로 한다.(즉, Sb = Le - Lb)
또, 스윙 아암(32)이 승차 중립 위치에서 쿠션 유닛(34)의 수축쪽으로(윗쪽으로 스윙) 스윙한 경우에는, 스윙 아암(32), 스윙 아암(32)의 상부 브래킷(36), 쿠션 유닛(34)의 하단 부착부(43), 제3축(58), 후륜 차축(25)은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위치가 되고, 이 때의 후륜 차축(25)에서의 쿠션 유닛(34)의 수축쪽으로의 이동량을 상기한 이동량과 같은 Da로 한다. 이 때, 쿠션 유닛(34)의 전체 길이를 Lc, 스트로크량을 Sc로 한다.(즉, Sc = Le - Lc)
본 발명의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30)(도 2참조)에서는, 링크 기구(37)(도 2참조)를 이용함으로써, (Sc-Sa)>(Sa-Sb)가 된다.
즉, 후륜 차축(25)이 쿠션 유닛(34)의 수축쪽으로 스트로크하는 데 따라, 쿠션 유닛(34)의 스트로크량의 변화가 커진다.
이에 따라, 쿠션 유닛(34)의 피스톤의 이동 속도가 상승하여, 쿠션 유닛(34)에서 발생하는 감쇠력이 커진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제1 실시형태)에서의 후륜 차축의 변위량과 쿠션 유닛의 스트로크량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세로 축은 쿠션 유닛의 스트로크량, 가로 축은 후륜 차축의 상하 방향의 변위량을 나타낸다.(부호는 도 2 및 도 3 참조)
후륜 차축(25)의 상하 방향의 변위량이, 쿠션 유닛(34)의 최대 신장 위치인 점(A)에서 승차 중립 위치인 점(B)까지의 범위에서는, 쿠션 유닛(34)의 스트로크량은 후륜 차축(25)의 상하 방향의 변위량의 증가에 따라 거의 직선적으로 증가한다.
또, 후륜 차축(25)의 상하 방향의 변위량이 승차 중립 위치의 점(B)에서 쿠션 유닛(34)의 최대 수축 위치인 점(C)까지의 범위에서는, 후륜 차축(25)의 상하 방향의 변위량의 증가에 대해 쿠션 유닛(34)의 스트로크량의 증가의 비율이 점차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링크 기구(37)에 의해, 후륜 차축(25)을 승차 중립 위치에서 쿠션 유닛(34)의 수축쪽으로 변위시켰을 때에, 쿠션 유닛(34)의 스트로크량을 점차 크게 하는, 즉, 쿠션 유닛(34)의 스트로크 속도를 크게 함으로써, 쿠션 유닛(34)의 최대 수축 위치 부근에서는, 쿠션 유닛(34)에서 발생하는 감쇠력을 크게 하여 쿠션 유닛(34)이 바닥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고, 승차 중립 위치 부근에서는 쿠션 유닛(34)에서 발생하는 감쇠력을 작게 하여 승차감을 좋게 할 수 있다.
이상의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파워 유닛(16)에 설치한 피벗 축(31)에 스윙 아암(32)의 일단을 스윙가능하게 부착하고, 이 스윙 아암(32)의 다른 단에 후륜(33)을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와 같은 스윙 아암(32)에 쿠션 유닛(34)의 상단을 부착하고, 이 쿠션 유닛(34)의 하단을 링크 기구(37)를 통해 피벗 축(31)보다 아래 위치인 파워 유닛 스윙축(55)에서 파워유닛(16)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는, 시트 프레임 등의 차체 프레임에, 쿠션 유닛의 상단을 부착했다. 이에 대해, 청구항 1에서는 쿠션 유닛(34)의 상단을 스윙 아암(32)에 부착하도록 했다. 그 결과, 차체 프레임에 크로스 파이프를 설치하거나, 쿠션 유닛의 상단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메인 프레임(11), 시트 프레임(23), 서브 프레인(24)의 내측에 전장품(배터리나 콘트롤 유닛), 툴 박스 등의 비품을 집중하여 배치할 수 있게 되어, 오프 로드 사양이나 레이스 사양의 차량의 운동성능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자동 이륜차(10)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비품의 집중화에 의해 자동 이륜차(1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 메인 프레임(11), 시트 프레임(23), 서브 프레임(24) 등의 차체 프레임의 설계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파워 유닛(16)에 설치한 피벗 축(31)에 스윙 아암(32)의 일단을 스윙 가능하고 부착하고, 이 스윙 아암(32)의 다른 단에 후륜(33)을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와 같은 스윙 아암(32)에 쿠션 유닛(34)의 일단을 부착하고, 이 쿠션 유닛(34)의 다른 단을 스윙 아암(32)에 연결한 제1 링크 부재로서의 제1 링크(51)에 부착하는 동시에, 이 제1 링크(51)를 파워 유닛(16)에 연결한 제2 링크 부재로서의 제2 링크(53)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생산 라인에서 자동 이륜차(10)를 조립하는 경우, 서브 라인에서 스윙 아암(32)에 쿠션 유닛(34), 제1·제2 링크(51, 53) 및 후륜(33)을 부착하여 서브 어셈블리로서 작게 조립하면, 쿠션 유닛(34)의 양단을 스윙 아암(32)에 대해 위치결정할 수 있어, 메인 라인에서 파워 유닛(16)에 서브 어셈블리를 부착하는 경우에, 스윙 아암(32) 및 제2 링크(53)의 단부를 파워 유닛(16)에 부착하기만 하면 되므로, 종래의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에 비해, 서브 어셈블리는 반송시나 부착시에 취급하기 쉬워지고, 서브 어셈블리의 반송이 용이하고, 조립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제2 실시형태)의 주요부 측면도로, 도 2에 도시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60)는, 피벗 축(31)과, 스윙 아암(32)과, 쿠션 유닛(34)과, 링크 기구(61)로 이루어지고, 쿠션 유닛(34)의 상단을 스윙 아암(32)의 상부 브래킷(36)에 스윙 가능하게 부착하고, 쿠션 유닛(34)의 하단을 링크 기구(61)에 스윙 가능하게 부착한 것이다.
링크 기구(61)는, 스윙 아암(32)의 하부 브래킷(38)에 일단을 스윙 가능하게 부착한 제1 링크(62)와, 파워 유닛(16)의 링크 부착부(52)에 일단을 스윙 가능하게 부착하는 동시에, 다른 단을 쿠션 유닛(34)의 하단 부착부(43)에 스윙 가능하게 부착하고, 또 제1 링크(62)의 다른 단을 중간부에 스윙 가능하게 부착한 제2 링크(63)로 이루어진다. 또, 65는 제1축, 66은 제2축, 67은 제3축, 68은 파워 유닛 스윙축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제3 실시형태)의 주요부 측면도이고, 제1·제2 실시 형태와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70)는 파워 유닛(16)에 스윙 아암(71)을 스윙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 스윙 아암(71)의 상부에 상부 브래킷(72)을 부착하고, 이 브래킷(72)에 제1 링크(73)를 스윙가능하게 부착하고, 이 제1 링크(73)의 단부에 쿠션 유닛(34)의 일단을 스윙 가능하게 부착하는 동시에, 제1 링크(73)의 중간부에 제2 링크(74)의 일단을 스윙 가능하게 부착하고, 쿠션 유닛(34)의 하단을 스윙 아암(71)의 하부에 설치한 하부 브래킷(75)에 스윙 가능하게 부착하고, 제2 링크(74)의 단부를 파워 유닛(16)에 스윙 가능하게 부착한 것이다. 또, 76은 제1축, 77은 제2축, 78은 제3축, 79는 제4축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제4 실시형태)의 주요부 측면도이고, 제1∼제3 실시 형태와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80)는, 차체측인 파워 유닛(16)에 설치한 피벗 축(31)에 스윙 아암(32)의 일단을 스윙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 스윙 아암(32)의 다른 단에 후륜(33)(도1 참조)를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와 같은 스윙 아암(32)에 쿠션 유닛(34)의 일단을 스윙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 쿠션 유닛(34)의 다른 단을 파워 유닛(16)에 연결한 제1 링크(81)에 스윙 가능하게 부착하는 동시에, 이 제1 링크(81)에 스윙 아암(32)에 스윙 가능하게 연결한 제2 링크(82)를 스윙 가능하게 부착한 것이다. 또, 84는 제2축, 85는 제3축이다.
또, 본 발명의 링크 기구, 예컨대 도 2에 도시한 링크 기구(37)는, 두 개의링크(51, 53)로 구성한 것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한 개 또는 세 개 이상의 링크로 구성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해 다음의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 1의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는, 차체측에 설치한 피벗 축에 스윙 아암의 일단을 스윙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 스윙 아암의 다른 단에 차륜을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와 같은 스윙 아암에 쿠션 유닛의 상단을 부착하고, 이 쿠션 유닛의 하단을 피벗 축보다 아래 위치에서 차체측에 연결했으므로, 차체 프레임에 크로스 파이프를 설치하거나, 쿠션 유닛의 상단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 부재를 설치하거나 할 필요가 없고, 차체 프레임에 전장품 등의 비품을 집중하여 배치할 수 있게 되어, 오프 로드(off-road) 사양이나 레이스(race) 사양의 차량의 운동 성능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차량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비품의 집중화에 의해 차량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 차체 프레임의 설계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의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는, 차체측에 설치한 피벗 축에 스윙 아암의 일단을 스윙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 스윙 아암의 다른 단에 차륜을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와 같은 스윙 아암에 쿠션 유닛의 일단을 부착하고, 이 쿠션 유닛의 다른 단을 스윙 아암에 연결한 제1 링크 부재에 부착하는 동시에, 이 제1 링크 부재를 차체측에 연결한 제2 링크 부재에 부착했으므로, 생산 라인에서 차량을 조립하는 경우, 서브 라인에서 스윙 아암에 쿠션 유닛, 제1·제2 링크 부재 및 후륜을 부착하여 서브 어셈블리로서 작게 조립하면, 쿠션 유닛의 양단을 스윙 아암에 대해 위치 결정할 수 있어, 메인 라인에서 차체측에 서브 어셈블리를 부착하는 경우에, 스윙 아암 및 제2 링크 부재의 단부를 차체측에 부착하기만 하면 되므로, 종래의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에 비해, 서브 어셈블리는 반송시나 부착시에 취급하기 쉬워지게 되고, 서브 어셈블리의 반송, 부착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2)

  1. 차체측에 설치한 피벗 축에 스윙 아암의 일단을 스윙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 스윙 아암의 다른 단에 차륜을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와 같은 스윙 아암에 쿠션 유닛의 상단을 부착하고, 이 쿠션 유닛의 하단을 상기 피벗 축보다 아래 위치에서 차체측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2. 차체측에 설치한 피벗 축에 스윙 아암의 일단을 스윙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 스윙 아암의 다른 단에 차륜을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와 같은 스윙 아암에 쿠션 유닛의 일단을 부착하고, 이 쿠션 유닛의 다른 단을 스윙 아암에 연결한 제1 링크 부재에 부착하는 동시에, 이 제1 링크 부재를 차체측에 연결한 제2 링크 부재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윙 아암식 현가 장치.
KR10-2001-0049927A 2000-09-05 2001-08-20 차량의 스윙 아암식 현가(懸架) 장치 KR1004897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68514 2000-09-05
JP2000268514A JP3768788B2 (ja) 2000-09-05 2000-09-05 車両のスイングアーム式懸架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386A true KR20020019386A (ko) 2002-03-12
KR100489771B1 KR100489771B1 (ko) 2005-05-16

Family

ID=18755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927A KR100489771B1 (ko) 2000-09-05 2001-08-20 차량의 스윙 아암식 현가(懸架)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595310B2 (ko)
EP (1) EP1188657B1 (ko)
JP (1) JP3768788B2 (ko)
KR (1) KR100489771B1 (ko)
CN (1) CN1318232C (ko)
BR (1) BR0104183B1 (ko)
DE (1) DE60128764T2 (ko)
TW (1) TW49546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317B1 (ko) * 2001-04-04 2005-03-09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자동 이륜차의 리어 서스펜션 장착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7370B2 (ja) * 2001-01-10 2011-02-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車体フレーム構造
ATE251068T1 (de) * 2002-05-24 2003-10-15 Ducati Motor Holding Spa Hinterradfederung für ein motorrad
JP4188641B2 (ja) * 2002-08-13 2008-11-2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二輪車及び二輪車のリヤアーム
US7472772B2 (en) * 2003-02-20 2009-01-06 Honda Motor Co., Ltd. Structure for installing rear cushion
JP4129918B2 (ja) * 2003-02-21 2008-08-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リヤサスペンション
JP4574199B2 (ja) * 2003-03-20 2010-11-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スイングアーム式懸架装置
JP4130377B2 (ja) 2003-04-04 2008-08-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スイングアーム式懸架装置
JP4130395B2 (ja) 2003-09-09 2008-08-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イングアーム式懸架装置
JP2005153807A (ja) 2003-11-27 2005-06-16 Showa Corp 車両の懸架装置
US8794943B2 (en) * 2005-03-09 2014-08-05 Merton W. Pekrul Rotary engine vane conduits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for
JP4648738B2 (ja) * 2005-03-23 2011-03-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スイングアーム式懸架装置
US7357404B2 (en) * 2005-08-15 2008-04-15 Lazarus Sommers Progressive rate ATV suspension linkage
JP4537927B2 (ja) * 2005-09-30 2010-09-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クータ型車両のパワーユニット支持構造
JP2007153281A (ja) * 2005-12-08 2007-06-21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
US7520360B1 (en) 2006-07-03 2009-04-21 Glenn Aaron L Rear suspension for motorcycle
JP5193973B2 (ja) * 2009-08-25 2013-05-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
JP5703074B2 (ja) * 2011-03-14 2015-04-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
US8955633B2 (en) * 2011-05-31 2015-02-17 Honda Motor Co., Ltd. Two-wheeled motor vehicle
DE102013216826A1 (de) 2013-08-23 2015-02-2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Zweirad mit gefederter Triebsatzschwinge
CN105564574B (zh) * 2014-10-23 2018-10-19 昆山宝贝偶像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电动车减震机构
JP6913640B2 (ja) * 2018-01-25 2021-08-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のクッションコンロッド
JP7457744B2 (ja) 2022-03-25 2024-03-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後輪懸架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8073B2 (ja) * 1981-09-04 1985-12-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S61268580A (ja) * 1985-05-22 1986-11-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US4712638A (en) * 1985-06-25 1987-12-15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Suspension system for motorcycles
US5062495A (en) * 1990-06-18 1991-11-05 Padgett Ray T Rear suspension system for motorcycles
US5240269A (en) * 1992-01-16 1993-08-31 Miner Enterprises, Inc. Bike suspension
US5908078A (en) * 1992-05-04 1999-06-01 Belil Creixell; Jose Luis Suspension/transmission mechanism for motorcycles and the like
FR2776981B3 (fr) * 1998-04-03 2000-02-04 Sebastien Dautry Systeme de suspension pour v.t.t a restitution d'energie dissipee
GR1003204B (el) * 1998-08-31 1999-09-03 Smyrnaios Giannis Nelson Πληρως αιωρουμενη αναρτηση διπλης ενεργειας ποδηλατων
US6076845A (en) * 1998-09-24 2000-06-20 Schwinn Cycling & Fitness Inc. Rear suspension for a bicycle having a flexible chain stay
DE29909988U1 (de) * 1999-06-09 2000-01-05 Merida Industry Co Fahrradrahm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317B1 (ko) * 2001-04-04 2005-03-09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자동 이륜차의 리어 서스펜션 장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104183A (pt) 2002-05-21
CN1342563A (zh) 2002-04-03
EP1188657A2 (en) 2002-03-20
JP2002068066A (ja) 2002-03-08
CN1318232C (zh) 2007-05-30
DE60128764T2 (de) 2007-10-11
KR100489771B1 (ko) 2005-05-16
EP1188657B1 (en) 2007-06-06
US20020027035A1 (en) 2002-03-07
DE60128764D1 (de) 2007-07-19
US6595310B2 (en) 2003-07-22
JP3768788B2 (ja) 2006-04-19
TW495465B (en) 2002-07-21
BR0104183B1 (pt) 2010-06-15
EP1188657A3 (en) 2003-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9771B1 (ko) 차량의 스윙 아암식 현가(懸架) 장치
US5452910A (en) Rear wheel suspension for a bicycle and bicycle equipped therewith
CN100418798C (zh) 汽车的后轮悬架装置
JP2002068066A5 (ko)
JP2924306B2 (ja) 車輪独立懸架装置
JP4129297B2 (ja) 自転車用後部懸架装置
JP4648738B2 (ja) 車両のスイングアーム式懸架装置
US7207408B2 (en) Reinforcing support structure for a three-wheeled motor vehicle, and three-wheeled motor vehicle incorporating same
EP4101750A1 (en) Tilting two wheel front fork assembly for a vehicle
JP4559047B2 (ja) 車両のスイングアーム式懸架装置
US20210221465A1 (en) Motorcycle with multi-configuration chassis
CN101269687B (zh) 用于摩托车的后轮悬架
JPS63265712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ヨン装置
JP4339021B2 (ja) スイングアーム式懸架装置
CN100377964C (zh) 自行车减振后悬架机构
CN210212636U (zh) 一种摩托车四连杆后减震机构
CN215590938U (zh) 车辆避震平衡机构
CN112124474A (zh) 三轮车的后轮支撑结构
JP4463491B2 (ja) 車両のスイングアーム式懸架装置
JPS61178281A (ja) 自動三輪車の後輪緩衝装置
JPH02162186A (ja) 自動二輪車のパワーユニット懸架装置
CN115848549A (zh) 车辆避震平衡机构
KR20020055015A (ko) 후륜 현가 장치
JP2006160084A (ja)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支持構造
JPS58118482A (ja) 二,三輪車におけるパワ−ユニツト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